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84B1 -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84B1
KR102612784B1 KR1020230021713A KR20230021713A KR102612784B1 KR 102612784 B1 KR102612784 B1 KR 102612784B1 KR 1020230021713 A KR1020230021713 A KR 1020230021713A KR 20230021713 A KR20230021713 A KR 20230021713A KR 102612784 B1 KR102612784 B1 KR 10261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user
product image
user terminal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23002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증강 현실을 통한 효율적인 물품 비교 및 선택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mage Comparison Servi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증강 현실을 통한 효율적인 물품 비교 및 선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스마트 글래스 등의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교육, 게임, 전자 상거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한 증강 현실(AR)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구, 가방 등의 특정 제품을 전문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판매하는 사업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이 사용자의 현실 공간에 배치된 상태를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구매자가 복수의 물품을 동일한 공간에서 동시에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어 효율적인 물품 선택이 가능한 반면,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는 아직 제안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증강 현실을 통한 효율적인 물품 비교 및 선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서비스 제공 서버가,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c)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d)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물품 이미지와 상기 제2 물품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교번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현실 공간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현실 공간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물품 이미지와 상기 제2 물품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교번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현실 공간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현실 공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증강 현실을 통한 효율적인 물품 비교 및 선택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기이며,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제1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판단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며, 제1 위치에 고정된 제1 물품 이미지의 설치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며, 제1 위치에 고정된 제1 물품 이미지의 설치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물품 이미지의 설치 방향을 결정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가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되, 사용자가 제1 물품 이미지에 대해 선택한 현실 공간에서의 고정 위치 및 설치 방향에 따라 수정 생성된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수신부(210)에서의 각종 수신 정보, 판단부(250)에서의 각종 연산 및 결정 정보, 송신부(270)에서의 각종 송신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한 다음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증강 현실 기반 3D 모델링 이미지를 제공하는 여러 물품들 중에서 상호 비교를 희망하는 복수의 물품을 선택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비교 대상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300).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물품 중 제1 물품에 대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증강 현실 기반 3D 모델링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310).
사용자 단말기(100)가 증강 현실 기반 제1 물품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자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있는 현실 공간의 촬영 영상과 함께 증강 현실 기반 제1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증강 현실을 통해 제1 물품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현실 공간에서 자신이 원하는 특정 위치인 제1 위치(예를 들면, 책상 윗면)에 제1 물품 이미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역에 현실 공간에 있는 특정 요소(예를 들면, 책상)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특정 요소가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도록 사용자 단말기(100)의 대향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현실 공간의 특정 요소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되게 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함께 출력되어 있는 제1 물품 이미지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예를 들면, 책상 윗면)로 터치&드래그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물품 이미지의 고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S320).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1 물품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최초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이 현실 공간을 촬영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라이더 센서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물품 이미지를 고정하기 위해 선택한 위치(제1 위치)의 3차원 좌표값을 해당 모델링 데이터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사용자의 제1 위치 선택 정보(3차원 좌표값)는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와 함께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으며(S330),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S34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각 요소(예를 들면, 책상, 바닥, 천정, 선반 등)의 형상, 높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특정 요소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flat type)이고, 해당 공간에서의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를 현실 공간의 바닥면으로 분류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특정 요소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flat type)이고, 해당 공간에서의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를 현실 공간의 천정면으로 분류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특정 요소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flat type)이고, 해당 공간에서의 중간 정도(즉, 바닥과 천정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를 현실 공간에 설치된 책상면 또는 테이블면으로 분류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특정 요소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flat type)이고, 해당 공간에서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되, 해당 공간의 벽면에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를 현실 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선반으로 분류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상기와 같은 현실 공간의 분석 결과 정보 및 사용자의 제1 위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3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비교 대상 물품 중 제2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3D 모델링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S350).
구체적으로, 전술한 S3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위치의 3차원 좌표값이 현실 공간의 특정 요소(예를 들면, 책상면 또는 테이블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동일한 특정 요소에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즉, 제1 위치와 Z축 상의 좌표는 동일하며, X축 또는 Y축 중 책상면의 가로 방향에 해당하는 축 상으로 제1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제1 물품 이미지의 가로 방향으로의 폭] 만큼 이격된 지점)을 제2 위치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강 현실을 통해 제1 물품 이미지와 제2 물품 이미지를 동시에 비교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전술한 S3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위치의 3차원 좌표값과 동일한 좌표값으로 제2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위치에 제1 물품 이미지와 제2 물품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교번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물품을 연속적으로 비교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제2 물품 이미지에 대해 전술한 S350 단계에서 결정된 제2 위치 정보(즉,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서의 3차원 좌표값)와 함께 제2 물품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S360).
이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2 물품 이미지를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서의 제2 위치에 추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증강 현실을 통해 복수의 물품 이미지를 상호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340 단계에서의 현실 공간 분석, 및 전술한 S350 단계에서의 제2 위치 결정 과정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실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술한 S320 단계에서 생성된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와 사용자의 제1 위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술한 S310 단계에서 제1 물품 이미지와 함께 수신하거나, 전술한 S36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2 물품 이미지를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 상에서의 제2 위치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3차원 좌표값이 동일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2 물품 이미지의 화면 출력을 보류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비교 물품 보기'와 같은 선택용 아이콘을 표시한 다음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화면 상에서 터치하여 선택한 경우에 제1 물품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삭제하고 제2 물품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물품 이미지와 동일한 현실 공간 상의 위치에서 제2 물품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물품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교 물품 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2 물품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삭제하고 제1 물품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한 복수의 물품 이미지의 교번 출력 주기(예를 들면, 3초)에 따라 복수의 물품 이미지를 동일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비교 물품 보기' 아이콘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 설치된 제1 위치가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지 않게 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1 물품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삭제하고 제2 물품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이후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역에 제2 위치가 포함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2 물품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증강 현실에서의 제1 물품의 설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전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제1 물품 이미지를 터치하여 선택함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환형 화살표를 따라 제1 물품 이미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물품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인 제1 방향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S370).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제1 방향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제2 물품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인 제2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S39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제1 물품의 설치 방향인 제1 방향(예를 들면, 수평면 상에서 우측으로 90도 회전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예를 들면, 수평면 상에서 좌측으로 90도 회전된 방향)으로 제2 물품의 설치 방향인 제2 방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전술한 S36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 제2 물품 이미지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제2 방향에 따라 회전 처리한 후, 전술한 S350 단계에서 결정된 제2 위치의 3차원 좌표값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S395).
이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2 물품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물품에 대해 자신이 선택한 설치 방향과 동일한 방향(또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제2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390 단계에서의 제2 물품의 설치 방향 결정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실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술한 S370 단계에서의 제1 물품에 대한 설치 방향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술한 S310 단계, S360 단계 또는 S395 단계에서 수신한 제2 물품 이미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결정한 제2 방향으로 회전 처리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물품에 대해 자신이 선택한 설치 방향과 동일한 방향(또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제2 물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상호 관계(예를 들면,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 등)에 대한 설정값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제1 방향 선택 정보와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상호 관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32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물품 이미지의 고정 위치 선택과 함께 제1 물품의 설치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S33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1 위치 선택 정보와 함께 제1 방향 선택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전술한 S350 단계에서 제2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제2 물품의 설치 방향(즉, 제2 방향)을 결정하고, 제2 물품 이미지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제2 방향에 따라 회전 처리한 후, 제2 물품 이미지의 고정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좌표값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 처리된 제2 물품 이미지를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서의 제2 위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증강 현실을 통해 복수의 물품을 자신이 선택한 위치 및 방향에서 상호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설치되거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단계들(S300~S395)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300~S395)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서비스 제공 서버,
210: 수신부, 230: 저장부,
250: 판단부, 270: 수신부.

Claims (4)

  1. (a) 서비스 제공 서버가,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현실 공간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현실 공간을 분석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현실 공간의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f)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물품 이미지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물품 이미지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물품 이미지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성한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는 상기 제1 위치의 3차원 좌표값이 연관 저장되어 있는 것인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3.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가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한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1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현실 공간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현실 공간을 분석하고, 상기 현실 공간의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기반 물품 이미지 중 제2 물품 이미지가 고정되는 현실 공간에서의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물품 이미지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물품 이미지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물품 이미지의 증강 현실에서의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성한 현실 공간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는 상기 제1 위치의 3차원 좌표값이 연관 저장되어 있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230021713A 2023-02-17 2023-02-17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61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713A KR102612784B1 (ko) 2023-02-17 2023-02-17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713A KR102612784B1 (ko) 2023-02-17 2023-02-17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784B1 true KR102612784B1 (ko) 2023-12-12

Family

ID=8915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713A KR102612784B1 (ko) 2023-02-17 2023-02-17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7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51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 공간에 필요한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97224A (ko) * 2020-02-11 2020-08-18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판매 및 구매 장치
KR20220104870A (ko) * 2021-01-19 2022-07-26 강석진 사용자 단말기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가구 배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51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 공간에 필요한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97224A (ko) * 2020-02-11 2020-08-18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판매 및 구매 장치
KR20220104870A (ko) * 2021-01-19 2022-07-26 강석진 사용자 단말기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가구 배치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진홍. AR, 쇼핑과 눈 맞추다. 이코노믹 리뷰. [online], 2019년 10월 9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139B2 (en) Virtualizing objects using object models and object position data
US10579134B2 (en) Improving advertisement relevance
US20190236846A1 (en) Markerless image analysis for augmented reality
US20150170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hree-Dimensional Location on a Two-Dimensional Display
US20200098123A1 (en) Augmented Reality Digital Content Search and Sizing Techniques
US201601714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managing enterprise systems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to measur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mobile electronic device operators
US10709265B2 (en) Interactive display case
US10455181B2 (en) Cross-device information exchange via web browser
US10445807B1 (en) Enhanced customer shopping experience in physical store locations
US20140149158A1 (en) Retail math optimization
US201403659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managing enterprise systems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13095416A1 (en) Interactive streaming video
US20190294879A1 (en) Clickless identification and online posting
CN112200631B (zh) 一种行业分类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
US201702280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JP2016218821A (ja) 販売情報利用装置、販売情報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95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hree-dimensional location on a two-dimensional display
WO201615442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multi-display collaboration environment
KR102612784B1 (ko) 증강 현실 기반의 물품 이미지 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WO201515955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5808259A (zh) 视图元素动态配置响应事件的方法及移动终端和服务器
WO2021213457A1 (zh) 数据处理方法、系统、空间及设备
US20160342923A1 (e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CN109960562A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33637B1 (en) Dynamic placement of advertisements for present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