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540B1 -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540B1
KR102610540B1 KR1020230109835A KR20230109835A KR102610540B1 KR 102610540 B1 KR102610540 B1 KR 102610540B1 KR 1020230109835 A KR1020230109835 A KR 1020230109835A KR 20230109835 A KR20230109835 A KR 20230109835A KR 102610540 B1 KR102610540 B1 KR 10261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center
gravity
cylindrical body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한식
김상길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0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8Devices for measuring or verifying bal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2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2Static balancing; 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 G01M1/122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는, 상단이 개방되며 상단부에 잠금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찾는 수용액이 담겨지는 투명재질의 원통형 본체용기(10)와,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 내부에 삽입 되며, 골프공이 안착되고 저면 측부에 금속재(35)가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골프공 안착부(30)와,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상단에 나사결합하는 방수커버(50), 및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 외주에 삽입되도록 중공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골프공 안착부(30)의 금속재(35)와 대응되는 개수의 자석(75)이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마그네틱 핸들(70)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핸들(70)을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 상기 자석(75)과 금속재(35)의 인력에 의해 상기 골프공 안착부(30)도 마그네틱 핸들(70)과 연동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Description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Apparatus for checking the center of gravity of golf ball}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공은 기본적으로 커버와 코어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층구조에 따라 원피스, 투피스, 쓰리피스, 포피스 등으로 구분 되어진다. 원피스는 일체형인 골프공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고, 투피스는 중심에 코어가 위치되고, 코어를 둘러싼 외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로 실내 연습장이나 필드에서 초보자들이 사용하고 있으나 회전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거리 조절은 쉽지 않다. 또한, 쓰리피스는 코어, 내층(이너커버) 및 커버의 3층 구조이고, 포피스는 쓰리피스 볼에 외층(미드커버)가 하나 더 추가된 것으로 골프공의 비거리 및 정확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거리 및 정확도를 더 상승하기 위한 골프공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파이브피스 또는 식스피스 까지 개발이 되고 있는 실정이나 대부분의 골프공은 무게중심 즉 코어가 정확하게 중앙에 위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현재 골프공의 제조는 단단한 고무로 이루어진 구 모양의 솔리드 코어에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코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는데, 무중력 상태가 아닌 이상 코어를 완벽하게 중앙에 위치시키기 어려워 금형에서 냉각사출을 거칠 때 플라스틱이 고르게 도포하지 못하고 골프공 표면이 굳는 시간도 부위에 따라 달라져 공 모양에 미세한 변화가 생기게 된다.
도 1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피스(4 piece)의 골프공 구조(좌)와, 골프공 단면 사진(우)를 나타낸 것이다.
골프공의 코어는 클럽 헤드로 강하게 골프공을 때렸을 때 압축반발력을 내어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골프공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였을때 비거리 및 방향성이 일관적으로 나타나지만 실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골프공들의 코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티샷시 무게중심이 작용되는 부위로 타격을 하지 않으면, 무게중심이 많이 나가는 방향으로 원심력이 발생되어 비거리가 감소되고 목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골프공을 보낼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골프공의 무게중심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무게중심의 라인 방향으로 퍼팅라인을 형성하지 않고 좌우 틀어진 상태에서 치면 공의 방향이 조금씩 틀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생긴다.
골프공 제조사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골프공 제조시 골프공의 코어가 정확하게 중앙에 위치하도록 노력을 하고 있으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쉽지 않은 상황이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골프공은 무게중심이 어긋나 있고, 무작위로 퍼팅라인이 새겨져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골프공 사용자가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확인하는 기술들이 소개되는데, 대략 2가지 방법이 소개된다.
먼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751호와 같은 경우, 무게중심 확인을 위한 용액이 담긴 본체용기에 골프공을 넣어 무게중심을 확인하는 기술이 소개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의 경우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확인하기 위해 용액에 골프공을 투입하고, 골프공을 건져 표시하는 방법의 경우 골프공을 용액에서 꺼낼 때 골프공이 유동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48158호와 같은 경우 골프공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무게중심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이 경우 골프공을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회전 시켜 무게중심을 찾는 경우에는 회전수단등의 구성이 필요함으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결국 이는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므로 소비자에게 부담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09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122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00783호를 출원하여 등록받았는데, 이러한 기술들의 경우 무게중심 확인을 위한 용액이 담긴 본체용기에 골프공을 넣어 무게중심을 확인하고, 골프공을 용액에서 꺼낼 때 발생할 수 있는 골프공의 유동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중심 및 라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의 경우 골프공을 꺼낼 때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제품을 휴대하여 사용하는 특성상 덮개의 개폐로 인해 용액의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할 있으며, 또한 제품 단가를 낮추기 위해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갖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751호(2017.04.24.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8158호(2019.11.22.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092호(2018.03.08.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1227호(2021.11.24.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00783호(2023.02.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찾은 후 골프공을 용액에서 꺼낼 때 발생할 수 있는 골프공의 유동을 방지하고, 휴대시 용액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갖는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는, 상단이 개방되며 상단부에 잠금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찾는 수용액이 담겨지는 투명재질의 원통형 본체용기;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내부에 삽입 되며, 골프공이 안착되고 저면 측부에 금속재가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골프공 안착부;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상단에 나사결합하는 방수커버; 및,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외주에 삽입되도록 중공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골프공 안착부의 금속재와 대응되는 개수의 자석이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마그네틱 핸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핸들을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 상기 자석과 금속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골프공 안착부도 마그네틱 핸들과 연동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골프공 안착부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안착된 상기 골프공을 일부 감싸도록 일정 높이를 갖되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고, 저면 측부에 상기 금속재가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 중앙부에 상기 골프공이 지지되도록 일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몸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핸들은 수평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틱 핸들에 내장된 자석과 골프공 안착부에 내장된 금속재 간의 인력을 이용해, 본체용기 외부의 마그네틱 핸들을 끼우도록 설치하고 이를 움직여 본체용기 내부의 골프공 안착부를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무게중심 확인된 골프공을 꺼낼 때 수용액을 손에 묻히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커버와 본체용기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단단하게 잠글 수 있어 본체용기에 들어있는 수용액이 밖으로 흐르지 않아 수용액이 담긴 채로 휴대가 가능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이 안착되는 골프공 안착부가 본체용기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골프공 안착부에 골프공이 지지되는 받침대가 있어, 골프공이 무게중심을 찾은 후 꺼내는 과정에서 골프공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정확하게 중심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비 절감이 가능하고, 이는 결국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어 소비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공의 구조(좌)와 단면 사진(우)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골프공 안착부의 확대 도면,
도 5는 도 4의 골프공 안착부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방수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마그네틱 핸들의 분리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b), (d) 상태일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신 확인 장치(100)는 본체용기(10)와, 골프공 안착부(30)와, 방수커버(50) 및 마그네틱 핸들(70)을 포함한다.
본체용기(10)는 투명재질의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상단부에 후술할 방수커버(50)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12)이 형성된다. 본체용기(10) 내부에는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찾는 수용액이 담겨지게 된다.
골프공 안착부(30)는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 내부에 삽입 되며, 무게중심을 찾기 위한 골프공이 안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골프공 안착부(30)는 몸체(31), 금속재(35), 받침대(37) 및 배출구(39)를 포함한다.
몸체(31)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되어 이를 통해 내부로 골프공을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몸체(31)는 내부로 수용된 골프공을 일부 감싸도록 일정 높이의 측벽(32)을 가지고, 측벽(32)에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파지홈(33)이 두 개 형성된다.
받침대(37)는 몸체(31)의 하부 중앙부에 골프공이 지지되도록 일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된다(도 9 참조). 이렇게, 원통 또는 절개된 구 형상의 받침대(37)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계하여 골프공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수용액 내에서 무게중심을 측정하는 과정 및 무게중심 측정 후 상부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골프공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하게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7)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몸체(31) 저면을 관통하게 된다.
배출구(39)는 상기 받침대(37)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몸체(31) 저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를 통해 수용액이 몸체(31)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에는 배출구(39)가 8개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31)의 저면 측부에는 금속재(35)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35)가 8개 설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재(35)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몸체(31) 저면에 금속재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금속재 삽입홈에 금속재(35)를 끼움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몸체(31) 저면에 금속재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금속재 삽입홈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금속재(35) 외주면에 수나나산을 형성하여 금속재(35)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방수커버(50)는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 상단에 나사결합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과 평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을 구비하는데, 나사결합을 위해 측면의 내측면에 본체용기(1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52)이 형성된다. 한편 방수커버(50)의 평면의 내측면 단부에는 오링이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본체용기(10)와 방수커버(50)가 나사 결합으로 긴밀하게 결합되므로, 본체용기(10)에 수용액이 담긴채로 본 장치를 휴대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핸들(70)은 원통형 본체용기(10) 외주면에 끼움 삽입되도록 중공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골프공 안착부(30)의 금속재(35)와 대응되는 개수의 자석(75)이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그네틱 핸들은 상부커버(71)와 가운데커버(73) 및 하부커버(76)로 구성되는데, 상기 자석(75)은 가운데커버(73)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 핸들(70)을 원통형 본체용기(1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 원통형 본체용기(10) 내부에 있는 골프공 안착부(30)의 금속재(35)와 상기 자석(75)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골프공 안착부(30)도 마그네틱 핸들(70)과 연동하여 원통형 본체용기(10)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도9 참조). 마그네틱 핸들(70)이 본체용기(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마그네틱 핸들(70)과 본체용기(10)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어, 마그네틱 핸들(70)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75)과 금속재(35)가 8개 설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간의 인력에 의해 충분이 마그네틱 핸들(70)과 골프공 안착부(30)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 또는 그 이상의 갯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 핸들(70)에는 수평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기(72)가 구비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의 (b) 또는 (d)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의 (a)와 같이, 방수커버(50)를 본체용기(10)로부터 분리한 후, 본체용기(10)에 수용액을 절반 가량 채운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핸들(70)은 본체용기(10)에 끼워져있는 상태인데, 그 후 마그네틱 핸들(70)에 설치된 수평기(72)로 수평이 맞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도 8의 (b)와 같이, 마그네틱 핸들(70)을 잡고 본체용기(10)의 상부로 올리면 이와 연동하여 골프공 안착부(30)도 본체용기(10)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상승한 골프공 안착부(30)에 골프공(B)을 넣으면 골프공(B)은 골프공 안착부(30)의 받침대(37)에 지지되어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도 8의 (c)와 같이, 마그네틱 핸들(70)을 잡고 본체용기(10) 하단까지 내리면 이와 연동하여 골프공 안착부(30)도 본체용기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골프공 안착부(30)에 있는 골프공(B)은 수용액 내에서 유동하면서 무게중심을 어느 정도 찾게 된다.
그 후, 수용액에 담겨진 골프공을 손 또는 별도의 도구로 굴리면서 정확한 무게중심을 찾도록 한다.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여 골프공이 무게중심을 찾으면 도 8의 (d)와 같이, 마그네틱 핸들(70)을 잡고 본체용기(10) 상부로 올리고 이와 연동하여 골프공 안착부(30) 역시 상승하게 된다.
그 후, 골프공 안착부(30)의 몸체(31)에 형성된 파지홈(33)을 통해 노출되는 골프공(B)을 골프공 안착부(30)로부터 꺼내 무게중심의 중앙에 점을 찍은 후, 그 점을 기준으로 일자 또는 십자가 모양 등으로 퍼팅 라인을 그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이 안착되는 골프공 안착부(30)가 본체용기(10)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골프공 안착부(30)에 골프공이 지지되는 받침대(37)가 있어, 골프공이 무게중심을 찾은 후 꺼내는 과정에서 골프공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정확하게 중심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그네틱 핸들(70)에 내장된 자석(75)과 골프공 안착부(30)에 내장된 금속재(35) 간의 인력을 이용해, 본체용기(10) 외부의 마그네틱 핸들(70)을 끼우도록 설치하고 이를 움직여 본체용기(10) 내부의 골프공 안착부(30)를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용액을 손에 묻히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수커버(50)와 본체용기(10)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단단하게 잠글 수 있어 본체용기(10)에 들어있는 수용액이 밖으로 흐르지 않아 수용액이 담긴 채로 휴대가 가능한 편리한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비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용기 30. 골프공 안착부
31. 몸체 32. 측벽
33. 파지홈 35. 금속재
37. 받침대 39. 배출구
50. 방수커버 70. 마그네틱 핸들
72. 수평기 75. 자석
100.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Claims (3)

  1. 상단이 개방되며 상단부에 잠금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찾는 수용액이 담겨지는 투명재질의 원통형 본체용기;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내부에 삽입 되며, 골프공이 안착되고 저면 측부에 금속재가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골프공 안착부;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상단에 나사결합하는 방수커버; 및,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외주에 삽입되도록 중공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골프공 안착부의 금속재와 대응되는 개수의 자석이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마그네틱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 핸들을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 상기 자석과 금속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골프공 안착부도 마그네틱 핸들과 연동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안착부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안착된 상기 골프공을 일부 감싸도록 일정 높이를 갖되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고, 저면 측부에 상기 금속재가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 중앙부에 상기 골프공이 지지되도록 일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몸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 중심 확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핸들은 수평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KR1020230109835A 2023-08-22 2023-08-22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KR10261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835A KR102610540B1 (ko) 2023-08-22 2023-08-22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835A KR102610540B1 (ko) 2023-08-22 2023-08-22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540B1 true KR102610540B1 (ko) 2023-12-06

Family

ID=8916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835A KR102610540B1 (ko) 2023-08-22 2023-08-22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5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751B1 (ko) 2015-07-03 2017-04-24 박철민 휴대형 골프볼 편심 확인 및 표시 장치
KR101836092B1 (ko) 2017-12-29 2018-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장치
KR102048158B1 (ko) 2018-10-25 2019-11-22 양승희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방법
KR102331227B1 (ko) 2020-06-09 2021-11-2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장치
KR102500783B1 (ko) 2022-10-14 2023-02-1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751B1 (ko) 2015-07-03 2017-04-24 박철민 휴대형 골프볼 편심 확인 및 표시 장치
KR101836092B1 (ko) 2017-12-29 2018-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장치
KR102048158B1 (ko) 2018-10-25 2019-11-22 양승희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방법
KR102331227B1 (ko) 2020-06-09 2021-11-2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장치
KR102500783B1 (ko) 2022-10-14 2023-02-1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861B2 (ja) ゴルフボールマーカー
TWI492831B (zh) 在握把內形成提醒肋條之裝置及方法
US9327176B1 (en) Golf putting training kit
KR20160128256A (ko) 골프공 라이너
US20100255960A1 (en) Kettlebell
US20110220665A1 (en) Drinking Game Cup or Attachment
US20020005124A1 (en) Golf ball stencil
KR101026517B1 (ko) 골프공 라이너
US10058752B2 (en) Divot repair tool
KR102610540B1 (ko)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US20150094650A1 (en) Self-evacuating dose cup for dispensing liquid medicine
KR20080005443U (ko)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용 볼마크
KR100441138B1 (ko) 퍼팅 연습용 골프공
US7547258B2 (en) Golf ball
KR102500783B1 (ko)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 장치
KR102331227B1 (ko)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장치
US8191276B1 (en) Golf ball liner
US5411253A (en) Putting training method
KR20110042041A (ko) 골프장 그린 경사 측정기
KR100621844B1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KR100615969B1 (ko) 골프용 경사계
KR200389857Y1 (ko) 골프볼 라이너 겸용 골프볼 케이스
KR101569671B1 (ko) 그린경사도의 경사각을 측정가능하도록 구성한 퍼터
KR101270911B1 (ko) 케이스 겸용 퍼팅 연습 도구
KR200466912Y1 (ko) 골프 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