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79B1 -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79B1
KR102609679B1 KR1020210026594A KR20210026594A KR102609679B1 KR 102609679 B1 KR102609679 B1 KR 102609679B1 KR 1020210026594 A KR1020210026594 A KR 1020210026594A KR 20210026594 A KR20210026594 A KR 20210026594A KR 102609679 B1 KR102609679 B1 KR 10260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tokens
payment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230A (ko
Inventor
최영석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지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지인
Priority to KR102021002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은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기; 상기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소정의 시간경과 또는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충전 결제 서버; 및 상기 제공된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BLOCKCHAIN-BA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PLATFOR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완성차 업체에서 전기자동차를 본격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전기자동차의 판매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20년 상반기에 전세계적으로 약 95만대가 판매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2025년 850만대, 2030년 2600만대, 2040년 5400만대의 전기자동차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2019년 말 기준 충전기가 1만 7,997개(완속 1만 2,061개, 급속 5,936개)있고, 2025년까지 급속충전기 1만 5,000개 설치 완료를 목표로 인프라 구축을 진행할 예정임을 밝힌바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데이터(예, 거래 기록)를 여러 사용자들이 나누어 가진 분산 원장의 형태로, 데이터를 안전하고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및 결제에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 및 운영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은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기; 상기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소정의 시간경과 또는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충전 결제 서버; 및 상기 제공된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더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된 상기 결제정보, 상기 토큰 발행 총량, 상기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미결제토큰개수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디지털포인트 및 지역화폐에 더 기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인 사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시드(Seed)와 키(Key)가 결제시마다 무작위로 변경되어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은 충전기가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충전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소정의 시간경과 또는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결제 서버가 상기 제공된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거래 기록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투명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이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운영됨으로써, 여러 충전 사업자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로밍(roaming) 및 충전 서비스 사업자들의 정산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은 충전기(110), 충전 결제 서버(120) 및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를 포함한다.
충전기(110)는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사용자가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을 이용하기 위하여 발급받은 멤버쉽에 관한 정보인 멤버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멤버쉽정보는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의 번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고유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한 번호는 선/후불형 교통카드와 같은 16자리 번호 체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 고유한 번호는 여러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에게 공유되어, 특정한 하나의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의 충전 서비스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충전기(110)는 사용자로부터 고유한 번호를 직접 입력받거나, IC/마그네틱 카드를 통해 입력받거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무선랜, 블루투스, NFC 등을 통해 입력받아 결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시간, 비용, 전력량 등을 더 입력받아, 충전기(110)에 연결된 전기자동차에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11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급속충전기, 완속충전기, 저속충전기 및 과금형콘센트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디지털포인트 및 지역화폐에 더 기반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충전기(110)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결제만 가능한 것이 아니며, 체크카드, 신용카드, 디지털포인트, 디지털바우처, 지역화폐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결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기(110)는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결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충전 결제 서버(120)는 그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소정의 시간경과 또는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따라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때, 충전 결제 서버(120)는 그 결제정보에 포함된 멤버쉽정보에 대응되는 고유한 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블록체인 지갑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보유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을 운영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다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 결제 서버(120)가 매번 사용자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결제할 때마다 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한다면,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의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수료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결제 서버(120)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결제량이 미리 결정된 누적결제량(예, 건수, 금액, 충전량 등)에 다다르는 경우에만 그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그 제공된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한다.
이때, 블록체인은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을 운영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축된 프라이빗 블록체인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과 관련된 사업자들 및 사용자들만이 노드를 구축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블록체인일 수 있다.
예컨대,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매 1시간마다 그 제공된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결제 서버(120)는 100건의 전기자동차 충전이 이루어질 때마다 그 제공된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결제 서버(120)는 1억원의 전기자동차 충전 비용이 발생할 때마다 그 제공된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더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은 블록체인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응용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한 암호화폐일 수 있다. 예컨대, 이더리움(Ethereum) 블록체인에서 이용가능한 ERC20 기반의 여러 토큰이 이와 같은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그 제공된 결제정보에 따라 토큰 발행 총량, 사용자토큰개수, 충전토큰개수 및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부분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소정의 시간경과 또는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따라 제공되는 결제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토큰 발행 총량, 사용자토큰개수, 충전토큰개수 및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매번 사용자가 결제를 할 때마다 미결제토큰개수를 증가시키면서 원장에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이 충전되는 전력량 기반으로 과금하는 서비스가 아닌 사용 시간 기반으로 과금하는 서비스일 때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시간의 결제 요청한 경우, 시작과 동시에 선불로 결제가 완료되고, 1시간 후 완료 시점에 서비스 종료가 되므로, 즉, 결제 시점과 서비스 종료 시점이 상이하여 환불 및 정산 이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결제토큰개수를 변경하여 환불 및 정산 이슈를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된 결제정보, 토큰 발행 총량, 사용자토큰개수, 충전토큰개수 및 미결제토큰개수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결제정보와 더불어 토큰 발행 총량(A), 사용자토큰개수(B), 충전토큰개수(C) 및 미결제토큰개수(X)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충전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미결제토큰개수(X)만큼의 토큰을 결제정보에 따라 결제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100)을 운영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의 전자지갑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와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자는 결제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이후,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전송된 토큰에 따라 사용자토큰개수(B)와 미결제토큰개수(X)를 줄이고, 충전토큰개수(C)를 증가시켜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토큰 발행 총량(A)은 토큰 발행량이 늘어나지 않은 이상 고정된 값으로 남을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는 미리 지정된 정산 주기(1달, 1주, 1일 등)를 지정하고 해당 시점에 정산함으로써, 블록체인 시스템의 부하를 줄여 속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제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인 사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식별정보는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시드(Seed)와 키(Key)가 결제시마다 무작위로 변경되어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식별정보는 교통카드 기반 16자리의 번호 체계를 적용할 수 있으며, P,Q,R,S 형태의 4자리 번호를 매 결제시 마다 무작위 변화시켜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식별정보가 교통카드 기반 16자리인 1122 3344 5566 7788일 때, P가 1122고, Q가 3344고, R이 5566이고, S가 7788이 되며, 이 P,Q,R,S로부터 무작위로 Seed와 Key를 생성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기존의 Seed&Key 알고리즘은 Seed값은 고정해두고 Key값을 변경하는 시스템이나 Seed갑소가 Key값 자체를 매 결제 시마다 무작위 변화시켜 결제를 완료하고, 이를 블록체인 원장에 기재하여 이중 보안 체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단계 S210에서는, 충전기(110)가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단계 S220에서는, 충전 결제 서버(120)가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소정의 시간경과 또는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따라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230에서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가 그 제공된 결제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130)가 단계 S230의 이후에,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행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기;
    상기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결제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대응하는 것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충전 결제 서버; 및
    상기 제공된 결제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여 정산하는 블록체인 결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더 기록하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는 결제 시점과,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과금 서비스 종료 시점이 상이하여 환불 및 정산 이슈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시 상기 미결제토큰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된 상기 결제정보, 상기 토큰 발행 총량, 상기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미결제토큰개수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디지털포인트 및 지역화폐에 더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인 사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시드(Seed)와 키(Key)가 결제시마다 무작위로 변경되어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6.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충전기가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충전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결제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누적결제량에 대응하는 것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결제 서버가 상기 제공된 결제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더 기록하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는 결제 시점과,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과금 서비스 종료 시점이 상이하여 환불 및 정산 이슈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시 상기 미결제토큰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블록체인 결제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의 토큰(token) 발행 총량, 전체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인 사용자토큰개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된 토큰인 충전토큰개수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었으나 미결제된 토큰인 미결제토큰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의 운영 방법.
KR1020210026594A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KR10260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594A KR102609679B1 (ko)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594A KR102609679B1 (ko)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30A KR20220122230A (ko) 2022-09-02
KR102609679B1 true KR102609679B1 (ko) 2023-12-05

Family

ID=8328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594A KR102609679B1 (ko)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3957A (ja) * 2017-12-21 2019-07-11 中部電力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102057146B1 (ko) * 2019-09-26 2019-12-18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충전소를 이용한 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3519A1 (en) * 2018-03-06 2019-09-12 Jordan Simons Customized view of restricted information recorded into a blockch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3957A (ja) * 2017-12-21 2019-07-11 中部電力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102057146B1 (ko) * 2019-09-26 2019-12-18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충전소를 이용한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30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7693A1 (en) Electricity transfer system network and related methods
CN107403229A (zh) 一种单车共享方法
KR102235406B1 (ko) 자율형 블록체인 기반 기부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5521A (ko) Ic카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충전,지불 및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915439A (zh) 电子钱币管理系统以及电子钱币管理方法
CN111242603A (zh) 基于区块链的乘车结算方法及装置
JP2007079643A (ja) 電子マネー決済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情報記憶媒体
KR10260967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KR101709438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CN109636601B (zh) 数字资产管理系统
KR101851325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572860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Droździel et al. The application of the progressive decision-making methods in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in public transport
CN113657946B (zh) 一种停车用户领券商家优惠券抵扣结算方法
KR101852455B1 (ko) 즉시충전 선불교통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KR102103473B1 (ko) 커뮤니티 화폐 플랫폼 운영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254463A (zh) 一种数据转移方法及相关设备、系统
KR101195141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송금방법
KR20060117414A (ko) 충전 가능한 문화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3665326B2 (ja) クレジットid貸与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505267B2 (ja) クレジットid管理方法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4807B1 (ko) 2 모드로 작동하는 교통 카드 및 교통 카드의 트랜잭션 처리 방법
KR102228978B1 (ko) 관리자단말기를 이용한 렌터카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