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93B1 -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93B1
KR102609693B1 KR1020190045339A KR20190045339A KR102609693B1 KR 102609693 B1 KR102609693 B1 KR 102609693B1 KR 1020190045339 A KR1020190045339 A KR 1020190045339A KR 20190045339 A KR20190045339 A KR 20190045339A KR 102609693 B1 KR102609693 B1 KR 10260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wer
backup
termina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540A (ko
Inventor
천세영
허재웅
조봉근
오상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그니션 전원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백업 전원을 출력하는 이그니션 릴레이(RY4); 및 입력 전원의 개수(Vcc1, Vcc2, Vcc3)에 대응하는 복수의 2채널 릴레이(RY1, RY2, RY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2채널 릴레이는, 각기 제1 입력단을 통해 제1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입력 전원을 제어신호로서 입력받아 그 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며,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백업 전원인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입력받으며, 출력단을 통해서 상기 제1 입력 전원 또는 제2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POWER BACKUP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제동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의 파손 시, 상기 파손된 전원부를 우회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제동제어 유닛에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례로는 제동 시 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Anti-Lock Brake System)과, 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가속시 구동륜의 슬립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BTCS: Brake Traction Control System)과,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과 트랙션 제어를 조합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System) 등이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동제어 유닛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동제어 유닛에 배터리 전원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가 포함되어 있다.
즉, 상기 제동제어 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제동제어 유닛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동제어 유닛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백업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 20-1999-0028086호(1999.07.15. 공개, 차량용 충돌 기록 장치의 전원 백업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제동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의 파손 시, 상기 파손된 전원부를 우회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제동제어 유닛에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는, 이그니션 전원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백업 전원을 출력하는 이그니션 릴레이(RY4); 및 입력 전원의 개수(Vcc1, Vcc2, Vcc3)에 대응하는 복수의 2채널 릴레이(RY1, RY2, RY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2채널 릴레이는, 각기 제1 입력단을 통해 제1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입력 전원을 제어신호로서 입력받아 그 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며,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백업 전원인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입력받으며, 출력단을 통해서 상기 제1 입력 전원 또는 제2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전원은, 메인 배터리(BAT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부를 우회하여 입력받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BAT1)에 대하여 별도로 추가된 보조 배터리(BAT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사용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은 서로 반대의 제어신호 레벨에 의해 릴레이 접점이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RY4)는, 제1 입력단에 백업 전원인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이 입력된 상태에서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입력되는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이 입력되고,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RY4)를 통해 제2 입력 전원이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이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될 경우,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가 B접점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을 출력하며,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는 오픈(Ope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가 A접점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 모두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모든 스위치가 A접점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모든 스위치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제동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의 파손 시, 상기 파손된 전원부를 우회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제동제어 유닛에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원 백업 장치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원 백업 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입력 전원의 상태에 따른 릴레이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원 백업 장치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100)는, 배터리부(BAT)에서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량 제어부(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분배하여 인가한다. 상기 차량 제어부(200)에는 제동제어 유닛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제어 유닛은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100)는 차량 제어부(200)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에도 백업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BAT)는 하나의 배터리(예 : 메인 배터리, BAT1)만 포함할 수도 있고, 추가 배터리(예 : 보조 배터리, BAT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백업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BAT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차량 제어부(200)에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배터리(BAT1)의 전원을 차량 제어부(200)에 인가하던 전원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전원 백업 장치(100)는 상기 전원부를 우회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BAT1)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 제어부(200)에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 백업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BAT2)에서 공급되는 별도의 전원을 입력받아 차량 제어부(200)에 인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인 배터리(BAT1)의 전원을 차량 제어부(200)에 인가하던 전원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전원 백업 장치(100)는 상기 보조 배터리(BAT2)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 제어부(200)에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원 백업 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의 개수(Vcc1, Vcc2, Vcc3)에 대응하는 복수의 2채널 릴레이(RY1, RY2, RY3)를 포함하며, 각 2채널 릴레이는, 제1 입력단을 통해 제1 입력 전원(예 : Vcc1, Vcc2, Vcc3)을 입력받고, 제2 입력단을 통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입력받으며, 출력단을 통해서 상기 제1 입력 전원 또는 제2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은 서로 반대의 제어신호 레벨에 의해 작동한다(즉, 릴레이 접점이 스위칭 된다).
예컨대 제어신호 레벨이 '하이'일 경우에는 제1 입력단이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입력 전원을 출력하도록 작동하고, 제어신호 레벨이 '로우'일 경우에는 제2 입력단이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2 입력 전원을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상기 2채널 릴레이에 각기 입력되는 제어신호로서 각 입력 전원(예 : Vcc1, Vcc2, Vcc3)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전원이 '하이'일 경우(즉, 입력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될 경우)에는 제1 입력단이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입력 전원을 출력하도록 작동하고, 각 2채널 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전원이 '로우'일 경우(즉, 입력전원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입력단이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이 출력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은 이그니션 입력 전원(IGN)에 의해 작동하는 이그니션 릴레이(RY4)의 어느 1채널을 통해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인가된다. 즉,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의 1채널의 제1 입력단에 상기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이그니션 입력 전원(IGN)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이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어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입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의 다른 채널(예 : 2,3 채널)은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되면 작동되어 이그니션 출력 전원(IGN_Output)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는 이그니션 전원(IGN)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상기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별도로 구비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입력 전원의 상태에 따른 릴레이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의 개수가 3개(Vcc1, Vcc2, Vcc3)이고,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된 상태(즉, IGN Switch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릴레이(RY4)의 (3)스위치가 B접점(즉,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 2채널 릴레이(RY1 ~ RY3)의 제2 입력단에 인가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이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될 경우, 전원 백업 장치(100, 또는 백업 제어기)의 각 2채널 릴레이의 (4-1, 4-2, 4-3)스위치가 B접점(즉,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을 출력하며,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5-1, 5-2, 5-3)스위치는 오픈(Open) 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중 제1 입력 전원(Vcc1)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1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1)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1)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1)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5-1)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중 제2 입력 전원(Vcc2)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2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2)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2)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2)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5-2)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중 제3 입력 전원(Vcc3)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3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3)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3)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3)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5-3)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중 제1,2 입력 전원(Vcc1, Vcc2)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1,2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1, RY2)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1, 4-2)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1, RY2)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5-1, 5-2)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중 제1,3 입력 전원(Vcc1, Vcc3)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1,3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1, RY3)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1, 4-3)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1, RY3)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5-1, 5-3)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중 제2,3 입력 전원(Vcc2, Vcc3)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2,3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2, RY3)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2, 4-3)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2, RY3)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5-2, 5-3)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3 입력 전원(Vcc1, Vcc2, Vcc3) 모두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즉, 제1,2,3 입력 전원 이상), 전원 백업 장치(100)의 해당 2채널 릴레이(RY1, RY2, RY3)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4-1, 4-2, 4-3)가 A접점(즉,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RY1, RY2, RY3)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5-1, 5-2, 5-3)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예 : Vcc_Backup)(즉, 백업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는 프로그래머블 소자(예 : CPU, MCU 등)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식 스위칭 소자(예 : 릴레이)를 사용해 입력전원의 레벨 변화에 대응하여 곧바로 백업 전원을 출력함으로써 배터리 전원(즉, 백업 전원)을 차량 제어부(200)의 제동제어 유닛에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전원 백업 장치
200 : 차량 제어부
RY1 ~ RY4 : 릴레이

Claims (7)

  1. 이그니션 전원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백업 전원을 출력하는 이그니션 릴레이(RY4); 및
    입력 전원의 개수(Vcc1, Vcc2, Vcc3)에 대응하는 복수의 2채널 릴레이(RY1, RY2, RY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2채널 릴레이는,
    각기 제1 입력단을 통해 제1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입력 전원을 제어신호로서 입력받아 그 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며,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백업 전원인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입력받으며, 출력단을 통해서 상기 제1 입력 전원 또는 제2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RY4)는,
    제1 입력단에 백업 전원인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이 입력된 상태에서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여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입력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전원은,
    메인 배터리(BAT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부를 우회하여 입력받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BAT1)에 대하여 별도로 추가된 보조 배터리(BAT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사용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은 서로 반대의 제어신호 레벨에 의해 릴레이 접점이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전원이 입력되고,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RY4)를 통해 제2 입력 전원이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이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될 경우,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가 B접점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 입력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는 오픈(Ope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6. 이그니션 전원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백업 전원을 출력하는 이그니션 릴레이(RY4); 및
    입력 전원의 개수(Vcc1, Vcc2, Vcc3)에 대응하는 복수의 2채널 릴레이(RY1, RY2, RY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2채널 릴레이는,
    각기 제1 입력단을 통해 제1 입력 전원(Vcc1, Vcc2, Vcc3)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입력 전원을 제어신호로서 입력받아 그 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며,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백업 전원인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입력받으며, 출력단을 통해서 상기 제1 입력 전원 또는 제2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되며,
    복수의 입력 전원이 입력되고, 이그니션 전원(IGN)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이그니션 릴레이(RY4)를 통해 제2 입력 전원이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에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이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될 경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가 B접점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 입력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각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는 오픈(Open)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스위치가 A접점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스위치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전원 모두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1 입력단의 모든 스위치가 A접점 접지단에 연결되며,
    대신에 해당 2채널 릴레이의 제2 입력단의 모든 스위치가 클로즈(Close) 되어 제2 입력 전원(Vcc_Backup)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KR1020190045339A 2019-04-18 2019-04-18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KR10260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39A KR102609693B1 (ko) 2019-04-18 2019-04-18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39A KR102609693B1 (ko) 2019-04-18 2019-04-18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40A KR20200122540A (ko) 2020-10-28
KR102609693B1 true KR102609693B1 (ko) 2023-12-05

Family

ID=7301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339A KR102609693B1 (ko) 2019-04-18 2019-04-18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625A (ko) 2020-09-22 2022-03-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렐린 수용체 작용제로서의 트리아졸 화합물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9169A (ja) * 2003-06-06 2004-12-24 Hitachi Ltd 電動ブレーキ装置
JP2008220039A (ja) 2007-03-05 2008-09-18 Hitachi Ltd 電源回路及びこの電源回路を備えた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9248885A (ja) * 2008-04-10 2009-10-29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補助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877A (ko) * 2004-05-03 2005-11-08 조성연 예비전원부를 갖는 신호등용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9169A (ja) * 2003-06-06 2004-12-24 Hitachi Ltd 電動ブレーキ装置
JP2008220039A (ja) 2007-03-05 2008-09-18 Hitachi Ltd 電源回路及びこの電源回路を備えた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9248885A (ja) * 2008-04-10 2009-10-29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補助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40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3347B (zh) 用于电子控制单元的硬件安全
US20100198473A1 (en) Brake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for a vehicle
US20090199025A1 (en) Bi-directional power control
CN101516695B (zh) 飞行器电子制动系统的电力中断管理系统
KR102609693B1 (ko) 차량의 전원 백업 장치
US9434391B2 (en) Braking system
KR19980078250A (ko) 유에스비 허브 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JP6126164B2 (ja) メモリデータバックアップ機能を有する電子装置
JP6606996B2 (ja) 電池システム、二次電池の電池監視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監視方法
CN105813970A (zh) 用于在驱动系统中使用的安全系统
US20190291663A1 (en) Motor vehicle interface
KR20200110956A (ko) 차량의 이중화 시스템과, 그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20140122942A1 (en) Error signal handling unit,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error condition signal
US20180272973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202100535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sc-integrated regenerative braking system
EP2771210B1 (en) Power safety circuit,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afety critical system
KR102672591B1 (ko) 전동식 부스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132918A (ko) Abs 시스템의 모터 구동부의 오동작 방지 회로
KR102464584B1 (ko) Epb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제어 장치
US20150052285A1 (en) Computer apparatus, datapath switc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20230202436A1 (en)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117508A1 (en) Sio device with spi bus gateway controller for write protection
KR20160027547A (ko) 차량용 센서 전원의 고장 오검출 방지 장치
KR20210032099A (ko) 전동식 부스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83196A (ko) 차량 램프와 브레이크의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