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345B1 -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 Google Patents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345B1
KR102608345B1 KR1020220171520A KR20220171520A KR102608345B1 KR 102608345 B1 KR102608345 B1 KR 102608345B1 KR 1020220171520 A KR1020220171520 A KR 1020220171520A KR 20220171520 A KR20220171520 A KR 20220171520A KR 102608345 B1 KR102608345 B1 KR 10260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ground
dome
pedes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영환
정지원
남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리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리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리녹스
Priority to KR102022017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3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용 지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닿는 지지 다리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돔 형상의 받침대;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받침대는 반구형 단면을 갖는 돔형 플레이트와;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삽입하도록 돔형 플레이트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최하단에 드레인 홀을 갖춘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fixture for a support, and includes a dome-shaped pedestal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to prevent sinking of the support leg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re the pedestal includes a dome-shaped plate having a hemispherical cross-s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as consisting of a receiv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dome-shaped plate to inser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and having a drain hole at the lowermost end.

Description

지주용 지면 고정구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본 발명은 지주용 지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기로 지지 다리를 지면에 대하여 접지(接地) 능력을 향상시켜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지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fixture for support, and more specifically, to a ground fixture that can prevent sinking by improving the grounding ability of a support leg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일반적으로, 의자는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작업을 하거나, 업무를 행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In general, chairs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itting and resting, working, or performing work.

최근 취미활동으로 캠핑, 낚시, 등산 등의 야외 활동의 참여도가 늘어남에 따라 해당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휴대용 의자들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의자의 경우 야외 활동에 적합하도록 견고하고, 경량이어서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앉아서 편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다. Recently, as participation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fishing, and hiking has increased, various portable chairs related to these activities are being released. In the case of portable chairs, they are sturdy and light enough to be suitable for outdoor activities, so they are easy to carry and install, and the focus is only on functionality that allows users to sit and relax comfortably.

이러한 종래의 의자는 모래, 흙 등의 부드러운 지면이나 진흙과 같이 질퍽거리는 지면 상에 설치할 경우, 지지 다리의 하단부가 대상 지면으로 파고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지지 다리 및 이를 구비한 접이 의자'는 지면에 접지 가능한 접지 시트를 제안하고 있다. 전개 상태의 접지 시트는 지면에 접지되어 지지 다리의 접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의자는 접지 시트가 오염될 소지가 있으며 접지 시트를 접철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When these conventional chairs are installed on soft ground such as sand or dirt or muddy ground such as mud,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legs often dig into the target ground. To prevent this, 'Support Legs and Folding Chair Equipped with Support Leg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grounding sheet that can be grounded to the ground. The ground sheet in the deployed state can be grounded to the ground to increase the ground area of the support leg. However, this type of chair has the inconvenient problem that the ground sheet may be contaminated and the ground sheet must be fold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164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11640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지지 다리를 지면에 파고들어가 박히지 않도록 설계된 지주용 지면 고정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ground fixture designed to prevent the support legs from digging into the ground and becoming stuck.

덧붙여서, 본 발명은 한쌍의 받침대를 상호 연결하는 스트랩부를 이용하여 의자의 전도(顚倒)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hair from falling over by using a strap connecting a pair of stand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면에 닿는 지지 다리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돔 형상의 받침대;를 포함하는데,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me-shaped pedestal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to prevent sinking of the support leg in contact with the ground,

여기서, 받침대는 반구형 단면을 갖는 돔형 플레이트와;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삽입하도록 돔형 플레이트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최하단에 드레인 홀을 갖춘 수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pedestal includes a dome-shaped plate with a hemispherical cross-s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receiv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dome-shaped plate to inser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leg, and having a drain hole at the lowermost end.

전술된 받침대는 의자의 좌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전방측 지지 다리와 후방측 지지 다리로 구성된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tand can be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s consisting of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rear support leg to support the seat of the chair.

본 발명에서, 받침대는 수용홈 둘레에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y form a coupling groove around the receiving groove.

선택가능하기로, 받침대는 드레인 홀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드레인 홀을 개폐하는 플랩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Optionally, the pedestal may b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ain hole and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with a flap that opens and closes the drain hole.

선택가능하기로, 받침대는 수용홈의 상류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환형 림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Optionally, the pedestal may additionally have an annular rim disposed along the upstream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더욱이, 환형 림은 수용홈의 상류측 둘레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개방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nnular rim may be formed as a truncated cone with an open cross-sectional area narrowing upward around the upstream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는 전방측 지지 다리의 하단부와 후방측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각각 억지끼움 결합된 한쌍의 받침대와; 한쌍의 받침대 사이에 배치된 스트랩부;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upports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leg, respectively; It may be composed of a strap portion disposed between a pair of pedestals.

본 발명에서, 스트랩부는 전방측 지지 다리와 후방측 지지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조절가능한 길이부와; 길이부의 양 단부에 구비된 결속구;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portion includes an adjustable length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rear support leg; Binding tool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portion may be provided.

덧붙여서, 스트랩부는 받침대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rap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edestal.

특별하기로, 받침대는 타프용 지지 폴, 텐트용 지지폴, 간이침대용 지지 다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and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support pole for a tarp, a support pole for a tent, and a support leg for a cot.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부는 전방측 지지 다리에 결합 배치된 일 받침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조절가능한 일 길이부와; 후방측 지지 다리에 결합 배치된 타 받침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조절가능한 타 길이부;를 포함하는데, 일 길이부와 타 길이부를 일렬로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tra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 stand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leg and includes a length adjustable length portion; It includes a length-adjustable length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tand coupled to the rear support leg, where one length portion and the other length portion can be detachably connected in a row.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their usual,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지면으로 파고들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지할 수 있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 fixture for support that can stably grou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to the ground without digging into the groun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돔 형상의 받침대를 수단으로 하여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접지 표면적을 확장시켜 지면에 박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upport leg from becoming embedded in the ground by expanding the grounding surface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using a dome-shaped pedestal.

특히, 본 발명은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돔 형상의 받침대를 수단으로 하여 지면과의 접지 표면적으로 확장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being able to be easily coupled and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using an interference fit method, but also expanding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the ground using a simple dome-shaped base.

덧붙여서, 본 발명은 전방측 지지 다리와 하방측 지지 다리 사이의 간격 유지를 도와 의자가 전도되지 않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elps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lower support leg, thereby ensuring stability so that the chair does not fall o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해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요부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이 요부에 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받침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받침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또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edestal illustrated in Figure 3.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in part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in part of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edestal and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edestal. This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대상 지면과의 접지 능력을 향상시켜 의자 다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자 다리의 하단부에 더 넓은 표면적으로 부가하여 부드럽거나 질퍽한 대상 지면에 의자 다리가 파고들어가 박히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sinking of chair legs by improving the grounding ability with the target groun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larger surface area to the lower part of the chair leg to prevent the chair leg from digging into a soft or slippery target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2)의 지지 다리(22;22a,22b)의 하단부에 결합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방측 지지 다리(22a)의 하단부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 배치될 수 있다. The ground fixture (1)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s (22; 22a, 22b) of the chair (2) as shown in FIG. 1, and can optionally be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 leg (22a). ) can be coupled and arrang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leg (22b)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leg (22b).

여기서, 의자(2)는 사용자의 착석을 돕는 좌면 시트(21)와 좌면 시트(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좌면 시트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지지 다리(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다리(22)는 좌면 시트(21)를 지지하는 전방측 지지 다리(22a)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의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방측 지지 다리와 후방측 지지 다리를 갖춘 어떠한 의자라도 무방할 것이다.Here, the chair 2 may include a seat 21 that helps the user sit, and support legs 22 provided below the seat 21 to position the seat 21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The support leg 22 is installed to space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which support the seating surface 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lding chair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ny chair equipped with front support legs and rear support legs.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1)는 지지 다리(22;22a,22b)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돔 형상의 받침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돔 형상의 받침대(11)는 전방측 지지 다리(22a) 및/또는 후방측 지지 다리(22b)의 하단부에 개별적으로 억지끼움 결합되어 각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접지 표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물론, 돔 형상의 받침대(11)는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쉽게 탈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ground fixture 1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me-shaped pedestal 1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s 22; 22a, 22b. The dome-shaped pedestal 11 may be individually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or the rear support leg 22b to expand the grounding surface area at the lower end of each support leg. Of course, the dome-shaped stand 11 can be easily mounted and remov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더욱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1)는 한쌍의 받침대(11)와, 한쌍의 받침대 사이에 배치된 스트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었듯이, 스트랩부(12)는 전방측 지지 다리(22a) 하단부에 장착된 일 받침대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 하단부에 장착된 타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 전방측 지지 다리와 후방측 지지 다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전방측 지지 다리(22a)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시키지 않으면, 전방측 지지 다리와 후방측 지지 다리 사이의 간격이 임의대로 벌어지면서 전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ground fixture 1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pedestals 11 and a strap portion 12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edestals. As shown, the strap portion 12 is disposed between one support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other support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rear support leg 22b, through which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are installed. The gap between the side support legs can be maintained. If the gap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is not fixed, the gap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rear support leg may widen arbitrarily, resulting in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You ca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1)는 돔 형상의 받침대(11)를 포함한다.2 to 4, the ground fixture 1 for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me-shaped pedestal 11.

구체적으로, 받침대(11)는 반구형 단면을 갖는 돔(dome)형 플레이트(111)와, 돔형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된 수용홈(112), 및 수용홈 둘레에 배치된 결합홈(113)을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pedestal 11 includes a dome-shaped plate 111 having a hemispherical cross-section, a receiving groove 11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me-shaped plate, and a coupling groove 113 disposed around the receiving groove. .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 플레이트(111)는 하부에 내부공간(참조부호 없음)을 형성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되, 볼록한 외측 상면과 오목한 내측 하면을 갖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돔형 플레이트(111)로 한정된 내부공간은 지지 다리의 하단부와 함께 후술될 스트랩부의 결속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hown, the dome-shaped plate 111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form an internal space (no reference symbol) at the bottom, and has a convex outer upper surface and a concave inner lower surface and protrudes upward. The internal space limited by the dome-shaped plate 111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and the fastening port of the strap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improv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수용홈(112)은 돔형 플레이트(111)의 외측 상면에서 이의 내측 하면으로 한정된 내부공간을 향해 길이연장되는바, 의자(2)의 지지 다리(22), 구체적으로 전방측 지지 다리(22a)의 하단부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의 하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돔형 플레이트(111)로 한정된 내부공간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2)은 지지 다리(22;22a,22b)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탈장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 112 extends from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111 toward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inner lower surface thereof, and is located on the support leg 22 of the chair 2, specifically the front support leg 22a. It may be formed concavely toward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dome-shaped plate 111 so that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leg 22b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22; 22a, 22b),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can be inserted to be detachable.

바람직하기로, 수용홈(112)은 이의 최하단에 드레인 홀(112a)을 형성한다. 드레인 홀(112a)은 수용홈 내로 유입된 흙, 모래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수용홈 내로 유입된 빗물 등의 수분을 하측으로의 배수를 돕는다. Preferably, the receiving groove 112 forms a drain hole 112a at its lowermost end. The drain hole 112a discharg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irt and sand that have flow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the outside, or helps drain moisture such as rain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the lower side.

또한, 본 발명은 대상 지면 상에서 돔 형상의 받침대(11)의 수평 배열을 가능하도록 수용홈의 끝단(최하단)을 돔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보다 아래에 돌출되지 않고 돔형 플레이트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게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lowest end) of the receiving groove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me-shaped plate without protruding below the edge of the dome-shaped plate to enabl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dome-shaped pedestal 11 on the target ground.

앞서 기술되었듯이, 받침대(11)는 스트랩부(12)의 체결을 돕는 결합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 돔형 플레이트(111)는 도시되었듯이 수용홈을 구비하고 수용홈 둘레에 전술된 결합홈(113)을 형성한다. As previously described, the stand 11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13 that helps fasten the strap portion 12. The dome-shaped plate 111 has a receiving groove as shown and forms the above-described coupling groove 113 around the receiving groove.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대상 지면에 닿는 돔 형상의 받침대에 표면적을 넓혀 사용자의 무게를 분산시켜 지면에 가하는 압력을 줄여 지지 다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inking of the support leg by expanding the surface area of the dome-shaped pedestal that touches the target ground,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and reduc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ground.

덧붙여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1)는 앞서 기술된 돔 형상의 한쌍의 받침대(11)와, 한쌍의 받침대(11) 사이에 배치된 스트랩부(12;strap)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nd fixture 1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dome-shaped pedestals 11 described above and a strap portion 12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edestals 11. .

스트랩부(12)는 전방측 지지 다리(22a)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된 길이부(121)와, 이 길이부(121)의 양 단부에 결속구(122)을 구비한다. 각각의 결속구(122)는 전방측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된 일 받침대(11)와 후방측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된 타 받침대(11)에 구비된 결합홈(113)에 체결된다. 여기서, 스트랩부의 길이부는 전방측 지지 다리(22a)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게 길이조절하여 전방측 지지 다리와 후방측 지지 다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The strap portion 12 includes a length portion 121 disposed across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and fasteners 122 at both ends of the length portion 121. Equipped with Each fastener 122 is connected to a coupling groove 113 provided in one stand 11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other stand 11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leg. It is concluded. Here, the length of the strap portion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can be kept constant.

물론, 길이부(121)는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길이 조절구를 채용할 수 있다. Of course, the length portion 121 may employ various types of length adjusters available on the marke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해된 받침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해된 받침대의 다른 변형예로서, 드레인 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e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llustrated in FIG. 5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edestal illustrated in FIGS. 2 to 4. Since it has a very similar structure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hole, a similar or identical configuration is used to facilitat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lanation will be excluded here.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는 돔 형상의 받침대(11)에 형성된 수용홈(112)의 드레인 홀(112a)을 통해 이물질, 수분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As previously described,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moisture, etc.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112a of the receiving groove 112 formed in the dome-shaped pedestal 11.

각 지지 다리(22;22a,22b)에 억지끼움 결합된 받침대(11)가 지면과 맞닿을 경우에, 받침대(11)의 드레인 홀(112a)을 통해 흙이나 물이 역유입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드레인 홀(112a)을 개폐하는 플랩(114;flap)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When the pedestal 11 press-fitted to each of the support legs 22, 22a, and 22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reverse inflow of dirt or water may occur through the drain hole 112a of the pedestal 11.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flap 114 that opens and closes the drain hole 112a.

도시되었듯이, 플랩(114)은 드레인 홀(112a)의 하류측, 다시 말하자면 토출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플랩은 수용홈(112)으로 유입된 흙이나 수분의 하중에 의해 강제로 하향 회동하여 드레인 홀을 강제로 개방하여 이들을 외부로 쉽게 토출시킬 수 있는 반면에 토출이 중단되거나 수용홈으로 올라오는 흙이나 수분과의 접촉(가압력)을 통해 상향 회동하면서 드레인 홀을 강제로 폐쇄하여 이들의 역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As shown, the flap 114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ain hole 112a, that is, on the discharge side. As a result, the flap is forcibly rotated downward due to the load of dirt or moisture flow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112, thereby forcing the drain hole to be opened and easily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ischarge is stopped or By rotating upward through contact (pressure force) with soil or moisture, the drain hole is forcibly closed, thereby reliably blocking their reverse inflow.

선택가능하기로, 플랩(114)은 드레인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무동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유연한 탄성을 갖는 시트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드레인 홀의 확실한 폐쇄를 보장하기 위해 드레인 홀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Optionally, the flap 114 may be made of a sheet material with flexible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opened without power by the load of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and the flap 114 may be made of a sheet material with flexible elasticity to ensure reliable closure of the drain hole. It can be formed in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받침대에 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 받침대(11)는 수용홈(112)의 상류측, 다시 말하자면 유입측 둘레를 따라 탄성변형 가능한 환형 림(115;rim)을 포함한다.Figur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of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11 includes an annular rim 115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the upstream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that is, around the inlet side.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림(115)은 수용홈(112)의 상류측 둘레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개방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된 원추형으로 형성되되, 신축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annular rim 115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with an open cross-sectional area that narrows upward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may be formed of a stretchable flexible material.

환형 림(115)은 가요성과 함께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다양한 외경 크기를 갖는 지지 다리를 수용홈(112)에 동심축 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환형 림(115)은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수용홈(112) 내에 진입하는 동안에 지지 다리 외주면 둘레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용홈(112)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annular rim 115 has flexibility and elasticity, support legs having various outer diameter sizes can be aligned concentrically with the receiving groove 112. In addition, the annular rim 115 can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receiving groove 112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leg whil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enters the receiving groove 11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텐트나 차량 등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된 타프(tarp)의 루프 시트(10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폴(120)의 하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돔 형상의 받침대(11)를 끼워 넣어 지지 폴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upport pole (supporting pole) that supports the roof sheet 100 of a tarp installed to extend from a tent, vehicle, etc.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By inserting the dome-shaped pedestal 11 of the ground fixtur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lower part of 120), sinking of the support pole can be prevented.

여기서, 돔 형상의 받침대(11)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지면에 닿는 가늘고 긴 로드(rod)의 하단부에 결합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dome-shaped pedestal 1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a long, thin rod that touches the groun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를 접이식 테이블(200)의 지지 다리에 끼움 결합한 사용 상태도이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접이식 테이블은 캠핑이나 레저용으로 야외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데,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의 받침대(11)를 끼움 결합하여 지지 다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leg of the folding table 200. As is widely known, a folding table includes a top plate and support legs supporting the top plate so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outdoors for camping or leisure purposes, and the base 11 of the ground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leg. Comb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inking of the support legs.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는 야외에서 취침시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한기를 피하면서 안락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접이식 간이침대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간이침대(300)의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받침대(11)를 결합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foldable extra bed that helps you sleep comfortably while avoiding the cold coming from the floor when sleeping outdoor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base 11 can be coupled and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of the foldable bed 300.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는 앞서 기술된 의자, 텐트, 간이침대에 국한되지 않고, 야외에서 지면에 닿아 기립되어 있는 다양한 물품(예컨대, 스크린, 텐트, 벤치 등)의 지지 다리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더욱이, 다양한 물품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다리 사이에 스트랩부(12;도 1 참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hairs, tents, and cots described above, bu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upport legs of various items stand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outdoors (e.g., screens, tents, benches, etc.)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exists. Moreover, a strap portion 12 (see Figure 1) may be employed between a pair of support legs supporting various items.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지면 고정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but this is for the purpose of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fixture fo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It would be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ose who have i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 지주용 지면 고정구,
11 ----- 받침대,
12 ----- 스트랩부,
2 ----- 의자,
21 ----- 좌면 시트,
22, 22a, 22b ----- 지지 다리.
1 ----- Ground anchor for shoring;
11----- Pedestal,
12 ----- Strap part,
2-----Chair,
21 ----- Seat surface,
22, 22a, 22b ----- Support legs.

Claims (11)

지면에 닿는 지지 다리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돔 형상의 받침대(11);를 포함하는데,
상기 받침대(11)는,
반구형 단면을 갖는 돔형 플레이트(111)와;
상기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돔형 플레이트(111)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최하단에 드레인 홀(112a)을 갖춘 수용홈(1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드레인 홀(112a)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레인 홀(112a)을 개폐하는 플랩(114)을 추가로 구비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t includes a dome-shaped pedestal (11)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to prevent the support leg from touching the ground,
The stand (11) is,
a dome-shaped plate 111 having a hemispherical cross-section;
A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concavely in the dome-shaped plate 111 to inser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and has a drain hole 112a at the bottom, wherein the pedestal 11 has a drain hole 112a. ) A ground fixture for holding tha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ap (114)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ain hole (112a) to open and close the drain hole (112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는 의자의 좌면 시트(21)를 지지하기 위해 전방측 지지 다리(22a)와 후방측 지지 다리(22b)로 구성된 지지 다리(22)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1,
The stand (11) is a ground fixture for support that is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22) consisting of a front support leg (22a) and a rear support leg (22b) to support the seat seat 21 of the chair.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수용홈(112) 둘레에 결합홈(113)을 형성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1,
The pedestal (11) is a ground fixture for holding that forms a coupling groove (113)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12).
삭제delete 지면에 닿는 지지 다리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돔 형상의 받침대(11);를 포함하는데,
상기 받침대(11)는,
반구형 단면을 갖는 돔형 플레이트(111)와;
상기 지지 다리의 하단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돔형 플레이트(111)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최하단에 드레인 홀(112a)을 갖춘 수용홈(1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드레인 홀(112a)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레인 홀(112a)을 개폐하는 플랩(114)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수용홈(112)의 상류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환형 림(115)을 추가로 구비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t includes a dome-shaped pedestal (11)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to prevent the support leg from touching the ground,
The stand (11) is,
a dome-shaped plate 111 having a hemispherical cross-section;
A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concavely in the dome-shaped plate 111 to inser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and has a drain hole 112a at the bottom, wherein the pedestal 11 has a drain hole 112a. )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ap 114 that opens and closes the drain hole 112a,
The pedestal (11) is a ground fixture for support, further comprising an annular rim (115) disposed along the upstream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형 림(115)은 상기 수용홈(112)의 상류측 둘레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개방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5,
The annular rim (115) is a ground fixture for a support pole that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with an open cross-sectional area narrowing upward from the upstream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지지 다리(22a)의 하단부와 상기 후방측 지지 다리(22b)의 하단부에 각각 억지끼움 결합된 한쌍의 받침대(11)와;
상기 한쌍의 받침대(11) 사이에 배치된 스트랩부(12);를 포함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2,
a pair of supports (11) press-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leg (22b), respectively;
A ground fixture for holding, including a strap portion (12)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edestals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12)는,
상기 전방측 지지 다리(22a)와 상기 후방측 지지 다리(22b)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조절가능한 길이부(121)와;
상기 길이부(121)의 양 단부에 구비된 결속구(122);를 구비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7,
The strap portion 12 is,
a length portion 121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22a and the rear support leg 22b and having an adjustable length;
A ground fixture for holding, including a binding tool (12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portion (12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12)는 상기 받침대(11)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7,
The strap portion (12) is a ground fixture for suppo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edestal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는 타프용 지지 폴, 텐트용 지지폴, 간이침대용 지지 다리, 스크린 지지 다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지주용 지면 고정구.
In claim 1,
The stand 11 is a ground fixture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tarp support pole, a tent support pole, a cot support leg, and a screen support leg.
삭제delete
KR1020220171520A 2022-12-09 2022-12-09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KR102608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520A KR102608345B1 (en) 2022-12-09 2022-12-09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520A KR102608345B1 (en) 2022-12-09 2022-12-09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345B1 true KR102608345B1 (en) 2023-12-01

Family

ID=8912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520A KR102608345B1 (en) 2022-12-09 2022-12-09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34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2076A (en) * 1997-01-08 1998-07-28 Hikari:Kk Protective cap for leg
US20110095576A1 (en) * 2009-10-26 2011-04-28 David Reeb Collapsible chair having reduced linkages
US8413296B1 (en) * 2010-02-18 2013-04-09 Stoveshoes, LLC Coaster for commercial kitchen equipment
CN205667470U (en) * 2016-05-11 2016-11-02 宁海县鑫达文体用品有限公司 A kind of big chaise longue
JP2018094005A (en) * 2016-12-12 2018-06-21 ラウ キット ヒングLau Kit Hing bag
KR20220111640A (en) 2021-02-02 2022-08-09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Supporting legs and folding chair provided with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2076A (en) * 1997-01-08 1998-07-28 Hikari:Kk Protective cap for leg
US20110095576A1 (en) * 2009-10-26 2011-04-28 David Reeb Collapsible chair having reduced linkages
US8413296B1 (en) * 2010-02-18 2013-04-09 Stoveshoes, LLC Coaster for commercial kitchen equipment
CN205667470U (en) * 2016-05-11 2016-11-02 宁海县鑫达文体用品有限公司 A kind of big chaise longue
JP2018094005A (en) * 2016-12-12 2018-06-21 ラウ キット ヒングLau Kit Hing bag
KR20220111640A (en) 2021-02-02 2022-08-09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Supporting legs and folding chair provided with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275B1 (en) Pillow assembly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5522642A (en) Folding seating with selectively extendable legs
US6116682A (en) Seating device
US20090007947A1 (en) Portable weather shielding canopy
US20170311723A1 (en) Foldable chair
US6634704B1 (en) Portable seating device
US7052080B2 (en) Frame for supporting a back pack and providing a seat structure
KR101007957B1 (en) Multi-functional seat device for fishing
US6702384B1 (en) Support device
US20030062757A1 (en) Multiuse portable chair
CA2500287A1 (en) Foldable bleacher seats
US20210172190A1 (en) Swimming pool over-the-edge mounted equipment
KR102608345B1 (en) Ground fixture of supporting leg
US4945587A (en) Beach chair with adjustable back having an air mattress attached thereto
US1956956A (en) Beach stool
US20050125894A1 (en) Beach mat, chair and shelter
US9968200B2 (en) Portable s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6647567B1 (en) Plumbing plunger support and storage device
KR100428434B1 (en) Chair back supporter of which width being adjustable
US201600220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US2514109A (en) Pedestal
MXPA05001346A (en) Furniture glide with polyurethane base.
US5755492A (en) Folding backrest with two inclination angles
KR200340281Y1 (en) Support device of a parasol in a chair for leisure
KR101410678B1 (en) Folding type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