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845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845B1
KR102609845B1 KR1020210167410A KR20210167410A KR102609845B1 KR 102609845 B1 KR102609845 B1 KR 102609845B1 KR 1020210167410 A KR1020210167410 A KR 1020210167410A KR 20210167410 A KR20210167410 A KR 20210167410A KR 102609845 B1 KR102609845 B1 KR 10260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hotocatalyst
flow path
air
intern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0040A (ko
Inventor
김효동
송영관
문철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8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개구와,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배출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와, 상기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을 제공하는 발광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는 광촉매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광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샤프트와 축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동암; 및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암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형의 루프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여기광을 상기 필터 조립체에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갖는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먼지, 기타 오염물에 의해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함과 함께,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필터, 송풍팬, 기타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하우징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대한 집진 및 살균을 실시하기 위하여, 공기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필터와,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을 이용해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는 광촉매 필터와, 광촉매 필터에 코팅된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을 제공하는 발광 소자들 등을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 들어, 살균 및 탈취에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바,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광촉매 필터의 면적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대면적을 갖는 광촉매 필터의 전체 영역에 여기광을 고르게 제공하기 위하여, 발광 소자들의 설치 개수도 함께 증가되고 있다. 이처럼 발광 소자들의 설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종래에는 발광 소자들로 인해 공기청정기의 발열, 소비 전력 및 제조 원가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촉매 필터에 코팅된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발광 소자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개구와,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배출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와, 상기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을 제공하는 발광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는 광촉매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광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샤프트와 축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동암; 및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암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형의 루프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여기광을 상기 필터 조립체에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광촉매가 코팅되는, 광촉매 필터; 상기 광촉매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는 필터 가이드를 갖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광촉매 필터와 대면하도록, 상기 회동암의 일면에 상기 샤프트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촉매 필터는, 미리 정해진 외경 및 내경을 갖고, 중심부에 바이패스홀이 형성되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 가이드 및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며,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는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광촉매 모듈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가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라켓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는 발광기 가이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기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기 가이드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프레임은, 당해 고정 프레임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심부에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지지바를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기는, 상기 회동암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를 향한 일면에 상기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을 더 갖는다.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광촉매 필터의 전체 영역에 여기광을 조사하기 위해 다수의 발광 소자들을 배치할 필요 없이, 원형 루프를 따라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만을 이용해 광촉매 필터의 전체 영역에 여기광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다. 이에, 공기청정기는,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발광 소자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발광 소자로 인한 공기청정기의 발열, 소비 전력 및 제조 원가 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하우징과 커버 판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공기청정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필터 감지 센서와 판넬 감지 센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광촉매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청정기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커버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광촉매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Ⅱ-Ⅱ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의 평면도.
도 14는 발광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광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광기로부터 필터 조립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회동암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하우징과 커버 판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공기청정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필터 감지 센서와 판넬 감지 센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광촉매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청정기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커버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내부 유로(10a)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외부의 공기(A)를 내부 유로(10a)로 안내하는 흡입홀들(22)이 형성된 커버 판넬(20)과, 내부 유로(10a)로 안내된 공기(A)에 포함된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필터(30)와,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내부 유로(10a)로 안내된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는 광촉매 모듈(40)과,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50)과,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유닛(60)과,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모듈(70)과, 공기청정기(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하우징(10)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한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A)를 집진 필터(30) 및 광촉매 모듈(40)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한 후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 토출홀들(62b)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는 타워형 공기청정기로 구성되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공기청정기(1)가 타워형 공기청정기로 구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우징(10)은, 공기청정기(1)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우징(1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1)와,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본체(12)와, 하우징 본체(1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11)와 하우징 본체(12)를 연결하는 지지대(13)와, 커버 판넬(20)을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바(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A)가 후술할 토출 유닛(60)의 토출홀들(62b)을 향해 유동하는 내부 유로(10a)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 유로(10a)는, 지지대들(13)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0) 하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A)가 유동하는 제1 내부 유로(10b)와, 하우징 본체(12)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0) 상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제1 내부 유로(10b)를 통과한 공기(A)가 유동하는 제2 내부 유로(1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는, 공기청정기(1)에 설치되는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베이스(11)에는, 후술할 집진 필터(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착 플레이트(11a)와, 안착 플레이트(11a)에 안착된 필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 감지 센서(11b)와, 커버 판넬(20)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판넬 감지 센서(11c)와, 공기청정기(1)를 지면을 따라 이송하기 위하 바퀴들(11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11a)는, 당해 안착 플레이트(11a)의 상면에 집진 필터(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11)의 상면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안착 플레이트(11a)는, 집진 필터(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집진 필터(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집진 필터(30)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 안착 플레이트(11a)는, 집진 필터(3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집진 필터(30)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외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 감지 센서(11b)는, 안착 플레이트(11a)의 상면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안착된 집진 필터(3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안착 플레이트(11a)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 감지 센서(11b)는, 집진 필터(30)의 자중에 의해 눌림에 따라 집진 필터(30)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넬 감지 센서(11c)는, 하우징(10)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된 커버 판넬(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안착 플레이트(11a)의 상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안착 플레이트(11a)가 베이스(11)의 상면의 중심부에 설치된 경우에, 판넬 감지 센서(11c)는, 안착 플레이트(11a)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베이스(11)의 상면의 외곽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판넬 감지 센서(11c)는,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설치된 커버 판넬(20)의 자중에 의해 눌림에 따라 커버 판넬(20)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감지 센서(11b) 및 판넬 감지 센서(11c)는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제어기(80)는, 집진 필터(30)와 커버 판넬(20)이 모두 정위치로 설치되었음을 알리는 감지 신호가 필터 감지 센서(11b) 및 판넬 감지 센서(11c)로부터 전달된 경우에만, 광촉매 모듈(40)의 구동 모터(42b) 및 발광기(42)와, 송풍 유닛(50)의 구동 모터(54) 등의 부하물을 구동함으로써, 부하물의 ON/OFF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2)는, 하우징 본체(12)의 하부를 구성하며,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공기(A)를 제2 내부 유로(10c)로 안내하는 제1 파트(15)와, 제1 파트(15)를 통해 제2 내부 유로(10c)에 유입된 공기(A)를 송풍 유닛(50)으로 안내하도록 제1 파트(15)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파트(16)와, 하우징 본체(12)의 상부를 구성하며,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안내하는 제3 파트(17)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트(15)는, 제1 내부 유로(10b)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광촉매 모듈(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홀(15a)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내부 유로(10b)를 통과한 공기(A)는, 모듈 삽입홀(15a)에 삽입된 광촉매 모듈(40)을 통과한 후 제2 내부 유로(10c)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트(16)는, 제1 파트(15)의 내부에 공기청정기(1)의 높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제2 파트(16)는, 송풍 유닛(50)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2 파트(16)는, 광촉매 모듈(40)을 통과한 공기(A)를 송풍 유닛(50)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트(16)는, 후술할 송풍 유닛(50)의 구동 모터(54)가 장착되는 모터 브라켓(16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모터 브라켓(16a)은 결합 리브(16b)에 의해 제2 파트(16)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17)는, 제1 파트(15)에 공기청정기(1)의 높이 방향으로 결합된다. 제3 파트(17)는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개구(17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파트(17)는 송풍 유닛(50)을 둘러싸도록 송풍 유닛(5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 파트(17)의 하부는, 배출 개구(17a)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파트(17)는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배출 개구(17a)를 통해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는 하우징 본체(1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11)와 제1 파트(15) 사이에 마련된다. 지지대(13)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지지대들(13)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들(13) 사이에는,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과 제1 내부 유로(10b)를 연통시키는 유입 개구들(1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 개구들(13a)에 의하면,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A)는 유입 개구들(13a)을 통해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14)는 공기청정기(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특히, 고정바(14)는, 지지대들(13)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바(14)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커버 판넬(20)이 설치되는 경우에, 한 쌍의 고정바들(14)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바(14)는, 후술할 커버 판넬(20)의 결합 후크들(24) 중 어느 하나가 각각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후크홈들(14a)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 판넬(20)은 하우징 본체(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함께, 외부의 공기(A)를 내부 유로(10a)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은,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커버 판넬(20)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커버 판넬(20)이 고정바들(14)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판넬(20)은, 공기(A)가 통과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고, 유입 개구(13a)와 연통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되는 다수의 흡입홀들(2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송풍 유닛(50)이 구동될 때, 유입 개구(13a) 및 유입 개구(13a)와 연통된 흡입홀들(22)에는 흡입력이 인가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홀들(22)에 흡입된 공기(A)는, 유입 개구(13a)를 통해 제1 내부 유로(10b)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은, 고정바(14)의 후크홈들(14a) 어느 하나와 각각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 후크들(24)과, 결합 후크들(24)이 후크홈들(14a)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후크 결합된 경우에 베이스(11)의 판넬 감지 센서(11c)를 눌러주도록 내주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감지 리브(26)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결합 후크들(24)을 이용해 커버 판넬(20)을 하우징(10)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고, 감지 리브(26)를 이용해 판넬 감지 센서(11c)를 눌러 줌으로써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감지 신호를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잇다.
다음으로, 집진 필터(30)는,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집진 필터(30)로서 사용 가능한 필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A)에 포함된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들이 집진 필터(3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 필터(30)는 활성탄 필터와 헤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필터(30)는 지지대들(13)의 내측에서 유입 개구(13a)를 커버하도록 제1 내부 유로(10b)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유로(10b)가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 집진 필터(30)는 제1 내부 유로(10b)의 직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개구(13a)를 통해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는 집진 필터(30)를 필수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집진 필터(30)는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를 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촉매 모듈(40)은,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이용해, 제1 내부 유로(10b)를 통과한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은,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공기(A)가 당해 광촉매 모듈(40)을 통과하도록, 제1 파트(15)의 모듈 삽입홀(15a)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공기(A)는, 광촉매 모듈(40)에서 살균 및 탈취된 후, 제2 내부 유로(10c)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모듈(40)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송풍 유닛(50)은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송풍 유닛(5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유닛(50)은,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를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송풍팬(52)과, 송풍팬(52)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54)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송풍 유닛(50)은, 광촉매 모듈(40)과 배출 개구(17a)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가 타워형 공기청정기로 구성되는 경우에, 송풍 유닛(50)은, 광촉매 모듈(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52)으로서 사용 가능한 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풍팬(52)은 축 방향으로 흡입한 공기(A)를 방사형으로 토출하는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52)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52a)과, 블레이드들(52a)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52c, 52d)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 플레이트(52c, 5d)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풍팬(52)은, 블레이드들(52a)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안내 플레이트(52c)와, 블레이드들(52a)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 안내 플레이트(52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내 플레이트(52c) 및 제2 안내 플레이트(52d)는, 배출 개구(17a) 쪽으로 갈수록 제2 내부 유로(10c)의 내주면을 향하게 경사진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모터(54)는, 송풍팬(52)과 유입 개구(13a)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팬(52)과 광촉매 모듈(40) 사이에 위치하되 샤프트(54a)가 배출 개구(17a) 쪽으로 돌출되도록,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 모터(54)는, 배출 개구(17a) 쪽에서 송풍팬(52)을 바라봤을 때 송풍팬(52)에 의해 가려지도록 송풍팬(52)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54a)는, 송풍팬(52)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송풍팬(52)의 샤프트홀(52b)에 축 결합된다. 또한, 샤프트홀(52b)의 관통한 샤프트(54a)의 단부에는 송풍팬(52)이 샤프트(54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캡(56)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터(54)는,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가 유입 개구(13a) 쪽에서 배출 개구(17a) 쪽을 향해 강제 유동하도록, 송풍팬(52)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유입 개구(13a) 및 유입 개구(13a)와 연통된 흡입홀들(22)에는 외부의 공기(A)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인가되고, 송풍팬(52)에 의해 송풍된 공기(A)는 배출 개구(17a)를 향해 송풍된 후 토출 유닛(6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통해 송풍팬(52)은, 공기청정기(1)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공기청정기(1)에 사이에서 공기(A)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토출 유닛(60)은, 송풍팬(52)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토출 유닛(6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유닛(60)은, 토출 그릴(62)과, 가이드 베인(64)과, 보조 그릴(6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토출 그릴(62)은, 배출 개구(17a)에 도달한 공기(A)를 외부로 토출함과 함께, 오염물, 기타 액상 또는 고상의 외부 물체가 배출 개구(17a)를 통해 내부 유로(10a)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그릴(62)은, 입출력 모듈(70)이 안착되는 모듈 안착홈(62a)과, 배출 개구(17a)에 도달한 공기(A)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홀들(62b)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베인(64)은, 송풍팬(52)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미리 정해진 양상으로 토출 그릴(62)에 전달하는 다수의 베인 날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그릴(66)은, 토출 그릴(62)을 통과한 외부 물체의 잔여물이 내부 유로(1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 그릴(66)은 토출 그릴(62)의 토출홀들(62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다수의 통공들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입출력 모듈(70)은, 공기청정기(1)를 제어하거나 공기청정기(1)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들을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모듈(70)은, 토출 그릴(62)의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출력 모듈(70)은, 공기청정기(1)를 이용해 공기(A)를 정화할 경우에는 토출 그릴(62)에 안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 부품들의 청소, 교체, 기타 배출 개구(17a)의 개방이 필요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토출 그릴(62)을 배출 개구(17a)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토출 그릴(6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 모듈(7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70)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부재(미도시)와,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형성되는 출력 부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 부재를 이용해 입력 가능한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부재는,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기타 각종의 정보를 제어기에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입력 부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과, 터치스크린 등을 가질 수 있다.
출력 부재를 이용해 출력 가능한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력 부재는, 공기청정기(1)의 구동 상태, 공기청정기(1)가 설치된 실내 환경, 기타 각종의 정보를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출력 부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력 부재는, 정보를 영상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음성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입력 부재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광촉매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Ⅱ-Ⅱ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의 평면도이다.
광촉매 모듈(4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은,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41)와, 필터 조립체(41)에 코팅된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UV)을 제공하는 발광기(42)와, 발광기(42)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필터 조립체(41)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조사되도록, 필터 조립체(41) 및 발광기(42)를 각각 내부 유로(10a)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광촉매 모듈(40)은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은 집진 필터(30)와 송풍 유닛(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필터 조립체(41)는 발광기(42)를 기준으로 배출 개구(17a)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발광기(42)는 이처럼 배출 개구(17a)의 반쪽 쪽에 위치한 필터 조립체(41)를 향해 여기광(UV)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 조립체(41)와 발광기(42)의 위치 관계에 의하면, 발광기(42)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배출 개구(17a)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방출된 여기광(UV)으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모듈(40)은 집진 필터(30)를 통과한 공기(A)를 전달받는 바, 집진 필터(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필터(30)가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 광촉매 모듈(40)은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모듈(40)의 설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41)는 고정 브라켓(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제1 파트(15)의 모듈 삽입홀(15a)에 삽입되고, 발광기(42)는 여기광(UV)을 필터 조립체(41)에 조사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4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43)의 어느 일부분은 제1 파트(15)와 제2 파트(16)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브라켓(43)의 다른 일부분은 필터 조립체(41)를 지지하는 상태로 제1 파트(15)의 모듈 삽입홀(15a)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41)는,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되는 광촉매 필터(44)와, 광촉매 필터(44)가 수용되는 필터 가이드(45)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43)은, 발광기(42)가 결합되며, 제1 파트(15)와 제2 파트(16)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라켓(48)과, 필터 조립체(41)의 필터 가이드(45)가 결합되며, 필터 조립체(41)의 광촉매 필터(44)와 발광기(42)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제1 고정 브라켓(48)에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라켓(49) 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필터 조립체(41)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44)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외경 및 내경을 갖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촉매 필터(44)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된 다각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처럼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내부 유로(10b)로부터 광촉매 모듈(40)에 도달된 공기(A) 중 어느 일부는 광촉매 필터(44)를 통과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홀(44a)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한편, 광촉매 필터(44)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광촉매 필터(44)는 바이패스홀(44a)이 생략된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광촉매 필터(44)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촉매 필터(44)는 필터 가이드(45)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파트(15)의 모듈 삽입홀(15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모듈 삽입홀(15a)의 직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한, 광촉매 필터(44)는, 제1 내부 유로(10b)로부터 광촉매 모듈(40)에 도달된 공기(A) 중 미리 정해진 비율의 공기(A)가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할 수 있도록 외경에 비해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내경을 갖는다.
또한, 광촉매 필터(44)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단위 필터들(44b)로 구성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에, 단위 필터들(44b)은 각각 미리 정해진 원호 각도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필터들(44b)은,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G)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필터 가이드(45)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단위 필터들(44b)이 서로 접촉됨으로 인해 단위 필터들(44b)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필터들(44b)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단위 필터들(44b)에 코팅 가능한 광촉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 이산화티타늄(TiO2) 등이 광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자신이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바,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은, 자신이 빛을 흡수하면서 촉매 자신이 분해되는 단점을 갖고 있어, 광촉매로서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광촉매가 단위 필터들(44b)에 코팅됨에 따라, 발광기(42)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단위 필터들(44b)에 조사되어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이 활성화되면, 공기(A) 중의 산소(O2) 및 수증기(H2O)로부터 오존(O3) 및 수산화 라디칼(예: 수산기, OH 라디칼, 하이드록시 라디칼)이 생성된다. 이처럼 발생된 수산화 라디칼은, 단위 필터들(44b) 및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하는 공기(A)와 혼합된 후 공기(A)에 포함된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함으로써,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수산화 라디칼의 생성 과정과 살균 및 탈취 작용은 널리 알려진 바, 이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터 가이드(45)는 광촉매 필터(44)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광촉매 필터(44)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필터 가이드(45)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가이드(45)는, 제1 필터 가이드(46), 제2 필터 가이드(47) 등 서로 합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파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필터 가이드(46)는, 광촉매 필터(44)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필터 가이드(46)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1 필터 가이드(46)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필터 가이드(46)는, 광촉매 필터(44)의 상부가 제1 필터 가이드(46)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광촉매 필터(44)의 외경 및 내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외경 및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 가이드(46)는, 제1 관통홀(46a)과, 제1 연통홀(46b)과, 제1 유입 그릴(46c)과, 제1 결합 후크들(46d)과, 제2 결합 후크들(46e)과, 제3 결합 후크들(46f)과, 제1 지지 리브들(46g)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통홀(46a)은 제1 필터 가이드(46)의 중심부에 광촉매 필터(44)의 바이패스홀(44a)과 합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연통홀(46b)은 광촉매 필터(44)와 연통되도록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는 제1 필터 가이드(46)의 외곽부에 형성된다. 제1 유입 그릴(46c)은 격자 구조 또는 방사형 구조를 갖도록 제2 관통홀(47a)에 형성된다.
제1 결합 후크들(46d)은 제1 필터 가이드(46)의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두고 돌출 형성된다. 제2 결합 후크들(46e)은 제1 관통홀(46a)의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제3 결합 후크들(46f)은, 제1 결합 후크들(46d)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제1 필터 가이드(46)의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제1 지지 리브들(46g)은, 제1 필터 가이드(46)의 외곽부의 하면에 단위 필터들(44b)의 설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단위 필터들(44b)의 원호 각도와 동일한 원호 각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이에, 제1 지지 리브들(46g)은 각각, 단위 필터들(44b)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단위 필터들(44b) 사이의 간격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됨으로써, 단위 필터들(44b)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 가이드(46)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특히, 공기(A)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유입 그릴(46c)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1 필터 가이드(46)에 코팅된 광촉매에서 광화학 반응이 발생함으로써,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필터 가이드(47)는, 광촉매 필터(44)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필터 가이드(47)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2 필터 가이드(47)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필터 가이드(47)는, 광촉매 필터(44)의 하부가 제2 필터 가이드(4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광촉매 필터(44)의 외경 및 내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외경 및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 가이드(47)는, 제2 관통홀(47a)과, 제2 연통홀(47b)과, 제2 유입 그릴(47c)과, 제1 돌출 리브들(47d)과, 제2 돌출 리브들(47f)과, 걸림 리브(47h)와, 제4 결합 후크들(47i)과, 볼트홀(47j)과, 제2 지지 리브들(47k)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통홀(47a)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중심부에 광촉매 필터(44)의 바이패스홀(44a)과 합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통홀(47b)은 광촉매 필터(44)와 연통되도록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는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곽부에 형성된다. 제2 유입 그릴(47c)은 격자 구조 또는 방사형 구조를 갖도록 제2 관통홀(47a)에 형성된다.
제1 돌출 리브들(47d)은 배출 개구(17a)를 향해 돌출되도록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출 리브들(47d) 각각에는 제1 결합 후크(46d)가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1 후크홈(47e)이 형성된다.
제2 돌출 리브들(47f)은 배출 개구(17a)를 향해 돌출되도록 제2 관통홀(47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돌출 리브들(47f) 각각에는 제2 결합 후크(46e)가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2 후크홈(47g)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돌출 리브들(47d) 및 제2 돌출 리브들(47f)은 각각, 제1 결합 후크들(46d) 및 제2 결합 후크들(46e)이 후술할 제1 후크홈들(47e) 및 제2 후크홈들(47g)에 동시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결합 후크들(46d) 및 제2 결합 후크들(46e)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형성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걸림 리브(47h)는 후술할 제2 고정 브라켓(49)의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4 결합 후크들(47i)은 배출 개구(17a)를 향해 돌출되도록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특히, 제4 결합 후크들(47i)은, 제1 필터 가이드(46)와 제2 필터 가이드(47)의 결합 시 제3 결합 후크들(46f)과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제3 결합 후크들(46f)로부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홀(47j)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지지 리브들(47k)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곽부의 상면에 단위 필터들(44b)의 설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단위 필터(44b)의 원호 각도와 대응하는 원호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이에, 제2 지지 리브들(47k)은 각각, 단위 필터들(44b)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단위 필터들(44b) 사이의 간격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됨으로써, 단위 필터들(44b)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특히, 공기(A)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2 유입 그릴(47c)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2 필터 가이드(47)에 코팅된 광촉매에서 광화학 반응이 발생함으로써,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필터 가이드(46) 및 제2 필터 가이드(47)는, 결합 후크들(46d, 46e)과 후크홈들(47e, 47g)의 후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44)는 제1 필터 가이드(46) 및 제2 필터 가이드(47)가 합치되어 형성되는 필터 가이드(4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고정 브라켓(48) 및 제2 고정 브라켓(49)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브라켓(48)은, 브라켓 본체(48a)와, 발광기 가이드(48b) 등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본체(48a)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에, 브라켓 본체(48a)는 필터 가이드(45)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브라켓 본체(48a)는 외곽부가 하우징 본체(12)의 제1 파트(15)와 제2 파트(16)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48a)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볼트홀(48c)을 가질 수 있다. 제1 볼트홀(48c)은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기 가이드(48b)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에, 발광기 가이드(48b)는 광촉매 필터(44)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외경 및 광촉매 필터(44)의 내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기 가이드(48b)는, 필터 조립체(41)가 제2 고정 브라켓(49)에 결합되었을 때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할 수 있도록, 브라켓 본체(48a)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 본체(48a)는, 발광기 가이드(48b)를 브라켓 본체(48a)에 고정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리브들(48d)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고정 리브들(48d) 사이 간격에는, 필터 조립체(41)로부터 전달된 공기(A)가 통과될 수 있는 유로홀(48e)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 가이드(48b)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도록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는 하면에 요입 형성되며, 후술할 발광기(42)의 고정 프레임(42a)이 고정되는 고정홈(48f)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48f)은, 고정 프레임(42a)이 끼움 결합되거나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브라켓(49)은, 필터 삽입홀(49a)과, 제2 볼트홀(49b)과, 걸림홈(49c)과, 제3 후크홈들(49d)과, 제4 후크홈들(49e)과, 리브홈들(49f)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 브라켓(49)은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2 고정 브라켓(49)은 필터 가이드(45)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필터 가이드(45)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브라켓(49)은, 필터 가이드(45)에 수용된 광촉매 필터(44)와 발광기 가이드(48b)에 결합된 발광기(42)의 발광 소자(42e)가 미리 정해진 기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기준 거리는, 발광 소자(42e)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단위 필터들(44b)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필터 가이드(45)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는 단위 필터들(44b)에 여기광(UV)이 집중적으로 조사됨으로써,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삽입홀(49a)은 제2 고정 브라켓(49)의 중심부에 해당된다. 이러한 필터 삽입홀(49a)에는 필터 가이드(45)의 외주면이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과 대면하도록 필터 조립체(4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볼트홀(49b)은 제1 고정 브라켓(48)의 제1 볼트홀(48c)과 합치될 수 있도록 제2 고정 브라켓(49)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 볼트홀(49b)은 제1 볼트홀(48c)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볼트홀들(48c)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1 볼트홀들(48c)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 볼트홀들(49b)이 제1 볼트홀들(48c)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고정 브라켓(43)이 마련됨에 따라, 제1 볼트홀들(48c)과 제2 볼트홀들(49b)이 서로 합치되도록 제1 고정 브라켓(48) 및 제2 고정 브라켓(49)을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합치된 제1 볼트홀들(48c) 및 제2 볼트홀들(49b)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고정 브라켓(48) 및 제2 고정 브라켓(49)을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고정 브라켓(49) 및 제2 고정 브라켓(49)에 결합된 필터 조립체(41)는, 제1 고정 브라켓(48)에 의해 제2 내부 유로(10c)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49c)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걸림 리브(47h)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특히, 걸림홈(49c)은, 당해 걸림홈(49c)에 삽입된 걸림 리브(47h)가 당해 걸림홈(49c)의 바닥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후크홈들(49d)은, 제1 필터 가이드(46)의 제3 결합 후크들(46f)이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제3 결합 후크들(46f)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제3 결합 후크들(46f)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4 후크홈들(49e)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제4 결합 후크들(47i)이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제4 결합 후크들(47i)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제4 결합 후크들(47i)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홈들(49d, 49e) 및 결합 후크들(46f, 47i)은, 걸림 리브(47h)가 걸림홈(49c)에 걸림된 상태에서, 결합 후크들(46f, 47i)을 후크홈들(49d, 49e)에 후크 결합하거나 결합 후크들(46f, 47i)을 후크홈들(49d, 49e)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후크홈들(49d, 49e)과 결합 후크들(46f, 47i)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 리브(47h)가 걸림홈(49c)에 걸림된 상태에서,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에 결합하거나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리브홈들(49f)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제1 돌출 리브들(47d) 중 어느 하나가 당해 리브홈들(49f)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돌출 리브들(47d)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와 제1 돌출 리브들(47d)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특히, 리브홈들(49f)은, 필터 조립체(41)가 필터 삽입홀(49a)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될 때, 제1 돌출 리브들(47d)의 상단부가 광촉매 필터(44)의 두께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리브홈들(49f)은, 필터 조립체(41)가 필터 삽입홀(49a)에 상기 미리 정해진 깊이를 초과하여 과삽입되지 않도록 필터 조립체(4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고정 브라켓(49)에 의하면, 필터 조립체(41)가 필터 삽입홀(49a)에 삽입할 때 걸림 리브(47h)를 걸림홈(49c)에 삽입함과 함께 결합 후크들(46f, 47i)을 후크홈들(49d, 49e)에 후크 결합함으로써,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필터 조립체(41)가 설치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42e)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필터 조립체(41)에 조사되는 상태에서, 제1 내부 유로(10b)에서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필터 조립체(41)에 도달된 공기(A)는 필터 조립체(41)를 통과한 후 제2 내부 유로(10c)로 유입된다. 그러면, 필터 조립체(41)에 코팅된 광촉매는 여기광(UV)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활성화되고, 필터 조립체(41)를 통과하는 공기(A)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에 의해 살균 및 탈취된다.
한편, 필터의 집진 성능은 내부 유로(1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A)에 대한 유로 저항에 영향을 받는 바, 광촉매 필터(44)의 설치로 인해 내부 유로(1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A)에 대한 유로 저항이 증가하면 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필터 조립체(41)의 광촉매 필터(44)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된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41)에 도달된 공기(A)의 어느 일부는 단위 필터들(44b)을 통과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광촉매 필터(44)를 광촉매 모듈(40)에 적용하면,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원반 형상의 광촉매 필터를 광촉매 모듈에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촉매 필터(44)로 인해 야기되는 유로 저항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촉매 모듈(40)은, 광촉매 필터(44)로 인한 필터의 집진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 가이드(45)의 관통홀들(46a, 47a)에는 광촉매가 코팅된 유입 그릴들(46c, 47c)이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하는 공기(A)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유입 그릴들(46c, 47c)에 의하면,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광촉매 필터(44)를 광촉매 모듈(40)에 적용함에 따른 수산화 라디칼의 생성량 감소분이 보충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공기(A)의 살균 및 탈취에 적정한 수준의 수산화 라디칼의 생성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4는 발광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광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광기로부터 필터 조립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회동암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42)는, 제1 고정 브라켓(48)에 구비된 발광기 가이드(48b)의 고정홈(48f)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프레임(42a)과, 고정 프레임(42a)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42b)와, 구동 모터(42b)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동암(42c)과, 회동암(42c)을 따라 회전되도록 회동암(42c)에 결합되는 기판(42d)과,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여기광(UV)을 필터 조립체(41)에 조사 가능하도록 기판(42d)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42e)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42a)은, 고정홈(48f)의 외경 및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 및 내경을 갖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고, 고정홈(48f)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42a)을 고정홈(48f)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42a)은, 고정홈(48f)에 끼움 결합하거나 볼트 결합하여 고정홈(48f)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42a)은, 당해 고정 프레임(42a)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며, 구동 모터(42b)가 고정되는 지지바(42f)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모터(42b)는, 고정 프레임(42a)의 중심부, 달리 말하면 광촉매 모듈(4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바(42f)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42b)는 배출 개구(17a)를 향한 지지바(42f)의 상면의 중심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는 단부가 지지부를 관통하여 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도 11 참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암(42c)은, 구동 모터(42b)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바(42f)를 관통한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의 단부와 축 결합된다. 특히, 회동암(42c)은, 외팔보 형태를 이루도록, 일측 단부가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와 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암(42c)을 샤프트(42g)와 축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2g)의 단부가 회동암(42c)을 관통하도록 회동암(42c)을 설치하고, 회동암(42c)을 관통한 샤프트(42g)의 단부에 샤프트(42g)와 회동암(42c)을 체결하기 위한 너트(42h)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샤프트(42g)와 회동암(42c)을 축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암(42c)은,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와 축 결합된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구동 모터(42b)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2d)은 제2 고정 브라켓(49)에 고정된 필터 조립체(41)와 대면하도록 회동암(42c)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기판(42d)은, 필터 조립체(41)와 예각을 이루도록 회동암(42c)의 하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기판(42d)은, 전선, 단자 등을 통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발광 소자(42e)에 연결할 수 있다.
발광 소자(42e)는, 필터 조립체(41)의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도록, 기판(42d)의 하면에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실장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소자(42)는, 여기광(UV)과 광촉매 필터(44)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여기광(UV)을 광촉매 필터(44)에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42d)이 필터 조립체(41)와 예각을 이루도록 회동암(42c)의 하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에, 발광 소자(42e)는. 여기광(UV)을 광촉매 필터(44)에 예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기판(42d)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42e)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42e)가 기판(42d)의 하면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42e)는, 자체적으로 살균 효과를 갖는 자외선을 여기광(UV)으로서 발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소자(42e)는, 자외선 이외에도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발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42e)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발광 소자(42e)가 설치되는 경우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42e)는 구동 모터(42b)가 회전될 때 회동암(42c)을 따라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러면, 발광 소자(42e)는, 구동 모터(42b)의 샤프트(42g)와 발광 소자(42e) 사이의 거리를 직경으로 하는 원형 루프를 따라 이송하면서, 광촉매 필터(44)의 전체 영역과 반복적으로 대면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발광 소자(42e)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은, 광촉매 필터(44) 및 광촉매 필터(44)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41)에 조사되고, 필터 조립체(41)에 코팅된 광촉매는 여기광(UV)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활성화됨으로써 수산화 라디칼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발광기(42)에 의하면, 필터 조립체(41)의 전체 영역에 여기광(UV)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수의 발광 소자(42e)를 배치할 필요 없이, 원형 루프를 따라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42e)만을 이용해 필터 조립체(41)의 전체 영역에 여기광(UV)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다. 이에, 공기청정기(1)는,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발광 소자(42e)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발광 소자(42e)로 인한 공기청정기(1)의 발열, 소비 전력 및 제조 원가 등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공기청정기
10 : 하우징 11 : 베이스
12 : 하우징 본체 13 : 지지대
14 : 고정바 15 : 제1 파트
16 : 제2 파트 17 : 제3 파트
20 : 커버 판넬 22 : 흡입홀
24 : 결합 후크 26 : 감지 리브
30 : 집진 필터
40 : 광촉매 모듈 41 : 필터 조립체
42 : 발광기 43 : 고정 브라켓
44 : 광촉매 필터 45 : 필터 가이드
46 : 제1 필터 가이드 47 : 제2 필터 가이드
48 : 제1 고정 브라켓 49 : 제2 고정 브라켓
50 : 송풍 유닛 52 : 송풍팬
54 : 구동 모터 56 : 이탈 방지 캡
60 : 토출 유닛 62 : 토출 그릴
64 : 가이드 베인 66 : 보조 그릴
70 : 입출력 모듈 A : 공기
UV : 여기광

Claims (9)

  1.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개구와,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배출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와, 상기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을 제공하는 발광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는 광촉매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샤프트와 축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동암; 및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암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형의 루프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여기광을 상기 필터 조립체에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광촉매가 코팅되는, 광촉매 필터;
    상기 광촉매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는 필터 가이드를 갖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광촉매 필터와 대면하도록, 상기 회동암의 일면에 상기 샤프트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공기 청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미리 정해진 외경 및 내경을 갖고, 중심부에 바이패스홀이 형성되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 가이드 및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며,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는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광촉매 모듈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가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라켓을 갖는, 공기 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는 발광기 가이드를 갖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기 가이드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갖는, 공기 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당해 고정 프레임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심부에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지지바를 더 갖는, 공기 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상기 회동암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 조립체를 향한 일면에 상기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을 더 갖는, 공기 청정기.
KR1020210167410A 2021-11-29 2021-11-29 공기청정기 KR10260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410A KR102609845B1 (ko) 2021-11-29 2021-11-29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410A KR102609845B1 (ko) 2021-11-29 2021-11-29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40A KR20230080040A (ko) 2023-06-07
KR102609845B1 true KR102609845B1 (ko) 2023-12-04

Family

ID=8676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410A KR102609845B1 (ko) 2021-11-29 2021-11-29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649B1 (ko) * 2013-05-14 2015-09-03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활성탄 필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 및 중화 장치
JP2017537294A (ja)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000A (ko) * 2006-11-17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001945A (ko) * 2014-06-30 2016-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649B1 (ko) * 2013-05-14 2015-09-03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활성탄 필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 및 중화 장치
JP2017537294A (ja)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40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4447C1 (ru) Установка фотокаталитическая со светодиодным модулем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и модуль светодиодный для облучения фотокатализатора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м излучением
KR100856709B1 (ko)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US20220339573A1 (en) Air cleaner
US20110030560A1 (en) Air cleaner with multiple orientations
KR20060026404A (ko) 가스 형태의 유체 정화 방법과 장치
KR20160015084A (ko) 공기 청정기
KR102148432B1 (ko) 살균필터 및 살균장치
US10625207B2 (en) System for photoelectrochemical air purification
KR20160001543A (ko) 공기 청정기
WO2016067676A1 (ja) 空気清浄機
KR102609845B1 (ko) 공기청정기
KR101249507B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KR20220048338A (ko)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광촉매판 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170822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책상
KR102654527B1 (ko)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70003584U (ko) 공기살균 및 탈취기
KR102386443B1 (ko) 공기 청정기
KR102473213B1 (ko) 360도 전방향 밀폐형 공기살균기
CN114984289A (zh) 紫外空气消毒组件及空气消毒装置
KR20220129303A (ko) 광촉매 다운라이트 장치
KR102582108B1 (ko) 공기 청정기
KR102531431B1 (ko)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CN215134077U (zh) 紫外空气消毒组件及空气消毒装置
KR102358721B1 (ko) 공기 정화 살균기
KR20230073400A (ko) 공기 오염물질 분해 및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