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43B1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2243B1 KR102612243B1 KR1020220120568A KR20220120568A KR102612243B1 KR 102612243 B1 KR102612243 B1 KR 102612243B1 KR 1020220120568 A KR1020220120568 A KR 1020220120568A KR 20220120568 A KR20220120568 A KR 20220120568A KR 102612243 B1 KR102612243 B1 KR 102612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et
- key
- user
- integrated
- blockchain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지갑 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지갑 및 상기 제1 지갑과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제2 지갑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지갑 및 상기 제2 지갑을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 키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NFT 거래 시 다양한 지갑을 통한 편리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지갑 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화폐의 계좌 간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IT 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종래의 오프라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발전된 IT 기술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다변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시장도 IT 기술을 통해 온라인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은행이나 금융사를 통한 금융활동 방식에서 탈 중앙화를 통해 중앙 서버 없이 상호 자산을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 거래를 하는 p2p(peer to peer) 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다.
중앙 집중형의 금융 서비스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복잡한 연산과 노드간 통신의 도구로 IT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의 팬데믹 사태 이후 비대면 서비스들의 증가는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간의 벽을 낮추는 계기가 되었으며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메타버스 환경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디지털 자산들이 NFT(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 토큰)라는 새로운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도록 한다.
NFT는 디지털자산에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대체 불가한 고유값을 생성함으로써 반복 생산이 가능한 디지털자산에 희소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자산들이 고유의 가치에 따라 메타버스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NFT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디지털 자산의 거래는 이더리움을 통한 경매방식 외에도 클레이튼, 폴리곤, 솔라나 등의 다양한 가상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소규모 거래소들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사용가능한 가상화폐의 증가는 NFT의 거래 방식에 다양성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으나 토큰의 보관과 관리가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다. 토큰의 다양성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특허 (한국공개특허 10-2019-0143106 (2019.12.30))는 상장코인 뿐만 아니라 비상장코인에 대한 차등적 가치산정 방법을 제안하며, 가상화폐를 실물경제에서의 거래 결제수단으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NFT 거래 시 다양한 지갑을 통합한 결제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가상화폐를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지갑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지갑을 통한 거래 시 거래 증명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지갑 및 상기 제1 지갑과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제2 지갑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지갑 및 상기 제2 지갑을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 키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갑은 메인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갑은 메인 네트워크에서 파생된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대한 거래 요청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포함된 대체 불가 토큰의 발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갑은 이더리움(Ethereum)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갑은 클레이튼(Klaytn)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거래 주체의 확인을 위한 KYC(Know Your Customer)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서버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제1 지갑 및 상기 제1 지갑과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제2 지갑의 정보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제1 지갑 및 상기 제2 지갑을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 키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키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통합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NFT 거래 시 다양한 지갑을 통한 편리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NFT의 가치를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가상화폐를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지갑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FT를 통해 거래되는 디지털 자산의 원본 증명을 통합 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이 적용되는 NFT 거래 플랫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거래 플랫폼의 결제 토큰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을 위한 종래의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7은 종래의 가상화폐 계좌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을 위한 통합 키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이 적용되는 NFT 거래 플랫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거래 플랫폼의 결제 토큰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을 위한 종래의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7은 종래의 가상화폐 계좌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 연동을 위한 통합 키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지갑의 연동을 통한 NFT 거래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NFT를 거래하는 사이트 또는 사이트와 연동하여 운영될 수 있으며, NFT 거래 사이트에서 운영하는 거래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를 승인하기 위해 계좌를 조회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정보 기반으로 생성된 통합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각 지갑에 대한 가상화폐를 조회하고 거래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NFT는 메타버스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디지털자산의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디지털자산을 발행하는 수단으로써 가상화폐들 자체의 가치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저작물의 저작권자는 기존의 이더리움 외에도 트랜잭션 수수료, 개발의 용이성, 블록 생성 시간들을 고려하여 수익화에 유리한 플랫폼을 선택하여 저작물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자산의 발행에 사용가능한 가상화폐의 증가는 NFT의 거래 방식에 다양성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으나 이를 구매하는 측면에서 사용 복잡성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특정 디지털자산의 구매를 위해 복수의 지갑 중에서 발행된 토큰을 보관하는 지갑으로 일일이 로그인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결제가 지연됨으로써 경매의 낙찰 또는 계좌의 오입력을 통해 토큰을 잘못 전송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버(300)는 사용자(10)의 제1 지갑 및 상기 제1 지갑과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제2 지갑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세계 최대 디지털 자산의 거래 플랫폼인 오픈씨(https://opensea.io/)의 경우 저작물 각각에 부여된 가치에 따라 사용자(10)들이 디지털 자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작자는 오픈씨에서 지원하는 토큰 중 발행하고자 하는 토큰을 선택하여 발행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저작물들을 디지털 자산화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원하는 저작물을 선택하고, 저작물에 대응되는 토큰을 보관하고 있는 지갑을 선택하여 로그인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오픈씨와 같은 NFT 전용 거래 사이트에서 사용자(10)는 디지털 자산들의 내용과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들을 직접 확인하고 해당 가격에 맞는 블록체인 통화를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디지털 저작물을 메타버스와 같은 온라인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기반으로 발행된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사용자(10)는 자신의 이더리움 토큰을 보관하고 있는 지갑 계정을 로그인 하고, 토큰을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거래 플랫폼 내에는 다양한 수단으로 발행된 저작물들이 동시에 판매되고 있으므로 사용자(10)는 이더리움 기반의 저작물을 구매 후 다른 저작물의 거래를 원하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한 토큰에 대응되는 지갑을 통해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10)는 이더리움 기반의 'Bastad Gan Punks v2 #11134”(42) 구매 후 클레이튼 기반으로 발행된 메타콩즈(44)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클레이튼을 보유하고 있는 지갑 계정으로 재로그인할 필요가 있다.
오픈씨는 다양한 지갑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이트 내에서 직접 지원하고 있으며 도 5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10)는 이더리움 기반의 결제를 수행하다가 특정 디지털 자산을 구매하기 위해서 클레이튼을 보유하고 있는 지갑(54)으로 전환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다만, 경매 방식으로 거래되는 디지털 자산들은 저작물의 희소 가치에 따라 보다 빠르게 거래를 요청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10)는 해당 통화를 보유하고 있는 계좌로 신속하게 로그인하여 거래를 체결할 필요가 있다.
즉,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중앙집중의 거래 방식에서 탈피하고자 고안된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가 토큰 자체의 가치 증대로 다양한 토큰의 출현을 야기시키며 이에 따른 불편함을 새롭게 초래하고 있다.
오픈씨와 같은 거대 플랫폼에서는 도 5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거래를 지원하는 지갑의 종류를 확장하고 있으나 각 지갑 별로 인증을 수행해야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위하여 다수의 지갑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갑 및 상기 제2 지갑을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 키와 사용자(10)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키를 생성한다(S200).
이때 제1 지갑은 메인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토큰들을 저장하는 수단일 수 있다.
반면 제2 지갑은 메인 네트워크에서 파생된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으로 예를 들어 클레이튼을 저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갑들을 하나의 통합 키로 관리함으로써 통합 인증을 통해 다수의 지갑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에서 운용되는 토큰들을 저장하는 각각의 지갑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갑 내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계좌 주소의 생성 과정으로부터 통합 키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가상화폐를 보관하는 사용자(10)의 계좌는 각각의 개인키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기초로 계좌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이더리움 주소의 경우 사용자(10)의 개인키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Keccak256이라는 해시합수를 통해 해싱하고, 해싱값으로부터 추출된 특정 바이트값에 버전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공개키를 통해 생성된 계좌 주소로 가상화폐를 송금할 수 있도록 하되 계좌 주소에 저장된 가상화폐를 통한 거래를 위해서는 자신의 개인키를 관리하는 지갑 계정에 로그인할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로그인 후 가상화폐를 통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비트코인의 경우 이더리움과 다른 방식의 해시함수로 더블 해싱을 통해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각 코인들은 모두 공개키를 이용하여 해시값을 계좌 주소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10)의 계좌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사용자(10)가 이용하는 계좌 주소를 생성하는 데 기초가 되는 공개키를 기반으로 통합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공개키는 비밀키와 달리 외부에 공개된 상태이므로 누구나 접근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10)가 보유하는 또는 통합하고자 하는 계좌 주소의 조합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공개키의 조합을 해싱함으로써 사용자(10) 고유의 통합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싱을 위한 각각의 공개키들은 비밀키에 대응하는 희소성을 가지므로 공개키의 조합 역시 희소성을 가지게 되며 동일한 코인의 게좌를 동일한 순서로 통합하더라도 사용자(10)를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10)의 추가적인 정보로서 계정정보를 해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10) 정보와 제1 내지 제2 공개키를 통합하여 해싱함으로써 통합 키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서버(300)는 사용자(10)가 통합하고자 하는 지갑의 공개키를 해시함수에 임력함으로써 통합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통합키가 기준 크기를 갖도록 해시값의 일부 바이트만을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합하고자 하는 공개키의 개수에 따라 추출되는 바이트를 조절할 수 있다.
공개키의 조합의 경우 수와, 공개키의 개수에 따라 추출되는 바이트의 비율은 외부에 유출되지 않으므로 통합 키는 사용자(10)의 결제를 위해서만 이용될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통합 키에 이용된 공개키를 기반으로 서버(300)는 해당 지갑으로 로그인함으로써 거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합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한다(S300).
서버(300)는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거래 요청 정보를 사용자(10)로부터 수신하고, 통합 키를 기초로 거래 요청 정보에 포함된 대체 불가 토큰의 발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식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통합 키는 사용자(10) 정보를 포함하며 이용된 사용자(10) 정보는 거래 주체의 확인을 위한 KYC(Know Your Customer)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있다.
이를 통해 통합 키 기반의 결제와 함께 디지털 자산의 거래 증명을 수행함으로써 거래와 거래의 증명을 일원화된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키를 통한 거래의 증명을 위한 별도의 통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함으로써 통합 키 중심의 신원인증을 통해 거래를 증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통합키 기반의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를 일 노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합 토큰으로 관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통합 거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상에서 지원하는 노드로서 각각의 서버(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 중 하나 이상은 범용 컴퓨팅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되며 따라서 프로세서(processor)(308), 입출력 I/O(302), 메모리 장치(memory)(304), 인터페이스(interface)(306), 스토리지(312) 및 버스(314, bus)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8), 입출력 I/O(302), 메모리 장치(304), 스토리지(312) 및/또는 인터페이스(306)는 버스(314)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314)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I/O 장치(302)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304)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6)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6)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10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 장치(304)는 프로세서(308)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메모리로서, 고속의 디램 및/또는 에스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의 스토리지(312)는 여기에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모듈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구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연동 방법의 선택된 양태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304)는 스토리지(312)에 저장된 상술한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고 프로세서가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NFT 거래 시 다양한 지갑을 통한 편리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NFT의 가치를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가상화폐를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지갑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 모듈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고, 제어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지갑 및 상기 제1 지갑과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제2 지갑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지갑 및 상기 제2 지갑을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 키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대한 거래 요청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갑의 식별 키의 생성에 이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공개키 및 상기 제2 지갑의 식별 키의 생성에 이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공개키를 조합하여 해싱하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상기 조합의 경우의 수 및 상기 통합 키가 기준 크기를 갖도록 상기 조합되는 공개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 상기 해싱된 해시 값에서 추출되는 바이트 비율로 통합키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합 키를 기초로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대체 불가 토큰의 발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갑은 메인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갑은 메인 네트워크에서 파생된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갑은 이더리움(Ethereum)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갑은 클레이튼(Klaytn)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거래 주체의 확인을 위한 KYC(Know Your Customer)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제1 지갑 및 상기 제1 지갑과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제2 지갑의 정보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제1 지갑 및 상기 제2 지갑을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 키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키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통합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 및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대한 거래 요청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키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지갑의 식별 키의 생성에 이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공개키 및 상기 제2 지갑의 식별 키의 생성에 이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공개키를 조합하여 해싱하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상기 조합의 경우의 수 및 상기 통합 키가 기준 크기를 갖도록 상기 조합되는 공개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 상기 해싱된 해시 값에서 추출되는 바이트 비율로 통합키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생성된 통합 키를 기초로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대체 불가 토큰의 발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갑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0568A KR102612243B1 (ko) | 2022-09-23 | 2022-09-23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KR1020230175094A KR20240041856A (ko) | 2022-09-23 | 2023-12-06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0568A KR102612243B1 (ko) | 2022-09-23 | 2022-09-23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5094A Division KR20240041856A (ko) | 2022-09-23 | 2023-12-06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2243B1 true KR102612243B1 (ko) | 2023-12-11 |
Family
ID=89162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0568A KR102612243B1 (ko) | 2022-09-23 | 2022-09-23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KR1020230175094A KR20240041856A (ko) | 2022-09-23 | 2023-12-06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5094A KR20240041856A (ko) | 2022-09-23 | 2023-12-06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1224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1765A (ko) * | 2018-08-21 | 2020-03-02 | 코나아이 (주) | 가상 화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101211A (ko) *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체인의 전자 서명 서비스 방법 |
KR20200112613A (ko) * | 2019-03-22 | 2020-10-05 | 김재철 | 다중 블록체인내에서 상호연동 기술이 적용된 암호화폐의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시스템 |
KR20200112089A (ko) * | 2019-03-20 | 2020-10-05 |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 오픈뱅킹 환경에서의 개방형 인증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
KR20220115571A (ko) * | 2019-12-18 | 2022-08-17 | 티제로 아이피, 엘엘씨 | 코인 결제를 통한 고객 확인 절차, 공인 투자자 검증의 갱신, 및 요금 모니터링에 대한 계정 소유자의 자금 조달 |
-
2022
- 2022-09-23 KR KR1020220120568A patent/KR102612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2-06 KR KR1020230175094A patent/KR2024004185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1765A (ko) * | 2018-08-21 | 2020-03-02 | 코나아이 (주) | 가상 화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101211A (ko) *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체인의 전자 서명 서비스 방법 |
KR20200112089A (ko) * | 2019-03-20 | 2020-10-05 |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 오픈뱅킹 환경에서의 개방형 인증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
KR20200112613A (ko) * | 2019-03-22 | 2020-10-05 | 김재철 | 다중 블록체인내에서 상호연동 기술이 적용된 암호화폐의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시스템 |
KR20220115571A (ko) * | 2019-12-18 | 2022-08-17 | 티제로 아이피, 엘엘씨 | 코인 결제를 통한 고객 확인 절차, 공인 투자자 검증의 갱신, 및 요금 모니터링에 대한 계정 소유자의 자금 조달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메타마스크 지갑이랑 카이카스 지갑 연동(연결)하는 방법:NFT 민팅 클레이튼 코인(2022.04.08.)*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1856A (ko) | 2024-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64350B2 (ja) | 仮想通貨の交換と評価のための方法 | |
US202000200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ryptocurrency trading | |
EP4020358A1 (en) | Cryptocurrency payment network | |
Shakila et al. | A decentralized marketplace application based on ethereum smart contract | |
Nagpal | Cryptocurrency: The revolutionary future money | |
Yusof et al. | Implementation of zakat payment platform for cryptocurrencies | |
KR102205765B1 (ko) | 통합 암호화폐 보관 및 보안강화를 위한 월렛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2612243B1 (ko) | 가상화폐 지갑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
US202201568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container sequencing | |
US2018034998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transaction produc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at interacts with both a transac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s network | |
KR102645868B1 (ko) |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 |
KR20210051460A (ko) |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안전거래 중개시스템 및 방법 | |
US20230146474A1 (en) | Purchase and transfer of cryptocurrency without preexisting wallets | |
TWI694398B (zh) | 基於區塊鏈的數位通令交易系統及方法 | |
KR102226305B1 (ko) | 암호화폐 기반 차용 계약 중개 방법 및 장치 | |
CA3064880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alue unit conversion and utilization | |
KR102288999B1 (ko) | 암호화폐 전자지갑의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
US20230069875A1 (en) | Self-custody wallet combination payment card for payment card network and blockchain transactions | |
KR102313814B1 (ko)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p2p 외환 직거래 중개 장치 | |
KR102269083B1 (ko) | 암호 화폐를 이용한 실시간 거래 방법 | |
Ahmed et al. | Decentralized Finance and Crypto Banking System Using Ethereum-based Blockchain Technology | |
US2022020752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private key transaction within blockchain | |
US20230153770A1 (en) | Digital currency | |
Nabi | Analytic Study on Android-based Crypto-Currency Wallets | |
Baffa et al. | Cryptocurrencies from Islamic Perspectiv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