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890B1 -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 Google Patents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890B1
KR102609890B1 KR1020210068963A KR20210068963A KR102609890B1 KR 102609890 B1 KR102609890 B1 KR 102609890B1 KR 1020210068963 A KR1020210068963 A KR 1020210068963A KR 20210068963 A KR20210068963 A KR 20210068963A KR 102609890 B1 KR102609890 B1 KR 10260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knife member
bending
unit
process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0833A (en
Inventor
서성운
Original Assignee
서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운 filed Critical 서성운
Priority to KR102021006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90B1/en
Publication of KR2022016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9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4Cutting members therefor not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원단의 절단 접착을 수행하는 칼부재의 가열 시 휨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칼부재를 구비한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롤러; 및 소정 경로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베이스 롤러 위로 공급된 필름 원단을 절단함과 동시에 열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칼부재;를 포함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칼부재의 상부면에는 가열 시 상기 칼 부재의 휨 방지를 위한 휨방지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cutt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to prevent bending when heated when the cutting member performing cutting and adhering of roll fabric includes a bas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 frame; and a knife member reciprocally installed on the frame to travel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cut and heat-press the film fabric supplied onto the base roller. In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A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is provided, wherein a bending-prevention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member to prevent bending of the knife member when heated.

Description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Cutting and adhering unit of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 원단의 절단 접착을 수행하는 칼부재의 가열 시 휨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칼부재를 구비한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and bonding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equipped with a knife member that has a structure to prevent bending when heated when the knife member that performs cutting and bonding of roll fabric is heated. It relates to a cutting and adhesive unit.

일반적으로, 롤 원단은 포장용 비닐백, 일회용 포장백, 롤링백, 헤드 포리백 등과 같은 제품으로 제조되기 위하여 사이드 실링, 이면 실링, 삼면 실링, M방 실링, 자동밴드 실링, 수축필름 실링, OPP 반접 및 풀 가공, 헤드 가공, 롤컷팅 등의 방법으로 가공된다.Generally, roll fabric is manufactured into products such as packaging plastic bags, disposable packaging bags, rolling bags, head polybags, etc. by using side sealing, back sealing, three-side sealing, M-room sealing, automatic band sealing, shrink film sealing, and OPP half-folding. And it is processed by methods such as full processing, head processing, and roll cutt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13033호 및 제03515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은 원단로러에 감긴 필름 원단을 삼각대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거나 그 필름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방향을 전환시켜 공급하는 공급유니트와,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 댄서롤러가 설치되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댄싱바아를 구비하고 필름원단을 소정 길이 저장하는 저장유니트와, 필름원단이 통과하는 주행경로 상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을 소정 길이로 자르면서 열접착시키기 위한 칼부재와 베이스롤러를 구비하는 절단 접착 유니트 및 절단된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니트를 구비한다.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s. 0313033 and 0351587, the conventional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supplies film fabric wound on a fabric roller by changing the direction using a tripod or by folding the film fabric in half. A unit, a dancing ba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or vertical dancer rollers and rotating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film fabric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torage unit that reciprocates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travel path through which the film fabric passes. It is equipped with a cutting and adhering unit including a knife member and a base roller for cutting the fabric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rmally bonding it,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cut product to the outside.

도 1은 상기 롤원단 가공 시스템 절단 접착 유니트 부위의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portion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절단 접착 유니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이스 롤러(13)와, 지지봉(15)에 의해 왕복 이동하면서 베이스 롤러(13)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베이스 롤러(13)의 표면에 위치된 필름 원단(미도시)을 절단 및 접착시키는 칼부재(14)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0, as described above, is reciprocated by the base roller 13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12 and the support bar 15, and is attached to the base roller 13. It is provided with a knife member 14 that selectively contacts to cut and adhere the film fabric (not shown)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roller 13.

상기 칼부재(14)는 롤 원단의 절단 접착을 위해 450℃ 내지 600℃로 가열된 상태에서 베이스 롤러(13)에 대하여 고속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베이스 롤러13)에 접촉되어 롤 원단을 절단하고 접착하게 된다.The knife member 14 moves back and forth at high speed with respect to the base roller 13 in a state heated to 450°C to 600°C for cutting and adhesion of the roll fabric,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se roller 13 to cut and adhere the roll fabric. do.

이때, 칼부재(14)는 가열에 의해 팽창하게 되면서, 여러 방향으로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 원단의 절단 및 접착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knife member 14 expands due to heating, causing bending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tting and adhesion of the roll fabric is formed unevenly.

또한, 칼부재(14)가 베이스 롤러(13)와 고속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그러한 접촉력에 의하여 베이스 롤러(13)의 중앙 부분이 또한 하방으로 휘어지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절단 접착 유니트(10)를 고속으로 장시간 운전하게 되면 베이스 롤러(13)의 길이 방향으로의 휘어짐 또는 출렁거림에 의해 필름 원단의 중앙 부분이 절단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절단 접착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nife member 14 contacts the base roller 13 at high spee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roller 13 has a high tendency to bend downward due to such contact force. Therefore, when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10 is operated at high speed for a long time, the efficiency of the cutting and adhering work is reduced, such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central part of the film fabric is not cut due to bending or slos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roller 13. There is a problem with falling.

또한, 절단 접착 작업을 고속으로 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름 원단의 찌꺼기가 베이스 롤러(13)에 달라붙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하고 베이스 롤러(13)의 표면을 청소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utting and adhering work is performed at high speed, the residue of the film fabric sticks to the base roller 13, making it difficult to stop the work and clean the surface of the base roller 13 to remove it. there wa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1303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031303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515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0351587

따라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롤 원단의 절단 접촉을 위해 칼부재를 가열하는 경우에도 휨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칼부재를 구비한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the processing of roll fabric with a knife member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cause bending deformation even when the knife member is heated for cutting and contacting the roll fabri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the system.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롤러; 및 소정 경로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베이스 롤러 위로 공급된 필름 원단을 절단함과 동시에 열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칼부재;를 포함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칼부재의 상부면에는 가열 시 상기 칼 부재의 휨 방지를 위한 휨방지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 frame; and a knife member reciprocally installed on the frame to travel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cut and heat-press the film fabric supplied onto the base roller. In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A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is provided, wherein a bending-prevention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member to prevent bending of the knife member when heated.

상기 칼부재는, 칼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필름 원단을 절단함과 동시에 베이스 롤러와 상호 작용하여 열 압착에 의해 두 겹으로 접혀진 필름 원단을 접착시키도록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칼날부; 상기 몸체부의 칼등을 형성하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칼부재의 휨을 방지하는 상기 휨방지요철부; 상기 몸체부와 칼날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삽입되는 열선과 열선의 노출된 양단부에 형성되는 열선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열선부; 및 칼블럭에 칼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몸체부의 상부면에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3개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nife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forming the body of the knife member; a blade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to cut the film fabric and at the same time interact with the base roller to adhere the film fabric folded in two by heat compression; The bending-prevention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blade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bending of the blade member; a plurality of heating wire units including heating wires inserted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eating wire terminals formed on both exposed ends of the heating wires; And three or more fixing parts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fix the knife member to the knife block.

상기 휨방지요철부는,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는 슬롯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i-bending convex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slots that form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상기 요부의 폭(또는 철부의 폭) 대 요부의 깊이(또는 철부의 높이)의 비는 1: 1.1~1.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or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to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1: 1.1 to 1.3.

상기 슬롯들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부들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o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the area between the fixing part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롤 원단 가공 시스템에 의한 필름 원단의 절단 접착 시 가열된 칼부재의 휨을 방지하여 롤 원단 절단 접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roll fabric cutting and bonding by preventing bending of the heated knife member when cutting and bonding film fabric by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 부위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 접착유니트가 채용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인출 유니트(140)와 절단 접착유니트(150)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구비되는 칼부재(15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칼부재(154)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방지캡부(1560)을 구비한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구비되는 휨방지캡부(1560)을 구비한 칼부재(154)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칼부재(154)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의 받침 부재와 베이스 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도.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portion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employing a cutting and adhesiv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rawing unit 140 and the cutting adhesive unit 150.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provided in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of Figure 5.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equipped with a bending prevention cap portion 156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with the bending prevention cap part 1560 provided in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of Figure 7.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of Figure 8.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and base roller of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bottom view of Figure 10.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 접착 유니트가 채용된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employing a cutting and adhesiv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각종 유니트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들은 하나의 프레임(102)에 모두 설치되거나, 각각의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유니트는 프레임(102)에 설치된 컨트롤 유니트(미도시)에 의해 서보 제어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ystem 100 can partition various units as follows. The units may all be installed on one frame 102, or each frame may be combined. Additionally, each unit is servo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installed on the frame 102.

상기 시스템(100)은 필름 원단(122)을 저장 유니트(130)로 공급하는 공급 유니트(120)와, 공급 유니트(12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원단(122)을 소정 길이만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니트(130)와, 저장 유니트(130)에 저장된 필름 원단(122)을 일정한 길이 및 시간 간격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유니트(140)와, 필름 원단(122)을 절단하면서 열 압착하여 접착시키는 절단 접착 유니트(150) 및 절단 접착 유니트(150)에 의해 절단 접착 유니트(150)에 의해 절단된 제품(162)을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유니트(160)를 구비한다.The system 100 includes a supply unit 120 for supplying the film fabric 122 to the storage unit 130,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lm fabric 122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20 for a predetermined length ( 130, a drawing unit 140 for pulling out the film fabric 122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t regular lengths and time intervals, and a cutting and adhering unit ( 150) and a conveyor unit 160 for transporting the product 162 cut by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to the outside.

상기 공급 유니트(120)는 프레임(102)과, 프레임(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단 롤러(124)와, 필름 원단(122)의 주행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126)와, 필름원단(122)의 주행 방향을 전환하거나 필름 원단(122)을 그 길이 방향으로 접기 위한 삼각대(128)와, 필름 원단(122)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121)과, 프레임(102) 끝단에서 저장 유니트(130)로 필름 원단(122)을 공급하기 위해 필름 원단(122)의 주행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들의 틈새 사이로 필름 원단(122)이 지나가는 한 쌍의 공급 롤러(123)(125)를 구비한다.The supply unit 120 includes a frame 102, a fabric roller 124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102, a plurality of rollers 12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lm fabric 122, and a film fabric A tripod 128 for changing the running direction of (122) or folding the film fabric 122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 adhesive application means 121 for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film fabric 122, and a frame ( 102) A pair of supply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film fabric 122 to supply the film fabric 122 from the end to the storage unit 130 and through which the film fabric 122 passes between the gaps between the rollers. (123)(125) are provided.

상기 삼각대(128)는 프레임(102)에 소정 각도로 배치되며, 사용되는 필름 원단(122)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삼각대(120)의 하부 꼭지점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접혀진 필름 원단(122)을 눌러서 구김을 주기 위해 필름 원단(122)의 주행경로 상에는 한 쌍의 누름 롤러(127)(129)가 설치된다.The tripod 128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frame 102, and may have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type of film fabric 122 used. In addition, a pair of pressing rollers 127 ( 129) is installed.

상기 접착액 도포수단(121)은 제품(162)의 커버부가 본체부에 접착제에 의해 눌러 붙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102)의 하부에 설치된 접착액 수용조(104)와, 접착액 수용조(104)에 담긴 접착액을 이동시키는 접착액 이동롤러(106)와, 필름원단(122)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접착액 이동롤러(106)에 밀착되어 접착액을 일정한 폭과 양으로 눌러주는 접착액 도포롤러(108)를 구비한다. 한편, 프레임(102) 상부에는 필름 원단(122)에 도포된 접착액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덕트(103)가 설치된다. 건조 덕트(103)는 덕트 구동기(105)에 의해 구동되고 팬(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여 필름 원단(122) 상의 끈끈한 접착액을 건조시킨다.The adhesive liquid application means 121 is for pressing the cover part of the product 162 to the main body with an adhesive, and includes an adhesive liquid storage tank 104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02 and an adhesive liquid storage tank. The adhesive liquid moving roller 106 moves the adhesive liquid contained in (104),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liquid moving roller 106 to apply the adhesive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fabric 122, spreading the adhesive liquid to a certain width. It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application roller (108) that presses in an amount. Meanwhile, a drying duct 10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2 to dry the adhesive applied to the film fabric 122. The drying duct 103 is driven by a duct driver 105 and supplies hot air heated by a fan (not shown) to dry the sticky adhesive on the film fabric 122.

상기 필름 원단(122)은 그 폭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투명한 필름이 이용될 수도 있고, 별도의 문양이 인쇄된 필름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름원단(122)에는 제품의 길이가 표시되도록 소정 간격마다 절단부를 표시하는 마크가 찍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 fabric 122 may have various widths, and a transparent film may be used, or a film with a separate pattern printed thereon may be us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marks indicating cuts are stamped on the film fabric 1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indicate the length of the product.

상기 프레임(102)의 상부에는 복수의 롤ㄹ들(126)이 설치되며, 완성 제품에 펄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1 펄지 공급부(115) 및 제2 펄지 공급부(11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펄지 공급부(115)(117)는 완성 제품 내부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능과, 그 제품을 벽걸이 등에 걸이 용이하도록 펀칭되는 부위에 각각 위치된다.A plurality of rolls 126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2, and a first pulp supply unit 115 and a second pulp supply unit 117 are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pulp to the finished product. The first and second pulp supply units 115 and 117 have the function of holding the center of the finished product and are located at punched areas to facilitate hanging the product on a wall hanger, etc.

상기 한 쌍의 공급 롤러(123)(125)는 프레임(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접착액이 도포된 필름원단(122)이 물리게 된다. 공급 롤러(123)(125)는 공급 모터(127a)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모터(127a)를 회전시키게 되면 원단 롤러(124)에 감긴 필름 원단(122)은 저장 유니트(130)로 공급되게 된다.The pair of supply rollers 123 and 125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2 and rotate so that the film fabric 122 to which adhesive liquid is applied is clamped between them. The supply rollers 123 and 125 are rotated by the supply motor 127a. Accordingly, when the supply motor 127a is rotated, the film fabric 122 wound around the fabric roller 124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130.

상기 저장 유니트(13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02)에 수직, 수평 또는 소정 각도로 설치되는 제1 댄싱바아(132) 및 제2 댄싱바아(134)와, 상기 제1 댄싱바아(132)와 제2 댄싱바아(134)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2개씩 설치된 제1 댄싱롤러(136) 및 제2 댄싱롤러(138)와, 제1 댄싱바아(132)와 제2 댄싱바아(134)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 2 댄싱롤러(136)(138)와 수평으로 지그재그 형식이 되도록 프레임(102)에 고정 설치된 제1 고정롤러(131) 및 제2 고정롤러(133)를 구비한다. 한편, 제1 댄싱바아(132)와 제2 댄싱바아(134) 사이의 프레임(102)의 상, 하부에는 각각 매개 롤러(135)가 설치딘다. 상기 매개 롤러(135)는 최상부의 제1 댄싱롤러(136)로부터 인출되는 필름 원단(122)을 최하부 제2 댄싱롤러(138)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a first dancing bar 132 and a second dancing bar 134 installed vertically, horizontally or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frame 102 so that each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dancing bar 134 A first dancing roller (136) and a second dancing roller (138) each rotatably installed on the dancing bar (132) and the second dancing bar (134), and the first dancing bar (132) and the second dancing bar. A first fixed roller 131 and a second fixed roller 133 spaced apart from (134)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to the frame 102 in a zigzag format horizontal to the first and second dancing rollers 136 and 138. is provided. Meanwhile, intermediate rollers 135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102 between the first dancing bar 132 and the second dancing bar 134, respectively. The intermediate roller 135 is for supplying the film fabric 122 pulled out from the uppermost first dancing roller 136 to the lowermost second dancing roller 138.

상기 저장 유니트(130)는 절단 접착유니트(150)로 공급될 필름 원단(122)을 소정 길이 만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2 댄싱 롤러들(136)(138)과 제1,2 고정롤러들(131, 133) 사이의 지그재그 경로에 의해 상기 소정 경로를 유지하고, 상기 제1,2 댄싱바아(132)(134)의 회동에 의해 인출 유니트(14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그 인출량 만큼 공급 유니트(120)로부터 필름 원단(122)을 재공급 받는다. 이를 위해, 롤원단 가공 시스템(100)은 인출 유니트(140) 측으로 배출되는 필름 원단(122)의 길이만큼 원단 롤러(124)에 감긴 원단을 저장 유니트(130) 쪽으로 안정적으로 공급 하기 위하여 콘트롤 유니트에 의하여 공급 모터(127a)를 제어한다.The storage unit 130 is for storing the film fabric 122 to be supplied to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predetermined path is maintained by a zigzag pa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ancing rollers 136 and 138 and the first and second fixed rollers 131 and 133, and the first and second dancing bars 132 ) By rotating the 134, the withdrawal of the withdrawal unit 140 is facilitated, and the film fabric 122 is re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amount. For this purpose,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100 is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to stably supply the fabric wound on the fabric roller 124 toward the storage unit 130 by the length of the film fabric 122 discharged toward the draw-out unit 140. The supply motor (127a) is controlled by.

한편, 가이드 롤러(187)(188)에 의해 가이드되어 프레임(102) 상부를 주행하는 필름 원단(122)은 펀칭 부재(189)에 의해 천공된다. 또한, 감지기(180)는 절단부로 인쇄된 위치를 정확히 센싱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 유니트로 피드백 한다.Meanwhile, the film fabric 122 guided by the guide rollers 187 and 188 and run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2 is perforated by the punching member 189. Additionally, the sensor 180 accurately senses the printed position of the cut portion and feeds the signal back to the control unit.

도 3은 인출 유니트(140)와 절단 접착 유니트(150)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인출 유니트(140)는 프레임(102) 상부에 결합된 인출프레임(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인출 롤러(144)(146)와, 인출롤러(144)(146)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회전시켜 소정 길이 만큼 저장 유니트(130)에 저장된 필름 원단(122)을 절단 접착 유니트(150)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모터(142)를 구비한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rawing unit 140 and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The take-out unit 140 includes a pair of take-out rollers 144 and 146 rotatably installed on the take-out frame 141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2, and draws out the take-out rollers 144 and 146 at regular time intervals. It is provided with a pull-out motor 142 for rotating and pulling out the film fabric 122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상기 인출롤러(144)(146)는 절단 접착 유니트(150)의 절단 접착부 즉, 칼부재(154)와 베이스 롤러(152)가 접촉되는 수평면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한 거리는 완성 제품의 최소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pull-out rollers 144 and 146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cutting and adhesive portion of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that is, the horizontal surface where the knife member 154 and the base roller 152 are in contact. Preferably, the adjacent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length of the finished product.

여기서, 상기 인출모터(142)는 서보 제어 가능하고 전자클러치 브레이크가 내장된 통상의 전기모터가 이용된다.Here, the take-out motor 142 is a normal electric motor capable of servo control and with a built-in electronic clutch brake.

상기 절단 접착 유니트(1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롤러(152), 베이스 롤러(152) 위로 공급된 필름 원단(122)을 절단함과 동시에 열압착시키는 칼부재(154) 및 베이스 롤러(15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 부재(155b)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cuts the base roller 152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102 and the film fabric 122 supplied onto the base roller 152.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155b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knife member 154 and the base roller 152 that are thermally compressed.

상기 칼부재(154)는 가열에 의해 팽창하는 때에 휨방지를 위한 구조를 갖는다.The knife member 154 has a structure to prevent bending when it expands by heating.

도 5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구비되는 칼부재(15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칼부재(154)의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provided in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and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of Figure 5.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칼부재(154)는 칼부재(154)의 몸체를 이루는 직육면체 바형의 몸체부(1541), 필름 원단(122)을 절단함과 동시에 베이스 롤러(152)와 상호 작용하여 열 압착에 의해 두 겹으로 접혀진 필름 원단(122)을 접착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541)의 저면에 형성되는 칼날부(1543)와, 몸체부(1541)의 칼등을 형성하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칼부재(154)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요철부(1547)와, 상기 몸체부(1541)와 칼날부(1543)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삽입되는 열선(1548)과 열선(1548)의 노출된 양단부에 형성되는 열선단자(1549)를 포함하는 다수의 열선부(1550) 및 칼블럭(153)에 칼부재(154)를 고정 시키도록 몸체부(1541)의 상부면에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3개 이상의 고정부(15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knife member 154 cuts the rectangular bar-shaped body portion 1541 and the film fabric 122 forming the body of the knife member 154 and simultaneously cuts the base roller 152. A blade portion 154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541 to interact with and adhere the film fabric 122 folded in two by thermal compression, and an upper portion forming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541. A bending-prevention convex portion 1547 formed on the surface to prevent bending of the knife member 154, and a heating wire 1548 and a heating wire (1548) inserted through the body portion 1541 and the blade portion 154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hot wire portions 1550 including hot wire terminals 1549 formed on both exposed ends of 154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541 to secure the knife member 154 to the knife block 153. It is comprised of three or more fixing parts 155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상기 휨방지요철부(1547)는 칼부재(154)의 칼등을 형성하는 몸체부(1541)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부(1553)들의 사이 영역에서 몸체부(1541)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요부(1545)와 철부(15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ending-prevention concave-convex portion 1547 i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541 in the area between the fixing portions 155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541 forming the back of the knife member 154.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1545 and convex portions 1547 formed by a plurality of slots.

이때, 상기 요부(1545)의 폭(또는 철부(1547)의 폭) 대 요부(1545)의 깊이(또는 철부(1547)의 높이)의 비는 1: 1.1~1.3으로 형성되는 경우 열선부(1550)에 의한 가열 시 열 팽창에 의한 휨방지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칼부재(154)의 길이가 800mm인 경우 상기 요부(1545)의 폭(또는 철부(1547)의 폭)이 10mm이고, 요부(1545)의 깊이(또는 철부(1547)의 높이)가 12mm로 형성되는 때에 열팽창에 의한 칼부재(154)의 휨 현상이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At this time, when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1545 (or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1547) to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545 (o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1547) is 1: 1.1 to 1.3, the heating portion 1550 ) was confirmed to be excellent in preventing warping due to thermal expansion when heated.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knife member 154 is 800 mm, the width of the recessed portion 1545 (or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1547) is 10 mm, and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545 (o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1547) is 12 mm. When formed, the least amount of bending of the knife member 154 due to thermal expansion occurred.

이는 상기 휨방지요철부(1547)가 방열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칼부재(154)의 상부면을 냉각시키고, 동시에 보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몸체부(1541)의 휨방지요철부(1547)의 인접 영역을 냉각시키며 고정하여 몸체부(1541)의 휨방지요철부(1547)의 인접 영역에서의 열변형이 최소화되는 것에 기인한다.This means that the bending-prevention convex-convex portion 1547 functions as a heat dissipation fin to cool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member 154,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the function of a beam, so that the bending-prevention convex-convex portion 1547 of the body portion 1541 This is because thermal deformation in the adjacent area of the bending-prevention convex-convex portion 1547 of the body portion 1541 is minimized by cooling and fixing the adjacent area.

상기 고정부(1553)는 3개로 형성되는 경우 몸체부((1541)의 상부면에서 양 측부와 중심부에 형성되며, 몸체부(1541)의 상부면의 양측부와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1553)와 칼블럭(153)이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칼부재(154)의 양측부 및 중심부에서의 열팽창에 의한 휨 변형을 방지한다.When the fixing parts 1553 are formed in three pieces, they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541, and the fixing parts 1553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541.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knife block 153, bending deformation due to thermal expansion at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the knife member 154 is prevent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방지캡부(1560)을 구비한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구비되는 휨방지캡부(1560)을 구비한 칼부재(154)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칼부재(154)의 측면도이다.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equipped with the bending prevention cap portion 156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provided in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of Figure 7.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provided with the bending prevention cap portion 1560, and FIG. 9 is a side view of the knife member 154 of FIG. 8.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150’는 상기 도 4 내지 도 6의 칼부재(154)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칼부재(154)는 결합되는 휨방지캡부(15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7 to 9,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150'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nife member 154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knife member 154 of FIGS. 4 to 6.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ending prevention cap portion 1560 that is coupled.

상기 휨방지캡부(1560)는 휨방지요철부(1547)의 요부(1545)와 철부(1546)와 치합되도록 다수의 슬롯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요부(1565)와 철부(1566)를 포함하는 휨방지캡요철부(1567)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ending-prevention cap portion 1560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1565 and convex portions 1566 formed by a plurality of slots to engage with the recessed portions 1545 and convex portions 1546 of the bending-prevention convex portion 1547. It is composed of an anti-bending cap uneven portion (1567).

상기 구성의 휨방지캡부(156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칼부재(154)의 휨방지요철부(1567)과 치합되도록 결합된 후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거나 일체로 용접 구성되어 칼부재(154)의 열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필름 원단(122)의 절단 접착을 위해 가열되는 경우 휨현상을 최소화시킨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bending-prevention cap portion 156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upled to engage with the bending-prevention concave-convex portion 1567 of the knife member 154 and then fixed by a fixture such as a bolt or welded as one piece. By minimizing thermal deformation of the knife member 154, bending phenomenon is minimized when the film fabric 122 is heated for cutting and bonding.

이를 위해, 상기 휨방지캡부는 1300℃ 에서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CCM(Carbon Ceramic) 소재 등의 열변형 온도가 높은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bending-prevention cap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 heat distortion temperature, such as CCM (Carbon Ceramic) material that does not undergo heat distortion at 1300°C.

상술한 바와 같이, CCM 등의 열변형이 높은 소재의 휨방지캡부(1560)을 제작한 후 칼부재(154)의 휨방지요철부(1567)와 결합시킨 후, 칼부재(154)를 가열하는 경우, 칼부재(154)의 휨방지요철부(1567)의 열변형을 휨방지캡부(1560)가 지지하게 되어, 칼부재(154)의 가열에 의한 열변형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ending-prevention cap portion 1560 is manufactured from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strain such as CCM, and then combined with the bending-prevention convex portion 1567 of the knife member 154, and then the knife member 154 is heated. In this case, the bending prevention cap portion 1560 supports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1567 to prevent bending of the knife member 154,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minimize thermal deformation of the knife member 154 due to heating.

또한, 본 발명의 절단 접착 유니트(150’는 칼부재(154)의 하방향 또는 상방향 휨 변형 시 칼부재(154)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휨 변형을 원래의 형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고정부(1553)와 칼블럭(153)을 연결하는 고정로드(153a)에 결합고정되는 지지대(1571)와 상기 볼트 구멍에 결합되어 필요 시 칼부재(154)의 상부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칼날부(1543)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는 가압볼트(1573)로 구성되는 가압부(15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lt hole so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can be adjusted to the original shape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member 154 when the knife member 154 is bent in the downward or upward direction. A support 1571 is formed and fixed to the fixing rod 153a connecting the fixing part 1553 and the knife block 153 and is coupled to the bolt hole to press or pressurize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member 154 when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1570 consisting of a pressing bolt 1573 that releases to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blade portion 1543.

도 7의 경우 가압부(1570)가 휨방지캡부(1560)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압부(1570)의 도 4의 절단 접착 유니트(150)에 구비되어 칼부재(154)의 휨방지요철부(1547)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FIG. 7, the pressing part 1570 is shown as being configured to press the bending-prevention cap part 1560, but the pressing part 1570 is provided in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of FIG. 4 and the knife member 154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anti-bending convex portion 1547.

상기 구성의 가압부(1570)는 절단 접착되는 필름 원단(122)의 중앙부위의 절단이나 접착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로드(153a)에 결합된 가압볼트(1573)로 휨방지요철부(1547) 또는 휨방지캡부(1560)를 가압하도록 하고, 양측부의 고정로드(153a)에 결합된 가압볼트(1573)의 휨방지요철부(1547) 또는 휨방지캡부(1560)의 가압은 해제하여 칼날부(1543)의 중심부의 높이를 낮추어 칼날부(1547)와 베이스 롤러(152)가 전체 영역에서 긴밀히 접촉되도록 칼날부(1543)의 중심부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surizing portion 1570 of the above configuration prevents bending with the pressurizing bolt 1573 coupled to the fixing rod 153a located in the center when cutting or adhesion defects occu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m fabric 122 to be cut and bonded. The concavo-convex portion 1547 or the bending-prevention cap portion 1560 is pressed, and the bending-prevention convex-convex portion 1547 or the bending-prevention cap portion 1560 of the pressure bolt 1573 coupled to the fixing rod 153a on both sides is pressed. By releasing it,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blade portion 1543 can be lowered to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blade portion 1543 so that the blade portion 1547 and the base roller 152 are in close contact over the entire area.

이와 달리, 상기 가압부(1570)는 절단 접착되는 필름 원단(122)의 양측부 영역의 절단이나 접착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로드(153a)에 결합된 가압볼트(1573)의 휨방지요철부(1547) 또는 휨방지캡부(1560)의 가압은 해제하고, 양측부의 고정로드(153a)에 결합된 가압볼트(1573)로는 휨방지요철부(1547) 또는 휨방지캡부(1560)를 가압하여 칼날부(1543)의 중심부의 높이는 미세하게 높이고, 양측부의 높이는 낮추어 칼날부(1547)와 베이스 롤러(152)가 전체 영역에서 긴밀히 접촉되도록 칼날부(1543)의 중심부와 양측부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contrast, the pressing portion 1570 bends the pressing bolt 1573 coupled to the fixing rod 153a located in the center when cutting or adhesion defects occur on both sides of the film fabric 122 to be cut and bonded. The pressure of the anti-bending and protruding portion 1547 or the anti-bending cap portion 1560 is released, and the anti-bending and protruding portion 1547 or the anti-bending cap portion 1560 is secured with the pressurizing bolt 1573 coupled to the fixing rod 153a on both sides. By pressing,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blade portion 1543 is slightly raised and the height of both sides is lowered so that the blade portion 1547 and the base roller 152 are in close contact over the entire area. Allow it to be adjusted.

상기 칼부재(154)는 고정부(1553)와 고정로드(153a)에 의해 칼블럭(153)에 고정된 후, 베이스 롤러(152)에 대하여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베이스 롤러(152) 위에 위치된 필름 원단(122)을 절단함과 동시에 열 압착에 의해 두 겹으로 접혀진 필름 원단(122)을 접착시킨다.The knife member 154 is fixed to the knife block 153 by the fixing part 1553 and the fixing rod 153a, and is then positioned on the base roller 152 while reciprocat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ase roller 152. At the same time as cutting the film fabric 122, the film fabric 122 folded in two is adhered by heat compression.

상기 칼부재(154)는, 프레임(102)에 설치된 모터(156)와, 모터(156)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캠(158)에 연결된 링크부(190)와, 링크부(190)에 의해 약 10mm 회동되도록 프레임(102)에 설치된 회동부(192)와, 회동부(192)에 연결되어 회동부(192)의 회동력을 약 5배로 가속시켜 칼부재(154)를 약 50mm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부(194)와, 회동부(192)의 회동 운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196)에 의하여 왕복 이동한다.The knife member 154 is made up of a motor 156 installed on the frame 102, a link unit 190 connected to an eccentric cam 158 rotated by the motor 156, and a link unit 190 of approximately A rotating part 192 installed on the frame 102 to rotate 10 mm, and a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192 to accelerate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ting part 192 by about 5 times to reciprocate the knife member 154 by about 50 mm It reciprocates by the pressing part 194 and the buffering part 196 to cush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part 192.

상기 가압부(194)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며 컨트롤 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통상의 실린더가 이용된다. 또한, 가압부(194)는 시스템(100)이 정지해 있을 경우에는 지지봉(157)을 상승시켜 칼부재(154)와 베이스 롤러(152) 사이를 이격시킨다. 따라서 고온의 칼부재(154)에 의해 베이스 롤러(152) 및 인출 롤러(144)(14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unit 194 i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and uses a conventional cylinder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In addition, when the system 100 is stopped, the pressurizing unit 194 raises the support bar 157 to space the knife member 154 and the base roller 15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roller 152 and the take-out rollers 144 and 146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temperature knife member 154.

상기 완충부(196)는 회동부(192)의 회동 시 그 충역을 완화시킴으로써 칼부재(154) 및 베이스 롤러(15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쇽 옵서버가 이용된다.The buffer unit 196 is used to relieve the shock applied to the knife member 154 and the base roller 152 by alleviating the impact force when the rotating unit 192 rotates, and a normal shock absorber is used.

상기 칼부재(154)는 내부에 열선(154a)이 설치되어 약 600℃로 가열되도록 컨트롤 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칼부재(154)는 위치조절부재(155)에 의해 그 수평위치가 조절되어 칼블럭(153)에 설치된다. 칼블럭(153)의 양단은 칼프레임(159)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칼프레임(159)은 지지봉(157)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봉(157)은 가압부(194)에 연결되어 이동된다.The knife member 154 has a heating wire 154a installed therein and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o be heated to about 600°C. In addition, the knife member 154 is installed on the knife block 153 with its horizontal position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ment member 155. Both ends of the knife block 153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knife frame 159, and the knife frame 159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157. The support rod 157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194 and moves.

상기 칼부재(154)는 고온으로 작용하고, 특히, 고속으로 작업시 필름원단(122) 찌꺼지가 칼부재(154)의 칼날에 쉽게 달라붙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칼부재(154)를 청소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칼부재(154)는 칼블럭(153)과 함께 칼프레임(159)을 기준으로 90도 또는 180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칼블럭(153)에는 레버(153a)가 설치된다.The knife member 154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and in particular, when working at high speed, the residue from the film fabric 122 easily sticks to the blade of the knife member 154, so the knife member 154 must be cleaned at regular time intervals.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knife member 154, together with the knife block 153, b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by 90 degrees or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knife frame 159. For this purpose, a lever (153a) is installed on the knife block (153).

상기 받침부재(155b)는 칼부재(154)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칼부재(154)의 접촉력으로 인하여 베이스 롤러(15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upport member 155b is install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knife member 154 and prevents the base roller 152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contact force of the knife member 154.

상기 받침부재(155b)는, 도 4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롤러(152)에 선택적으로 접하면서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하는 지지부(155c)와, 수직 프레임(155d)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지지부(155c)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편심캠부(155e) 및 편심캠부(155e)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55f)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4 to 11, the support member 155b is supported by a support portion 155c that supports the base roller 152 while selectively contacting the base roller 152, and a vertical frame 155d. It is installed and includes an eccentric cam portion 155e that selectively raises the support portion 155c and a rotating portion 155f that rotates the eccentric cam portion 155e.

상기 지지부(155c)는 베이스 롤러(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칼부재(154)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부(155c)는 편심캠부(155e)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수직 왕복 이동하면서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한다. 즉, 칼부재(154)가 베이스 롤러(152)에 접함과 동시에 지지부(155c)는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하여 칼부제(154)의 접촉력으로 인하여 베이스 롤러(15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upport portion 155c is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he knife member 15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roller 152. The support portion 155c supports the base roller 152 while periodically vertically reciprocating by the eccentric cam portion 155e. That is, at the same time that the knife member 154 is in contact with the base roller 152, the support portion 155c supports the base roller 152 and prevents the base roller 152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contact force of the knife member 154. .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55c)의 상면 (155g)에는, 도 4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 롤러(152)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클리너(155h)가 구비된다. 클리너(155h)는 베이스 롤러(152)에 달라붙은 필름원단(122)의 찌꺼기를 제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클리너(155h)는 지지부(155c)가 하강한 경우에도 베이스 롤러(15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베이스 롤러(152)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155g of the support portion 155c is provided with a cleaner 155h installed to contact the base roller 152, as shown in FIGS. 4 and 10. The cleaner 155h removes residues from the film fabric 122 stuck to the base roller 152. More preferably, the cleaner 155h is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base roller 152 even when the support portion 155c is lowered. This is to keep the base roller 152 clean at all times.

아울러, 상기 클리너(155h)는 받침 부재(155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 롤러(152)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브러쉬(155i)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eaner 155h preferably includes a brush 155i installed to contact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roller 15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55b.

상기 편심캠부(155e)는 지지부(155c)의 하면(155j)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부(155c)를 주기적으로 수직 왕복 이동시킨다. 편심캠부(155e)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102)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 프레임(155d)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부(155f)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he eccentric cam portion 155e is install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155j of the support portion 155c and periodically vertically moves the support portion 155c. As shown in FIG. 10, the eccentric cam portion 155e is supported by a vertical frame 155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rame 102, and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rotating portion 155f.

상기 회전부(155f)는, 도 3,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편심캠 축(158a)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55k)와, 풀리(155k)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바꾸는 베벨 기어(155p)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3, 10, and 11, the rotating portion 155f includes a pulley 155k that receives driving force from the eccentric cam shaft 158a, and a bevel gear that vertically changes the rotating force of the pulley 155k. 155p) is provided.

상기 풀리(155k)는 편심캠 축(158a)과 연결된 벨트(155m)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편심캠(1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190)와 , 회동부(192)와, 가압부(194) 및 지지봉(157)을 통하여 칼부재(154)를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즉, 칼부재(154)가 베이스 롤러(152)에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부(155c)가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한다.The pulley 155k receives driving force through a belt 155m connected to the eccentric cam shaft 158a. As described above, the eccentric cam 158 periodically reciprocates the knife member 154 through the link part 190, the rotating part 192, the pressing part 194, and the support bar 157. That is, at the same time that the knife member 154 contacts the base roller 152, the support portion 155c supports the base roller 152.

상기 베벨 기어(155p)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풀리축(155n)에 설치되어 구동력의 방향을 수직으로 전환시킨다.As shown in FIG. 11, the bevel gear 155p is installed on the pulley shaft 155n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vertically.

베벨 기어(155p)에 의해 수직으로 방향 전환된 구동력은 편심캠부(155e)에 전달되어 지지부(155c)를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시킨다.The driving force vertically changed by the bevel gear 155p is transmitted to the eccentric cam portion 155e to periodically reciprocate the support portion 155c.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니트(160)는 절단 접착유니트(150)에 의해 절단 접착된 제품(162)을 배출시키는 배출 롤러(164)와, 배출 롤러(164)에 의해 이동되는 제품을 외부의 배출 트레이(166)로 이동시키기 위해 주행경로 상에 설치된 무한궤도를 주행하는 하부 컨베이어(168) 및 상부 컨베이어(169), 및 상기 컨베이어(168)(169)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모터(161)를 구비한다. 여기서, 컨베이어 구동모터(161)는 통상의 서보 전기모터가 이용되고 컨트롤 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니트(160)는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13033호 및 특허등록 제0351587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the conveyor unit 160 includes a discharge roller 164 that discharges the product 162 cut and bonded by the cutting and adhesive unit 150, and is moved by the discharge roller 164. The lower conveyor 168 and upper conveyor 169 run on an endless track installed on the travel path to move the product to the external discharge tray 166, and the conveyor drive that drives the conveyors 168 and 169. It is provided with a motor (161). Here, the conveyor drive motor 161 is a normal servo electric motor and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Since the conveyor unit 160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13033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51587,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15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한다. 상기 절단 접착 유니트(150)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100)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것이므로 롤원단 가공 시스템(100)의 작동 과정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150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150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100,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together.

먼저, 시스템(100)의 전원을 온(on)시켜 컨트롤 유니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인출 모터(142)는 컨트롤 유니트의 제어값에 따라 제품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저장 유니트(130)에 저장된 필름 원단(122)을 인출하기 위해 인출 롤러(144)(146)를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공급 모터(127a)는 공급 롤러(123)(125)를 구동시켜 저장 유니트(130)에 필름 원단(122)을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삼각대(128)에 의해 필름 원단(122)은 방향이 전환되면서 두 겹으로 접혀지게 되고 누름 롤러(127)(129)에 의해 눌려진다. 또한, 필름 원단(122)에는 접착액 도포수단(121)에 의해 접착액이 도포된 후 건조된다.First, turn on the power of the system 100 and input the necessary data into the control unit. The pull-out motor 142 rotates the pull-out rollers 144 and 146 to pull out the film fabric 122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o suit the length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control value of the control unit. At the same time, the supply motor 127a drives the supply rollers 123 and 125 to supply the film fabric 122 to the storage unit 130. In this process, the direction of the film fabric 122 is changed by the tripod 128 and folded into two layers, and is pressed by the pressing rollers 127 and 129. In addition,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film fabric 122 by the adhesive liquid application means 121 and then dried.

저장 유니트(130)에 저장된 필름 원단(122)을 인출하는 과정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13033호 및 특허등록 제0351587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film fabric 122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13033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51587, so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필름 원단(122)이 베이스 롤러(152)에 유입되면 컨트롤 유니트는 모터(156)를 작동시켜 지지봉(157)을 하강시킨다.When the film fabric 122 flows into the base roller 152,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motor 156 to lower the support rod 157.

그러면, 상승되어 있던 칼부재(154)가 하강되면서 필름원단(122)의 소정 부분을 절단 접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받침부재(155b)의 지지부(155c)가 상승하여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155c)에 구비된 클리너(155h)는 베이스 롤러(152)에 달라붙은 필름 원단(122)의 찌꺼기를 제거한다.Then, the raised knife member 154 is lowered to cut and bo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lm fabric 122.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ortion 155c of the support member 155b rises to support the base roller 152. In addition, the cleaner 155h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155c removes residues from the film fabric 122 stuck to the base roller 152.

즉, 모터(156)는 편심캠(158)을 회전시키게 되고, 편심캠(158)의 회전에 의해 링크부(190)가 소정 거리 왕복 이동한다. 그러면, 회동부(192)는 이러한 링크부(190)에 의해 소정 거리 회동되고, 가압부(194)는 회동부(192)의 회동력을 증가시켜 지지봉(157)을 승강시킨다. 지지봉(157)의 승강에 의해 칼프레임(159)이 승강하고 이에 결합 설치된 칼블럭(153) 및 칼부재(154)가 소정 주기로 왕복 운동 한다. 이 과정에서 인출 롤러(144)(146)는 필름 원단(122)을 다시 소정 간격 이동시킨다.That is, the motor 156 rotates the eccentric cam 158, and the link unit 190 moves back and forth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158. Then, the rotating part 192 is rot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link part 190, and the pressing part 194 increases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ting part 192 to raise and lower the support bar 157. The knife frame 159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elevation of the support bar 157, and the knife block 153 and the knife member 154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it reciprocate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this process, the take-out rollers 144 and 146 move the film fabric 122 aga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아울러, 받침부재(155b)의 지지부(155c)는 모터(15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칼부재(154)와 동일한 주기로 왕복 이동하면서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한다. 즉, 칼부재(154)가 베이스 롤러(152)에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부(155c)는 베이스 롤러(152)를 지지함으로써 베이스 롤러(152)의 변형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55c of the support member 155b receives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156 and supports the base roller 152 while reciprocating at the same cycle as the knife member 154. That is, at the same time that the knife member 154 contacts the base roller 152, the support portion 155c supports the base roller 152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se roller 152.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절단 접착된 제품(162)은 컨베이어 모터(161)에 의해 주행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168)(169)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 트레이(166)에 수납된다.The product 162 cut and bonded through this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a pair of conveyors 168 and 169 driven by the conveyor motor 161 and stored in the discharge tray 166.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50 : 절단 접착 유니트
120 : 공급 유니트
130 : 저장 유니트
140 : 인출 유니트
153a: 고정로드
154: 칼부재
1541: 몸체부
1543: 칼날부
1545, 1565: 요부
1546, 1566: 철부
1547: 휨방지요철부
1548: 열선
1549: 열선단자
1550: 열선부
1560: 휨방지캡부
1567: 휨방지캡요철부
160 : 컨베이어 유니트
1570: 가압부
1571: 지지대
1573: 가압볼트
10, 150: Cutting and adhesive unit
120: Supply unit
130: storage unit
140: withdrawal unit
153a: fixed rod
154: Knife member
1541: Body
1543: Blade Department
1545, 1565: seductress
1546, 1566: Iron Man
1547: Anti-bending convex part
1548: Heat ray
1549: Heated terminal
1550: Heating unit
1560: Bending prevention cap part
1567: Bending prevention cap uneven part
160: conveyor unit
1570: Pressurizing part
1571: Support
1573: Pressurizing bolt

Claims (5)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롤러; 및
소정 경로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베이스 롤러 위로 공급된 필름 원단을 절단함과 동시에 열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칼부재;를 포함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칼부재의 상부면에는 가열 시 상기 칼 부재의 휨 방지를 위한 휨방지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칼부재는,
칼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필름 원단을 절단함과 동시에 베이스 롤러와 상호 작용하여 열 압착에 의해 두 겹으로 접혀진 필름 원단을 접착시키도록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칼날부;
상기 몸체부의 칼등을 형성하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칼부재의 휨을 방지하는 상기 휨방지요철부;
상기 몸체부와 칼날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삽입되는 열선과 열선의 노출된 양단부에 형성되는 열선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열선부; 및
칼블럭에 칼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몸체부의 상부면에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3개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
A bas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and
In 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the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knife member reciprocally installed on the frame to cut and heat-compress the film fabric supplied onto the base roller while travel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 anti-bending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member to prevent bending of the knife member when heated,
The knife member is,
A body portion forming the body of the knife member;
a blade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to cut the film fabric and at the same time interact with the base roller to adhere the film fabric folded in two by heat compression;
The bending-prevention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blade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bending of the blade member;
a plurality of heating wire units including heating wires inserted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eating wire terminals formed on both exposed ends of the heating wires; and
A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three or more fixing parts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fix the knife member to the knife b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요철부는,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는 슬롯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들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부들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ti-bending convex portion,
It is made up of slots that form a recess and a convex part,
The slots are,
A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a roll fabric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area between the fixing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의 폭(또는 철부의 폭) 대 요부의 깊이(또는 철부의 높이)의 비는 1: 1.1~1.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절단 접착 유니트.The cutting and adhering unit of claim 3, wherein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or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to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is 1: 1.1 to 1.3. 삭제delete
KR1020210068963A 2021-05-28 2021-05-28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KR102609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63A KR102609890B1 (en) 2021-05-28 2021-05-28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63A KR102609890B1 (en) 2021-05-28 2021-05-28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33A KR20220160833A (en) 2022-12-06
KR102609890B1 true KR102609890B1 (en) 2023-12-04

Family

ID=8440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63A KR102609890B1 (en) 2021-05-28 2021-05-28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598A (en) * 1998-09-03 2000-03-21 Nippon Daisuchiiru Kk Punching blade for punching sheet
JP2002283279A (en) 2001-03-22 2002-10-03 Ee R C Kk Packing film cutter
KR200359749Y1 (en) * 2004-06-05 2004-08-21 서성운 Cutting/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033B1 (en) 1999-07-27 2001-11-07 서성운 A system of processing rolling film for package
KR100351587B1 (en) 1999-07-27 2002-09-10 서성운 A cutting/bonding unit of rolling film processing system for pack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598A (en) * 1998-09-03 2000-03-21 Nippon Daisuchiiru Kk Punching blade for punching sheet
JP2002283279A (en) 2001-03-22 2002-10-03 Ee R C Kk Packing film cutter
KR200359749Y1 (en) * 2004-06-05 2004-08-21 서성운 Cutting/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33A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7482A (en) Apparatus for severing and heat sealing sheets of thermoplastic material
JP3466000B2 (en) Stac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33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igarette packs
JP2685406B2 (en) Equipment for improving the uniformity of sizing in the corrugated paperboard manufacturing process
JP61504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bag
JP4235364B2 (en) Folding box bonding machine for making folding boxes from cut pieces
CN113478943B (en) Special high-efficient preparation system of honeycomb curtain
KR102609890B1 (en) Cutting 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AU701604B2 (en) Double facer
JP20115163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bag having a fabric consisting of stretched plastic small bands
US20120079932A1 (en) Paperboard slitter machine
JP2006518320A (en) Tool holder device for working with glass
JPS6238205B2 (en)
KR100313033B1 (en) A system of processing rolling film for package
KR200359749Y1 (en) Cutting/attaching unit for roll processing system
JPH029618A (en) Processing machine of endless panel composed of plastic material
CN111572188B (en) Stamping machine
KR100351587B1 (en) A cutting/bonding unit of rolling film processing system for package
CN112172243B (en) Carton enclosing frame forming device and method
KR101501493B1 (en) Roll bathroom tissue rapid dry Device
KR100351588B1 (en) A side sealing machine capable of adhering zipper
JP2000334846A (en) Three-dimensional molding machine
CN113799432B (en) Automatic three-dimensional box folding machine and box folding method
KR200201884Y1 (en) A side sealing machine capable of adhering zipper
CN215550866U (en) Vacuum plastic uptake device and feed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