KR102614332B1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Google Patents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4332B1 KR102614332B1 KR1020210144367A KR20210144367A KR102614332B1 KR 102614332 B1 KR102614332 B1 KR 102614332B1 KR 1020210144367 A KR1020210144367 A KR 1020210144367A KR 20210144367 A KR20210144367 A KR 20210144367A KR 102614332 B1 KR102614332 B1 KR 1026143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ischarge
- cover
- projectil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that 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0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 F41B9/009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for riot control, e.g. water cann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포의 전방은 물이나 발사체를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고, 포의 후방은 보상 유체가 토출되어 물포와 발사체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고, 후방으로는 보상 유체로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탄양 연결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로봇에 장착가능하고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에도 장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도 증진할 수 있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나 발사체를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고, 포의 후방은 보상 유체가 토출되어 물과 공기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는 보상 유체로서 공기 또는 물이 토출되도록 하여 탄약 연결시 안정성을 확보하고 로봇및 카메라 삼각대와같은 지지대에도 장착가능 함으로 사용상의 편의성도 증진할 수 있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이다. 즉, 물과 공기 복합 방식으로 운영하여 후방을 공기로 제어시 전방으로 발사되는 강한 압력을 줄 수 도 있고, 후방 공기 조절 장치로 반동을 흡수 할 수 있는 기술로 화약이 터지더라도 고압의 물이 발사 되지 않아 안전성을 고려한 복합 방식이다.
또한, 발사되는 형태의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음으로 견고한 물체내부에 설치된 폭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장점과 유사시 모든 압력을 전방에 집중하여 더 효과적인 폭발물을 제거할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포라고 하는 것은 화약 등과 같은 폭발부가 폭발하여 추진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추진력에 의해 발사체를 멀리 발사하는 무기를 총칭한다.
이러한 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신 등과 같은 발사부(B)를 포함한다. 상기 발사부(B)의 내부에는 폭발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폭발부(E)가 배치된다. 상기 폭발부(E)의 폭발에 의해 상기 발사부(B) 내부에 배치된 발사체(P)가 발사된다. 한편, 상기 발사체(P)의 발사에 의해 반력이 후방 방향으로 발생한다. 상기 반력을 감소하기 위해 발사부(B)에 카운트 매스(M)가 구비된다. 상기 카운트 매스(M)는 상기 폭발부(E)의 폭발에 의해 작동되어 발사부(B)의 후방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카운트 매스(M)의 폭발에 의해 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기술의 포는 발사체만을 발사하거나 혹은 물포만을 운용할 수 있어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카운트 매스로서 물을 이용하는 관계로 후방에 탄약이 구비되는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포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사체 또는 물이 발사되는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상부와, 상기 보상부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 압력이 발생되는 추진력 발생부와, 상기 보상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토출 공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물이나 발사체를 선택적으로 발사하고, 포의 후방은 보상 유체가 토출되어 물포와 발사체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고, 후방으로는 보상 유체로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탄약 연결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로봇에 장착가능하고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에도 장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도 증진할 수 있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사체 또는 물이 발사되는 발사부(500)와, 상기 발사부(5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상부(100)와,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 압력이 발생되는 추진력 발생부(600)와, 상기 보상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토출 공기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에 의해 추진력 발생 시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충진된 보상 유체가 후방으로 토출하여 반동을 억제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는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구비되고, 폭발부가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제1본체(610)와, 상기 제1본체(610)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본체(6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제2본체(620)와, 상기 제1본체(610)와 제2본체(620)사이에 형성되고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경부(630)를 포함하고, 상기 확경부(630)에는 토출공(631)이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630)를 통과하는 추진력 일부가 상기 토출공(631)을 통해 후방으로 투입되며, 상기 발사부(500)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고 물 또는 발사체가 내장되는 발사부 본체(510)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체 본체(510)는 상기 제2본체(620) 내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에서, 상기 보상부(100)는 중공의 보상부 본체(110)와,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의 제1본체(610)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 보상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보상부(130)는 상기 제1본체(610)의 외측에 구비되는 판체부(131)와, 상기 판체부(131)와 토출 공기 제어부(400)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탄성부(132) 및 내부 탄성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판체부(131)는 상기 제1본체(610) 외측과 보상부 본체(110) 내측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내부 탄성부(133)는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탄성부(132)는 내부 탄성부(133)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토출 공기 제어부(400)는 보상부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고 추진력 발생부(600) 외측에 배치되는 제1토출부(410)와, 보상부 본체(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부(410)와 연통되는 제2토출부(420)와, 상기 제1토출부(410)와 제2토출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부(410)와 연동되는 조절판(430)과, 상기 제1토출부(410)과 제2토출부(420)를 관통하여 상호 고정하는 결합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부(410)는 상호 밀착되어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제1커버(411) 및 제2커버(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 사이에 상기 조절판(430)이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440)가 관통하는 개방부(4112,4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개방부(4112,4212)의 주위에는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호 연통되어, 상기 보상부(100) 내부의 보상 유체가 상기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을 통과한 후 상기 제2토출부(420)를 통해 보상부(100) 후방으로 토출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를 결합하는 고정구(4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버(411)는 상기 개방부(4112)가 형성되는 제1커버 본체(4111)와, 상기 제1커버 본체(41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고정홈(4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412)는 상기 개방부(4212)가 형성되는 제2커버 본체(4211)와,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관통공(4214)을 포함하되, 상기 제2커버 본체(4211)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제2토출부(420) 방향에는 상기 관통공(4214)이 형성되고, 제1커버(411) 방향 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의 두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특정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부(421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413)는 상기 제2커버(412)의 관통공(4214)를 통해 관통한 후 제1커버(411)의 고정홈(4114)에 삽입되며, 상기 조절판(430)은 결합부(44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조절판 본체(431)와, 상기 조절판 본체(43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40)가 관통하는 개방부(433)와, 상기 개방부(433)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상 유체가 통과하는 제3토출공(434)과, 상기 조절판 본체(431)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4212a)를 통해 노출되는 그립부(43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토출부(420)는 판체 형상의 제2토출부 본체(421)와, 상기 제2토출부 본체(4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40)와 나사 결합하는 개방부(422)와, 상기 개방부(42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토출부(410)의 각 토출공(4113,4213)을 통해 토출된 보상 유체가 통과하는 토출 공간부(42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발사부(500) 중 전방 방향에 외통부(800)가 배치되고, 상기 외통부(800)는 상기 발사부(5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양 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외통부 본체(810)와, 상기 외통부 본체(810)의 전방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이되 외통부 본체(810) 방향은 개방되고, 반대 방향은 파단막(822)에 의해 차단된 전방 캡(82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발사부(50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 본체(810)와 연동되는 탄성 흡수부(9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발사부(50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여 물을 발사하거나 혹은 상기 발사체를 내장하여 발사체를 발사한다.
상기에서, 상기 발사부(500)는 추진력 발사부(600)의 제2본체(620) 내측면과 나사 결합하여 상호 고정되고, 상기 보상부(100)의 외측에는 브라켓(700)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발사부(500)와 보상부(100)가 관통하는 관통공(711)이 형성되는 브라켓 본체(710)와, 상기 브라켓 본체(7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로봇이 장착되는 로봇 장착부(720)와, 상기 브라켓 본체(710)의 타 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대가 장착되는 지지대 장착부(7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포의 전방은 물이나 발사체를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고, 포의 후방은 보상 유체가 토출되어 물포와 발사체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고, 후방으로는 보상 유체로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탄약 연결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포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브라켓과 발사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보상부와 추진력 발생부의 단면 사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토출 공기 제어부의 단면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브라켓과 발사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보상부와 추진력 발생부의 단면 사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의 토출 공기 제어부의 단면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부(500), 보상부(100), 추진력 발생부(600) 그리고 토출 공기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발사부(5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발사부(500) 내부에 물 또는 발사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상부(100)는 상기 발사부(500)의 후방(물 또는 발사체의 발사 방향의 반대 방향을 말한다. 이하 동일)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상부(100)는 발사부(500)의 도면상 우측에 구비된다.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는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 압력이 발생된다. 즉,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면, 상기 발사부(500) 내부에 배치된 물 또는 발사체가 상기 추진력에 의해 발사된다.
종래에는 발사체만을 발사하거나 혹은 물포만을 운용할 수 있어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발사체를 발사하기 위한 발사부(총열)과 물포를 발사하기 위한 발사부를 별도로 구비해야 해서 운용상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사부(500)에는 물이나 발사체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에 의해 추진력 발생 시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충진된 보상 유체가 후방으로 토출하여 반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는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구비되고, 추진 압력을 발생하는 폭발부가 내장된다. 이러한 추진력 발생부(600)는 상기 폭발부가 내장되고 보상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 형상의 제1본체(610)와, 상기 제1본체(610)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본체(6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제2본체(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610)와 제2본체(620)사이에는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경부(6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본체(610) 내부에 폭발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폭발부가 폭발하며 추진력을 발생하고, 상기 추진력은 상기 확경부(630)와 제2본체(620)를 거쳐 발사부(50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발사부(500) 내부에는 물 또는 발사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 또는 발사체가 선택적으로 발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경부(630)에는 토출공(631)이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630)를 통과하는 추진력 일부가 상기 토출공(631)을 통해 후방으로 투입된다. 상기 후방으로 투입된 추진력은 보상부(100)로 향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발사부(500)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고 물 또는 발사체가 내장되는 발사부 본체(510)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체 본체(510)는 상기 제2본체(620)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호 연통된다. 즉, 상기 발사체 본체(510)가 추진력 발생부(600)의 제2본체(620) 내부에 배치되는 한편 나사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상호 고정된다. 따라서, 추진력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상기 발사체 본체(510)가 추진력 발생부(600)와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발사체 본체(510) 내부에는 물 차단부(WS)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물 차단부(WS)에 의해 물이 발사체 본체(510)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력 발생부(600)에서 발사부(500) 방향으로 추진력이 발생하더라도 보상부(100) 내부에 충진된 보상 유체가 후방으로 토출하여 반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상부(100)는 중공의 보상부 본체(110)와,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의 제1본체(610)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 보상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상 유체는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반동을 억제하기 위해 보상 유체로서 물을 이용하는 관계로, 탄약 연결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보상 유체로서 공기를 이용하여 탄약 연결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보상부(130)는 상기 제1본체(610)의 외측에 구비되는 판체부(131)와, 상기 판체부(131)와 토출 공기 제어부(400)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탄성부(132) 및 내부 탄성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탄성부(133)는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탄성부(132)는 내부 탄성부(133)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 보상부(130)는 널리 알려진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내외측으로 배치된 2개의 탄성 보상부를 포함하며, 이는 주로 중심측 압력은 상기 내부 탄성부(133)가 완충하고 측면 압력은 외부 탄성부(132)가 완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체부(131)는 상기 제1본체(610) 외측과 보상부 본체(110) 내측에 각각 밀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추진력의 일부는 확경부(630)의 토출공(631)을 통해 후방으로 분출된다. 상기 분출된 추진력은 상기 판체부(131)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판체부(131)는 상기 제1본체(610) 외측과 보상부 본체(110) 내측에 각각 밀착되어 있으므로 추진력의 누설 없이 상기 판체부(131)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판체부(131)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충진된 보상 유체 즉, 공기가 토출 공기 제어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 공기 제어부(400)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부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고 추진력 발생부(600) 외측에 배치되는 제1토출부(410)와, 보상부 본체(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부(410)와 연통되는 제2토출부(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토출부(410) 역시 보상부 본체(110) 내부와 추진력 발생부(600) 외측에 각각 밀착되어 추진력의 누설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토출부(410)와 제2토출부(420) 사이에 조절판(430)이 배치된다. 이러한 조절판(430)의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출부(410)과 제2토출부(42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4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부(440)는 상기 제1토출부(410)과 제2토출부(420)를 관통하여 상호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440)는 바아 형상의 결합부 본체(441)와, 상기 결합부 본체(441)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토출부(410)와 제2토출부(420)가 상기 나사산부(442)와 나사 결합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 공기 제어부(40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토출부(410)는 상호 밀착되어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제1커버(411) 및 제2커버(4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 사이에 상기 조절판(43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440)가 관통하는 개방부(4112,421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4112)가 상기 결합부(440)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기 각 개방부(4112,4212)의 주위에는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1커버(411) 및 제2커버(412)에 제1토출공(4113)과 제2토출공(421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공(4113)과 제2토출공(4213)은 상호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보상부(100) 내부의 보상 유체 즉, 공기가 상기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을 통과한 후 상기 제2토출부(420)를 통해 보상부(100) 후방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토출 압력에 의해 발사부를 통해 발사되는 압력을 보상하여 반동을 억제한다.
한편, 상기 제1커버(411)는 상기 개방부(4112)가 형성되는 제1커버 본체(4111)와, 상기 제1커버 본체(41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고정홈(4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커버(412)는 상기 개방부(4212)가 형성되는 제2커버 본체(4211)와,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관통공(42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커버 본체(4211)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제2토출부(420) 방향에는 상기 관통공(4214)가 형성되고, 제1커버(411) 방향 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의 두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특정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부(4212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의 제2토출부(420)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에는 상기 관통공(4214)이 형성되고, 반대 방향(도면상 좌측)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의 두께면에는 요홈부(4212a)가 형성되어 제1커버 본체(4111)와 결합 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조절판(430)의 그립부(432)가 노출되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한다.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는 고정구(413)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413)는 상기 제2커버(412)의 관통공(4214)를 통해 관통한 후 제1커버(411)의 고정홈(4114)에 삽입되어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가 상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 사이에 배치되는 조절판(430)은 결합부(44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조절판 본체(431)와, 상기 조절판 본체(431)에 형성되는 개방부(433)와, 상기 조절판 본체(431)에 형성되는 제3토출공(434) 및 그립부(432)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33)는 상기 조절판 본체(43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40)가 관통한다. 이때, 상기 개방부(433)의 직경은 결합부(440)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조절판 본체(431)가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토출공(434)은 상기 개방부(433)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상 유체가 통과한다. 즉, 상기 제3토출공(434)은 제1커버(411)의 제1토출공(4113)과 제2커버(412)의 제2토출공(4213)과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상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32)는 상기 조절판 본체(431)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그립부(432)는 상기 요홈부(4212a)를 통해 노출된다. 즉, 상기 제1커버 본체(4111)과 제2커버 본체(4211)는 상호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의 두께면에는 형성되는 요홈부(4212a)에 의해 일 부분이 개방된다. 이러한 요홈부(4212a)를 통해 상기 그립부(432)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432)에 의해 상기 조절판(430)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조절판(430)의 제3토출공(434)이 상기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과의 연통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통되는 면적의 조절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토출부(410)를 통해 배출되는 보상 유체 즉, 공기는 제2토출부(420)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제2토출부(420)는 판체 형상의 제2토출부 본체(421)와, 상기 제2토출부 본체(421)에 형성되는 개방부(422) 및 토출 공간부(423)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22)는 상기 제2토출부 본체(4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40)와 나사 결합한다. 즉, 상기 제1토출부(410)와 제2토출부(420)가 상기 결합부(440)와 나사 결합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공간부(423)는 상기 개방부(42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토출부(410)의 각 토출공(4113,4213)을 통해 토출된 보상 유체 즉, 공기가 통과하여 후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토출 공기 제어부(400) 대신 상기 보상부 본체(110)에 마감 캡(EP)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상부 본체(110) 내부에 물을 충진한 후 물이 후방으로 토출할 때 상기 마감 캡(EP)을 이탈시킨 후 물을 토출하여 기존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부(500) 중 전방 방향에 외통부(8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외통부(800)는 외통부 본체(810)와 전방 캡(820)을 포함한다. 상기 외통부 본체(810)는 상기 발사부(5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외통부 본체(810)의 양 측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발사부(500)를 통해 발사된 물 또는 발사체는 외통부 본체(810)를 통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상기 전방 캡(820)은 상기 외통부 본체(810)의 전방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전방 캡(82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통부 본체(810)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은 개방되고, 반대 방향(도면상 좌측)은 파단막(822)에 의해 차단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발사부(500)에는 물 또는 발사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물 또는 발사체가 발사부(5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단막(822)이 막게 된다. 만일 물 또는 발사체가 발사부(500)에서 발사되는 경우 상기 파단막(822)이 파단되며 물 또는 발사체가 전방으로 발사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외통부 본체(810)는 발사부(5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발사부(500)에서 물 또는 발사체가 발사되는 경우 상기 외통부 본체(810)가 발사부(5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사부(50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 본체(810)와 연동되는 탄성 흡수부(900)를 포함한다. 즉,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탄성 흡수부(900)에 의해 추진력 발생시 상기 외통부(800)가 발사부(5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부(50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여 물을 발사하거나 혹은 상기 발사체를 내장하여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사부(500)는 추진력 발사부(600)의 제2본체(620) 내측면과 나사 결합하여 상호 고정되고, 이러한 보상부(100)의 외측에는 브라켓(700)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발사부(500)와 보상부(100)가 관통하는 관통공(711)이 형성되는 브라켓 본체(7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라켓 본체(710)의 일 측면에는 로봇이 장착되는 로봇 장착부(720)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710)의 타 측면에는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가 장착되는 지지대 장착부(7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 장착부(730)는 전세계 규격인 일반 카메라 삼각대를 이용하여 긴급시 상기 삼각대를 지지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보상부 110 : 보상부 본체
130 : 탄성 보상부 400 : 토출 공기 제어부
410 : 제1토출부 420 : 제2토출부
430 : 조절판 500 : 발사부
600 : 추진력 발생부 610 : 제1본체
620 : 제2본체 630 : 확경부
800 : 외통부 810 : 외통부 본체
820 : 전방 캡 900 : 탄성 흡수부
130 : 탄성 보상부 400 : 토출 공기 제어부
410 : 제1토출부 420 : 제2토출부
430 : 조절판 500 : 발사부
600 : 추진력 발생부 610 : 제1본체
620 : 제2본체 630 : 확경부
800 : 외통부 810 : 외통부 본체
820 : 전방 캡 900 : 탄성 흡수부
Claims (10)
- 발사체 또는 물이 발사되는 발사부(500)와, 상기 발사부(5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상부(100)와,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추진 압력이 발생되는 추진력 발생부(600)와, 상기 보상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토출 공기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공기 제어부(400)는 보상부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고 추진력 발생부(600) 외측에 배치되는 제1토출부(410)와, 보상부 본체(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부(410)와 연통되는 제2토출부(420)와, 상기 제1토출부(410)와 제2토출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부(410)와 연동되는 조절판(430)과, 상기 제1토출부(410)과 제2토출부(420)를 관통하여 상호 고정하는 결합부(440)를 포함하여,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에 의해 추진력 발생 시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충진된 보상 유체가 후방으로 토출하여 반동을 억제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는 상기 보상부(100) 내부에 구비되고, 폭발부가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제1본체(610)와, 상기 제1본체(610)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본체(6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제2본체(620)와, 상기 제1본체(610)와 제2본체(620)사이에 형성되고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경부(630)를 포함하고,
상기 확경부(630)에는 토출공(631)이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630)를 통과하는 추진력 일부가 상기 토출공(631)을 통해 후방으로 투입되며,
상기 발사부(500)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고 물 또는 발사체가 내장되는 발사부 본체(510)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부 본체(510)는 상기 제2본체(620)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호 연통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100)는 중공의 보상부 본체(110)와,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의 제1본체(610)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 보상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보상부(130)는 상기 제1본체(610)의 외측에 구비되는 판체부(131)와, 상기 판체부(131)와 토출 공기 제어부(400)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탄성부(132) 및 내부 탄성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판체부(131)는 상기 제1본체(610) 외측과 보상부 본체(110) 내측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내부 탄성부(133)는 상기 추진력 발생부(6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탄성부(132)는 내부 탄성부(133)의 외측에 배치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410)는 상호 밀착되어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제1커버(411) 및 제2커버(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 사이에 상기 조절판(430)이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440)가 관통하는 개방부(4112,4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개방부(4112,4212)의 주위에는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호 연통되어, 상기 보상부(100) 내부의 보상 유체가 상기 제1토출공(4113) 및 제2토출공(4213)을 통과한 후 상기 제2토출부(420)를 통해 보상부(100) 후방으로 토출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411)와 제2커버(412)를 결합하는 고정구(4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버(411)는 상기 개방부(4112)가 형성되는 제1커버 본체(4111)와, 상기 제1커버 본체(41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고정홈(4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412)는 상기 개방부(4212)가 형성되는 제2커버 본체(4211)와,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관통공(4214)을 포함하되, 상기 제2커버 본체(4211)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제2토출부(420) 방향에는 상기 관통공(4214)이 형성되고, 제1커버(411) 방향 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제2커버 본체(4211)의 두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특정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부(421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413)는 상기 제2커버(412)의 관통공(4214)를 통해 관통한 후 제1커버(411)의 고정홈(4114)에 삽입되며,
상기 조절판(430)은 결합부(44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조절판 본체(431)와, 상기 조절판 본체(43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40)가 관통하는 개방부(433)와, 상기 개방부(433)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상 유체가 통과하는 제3토출공(434)과, 상기 조절판 본체(431)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4212a)를 통해 노출되는 그립부(432)를 포함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부(420)는 판체 형상의 제2토출부 본체(421)와, 상기 제2토출부 본체(4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40)와 나사 결합하는 개방부(422)와, 상기 개방부(42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토출부(410)의 각 토출공(4113,4213)을 통해 토출된 보상 유체가 통과하는 토출 공간부(423)를 포함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500) 중 전방 방향에 외통부(800)가 배치되고,
상기 외통부(800)는 상기 발사부(5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양 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외통부 본체(810)와, 상기 외통부 본체(810)의 전방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이되 외통부 본체(810) 방향은 개방되고, 반대 방향은 파단막(822)에 의해 차단된 전방 캡(820)을 포함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50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 본체(810)와 연동되는 탄성 흡수부(900)를 포함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50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여 물을 발사하거나 혹은 상기 발사체를 내장하여 발사체를 발사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500)는 추진력 발사부(600)의 제2본체(620) 내측면과 나사 결합하여 상호 고정되고,
상기 보상부(100)의 외측에는 브라켓(700)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발사부(500)와 보상부(100)가 관통하는 관통공(711)이 형성되는 브라켓 본체(710)와, 상기 브라켓 본체(7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로봇이 장착되는 로봇 장착부(720)와, 상기 브라켓 본체(710)의 타 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대가 장착되는 지지대 장착부(730)를 포함하는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4367A KR102614332B1 (ko) | 2021-10-27 | 2021-10-27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PCT/KR2022/016117 WO2023075302A1 (ko) | 2021-10-27 | 2022-10-21 | 물포총 |
KR1020230110524A KR20230128252A (ko) | 2021-10-27 | 2023-08-23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4367A KR102614332B1 (ko) | 2021-10-27 | 2021-10-27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0524A Division KR20230128252A (ko) | 2021-10-27 | 2023-08-23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090A KR20230060090A (ko) | 2023-05-04 |
KR102614332B1 true KR102614332B1 (ko) | 2023-12-15 |
Family
ID=86159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4367A KR102614332B1 (ko) | 2021-10-27 | 2021-10-27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KR1020230110524A KR20230128252A (ko) | 2021-10-27 | 2023-08-23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0524A KR20230128252A (ko) | 2021-10-27 | 2023-08-23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614332B1 (ko) |
WO (1) | WO202307530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910024T2 (de) * | 1998-06-10 | 2004-04-22 | Proparms Ltd., Carignan | Rückstossloses wassergewehr |
GB0522023D0 (en) * | 2005-10-28 | 2005-12-07 | Richmond Electronics & Enginee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evices for firing a projectile |
US8579209B1 (en) * | 2006-07-12 | 2013-11-12 | Sandia Corporation | Gas powered fluid gun with recoil mitigation |
JP2011226656A (ja) | 2010-04-15 | 2011-11-10 | Ihi Aerospace Co Ltd | 無反動砲 |
CA2899643C (en) * | 2014-12-16 | 2016-05-17 | Proparms Ltd. | Gas compensated recoilless liquid disrupter |
US10533819B2 (en) * | 2017-03-23 | 2020-01-14 | Gerald R. Thomas | Suppressor for firearms |
KR102038554B1 (ko) * | 2019-07-30 | 2019-10-31 | 한국문화관광경영원 주식회사 | 공압에 의해 발사되는 물대포 |
-
2021
- 2021-10-27 KR KR1020210144367A patent/KR102614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10-21 WO PCT/KR2022/016117 patent/WO2023075302A1/ko unknown
-
2023
- 2023-08-23 KR KR1020230110524A patent/KR20230128252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75302A1 (ko) | 2023-05-04 |
KR20230060090A (ko) | 2023-05-04 |
KR20230128252A (ko) | 2023-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15496B2 (en) | Light gas gun | |
US7997179B1 (en) | Hybrid water cannon | |
RU2355976C1 (ru) | На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вола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 |
US20110067593A1 (en) | Non-lethal projectile ammunition | |
US10119780B1 (en) | Light gas gun projectile | |
US6564719B2 (en) | Training cartridge for a self loading gun | |
JP2005121363A (ja) | 銃身アセンブリ | |
US5952601A (en) | Recoilless and gas-free projectile propulsion | |
KR101941841B1 (ko) | 총기로부터 수중 발사하기 위한 장치 | |
JPH0560494A (ja) | 警棒銃 | |
KR20050014016A (ko) | 다중 발사체용 카트리지 조립체 | |
US7350449B2 (en) | Countermass weaponry | |
KR102614332B1 (ko) | 물포와 발사체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복합 방식의 포 장치 | |
EP1470382B1 (en) | Countermass weapon | |
US2986973A (en) | Low-recoil, variable-range missile projector | |
US5109750A (en) | Closed-breech missile and weapon system | |
JP2009115403A (ja) | 速度切換機構付き弾薬とこれを用いた火砲 | |
US4493263A (en) | Ballistic propulsion system | |
US4982666A (en) | Cartridge for active protection system | |
RU2327946C2 (ru) | Двухмодульный метательный заряд | |
US4682528A (en) | Active protection system | |
US20120210857A1 (en) | Multi-shot Launcher Comprising External Propellant | |
US7886649B2 (en) | Weapon system | |
RU2203473C2 (ru) | Гранатометный выстрел | |
KR101537015B1 (ko) | 강제발사와 자체추진 겸용 잠수함의 무장 발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