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876B1 -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876B1
KR102607876B1 KR1020210111751A KR20210111751A KR102607876B1 KR 102607876 B1 KR102607876 B1 KR 102607876B1 KR 1020210111751 A KR1020210111751 A KR 1020210111751A KR 20210111751 A KR20210111751 A KR 20210111751A KR 102607876 B1 KR102607876 B1 KR 10260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bedsid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359A (ko
Inventor
노재형
정종욱
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충남대학교병원
헬스커넥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충남대학교병원, 헬스커넥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Priority to KR102021011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드사이드 장치가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환자 식별 정보로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를 식별하여 감지하고,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가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BEDSIDE DEVICE, METHOD FOR RECEIVEING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TO MONITOR THE PATIENT'S CONDITION OF LOCATION, AND COMPUTER PROGRAM}
본 개시의 실시예는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입원 환자를 관리하고 적절한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의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의 진료 경과 등을 통합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정보 시스템의 정보는 의료진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 환자가 병원에 자유롭게 의견을 전달하고 의료진에게 의견이 반영되도록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20-002167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식별, 위치 파악, 환자와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면서 환자가 소지한 생체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한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베드사이드 장치가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환자 식별 정보로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를 식별하여 감지하고,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가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수신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낙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생체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가 측정된 시간 값과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는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측정 주기 또는 생체 신호의 전송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 측정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는,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병원 중앙 서버와 통신하여 병원 중앙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환자가 소지한 생체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한 환자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베드사이드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신호에 기초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정 정보를 취합한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측정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환자의 생체 신호를 관리하는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의 도면이다.
도 9는 베드사이드 장치와 병원 중앙 서버 사이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 “러닝” 등의 용어는 인간의 교육 활동과 같은 정신적 작용을 지칭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닌 절차에 따른 컴퓨팅(computing)을 통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함을 일컫는 용어로 해석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체 측정 장치(100), 베드사이드 장치(200), 병원 중앙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베드사이드 장치(200)를 이용하여 생체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기초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의 제어 신호, 알림 메시지 등을 베드사이드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하거나, 베드사이드 장치를 거쳐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각 환자 별로 필요한 알림 메시지를 각 베드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각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장치이거나, 환자가 소지한 장치로서, 환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패치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P파의 크기, R-R 인터벌, 낙상 여부 등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중 적어도 2개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근접 센서, 움직임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되며, 낙상 여부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센싱 값들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베드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생체 측정 장치(100)는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측정 장치(100)와 통신하여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생체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측정 장치(100)의 측정 주기를 조정하거나 생체 측정 장치(100)의 전송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측정 장치(100)의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통신 패킷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주기별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체 정보에 기초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대응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생체 정보에 대한 시간값을 생성하여,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정보의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여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베드 사이드 장치(200)는 연결된 생체 측정 장치(100)와의 연결 상태가 끊어진 경우에는 병원 중앙 서버(300)를 통해 생체 측정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생체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을 이용하여 분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병원 중앙 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베드사이드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 생체 측정 장치 관리부(240), 생체 정보 처리부(250), 및 알림 신호 생성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베드사이드 장치(200)의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베드사이드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베드사이드 장치(2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서버, 다른 전자장치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비된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사용자에 대한 일정 데이터, 회진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회진 알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병원 중앙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하며, 병원 시스템에 접속하여 검사 예약 변경 신호, 진료 요청 신호, 불편 사항 접수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의 조회 및/또는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병원 중앙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 요청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병원 중앙 서버(300)에서 요청한 고객 만족도를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출력 제어부(230)는 제공되는 기본 설정에 따른 메뉴 외에, 환자에 의해 변경된 사용자 맞춤 정보를 기초로 기본 메뉴를 사용자 맞춤 메뉴로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메뉴는 환자에 의해 등록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메뉴는 병원 중앙 서버(300)에서 누적적으로 관리하는 사용자별 맞춤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 관리부(240)는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환자 식별 정보로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를 식별하고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 관리부(240)는 인접한 생체 측정 장치로 통신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요청 신호는 근거리 통신 방법인 블루투스, Zigbee, 와이파이, 적외선 등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 관리부(240)는 통신 요청 신호의 신호 세기에 의해서 정해진 거리 이내의 생체 측정 장치로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생체 측정 장치 중에서, 통신 요청 신호에 포함된 환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환자 식별 정보가 기록된 생체 측정 장치(100)는 통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베드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기록된 환자 식별 정보와 통신 요청 신호에 포함된 환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통신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 관리부(240)는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측정 정보에 따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측정 정보는 생체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로서, 생체 신호의 측정 주기, 측정된 데이터의 전송 주기, 통신 패킷의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정보는 생체 측정 장치에 대한 측정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주기는, 생체 측정 장치(100)에서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측정) 주기를 말한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수신된 측정 주기에 따라서 생체 신호를 측정한 생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 주기는 측정된 데이터를 베드 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하는 주기를 말한다. 생체 측정 장치 관리부(240)는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전송 주기에 의해 생체 측정 장치(100)로 생체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생체 측정 장치(100)는 수신된 전송 주기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베드 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신호의 값들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통신 패킷의 해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와 베드사이드 장치(200) 사이의 통신 연결이 최소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한 경우에는, 생체 신호의 값들의 정밀도를 높인 통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와 베드사이드 장치(200) 사이의 통신 연결이 최소 기준값 이하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경우에는, 생체 신호의 값들의 정밀도를 낮춘 통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수신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P파의 크기, R-R 인터벌, 낙상 여부 등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획득되는 생체 정보는 다를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생체 측정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측정 주기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송 주기에 맞춰서 수신할 수 있다. 측정 주기 및/또는 전송 주기는 병원 중앙 서버(300)에 기록된 값에 따를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생체 신호로부터 주기별 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수신한 생체 신호로부터 주기별 생체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주기별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조건의 제1 주기 및 제1 주기의 생체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정상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 생체 정보의 변화 패턴이 위험 패턴과 유사한지 여부 등과 같을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소정의 조건에 기준 값인 정상 범위 또는 위험 패턴은 누적적으로 측정된 생체 신호, 생체 정보들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에 기준값인 정상 범위 또는 위험 패턴은 사용자 별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회귀 분석 등의 방법으로 결정되거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생체 신호로부터 추출된 주기별 생체 정보와 생체 정보에 대한 정상 여부, 또는 위험 여부 등의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되어 결정되며,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생체 정보가 측정된 제1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제1 주기와 제1 주기에 대한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소정의 주기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생체 신호를 1주일 단위, 1일 단위 등과 같이 소정의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즉, 생체 신호는 소정의 주기동안 측정된 모든 생체 신호일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생체 신호로부터 주기별 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주기별 생체 정보 중에서,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생체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수신된 측정 정보들 중에서,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주기별 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1일, 1주일 동안의 생체 정보에서,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생체 정보의 위험 주기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위험 주기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위험 주기 정보는, 생체 정보의 측정 시점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위험 주기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처리부(25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서 위험 주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위험 주기 정보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위험 주기 정보의 링크 정보로 이동하여 위험 주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알림 신호 생성부(260)는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생체 신호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생체 신호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알림 신호 생성부(260)는 정해진 전송 주기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데 전송 주기 내에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알림 신호 생성부(260)는 전송된 데이터에서 측정 주기 별로 생체 신호가 누락 없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알림 신호 생성부(260)는 전송 주기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생체 신호의 미수신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알림 신호 생성부(260)는 획득된 생체 정보가 해당 생체 정보에 대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에 대한 위험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알림 신호 생성부(260)는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가 측정된 시간 값과, 해당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신호에 기초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베드 사이드 장치(200)는 환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S110).
베드 사이드 장치(200)는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환자 식별 정보로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100)를 식별하고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인접한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요청 신호는 근거리 통신 방법인 블루투스, Zigbee, 와이파이, 적외선 등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통신 요청 신호의 신호 세기에 의해서 소정의 거리 이내의 생체 측정 장치(100)로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생체 측정 장치(100) 중에서, 통신 요청 신호에 포함된 환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환자 식별 정보가 기록된 생체 측정 장치(100)는 통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베드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기록된 환자 식별 정보와 통신 요청 신호에 포함된 환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통신 요청 신호의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베드 사이드 장치(200)는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측정 정보에 따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20). 측정 정보는 생체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로서, 생체 신호의 측정 주기, 측정된 데이터의 전송 주기, 통신 패킷의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주기는, 생체 측정 장치(100)에서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측정) 주기를 말한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수신된 측정 주기에 따라서 생체 신호를 측정한 생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 주기는 측정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베드 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하는 주기를 말한다. 베드 사이드 장치(200)는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전송 주기에 의해 생체 측정 장치로 생체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생체 측정 장치(100)는 수신된 전송 주기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베드 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신호의 값들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통신 패킷의 해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와 베드사이드 장치(200) 사이의 통신 연결이 최소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한 경우에는, 생체 신호의 값들의 정밀도를 높인 통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와 베드사이드 장치(200) 사이의 통신 연결이 최소 기준값 이하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경우에는, 생체 신호의 값들의 정밀도를 낮춘 통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생체신호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생체 신호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정해진 전송 주기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데 전송 주기 내에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전송된 데이터에서 측정 주기별로 생체 신호가 누락 없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전송 주기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생체 신호의 미수신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수신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등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획득되는 생체 정보는 다를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획득된 생체 정보가 해당 생체 정보에 대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에 대한 위험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가 측정된 시간 값과, 해당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4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알림 신호를 관리 환자의 대응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측정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측정 주기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송 주기에 맞춰서 수신할 수 있다. 측정 주기 및/또는 전송 주기는 병원 중앙 서버(300)에 기록된 값에 따를 수 있다.
S22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신호로부터 주기별 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수신한 생체 신호로부터 주기별 생체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S23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주기별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조건의 제1 주기 및 제1 주기의 생체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정상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 생체 정보의 변화 패턴이 위험 패턴과 유사한지 여부 등과 같을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소정의 조건에 기준 값인 정상 범위 또는 위험 패턴은 누적적으로 측정된 생체 신호, 생체 정보들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에 기준값인 정상 범위 또는 위험 패턴은 사용자 별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회귀 분석 등의 방법으로 결정되거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생체 신호로부터 추출된 주기별 생체 정보와 생체 정보에 대한 정상 여부, 또는 위험 여부 등의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되어 결정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생체 정보가 측정된 제1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S24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제1 주기와 제1 주기에 대한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S250에서는 병원 중앙 서버(300)는 제1 주기에 대한 생체 정보를 분석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환자 상태 데이터는, 생체 정보에 대한 것과, 생체 정보와 대응되는 상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환자 상태 데이터는 병원 중앙 서버(300)를 통해 의료진 단말로부터의 코멘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주기별 생체 정보를 의료진 단말로 전송하여, 주기별 생체 정보에 대한 코멘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전달이 필요한 코멘트 데이터를 환자 상태 데이터에 포함시켜, 베드사이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복수의 베드사이드 장치들로부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주기 및 주기에 대한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생체 정보, 환자 상태 데이터 등은 각 베드사이드 장치 별 또는 환자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각 베드사이드 장치에 대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주기(시점, 시간값)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 대한 상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자는 제1 시점, 제2 시점, 제3 시점에 위험 패턴이 검출되고, 제1 시점, 제2 시점, 제3 시점은 오전 시간으로, 제1 환자는 오전 시간에 위험 패턴이 감지됨과 같은, 위험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시점, 제2 시점, 제3 시점은 a 검사를 실시하기 전으로, 제1 환자는 a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정보가 검출됨과 같은, 위험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위험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험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에 대한 위험 알림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발생된 데이터를 통해 정해진 위험이 발생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전에 알림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 정보를 취합한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소정의 주기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신호를 일주일 단위, 1일 단위 등과 같이 소정의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즉, 생체 신호는 소정의 주기동안 측정된 모든 생체 신호일 수 있다.
S32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생체 신호로부터 주기별 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33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주기별 생체 정보 중에서,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생체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300)는 수신된 생체 정보들 중에서,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주기별 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1일, 1주일 동안의 생체 정보에서,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S340에서는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생체 정보의 위험 주기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정상 구간을 벗어나는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위험 주기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위험 주기 정보는, 생체 정보의 측정 시점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위험 주기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서 위험 주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위험 주기 정보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위험 주기 정보의 링크 정보로 이동하여 위험 주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410에서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제1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소정의 주기에서 측정된 제1 환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420에서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최소 대기 시간 동안 측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장치 별 타이머 신호를 등록하여 최소 대기 시간의 타이머 신호가 주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타이머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 측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30에서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최소 대기 시간 동안에 측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환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를 다른 베드사이드 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제2 베드사이드 장치는 신호에 포함된 환자 식별 번호의 제1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를 제2 베드사이드 장치의 구역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S440에서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제1 환자의 위치 정보 또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의 고유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제2 베드사이드 장치로 제1 생체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로부터 제1 생체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거나,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440에서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0)는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제1 환자(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환자의 위치 정보는, 제1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하는 제2 베드 사이드 장치에 대한 고유코드, 또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의 구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전원이 꺼지거나 제1 생체 측정 장치가 통신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등으로 인해 제1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의 단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제1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제1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하고 있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를 검색하여 제2 베드사이드 장치로부터 또는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생체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는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생체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이에 대한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거나,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체 측정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110), 통신부(12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거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고 내장형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체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충전 가능한 것으로 구현되어 측정부, 통신부, 프로세서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생체 측정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130), 데이터 처리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베드사이드 장치(2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10츠 이내의 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WLAN 등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전송 주기로 인접한 베드사이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주변의 베드사이드 장치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의해 응답함으로써,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하다가 제2 베드사이드 장치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2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일시에 하나의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와 제2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 연결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시간을 소정의 단위 시간 구간으로 분할하여 제1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간 구간과 제2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간 구간이 충돌되지 않으면서 제1 베드사이드 장치와 제2 베드사이드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심전도 신호, 호흡수, 심박수, 맥박수, 체온, 혈압, 혈당, R-R 인터벌, P파, 낙상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심전도 신호, 호흡수, 맥박수, 체온, 혈압, 혈당, R-R 인터벌, P파, 낙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추가적으로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정해진 측정 주기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신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의 측정 주기에 대한 제어 신호에 의해 생체 신호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여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정해진 통신 패킷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패킷의 해상도는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생성되거나 외부의 장치로부터의 통신 패킷의 해상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생체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환자의 생체 신호를 관리하는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의 도면이다.
병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생체 측정 장치(101), 제2 생체 측정 장치(102), …, 제n 생체 측정 장치(10n),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 …, 제n 베드사이드 장치(20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체 측정 장치(101)과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1대1로 연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병원에 입원한 복수의 환자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복수의 생체 측정 장치들(101, 102, …,10n), 복수의 베드사이드 장치들(201, 202, …, 20n)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사용자에게는 1대의 생체 측정 장치와 이와 연결된 베드사이드 장치가 할당될 수 있다.
제1 생체 측정 장치(101)는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와 연결하다가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와 연결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인접한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1 생체 측정 장치(101)로부터 소정의 주기에서 측정된 제1 환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1 생체 측정 장치(101)로부터 최소 대기 시간 동안 측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장치 별 타이머 신호를 등록하여 최소 대기 시간의 타이머 신호가 주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타이머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 측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최소 대기 시간 동안에 측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환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다른 베드사이드 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는 신호에 포함된 환자 식별 번호의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와 통신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와 통신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병원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중앙 서버(300)는 제1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를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의 구역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제1 환자의 위치 정보 또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의 고유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로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로부터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거나, 위험 주기 정보를 표시하거나, 알려주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제1 환자(제1 생체 측정 장치, 10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환자의 위치 정보는, 제1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하는 제2 베드 사이드 장치(202)에 대한 고유코드, 또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의 구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의 전원이 꺼지거나 제1 생체 측정 장치(101)가 통신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등으로 인해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와의 통신 연결의 단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1 생체 측정 장치(101)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와 통신하고 있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를 검색하여 제2 베드사이드 장치(202)로부터 또는 병원 중앙 서버(300)로부터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의 생체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다. 제1 베드사이드 장치(201)는 제1 생체 측정 장치(101)의 생체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이에 대한 위험 주기 정보를 생성하거나,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베드사이드 장치와 병원 중앙 서버 사이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베드사이드 장치(21)는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를 통해 병원 중앙 서버(31)와 통신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1)는 보안 소켓 레이어(Secure Sockets Layer)로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와 통신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1)는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기능, 환자 일정 조회 기능, 편의신청 관리 기능, 콘텐츠 관리 기능, 회진 정보 연동 기능, 고객 만족도 조사 기능, 단말 관리 기능, 메뉴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장치(21)는 Application Interface를 통해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인증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로부터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인증 신호를 베드사이드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일정 조회 기능은 일정 조회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환자 일정 조회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로부터의 일정 조회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환자의 일정을 조회하여 환자 일정 데이터를 베드사이드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편의신청 관리 기능은 검사 예약 변경 신호, 진료 요청 신호, 불편 사항 접수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편의신청 관리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로부터의 검사 예약 변경 신호, 진료 요청 신호, 불편 사항 접수 신호 등에 응답하여, 환자에게 예약된 검사의 일정을 변경하거나, 의료진의 문진을 요청하거나, 입원 중에 불편 사항을 접수하고, 요청한 신호의 처리가 완료되면 완료 신호를 베드사이드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기능은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의 조회 및 관리 기능으로, 베드사이드 장치(21)로부터의 컨텐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추천 컨텐츠, 요청 컨텐츠 등을 생성하여 생성한 컨텐츠를 베드사이드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회진 정보 연동 기능은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정보를 베드사이드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회진 정보 연동 기능은,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시간 전에 회진 알림을 베드사이드 장치(21)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회진 정보 연동 기능은, 회진 순서에 대한 알림을 베드사이드 장치(21)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고객 만족도 조사 기능은 병실, 치료, 입원, 의료진 등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베드사이드 장치(21)로 요청하여 베드사이드 장치(21)로부터 고객 만족도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관리 기능은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가 관리하는 베드사이드 장치(21)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 관리 기능은 각 환자가 보조적으로 등록한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베드사이드 장치(2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단말 관리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가 관리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31)로 전송할 수 있다.
메뉴 관리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에 제공되는 메뉴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메뉴 관리 기능은 병원 중앙 서버(31)의 제어 신호에 의해 메뉴들을 변경할 수 있다. 메뉴 관리 기능은 베드사이드 장치(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맞춤 정보를 기초로 기본 메뉴를 사용자 맞춤 메뉴로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는 관리자 단말기(42)로부터의 접속 신호에 의해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2)로 전송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는 환자의 회진 정보, 환자의 생체 신호, 환자의 검사 정보, 환자의 만족도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 등을 관리자 단말기(42)로 전송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는 병원 중앙 서버(31)와 PACS 인터페이스로 통신할 수 있다.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는 HIS 인터페이스를 통해 병원 중앙 서버(31)로 통신하고, 환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HIS 인터페이스를 통해 베드사이드 운영 서버(22)는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HIS 인터페이스를 통해 병원 중앙 서버(31)는 실시간으로 입력된 환자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생체 측정 장치
200: 베드사이드 장치
300: 병원 중앙 서버

Claims (11)

  1. 제1 베드사이드 장치가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를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환자 식별 정보로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를 식별하여 감지하고,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제1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는 생체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임;
    상기 제1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드사이드 장치가 상기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베드사이드 장치가 기 설정된 최소 대기 시간 동안에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병원 중앙 서버에서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를 다른 베드사이드 장치로 요청하도록 하여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제2 베드사이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 상기 제2 베드사이드 장치가 통신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되, 관리 환자에 대한 일정 데이터, 회진 정보, 회진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수신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생체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베드사이드 장치는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가 측정된 시간 값과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는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측정 주기 또는 생체 신호의 전송 주기를 포함하는,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 측정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5. 삭제
  6. 프로세서 및 병원 중앙 서버 또는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되, 관리 환자에 대한 일정 데이터, 회진 정보, 회진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관리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를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환자 식별 정보로 관리 환자의 생체 측정 장치를 식별하여 감지하고,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립하고,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변경하며,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고,
    기 설정된 최소 대기 시간 동안에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병원 중앙 서버에서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를 다른 베드사이드 장치로 요청하도록 하여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다른 베드사이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생체 측정 장치와 상기 다른 베드사이드 장치가 통신하도록 설정하도록 하며,
    상기 병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생체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인, 베드사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맥박수, 호흡수, 체온, 혈당, 혈압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가 측정된 시간 값과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베드사이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정보는
    상기 생체 측정 장치의 측정 주기 또는 생체 신호의 전송 주기를 포함하는, 베드사이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 측정 장치로 측정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베드사이드 장치.
  10. 삭제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11751A 2021-08-24 2021-08-24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51A KR102607876B1 (ko) 2021-08-24 2021-08-24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51A KR102607876B1 (ko) 2021-08-24 2021-08-24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59A KR20230029359A (ko) 2023-03-03
KR102607876B1 true KR102607876B1 (ko) 2023-11-30

Family

ID=8551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751A KR102607876B1 (ko) 2021-08-24 2021-08-24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8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6193A (ja) * 2015-08-14 2020-01-16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axter International Incorp0Rated 医療デバイスデータ統合装置および方法
US20200294638A1 (en) * 2019-03-15 2020-09-17 Nihon Kohden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phys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488A (ko) * 2016-11-22 2016-11-30 (주)유비코드 요양병원 상태 알림 시스템
KR101977630B1 (ko) * 2017-09-27 2019-05-14 선헬스케어인터내셔널 주식회사 환자 관리 시스템
KR20210073404A (ko) * 2019-12-10 2021-06-18 (주)의료복지기술법인어버이사랑 노인 요양보호를 위한 의료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6193A (ja) * 2015-08-14 2020-01-16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axter International Incorp0Rated 医療デバイスデータ統合装置および方法
US20200294638A1 (en) * 2019-03-15 2020-09-17 Nihon Kohden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phys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59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sen et al. A home hospitaliza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Fog computing and cloud computing
US10506926B2 (en) Multi-vital sign detector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Farahani et al. Towards fog-driven IoT eHealth: Promises and challenges of IoT in medicine and healthcare
EP3160333B1 (en) Data permission management for wearable devices
US20190046056A1 (en) Multi-Vital Sign Detector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S9642527B2 (en) Hand-held medical-data capture-device having optical detection of vital signs from multiple filters and interoperation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s through a static internet protocol address
Jurik et al. Remote medical monitoring
RU2678636C1 (ru) Монитор пациента и способ наблюдения за состоянием пациента
WO2018176935A1 (zh) 一种基于儿童服务机器人的健康管理平台及管理方法
JP7258918B2 (ja) モニタリング対象者のバイタルサインの信頼性の決定
US20180235478A1 (en) Multi-Vital Sign Detector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Tsao et al. An IoT-based smart system with an MQTT broker for individual patient vital sign monitoring in potential emergency or prehospital applications
CN107066832A (zh) 一种利用腕带的智能监控系统及监控方法
Zhang et al. Medical long-distan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Neubert et al. Multi-sensor-fusion approach for a data-science-oriented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system: concept and development of a decentralized data collection approach for heterogeneous data sources
Gómez-García et al. Platform for healthcare promo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KR102607876B1 (ko) 베드사이드 장치, 측정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052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iometric detection and response
JP2011142966A (ja) 測定装置、中継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測定方法
US20180344229A1 (en) Pulse oximeter suggests another test
Lolita et al. IoT-based patient remote health monitoring in ambulance services
Abubeker et al. Internet of Healthcare Things (IoHT) enabled incessant real time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non-invasive sensors
US20190320899A1 (en) Proximity based data acquisition and display
KR102487583B1 (ko) 환자의 이상 반응 예측 시스템
KR102441662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케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