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518B1 -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518B1
KR102611518B1 KR1020220082278A KR20220082278A KR102611518B1 KR 102611518 B1 KR102611518 B1 KR 102611518B1 KR 1020220082278 A KR1020220082278 A KR 1020220082278A KR 20220082278 A KR20220082278 A KR 20220082278A KR 102611518 B1 KR102611518 B1 KR 10261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me
control device
air do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숙
한민덕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어 filed Critical (주)아이에어
Priority to KR102022008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518B1/en
Priority to KR1020230172510A priority patent/KR20240005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15/2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supported by air pressure inside the 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1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with or without tent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6Details of inflation devices, e.g. valves, connections to fluid pressure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으로서, 공기에 의해 벽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온도 조절 장치, 환기 장치, 습도 조절 장치, 및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에어돔; 및 상기 에어돔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에어돔 장치를 동작시키는 IoT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which includes an air dome that forms a wall with air to provide an internal space, and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 ventilation device, a humidity control device, and a crop cultivation assistance device; And it may include an IoT control device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air dome and operates the air dome device.

Description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Farm air dome system with cooling function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equipped with a cooling function.

에어돔은 고정된 건축시설물 대신 단기의 공사 기간 및 저렴한 건축비로 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돔은 체육시설, 물류창고, 전시장, 유리온실, 가축사육시설 및 농작물재배시설로 사용될 수 있다.Air domes can provide facilities with a short construction period and low construction costs instead of fixed building facilities. Air domes can be used as sports facilities, logistics warehouses, exhibition halls, glass greenhouses,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and crop cultivation facilities.

에어돔은 일체형으로 설치되므로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이에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냉난방을 위한 공조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외부와 단절로 환기가 쉽지 않은 면이 있다.Since the air dome is installed as one piece, it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cooling and heating is needed to raise o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Additionally, ventilation is not easy due to the isolatio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은 공기에 의해 벽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온도 조절 장치(22), 환기 장치(23), 습도 조절 장치(24), 및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25)를 구비하는 에어돔(20); 상기 에어돔(2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130), 및 상기 에어돔(20)에 구비된 장치들인 에어돔 장치를 동작시키는 장치 동작부(120)를 구비하는 IoT 제어 장치(10); 및 상기 에어돔(20)에 구비된 장치를 시간별로 구동되도록 스케줄링된 구동 정책을 상기 IoT 제어 장치(10)에 제공하고, 상기 센서부(130)의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구동 정책과 다르게 상기 에어돔 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IoT 제어 장치(10)으로 송신하는 모니터링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al space by forming a wall with air, and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a ventilation device 23, and a humidity control device 24. ), and an air dome (20) equipped with a crop cultivation auxiliary device (25); An IoT control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130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air dome 20, and a device operation unit 120 that operates the air dome device, which is a device provided in the air dome 20. (10); And providing the IoT control device 10 with a scheduled driving policy to drive the devices provided in the air dome 20 by time, and monitor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130 to differ from the driving policy. It may include a monitoring device 40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at causes the air dome device to operate to the IoT control device 10.

또한,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외부막(210) 및 내부막(220) 사이의 벽체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22)는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 및 상기 벽체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ll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film 210 and the inner film 220 forming the wall,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can provid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inner space and the wall space. there is.

또한, 상기 에어돔(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22)는 상기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공기 주입 장치(21)의 흡입구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ir injection device 21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dome 2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provid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inlet of the air injection device 21. You can.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22)는 상기 온도 조절된 공기를, 지면 유출관(24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고,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provid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ground outlet pipe 240,

또한, 상기 지면 유출관(240)은 지면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된 관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ound outlet pipe 240 may be a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ground.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22)는, 지하수 펌프(250)를 통해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열 교환관(260); 상기 열 교환관(260)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팬(285); 및 상기 열 교환관(260)을 통과한 온도 조절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필터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includes a heat exchange pipe 260 through which ground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groundwater pump 250; A fan 285 that supplies external air to the heat exchange pipe 260; and a filter unit 290 that purifies and discharg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tube 260.

또한, 상기 벽체는 내외부가 연통되는 돔 개구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ll may be provided with a dome opening 310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또한,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 중 제1 벽체 튜브(311)는 상기 돔 개구부(310)를 형성되도록 하는 일부이고, 상기 제1 벽체 튜브(311)의 상기 돔 개구부(310)을 향한 개구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주입 장치(21)에서 주입되는 공기로 팽창되면 상기 돔 개구부(310)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팽창 튜브(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tubes forming the wall, the first wall tube 311 is a part that forms the dome opening 310, and the opening toward the dome opening 310 of the first wall tube 311 I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tube 320 that is coupled to the side end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dome opening 310 when inflated with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device 21.

또한, 상기 팽창 튜브(320)는 팽창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부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pansion tube 320 may have elastic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inner ends that face each other in the expansion direction.

또한, 상기 팽창 튜브(320)는 상기 탄성부(34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벽체 튜브(311) 측의 제1 내부 단부에 결합되는 강화부(3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tube 32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art 335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340 and coupled to the first inner end on the side of the first wall tube 311.

또한, 상기 팽창 튜브(320)는 상기 제2 내부 단부 및 상기 탄성부(340)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단부 측의 형태를 고정되도록 하는 바 형상의 형태 고정 막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tube 3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end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340, and further includes a bar-shaped shape fixing rod 330 to fix the shape of the second inner end side. I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 벽체 튜브(311)는 상기 개구측 단부에 상기 돔 개구부(3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팽창 튜브(320)의 적어도 일부와 탈부착하는 가이드 막(3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all tube 311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rane 315 at the opening end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dome opening 310 and is detachab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tube 320. .

또한,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상기 제1 벽체 튜브(311)와 대면하는 제2 벽체 튜브(312)는 상기 팽창 튜브(320)가 팽창되면 상기 팽창 튜브(320)의 적어도 일부와 탈부착하는 제2 접착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tubes, the second wall tube 312 facing the first wall tube 311 has a second adhesive portion that is detachab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tube 320 when the expansion tube 320 is expanded. (352)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액화하는 응축기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돔 외부에 배치되는 냉동 실외기; 상기 액화된 냉매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기화시킨 후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증발기를 구비하여,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에어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냉동 실내기; 및 상기 냉동 실내기 내부에 배치되어 흡기구을 통해 흡입한 상기 에어돔 내부 공간의 공기를 통과 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상기 에어돔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교환기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nd a condenser for liquefy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includes a refrigerated outdoor unit disposed outside the air dome; an expansion valve that lowers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refrigerant; a refrigerating indoor uni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which has an evaporator that vaporiz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and then sends it to the compressor, thereby maintaining a low temperature; and an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indoor unit to pass the air in the air dome interior space sucked through an intake port and then discharge it into the air dome interior space through an exhaust port.

본 발명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는 에어돔 내부 공간의 냉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지하수를 이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The air dome system for farms equipped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oling and heating of the space inside the air dome, and can cool and heat at low cost using groundwater.

또한, 에어돔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환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a ventil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by forming an opening in the air dome and allowing it to be opened and closed.

도 1은 에어돔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의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의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온도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개폐되는 에어돔 개구부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도 6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2 및 도 3의 온도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front and side views of an air dom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equipped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devices of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shows devices of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ures 2 and 3;
Figure 6 shows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ir dome opening in an open and closed state.
Figures 7 and 8 each show front views of Figure 6 in an open and closed state.
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ures 2 and 3;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on the network are connected or connected means that data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wired or wirelessly.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give any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When thes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omitted and replaced with descrip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의 일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in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components men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perform all the fun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은 에어돔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의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의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온도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개폐되는 에어돔 개구부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도 6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front and side views of an air dom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equipped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devices of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shows devices of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ures 2 and 3; Figure 6 shows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ir dome opening in an open and closed state. Figures 7 and 8 each show front views of Figure 6 in an open and closed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은 에어돔(20), IoT 제어 장치(10), 및 모니터링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equipped with a cooling function may include an air dome 20, an IoT control device 10, and a monitoring device 40.

에어돔(20)은 공기에 의해 벽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돔(20)은 벽체를 형성하는 외부막(210) 및 내부막(220) 사이의 벽체 공간에 일정 공기압이 공급되어 돔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외부막(210)과 내부막(220) 사이 사이에 격벽막이 존재할 수 있다.The air dome 20 can provide an internal space by forming a wall using air. The air dome 20 can maintain its dome shape by supplying a certain air pressure to the wall space between the outer membrane 210 and the inner membrane 220 forming the wall. A partition film may exist between the outer film 210 and the inner film 220.

에어돔(20)의 벽체는 지지력 강화, 수선의 용이성 등을 위해 복수의 튜브(벽체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는 서로 연통되어, 서로 동일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다. 각 튜브는 외부막(210)의 일부, 내부막(220)의 일부, 및 격벽막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ll of the air dome 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ubes (wall tubes) to strengthen support capacity, facilitate repair, etc. The plurality of tub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ame air pressure can be maintained. Each tube may be composed of a portion of the outer membrane 210, a portion of the inner membrane 220, and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rane.

에어돔(20)은 내외부가 연통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일부에는 출입문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dome 20 may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and an entrance door may be formed in at least some of them.

에어돔(20)은 공기 주입 장치(21), 온도 조절 장치(22), 환기 장치(23), 습도 조절 장치(24), 및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25)를 구비할 수 있다.The air dome 20 may be equipped with an air injection device 21,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a ventilation device 23, a humidity control device 24, and a crop cultivation assistance device 25.

에어돔(20)의 다양한 장치(이하, '에어돔 장치')인 온도 조절 장치(22), 환기 장치(23), 습도 조절 장치(24), 및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25)들은 임의의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에어돔 장치들 중 일부는 에어돔(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외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 장치(22)는 일부는 내부 공간에 열교환기(실외기)와 같은 다른 일부는 에어돔(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the ventilation device 23, the humidity control device 24, and the crop cultivation auxiliary device 25, which are various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dome devices') of the air dome 20, can be installed in any location. can be placed in Although some of the air dome devices are shown in FIGS. 3 and 4 as being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ir dome 20 and others as being placed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par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may be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and par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such as a heat exchanger (outdoor unit), may be placed outside the air dome 20.

공기 주입 장치(21)는 에어돔(2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기 주입 장치(21)은 외부막(210) 및 내부막(220) 사이의 벽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벽체가 복수의 벽체 튜브로 구성된 경우, 공기 주입 장치(21)는 복수의 벽체 튜브 전체에 일정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device 21 can inject air into the air dome 20. The air injection device 21 may inject air into the wall space between the outer membrane 210 and the inner membrane 220. When the wal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ll tubes, the air injection device 21 can inject air to maintain a constant air pressure throughout the plurality of wall tubes.

공기 주입 장치(21)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device 21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not shown) for sucking in external air.

온도 조절 장치(22)는 에어돔(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온도를 올려주기 위한 난방기, 및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냉방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난방기는 화석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또는 지중저수열을 이용한 난방시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냉방기는 일반적인 에어콘이나 지하수를 이용하여 낮은 온도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air dome 20 and may include a heat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and an air conditioner to decrease the temperature. The heater may be composed of a boiler using fossil fuel or a heating facility using underground water heat. Air conditioners can provide low temperature air using regular air conditioners or groundwater.

온도 조절 장치(22)의 배출관이 에어돔(20)의 벽체를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Although the discharge pip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is shown as passing through the wall of the air dome 20, this

환기 장치(23)는 에어돔(2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에어돔(20)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교환할 수 있다. 환기 장치(23)는 에어돔(20)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 및 외부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흡입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23 can exchange the air of the air dome 20 with external air by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air dome 20 or introducing external air. The ventilation device 2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haust fan that exhausts air from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20 to the outside and an intake fan that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inner space.

환기 장치(23)은 에어돔(20)의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 자체일 수 있다. 환기 장치(23)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23 may b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air dome 20. The ventilation device 23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환기 장치(23)는 온도 조절 장치(22)에 연계되어 생략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23 may be omitted in conjunction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습도 조절 장치(24)는 에어돔(2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습도 조절 장치(24)는 습도를 올려주기 위한 가습기 및 습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제습기를 구비할 수 있다. 환기 장치(23)는 온도 조절 장치(22)와 연계될 수 있다.The humidity control device 24 can control the humidity inside the air dome 20. The humidity control device 24 may be equipped with a humidifier to increase humidity and a dehumidifier to reduce humidity. The ventilation device 23 may be associat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25)는 에어돔(20)이 농작물 재배 시설로 기능할 때,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25)는 급수 장치, 양액 공급 장치, 및 산소 농도 조절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assistance device 25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crop cultivation when the air dome 20 functions as a crop cultivation facility. The crop cultivation assistance device 25 may be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device, a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and an oxygen concentration control device.

급수장치는 에어돔(20)에서 생육되는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급수가 수용되는 탱크, 탱크에 수용된 물을 펌핑하는 모터 및 모터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공급하는 분사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is a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crops growing in the air dome 20, and may include a tank for receiving water, a motor for pump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and a sprayer for supplying water pumped by the motor. You can.

양액 공급 장치는 에어돔(20)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양액의 공급속도 및 양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is a device that can supply nutrient solution to crops grown in the air dome 20, and may be equipped with a motor to control the supply speed and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산소 농도 조절 장치는 에어돔(20) 내부의 산소를 포집하여 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공기 중의 산소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기에서 분리된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The oxygen concentration control device is a device that collects oxygen inside the air dome 20 and controls the oxygen concentration. It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or that separates oxygen in the air and an oxygen storage tank that stores the oxygen separated in the separator.

IOT 제어장치(10)는 제어부(110), 장치 동작부(120), 센서부(130), 표시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T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device operation unit 120, a sensor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장치 동작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된 기준 제어 명령에 따라 에어돔(20)의 다양한 장치(에어돔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동작부(120)는 에어돔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하거나, 그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device operation unit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air dome devices) of the air dome 20 according to the reference control command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0. The device operating unit 120 can turn on/off the operation of the air dome device or control its output.

센서부(130)는 에어돔(20) 내부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에어돔(20) 내부 공간의 온도값, 습도값, 산소 농도값, 이산화탄소 농도값, 조도값, 농작물에 공급되는 양액의 공급속도값 및 공급양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The sensor unit 130 can detect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side the air dome 20.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oxygen concentration valu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illuminance value, and supply rate value and supply amount valu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rops, of the space inside the air dome 20. There is no limitation.

저장부(150)는 제어부(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모니터링 장치(40)에서 제공되는 구동 정책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10, and may also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the driving policy provided by the monitoring device 40.

표시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환경 정보 및 구동 정책에 따른 시간 스케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에어돔(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environment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30 and time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polic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The display unit 140 may be placed inside the air dome 20.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IOT 제어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중앙처리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can typical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OT control device 1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The control unit 110 can be interpreted as a microcontroller or central processing unit.

IoT 제어 장치(10)는 모니터링 장치(4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control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device 40.

모니터링 장치(40)는 IoT 제어 장치(10)에 에어돔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에어돔(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0)는 이동 단말기, 피씨(PC), 및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monitoring device 4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IoT control device 10 to control the air dome device and monitor the status of the air dome 20. The monitoring device 40 may be any one of a mobile terminal, a PC, and a server.

모니터링 장치(40)는 에어돔 장치를 시간별로 구동되도록 스케줄링된 구동 정책을 IoT 제어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0)는 센서부(130)의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구동 정책과 다르게 에어돔 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IoT 제어 장치(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구동 정책은 IoT 제어 장치(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monitoring device 40 may provide the IoT control device 10 with a scheduled driving policy to drive the air dome device by time. The monitoring device 40 may monitor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130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that causes the air dome device to be driven differently from the driving policy to the IoT control device 10. The driving policy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IoT control device 10.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2)는 온도 조절된 공기를 에어돔(20)의 내부 공간 이 외에, 외부막(210) 및 내부막(220) 사이의 벽체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can provid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wall space between the outer membrane 210 and the inner membrane 220, in addition 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20.

내부막(220)는 막 유출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조절된 공기, 예를 들어, 냉방 공기는 벽체 공간 내부를 통과한 후, 막 유출홀(230)을 통해 에어돔(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inner membrane 220 may have a membrane outlet hole 230. Temperature-controlled air, for example, cooling air,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wall space and then be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20 through the membrane outlet hole 230.

온도 조절 장치(22)의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2)는 온도 조절된 공기를 공기 주입 장치(21)의 흡입구(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주입 장치(21)는 흡입구를 통해 공급 받은 냉방 공기를 벽체 공간에 주입하고, 벽체 공간에 주입된 냉방 공기는 막 유출홀(230)을 통해, 에어돔(2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may provid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an inlet (not shown) of the air injection device 21. The air injection device 21 injects cooling air supplied through the intake port into the wall space, and the cooling air injected into the wall space can be deliver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dome 20 through the membrane outlet hole 230. there is.

도 4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2)의 냉방 공기의 내부 공간에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로, 온도 조절 장치(22)는 온도 조절된 공기를, 지면 유출관(240)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면 유출관(240)은 지면을 통해 내부 공간과 연통된 관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another embodiment of providing cooled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supplies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ground outlet pipe 240. It can be provided as . The ground outlet pipe 240 may be a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ground.

도 5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2)는 열교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열교환 장치는 지하수 펌프(250)를 통해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열 교환관(260); 열 교환관(260)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팬(285); 및 열 교환관(260)을 통과한 온도 조절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필터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열 교환관(260), 팬(285), 및 필터부(290)는 열교환 장치 케이스(28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may include a heat exchange device. The heat exchange device includes a heat exchange pipe (260) through which ground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groundwater pump (250); A fan (285)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heat exchange pipe (260); and a filter unit 290 that purifies and discharg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tube 260. The heat exchange tube 260, fan 285, and filter unit 29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eat exchange device case 280.

지하수 펌프(250)는 지하수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지하수는 여름에는 기온 보다 낮은 온도이고, 겨울에는 기온 보다 높은 온도이므로, 열 교환관(26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여름에는 온도가 하강되며, 겨울에는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The groundwater pump 250 can suck in and discharge groundwater. Since groundwater ha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air temperature in the summer and higher than the air temperature in the wint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260 may decrease in the summer and increase in temperature in the winter.

열 교환관(260)을 통과한 물은 배출관(27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배출된 물은 습도 조절 장치(24)에서 가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26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70.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charged water may be used for humidification in the humidity control device 24.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돔(20)은 개폐될 수 있는 창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창문은 환기 장치(23)로 기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6 to 8, the air dome 20 may be provided with a window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se windows can function as ventilation devices (23).

에어돔(20)의 벽체는 내외부가 연통되는 돔 개구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ll of the air dome 20 may be provided with a dome opening 310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 중 제1 벽체 튜브(311)는 돔 개구부(310)를 형성되도록 하는 일부일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tubes forming the wall, the first wall tube 311 may be a part that forms the dome opening 310.

에어돔(20)은 팽창 튜브(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dome 20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tube 320.

팽창 튜브(320)는 제1 벽체 튜브(311)의 돔 개구부(310)을 향한 개구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팽창 튜브(320)가 공기 주입 장치(21)에서 주입되는 공기로 팽창되면, 팽창 튜브(320)는 돔 개구부(310)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튜브 공기 주입부(360)는 공기 주입 장치(21)의 압축 공기를 팽창 튜브(320)에 전달할 수 있다. 튜브 공기 주입부(360)가 벽체 내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체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튜브 공기 주입부(360)는 별도의 관이거나, 외부막(210) 또는 내부막(22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pansion tube 320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end of the first wall tube 311 facing the dome opening 310. When the expansion tube 320 is inflated with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device 21, the expansion tube 320 may cl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ome opening 310. The tube air injection unit 360 may deliver compressed air from the air injection device 21 to the expansion tube 320. Although the tube air injection unit 360 is shown as being located inside the wall,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laced outside the wall. The tube air injection unit 360 may be a separate tube or may be formed as part of the outer membrane 210 or the inner membrane 220.

팽창 튜브(320)는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 고정 막대(330), 강화부(335) 및 탄성부(340)을 구비할 수 있다.The expansion tube 320 may include a shape fixing bar 330, a reinforcing part 335, and an elastic part 340 disposed inside.

탄성부(340)는 팽창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부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팽창 튜브(320)가 팽창된 상태에서 돔 개구부(310)을 개방하기 위해 공기를 더 이상 주입하지 않을 경우, 탄성부(340)의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수축력으로 제1 및 제2 내부 단부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부(340)는 팽창 튜브(320)이 도 6(b)에서 도 6(a)의 상태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팽창 튜브(320)는 도 6(a)와 같이, 탄성부(340)에 의해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며, 제1 벽체 튜브(311)의 일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340)는 고무줄이나 용수철일 수 있으며, 하나의 팽창 튜브(320)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34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inner ends that fac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expansion. When air is no longer injected to open the dome opening 310 while the expansion tube 320 is infl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ner ends increases due to the contraction force to return the elastic portion 340 to its original state. You can narrow it down. That is, the elastic portion 340 can allow the expansion tube 320 to return to the state shape shown in FIG. 6(b) to FIG. 6(a). As shown in FIG. 6(a), the expansion tube 320 occupies minimal space due to the elastic portion 340 and may be fixedly placed on one side of the first wall tube 311. The elastic portion 340 may be a rubber band or a spring, and a plurality of elastic portions 340 may be disposed in one expansion tube 320.

강화부(335)는 탄성부(340)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1 벽체 튜브(311) 측의 제1 내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강화부(335)는 벽체 튜브 또는 팽창 튜브(320)을 형성하는 막 대신 탄성부(340)에 연결되어, 막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art 335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340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inner end on the first wall tube 311 side. The reinforcement portion 335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340 instead of the membrane forming the wall tube or expansion tube 320 to prevent the membrane from being damaged.

형태 고정 막대(330)는 제2 내부 단부 및 탄성부(340)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2 내부 단부 측의 형태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형태 고정 막대(330)는 바 형상일 수 있다. 강화부(335)도 바 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fixing bar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end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340, and can fix the shape of the second inner end. The shape fixing bar 330 may have a bar shape. The reinforcement portion 335 may also have a bar shape.

제1 벽체 튜브(311)는 개구측 단부에 돔 개구부(3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팽창 튜브(320)의 적어도 일부와 탈부착하는 가이드 막(3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막(315)는 수축된 팽창 튜브(320)을 수납하는 포켓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막(315)는 일측에 제1 접착부(351)을 구비하여, 팽창 튜브(3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팽탕 튜브 접착부(355)와 탈부착할 수 있다. 제1 접착부(351) 및 팽탕 튜브 접착부(355)는 밸크로, 단추, 지퍼 등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wall tube 311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rane 315 at the opening end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dome opening 310 and is detachab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tube 320. The guide membrane 315 may provide a pocket function to accommodate the deflated expansion tube 320. The guide membrane 315 has a first adhesive portion 351 on one side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expansion tube adhesive portion 35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pansion tube 320. The first adhesive portion 351 and the puffed soup tube adhesive portion 355 may be any of Velcro, buttons, zippers, etc.

복수의 튜브 중 제1 벽체 튜브(311)와 대면하는 제2 벽체 튜브(312)는 팽창 튜브(320)가 팽창되면 팽창 튜브(320)의 적어도 일부와 탈부착하는 제2 접착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접착부(352)는 밸크로일 수 있으며, 팽탕 튜브 접착부(355)와 결합되는 제1 접착부(351)의 일면은 그 타면과 밸크로 결합되어, 미 사용시 둥굴게 말려서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tubes, the second wall tube 312 facing the first wall tube 31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adhesive portion 352 that is detachab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tube 320 when the expansion tube 320 is expanded. You ca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352 may be Velcro, and one side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351 coupled to the puff tube adhesive portion 355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with Velcro, and may be arranged to be rolled up when not in use.

도 9는 도 2 및 도 3의 온도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Figures 2 and 3; See Figures 1 to 4.

도 9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2)는 냉동 실외기(410), 팽창 밸브(430), 냉동 실내기(420), 및 교환기(4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2 may include a refrigerated outdoor unit 410, an expansion valve 430, a refrigerated indoor unit 420, and an exchanger 440.

냉동 실외기(410)는 에어돔(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동 실외기(41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액화하는 응축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frigerated outdoor unit 410 may be placed outside the air dome 20. The outdoor refrigeration unit 410 may be equipped with a compressor (not shown)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a condenser (not shown) that liquefi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팽창 밸브(430)는 상기 액화된 냉매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The expansion valve 430 may expand the refrigerant so that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refrigerant is lowered.

냉동 실내기(420)는 에어돔(20)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냉동 실내기(420)은 팽창 밸브(43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기화시킨 후 압축기로 보내는 증발기(425)를 구비하여,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냉동 실내기(420)의 내부 온도는 영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방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frigerating indoor unit 420 may b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20. The frozen indoor unit 420 is equipped with an evaporator 425 that vaporiz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430 and then sends it to the compressor, so that it can maintain a low temperat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indoor unit 420 is preferably below zero. This is because cool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교환기(440)은 냉동 실내기(4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교환기(440)는 흡기구(450)을 통해 흡입한 에어돔(20) 내부 공간의 공기를 통과 시킨 후, 배기구(455)를 통해 에어돔(20) 내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교환기(440)는 긴 유로를 가지는 파이프일 수 있다. 교환기(440) 내부의 파이프는 표면적을 크게 가지기 위해, 코일 형, 에스자(S) 형, 지그재그 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xchanger 440 may be placed inside the refrigerating indoor unit 420. The exchanger 440 can pass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20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450 and then discharge 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20 through the exhaust port 455. The exchanger 440 may be a pipe with a long flow path. The pipe inside the exchanger 440 may have a coil-type, S-type, or zigzag-type shape in order to have a large surface area.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Implement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i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all types of media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all storable media implemented as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and other data, including volatile/non-volatile/hybrid memory. It is not limited to whether it is a separate type or a non-separable type. Communication storage media includes modulated data signals or transmission mechanisms such as carrier waves, any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um, etc.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oT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장치 동작부 130: 센서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20: 에어돔 210: 외부막
21: 공기 주입 장치 220: 내부막
22: 온도 조절 장치 230: 막 유출홀
23: 환기 장치 240: 지면 유출관
24: 습도 조절 장치 250: 지하수 펌프
25: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 260: 열 교환관
270: 배출관 280: 케이스
285: 팬 290: 필터부
310: 돔 개구부 311: 제1 벽체 튜브
312: 제2 벽체 튜브 315: 가이드 막
31: 급수 장치 320: 팽창 튜브
32: 양액 공급 장치 330: 형태 고정 막대
335: 강화부 33: 산소 농도 조절 장치
340: 탄성부 351: 제1 접착부
352: 제2 접착부 355: 팽탕 튜브 접착부
360: 튜브 공기 주입부 40: 모니터링 장치
10: IoT control device 110: control unit
120: device operation unit 130: sensor unit
140: display unit 150: storage unit
20: Air dome 210: External membrane
21: air injection device 220: internal membrane
22: temperature control device 230: membrane outflow hole
23: ventilation device 240: ground outlet pipe
24: Humidity control device 250: Groundwater pump
25: Crop cultivation auxiliary device 260: Heat exchange tube
270: discharge pipe 280: case
285: fan 290: filter unit
310: dome opening 311: first wall tube
312: second wall tube 315: guide membrane
31: water supply device 320: expansion tube
32: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330: Shape fixing rod
335: Reinforcement unit 33: Oxygen concentration control device
340: elastic portion 351: first adhesive portion
352: second adhesive portion 355: puffed soup tube adhesive portion
360: tube air inlet 40: monitoring device

Claims (8)

공기에 의해 벽체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온도 조절 장치, 환기 장치, 습도 조절 장치, 및 농작물 재배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에어돔;
상기 에어돔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에어돔에 구비된 장치들인 에어돔 장치를 동작시키는 장치 동작부를 구비하는 IoT 제어 장치;
상기 에어돔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 및
상기 에어돔에 구비된 장치를 시간별로 구동되도록 스케줄링된 구동 정책을 상기 IoT 제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센서부의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구동 정책과 다르게 상기 에어돔 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IoT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외부막 및 내부막 사이의 벽체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 및 상기 벽체 공간에 제공하고,
상기 벽체는 내외부가 연통되는 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 중 제1 벽체 튜브는 상기 돔 개구부를 형성되도록 하는 일부이고,
상기 제1 벽체 튜브의 상기 돔 개구부를 향한 개구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주입 장치에서 주입되는 공기로 팽창되면 상기 돔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팽창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 튜브는,
팽창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부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벽체 튜브 측의 제1 내부 단부에 결합되는 강화부; 및
상기 제2 내부 단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단부 측의 형태를 고정되도록 하는 바 형상의 형태 고정 막대를 구비하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
An air dome that forms a wall by air to provide an internal space and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 ventilation device, a humidity control device, and a device to assist in crop cultivation;
An IoT control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that measures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air dome, and a device operating unit that operates an air dome device, which is a device provided in the air dome;
An air injection device that injects air into the air dome; and
A driving policy scheduled to drive the devices provided in the air dome by time is provided to the IoT control device,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is monito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drive the air dome device differently from the driving policy. It includes a monitoring device that transmits to the IoT control device,
A wall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film and the inner film forming the wall,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provides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interior space and the wall space,
The wall has a dome opening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Among the plurality of tubes forming the wall, a first wall tube is a part that forms the dome opening,
An expansion tube is coupled to an opening end of the first wall tube toward the dome opening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dome opening when inflated with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device,
The expansion tube is,
elastic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inner ends facing each other in the expansion direction;
a reinforc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and coupled to a first inner end of the first wall tube side; and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comprising a bar-shaped shape fixing rod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end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and fixing the shape of the second inner end side.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공기 주입 장치의 흡입구로 제공하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provid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an inlet of the air inj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온도 조절된 공기를, 지면 유출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고,
상기 지면 유출관은 지면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된 관인,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provid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a ground outlet pipe, and
The ground outlet pipe is a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ground.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지하수 펌프를 통해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열 교환관;
상기 열 교환관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열 교환관을 통과한 온도 조절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A heat exchange pipe through which ground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groundwater pump;
a fan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heat exchange pipe; and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including a filter unit that purifies and discharg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튜브는 상기 개구측 단부에 상기 돔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팽창 튜브의 적어도 일부와 탈부착하는 가이드 막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상기 제1 벽체 튜브와 대면하는 제2 벽체 튜브는 상기 팽창 튜브가 팽창되면 상기 팽창 튜브의 적어도 일부와 탈부착하는 제2 접착부를 구비하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ll tube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rane at an end on the opening sid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dome opening and is detachab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tube,
Among the plurality of tubes, a second wall tube facing the first wall tube has a second adhesive portion that is detachab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tube when the expansion tube is expanded.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액화하는 응축기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돔 외부에 배치되는 냉동 실외기;
상기 액화된 냉매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기화시킨 후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증발기를 구비하여,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에어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냉동 실내기; 및
상기 냉동 실내기 내부에 배치되어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상기 에어돔 내부 공간의 공기를 통과 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상기 에어돔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 기능을 구비한 농가용 에어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A refrigerated outdoor unit equipped with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nd a condenser for liquefy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disposed outside the air dome;
an expansion valve that lowers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refrigerant;
a refrigerating indoor uni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dome, which has an evaporator that vaporiz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and then sends it to the compressor, thereby maintaining a low temperature; and
An air dome system for farms with a cooling function, including an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indoor unit, passing the air in the air dome interior space sucked through an intake port, and then discharging it into the air dome interior space through an exhaust port. .
KR1020220082278A 2022-07-05 2022-07-05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KR102611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278A KR102611518B1 (en) 2022-07-05 2022-07-05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KR1020230172510A KR20240005612A (en) 2022-07-05 2023-12-01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278A KR102611518B1 (en) 2022-07-05 2022-07-05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510A Division KR20240005612A (en) 2022-07-05 2023-12-01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518B1 true KR102611518B1 (en) 2023-12-11

Family

ID=89162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278A KR102611518B1 (en) 2022-07-05 2022-07-05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KR1020230172510A KR20240005612A (en) 2022-07-05 2023-12-01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510A KR20240005612A (en) 2022-07-05 2023-12-01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151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18A (en) * 2011-07-07 2013-01-16 김유복 Double constant temperature vinyl house
KR102264390B1 (en) * 2020-10-08 2021-06-17 제이비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r dome autonomous driving system according to iot intelligent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18A (en) * 2011-07-07 2013-01-16 김유복 Double constant temperature vinyl house
KR102264390B1 (en) * 2020-10-08 2021-06-17 제이비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r dome autonomous driving system according to iot intelligent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612A (en)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50B1 (en)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CA1108880A (en) Refrigeration system
CN106369718A (en) Modular energy-saving refrigerating device for data center
CN203771631U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1266488B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for agriculture including ventilation method of heat recovery type
KR101357747B1 (en) Environment controlling equipment of greenhouse and the cotrolling method thereof
CN109269189A (en) A kind of dual-purpose refrigerator
KR102611518B1 (en) Air dome system having cooling function
CN107246742A (en) A kind of edible mushroom, the intellectuality of flower culture may move freezer room
KR20170083471A (en)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CN100485282C (en) Device for using fresh air for improving air temperature and air quality
US4322953A (en) Heat collection system
KR101690113B1 (en) A mushroom cultivation appartus comprising a container
KR101790184B1 (en)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apparatus of dehumidiifier for greenhouse using smart-phone
JP2014214918A (en) Cooling storage unit cooler
KR101791115B1 (en)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KR101655351B1 (en) A thermo-hygrostat for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CN213307225U (en)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multiple independent storage units
KR101655354B1 (en) A control method of a thermo-hygrostat for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CN104456818A (en) Energy-saving fresh air conditioner
CN213066392U (en) Air conditioner
KR200256498Y1 (en) Freezer having several remote separation refrigerator compartments
KR101880080B1 (en) System using seawater in the sea at low temperature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CN100449214C (en) Integrated geo-source heat pump air conditioning unit
KR101655357B1 (en) A control method for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