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187B1 -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9187B1 KR102609187B1 KR1020220125802A KR20220125802A KR102609187B1 KR 102609187 B1 KR102609187 B1 KR 102609187B1 KR 1020220125802 A KR1020220125802 A KR 1020220125802A KR 20220125802 A KR20220125802 A KR 20220125802A KR 102609187 B1 KR102609187 B1 KR 102609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ial
- deceased
- nft
- allows
- archiv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0 precious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8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 있어서,
유가족 및 추모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전문 플래너(P)가 온라인상에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
고인을 추모하는 유가족 및 추모자가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의해 제작된 고인의 추모 공간에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로 구성되되,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서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아카이브 자료로 저장되고,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에서는,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저장된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디지털화된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 플래너(P)가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아카이브 자료로 생성하여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유가족 및 추모자에게 제공하고, 유가족 및 추모자는 온라인상에 제작된 추모 공간을 활용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되,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NFT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 있어서,
유가족 및 추모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전문 플래너(P)가 온라인상에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
고인을 추모하는 유가족 및 추모자가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의해 제작된 고인의 추모 공간에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로 구성되되,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서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아카이브 자료로 저장되고,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에서는,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저장된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디지털화된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 플래너(P)가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아카이브 자료로 생성하여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유가족 및 추모자에게 제공하고, 유가족 및 추모자는 온라인상에 제작된 추모 공간을 활용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되,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NFT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정리하고,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에 대한 아카이브 생성 및 생성된 아카이브를 NFT화하여, 고인의 삶의 흔적을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자산으로 간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NFT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token)이다.
그림, 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token) 안에 담음으로서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NFT는 고유성을 지니며, 동일품이 존재할 수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NFT가 아닌, 대체 가능한 토큰들(예를 들어, 암호화폐)은 각기 동일한 가치와 기능을 가진다.
서로 교환이 가능하며, 동일 단위의 1:1 교환이 발생할 경우, 사실상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과 다름이 없다.
명목화폐, 비트코인, 이더 등의 통상적 암호화폐, 귀금속, 채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은 각기 고유성을 지닌다.
발권자, 비행편, 좌석위치 등이 전부 특정되어 있으므로 동일품이 아예 존재할 수 없는 항공권과 비슷하다.
NFT는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김으로서 고유성을 보장받는다.
특정 개인이나 기관으로부터 임의의 인증을 받음으로써 고유성을 보장받는 전통 방식과 다르다.
아무나 복제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에 대해서도 고유 소유권을 발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이 장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NFT를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에 적용하여,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에 대한 소장성 및 희소성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 고인을 보다 의미있게 추모할 수 있도록 하되,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용이하게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2271호의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 생성방법과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명령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들 각각은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전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상기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을 생성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440호의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메인서버와 연동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추모관을 활용함에 있어서, 유언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인서버에 계정을 생성하고, 기본정보를 등록하고, 본인인증절차를 거치고, 온라인추모관에 지불할 비용을 설정하는 회원가입단계, 로그인 상태에서 상기 메인서버에 유언자의 유서, 사진, 음성메세지, 동영상 자료를 포함하는 유언정보자료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에서 상기 연동서버로 상기 유언정보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연동서버는 상기 유언정보자료를 저장하는 단계, 등록된 상기 유언정보자료 각각에 유언집행자 외 열람가능자를 설정하여 공개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공개범위 설정이 완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자동으로 계정 잠금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유언정보자료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메인서버에 저장된 상기 유언정보자료를 삭제하는 단계, 상기 유언정보자료에 대한 접근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유가족 또는 유언집행자가 유언자의 사망확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연동서버에 저장된 상기 유언정보자료를 상기 메인서버로 불러오는 단계, 상기 열람가능자의 계정에 한해서 상기 유언정보자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추모관을 활용한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유사,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있어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를 통한 발명의 효과에 차이가 있다.
즉, 선행기술 1은,
온라인으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에 대한 생성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선행기술 2는,
유언정보자료를 등록, 유언집행자 및 열람가능자를 설정하여 공개범위를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자동으로 계정이 잠금되도록 하여 유언정보자료에 접근을 차단하는 등, 유언정보자료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 관리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과 대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에 있어 기술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온라인 장례 서비스에 대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인,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 시스템상에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에 대한 아카이브 생성 및 생성된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하여,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의 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니어(senior)들의 블록체인 기술 접근을 쉽게 유도할 수 있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전문 플래너가 유가족 및 추모자로부터 의뢰를 받고, 고인의 유품 정리 후, 유품을 바탕으로 한 아카이브 서비스를 활용, 고인의 커스텀 추모관을 제공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납골 대신 산분장을 통해 찾아갈 납골당이 없는 유가족 및 추모자를 위한 온라인 납골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인이 된 후가 아닌, 생전에 미리 온라인상에 자신의 추모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라인상의 추모 공간에서 커뮤니티를 활성화하여, 천국으로의 이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있어서,
유가족 및 추모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전문 플래너가 온라인상에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
고인을 추모하는 유가족 및 추모자가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에 의해 제작된 고인의 추모 공간에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로 구성되되,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에서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아카이브 자료로 저장되고,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에서는,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에 저장된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디지털화된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는,
전문 플래너에 의해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로부터 생성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 생성된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 고인에 대한 추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UI플랫폼모듈;
상기 추모자UI플랫폼모듈을 통해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한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선택하여,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자UI플랫폼모듈을 통해 온라인상에 마련된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선택하여,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을 통해 NFT화함으로서, 보다 의미있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해당 아카이브 자료에 희소성이 더해지도록 하되,
추모자UI플랫폼모듈은,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의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로부터 획득되어 전문 플래너를 통해 제공받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페이지출력요소;
메인페이지출력요소에 접속, 로그인되면,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의 추모 공간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검색요소;
상기 추모공간검색요소를 통해 검색된 고인의 추모 공간을 선택, 조회하여,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조회요소;
현재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추모 공간을 검색, 조회, 접속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로그인한 유가족 및 추모자 자신의 정보를 입력, 설정, 편집하고, 전문 플래너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확인요소;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방법(메뉴)를 열람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 공간이 출력되는 추모공간출력요소;
상기 추모공간출력요소에 저장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
상기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를 통해 선별된 하나 이상의 아카이브 자료를 목록화하여, 서비스형 블록체인으로 리스트(list)를 전달하는 NFT화아카이브자료리스트전달요소;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을 열람, 확인하여 추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가족 및 추모자에 의한 선별을 통해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고,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은,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계정 및 NFT 지갑이 생성되도록 하는 블록체인플랫폼계정생성요소;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NFT가 발행, 생성되도록 하는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로 구성되되,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는,
NFT화를 위한 서비스형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컨트랙트배포객체;
NFT화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트랜잭션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NFT트랜잭션생성객체;
상기 NFT트랜잭션생성객체를 통해 생성된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트랜잭션 정보가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NFT트랜잭션전송객체;
NFT 지갑에 등록된 NFT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의 목록을 조회,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NFT목록조회수정객체;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하여 소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고인의 유품 정리 후, 유품을 바탕으로 생성된 아카이브 자료를 용이하게 NFT화할 수 있다.
2. 아카이브 자료의 NFT화로, 다른 세대들에 비해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수 있는 시니어들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
즉, 유품을 바탕으로 생성된 아카이브에 대한 NFT화하되,
NFT 발급을 위한 지갑 생성, 지갑 주소 연동 및 조회까지 모두 자동화하여,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낮추고 사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시니어(senior)들의 부정적인 인식, 접근성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추후 나올 블록체인 서비스 컨텐츠들에 대한 거부감 감소 및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새로운 온라인 장례 서비스 분야를 개척할 수 있다.
5. 또한, 유품을 바탕으로 생성된 아카이브 자료 중, 재생산성이 있는 항목들을 컨텐츠화하여, 저작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아카이브 자료가 고인의 손 글씨일 경우, AI 딥러닝을 통한 웹 GUI 한글 폰트로 생성되도록 하여, 글씨체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6. 기존 KAIKAS와 같은 웹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지갑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닌, 전문 플래너와의 상담 이후, NFT 발급을 원할 경우, 지갑 생성, NFT 발급, 지갑 주소 연동 및 조회까지 모두 자동화하여, 유가족 및 추모자의 편의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7. 블록체인의 상용화와,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8. 또한, 고인이 된 후가 아닌, 생전에 미리 온라인상에 자신의 추모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라인상의 추모 공간에서 커뮤니티를 활성화하여, 천국으로의 이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소위, 무덤 친구의 관계를 구축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즉,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를 제공하되,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고, 아카이브 자료로 생성하고, 이를 용이하게 NFT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인을 추모하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더욱 의미있게 소장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새로운 장례 서비스를 개척, 유가족 및 추모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통한 유품 정리 및 추모 공간 개설의 진행 과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의 일반적인 유품 관련 NFT 등록 방법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NFT 등록 방법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NFT 등록 과정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 및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의 시작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4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5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6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통한 유품 정리 및 추모 공간 개설의 진행 과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의 일반적인 유품 관련 NFT 등록 방법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NFT 등록 방법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NFT 등록 과정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 및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의 시작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4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5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6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을 통한 유품 정리 및 추모 공간 개설의 진행 과정을 블록도로, 도 4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의 일반적인 유품 관련 NFT 등록 방법을 개략도로, 도 5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NFT 등록 방법을 개략도로, 도 6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NFT 등록 과정을 개략도로, 도 7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 및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의 최초 시작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실시 예를, 도 8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 9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도 10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3실시 예를, 도 11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4실시 예를, 도 12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5실시 예를, 도 13은,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를 통해, 전문 플래너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6실시 예를, 도 14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 15는, 본 발명인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 있어서,
유가족 및 추모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전문 플래너(P)가 온라인상에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
고인을 추모하는 유가족 및 추모자가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의해 제작된 고인의 추모 공간에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로 구성되되,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서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아카이브 자료로 저장되고,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에서는,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저장된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디지털화된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가족으로부터 의뢰받은 전문 플래너(P)가, 유가족을 대신하여, 고인의 삶의 흔적을 정리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아카이브 자료로서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되, 유가족 및 추모자가 아카이브 자료를 용이하게 NFT화할 수 있도
록 유도함으로서, NFT화된 해당 아카이브 자료에 대한 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는,
전문 플래너(P)가 온라인상에 접속하여, 고인의 삶의 흔적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UI플랫폼모듈(110);
전문 플래너(P)가 상기 관리자UI플랫폼모듈(110)에 접속하여, 고인의 삶의 흔적을 업로드하고, 일정 기준에 따라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품자료정리모듈(120);
상기 유품자료정리모듈(120)을 통해 정리되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인유품아카이브생성모듈(130);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 공간이 제작되는 고인추모공간제작모듈(140);로 구성되어,
유가족으로부터 의뢰받은 전문 플래너(P)가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업로드, 정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고인추모공간제작모듈(140)은,
전문 플래너(P)가 추모 공간의 소개글을 입력,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고인추모공간소개글메뉴구성입력요소(141);
전문 플래너(P)가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을 다양한 테마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고인삶흔적메뉴구성작성입력요소(142);
전문 플래너(P)가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을 일정 기준으로 업로드, 편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인삶흔적아카이브메뉴작성입력요소(143);
유가족 및 추모자가 방문하여 고인에 대한 추모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글메뉴구성입력요소(144);
유가족 및 추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로그인 정보가 생성되는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145);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상기 고인추모공간소개글메뉴구성입력요소(141), 고인삶흔적메뉴구성작성입력요소(142), 고인삶흔적아카이브메뉴작성입력요소(143)를 열람하여, 고인의 삶의 흔적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추모글메뉴구성입력요소(144)를 통해 텍스트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되,
유가족 및 추모자는 상기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145)로부터 생성된 로그인 정보를 전문 플래너(P)에게 제공받아, 제공받은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를 통해 접속하여, 온라인상에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을 열람, 추모할 수 있도록 한다.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는,
전문 플래너(P)에 의해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로부터 생성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 생성된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 고인에 대한 추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
상기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을 통해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한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선택하여,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220);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을 통해 온라인상에 마련된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선택하여,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220)을 통해 NFT화함으로서, 보다 의미있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해당 아카이브 자료에 희소성이 더해지도록 하되,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은,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의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145)로부터 획득되어 전문 플래너(P)를 통해 제공받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페이지출력요소(211);
메인페이지출력요소(211)에 접속, 로그인되면,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의 추모 공간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검색요소(212);
상기 추모공간검색요소(212)를 통해 검색된 고인의 추모 공간을 선택, 조회하여,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조회요소(213);
현재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추모 공간을 검색, 조회, 접속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로그인한 유가족 및 추모자 자신의 정보를 입력, 설정, 편집하고, 전문 플래너(P)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확인요소(214);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방법(메뉴)를 열람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 공간이 출력되는 추모공간출력요소(215);
상기 추모공간출력요소(215)에 저장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216);
상기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216)를 통해 선별된 하나 이상의 아카이브 자료를 목록화하여, 서비스형 블록체인으로 리스트(list)를 전달하는 NFT화아카이브자료리스트전달요소(217);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을 열람, 확인하여 추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가족 및 추모자에 의한 선별을 통해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고,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220)은,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계정 및 NFT 지갑이 생성되도록 하는 블록체인플랫폼계정생성요소(221);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NFT가 발행, 생성되도록 하는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222);로 구성되되,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222)는,
NFT화를 위한 서비스형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컨트랙트배포객체(222a);
NFT화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트랜잭션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NFT트랜잭션생성객체(222b);
상기 NFT트랜잭션생성객체(222b)를 통해 생성된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트랜잭션 정보가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NFT트랜잭션전송객체(222c);
NFT 지갑에 등록된 NFT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의 목록을 조회,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NFT목록조회수정객체(222d);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하여 소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을 단계로 살펴보면,
온라인상에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추모 공간을 제작하기 위한 전체적인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의하는 상담문의단계(S100);
상기 상담문의단계(S100)를 통해 문의된 상담 정보를 바탕으로, 유가족 및 추모자에 전문 플래너(P)가 매칭되도록 하는 플래너매칭단계(S200);
상기 플래너매칭단계(S200)를 통해 매칭된 전문 플래너(P)가 유가족 및 추모자와 상담 후, 고인의 유품 및 자료를 정리, 디지털화하는 유품자료정리단계(S300);
상기 유품자료정리단계(S300) 진행 후, 디지털화된 고인의 유품 및 자료를 아카이브 자료로 추출하는 아카이브추출단계(S400);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추모 공간을 기획하는 추모홈페이지기획단계(S500);
상기 추모홈페이지기획단계(S500)를 통해 추모 공간이 기획되면,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개설하는 고인추모관개설단계(S600);
상기 고인추모관개설단계(S600)를 통해 제작, 개설된 고인의 추모 공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관관리단계(S700);로 구성되어,
온라인상에서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추모 공간을 통해 추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추모홈페이지기획단계(S500)는,
추모할 고인이 개인인 1명인지, 부부인 2명인지, 가족이나 단체인 2인 이상인지 등, 어떤 컨셉으로 추모 공간이 기획될지를 결정하는 추모공간컨셉결정단계(S510);
추모할 고인의 사연에 따른 테마를 구성, 결정하여, 이가 투영된 추모 공간의 제작을 기획하는 추모공간테마구성결정단계(S520);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자료의 성격에 따라 아카이브가 구성되도록 기획하는 추모공간아카이브구성자료결정단계(S530);로 구성되고,
추모관관리단계(S700)는,
추모 공간을 기획하고 제작하여 개설한 전문 플래너(P)를 통해, 추모 공간을 방문하는 유가족 및 추모자에 의한 추모 공간의 수정 가능 정도를 결정하는 추모관수정정도결정단계(S710);로 구성되어,
고인의 유품을 바탕으로,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추모 공간이 온라인상에 개설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유가족 및 추모자와 전문 플래너(P) 간, 상담을 진행하고,
상담을 기반으로 고인의 유품 정리 및 아카이브를 진행하고,
온라인상에 추모 공간을 개설하고,
온라인상에 개설된 추모 공간에 접근 가능한 계정을 유가족 및 추모자에게 전달하고,
추모 공간에 작성된 아카이브 자료 중, 소장 가치가 있거나, 소장하고 싶은 자료를 전문 플래너(P)와 상담을 통해 선별하고,
예를 들어, KAS API의 Wallet API를 바탕으로, Klaytn 기반 지갑을 생성하고,
NFT 등록, 수정, 조회, 삭제 가능한 Smart Contract를 배포하고,
유가족 및 추모자가 NFT화 요청한 아카이브 자료들을 지갑에 NFT화하여 등록시키고,
온라인상에 개설된 추모 공간에 접근 가능한 계정에 지갑 주소를 연동하여 지갑이 소유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는,
유가족 및 추모자가 자신들과 매칭된 전문 플래너(P) 및 제작한 고인의 추모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플래너평가반영부(30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전문 플래너(P) 및 전문 플래너(P)에 의해 제작된 추모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되,
전문 플래너(P)의 활동 및 대응도, 태도 등을 평가하는 플래너평가모듈(310);
전문 플래너(P)에 의해 제작된 고인의 추모 공간 및 추모 공간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추모공간평가모듈(320);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의 서비스 요구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전문 플래너(P)의 업무 정량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가 인사 고과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서, 전문 플래너(P)의 프로 의식이 강화되도록 도모한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란,
고인의 이력, 발자취, 사진, 유품 등, 고인의 태생부터 천국으로 이사한 날까지의 고인을 설명하거나, 기억,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유형적 정보를 의미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인의 삶의 흔적을 정리하고, 이를 디지털화하고, 온라인상에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을 제작, 관리하는 장례 서비스 관련 산업 분야 증진은 물론, 온라인 장례 서비스 산업과 블록체인, NFT 기술 분야를 접목하여, 새로운 온라인 장례 서비스 산업 시장을 개척, 관련 산업 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100: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 110: 관리자UI플랫폼모듈
120: 유품자료정리모듈 130: 고인유품아카이브생성모듈
140: 고인추모공간제작모듈
141: 고인추모공간소개글메뉴구성입력요소
142: 고인삶흔적메뉴구성작성입력요소
143: 고인삶흔적아카이브메뉴작성입력요소 144: 추모글메뉴구성입력요소
145: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
200: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 210: 추모자UI플랫폼모듈
211: 메인페이지출력요소 212: 추모공간검색요소
213: 추모공간조회요소 214: 로그인확인요소
215: 추모공간출력요소
216: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
217: NFT화아카이브자료리스트전달요소 220: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
221: 블록체인플랫폼계정생성요소
222: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 222a: 스마트컨트랙트배포객체
222b: NFT트랜잭션생성객체 222c: NFT트랜잭션전송객체
222d: NFT목록조회수정객체
300: 추모공간플래너평가반영부 310: 플래너평가모듈
320: 추모공간평가모듈
S100: 상담문의단계 S200: 플래너매칭단계
S300: 유품자료정리단계 S400: 아카이브추출단계
S500: 추모홈페이지기획단계 S510: 추모공간컨셉결정단계
S520: 추모공간테마구성결정단계
S530: 추모공간아카이브구성자료결정단계 S600: 고인추모관개설단계
S700: 추모관관리단계 S710: 추모관수정정도결정단계
P: 전문 플래너
100: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 110: 관리자UI플랫폼모듈
120: 유품자료정리모듈 130: 고인유품아카이브생성모듈
140: 고인추모공간제작모듈
141: 고인추모공간소개글메뉴구성입력요소
142: 고인삶흔적메뉴구성작성입력요소
143: 고인삶흔적아카이브메뉴작성입력요소 144: 추모글메뉴구성입력요소
145: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
200: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 210: 추모자UI플랫폼모듈
211: 메인페이지출력요소 212: 추모공간검색요소
213: 추모공간조회요소 214: 로그인확인요소
215: 추모공간출력요소
216: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
217: NFT화아카이브자료리스트전달요소 220: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
221: 블록체인플랫폼계정생성요소
222: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 222a: 스마트컨트랙트배포객체
222b: NFT트랜잭션생성객체 222c: NFT트랜잭션전송객체
222d: NFT목록조회수정객체
300: 추모공간플래너평가반영부 310: 플래너평가모듈
320: 추모공간평가모듈
S100: 상담문의단계 S200: 플래너매칭단계
S300: 유품자료정리단계 S400: 아카이브추출단계
S500: 추모홈페이지기획단계 S510: 추모공간컨셉결정단계
S520: 추모공간테마구성결정단계
S530: 추모공간아카이브구성자료결정단계 S600: 고인추모관개설단계
S700: 추모관관리단계 S710: 추모관수정정도결정단계
P: 전문 플래너
Claims (2)
- 유가족 및 추모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전문 플래너(P)가 온라인상에 고인의 추모 공간을 제작,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
고인을 추모하는 유가족 및 추모자가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의해 제작된 고인의 추모 공간에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로 구성되되,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서는,
고인의 삶의 흔적을 디지털화하여 아카이브 자료로 저장되고,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에서는,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에 저장된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하여,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디지털화된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1)에 있어서,
추모자추모공간활용부(200)는,
전문 플래너(P)에 의해 상기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로부터 생성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 생성된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 고인에 대한 추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
상기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을 통해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한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선택하여, NFT화할 수 있도록 하는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220);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을 통해 온라인상에 마련된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선택하여,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220)을 통해 NFT화함으로서, 보다 의미있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해당 아카이브 자료에 희소성이 더해지도록 하되,
추모자UI플랫폼모듈(210)은,
관리자추모공간제작부(100)의 추모자전용로그인정보획득요소(145)로부터 획득되어 전문 플래너(P)를 통해 제공받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추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페이지출력요소(211);
메인페이지출력요소(211)에 접속, 로그인되면,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의 추모 공간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검색요소(212);
상기 추모공간검색요소(212)를 통해 검색된 고인의 추모 공간을 선택, 조회하여,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의 추모 공간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공간조회요소(213);
현재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추모 공간을 검색, 조회, 접속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로그인한 유가족 및 추모자 자신의 정보를 입력, 설정, 편집하고, 전문 플래너(P)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확인요소(214);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방법(메뉴)를 열람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는 추모 공간이 출력되는 추모공간출력요소(215);
상기 추모공간출력요소(215)에 저장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 중, NFT화할 아카이브 자료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216);
상기 NFT화아카이브자료선별요소(216)를 통해 선별된 하나 이상의 아카이브 자료를 목록화하여, 서비스형 블록체인으로 리스트(list)를 전달하는 NFT화아카이브자료리스트전달요소(217);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온라인상에서 디지털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을 열람, 확인하여 추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가족 및 추모자에 의한 선별을 통해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하고,
NFT아카이브생성관리모듈(220)은,
유가족 및 추모자가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계정 및 NFT 지갑이 생성되도록 하는 블록체인플랫폼계정생성요소(221);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NFT가 발행, 생성되도록 하는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222);로 구성되되,
추모자전용고유NFT생성요소(222)는,
NFT화를 위한 서비스형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컨트랙트배포객체(222a);
NFT화될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에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트랜잭션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NFT트랜잭션생성객체(222b);
상기 NFT트랜잭션생성객체(222b)를 통해 생성된 유가족 및 추모자의 고유 트랜잭션 정보가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NFT트랜잭션전송객체(222c);
NFT 지갑에 등록된 NFT화된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의 목록을 조회,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NFT목록조회수정객체(222d);로 구성되어,
유가족 및 추모자가 용이하게 고인의 삶의 흔적이 담긴 아카이브 자료를 NFT화하여 소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802A KR102609187B1 (ko) | 2022-09-30 | 2022-09-30 |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802A KR102609187B1 (ko) | 2022-09-30 | 2022-09-30 |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9187B1 true KR102609187B1 (ko) | 2023-12-05 |
Family
ID=8915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802A KR102609187B1 (ko) | 2022-09-30 | 2022-09-30 |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918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1440A (ko) | 2014-11-03 | 2016-05-11 | 이상호 |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 방법 |
KR102192271B1 (ko) | 2020-05-22 | 2020-12-17 | 배진욱 |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 생성방법과 시스템 |
KR20220113248A (ko) * | 2021-02-05 | 2022-08-12 | 옥재윤 | 인공지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2022
- 2022-09-30 KR KR1020220125802A patent/KR1026091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1440A (ko) | 2014-11-03 | 2016-05-11 | 이상호 | 온라인 추모관 서비스 방법 |
KR102192271B1 (ko) | 2020-05-22 | 2020-12-17 | 배진욱 |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 생성방법과 시스템 |
KR20220113248A (ko) * | 2021-02-05 | 2022-08-12 | 옥재윤 | 인공지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232427A1 (en) | Cloud based viewing, transfer and storage of medical data | |
US1001943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illing out forms | |
US9760697B1 (en) | Secure interactive electronic vault with dynamic access controls | |
US10108811B1 (en) | Dynamic secure interactive electronic vault | |
US20180205546A1 (en) | Systems, methods, apparatuses for secure management of legal documents | |
US10530580B1 (en) | Enhance interactive electronic vault | |
US20200104796A1 (en) | Smart Contracts | |
US20140114672A1 (en) | Cloud based viewing, transfer and storage of medical data | |
US2014010804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ross enterprise data sharing in a health care setting | |
US11616816B2 (en) | Distributed ledger based document image extracting and processing within an enterprise system | |
US11068566B2 (en) | Temporal access authorization and notification | |
US20090037426A1 (en) |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selectively distributing critical personal information to one or more user-designated recipients | |
Dumortier et al. | Legal regula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a comparative analysis of Europe and the US | |
US20150019449A1 (en) | Method to transfer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and other hard to replace documents to a selected recipient post death | |
JP7408277B2 (ja) | データ管理システム | |
KR102609187B1 (ko) | Nft를 활용한 디지털 추모관 시스템 | |
US20240095857A1 (en) | Estate planning and beneficia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digital assets | |
US20140379381A1 (en) | Method for Allowing Consumer Control Over Personal Healthcare Information | |
US11599961B1 (en) | Estate planning and beneficia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digital assets | |
US20180349847A1 (en) | Invento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KR20210106765A (ko) | 조문 및 온라인 제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
Cohen | Damage Control: The Adoption of the Uniform Fiduciary Access to Digital Assets Act in Texas | |
CA2426539A1 (en) | On-line system for memorial, legacy, funeral and remembrance arrangement, services and transactions | |
JP7110470B2 (ja) |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Walker et al. | Virtual Ass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