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236B1 - 보행보드 - Google Patents
보행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7236B1 KR102607236B1 KR1020230084292A KR20230084292A KR102607236B1 KR 102607236 B1 KR102607236 B1 KR 102607236B1 KR 1020230084292 A KR1020230084292 A KR 1020230084292A KR 20230084292 A KR20230084292 A KR 20230084292A KR 102607236 B1 KR102607236 B1 KR 102607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er
- disposed
- sensor
- connection
- bord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6421 sense of balanc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배치된 어퍼바디가 완충 또는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에 밀착되어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하측에 배치된 로어바디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로어바디가 견고한 구의 일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해는 하중에 따라 불안정하게 흔들리거나 뒤뚱거리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균형감각 및 밸런스에 관련된 근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균형운동기구인 보행보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 및 의료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서, 산업화, 도시화, 고령화라는 사회적 특성을 보인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산업화 및 도시화는 생활의 편의를 가져오고, 다양한 인간관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빠른 산업화 속도에 맞추기 위해 사람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여가 시간을 즐기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대인관계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또한, 고령화는 생명 연장이라는 측면에서는 환영받을 일이지만, 그 이면에는 삶의 질에 대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즉, 노인들이 얼마나 건강한 삶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구조는 자연스럽게 건강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키고, 인간관계 속에서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건강 증진, 체력향상, 다이어트, 몸매 관리를 위해서 가정이나 야외, 또는 피트니스 클럽(fitness club)에서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이용해 운동을 한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인체의 지방을 제거하고 근육을 단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그 중에는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도 있다.
종래 균형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선 상태로 탑승하는 스탠딩 테이블, 스탠딩 테이블을 요동시키는 요동기구, 및 요동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수단인 모터의 힘을 이용해 사용자가 서 있는 스탠딩 테이블을 강제로 움직이고, 사용자가 그 위에서 균형을 잡음으로써 균형감각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균형운동기구는 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이용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 비용이 고가이고, 사용 및 유지가 어렵다. 또한, 스탠딩 테이블의 요동패턴이 일정하게 반복되기 때문에, 다양한 자세로 균형훈련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껴 운동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균형운동기구인 보행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하측면이 구체(sphere)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어바디(100); 상기 로어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어퍼바디(200); 상기 로어바디(10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로어돌출바디(190); 상기 어퍼바디(20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어퍼삽입홈(290);을 포함하는 보행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로어바디(100)는, 플랫하게 형성되고,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평탄면(110); 상기 로어평탄면(11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어하측면(120); 상기 로어하측면(12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로어외주면(130); 상기 로어외주면(130)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수평하게 형성되는 로어보더면(140); 상기 로어보더면(140)의 내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로어상측면(150);을 포함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로어평탄면(110) 및 로어돌출바디(190)의 평면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C)이 형성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로어평탄면(110) 및 로어돌출바디(190)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평탄면(110)의 직경보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바디(100)의 전단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면을 향해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로어커팅면(160); 상기 로어바디(100)의 후단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후면을 향해 평평하게 형성된 제 2 로어커팅면(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20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상측면(150)과 접하여 결합되는 어퍼하측면(220); 상기 어퍼하측면(220)의 평면 중심(C)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상기 어퍼삽입홈(290); 상기 어퍼하측면(22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어보더면(14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어퍼보더면(240); 상기 어퍼보더면(24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어퍼경사면(250); 상기 어퍼경사면(250)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어퍼오목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상측에 배치된 어퍼바디가 완충 또는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에 밀착되어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하측에 배치된 로어바디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로어바디가 견고한 구의 일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해는 하중에 따라 불안정하게 흔들리거나 뒤뚱거리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균형감각 및 밸런스에 관련된 근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커팅면을 통해 수직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로어평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편심을 형성할 때까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기 로어돌출바디가 어퍼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바디 및 어퍼바디의 슬립에 대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보행보드의 외측 가장자리 위치가 낮아지는 휨변형이 발생되어도 견고한 강성 및 복원력을 형성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어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1에 도시된 어퍼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어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어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1에 도시된 어퍼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어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어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1에 도시된 어퍼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팔자걸음 교정, 안짱걸음 교정, 보행 발란스, 측만증 보행 교정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하측면이 구체(sphere)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어바디(100)와, 상기 로어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어퍼바디(200)와, 상기 로어바디(10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로어돌출바디(190)와, 상기 어퍼바디(20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어퍼삽입홈(290)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가능한 재질은 탄성재질 또는 메모리폼 재질일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원상태로 복원되는 재질이다.
상기 로어바디(100)는 바닥에 지지되고 휨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천연나무 또는 금속재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로어바디(100)는, 플랫하게 형성되고,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평탄면(110)과, 상기 로어평탄면(11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어하측면(120)과, 상기 로어하측면(12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로어외주면(130)과, 상기 로어외주면(130)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수평하게 형성되는 로어보더면(140)과, 상기 로어보더면(140)의 내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로어상측면(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탑뷰로 볼 때, 상기 로어평탄면(110) 및 로어돌출바디(190)의 평면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C)이 형성된다.
상기 로어평탄면(110)으로 인해 상기 보행보드는 바닥에 놓였을 때 안정된 수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하중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가해였을 때, 상기 로어평탄면(110)이 바닥과 이격되고, 상기 로어하측면(120)이 바닥과 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사용자에게 균형을 유지하는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로어평탄면(110) 및 로어돌출바디(190)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평탄면(110)의 직경보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상기 로어바디(100)의 전단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면을 향해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로어커팅면(160)과, 상기 로어바디(100)의 후단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후면을 향해 평평하게 형성된 제 2 로어커팅면(170)을 더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로어바디(10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으로 인해, 원형의 전단 및 후단이 잘려진 형태이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로어상측면(150)은 원의 일부일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로어보더면(140)은 링의 일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으로 인해, 상기 로어보더면(140)은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로어보더면(141)과,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로어보더면(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으로 인해, 상기 로어외주면(130)은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로어외주면(131)과,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로어외주면(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어외주면(131) 및 제 2 로어외주면(132)이 상기 중심(C)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은 각각, 상기 로어하측면(120), 로어외주면(130), 로어보더면(140) 및 로어상측면(150)과 접하게 형성성된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는 상기 로어상측면(150)과 접하고,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융기되게 배치되는 로어돌출외주면(191)과, 상기 로어돌출외주면(191)의 상단을 형성하고 평평하게 형성된 로어돌출평탄면(192)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상단(본 실시예에서 로어돌출평탄면(192)이 상기 로어보더면(140)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로어상측면(150)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상측면(150)의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200)가 삽입되는 로어바디홈(101)이 형성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어퍼바디(20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바디(200)는 로어상측면(150) 및 로어보더면(140)에 대응된다.
상기 어퍼바디(200)는 푹신한 탄성재질 또는 메모리폼 재질로 형성되고, 상용자의 발을 지지하며, 변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어퍼바디(20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상측면(150)과 접하여 결합되는 어퍼하측면(220)과, 상기 어퍼하측면(220)의 평면 중심(C)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어퍼삽입홈(290)과, 상기 어퍼하측면(22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어보더면(14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어퍼보더면(240)과, 상기 어퍼보더면(24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어퍼경사면(250)과, 상기 어퍼경사면(250)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어퍼오목면(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어퍼커팅면(260)과, 상기 제 2 로어커팅면(170)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는 제 2 어퍼커팅면(2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커팅면(260) 및 제 2 어퍼커팅면(270)이 서로 대향되고,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어퍼커팅면(260) 및 제 2 어퍼커팅면(270)은 각각 어퍼하측면(220), 어퍼보더면(240), 어퍼경사면(250) 및 어퍼오목면(230)과 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1 어퍼커팅면(260)이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보드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로어커팅면(170) 및 제 2 어퍼커팅면(270)이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보드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어퍼보더면(240)은, 상기 제 1 로어보더면(141)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 1 어퍼보더면(241)과, 상기 제 2 로어보더면(142)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 2 어퍼보더면(24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보더면(241) 및 제 2 어퍼보더면(242)이 각각 저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어퍼삽입홈(290)은, 상기 어퍼하측면(220)에서 상기 중심(C)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경사면(291)과, 상기 삽입경사면(291)의 상단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삽입평탄면(292)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경사면(291)이 상기 로어돌출외주면(191)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삽입평탄면(292)이 상기 로어돌출평탄면(192)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어퍼삽입홈(290)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바디(100) 및 어퍼바디(200)의 슬립에 대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보행보드의 외측 가장자리 위치가 낮아지는 휨변형이 발생되어도 견고한 강성 및 복원력을 형성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어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상기 로어바디(100)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서포터(3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3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바디(100)에 결합된다.
상기 서포터(300)는,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를 감싸게 배치되는 이너서포터(310)와, 상기 이너서포터(31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로어보더면(140)의 내측가장자리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서포터(320)와, 상기 이너서포터(310) 및 아우터서포터(320)를 연결하는 연결서포터(3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서포터(310), 아우터서포터(320) 및 연결서포터(330)는 상기 로어상측면(150)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어상측면(150)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서포터홈(155)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서포터(310), 아우터서포터(320) 및 연결서포터(330)가 상기 서포터홈(155)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이너서포터(310), 아우터서포터(320) 및 연결서포터(330)가 상기 로어바디(100)에 체결결합된다.
상기 이너서포터(310), 아우터서포터(320) 및 연결서포터(330)의 상측면이 상기 로어상측면(150)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서포터(310), 아우터서포터(320) 및 연결서포터(330)의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200)가 접착 또는 융착고정될 수 있고, 상기 서포터(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이너서포터(3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이너개구부(315)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서포터(320)는 상기 제 1 로어보더면(141)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1 아우터서포터(321)와, 상기 제 2 로어보더면(14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2 아우터서포터(322)와,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제 2 아우터서포터(322)를 연결하는 프론트서포터(323)와, 상기 제 2 로어커팅면(17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제 2 아우터서포터(322)를 연결하는 리어서포터(324)를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제 2 아우터서포터(32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프론트서포터(323) 및 리어서포터(324)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서포터(330)는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서포터(331)와, 상기 제 2 아우터서포터(322)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서포터(332)와, 상기 프론트서포터(323)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3 연결서포터(333)와, 상기 리어서포터(324)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4 연결서포터(334)를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결서포터(331), 제 2 연결서포터(332), 제 3 연결서포터(333) 및 제 4 연결서포터(334)가 90도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결서포터(331), 제 2 연결서포터(332), 제 3 연결서포터(333) 및 제 4 연결서포터(334)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서포터(320)가 상기 로어바디(1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두 발로 보행보드의 가장자리를 디디고 섰을 때, 사용자에게서 가해지는 하중을 원주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서포터(320)에 가해진 하중은 상기 연결서포터(330)를 통해 상기 이너서포터(310)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연결서포터(330)가 반경방향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서포터(310)가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를 감싸는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여 상기 서포터(300)가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연결서포터(330)를 통해 전달된 하중을 상기 로어돌출바디(190) 주변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포터(300)는 어퍼바디(200)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보행보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강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로어바디(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100kg 이상의 체중을 갖는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드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는 헬스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헬스어셈블리(400)는, 상기 서포터(300)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410)와, 상기 로어돌출바디(190)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4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20)가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43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20)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440)와, 상기 로어바디(100)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4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내부에 설치공간(195)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195)을 개폐하는 로어커버(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공간(195)이 하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로어커버(180)가 상기 설치공간(19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커버(180)의 저면이 상기 로어평탄면(110)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20) 및 배터리(430)가 상기 로어커버(18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80)에 상기 배터리(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430)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410)는 스트레인게이지가 사용되고, 상기 센서(410)의 변형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가한 하중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410)는,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센서(411)와, 상기 제 2 아우터서포터(32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센서(412)와, 상기 제 1 연결서포터(33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3 센서(413)와, 상기 제 2 연결서포터(33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4 센서(414)와, 상기 제 3 연결서포터(333)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5 센서(415)와, 상기제 4 연결서포터(334)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6 센서(4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서(411) 및 제 2 센서(412)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3 센서(413), 제 4 센서(414), 제 5 센서(415) 및 제 6 센서(416)가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센서(411), 제 2 센서(412), 제 3 센서(413), 제 4 센서(414), 제 5 센서(415) 및 제 6 센서(416)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440)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상기 제 1 센서(411) 및 제 2 센서(412)에서 감지된 변형량의 차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근력 불균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센서(413), 제 4 센서(414), 제 5 센서(415) 및 제 6 센서(416)에서 감지된 변형량의 차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근력 불균형을 보다 세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411), 제 2 센서(412), 제 3 센서(413), 제 4 센서(414), 제 5 센서(415) 및 제 6 센서(416)에 연결된 케이블은 상기 서포터(30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를 관통하도록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 케이블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디스플레이(450)가 상기 제 1 어퍼커팅면(260) 또는 제 2 로어커팅면(17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50)는 LCD, OLED 또는 프로젝터일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로어바디 110 : 로어평탄면
120 : 로어하측면 130 : 로어외주면
140 : 로어보더면 150 : 로어상측면
190 : 로어돌출바디 200 : 어퍼바디
220 : 어퍼하측면 230 : 어퍼오목면
240 : 어퍼보더면 250 : 어퍼경사면
120 : 로어하측면 130 : 로어외주면
140 : 로어보더면 150 : 로어상측면
190 : 로어돌출바디 200 : 어퍼바디
220 : 어퍼하측면 230 : 어퍼오목면
240 : 어퍼보더면 250 : 어퍼경사면
Claims (5)
-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하측면이 구체(sphere)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어바디(100); 상기 로어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어퍼바디(200); 상기 로어바디(10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로어돌출바디(190); 상기 어퍼바디(20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어퍼삽입홈(290); 상기 로어바디(100)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서포터(300); 상기 서포터(3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운동량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는 헬스어셈블리(400);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바디(100)는, 플랫하게 형성되고,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평탄면(110); 상기 로어평탄면(11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어하측면(120); 상기 로어하측면(12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로어외주면(130); 상기 로어외주면(130)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수평하게 형성되는 로어보더면(140); 상기 로어보더면(140)의 내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로어상측면(150);을 포함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로어평탄면(110) 및 로어돌출바디(190)의 평면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C)이 형성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로어평탄면(110) 및 로어돌출바디(190)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평탄면(110)의 직경보다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바디(100)의 전단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면을 향해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로어커팅면(160); 상기 로어바디(100)의 후단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후면을 향해 평평하게 형성된 제 2 로어커팅면(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바디(20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상측면(150)과 접하여 결합되는 어퍼하측면(220); 상기 어퍼하측면(220)의 평면 중심(C)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가 삽입되는 상기 어퍼삽입홈(290); 상기 어퍼하측면(220)의 외측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어보더면(14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어퍼보더면(240); 상기 어퍼보더면(24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어퍼경사면(250); 상기 어퍼경사면(250)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어퍼오목면(230);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300)는,
상기 로어돌출바디(190)를 감싸게 배치되는 이너서포터(310);
상기 이너서포터(31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로어보더면(140)의 내측가장자리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서포터(320);
상기 이너서포터(310) 및 아우터서포터(320)를 연결하는 연결서포터(330);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보더면(140)은,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로어보더면(141)과,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 및 제 2 로어커팅면(170)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로어보더면(142)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서포터(320)는,
상기 제 1 로어보더면(141)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1 아우터서포터(321)와, 상기 제 2 로어보더면(14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2 아우터서포터(322)와, 상기 제 1 로어커팅면(16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제 2 아우터서포터(322)를 연결하는 프론트서포터(323)와, 상기 제 2 로어커팅면(17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제 2 아우터서포터(322)를 연결하는 리어서포터(32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서포터(330)는,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서포터(331)와, 상기 제 2 아우터서포터(322)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서포터(332)와, 상기 프론트서포터(323)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3 연결서포터(333)와, 상기 리어서포터(324) 및 이너서포터(310)를 연결하는 제 4 연결서포터(334)를 포함하고,
상기 헬스어셈블리(400)는,
상기 서포터(300)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410);
상기 로어돌출바디(190)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420);
상기 인쇄회로기판(420)가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430);
상기 인쇄회로기판(420)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440);
상기 로어바디(100)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4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50);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돌출바디(190)의 내부에 설치공간(195)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195)을 개폐하는 로어커버(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195)이 하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로어커버(180)가 상기 설치공간(195)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로어커버(180)의 저면이 상기 로어평탄면(110)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20) 및 배터리(430)가 상기 로어커버(18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센서(410)는 스트레인게이지가 사용되고, 상기 센서(410)의 변형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가한 하중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410)는,
상기 제 1 아우터서포터(3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센서(411);
상기 제 2 아우터서포터(32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센서(412);
상기 제 1 연결서포터(33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3 센서(413);
상기 제 2 연결서포터(33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4 센서(414);
상기 제 3 연결서포터(333)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5 센서(415);
상기 제 4 연결서포터(334)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 6 센서(416);를 포함하는 보행보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292A KR102607236B1 (ko) | 2023-06-29 | 2023-06-29 | 보행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292A KR102607236B1 (ko) | 2023-06-29 | 2023-06-29 | 보행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7236B1 true KR102607236B1 (ko) | 2023-11-29 |
Family
ID=8896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4292A KR102607236B1 (ko) | 2023-06-29 | 2023-06-29 | 보행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723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0845A (ja) * | 1997-04-18 | 1998-11-04 | Yoshihiro Amakawa | バランスボード運動具 |
KR20070113202A (ko) | 2005-03-15 | 2007-11-28 | 다이또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밸런스 건강기 |
US20080039304A1 (en) * | 2006-08-10 | 2008-02-14 | Mattox E Michael |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
US20130288866A1 (en) * | 2012-04-27 | 2013-10-31 | Shanti Rainey | Muscular Trai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
KR20180015507A (ko) | 2016-08-03 | 2018-02-13 | 김승현 | 트레이닝 기구 |
KR101876796B1 (ko) * | 2017-07-26 | 2018-07-11 | 김대승 |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
-
2023
- 2023-06-29 KR KR1020230084292A patent/KR1026072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0845A (ja) * | 1997-04-18 | 1998-11-04 | Yoshihiro Amakawa | バランスボード運動具 |
KR20070113202A (ko) | 2005-03-15 | 2007-11-28 | 다이또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밸런스 건강기 |
US20080039304A1 (en) * | 2006-08-10 | 2008-02-14 | Mattox E Michael |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
US20130288866A1 (en) * | 2012-04-27 | 2013-10-31 | Shanti Rainey | Muscular Trai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
KR20180015507A (ko) | 2016-08-03 | 2018-02-13 | 김승현 | 트레이닝 기구 |
KR101876796B1 (ko) * | 2017-07-26 | 2018-07-11 | 김대승 |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08369B2 (ja) | バランスの取れた二足姿勢を検出するための動的姿勢器具 | |
US9656120B1 (en) | Fitness level | |
US11052286B2 (en) | Smart performance footwear and system | |
US5647830A (en) | Health equipment | |
US20030073552A1 (en) | Biosensory ergonomic chair | |
US10870046B2 (en) | Workout counting device | |
US20110281701A1 (en) | Twister with combination pivotal and vertical movements | |
KR102172585B1 (ko) | 스마트 미러를 구비한 다기능 운동장치 | |
US20150057576A1 (en) | Wearable muscle strength training detector device | |
KR102607236B1 (ko) | 보행보드 | |
CN210495080U (zh) | 踝泵运动训练器 | |
CN110279978A (zh) | 一种兼具虚拟现实的平衡健身器 | |
KR102001531B1 (ko) | 기능성 밸런스 측정 장비 | |
US11383128B2 (en) | Wobble board | |
WO2013015529A1 (ko) | 앉은 자세 측정 및 운동용 좌석 패드 및 의자 | |
KR20210069493A (ko) | 피트니스 짐볼 | |
KR101702644B1 (ko) | 발받침 장치 | |
CN104759064B (zh) | 一种脚踏平衡式运动器具 | |
KR102402869B1 (ko) |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 |
US10471295B1 (en) | Adjustable-width portable balancing platform | |
CN113164100A (zh) | 压力测定踏板及包括其的用于矫正身体不平衡的运动设备 | |
KR102033014B1 (ko) | 분리결합이 가능한 하체 균형 운동장치 | |
US20150179084A1 (en) |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 |
KR101152152B1 (ko) |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보조용구 | |
CN218485091U (zh) | 一种台式平衡训练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