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703B1 -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703B1
KR102608703B1 KR1020230083982A KR20230083982A KR102608703B1 KR 102608703 B1 KR102608703 B1 KR 102608703B1 KR 1020230083982 A KR1020230083982 A KR 1020230083982A KR 20230083982 A KR20230083982 A KR 20230083982A KR 102608703 B1 KR102608703 B1 KR 10260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er
information
job
standards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빈
Original Assignee
(주)씨엠잡매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잡매칭 filed Critical (주)씨엠잡매칭
Priority to KR102023008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경력자의 인적사항 및 경력사항이 자동 추출 관리되어, 경력사항 단장조건 등 발주청 마다 다른 기준에 적합한 경력 인력을 제안 및 관리해주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인자가 업로드 하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발주청에서 제시하는 경력 충족인자에 맞게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해당 인력의 경력 충족인자의 충족여부를 확인하고, 충족 및 불충족 요소를 정보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력관리 방법{Career Management System and Care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경력자의 인적사항 및 경력사항이 자동 추출 관리되어, 경력사항 단장조건 등 발주청 마다 다른 기준에 적합한 경력 인력을 제안 및 관리해주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산업이 다양하고 고도화 되는 과정에서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성장을 위해 그리고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전문 인력의 확보라는 큰 과제를 맞닥뜨리고 있다.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이러한 인력의 수요는 더욱 절실한 상황이고 어떤 사업에 관련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사업을 철회하는 경우도 있다. 즉, 전문 인력 또는 우수 인력을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어 가고 있어 기업의 인사 부서에서는 인력 채용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전문 인력들은 어떠한 이유에서 이직을 생각할 때 희망하는 기업에 지원할 수 있는 채널을 찾을 수 없어 적시에 이직을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조금은 원하지 않는 다른 기업에 지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구직자의 입장에서도 온오프라인에 본인의 경력과 부합하는 희망하는 기업의 공개채용공고가 오픈되어 있지 않다면 지원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구직자의 취업 기회는 점점 줄어드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경력자들이 필요한 분야로는, 건축설계나 시공분야 등이 타분야와는 다른 양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건축, 건설 분야의 경우, 특정한 공사를 발주 받기 위해서는 필요한 경력자를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며, 발주 단체(조달청, 지자체 등)에 따라 해당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의 기준(경력 사항)이 엄격하게 규정하여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경력자를 보유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분야에 해당한다. 일예로, 주택법의 경우, 총괄감리원이 되기에 필요한 경력사항이 엄격히 정해져 있으며, 이에 부합하는 경력자를 보유하여 입찰하는 것이 해당 발주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제 조건이 되게 된다.
그러나, 건축 및 건설분야에서 해당 경력자를 구인하고, 반대로 구직을 원하는 경력자가 구직 지원을 하는 경우, 기업에서 원하는 경력여부를 충족하는지를 일일이 경력증명서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경력자의 경우에도, 자신의 경력 사항을 입력하고 지원하는 것도 쉽지 않아, 오히려 건축 및 건설분야에서 구인 목적적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의 채용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구인을 원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본인의 경력사항이 기업의 구인조건에 부합하는 지를 따져 보는 것도 쉽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건설 및 건축분야의 경력자에 대한 경력정보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과 관리를 통해 해당 분야의 인력 채용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942043호 한국공개특허 제2020-0129030호 한국등록특허 제25053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및 건축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경력자(전문인력)을 채용함에 있어, 구인하는 경력자의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고, 기업이 목적으로 하는 발주사업에 부합하는 발주처별 경력충족 인자에 부합하는 지를 분석하고,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경력자의 정보를 매칭하여 줌과 동시에, 경력충족 인자에 부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여 해당 구인자에게 제공하여 본인의 경력관리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인구직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제공되는 구인구직 프로그램 화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메뉴가 선택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근거로 구직자의 경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력자 정보를 분류하여 경력자의 관리 정보를 형성하는 경력관리서버(T); 구직하고자 하는 인력의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구직자 단말(An); 구직하고자 하는 인력의 경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정보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구인자 단말(Bn);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 접속하여 경력자의 정보의 추출 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수신받고, 구인자단말(Bn)에서 입력되는 구인정보의 입력값을 근거로 매칭되는 경력자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M);을 포함하며,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분류하여 경력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경력인자를 기준으로,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적합 및 부적합도와 부적합시 필요한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입력정보 추출부(12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인적정보 분류부(13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경력사항 분류부(14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경력인자 산출부(150); 상기 경력인자 산출부(150)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고 업데이트하는 발추처별 경력기준형성부(160);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판별부(170);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단장조건 판별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제공하는 경력정보 관리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력정보관리부(19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동일한 보완정보코드와 일치하는 대상의 경력정보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정보에 보완 정보만을 추출하여 경력기준 충족여부를 재설정하여, 경력기준의 충족여부를 재판별하고, 해당 결과값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경력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력을 관리하는 방법은, 구직자 단말(An)에서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1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자의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3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4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5단계;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여 경력기준을 업데이트하는 6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7단계;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8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구직자단말(An)에 제공하는 9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및 건축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경력자(전문인력)을 채용함에 있어, 구인하는 경력자의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고, 기업이 목적으로 하는 발주사업에 부합하는 발주처별 경력충족 인자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고,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경력자의 정보를 매칭하여 줌과 동시에, 경력충족 인자에 부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여 해당 구인자에게 제공하여 본인의 경력관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인자가 업로드 하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발주청에서 제시하는 경력 충족인자에 맞게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해당 인력의 경력 충족인자의 충족여부를 확인하고, 충족 및 불충족 요소를 정보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시스템(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력관리서버(T)의 세부 구성별 기능을 상술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시스템(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력관리서버(T)의 세부 구성별 기능을 상술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인구직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제공되는 구인구직 프로그램 화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메뉴가 선택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근거로 구직자의 경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력자 정보를 분류하여 경력자의 관리 정보를 형성하는 경력관리서버(T)와, 구직하고자 하는 인력의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구직자 단말(An), 구직하고자 하는 인력의 경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정보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구인자 단말(Bn),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 접속하여 경력자의 정보의 추출 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수신받고, 구인자단말(Bn)에서 입력되는 구인정보의 입력값을 근거로 매칭되는 경력자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분류하여 경력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경력인자를 기준으로,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적합 및 부적합도와 부적합시 필요한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구인자가 업로드 하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발주청에서 제시하는 경력 충족인자에 맞게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해당 인력의 경력 충족인자의 충족여부를 확인하고, 충족 및 불충족 요소를 정보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입력정보 추출부(120)와,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인적정보 분류부(13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수행 업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경력인자를 분류하는 경력사항 분류부(14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별로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경력인자 산출부(150), 상기 경력인자 산출부(150)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고 업데이트하는 발추처별 경력기준형성부(160),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판별부(170),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단장조건 판별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입력정보 추출부(120)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적정보 분류부(130)는,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경력사항 분류부(140)는,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경력인자 산출부(150)는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주처별 경력기준형성부(160)는, 상기 경력인자 산출부(150)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고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주처'의 범위를 건설 및 건축 분야의 발주 사업을 수행하는 조달청, 지방자치단체, 주택건설공사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발주처의 범위는 확장할 수 있다.
상기 경력기준 충족여부 판별부(170)는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경력기준은 발주처, 이를테면 조달청, 지방자치단체, 주택건설공사 별로 상이하게 되며, 해당 발주처별 요구하는 경력자, 단장을 수행하기 위한 경력기준이 상이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충족하는 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현재 상태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여부에 대한 정보외에, 경력기준을 달성을 하기 위한 세부 보완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현재 가용인력을 가지는 기업이나,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등의 사용자가 수주하고자 하는 발주처의 사업에 투입인력의 적합성을 매우 효율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통해 인력의 보완 변경,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단장조건은, 발주처의 발주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책임자인 '단장'의 부합기준을 의미하며, 단장조건 판별부(180)에서는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경력조건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은, 본 발명의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구직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력자의 정보는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 외에도, 일반 기업에서 보유하는 경력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구직자외에도, 구인을 하는 기업에서도 보유하는 경력자의 경력을 확인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는,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제공하는 경력정보 관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력정보관리부(19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동일한 보완정보코드와 일치하는 대상의 경력정보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정보에 보완 정보만을 추출하여 경력기준 충족여부를 재설정하여, 경력기준의 충족여부를 재판별하고, 해당 결과값을 제공하도록 하여, 경력자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사용자의 경력 보완요소의 추출과 보완 사항의 정도, 현재의 경력상태별로 다양한 발주처별 투입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인 경력관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본 발명인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직자의 경력을 관리하는 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한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은 구직자 단말(An)에서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1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자의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3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4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5단계;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여 경력기준을 업데이트하는 6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7단계;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8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구직자단말(An)에 제공하는 9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방법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1 단계(경력정보의 입력)
우선, 구직자 단말(An)에서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1단계가 수행된다. 이 경우,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란 발주처에서 인정하는 기관에서 발행하는 경력증명서를 의미하며, 이러한 경력증명서는 이미지 파일 형태로 경력관리서버(T)에 업로드 하는 것으로 입력 및 전송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경력관리서버(T)에서 구인사단말에서 제공되는 구인정보나 발주정보 등의 구인정보를 게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구직자와 같은 사용자는 구직자 단말(An)을 이용하여 경력관리서버(T)에 접속하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하는 구인 공고를 통해 본인의 이력서 정보와 경력정보를 업로드 하게 된다. 통상의 경우, 이력정보는 도 4(a)와 같이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입력 템플릿을 제공하여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력에 대한 서류는 '경력증명서'를 업로드하는 별도의 입력란(110(a))을 두어 관리하며, 본 발명에서 업로드하는 '경력증명서'는 바람직하게는 발주처에서 인정하는 공인된 기관에서 발급하는 경력증명서를 PDF, JPEG와 같은 이미지 파일 형태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해, 별도의 입력에 필요한 수고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다.
(2) 2단계_이미지 데이터로 부터 경력 관련 정보의 추출
이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는 상기 1단계에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자의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2단계가 수행된다.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로 PDF 형태의 파일확장자를 가지는 경력증명서에는, 공인된 기관에서 발행하는 서식과 입력기준에 따라 해당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서 텍스트 추출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문서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력관리서버(T)의 입력정보 추출부(120)을 통해 PDF 형태로 업로드된 경력증명서 파일에서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업로드된 동 6에서의 경력증명서는 '건설기술인 경력증명서'로, 한국건설기술인협회로부터 발행되는 경력증명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건설 및 건축 분야의 발주 사업에 필요한 경력자를 채용하기 위한 경력을 관리하는 것인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국건설기술인협회로부터 발행되는 경력증명서를 적합한 경력증명서의 포멧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3) 3단계_인적정보의 분류
도 7은, 본 발명의 경력관리서버(T)의 인적정보 분류부(130)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3단계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입력정보 추출부(120)을 통해 PDF 형태로 업로드된 경력증명서 파일에서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에서, 인적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도 7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적사항에 대한 정보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분류하게 된다.
특히, 인적사항의 입력정보는 각 분류별 세부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테면, 도 7 (c)와 같이, 직무분야의 경우, 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 안전관리의 세부항목으로 분류된 정도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건축, 건설 공사에 필요한 세부 경력의 요소를 반영한 것이이다.
도 7 (d)와 같이, 직무등급의 경우, 특급, 고급, 중급, 초급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며, 도 7 (e)와 같이, 감리등급의 경우에도 특급, 고급, 중급, 초급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인적정보의 각 항목의 경우, 세분화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며, 국가기술자격의 경우, 건축사,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해당없음의 분류를 구비하도록 하며, 학력(학위)의 경우, 박사, 석사, 학사, 전문학사, 고졸로 구분하여 뷴류될 수 있도록한다.
인적사항의 기본 정보로 경력의 대표 분야로 견축구조, 건축시공, 건축계획설계, 미기재로 구분하여 진행한 업무의 경력시간을 구분하고, 총합계의 60%를 적용하여 적격여부를 판별하도록 한다.
이후, 도 7 (b)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4) 4단계_경력사항의 자동 분류 및 자동입력
이후,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경력사항 분류부(140)에서는 입력정보 추출부(120)을 통해 PDF 형태로 업로드된 경력증명서 파일에서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에서, 경력사항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도 8 (a)와 같이 자동 분류 입력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4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참여기간'은 경력자가 수행한 시공사업의 시작일과 종료일로 구분하여 자동 분류입력되며, 공사의 종류에 대한 정보로, 공동주택, 공장, 운동시설, 업무시설, 종교시실, 숙박시설, 교육연구시설 등 세부 종류를 분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공사종류의 세부 분류는, 단독주택, 공동주택, 문화및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자원순환관련시설, 교정및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묘지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 장례시설,근린생활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책임정도는, 총괄, 분야별, 상주, 비상주, 기술지원으로 세부분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5) 5단계_경력인자의 산출
이후에는,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경력인자 산출부(150)에서는,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5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경력인자'라 함은, 다양한 발주처에서 주간하는 발주 사업에 대하여, 관련 법령, 주택법, 건진법, 조달청에서 정한 담당업무별 참여 경력일자 중, 인정되는 일자를 추출하여 분류한 것이다.
경력자가 수행한 다양한 담당업무로서, 담당업무의 세부분야는,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건설사업관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당업무의 참여 경력 전체 일자를 추출하고, 참여 경력 일자중, 발주처별 인정되는 인정일자를 추출하여 분류 입력하게 된다. 이경우, 발주처별 인정일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참여일과 인정일로 구분하고, 각 발주처별, 인정율을 반영하여 인정일자를 추출하게 된다.
(6) 6단계_발주처별 경력기준 형성
이후에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발주처별 경력기준 형성부(160)에서,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여 경력기준을 업데이트하는 6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테면, 도 11은, 발주처로서 조달청 건설사업관리용역사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으로, 해당 분야의 경력, 직무분야 실적,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인의 기준(해당분야 경력, 직무분야 실적), 지원 기술인의 기준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경력기준'을 설정하게 되며, 이후 해당 기준이 변경되면 업데이트된 '경력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발주처로서, 지방자치단체의 발주 사업에 대한 기준으로,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35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인의 경력 및 배치기준의 사항이 게시되어 있으며, 책임건설사업 관리기술인의 해당분야 경력, 직무분야 실적,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인의 해당분야 경력과 직무분야 실적등의 상세 기준을 통해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경력기준'을 설정하게 되며, 이후 해당 기준이 변경되면 업데이터된 '경력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발주처로서, 주택건설공사 감리자지정기준으로, 주택법상의 기준으로, 촐괄인에 대한 경력 및 실적 기준, 분야별(건축분야 감리원, 토목분야 감리원, 설비분야 감리원, 공무원 등)의 기준을 건설기술진흥법(건진법)에 따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경력기준'을 설정하게 되며, 이후 해당 기준이 변경되면 업데이터된 '경력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7) 7단계_경력기준의 판별단계
이후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경력기준 판별부(170)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7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판별과정을 통해, 각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해당 경력자의 경력사항이 부합하는지(충족하는지), 아니면 부족한지를 판단하고, 현재 상황에서 입력된 경력자의 경력사항의 등급이 책임, 총괄 등에 해당하는 지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제공하게 된다.
(8) 8단계_단장조건의 판별단계
도 15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7단계와 동시 또는 순차로,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단장조건 판별부(180)에서는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8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9) 단계_경력사항의 보완정보코드의 형성 및 업데이트
이후,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경력정보 관리부(190)에서는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구직자단말(An)에 제공하는 9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경력관리서버(T)의 경력정보 관리부(190)에서는 발주처를 구분하는 코드를 분류(A, B, C)하고, 상술한 과정에서 경력사항이 발주처의 경력기준을 충족(달성) 하였는지 여부를 구분(충족(S0, 불충족: S1, 과다 불충족: S2)와 같이 경력기준 달성여부에 대한 코드, 충족을 위해 보완이 되어야할 경력기간 일수를 표시하여,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당해 경력자에 특정되는 보완정보코드(이를테면, AS1A1252)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의 경우, 해당 코드를 클릭하게 되면, 도 16에서와 같이, 해당 코드별 자동 컨설팅 지문이 결합하여 도출되게 된다.
즉, AS1A1252의 경우, "현재, 000님의 경우, 조달청의 담당업무 분야 중, 설계 관련 경력기간이 252일이 부족한 상태이며, 현재 경력수준은 책임에 부합하지 않으며, 보완후에는 총괄책임의 경력수준으로 인정될 수 있음." 과 같은 컨설팅 문구가 자동으로 형성되게 되며, 해당 정보는 구직자(경력자) 단말에 전달되게 된다. 이후, 경력자가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발주처별 보완요소를 보완하게 되면, 해당 코드를 기준으로 재검토하여, 보완정보코드가 수정되게 되어, 다시 자동 형성 코멘트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경력자 자체에 대한 발주처별 적합 경력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과정에서, 본 발명 및 본 방법에서는, 건설 및 건축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경력자(전문인력)을 채용함에 있어, 구인하는 경력자의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고, 기업이 목적으로 하는 발주사업에 부합하는 발주처별 경력충족 인자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고,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경력자의 정보를 매칭하여 줌과 동시에, 경력충족 인자에 부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여 해당 구인자에게 제공하여 본인의 경력관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구인자가 업로드 하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정보에서 경력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발주청에서 제시하는 경력 충족인자에 맞게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해당 인력의 경력 충족인자의 충족여부를 확인하고, 충족 및 불충족 요소를 정보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경력자, 또는 경력자를 보유한 기업에서의 인력관리에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발주처별 인력의 활용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 경력관리서버
110: 경력정보 입력부
120: 입력정보 추출부
130: 인적정보 분류부
140: 경력사항 분류부
150: 경력인자 산출부
160: 발주처별 경력기준 형성부
170: 경력기준 충족여부 판별부
180: 단장조건 판별부
190: 경력조건 관리부

Claims (5)

  1.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직자의 경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구인구직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제공되는 구인구직 프로그램 화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메뉴가 선택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근거로 구직자의 경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력자 정보를 분류하여 경력자의 관리 정보를 형성하는 경력관리서버(T); 구직하고자 하는 인력의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구직자 단말(An); 구직하고자 하는 인력의 경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정보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구인자 단말(Bn);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 접속하여 경력자의 정보의 추출 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수신받고, 구인자단말(Bn)에서 입력되는 구인정보의 입력값을 근거로 매칭되는 경력자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M);을 포함하며,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분류하여 경력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경력인자를 기준으로,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적합 및 부적합도와 부적합시 필요한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경력관리서버(T)는, 상기 구직자 단말(An)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자의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입력정보 추출부(12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인적정보 분류부(13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 경력자의 수행 업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경력사항 분류부(140);
    상기 입력정보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에서,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별로 경력인자를 추출하되, 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경력인자 산출부(150);
    상기 경력인자 산출부(150)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고 경력기준을 업데이트하는 발추처별 경력기준형성부(160);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판별부(170);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단장조건 판별부(180);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제공하는 경력정보 관리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경력정보 관리부(19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동일한 보완정보코드와 일치하는 대상의 경력정보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정보에 보완 정보만을 추출하여 경력기준 충족여부를 재설정하여, 경력기준의 충족여부를 재판별하고, 해당 결과값을 제공하도록 하는,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따른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직자의 경력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직자 단말(An)에서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경력관리서버(T)로 입력 또는 전송하는 1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자의 인적사항, 직무분야, 직무등급, 경력사항, 자격정보, 학력정보,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입사예정일, 직무분야, 직무등급, 감리등급, 자격, 교육훈련, 학력, 직무분야를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분류하는 3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경력자의 건축 및 건설분야의 경력에 대한 경력정보로서, 참여기간(시작일, 종료일), 공사종류, 책임정보, 담당업무에 대한 인자를 분류하는 4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입력정보를 기준으로, 담당업부별 세부 분류인자로 설계, 시공, 감독, 품질관리, 계획, 사업관리, 감리(주택법), 감리(건축법), 감리, 건설사업관리(감독권한대행), 건설사업관리(시공단계) 별 경력인자를 추출하는 5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되는 경력인자와 대비되는 발주처별 경력기준을 추출하여 경력기준을 업데이트하는 6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경력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7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상기 6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발주처별 경력기준과 상기 5단계에서 추출된 경력인자를 비교하여, 발주처별 단장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8단계;
    상기 경력관리서버(T)에서 경력자의 정보의 발주처별 경력기준에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도출되는 경력기준 충족여부 및 단장조건의 충족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경력자에 대한 발주처별 부족한 경력기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보완정보코드 및 보완정보코드에 보완사항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여 구직자단말(An)에 제공하는 9단계;를 포함하는,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방법.
KR1020230083982A 2023-06-29 2023-06-29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KR10260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982A KR102608703B1 (ko) 2023-06-29 2023-06-29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982A KR102608703B1 (ko) 2023-06-29 2023-06-29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703B1 true KR102608703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982A KR102608703B1 (ko) 2023-06-29 2023-06-29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7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43B1 (ko) 2018-07-23 2019-01-24 박명수 인력 및 건설 공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9030A (ko) 2019-05-07 2020-11-17 (주)스마트소셜 구직자 및 구인자 매칭 방법
KR102307497B1 (ko) * 2019-11-13 2021-09-30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0043B1 (ko) * 2021-06-17 2022-03-0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근로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505397B1 (ko) 2020-12-07 2023-03-06 (주)이랜서 키워드 매칭의 선택적 가중치 부여를 통한 인적 자원 매칭 시스템
KR102529850B1 (ko) * 2022-09-30 2023-05-04 김지선 인터뷰 일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력매칭 인터뷰 일정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43B1 (ko) 2018-07-23 2019-01-24 박명수 인력 및 건설 공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9030A (ko) 2019-05-07 2020-11-17 (주)스마트소셜 구직자 및 구인자 매칭 방법
KR102307497B1 (ko) * 2019-11-13 2021-09-30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05397B1 (ko) 2020-12-07 2023-03-06 (주)이랜서 키워드 매칭의 선택적 가중치 부여를 통한 인적 자원 매칭 시스템
KR102370043B1 (ko) * 2021-06-17 2022-03-0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근로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529850B1 (ko) * 2022-09-30 2023-05-04 김지선 인터뷰 일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력매칭 인터뷰 일정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8429B (zh) 基于互联网大数据的人才服务双向推荐方法及系统
Junior et al. Selection of interns for startups: an approach based on the AHP-TOPSIS-2N method and the 3DM computational platform
Sanatigar et al. Identifying organizational agility and leadership dimensions using Delphi technique and factor analysis: an investigation among public sector pension funds (PSPFs) in Iran
US8548929B1 (en) Methods and systems of employment candidate data management
Brandes et al. Opening the Frey/Osborne black box: Which tasks of a job are susceptible to computerization?
Rutzer et al. Estimating the green potential of occupations: A new approach applied to the us labor market
Gates et al. The defense acquisition workforce: An analysis of personnel trends relevant to policy, 1993-2006
Pozin et al. A cause of communication failure in managing Industrialized Building System (IBS) projects: A perspective view from project managers
KR102608703B1 (ko) 건축 및 건설 직무별 경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경력관리 방법
Koladiya Research trends of Lean Construction and its compliance with Toyota Production System for year 2016
Adjei et al. Contractors’ Organisational Structure Elements for Controlling Project Co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utra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in selecting additional employees using multi-factor evaluation process method
Ijaola et al. Construction manager's (CMs) skills and project performance
Mirdad et al. A cause-effect strategy map for lean process transformation
JP2004021908A (ja) 人材紹介方法及びシステム
Langer et al. Use of smart technologies in large infrastructure and energy projects
Adiguzel Examining the effects of strategies, competition intelligence, and risk culture on business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enterprises
Andriani Analysis of Employee Recruitment At PT BTPN Syariah Tangerang Selatan Branch
Han et al. A preliminary study on text mining-based human resource allocation in a construction project
Chinagozi Osademe STRATEGIC ONBOARDING AND EMPLOYEE PERFORMANCE IN SELECTED INDIGENOUS OIL AND GAS FIRMS IN NIGERIA.
Hedge et al. The I/O consultant: Advice and insights for building a successful career.
De Silva et al. Applic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Function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pparel Industry, Sri Lanka
Sarne Recruitment and Hiring Process Configuration Plan for Kalinga State University
Tretyakova et al. Hiring in pharmaceutical organizations: procedural aspects of personnel assessment.
Man et al. Identify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Engineering Facilities in Commercial Buildings—A Focus Group Study in Hong Ko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