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071B1 -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071B1
KR102609071B1 KR1020210091110A KR20210091110A KR102609071B1 KR 102609071 B1 KR102609071 B1 KR 102609071B1 KR 1020210091110 A KR1020210091110 A KR 1020210091110A KR 20210091110 A KR20210091110 A KR 20210091110A KR 102609071 B1 KR102609071 B1 KR 10260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antioxidant composition
composition
part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492A (ko
Inventor
조민규
조왕기
Original Assignee
조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규 filed Critical 조민규
Priority to KR102021009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0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3-부탄다이올,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 및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을 혼합시킨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composition}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3-부탄다이올,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 및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을 혼합시킨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항산화제라 함은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고 있고 자외선 노출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약부외품은 인체에 작용이 있더라도 작용이 경미하고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구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사용 목적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을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항산화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항산화 화장품, 베이스, 포인트, 손발톱용 메이크업 항산화 화장품 및 세정용, 선케어, 선테닝 등의 바디 항산화화장품 및 샴푸-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 화장품 원료 및 약제 성분으로 피부 및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다음 세정시까지 일시적인 효과만을 제공 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피부의 노화에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에 의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화의 활성 산소설은 1956년 Harm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활성산소들에 의하여 생체구성 성분들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손상들이 축적되어 노화와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활성 산소들에 의한 손상들은 생체가 가지고 있는 방어능력으로 대처되고 있지만 방어가 100% 완전치 못하므로 일부의 활성산소에 의한 유해작용을 받게 된다. 유해작용은 천천히 경우에 따라서 수년 내지는 일생을 통하여 만성적으로 일어나 누적되어 피부의 세포나 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것이 곧 질병 및 노화의 원인이 된다.
염증의 발현은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반응이지만 임상적으로는 발적, 종창, 발열, 동통 및 기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 염증 부위를 관찰하면 세포의 괴사, 모세혈관의 확장, 부종과 동시에 호중구, 단구를 주체로 하는 염증성 세포의 침윤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일련의 순서를 갖고 출현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 작용하는 많은 화학매개체(화학적 매개물질)와 그 작용이 계속 알려지고 있다.
염증의 과정을 시간적으로 보면 혈류 및 혈관크기의 변동에 의한 혈역동학적 변동(Hemodynamic changes)과 염증세포의 삼출, 또한 결합조직의 증식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ROS와 연관되어 연구가 되고 있는 부분은 혈역동학적 변동으로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염증시에는 혈소판 활성물질(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이 분비되어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며 산화질소(nitric oxide) 합성이 증가되며 혈관이 확장되고 부착분자들이 발현되어 백혈구의 부착 및 이동에 관여한다. 급성 염증시에는 내피세포의 표면의 성질이 변화한다. 일련의 반응과 ROS를 연관시킨 연구를 많이 하고 있는 추세이다.
생체에서 항산화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음식이나 보충제로 항산화제를 섭취할 경우 피부까지 도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을 감싸고 있어 외부 환경과 자외선 등의 유해 요인에 늘 직접 맞닿아 있으면서도 생명과 직결되지는 않는 말초 기관이기 때문에 체내에 비타민이나 항산화제가 부족하게 되면 가장 먼저 피부에 결핍이 오기 쉽다. 인체의 입장에서 오장육부 등 생존에 중요한 장기에 먼저 필요한 성분을 공급한 후 남는 것을 피부에 보내주게 된다. 그러므로 피부에도 항산화력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피부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면 화장품에 대한 피부 항산화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를 강하게 충족시키게 되어 피부 노화에 대한 다양한 효능인 항산화, 피부결 및 탄력 개선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2,3-부탄다이올,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 및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을 혼합시킨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있어서 2,3-부탄다이올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활성산소의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보호하며 피부와 신체 노화를 발생시키는 피부의 활성산소 발생을 억제하고 예방해주는 역할을 하며, 피부에 적용 경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주름과 피부결을 개선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자외선 및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세포 손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있어서 2,3-부탄다이올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은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2~5 중량부의 수용성 아마씨유를 항산화제로 추가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항균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마사지, 클렌징, 팩, 젤, 마스크팩, 하이드로겔, 폼클렌징, 화운데이션, 틴트, 비비, 쿠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헤어, 바디로 이루어진 제품군 중에서 선택된 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3-부탄다이올은 천연물에서 추출되는 항산화 추출뭉을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은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은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되는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과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은 안전하고 안정한 화장품용 천연방부제이며,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품용 천연방부제는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오일과 알로에 바바덴시스 잎추출물을 조합하여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방부 효과를 갖는 방부제 조성을 얻어낼 수 있다.
백합과 식물인 알로에는 고온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선인장 식물이다. 건강기능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 많이 쓰이는데 인디언 호피부족이 알로에를 하늘의 기적이라고 부를 만큼 특별한 성분이 많이 담겨 있다.
알로에를 구성하는 물질이 무려 160여 가지가 되고 과육을 많이 포함한 알로에는 잎이 뽀족한 것이 특징이며 잎을 자르면 투명한 젤이 나오고 이것이 화장품의 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로에베라의 원료이다. 문제는 추출된 알로에 수액이 쉽게 변질될 정도로 불안정하다. 신속한 가공이 알로에의 좋은 성분을 얼마나 담을 수 있는지 좌우하다 보니 일부에서는 알로에성분을 소량만 배합해 사용한다.
시트러스오일과의 조합에 의한 방부 기능외에 알로에의 대표적인 효능은 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고 상처를 아물게 하는 치료 효과이다. 또한 탁월한 보습 효과와 피부 자극을 완화해준다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거칠고 손상된 피부를 부드럽게 관리해주는데 효과적이다. 직사광선에 노출된 피부를 진정시켜주고 보호해주기 때문에 여름철 수분크림이나 진정크림으로 많이 쓰이며, 보습 크림과 자외선 차단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아마씨유는 아마씨를 10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아마씨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급속 냉각시키고, 급속 냉각된 아마씨를 착유기에 넣고 착유기의 온도 100℃ 상태에서 착유한 후 200 메쉬에서 여과하여 여과된 아마씨유를 수득하고, 상기 여과된 아마씨유를 20일 자연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는 공정을 거쳐 정제된 아마씨유를 수득하여 아마씨유를 제조하고, 상기 아마씨유 50g과 물 25g에 혼합한 후 트웬 60(Tween 60) 5g을 가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수용성 아마씨유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아마씨유는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2~5 중량부 첨가되는 것으로 항산화 항균 조성물 전체 대비 2 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경우 그 항산화 효과가 미비하며 분산성이 저하되고, 항산화 항균 조성물 전체 대비 5 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항산화 효과는 증대되지만 분산성의 급증으로 인해 품질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항균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마사지, 클렌징, 팩, 젤, 마스크팩, 하이드로겔, 폼클렌징, 화운데이션, 틴트, 비비, 쿠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헤어, 바디로 이루어진 제품군 중에서 선택된 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1: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2,3-부탄다이올 5g,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 5g 및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 5g으로 이루어진 것을 수상성분은 원료를 평량한 후 패들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여 80℃ 용해하여 수상을 준비한다. 유상성분 원료들을 평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을 준비한다. 유상에는 오일과 칼라, 실리카 등을 첨가한다. 다음 공정으로 유상을 80℃까지 가온하고 같은 온도인 수상을 서서히 혼합하면서 50%까지는 2000rpm 중속으로 혼합하고 나머지 100%까지는 2500rpm으로 균질하게 유화시켜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2,3-부탄다이올 5g,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 5g,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 5g 및 수용성 아마씨유 5g으로 이루어진 것을 수상성분은 원료를 평량한 후 패들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여 80℃ 용해하여 수상을 준비한다. 유상성분 원료들을 평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을 준비한다. 유상에는 오일과 칼라, 실리카 등을 첨가한다. 다음 공정으로 유상을 80℃까지 가온하고 같은 온도인 수상을 서서히 혼합하면서 50%까지는 2000rpm 중속으로 혼합하고 나머지 100%까지는 2500rpm으로 균질하게 유화시켜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험예 1: 항산화시험결과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항산화시험을 실행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하여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것은 항산화 효과가 10 내지 30% 산화 효과가 증대되었다.
실험예 2: 항산화시험결과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항산화시험을 실행하였다. 항산화시험결과는 실시예 1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5 내지 10% 정도 우수한 항산화 결과가 나왔다.

Claims (3)

  1.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2,3-부탄다이올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 알로에 바바덴시스잎 추출물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 시트러스 아우랜티움 덜시스 오일을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1~1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이며,
    항산화 조성물 전체 대비 2~5 중량부의 수용성 아마씨유를 항산화제로 첨가한 것이며,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마사지, 클렌징, 팩, 젤, 마스크팩, 하이드로겔, 폼클렌징, 화운데이션, 틴트, 비비, 쿠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헤어, 바디로 이루어진 제품군 중에서 선택된 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091110A 2021-07-12 2021-07-12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KR10260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10A KR102609071B1 (ko) 2021-07-12 2021-07-12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10A KR102609071B1 (ko) 2021-07-12 2021-07-12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92A KR20230010492A (ko) 2023-01-19
KR102609071B1 true KR102609071B1 (ko) 2023-12-04

Family

ID=8507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10A KR102609071B1 (ko) 2021-07-12 2021-07-12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0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98A (ko) * 2018-02-27 2019-09-0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2,3-부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외선을 차단해줘, 아토엔비 선스틱",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sukhong52/221975242256), (게재일: 2020.05.24.)*
Wasan K. A. Al-Temimi et al., "Diagnose the Bioactive Compounds in Flaxseed Extract and Its Oil and Use Their Mixture as an Antioxidant", Basrah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Vol. 33, No. 1, pp. 172-188, 2020.06.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92A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2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101926263B1 (ko)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836911A (zh) 一种含有中药活性成分的紧致美白润肤组合物及护肤品
CN107569432B (zh) 一种草本滋养润白舒缓补水的护手霜及其制备方法
JP2015155394A (ja) 光老化抑制剤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RU2121341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RU229595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веками
KR10260907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KR102360897B1 (ko) 파라크레스 함유 콜라겐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39976B1 (ko) 천연 항산화 물질인 신양벚나무열매 추출물과 멜라토닌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항균 화장료 조성물
KR101677546B1 (ko)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38382A (ko) 팩조성물
KR20100003955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5913B1 (ko) 육모 및 비듬제거용 조성물
CN100525744C (zh) 修复霜
KR20210041783A (ko)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KR100848001B1 (ko) 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R3008890B1 (fr) Extrait de chene,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extrait et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CN114376960B (zh) 一种珍珠膏及其制备方法
KR102621129B1 (ko)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07174554A (zh) 一种含有玫瑰果肉的护肤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