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70B1 -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 Google Patents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70B1
KR102609770B1 KR1020190031602A KR20190031602A KR102609770B1 KR 102609770 B1 KR102609770 B1 KR 102609770B1 KR 1020190031602 A KR1020190031602 A KR 1020190031602A KR 20190031602 A KR20190031602 A KR 20190031602A KR 102609770 B1 KR102609770 B1 KR 102609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tact parts
home appliances
contact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1934A (en
Inventor
이선일
류정빈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70B1/en
Publication of KR2020011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의 업데이트를 위해 연결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에 있어서, 제1제어부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플러그 혹은 소켓을 제2제어부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 내부의 핀 일부를 쇼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implements linear motion, rotary motion, or reciprocating motion using a motor, a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motor,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In the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that connects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ing the second control unit to update the second control unit, a plug or socket for updating the first control unit can be used to update the second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by short-circuiting some of the pins inside the plug so that it can be used.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 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1제어부과 제2제어부를 갖춘 가전제품의 제1제어부내에 구비되는 제1마이컴과 제2제어부내에 구비되는 제2마이컴을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업데이트 하기 위한 외부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a first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respectively control a driving unit that implements linear motion, rotary motion, or reciprocating motion using a motor and a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motor. It relates to an external connector for connecting and updating the first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second control unit with an external device.

세탁기,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 냉장고, 진공청소기 및 식기세척기와 같은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모터를 이용하게 된다. 모터를 이용하여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를 통해 각 가전제품의 용도에 맞는 운동을 구현하여, 이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는 마이컴(이하 제2마이컴)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가전제품 트렌드에 맞춰 터치패널을 갖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구동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물리적인 전원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식 모델이 아닌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터치함에 따라 대기상태(혹은 스탠바이 상태)에서 다시 구동부가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터치식 모델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에도 마이컴(이하 제1마이컴)이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가전제품이 반응하고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항상 터치패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대기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이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대기상태에서는 필수적인 일부 회로에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Most home appliances, such as clothes handling devic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dryers, refrigerators, vacuum cleaners, and dishwashers, use motors. A driving unit that implements linear motion, rotational motion, or reciprocating motion using a motor is used to implement motion suited to the purpose of each home appliance. A micro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microcomputer) is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se driving units. In addition, recently, in line with the trend of home appliances, a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touch panel is provided, through which various driv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user selec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In other words, rather than capacitive models that supply power using a physical power switch, there are touch-type models that can be switched from standby state (or standby state) to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can operate again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It's coming out. Additionally, a micro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icrocomputer) is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display unit. However, in order for home appliances to respond and operate through the user's touch, standby power must always be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touch panel. However, since this must be minimized in order to save energy, it is connected only to some essential circuits in the standby state and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이러한 터치식 모델의 경우, 가전제품의 고장 판단, 유지 보수를 위한 디버그, 업데이트 혹은 다운로드 (이하 업데이트라 통칭)를 위해서 제1마이컴이나 제2마이컴을 외부에서 연결해야 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동부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제1마이컴 전용 외부커넥터를 이용하여 제1마이컴이 구비된 PCB내에 위치한 소켓 (혹은 하네스)와 연결해야 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제2마이컴 용 소켓 (혹은 하네스)와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외부와의 연결 (예컨대 노트북컴퓨터 혹은 진단전용장비)을 통해 제어신호를 통해 목표로 하는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한다. 이를 공용화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절감 및 필요 없는 소켓의 삭제로 PCB내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제1마이컴용 연결부(예컨대 플러그)의 크기 및 접촉부(예컨대 핀) 의 개수(기존 8개)와 기능이 제2마이컴용(기존 6개의 핀)과 달라 공용화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단순히 같은 부품을 사용하는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상태에서는 제2마이컴과 연결이 되지 않으므로 단순히 같은 부품을 사용해도 핀의 기능이 달라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these touch-type models, it may be necessary to connect the first or second microcomputer externally to determine a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 debug for maintenance, update or downloa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update). At this time, in order to update the driving part, it must be connected to the socket (or harness) located in the PCB equipped with the first microcomputer using the external connector dedicated to the first microcomputer, and to update the display unit, the socket (or harness) for the second microcomputer must be connected. must be connected to In addition,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target microcomputer through a control signal through an external connection (for example, a laptop computer or diagnostic equipment) and the update must be performed. If this is used in common, the design freedom within the PCB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costs and eliminating unnecessary sockets, but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rt (e.g. plug) for the first microcomputer and the number of contact parts (e.g. pins) (existing 8) Because the functions we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second microcomputer (the existing 6 pins), common use was not possible. In addition, not only are the same components not used, but,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cannot be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in the standby power state, so even if the same components are simply used, the functions of the pins are different, making it impossible to updat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 다운로드지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와 구동부를 각각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중간젠더 역할의 외부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구동부의 연결부에 공용화된 부품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PCB내의 공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connector that plays an intermediate gender role, capable of upda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ing unit, respectively, while using the existing download jig as is. In addition, the use of common part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er unit reduces costs and further reduces space within the PCB.

본 발명은 즉,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마이컴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의 업데이트를 위해 기존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데 사용한 플러그를 공용화 하는 한편,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마이컴을 위한 플러그(혹은 연결부)내부의 접촉부(예컨대 핀)는 제2마이컴을 위한 플러그 내부의 접촉부와 달리 SB 파워핀과 스탠바이시날핀이 서로 연결(혹은 쇼트)되어 있어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외부와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부 (예컨대 플러그)에서 양쪽 마이컴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부가 연결되는 Y자형 커넥터의 모양을 가지게 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commonizes the plug used to control the existing display unit to update the first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and also uses a plug for the first microcomputer to enable the update ( Unlike the contacts inside the plug for the second microcomputer, the contact parts (e.g. pins) inside the connection part (or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or short-circuited) to the SB power pin and the standby signal pin, enabling an update by supplying the necessary voltage. Therefore, it may have the shape of a Y-shaped connector where each connection connected to both microcomputers is connected to one connection part (for example, a plug) connect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마이컴 및 상기 제1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1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 및 상기 제2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2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네스는 외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1터미날, 상기 제2하네스는 외부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2터미날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와 제어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성가 제2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 및 외부단자와 연결되는 제3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단자내부의 복수 개의 외부 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개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개수보다 작아,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 혹은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일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일부는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연결되지 않은 일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For this purpose, a driving unit that implements linear motion, rotary motion, or reciprocating motion using a motor, a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motor,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display unit and a first harness for connecting the first microcomputer with control signals from the outside. It includes a second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a second harness for connecting the second microcomputer with external control signals, the first harness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for connecting external control signals, and the second harness has In the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that enables exchange of control signals with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for updating home appliances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for connecting control signals to the outside, the first harness A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rst coupling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that ar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econd harness. a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ortion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a third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the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portions accommodated inside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inside the external terminal, wherei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ortions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It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nd when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or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re not connect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unconnected par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to transmit the same control signal. It provides external connectors for home appliances.

특히,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 개수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외형이 동일하여, 상기 제1하네스 혹은 상기 제2하네스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have the same external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harness or the second harness.

한편,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서로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하네스와 상기 제2하네스도 각각 대응되어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같은 연결부(플러그)라고 하더라도 암놈과 수놈이 있으므로 이를 구별해서 사용하되 결합이 가능하게 이에 대응되는 소켓(혹은 플러그)도 암놈 혹은 수놈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Meanwhil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provided in either a male/female shape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harness and the second harnes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lso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one of combinable male/female shapes. In other words, even with the same connection (plug), there are female and male connectors, so they can be used separately, but the corresponding socket (or plug) can be either female or male to enable combination.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wires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and a plurality of second wires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can do.

특히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를 분기시켜 연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In particula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may be branched and connected to electrically connec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에서 각각 분기되어 상기 제3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는 다시 분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송할 수 도 있다. In contrast, a plurality of first wires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and a plurality of second wires each branching from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and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on parts Fur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may be branched aga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to perform the same transmission.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접촉부는 제1송신핀, 제1수신핀, 제1그라운드핀, 제1SB파워핀, 제1공핀, 제1테스트핀,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동일한 기능 및 순서를 갖는 제2송신핀, 제2수신핀, 제2그라운드핀, 제2SB파워핀, 제2공핀, 제2테스트핀, 제2스탠바이시그날핀,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는 제3송신핀, 제3수신핀, 제3그라운드핀, 제3파워핀, 제3공핀, 제3테스트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3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와이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2접촉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 중 상기 제1SB파워핀과 상기 제3파워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unit includes a first transmitting pin, a first receiving pin, a first ground pin, a first SB power pin, a first ball pin, a first test pin, a first standby signal pin, and a first display power pin. It includes a second transmitting pin, a second receiving pin, a second ground pin, a second SB power pin, a second ball pin, a second test pi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having the same functions and order as the first contact portion. It includes a standby signal pin and a second display power pin, and the third contact part includes a third transmitting pin, a third receiving pin, a third ground pin, a third power pin, a third ball pin, and a third test pin,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connect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excluding the first standby signal pin and the first display power pin,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each connect the first wire to the third contact portion. It is branched to connect the second contact part except for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and the second display power pin,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is connected to the first SB power pin and the third power pin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The second wire connecting the pins is branched and connected.

이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SB파워핀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에의해 상기 제2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1와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의 와이어가 제1케이블 및 제2케이블로 각각 묶여질수도 있으며, 또한, 플랫케이블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second SB power pin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may be bundled into a first cable and a second cable, respectively, or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cable.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플레이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공용화된 부품을 사용하므로, 제품군간 업데이트 혹은 다운로드를 위한 PCB 회로 공용화가 가능하다. 즉, 터치식 모델에만 적용하는 게 아닌, 물리적인 스위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식 모델이나 기타 모델의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둘째, PCB 내에 구동부 제어를 위한 제1마이콤 전용 하네스 혹은 소켓을 삭제하여 비용절감 및 PCB내 공간 확보로 아트워크(Artwork) 설계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의 PCB가 조밀하여 설계공간이 부족한 모델에 설계자유도를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외부커넥터를 중간연결젠더로 사용하여 기존 업데이트를 위한 다운로드 지그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are as follows. First, since common components are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hat connect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er unit, it is possible to share the PCB circuit for updates or downloads between product groups. In other words, it is not only applicable to touch-type models, but can also be used for capacitive models or other models that supply power through a physical switch. Second, freedom in designing artwork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costs and securing space within the PCB by eliminating the 1st Microcom dedicated harness or socke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ithin the PCB. In other words, the PCB of the second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is dense,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design freedom in models with insufficient design space. Third, the extern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termediate connector to connect to an existing download jig for update.

도1은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를 이용하여 가전제품과 연결하는 것에 관한 개요도이다.
도2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를 이용하여 제1마이컴과 제2마이컴을 전원을 키는 것에 대한 개념을 그린 것이다.
도3은 복수 개의 제1접촉부, 복수 개의 제2접촉부 및 복수 개의 제3접촉부 각각의 순서 및 기능에 대한 그림이다.
도4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개요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connecting to home appliances using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Figure 2 depicts the concept of turning on the first microcomputer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using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order and fun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한편, 후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조립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Meanwhile, the configuration or assembly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부(top)", "하부(bottom)", "위(upper)", "아래(lower)", "왼쪽(left)", "오른쪽(right)", "수평(horizontal)", "수직(vertical)", "위로(upward)", 및 "아래로(downward)"는 단순히 도시된 구조에서의 형태를 기술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가 부여된 구성요소들은 어떠한 방향으로라도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달리 한정되지 않는 한 그와 같은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Spec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illustrated embodiments. For example, “top”, “bottom”, “upper”, “lower”, “left”, “right”, “horizontal”. )", "vertical", "upward", and "downward" simply describe the shape in the structure shown. Since the components to which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can be twisted in any direc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For example, expressions expressing relative or absolute arrangement such as “in a certain direction,” “along a certain direction,” “parallel,” “orthogonal,” “center,” “concentric,” or “coaxial,” are strictly such expressions. It not only represents the arrangement, but also represents the state of relative displacement with a tolerance, or an angle or distance that allows the same function to be obtained.

예를 들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For example, expressions that indicate that things are in the same state, such as “same,” “is the same,” and “homogeneous,” not only express strictly the same state, but there is also a tolerance or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the same function can be obtained. It also indicates the current state.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expressions representing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not only represent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in a geometrically strict sense, but also include irregularities, chamfers, etc. to the extent tha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The shape should also be indicated.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준비하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expressions such as “prepare,” “equip,” “equip,” “include,” or “have” one component are not exclusive expressions tha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components.

기존의 가전제품의 경우 물리적인 버튼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시키는 정전식 타입이었으나 최근에는 가전제품에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터치패널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가전제품이 대기상태에서 다시 동작상태로 전환되는 터치식 타입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터치식 타입의 가전제품 중 모터와 같은 구동부를 가지고 있는 제품의 경우, 예컨대 세탁기와 건조기 같은 의류처리장치, 냉장고, 청소기 혹은 식기세척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별도로 가지고 있다. 이를 하나로 통합하는 경우에는 배선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 보다는 각각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어부는 입출력 신호를 제어하고,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컴이란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의 약자로 연산을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제어모듈 그리고 램과 저장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칩형태의 전자부품이다. 대부분의 전자제품에는 입출력 제어를 위해 마이컴이 들어가 있다. 즉,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은 CPU, A/D 컨버터, RAM, ROM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고 있어, ROM에는 가전제품에서 원하는 동작을 하기 위한 운전프로그램이 들어있다.In the case of existing home appliances, they were capacitive types that applied power and operated with a physical button, but recently, home applian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that includes a touch panel, and the home appliance can be turned on and off by touching the touch panel. It is changing to a touch type that switches back to operating mode. Among these touch-type home appliances, in the case of products that have a driving part such as a motor, for example, a clothes processing device such as a washing machine and dryer, a refrigerator, a vacuum cleaner or a dishwasher, a first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display part, and a second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driving part It has a separate control unit. If these are integrated into one, th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wiring, so rather than this, each is provided separately for stable operation. In this case, each control unit includes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input and output signals and performs desired operations. Microcomputer is an abbreviation for microcontroller and is an electronic component in the form of a chip that includes a microprocessor responsible for calculations, an input/output control module, RAM, and a storage device. Most electronic products include a microcomputer to control input and output. In other words, the microcomputer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consists of a CPU, A/D converter, RAM, ROM, etc., and the ROM contains an operation program for the desired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이러한 마이컴을 이용한 제품은 고장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해 내부의 프로그램(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을 디버그, 업데이트, 혹은 다운로드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 마이컴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의 경우 외부커넥터(100)를 이용하여 외부 전용 단말 장치 혹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나 노트북과 다운로드 지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다운로드 지그는 USB와 외부커넥터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장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켜지 않고도 상기 외부커넥터(100)의 연결을 통해 외부 전용 단말 장치, PC 혹은 노트북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목표로 하는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해당 마이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Products using these microcomputers may require debugging, updating, or downloading of internal programs (firmware or software) for troubleshooting or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most home appliances, including microcomputers, use an external connector 1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dicated terminal device or a PC or laptop with a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these operations installed through a download jig. The download jig is a device that connects USB and an external connector. For such troubleshooting or maintenance,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dedicated terminal device, PC or laptop through connection to the external connector 100 without turning on the power of the home applianc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target microcomputer through this. Microcomputer updates are possible.

도 1을 참조하면, 가전제품에서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왕복운동, 회전운동을 담당하는 구동부(50), 상기 구동부(50)의 운전조건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60), 상기 센서부(60)와 상기 구동부(50)의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고 제어를 담당하는 제2제어부(620)가 있으며, 상기 제2제어부(620)에는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요소인 제2마이컴(62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마이컴(621)을 통해 상기 구동부(5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내보내고 및 상기 센서부(6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전원도 포함된다. 즉, 연결된 회로를 통해 입출력에 필요한 정보신호뿐 만 아니라 전원 공급도 가능하므로 제2마이컴(621)을 통해 전원공급을 받을 수도 있으며 이와 별도로 전원공급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가전제품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driving unit 50 responsible for linear movement, reciprocating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using a motor in home appliances, a sensor unit 60 that senses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iving unit 50, and There is a second control unit 620 that is responsibl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control signals of the sensor unit 60 and the driving unit 5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620 includes a second microcomputer, which is a key component in charge of these functions. Contains (621).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er 50 can be output through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and a control signal for the sensor unit 60 can be input. These control signals also include power. In other words, sinc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as well as information signals required for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connected circuit,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or can be supplied separately.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home appliance.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키입력부를 입력받는 키입력부(70), 사용자에게 동작상태 및 기타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80) ,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들여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90) 및 상기 터치스크린(90)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신호변환부(95)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610)가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610)에는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요소인 제1마이컴(6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마이컴(611)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80)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송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은 독립적으로도 작동할수도 있으나,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다시 언급하지만, 제어신호에는 전원 공급도 포함할 수 있다. Likewise, a key input unit 70 that receives the user's key input, a display unit 80 that outputs the operating status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a touch screen 90 that receives the user's touch and generates an analog control signal, and the above. There is a first control unit 610 that controls a signal conversion unit 95 that converts the analog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touch screen 90 into digital, and the first control unit 610 includes a key component responsible for this function. It includes the first microcomputer (611). It performs functions such as outputting data to the display unit 80 through the first microcomputer 611 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may operate independently, but may exchange control signals to perform desired operations. Again, control signals can also include power supplies.

이러한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외부와 연결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610)와 상기 제2제어부(620)는 각각 업데이트를 위한 제1하네스와 제2하네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와 연결을 위한 외부커넥터(100)가 필요하다. 하네스(혹은 소켓)란, 상기 외부커넥터(100)를 연결하기 위해 PCB내 마련된 외부커넥터의 말단에 있는 연결부(혹은 플러그)와 결합되는 구성요소를 말한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PCB내에 구비되는 하네스 (혹은 소켓)와 연결부(혹은 플러그)의 구조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여기서는 연결부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예컨대 핀)의 개수와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In order to update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they must be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ntrol unit 61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620 are used for updating, respectively. It is equipped with a first harness and a second harness. Additionally, an external connector 100 is required to connect this. A harness (or socket) refers to a component that is combined with a connection part (or plug) at the end of an external connector provided in the PCB to connect the external connector 100. Therefore, since the structure of the harness (or socket) and connection part (or plug) provided in the PCB is self-evid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here, only the number and function of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eg, pin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will be explained.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말이 없으면, 플러그는 외부커넥터의 와이어 양 끝단에 위치하여 하네스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지칭하는 말이며, 하네스는 PCB에 위치하여 연결부(혹은 플러그)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에도 암/수형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하네스도 이에 맞게 암/수형상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또한 연결부 내부에는 복수개의 접촉부 (핀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가 존재하며, 하나의 접촉부에 한 개의 와이어가 연결되어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하네스도 상기 복수개의 접촉부에 대응되어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날을 포함하고 있다. 즉,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하네스는 내부에 각각 복수 개의 접촉부와 이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터미날을 포함하고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a plug refers to a connection part located at both ends of a wire of an external connector and connected to a harness, and a harness refers to a component located on a PCB that accommodates the connection part (or plug). In addition, the plug may also have a male/female shape, and the harness coupled to it may also be provided in a male/female shape accordingly. In additio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which may be in the form of pins, but are not limited to this) inside the connection part, and one wire is connected to one contact part and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necessary control signals. Additionally, the harness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tact parts.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arnes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orresponding thereto.

기존의 터치식 가전제품의 경우, 상기 제1마이컴(611)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는 상기 제1제어부의 PCB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마이컴(621)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2하네스(미도시) 그리고,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 사이의 통신을 위해 연결하기 위한 연결하네스(미도시)가 상기 제2제어부의 PCB 상에 구비되었다. 상기 제2마이컴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와 상기 연결하네스(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했던 이유는 이에 대응하는 연결부내의 접촉부(예컨대 핀)의 개수 그리고 배열이 달라 공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상기 제1마이컴 업데이트를 위한 연결부를 상기 제2제어부의 연결하네스(미도시)에 연결한다고 하더라도, 회로의 기능이 달라 상기 제2마이컴의 업데이트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제2하네스(미도시)와 연결하네스(미도시)를 제2제어부의 PCB내에 공간이 협소함에도 모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없애 도1에서 처럼 하나의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 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In the case of existing touch-type home appliances, the first harness (not shown) for updating the first microcomputer 611 is provided on the PCB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updates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A second harness (not show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is provided on the PCB of the second control unit. It has been done. The reason why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and the connection harness (not shown) for updating the second microcomputer were separately provided is that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contact parts (e.g. pins) i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arts are different, so they cannot be used for common use. Because it was impossible. Therefore, even if the connection for updating the first microcomputer wa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arness (not shown) of the second control unit, updating the second microcomputer was not possible due to the different circuit functions.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both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and the connecting harness (not shown) had to be provided in the PCB of the second control unit even though the space was limited.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eliminating this in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using a single external connector 100 for home appliances as shown in Figure 1.

이를 위해서는 도 2에서 보인것과 같이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의 접촉부와 터미날의 배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1하네스, 제2하네스에 대한 설명에도 해당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마이컴(611)을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도2(a)와 같이 복수 개의 제3접촉부(111)가 배열된 재1연결부(110)가 필요하다. 상기 제3접촉부(111)는 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의 외형을 이루는 상기 제1결합부(112)는 이를 감싼 플라스틱 재질의 플러그 모양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구조이므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배열을 보면, 상기 제1연결부(1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111)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핀(113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핀(1132), 접지를 시키는데 이용하는 제1그라운드핀(1133),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는 제1공핀(1134), 가전제품이 꺼진다 하더라도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제어부(610)의 필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위한 제1SB파워핀(1135), 상기 제1마이콤이 동작중인지 아니면 업데이트 중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1테스트핀(1136),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90)의 터치시 키를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송하는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1137)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80)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디스플레이파워핀 (1138)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제2마이컴(621)을 업데이트 하거나,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된다. To this end, an explan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contact portion and terminal of the external connector 100 for home appliances is necessary, as shown in FIG. 2. Since the description of this also corresponds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harness and the second harness,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update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 first connection unit 110 in which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units 111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2(a) is required. The third contact part 1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2, which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shaped like a plug made of plastic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has a structure tha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xplanation is omitted. Looking at each arrangement,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111 provid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include a first receiving pin 1131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a first transmitting pin 1132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 the first ground pin 1133 used for grounding, the first empty pin 1134 that is not connected to a preliminarily provided wire, and the essential circuit of the first control unit 610 in the standby state even if the home appliance is turned off. A first SB power pin (1135) for supplying power, a first test pin (1136)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microcomputer is operating or updating, and a key is presse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90). It includes a first standby signal pin 1137 that transmits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and a first display power pin 1138 that supplies power to the LED of the display unit 80. This is used to update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or to connect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반면 도2(c)는 기존 제2마이컴 전용 다운로드를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접촉부이자 외부와 연결을 위한 제3연결부(1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배열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기존 외부와 연결할 때 사용하던 다운로드 지그와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을 그대로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접촉부의 배열 순서는 도 2(c)를 참조하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핀(133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3송신핀(1332), 접지를 시키는데 이용하는 제3그라운드핀(1333),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는 제3공핀(1134), 상기 제1마이컴(611) 혹은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3파워핀(1335), 상기 제1마이컴(611) 혹은 상기 제2마이컴(621)이 동작중인지 아니면 업데이트 중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3테스트핀(1136) 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2(c) relates to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provided in the third connection part 130, which is a contact part that must be provided for downloading exclusively for the existing second microcomputer and for connection to the outside. This is to connect and use the external connector 100 for home appliances as is with the download jig used when connecting to the existing outside. Referring to FIG. 2(c),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third contact part is as follows: a third receiving pin 1331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 third transmitting pin 1332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third ground used for grounding. A pin 1333, a third hollow pin 1134 that is not connected by a preliminarily provided wire, and a third power pin 1335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microcomputer 611 or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 and a third test pin 1136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microcomputer 611 or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is operating or updating.

이와 같이 상기 도2(a)에 있는 상기 제1연결부(110)와 도2(c)에 나와 있는 상기 제3연결부 혹은 기존에 사용하던 제2마이컴 전용 연결부의 내부 접촉부의 배열이 다르다. 즉, 상기 제1연결부의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개수가 상기 제3연결부의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개수보다 많다. 이는 디스플레이부와도 연결해야 하고, 입력된 키를 제2마이컴에도 전달해야 하고, 대기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기 상기 제1SB파워핀(1134)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제3연결부(130)에 포함된 상기 제3파워핀(1334)와는 성질이 다르다. 비록 상기 제3파워핀(1334)와 상기 제1SB파워핀(1134)이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즉 같은 전압의 전원, 바람직하게는 5V의 전원,이 걸린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SB파워핀(1134)에는 대리전력 최소화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610)에서 대기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기 위한 필요적인 회로에만 연결되어 있을 뿐이며, 상기 제2마이컴(621)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10)를 그대로 기존에 있던 상기 연결하네스(미도시)에 결합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업데이트 등이 불가능하다.In this way, the arrangement of the internal contact part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shown in Figure 2(a)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shown in Figure 2(c) or the previously used second microcomputer dedicated connection part is different. That is, the number of first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ird contact portions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This is because it must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the entered key mus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and power must be supplied even in standby mode. In particular, the first SB power pin 1134 is provided to supply power even in a standby state, and its properties are different from the third power pin 1334 included i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0. Even if the third power pin (1334) and the first SB power pin (1134) are connected, that is, even if a power supply of the same voltage, preferably a power supply of 5V, is applied, the surrogate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SB power pin (1134). For minimization, the first control unit 610 is only connected to circuit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user's touch even in standby mode, and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Therefore, even i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connection harness (not show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so an update is not possibl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3연결부(130)의 중간 형태로 도2(b)와 같은 상기 제2연결부(120)를 사용한다. 즉, 상기 제1연결부(110)의 접촉부의 개수가 상기 제3연결부의 접촉부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상기 제1연결부와 동일한 형태와 배열을 갖는 상기 제2연결부(120)를 사용하되, 그 중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예컨대 쇼트, 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120)내부의 제2접촉부의 배열은 상기 제1연결부(110)와 동일하다. 상기 제2접촉부(121)도 마찬가지로 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를 감싸며 제2연결부의 외형을 이루는 제2결합부(122)를 포함하는 플러그의 형태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구조이므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배열을 보면, 상기 제2연결부(12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121)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핀(123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송신핀(1232), 접지를 시키는데 이용하는 제2그라운드핀(1233),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는 제2공핀(1234), 가전제품이 꺼진다 하더라도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2제어부(620)의 필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위한 제2SB파워핀(1235), 상기 제2마이컴(621)이 동작 중인지 아니면 업데이트 중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2테스트핀(1236),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파워핀 (123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1238)은 의미가 없으므로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키입력시 신호를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송하는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을 이용하여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마이컴(621)에 동작할 수 있게 되는 원리이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as shown in Figure 2(b) is used as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0. That is, since the number of contact part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ntact parts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having the same shape and arrangement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used, but some of them are used. It is us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for example, short circuit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0.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1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and has a structure that is self-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orm of a plug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122 that surrounds the contact portion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explanation is omitted. Looking at each arrangement,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121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include a second receiving pin 1231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a second transmitting pin 1232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 a second ground pin (1233) used for grounding, a second hollow pin (1234) that is not connected to a preliminarily provided wire, and an essential circuit of the second control unit 620 in a standby state even if the home appliance is turned off. A second SB power pin (1235) for supplying power, a second test pin (1236)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is operating or being updated, a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and a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2Includes display power pin (1238). Here, the second display power pin 1238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because it has no meaning, and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137 ar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 is electrically connected. That is,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by supplying power connected to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using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which transmits a signal to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when a key is input. This is the principle that allows it to operate.

따라서, 상기 제2마이컴(621) 전용 업데이트를 위한 하네스를 없애고, 상기 제1마이컴(611)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와 동일한 크기와 배열로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를 구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기존 상기 제1제어부(610)의 PCB내의 공간을 확보하여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부품 공용화로 인한 비용절감 및 부품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harness for updating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is eliminated, and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has the same size and arrangement as the first harness (not shown) used to connect the first microcomputer 611. When configured and used, the space in the existing PCB of the first control unit 610 can be secured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circuit design, and cost reduction and component simplification are possible due to commonization of components.

도3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의 상기 제1연결부(110)를 상기 제1마이컴(611)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마이컴(611)은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연결부(110)를 상기 제2마이컴(621)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SB파워핀(1135)의 성질상 상기 제2마이컴(621)은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1연결부(110)에 같은 부품을 사용하면서도 내부적으로 상기 제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를 연결시 상기 제2마이컴(621)의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된다. 3,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0 of the external connector 100 for home appliances is connected to the first harness (not shown) for updating the first microcomputer 611. In this case, the first microcomputer 611 can be updated. I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to update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may be connected due to the nature of the first SB power pin 1135. ) cannot be upd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same components are used f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but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137 are internally electrically connected. When use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can be updated when the second connector 120 and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are connected.

상기 제3파워핀(1335)과 상기 제1SB파워핀(1135), 상기 제2SB파워핀(1235),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1137) 및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에는 같은 전압의 전원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5V이다. 그러나 이는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에서 요구하는 전압이 달라지는 경우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The third power pin 1335, the first SB power pin 1135,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the first standby signal pin 1137,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have the same voltage. A power supply is connected, preferably 5V. However, this can be changed at any time if the voltage required by the first microcomputer 611 and the second microcomputer 621 are different.

상기 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2SB power pin (1235)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137).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4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요도를 가지고 전체적인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 커넥터(100)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기존 다운로드 지그와 연결되거나 혹은 외부 전용 단말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제3연결부(130), 상기 제1마이컴(611)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10), 상기 제2마이컴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1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결부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촉부와 이를 감싸며 연결부의 외형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네스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10)는 제3접촉부(111)와 제1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120)는 제2접촉부(121)와 제2결합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연결부(130)는 제3접촉부(131)와 제3결합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2연결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용화된 부품으로 동일하며, 내부의 위치한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121)중 상기 제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만이 상기 제3접촉부(111)의 배열과 달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다.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connector 100 for home appliances will be described with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The external connector 100 for home appliances is a third connector 130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isting download jig or an external dedicated terminal device for external connection, 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microcomputer 611. It includes a connection unit 110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Each connec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provided inside, a coupling part that surrounds the contact part,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and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harness. Therefo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includes a third contact part 111 and a first coupling part 1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includes a second contact part 121 and a second coupling part 122. Including, the third connection part 130 includes a third contact part 131 and a third coupling part 132.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are the same as shared parts as described above, an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121 located inside,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and Unlike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111, only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137 is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상기 제1연결부(110)및 상기 제2연결부(120)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제어부(610) 및 상기 제2제어부(620)의 PCB내에서는 공용화된 부품을 사용하는 제1하네스(미도시) 및 제2하네스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도 각각 결합은 가능하나, 전기적 배열이 달라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는 없다.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가 연결되어야 만, 정상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a first harness using common components is installed in the PCB of the first control part 610 and the second control part 620 ( not shown) and a second harness,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and the first harness (not shown) can be combined, but the electrical arrangement is different, so an update cannot be performed. There is no Normal update is possible only when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first harness (not shown)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nd the second harness (not shown) are connected.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3연결부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로 연결이 되며,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도 복수 개의 제2와이어(125)로 연결이 된다. 여기서 와이어는 제어신호를 전송가능한 절연된 전선을 주로 사용하나, 이와 다른 형태라도 각각의 연결부 사이에 제어신호가 전송하면 무엇을 사용하든 무방하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first wires 115,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are also connected by a plurality of second wires 125. do. Here, insulated wires capable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are mainly used, but any other type of wire can be used as long as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each connection part.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125)는 각각의 접촉부의 수에 맞게 구비되어 각각의 접촉부에 대응되게 연결된다. 이러한 대응을 위해 도4의 각각의 연결부는 도2에 설명된 순서와 동일하게 각각 D1, D2, D3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15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25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act parts and are connected to each contact part correspondingly. For this correspondence, each connection part in FIG. 4 is arranged in the directions D1, D2, and D3, respectively,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in FIG. 2.

다만, 상기 제1공핀(1134)과 상기 제3공핀(1334), 그리고 상기 제2공핀(1234)과 상기 제3공핀(1334)은 그 기능이 없으므로 와이어로 연결이 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3접촉부(131)의 개수가 작으므로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1137)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파워핀(1138)은 복수 개의 제1와이어에 의해 연결이 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1238)도 복수 개의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SB파워핀(12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제3파워핀(1335)에 2개의 와이어가 동시에 연결되어 각각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에서 각각 대응된 복수개의 제2와이어(125)가 A영역으로 표시된 임의의 중간지점에서 분기되어 연결되고, 이중 제3파워핀(1335)과 상기 제1SB파워핀(1135)를 연결하는 와이어에서 2개의 와이어가 분기되어 나와서 각각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될 수도 있다. However, since the first hollow pin 1134, the third hollow pin 1334, and the second hollow pin 1234 and the third hollow pin 1334 do not have a function, they do not need to be connected with a wire.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ortions 131 is small, the first standby signal pin 1137 and the first display power pin 1138 are not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and similarly, the The second display power pin 1238 is also not connected by a plurality of second wires. However, since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B power pin 1235, for this purpose, two wires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pin 1335 to each connect a second standby signal pin ( 123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second wires 125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15 are branched and connected at an arbitrary midpoint indicated by area A, and among them, a third power pin 1335 ) and the first SB power pin (1135), two wires may be branched and each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또한 도4에서 보인 것과 마찬가지로, 제3파워핀(1335)과 상기 제1SB파워핀(1135)를 연결하는 와이어에서 분기된 와이어가 다시 B지점에서 재차 분기되어 각각 각각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125)의 개수는 같으며 상기 제2연결부 내부에서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여기에 서술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형태라면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부의 배열 및 연결방법은 이와 달리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4, the wire branched from the wire connecting the third power pin 1335 and the first SB power pin 1135 is branched again at point B to form a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respectively.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In contras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15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25 are the same,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1237 is connected to the second SB power pin 1235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You can also connect. These connection methods are very diverse, and even if not described here, any connection form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may be included in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method of the plurality of contact part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sign.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125)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합쳐져 하나의 피복안에 합쳐진 케이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케이블에 복수 개의 와이어가 들어간 형태가 되며 각각은 간섭을 막기 위해 절연체로 피복될 수 있다. 혹은 원형의 케이블 대신 플랫(flat) 케이블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꼬임방지를 위해 플랫케이블의 형태와 같은 플랫한 피복안에 복수개의 와이어가 구비될 수 도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15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2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ble in which several wires are combined into one sheath. In other words, one cable contains multiple wires, and each can be covered with an insulator to prevent interference.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cable instead of a circular cable. For example, a plurality of wires may be provided in a flat sheath, such as a flat cable, to prevent twisting.

본 명세서 상에서는 특정한 실시예가 예시되었는 바,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산된 어떠한 재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고 개시된 본 발명은 다른 환경에서 달리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개시에 대한 어떠한 적용이나 변화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되는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한 개시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As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can be replaced with any reconfiguration calculated to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the disclosed invention can be applied differently in other environments. This will be self-explanatory to technicians. In other words,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to cover any application or change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ims that follow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disclosure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herein.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구동부 60 센서부 70 키입력부 80 디스플레이부
90 터치스크린 95 신호변환부 100 외부커넥터
110 제1연결부 111 제1접촉부 112 제1결합부 115 제1와이어
120 제2연결부 121 제2접촉부 122 제2결합부 125 제2와이어
130 제3연결부 131 제3접촉부 132 제3결합부
610 제1제어부 611 제1마이컴 620 제2제어부 621 제2마이컴
1131 제1수신핀 1132 제1송신핀 1133 제1그라운드핀 1134 제1공핀
1135 제1SB파워핀 1136 제1테스트핀 1137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1138 제1디스플레이파워핀
1231 제2수신핀 1232 제2송신핀 1233 제2그라운드핀 1234 제2공핀
1235 제2SB파워핀 1236 제2테스트핀 1237 제2스탠바이시그날핀 1238 제2디스플레이파워핀
1331 제3수신핀 1332 제3송신핀 1333 제3그라운드핀 1334 제3공핀
1335 제3파워핀 1336 제3테스트핀
50 Drive unit 60 Sensor unit 70 Key input unit 80 Display unit
90 Touch screen 95 Signal conversion unit 100 External connector
110 first connection part 111 first contact part 112 first coupling part 115 first wire
120 2nd connection part 121 2nd contact part 122 2nd coupling part 125 2nd wire
130 Third connection part 131 Third contact part 132 Third coupling part
610 1st control unit 611 1st microcomputer 620 2nd control unit 621 2nd microcomputer
1131 1st receiving pin 1132 1st sending pin 1133 1st ground pin 1134 1st ball pin
1135 1st SB power pin 1136 1st test pin 1137 1st standby signal pin 1138 1st display power pin
1231 2nd receiving pin 1232 2nd sending pin 1233 2nd ground pin 1234 2nd ball pin
1235 2nd SB power pin 1236 2nd test pin 1237 2nd standby signal pin 1238 2nd display power pin
1331 3rd receiving pin 1332 3rd sending pin 1333 3rd ground pin 1334 3rd ball pin
1335 3rd power pin 1336 3rd test pin

Claims (12)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마이컴 및 상기 제1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1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 및 상기 제2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2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네스는 외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1터미날, 상기 제2하네스는 외부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2터미날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와 제어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성가 제2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제3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개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개수보다 작아,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 혹은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일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일부는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연결되지 않은 일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 driving unit that implements linear motion, rotary motion, or reciprocating motion using a motor, a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motor,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display unit and a first harness for connecting the first microcomputer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r unit. a second microcomputer and a second harness for connecting control signals from the second microcompu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first harness ha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for connecting external control signals, and the second harness ha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for connecting external control signals. In the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that enables exchange of control signals with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for updating home appliances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for signal connection,
a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rst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harness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accommodated with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econd harnes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ortions accommodated with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third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portions accommodated inside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on the outside; Includ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so that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or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When connected,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pa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re not connect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unconnected par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that can be connected and transmit the same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 개수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re the s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외형이 동일하여, 상기 제1하네스 혹은 상기 제2하네스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2,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have the same external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harness or the second harne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서로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하네스와 상기 제2하네스도 각각 대응되어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provided in one of a male/female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harness and the second harnes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also correspondingly coupleable.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one of male and female shap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4,
a plurality of first wir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a plurality of second wir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를 분기시켜 연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by branching and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에서 각각 분기되어 상기 제3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는 다시 분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4,
a plurality of first wir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ird contact parts;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wires each branching from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and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on parts,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is branched aga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to enable the same transmis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제1수신핀, 제1송신핀, 제1그라운드핀, 제1SB파워핀, 제1공핀, 제1테스트핀,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동일한 기능 및 순서를 갖는 제2수신핀, 제2송신핀, 제2그라운드핀, 제2SB파워핀, 제2공핀, 제2테스트핀, 제2스탠바이시그날핀,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는 제3수신핀, 제3송신핀, 제3그라운드핀, 제3파워핀, 제3공핀, 제3테스트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3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와이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2접촉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 중 상기 제1SB파워핀과 상기 제3파워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In clause 7,
The first contact part includes a first receiving pin, a first transmitting pin, a first ground pin, a first SB power pin, a first ball pin, a first test pin, a first standby signal pin, and a first display power pin,
The second contact unit has the same functions and order as the first contact unit, such as a second receiving pin, a second transmitting pin, a second ground pin, a second SB power pin, a second ball pin, a second test pin, and a second standby signal pin. , including a second display power pin,
The third contact part includes a third receiving pin, a third transmitting pin, a third ground pin, a third power pin, a third ball pin, and a third test pin,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connect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respectively, except for the first standby signal pin and the first display power pin,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are each branched from the first wire and connect the second contact parts except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and the second display power pin,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arts.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B power pin and the third power pin among the two wires is branched and connec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핀과 상기 제3공핀 사이와 상기 제2공핀과 상기 제3공핀 사이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8,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first hole pin and the third hole pin and between the second hole pin and the third hole pin are not connect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9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SB파워핀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에 의해 상기 제2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9,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microcomputer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second SB power pin and the second standby signal p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와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의 와이어가 제1케이블 및 제2케이블로 각각 묶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10,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is bundled with a first cable and a second cable,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과 상기 제2케이블은 플랫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11,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are flat cables.
KR1020190031602A 2019-03-20 2019-03-20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KR102609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02A KR102609770B1 (en) 2019-03-20 2019-03-20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02A KR102609770B1 (en) 2019-03-20 2019-03-20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34A KR20200111934A (en) 2020-10-05
KR102609770B1 true KR102609770B1 (en) 2023-12-05

Family

ID=7280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02A KR102609770B1 (en) 2019-03-20 2019-03-20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6309A (en) 2002-01-28 2005-06-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oftware upgrade system for home appliances
KR100763365B1 (en) 2000-11-09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0468474Y1 (en) 2012-08-09 2013-08-14 김수현 A multi c0nductor cable for multimedi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159A (en)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Unifie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KR101268099B1 (en) * 2011-10-31 2013-05-29 인포뱅크 주식회사 Data update device for reprogramming ecu of automobile, conne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65B1 (en) 2000-11-09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JP2005516309A (en) 2002-01-28 2005-06-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oftware upgrade system for home appliances
KR200468474Y1 (en) 2012-08-09 2013-08-14 김수현 A multi c0nductor cable for multi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34A (en)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723B2 (en) Floor-mounted domestic appliance
US6791291B2 (en) Multi-joint type industrial robot and arm unit thereof
US9559470B2 (en) Power extension wire
US20100238046A1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KR20100099123A (en) Mains connection of a domestic appliance
US813051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of electronic appliance
KR102609770B1 (en) 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EP2876196A1 (en)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CN102891409A (en) Power supply connecting device
CN110750180B (en) Touch-control type electronic knob and wiring structure thereof
CN104995802A (en) Communication module adaptor
CN210576862U (en) Connector fixing structure, display panel and household appliance
CN117899446A (en) Controller with exchangeable, rotatable button clusters
CN106571853B (en) Control terminal based o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WO2003065538A1 (en) A power board
US8675331B2 (en) Electronic gaming machine interface system
KR101858388B1 (en) Flexible electric adapter to make cable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EP35901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remote systems with a power cord
CN114116570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US6215418B1 (en) Programmable membrane switch input/output system
TW202107292A (en) Burning tool of a tire pressure sensor
CN203964389U (en) New-type water heater
CN217064312U (en) Exoskeleton hand controller based on multi-directional switch
CN114687083B (en) Time-sharing processing system
CN209373549U (en) Screen slides cli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