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597B1 - Net for badminton - Google Patents

Net for badmin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597B1
KR102608597B1 KR1020220081183A KR20220081183A KR102608597B1 KR 102608597 B1 KR102608597 B1 KR 102608597B1 KR 1020220081183 A KR1020220081183 A KR 1020220081183A KR 20220081183 A KR20220081183 A KR 20220081183A KR 102608597 B1 KR102608597 B1 KR 10260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badminton
ne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22008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5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셔틀콕이 관통 가능한 관통 프레임; 상기 관통 프레임의 직경을 조절 가능한 직경 조절부; 상기 관통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프레임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은 링 형상,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etrating frame through which a shuttlecock can penetrate; a diameter adjustment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frame; It includes a fram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through frame, the through frame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through frame includes one selected from a ring shape and a polygonal shape.

Description

배드민턴용 네트{NET FOR BADMINTON}Net for badminton {NET FOR BADMINTON}

본 발명은 배드민턴용 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드민턴에 사용되는 배드민턴용 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minton n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dminton net used in badminton.

일반적으로, 배드민턴, 배구, 족구, 세팍타크로(Sepak takraw) 등의 경기에서는 경기 코트를 분리하기 위해 경기 코트를 가로 지르는 네트(net)가 설치된다. 이러한 네트는 그물망, 그물망을 고정하는 지지대, 그물망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그물망을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줄, 그리고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Generally, in games such as badminton, volleyball, foot volleyball, and Sepak takraw, a net is installed across the game court to separate the game court. These nets include a net, supports for fixing the net, fixing lin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net to fix the net to the supports, and stands for fixing the supports to the ground.

특히, 배드민턴용 네트는 대략 6m의 길이를 가지며 경기 코트를 가로 지르며 설치되므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좁은 공간 또는 실내에서는 배드민턴 경기를 진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badminton net has a length of approximately 6 m and is installed across the game court, so it occupies a large spac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difficult to play badminton in narrow spaces or indoors.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좁은 공간 또는 실내에서도 배드민턴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배드민턴용 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dminton net that allows badminton games to be played even in a narrow space or indo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셔틀콕이 관통 가능한 관통 프레임; 상기 관통 프레임의 직경을 조절 가능한 직경 조절부; 상기 관통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프레임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은 링 형상,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etrating frame through which a shuttlecock can penetrate; a diameter adjustment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frame; It includes a fram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through frame, the through frame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through frame includes one selected from a ring shape and a polygonal shape.

상기 관통 프레임은 상기 관통 프레임을 분할하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hrough frame may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about a virtual center line dividing the through frame.

상기 직경 조절부는 상기 관통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The diameter adjusting unit may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one end of the through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meet.

상기 직경 조절부는 상기 관통 프레임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가 관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조절 본체, 상기 조절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스프링 부재, 그리고 상기 조절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meter adjusting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rough frame and has an adjusting body having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passes.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djusting body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to It may include a spring member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and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adjustment body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관통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관통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하측과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서브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frame support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a connection portion installed on the through frame and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and the support to each other, a length adjustment por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and a lower end of the support. It is installed on and includes a stand for fixing the support to the ground, and the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ub-support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받침 본체, 그리고 상기 받침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받침 다리를 포함한다.The stand includes a support body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insert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좁은 공간 또는 실내에서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드민턴 경기를 좁은 공간 또는 실내에서도 진행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The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or indoors, so it is efficient because a badminton game can be played even in a narrow space or indoors.

또한, 직경 조절부를 이용하여 관통 프레임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셔틀콕이 관통 프레임을 관통하는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난이도의 배드민턴 경기를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frame can be adjusted using the diameter adjustment unit, the difficulty of the shuttlecock penetrating the through frame can be adjusted. Therefore, since the difficulty of the badminton game can be adjusted, you can enjoy badminton games of various levels of difficul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드민턴용 네트를 경기 코트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의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dminton net of Figure 1 installed on a game court.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드민턴용 네트를 경기 코트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dminton net of Figure 1 installed on a game court.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관통 프레임(100), 직경 조절부(200), 그리고 프레임 지지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frame 100, a diameter adjustment part 200, and a frame support part 300.

관통 프레임(100)은 그 내부로 셔틀콕(SC)이 관통 가능하다.The through frame 100 is capable of penetrating a shuttlecock (SC) therein.

관통 프레임(100)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프레임(100)은 관통 프레임(100)을 분할하는 가상의 중앙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enetrating frame 100 may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is through frame 100 may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irtual center line CL dividing the through frame 100.

관통 프레임(100)은 링 형상,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링 형상의 관통 프레임(100)을 도시하였으며,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6각 형상의 관통 프레임(100)을 도시하였다. 관통 프레임(10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재질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듀랄루민(Duralumin),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rough frame 100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a ring shape and a polygonal shape. In on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 ring-shaped through frame 100 is shown, and in one embodiment shown in FIG. 3, a hexagonal-shaped through frame 100 is shown. The through frame 1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se elastic materials may include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duralumin,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c.

직경 조절부(200)는 관통 프레임(100)의 직경(D)을 조절 가능하다. 관통 프레임(100)의 직경(D)은 1.3m 내지 1.5m일 수 있다. The diameter adjusting unit 200 can adjust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frame 100.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frame 100 may be 1.3 m to 1.5 m.

직경 조절부(200)는 관통 프레임(100)의 일단부(110)와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가 만나는 지점(P)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ameter adjusting unit 200 may be installed at a point P where one end 110 of the through frame 100 and the other end 120 of the through frame 100 meet.

직경 조절부(200)는 조절 본체(210), 스프링 부재(220), 그리고 고정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ameter adjusting unit 200 may include an adjusting body 210, a spring member 220, and a fixing member 230.

조절 본체(210)는 관통 프레임(100)의 일단부(110)에 연결되며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가 관통하는 내부 공간(IS)을 가질 수 있다. The adjustment body 210 is connected to one end 110 of the through frame 100 and may have an internal space IS through which the other end 120 of the through frame 100 passes.

스프링 부재(220)는 조절 본체(210)의 내부 공간(IS)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220)는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관통 프레임(100)의 직경(D)을 조절할 수 있다. The spring member 220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IS) of the adjustment body 210. The spring member 22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120 of the penetrating frame 100 by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frame 100. In this wa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120 of the through frame 100,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frame 100 can be adjusted.

고정 부재(230)는 조절 본체(210)에 설치되며 조절 본체(210)를 관통하여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와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230)는 나사 부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The fixing member 230 is installed on the adjustment body 210 and penetrates the adjustment body 210 to contact or separate from the other end 120 of the through frame 100, thereby forming the other end 120 of the through frame 100. The position of can be fixed. This fixing member 230 may be a screw memb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120 of the penetrating frame 100 ar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 조절부(200)가 조절 본체(210), 스프링 부재(220), 그리고 고정 부재(230)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 프레임(100)의 직경(D)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adjusting unit 200 includes an adjusting body 210, a spring member 220, and a fixing member 2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frame 100 is adjusted to A variety of adjustable structures are possible.

이와 같이, 직경 조절부(200)를 이용하여 관통 프레임(100)의 직경(D)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셔틀콕(SC)이 관통 프레임(100)을 관통하는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난이도의 배드민턴 경기를 즐길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diameter D of the penetrating frame 100 can be adjusted using the diameter adjusting unit 200, the difficulty with which the shuttlecock SC penetrates the penetrating frame 100 can be adjusted. Therefore, since the difficulty of the badminton game can be adjusted, you can enjoy badminton games of various levels of difficulty.

프레임 지지부(300)는 관통 프레임(100)을 지지하여 지면(E) 상에 고정할 수 있다.The frame support unit 300 may support the through frame 100 and fix it on the ground (E).

프레임 지지부(300)는 지지대(310), 연결부(320), 길이 조절부(330), 그리고 받침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support unit 300 may include a support unit 310, a connection unit 320, a length adjustment unit 330, and a stand 340.

지지대(310)는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10)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지면(E)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The support 310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100. This support 310 has a bar shape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E and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100.

연결부(320)는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과 지지대(3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20)는 관통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지지대(310)의 상단부(310a)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20 may connect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100 and the support 310 to each other. This connection portion 320 is installed on the through frame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310a of the support 310.

길이 조절부(330)는 지지대(31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지지대(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length adjustment unit 33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310 and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310.

받침대(340)는 지지대(310)의 하단부(310b)에 설치되며 지지대(310)를 지면(E)에 고정할 수 있다. 받침대(340)는 받침 본체(341), 그리고 복수의 받침 다리(3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nd 34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310b of the support 310 and can fix the support 310 to the ground E. The stand 340 may include a stand body 341 and a plurality of stand legs 342.

받침 본체(341)는 지지대(310)의 하단부(310b)가 그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대(310)의 하단부(310b)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받침 다리(342)는 받침 본체(341)에서 연장되어 지면(E)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지지대(31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lower end 310b of the support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body 341 so that the lower end 310b of the support 310 may be fix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342 extend from the support body 341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E,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310 more firm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를 이용한 배드민턴 경기는 배드민턴 채(BR)를 이용하여 셔틀콕(SC)을 가격하여 관통 프레임(100)을 통과시켜 관통 프레임(100)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대방에게 보내야 한다. 셔틀콕(SC)이 관통 프레임(100)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대방은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 in a badminton game using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uttlecock (SC) is struck using a badminton stick (BR) and passed through the through frame 100 to form a through frame ( It must be sent to the other party located across from 100). If the shuttlecock (SC) does not pass the through frame (100), the opponent scores a poi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종래의 그물망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D)을 가지는 관통 프레임(100)을 포함하므로, 좁은 공간 또는 실내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드민턴 경기를 좁은 공간 또는 실내에서도 진행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As such, the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frame 100 having a diameter (D) smaller than the length of a conventional net, so it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or indoors. Therefore, it is efficient because badminton games can be played even in small spaces or indoors.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지지부가 하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나, 프레임 지지부가 복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rame support unit is comprised of a single support unit, bu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frame support unit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supports is also possible.

이하에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a net for badmint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의 정면도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프레임 지지부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n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so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관통 프레임(100), 직경 조절부(200), 그리고 프레임 지지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4, a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frame 100, a diameter adjustment part 200, and a frame support part 300.

프레임 지지부(300)는 관통 프레임(100)을 지지하여 지면(E) 상에 고정할 수 있다.The frame support unit 300 may support the through frame 100 and fix it on the ground (E).

프레임 지지부(300)는 지지대(310), 연결부(320), 길이 조절부(330), 그리고 받침대(3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support unit 300 may include a support unit 310, a connection unit 320, a length adjustment unit 330, and a stand 340.

지지대(310)는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을 지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는 각각 막대 형상을 가지며 지면(E)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The support 310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penetrating frame 100 and may include a first sub-support 311 and a second sub-support 312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sub-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support 312 each have a bar shape and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E and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100.

연결부(320)는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과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부(321) 및 제2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321) 및 제2 연결부(322)는 관통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각각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의 상단부(310a)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3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32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22 that connect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100 and the first sub 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 support 312, respectively. . These first connection parts 321 and second connection parts 322 are installed on the through frame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310a of the first sub 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 support 312, respectively.

길이 조절부(330)는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길이 조절부(331) 및 제2 길이 조절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부(331) 및 제2 길이 조절부(332)는 각각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length adjustment unit 330 may include a first length adjustment unit 331 and a second length adjustment unit 332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b 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 support 312, respectively. . The first length adjustment unit 331 and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unit 332 may adjust the lengths of the first sub 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 support 312, respectively.

받침대(340)는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의 하단부(310b)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받침대(41) 및 제2 받침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대(41) 및 제2 받침대(42)는 각각 제1 서브 지지대(311) 및 제2 서브 지지대(312)를 지면(E)에 고정할 수 있다.The stand 340 may include a first stand 41 and a second stand 42 installed at the lower ends 310b of the first sub 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 support 312, respectively. The first pedestal 41 and the second pedestal 42 may respectively fix the first sub-support 311 and the second sub-support 312 to the ground 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용 네트는 관통 프레임(100)의 하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브 지지대를 포함함으로써, 관통 프레임(100)을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badminton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b-supports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100, so that the through frame 1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ereby improving stability. can be improv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10: 관통 프레임 200: 직경 조절부
210: 조절 본체 220: 스프링 부재
230: 고정 부재 300: 프레임 지지부
310: 지지대 320: 연결부
330: 길이 조절부 340: 받침대
110: Penetrating frame 200: Diameter adjustment unit
210: adjustment body 220: spring member
230: fixing member 300: frame support
310: support 320: connection
330: Length adjustment part 340: Stand

Claims (6)

셔틀콕이 관통 가능한 관통 프레임;
상기 관통 프레임의 직경을 조절 가능한 직경 조절부; 및
상기 관통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프레임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은 링 형상,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분할하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대칭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직경 조절부는 상기 관통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직경 조절부는 상기 관통 프레임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가 관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조절 본체, 상기 조절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스프링 부재, 그리고 상기 조절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배드민턴용 네트.
A penetrating frame through which a shuttlecock can penetrate;
a diameter adjustment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frame; and
Fram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through frame
Including,
The through frame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through frame includes one selected from a ring shape and a polygonal shape, and has a symmetrical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dividing virtual center line,
The diameter adjusting part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one end of the through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meet, and the diameter adjusting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rough frame and has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penetrates. An adjustment body, a spring member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djustment body and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and a spring member installed in the adjustment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frame A net for badminton, includ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관통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관통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프레임의 하측과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하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배드민턴용 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support part
A support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A connection part installed on the through frame and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frame and the support,
a length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support, and
A stand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fixing the support to the ground.
Net for badminton, includ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받침 본체, 그리고
상기 받침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받침 다리
를 포함하는, 배드민턴용 네트.
According to claim 4,
The pedestal is
A support body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insert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Net for badminton, includ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서브 지지대를 포함하는, 배드민턴용 네트.
According to claim 5,
A badminton net wherein the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ub-support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220081183A 2022-07-01 2022-07-01 Net for badminton KR102608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83A KR102608597B1 (en) 2022-07-01 2022-07-01 Net for badmin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83A KR102608597B1 (en) 2022-07-01 2022-07-01 Net for badmint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597B1 true KR102608597B1 (en) 2023-12-01

Family

ID=8912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183A KR102608597B1 (en) 2022-07-01 2022-07-01 Net for badmin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59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4132B1 (en) * 2001-03-05 2003-04-08 Ryan Tvedt Basketball practice system
JP3103130U (en) * 2004-02-02 2004-07-29 株式会社ミカサ Volleyball practice equipment
JP2015150346A (en) * 2014-02-19 2015-08-24 株式会社エムテイピー Ball game train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4132B1 (en) * 2001-03-05 2003-04-08 Ryan Tvedt Basketball practice system
JP3103130U (en) * 2004-02-02 2004-07-29 株式会社ミカサ Volleyball practice equipment
JP2015150346A (en) * 2014-02-19 2015-08-24 株式会社エムテイピー Ball game training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632A (en) Supporting means for nets and the like for sporting activities
US5553848A (en) Multiple sport practice apparatus
US5558338A (en) Game assembly for multiple sports usage
US8807568B1 (en) Ball game
US3953029A (en) Bottom leveling water ball apparatus
EP1086725B1 (en)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US6287220B1 (en)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4149723A (en) Game apparatus including a resilient projectile with a plurality of legs
US4134585A (en) Table tennis return board
US4635943A (en) Indoor and outdoor game
US3953028A (en) Tethered ball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AU635446B1 (en)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US6878079B2 (en) Racquet game with foam ball and net stand apparatus
JP3210065U (en) Sports equipment
KR102608597B1 (en) Net for badminton
KR101007115B1 (en) badminton exercise implement by oneself
US7163474B1 (en) Portable backstop and sport equipment set, baseball related game, and playing field
KR101900191B1 (en) Support device of dummy for practice tactics of soccer
US4357019A (en) Floatball apparatus
US4824108A (en) Rebounding ball game
US5348293A (en) Tethered tennis game
US4432552A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6997825B2 (en) Toss-game structure for poolside use
US4441719A (en) Balloon game
US5954597A (en) Tethered ball gam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