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583B1 -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583B1
KR102606583B1 KR1020187007854A KR20187007854A KR102606583B1 KR 102606583 B1 KR102606583 B1 KR 102606583B1 KR 1020187007854 A KR1020187007854 A KR 1020187007854A KR 20187007854 A KR20187007854 A KR 20187007854A KR 102606583 B1 KR102606583 B1 KR 10260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ost
processing
image data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440A (ko
Inventor
질 보이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5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ene or a sh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신택스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 신택스의 프로파일 표시자들 중 하나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와, 이미지 데이터 및 신택스 설정을 디코더로 송신될 비트스트림에 제공하여 이미지 데이터는 디코딩되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비디오 해상도가 계속 증가하고 고화질 비디오 이미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비디오의 효율적인 이미지 데이터 압축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지만, 그 전체내용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국제 전기통신 연합(스위스 1211 제네바 20 쁠라스 데 나씨옹)의 ITU-T 권고 H.265, 버전 04/2013에 의한 H.265/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고효율 비디오 코딩) 표준과 같은 기존의 비디오 코딩 표준을 이용한 코딩의 성능은 제한적이다. 이들 표준은 부족한 압축/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의 확장형을 사용하지만, 그 결과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이들 전형적인 비디오 코딩 시스템은 비디오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더를 사용하는데, 이 데이터는 비트스트림으로 디코더에 효율적으로 송신된 후 비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이미지 휘도 및 컬러 픽셀 값과 같은 비디오 코딩 계층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트라 및 인터 예측 데이터, 필터링 데이터, 잔차 등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전체 프레임 내의 모든 픽셀마다의 휘도 및 컬러 데이터가 인코더로부터 디코더로 비트스트림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되면 이미지 데이터의 원하는 포맷 및 파라미터로 비트스트림을 적절히 디코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코더의 능력을 나타내는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넌-비디오 코딩 계층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비디오 콘텐츠가 HDR(High Dynamic Range)과 같은 매우 높은 품질의 포맷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되더라도, 일례로 SDR(Standard Dynamic Range)과 같은, HEVC 압축에 보다 적합한 포맷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을 변경하는 적응형 전달 함수(adaptive transfer function: ATF)를 포함하는 전처리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고 송신하는 양호한 코딩 효율이 달성된다고 밝혀졌다. 전처리는 디코딩된 SDR 비디오를 HDR 비디오 콘텐츠로 변환하여 예를 들어 HDR 비디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기 위해 디코더에서 역 후처리 기능에 의해 역변환(reverse)된다. 또한, 디코딩 후에 후처리 동작에서 종종 역변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순방향 전처리 적용을 필요로 하는 다른 바람직한 전처리 기능도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의 HEVC 표준은, 디코더가 전처리 능력을 가진 인코더로부터 비디오를 수신할 때 결과적으로 디코딩된 비디오가 정확한 포맷 및 파라미터에 부합하도록 함으로써 비디오가 고품질 포맷으로 보일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후처리를 요구하기에 충분한 구현을 하지 못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은 첨부 도면에서 제한이 아니라 예로써 도시된다.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요소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의 치수는 명확성을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 라벨이 도면들 간에 반복되었다. 도면에서:
도 1은 공지된 비디오 코딩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코딩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른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른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른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른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의 다른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른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전체가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구현예가 설명된다. 특정 구조 및 구성이 논의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용으로만 행해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조 및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 및/또는 구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 이외의 다양한 다른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이용될 수 있음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 아키텍처와 같은 아키텍처에서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구현을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 및/또는 구성의 구현은 특정 아키텍처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유사한 목적으로 임의의 아키텍처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예컨대, 복수의 집적 회로(IC) 칩 및/또는 패키지를 이용하는 다양한 아키텍처, 및/또는 셋톱 박스, 스마트폰, 태블릿, 텔레비전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소비자 전자(CE)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 및/또는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로직 구현예, 시스템 구성요소의 유형 및 상호관계, 로직 파티셔닝/통합 선택 등과 같은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을 설명할 수 있지만, 청구 대상은 그러한 특정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예를 들어, 제어 구조 및 전체 소프트웨어 명령어 시퀀스와 같은 일부 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송신하는 임의의 매체 및/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전기, 광학, 음향 또는 다른 형태의 전파 신호(예를 들어, 반송파, 적외선 신호, 디지털 신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 물품은 일시적인 신호 그 자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예들 또는 다른 예들 중 임의의 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물품은 RAM 등과 같이 "일시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임시로 보유할 수 있는 신호 그 자체 이외의 요소를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일 구현예", "구현예", "예시적인 구현예" 등의 언급은 설명된 구현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구현예가 반드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문구가 반드시 동일한 구현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때,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다른 구현들과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당업자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달성하도록 제안된다.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 따라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과 관련된 시스템, 물품 및 방법이 후술된다.
HEVC 표준을 사용하는 HDR 콘텐츠의 비디오 압축은, 인코딩 전에 전달 함수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변환하기 위해 전처리가 적용될 때 양호한 코딩 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대응하는 역 후처리는 디코딩 후에 적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전처리 기능을 역변환시키는 후처리 기능의 적용이 허용 가능한 비디오 품질을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코어 인코딩 및 디코딩 프로세스는 이 전처리 및 후처리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HEVC에 정의된 기존 프로파일에서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파일은 비디오 시퀀스에 허용 가능한 파라미터 및 포맷을 나타내기 위해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송신되는 오버헤드 데이터의 세트로 시그널링되므로, 디코더는 어떤 코딩 알고리즘이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비디오 비트스트림에 적용하도록 지원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한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파일은, 그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정의된 코딩 툴 세트와 관련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syntax) 내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또는 일반적으로 프로파일 표시자 코드 또는 프로파일 표시자로 지칭됨)를 사용하며, 비디오 코딩 표준의 사양에 의해 정의된다. 특정 프로파일에 할당된 인코더는 적합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기만 하면 사용할 코딩 툴을 선택할 수 있지만, 프로파일용 디코더는 그 프로파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코딩 툴을 지원해야 한다.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자체는 레벨 및 티어에 관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코드는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이 레벨들 사이에서 또는 티어들 사이에서 정도의 문제일 수 있거나 달라질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파일은 그 프로파일 내의 코드와 관련된 특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비트스트림의 넌-비디오 코딩 계층(넌-VCL)에 다른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세트, SEI 메타데이터, 슬라이스 헤더 데이터 등은 프로파일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즉, (비트스트림의 구조를 설명하거나 복수의 화상에 또는 하나의 화상 내의 복수의 코딩된 블록 영역에 적용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 레벨 신택스는 프로파일 이상을 포함한다. 프로파일에 대한 세부사항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가 HEVC 비트스트림(104)을 생성하는 HEVC 인코더(102)에 입력되는 종래의 HEVC 비디오 압축 또는 비디오 코딩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HEVC 디코더(106)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비디오를 생성한다. 디코딩된 비디오가 수립되는 디코딩 프로세스의 포인트는 적합성 포인트(conformance point)(110)로 간주되어, 일례로서 HEVC 사양에 정의된 동일한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모든 디코더가 그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사양에 정의된 대로 동작하는 참조 디코더에 의해 생성된 것과 비트 완전 매칭(bit-exact match)인 디코딩된 비디오를 생성해야 한다. 그렇게 디코딩되고 부합되므로,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는 프로파일(또는 허용 가능한 파라미터 및/또는 포맷)이 알려져 있으므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적합성 포인트는 기존의 HEVC 사양에서 디코더(106)(또는 후처리 유닛이 디코더의 일부로 간주될 때 "코어" 비디오 디코더)의 출력으로서 정의된다. 디코딩 후에, 기존의 HEVC 사양은 다양한 후처리 기능을 추천하는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한다. 기존의 HEVC 사양에서, SEI 메시지 기반의 후처리 기능은 규범적(normative)이지 않으며(즉, 필수적이지 않음), 디코더의 적합성의 정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SEI 메시지 관련 데이터와 함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 메시지에 따라 디코딩된 비디오를 후처리할 수있는 선택적인 후처리 유닛(108)을 도시한다. 따라서, 종래 시스템에서, 일부 디코더는 역 후처리가 제공되지 않을 때(그리고 이 경우 SEI 메시지가 무시됨)에도 전처리되었던 비디오를 디코딩할 수 있고, 또는 디코더는 예를 들어, SEI 메타데이터가 삭제될 때 비디오가 후처리되는 것인지 알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후처리 가능 디코더가 SEI 메시지를 수신하고 후처리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더라도, 디코더에는 권고된 후처리 기능을 수행할 능력이 없으므로 디코더는 여전히 후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전처리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이 후처리 없이 디코더에 의해 픽업되거나 디코딩된 비디오가 후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경우, 예컨대, HDR 비디오가 디스플레이에 의해 예상되지만 그 대신 전달 함수가 적용된 비디오를 수신하는 경우, 디코더는 잘못되거나 예상치 못한 포맷으로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더 극심한 문제가 존재하며, 어떤 경우에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통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처리 동안에 비디오의 포맷을 변경하는 적응형 전달 함수(ATF)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역 전달 함수가 적용되지 않으면 비디오를 전혀 제대로 볼 수 없는데, 예컨대, 컬러와 휘도가 틀릴 것이다.
프로파일은 현재 규범적 후처리 표시자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소수의 프로파일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호운용성이 촉진된다. 하드웨어 구현예는 특정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하드웨어 디코더를 설계하는 데 드는 상당한 개발 비용 때문에 대다수의 니치(niche) 프로파일보다는 넓게 배치된 약간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좋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이 프로파일은 후처리가 적용될 것임을 나타내는 코드 및 후처리의 타입을 가진 새로운 후처리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후처리 능력을 추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존의 프로파일을 복제하는 새로운 추가 프로파일을 정의하는 것일 것이다. 각각의 비디오 코딩 표준에는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 리스트가 있으며, 각각의 프로파일은 비트 깊이, 채도 샘플링 포맷, 사용 된 코딩 툴 및 기타 다수를 나타낸다. 프로파일의 사용은 상당한 적응력을 제공하므로, 인코더 및 디코더가 다른 포맷을 가진 비디오를 코딩하여 이미지의 효율성과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프로파일이 표준에서 정의되면, 그 특정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없다. 후처리 프로파일 코드를 추가하도록 변경이 허용되면, 그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레거시 구현예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후처리가 필요할 때에도, 여전히 특정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레거시 하드웨어 디코더 구현예를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문제점들을 잘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특정한 기존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내의 추가 시그널링이, 시스템 내의 특정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레거시 디코더 구현예가 후처리 능력을 포함함을 나타내도록, 기존의 프로파일 시그널링을 재사용한다(또는 적응시킨다). 이는 추가 프로파일을 정의할 필요가 없게 한다. 따라서, 개념적으로 말하면, 이 방법은 시그널링이 디코딩 시스템의 적합성 포인트가 HEVC와 같은 알려진 표준에 대한 (레거시 디코더에서 구현되는 바와 같이) 기존 프로파일의 코어 디코더를 따르는 규범적 후처리 기능의 출력임을 나타내는 것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방안에 의해, 이는 비디오 코딩 표준들 중 하나의 표준의profile_tier_level 신택스 내의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oded video sequence: CVS)의 비트 스트림이 디코딩되도록 통상적으로 0으로 설정되지만,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가 0이 아닌 경우 CVS는 디코딩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 값들은 새로운 사양 (또는 새로운 프로파일 세트)의 추가와 같은 미래 표준화 사용을 위해 예약된다.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대한 이용 가능한 설정은 디코딩을 위해 2개의 값(예컨대, 0 및 1)을 허용하도록 여기에서 변경된다.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가 인코더에서 1로 설정되고 디코딩될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송신될 때, 1 (또는 다른 값)을 인식하도록 수정된 레거시 디코더는 사용되는 특정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의 코어 디코딩 및 규범적 후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후술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또는 비디오 처리 시스템 (또는 비디오 코덱 시스템)(2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인코더 디바이스 또는 단지 인코더(201)로도 지칭되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처리 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인코더(201)는 디코더 측에 대해 가역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전처리 능력을 제공하는 전처리 유닛(202) 및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는 인코더 코어(204)를 구비할 수 있다. 비디오 시퀀스의 프레임(이미지 또는 화상으로도 지칭됨)의 형태의 비디오는 예를 들어 전처리 유닛(202)에 입력되어 전처리된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처리 기능은 종래의 인코더 코어(204)를 사용하여 코딩될 때 코딩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변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는 또한 반드시 디코더에서 역변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비트스트림(206)은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디코딩된 이미지가 부합해야 하는 사양, 포맷 등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 모두로 패킹될 수 있고, 패킹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의 디코딩 및 규범적 후처리를 위해 디코더에 무선으로, 유선으로, 또는 양자 모두로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비트스트림(206)은 이미지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코어 디코더(208)를 구비하는 디코더 또는 디코더 디바이스(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그 후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코딩에 사용되는 포맷보다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원하는 포맷으로 출력 비디오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전처리를 역변환시키는 후처리의 적용을 포함하는 후처리 기술을 수행하도록 후처리 유닛(210)에 제공될 수 있다. 규범적 프로세스의 후처리 부분을 만들기 위해,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값의 이용 가능한 범위는 프로파일의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와 같은 profile_tier_level 신택스가 특정 값(예컨대, 0보다는 1)을 가질 때 후처리를 요구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코드는 HEVC 프로파일에 대한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와 같은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다. 다른 데이터는 규범적 후처리의 타입을 나타내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 방안에 의해, 이미지가 후처리된 후에 프로세스의 적합성 포인트가 획득된다. 이 프로세스의 다른 세부사항은 후술된다.
일부 예에서, 비디오 코딩 시스템(200)은 명확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코딩 시스템(200)은 프로세서, 무선 주파수 타입(RF) 송수신기, 스플리터 및/또는 멀티플렉서, 디스플레이, 및/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코딩 시스템(200)은 스피커, 마이크로폰, 가속도계, 메모리, 라우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 등과 같은 추가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후술되는 시스템(700, 800 또는 900)을 사용하여 도시된다.
다른 형태에 의해, 본 명세서의 후처리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비디오 코딩 시스템은 이미지 프로세서, 비디오 프로세서 및/또는 매체 프로세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인터 예측, 인트라 예측, 예측 코딩, 및 잔차 예측을 담당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의 시스템은 비디오 압축 및 압축해제를 담당하고/하거나, 예를 들어, VP9 또는 다른 VPX 기반 표준과 같은 HVEC 이외의 하나 이상의 표준 또는 사양에 따라 비디오 코덱을 구현할 수 있지만, H.264 (MPEG-4) 및 관련되거나 또는 표준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수정되는 다른 표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프로파일 설명 이외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스킴 또는 프로세스는 모두 항상 반드시 임의의 특정 비디오 인코딩 표준 또는 사양 또는 그 확장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코더"라는 용어는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를 지칭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코딩"이라는 용어는 인코더를 통한 인코딩 및/또는 디코더를 통한 디코딩을 지칭할 수 있다. 코더, 인코더 또는 디코더는 인코더와 디코더 모두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프로세스(300)는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300)는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인코더 측에서 동작을 강조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프로세스(300)는 균등하게 넘버링된 동작들(302 내지 308)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세스(300)는 관련 있는 경우,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의 예시적인 시스템(200, 700, 800 또는 900)에 관하여 각각 논의된 동작들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스(300)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함"(302)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시퀀스의 프레임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보다 효율적인 비디오 코딩을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포맷하도록 전처리될 수 있다. 이는 디모자이킹(demosaicing), 디노이징(denos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는 또한 더 나은 코딩 효율을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때 이미지 데이터의 보다 효율적이거나 더 나은 품질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코딩 후에 역변환되어야 한다. 일 형태에 의해, 이러한 전처리는 코딩을 위해 HDR 포맷으로 캡처된 이미지를 SDR로 변환하는 것 또는 RGB 컬러 스페이스 데이터에서 YUV 이미지 데이터 값으로의 다른 이미지 데이터 변환, 다른 채도 또는 휘도 값 변환, 컬로 온도 변환 등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비디오 코딩 표준을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종래의 코어 인코딩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를 포함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함"(30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는 일례로서 HEVC와 같은 비디오 코딩 표준에 부합하여, 특히 메인 또는 메인 10 프로파일과 같은 표준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들 중 하나에 부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이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예상되는 특정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데 어떤 코딩 툴이 필요한지를 디코더가 결정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데이터가 코딩됨을 더 잘 보장한다.
프로세스(300)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 중 하나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임"(3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설정으로서 사용되며, 가능한 일례로서 HEVC용 메인 10과 같은 프로파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코딩 표준에 대한 새로운 프로파일을 설정하기보다는 이것이 수행된다. HEVC에 대한 일례에서,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이며, 이는 기존 HEVC 사양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구조에 위치할 수 있고, general_profile_space의 값이 00으로 설정되면 코어 디코딩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값이 예를 들어 01로 설정되면 코어 디코딩 및 후처리가 모두 활성화하도록 설정된다.
하나의 방안에 의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어떤 프로파일이 인코더에 의해 사용되는지 설정할 때 개발자에 의해 HEVC 프로파일에서 general_profile_idc 코드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다.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에 따라, 적용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후처리 기술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DR 데이터가 인코딩에 사용됨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 e는 HDR 이미지 데이터가 SDR로 변환될 것을 요구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디코딩 후에 HDR 이미지 데이터로 다시 변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SDR에서 HDR로의 후처리 변환이 프로파일에 대한 요구사항 중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HEVC에 대한 이 경우에,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예컨대, general_profile_space는 1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01)로 설정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대안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0 또는 1 이외의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대한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 설정은 변경되지 않는다. 코드가 0 또는 1 이외의 값을 갖는 경우, 연관된 코딩 비디오 시퀀스(CVS)의 디코딩은 디코더에 의해 스킵될 수 있다. 0 또는 1 이외의 값은 그들 자체의 프로파일 세트를 가질 수 있는 미래의 다른 코딩 사양 표준을 활성화하기 위해 예약된다. 프로파일 식별 코드 ()가 프로파일 및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코더에 대한 유효한 값을 가지더라도 디코딩은 스킵될 것이다.
프로세스(300)는 "이미지 데이터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디코더로 송신될 비트스트림에 제공하여 이미지 데이터는 디코딩되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함"(30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는 패킷들로 패킹되고, 비트스트림에 배치되며, 예컨대, 파라미터 세트 내의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NAL) 유닛의 넌-비디오 코딩 계층(넌-VCL)의 일부로서 프로파일 설정도 패킹되어 비트스트림에 배치된다. 디코더에서 추출되고 판독되면, 디코더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에 따라 후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알게될 것이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디코더는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의해 표시되는 후처리의 타입을 알 것이다. 후처리가 완료되면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에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프로세스(400)는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400)는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디코더 측의 동작을 강조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프로세스(400)는 균등하게 넘버링된 동작들(402 내지 408)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세스(400)는 관련 있는 경우,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의 예시적인 시스템(200 및 700 내지 900)에 관하여 각각 논의된 동작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스(400)는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획득함"(40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프로파일 데이터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를 들자면 프로파일은 메인 10과 같은 HEVC 프로파일일 수 있다. 프로파일은 후처리와 관련된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를 다음과 같이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또한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며,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임"(40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30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는 코딩에 효율적인 포맷으로 전처리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이미지 데이터는, 전술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디코딩 후에 HDR 포맷으로 변환될 필요가 있는 SDR 포맷의 비디오를 수신하는 것과 같이, 디코딩 후에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바람직한 다른 포맷, 또는 이전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HEVC의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일 수 있으며, 슬라이스 헤더 또는 시퀀스의 넌-VCL NAL 유닛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은 후처리가 없는 디코딩의 경우 0일 수 있고, 후처리가 있는 디코딩의 경우 1일 수 있으며, 다른 경우는 현재 CVS의 처리가 생략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0 및 1 이외의 다른 값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스(400)는 또한 다른 표준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예에서 HEVC 표준을 사용하는 디코딩 프로세스에 의해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함"(406)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세부사항은 아래에 제공된다. 그 결과 디코딩된 압축해제 이미지 세트는 전처리되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공되는 경우 후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다.
프로세스(400)는 또한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후처리되고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공함"(40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텍스트 해석 코드가 후처리가 발생해야 한다고 나타내는 경우, 일단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되면, 그 후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후처리 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코드는 SDR에서 다시 HDR 데이터로 또는 YUV 데이터에서 다시 RGB 데이터로 등과 같이 특정 타입의 후처리가 수행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후처리 유닛이 디코더의 일부로 간주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될 것이다.
그 다음에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되거나 또는 궁극적인 디스플레이를 위해 저장 및/또는 추가 송신될 수 있다.
이제 도 5a를 참조하면, 상세한 예시적인 후처리 표시 프로세스(500)는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500)는 인코더 측의 관점에서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프로세스(500)는 균등하게 넘버링된 동작들(502 내지 5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세스(500)는 관련 있는 경우,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의 예시적인 시스템(200 및 700 내지 900)에 관하여 각각 논의된 동작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스(500)는 "인코더에 의해 사용될 프로파일 결정함"(5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비디오 코딩 표준은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의 리스트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프로파일은 비트 깊이, 채도 샘플링 포맷, 화상 크기 및 기타 다수와 같은 특정 능력의 사용을 나타낸다. 프로파일의 사용은 상당한 적응력을 제공하므로, 인코더 및 디코더가 다른 포맷을 가진 비디오를 코딩하여 이미지의 효율성과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파일이 선택되면, 선택은 일반적으로 고정되며, 인코딩 및 디코딩은 그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수행된다.
본 예에 의해, 하나의 HEVC 사양은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메인, 메인 10, 메인 정지 화상 프로파일, 모노크롬, 모노크롬 12 및 모노크롬 16 프로파일, 메인 12 프로파일, 메인 4:2:2 10, 및 메인 4:2:2 12 프로파일, 메인 4:4:4, 메인 4:4:4 10, 및 메인 4:4:4 12, 메인 인트라, 메인 10 인트라, 메인 12 인트라, 메인 4:2:2 10 인트라, 메인 4:2:2 12 인트라, 메인 4:4:4 인트라, 메인 4:4:4 10 인트라, 메인 4:4:4 12 인트라, 메인 4:4:4 16 인트라, 메인 4:4:4 정지 화상, 메인 4:4:4 16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포맷 범위 확장 프로파일, 및 4:4:4 16 인트라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는 포맷 범위 확장 하이 쓰루풋 프로파일로 지칭되는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메인 10은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연속되는 예시에 대해 참조될 것이다. HEVC 이외의 표준이 사용될 수 있고 그 경우 다른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HEVC는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발자는 인코더 및 디코더에 제공될 수 있는 원하는 능력 및 이 경우 후처리 이후일 것인 적합성 포인트에서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의 원하는 파라미터와 가장 매칭되는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이 결정에 기초하여, 개발자는 디코더로 송신될 "비디오 시퀀스를 갖는 비트스트림에 배치되는 비트스트림 프로파일 구조를 획득함"(504)할 수 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개발자는 개별 프로파일에 대한 값을 갖는 각각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에 대한 필드로 프로파일 구조 또는 템플릿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필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특정 프로파일 값으로 파퓰레이팅될 수 있다. 프로파일 코드 신택스는 비트스트림 인코딩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인코더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인코더 디바이스에 액세스 가능한 곳에서 준비되고 저장되어 인코더 멀티플렉서 또는 다른 비트스트림 구성 유닛이 프로파일 코드 값을 획득할 수 있고 비디오, 화상, 슬라이스 (또는 다른 세그먼트) 헤더의 NAL NON-VCL 영역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신택스는 사전에 준비되는 것이 아니라, 인코더에 의해 즉석에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후처리와 관련된 프로파일 코드 필드 파퓰레이팅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프로파일의 기본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HEVC 권고 및 국제 표준의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는 각각 공통 신택스를 사용한다. 완전한 신택스의 서브세트를 달성하기 위해, 비트스트림에서 나중에 발생하는 신택틱 요소의 유무를 시그널링하는 비트스트림에 플래그, 파라미터 및 다른 신택스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응용례에서, 현재 특정 프로파일 내에서 신택스의 모든 가상 적 사용을 처리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현하는 것은 실용적이지도 경제적이지도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파일 내에 "티어" 및 "레벨"이 지정된다. 티어 및 티어 내의 레벨은 화상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동일한 특징에 대한 정도의 문제인 능력의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의 방안에 의해, 티어의 레벨은 비트스트림 내의 신택스 요소의 값에 부과되는 지정된 제약 세트이다. 이러한 제약들은 값에 대한 단순한 제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약들은 값들의 산술 조합들(예를 들어, 화상 폭에 화상 높이를 곱하고 초당 디코딩된 화상들의 수를 곱한 값)에 대한 제약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위 티어에 지정된 레벨은 상위 티어에 지정된 레벨보다 더 제한된다. 따라서, 일례로서, 레벨 1 내지 4만이 하위 티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레벨 5 내지 31은 상위 티어로 한정될 수 있다.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은 또한 비트스트림에 대한 제한을 지정하므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능력에 대한 제한도 지정한다.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은 또한 개별 디코더 구현예들 간의 상호운용성 포인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10 프로파일을 사용하고 후처리와 관련된 HEVC 예에 의해, HEVC 인코더는 이 경우에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구조의 프로파일 코드 general_profile_space 신택스 요소인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 (임)의 비제로(non-zero) 값을 가지도록 HEVC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예의 경우, general_profile_space의 비제로 값에 1의 값 (또는 다른 값)이 사용되어 후처리 이후에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성 포인트를 형성하는 필수 또는 규범적 후처리가 디코딩에 추가하여 수행될 것임을 나타낸다. HEVC 인코더는 또한 어떤 프로파일이 디코더에서 사용되는지(및 인코더에서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프로파일 코드 general_profile_idc에서의 값을 가지도록 HEVC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이 값은 메인 10 HEVC 프로파일의 경우 2일 수 있다. general_profile_idc는 다양한 디코딩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다수의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EVC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구조는 신택스 요소들인 general_profile_idc와 general_profile_space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기존 HEVC 사양의 예시적인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구조 및 표 아래의 사양의 general_profile_space 및 general_profile_idc의 의미이며, 디스크립터 열 아래에 표시된 것처럼, 'u'는 부호 없음을 지칭하고 괄호 안의 (#) 숫자는 필드 또는 코드 값에 대한 비트 수를 지칭한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후처리 표시 방법과 관련된 요소 또는 프로파일 코드의 일부에 대한 설명이다. 아래의 다수의 요소는 별첨 A를 참조하며, 별첨 A는 HEVC 표준에 대한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의미이며, ITU-T WP3/16 및 ISO/IEC JTC 1/SC 29/WG 11의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의 JCTVC-T1005에 대응하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에 대한 ISO/IEC 23008-2:2013/PDAM5 스크린 콘텐츠 코딩(Screen Content Coding: SCC)의 확장의 별첨 A에서 찾을 수 있다.
표준 사양은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는데(밑줄로 표시됨), 따옴표 안의 언어는 프로파일에 대한 기존 비디오 코딩 표준 사양에 언급된 언어를 나타낸다.
"general_profile_space는 0부터 31까지의 범위에 있는 j의 모든 값에 대해 general_profile_idc 및 general_profile_compatibility_flag[j]의 해석을 위한 콘텍스트를 명시한다. general_profile_space의 값은 이 사양의 이 버전에 부합하는 비트스트림 내의 0 또는 1이어야 한다. general_profile_space의 다른 값은 ITU-T | ISO/IEC에 의한 향후 사용을 위해 예약된다. 디코더는 general_profile_space가 0 또는 1이 아닌 경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를 무시해야 한다." 밑줄 친 텍스트는 추가되었다.
"general_tier_flag는 별첨 A에 명시된 바와 같이 general_level_idc의 해석을 위한 티어 콘텍스트를 지정하고, 이용 가능한 티어 중 어느 것이 인코딩될 비디오 시퀀스에 제공되는지 나타낸다."
"general_profile_space가 0 또는 1일 때, general_profile_idc는 CVS가 위에 언급된 별첨 A에 명시된 대로 부합하는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은 별첨 A에 명시된 값 외에 general_profile_idc의 값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general_profile_idc의 다른 값은 ITU-T | ISO/IEC에 의한 향후 사용을 위해 예약된다." 추가사항은 밑줄로 표시된다. 다시, 여기서 사양은 일반 콘텍스트 해석 값이 1일 때 디코딩 및 규범적 후처리를 허용하도록 수정된다.
위에서 언급한 general_profile_compatibility_flag[j] 코드는 현재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CVS)가 프로파일 식별 코드(general_profile_idc)가 나타내는 프로파일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프로세스(500)는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프로파일 필드를 파퓰레이팅함"(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프로파일 식별 코드 및 티어 및/또는 레벨 식별 코드를 파퓰레이팅함"(50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동작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 선택 코드(general_profile_idc), 어떤 티어가 사용될지를 설정하는 general_tier_flag 및 general_level_idc 코드를 포함하는, 위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표에 언급된 다른 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또한 후처리가 적용되는 경우,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를 설정함"(510)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발자는 프로파일 코드 필드를 파퓰레이팅하는데, 이는 규범적 후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general_profile_space)을 1(또는 다른 값)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세스(500)는 "비트스트림에 배치될 다른 후처리 정보 데이터를 결정함"(5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발자는 이미지 데이터의 디코딩 후에 적용될 규범적 후처리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프로파일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NAL 넌-VCL 헤더 섹션의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적응 가능한 후처리가 제공될 수 있을 때 어떤 데이터가 후처리되는지에 따라 SEI 메타데이터에서 또는 VUI를 포함하여 파라미터 세트(PPS, SPS 및/또는 VPS) 중 하나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는 개별 선택된 화상, 다수의 시퀀스의 비디오의 특정 시퀀스, 또는 특정 타입의 비디오 시퀀스가 있는 비디오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후처리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의해 참조되는 후처리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비트스트림 내의 정보를 갖는 유일한 후처리일 수 있거나 또는 비트스트림에 표시된 다수의 후처리 타입 중 한 타입일 수 있다. 일 형태에 의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의해 표시된 후처리 타입은 필수 유형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를 수립하는 데에 규범적이거나 필수적이지만, 비트스트림 내의 다른 타입의 후처리의 후처리 데이터는 디코더 측에서 선택적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복수의 타입의 후처리가 규범적인것으로 고려될 때,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상이한 규범적 타입의 후처리 또는 후처리 타입의 다른 조합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0은 디코딩을 가진 후처리 없음을 지칭할 수 있고, 1은 HDR 변환을 가진 디코딩을 지칭할 수 있으며, 2는 RGB 변환을 가진 디코딩을 지칭할 수 있고, 3은 이러한 이들 후처리 타입 모두를 가진 디코딩을 나타낼 수 있다. 할당되지 않은 임의의 수는 여전히 디코더가 디코딩을 전부 생략하도록 허용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타입의 후처리에 대한 다수의 상이한 배치가 가능하다.
프로세스(500)는 "인코딩될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함"(514)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예컨대, 로우(raw) 이미지 데이터의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로우 이미지 데이터는 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스(500)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처리함"(5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전처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여러 상이한 타입의 전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노이즈 감소, 픽셀 선형화 및 음영 보상, 해상도 감소, 바이어 디모자이킹(Bayer demosaicing) 및/또는 비네트(vignette) 제거, 일시적인 노이즈 제거, 이미지 선명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는 적어도 코딩에 보다 효율적인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전처리되고,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경우, 디코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디코딩 이후의 후처리로 전처리를 역변환시킨다. 따라서, 전처리는 HDR 포맷(예를 들어, 10 비트 YUV 4:2:0 데이터)에서 캡처된 이미지를 SDR(예컨대, SDR 동적 범위 표시를 갖는 10 비트 YUV 4:2:0)로 변환하고, 코딩을 위해 RGB 컬러 공간 값을 YUV 컬러 공간 값으로 변환하며, 코딩을 위해 하나의 채도 서브샘플링 표준에서 다른 채도 샘플링 표준(예컨대, 4:2:2에서 4:4:4로)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변환하고, 컬러 온도 변환 또는 다른 채도 및/또는 휘도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도 잘 알려져 있다.
프로세스(500)는 "프로파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함"(518)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는 예컨대, 메인 10과 같은 HEVC의 프로파일에 이미지 데이터를 부합시키도록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HEVC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후처리 표시자를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메인 10 프로파일은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표준을 위한 다수의 HEVC 또는 기타 프로파일 중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파일일 뿐이며, 그 중 일부는 위에서도 열거되었다. 이러한 인코딩은 손실(양자화) 및 무손실 코딩, 예컨대, 엔트로피 코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의 결과는 디코더로의 송신을 위해 비트스트림에 배치될 준비가 된 코딩되거나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이다.
프로세스(500)는 일례로서 멀티플렉서의 사용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에 배치함"(5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에 배치함"(522)을 포함할 수 있고, 멀티플렉서는 일례로서 비트스트림이 송신됨에 따라 비트스트림에 순서대로 배치될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VCL 데이터) 및 대응하는 (또는 연관된) 프로파일 데이터(예를 들어, 넌-VCL 헤더 데이터) 모두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다른 후처리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에 배치함"(523)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데이터는 적합성을 획득하기 위해 디코더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거나 제공될 수 있는 후처리의 타입을 나타내도록 제공되며, 후처리의 어떤 타입(타입들)이 규범적인 것으로 고려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비트스트림이, 화상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SPS) 또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VPS)와 같은 파라미터 세트에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적응형 전처리 기능 및/또는 후처리 기능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허용될 수 있지만 필수는 아니다. 디코더가 둘 이상의 타입의 후처리를 제공하는 경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규범적인 것으로 고려되는 후처리의 타입 또는 타입들은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의 상이한 조합은 코드에 대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은 HDR 변환을 지칭할 수 있고, 2는 RGB 변환을 지칭할 수 있으며, 3은 양자 모두 가능한 일례에 의해 규범적 후처리에 포함된다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비트스트림을 송신함"(524)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 데이터 및 헤더 데이터의 비트스트림 또는 스택들은 예를 들어 디코더로의 유선 또는 무선 송신을 위해 송신 유닛에 제공된다. 그러한 송신을 제공할 수 있는 유닛은 후술된다.
프로세스(500)는 "비디오 시퀀스가 더 있는가?"(526)를 포함할 수 있다. 아니오라면, 인코더 상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예라면, 프로세스는 동작(514)으로 루프하여 인코딩될 비디오 시퀀스를 더 획득하고 대응하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갖는 비트스트림에 위치시킨다.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스(550)는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다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디코더 측의 관점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프로세스(550)는 균등하게 넘버링된 동작들(552 내지 566)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세스(550)는 관련 있는 경우, 도 2 및 도 7에 관하여 논의된 동작들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될 수 있고, 예시적인 시스템(200 및 700)을 참조하여 아래에 논의될 수 있다.
프로세스(55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함"(55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비트스트림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550)는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가 예컨대 프레임의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데이터를 추출함"(55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넌-VCL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언급된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 코드 및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 및 SEI 메타데이터 및 파라미터 세트와 같은 다른 오버헤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로세스(550)는 "디코딩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추출된 프로파일을 판독함"(55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프로파일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판독하여 디코더가 복수의 프로파일에 대한 디코딩을 제공할 때 어떤 프로파일이 부합되는지 또는 디코더가 하나의 프로파일 또는 제한된 수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만 제공할 때 호환가능한 프로파일이 표시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 코드뿐만 아니라 프로파일 내의 다른 코드도 판독되어, 부합하는 디코딩된 비디오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정확한 알고리즘 및 코딩 툴을 활성화한다.
동작(556)의 부분으로 간주 되든 또는 별도의 동작으로 간주 되든, 프로세스(550)는 "후처리가 수행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원래 비후처리용으로 사용된 후처리 표시자를 판독함"(558)을 포함할 수 있고, 후처리 표시자는 일례로서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다. 따라서,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대하여 디코더에 의해 허용되는 값이 수정되었다. 이 코드는 통상적으로 디코딩을 나타내기 위해 0으로 설정되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다른 값은 디코더가 비디오 시퀀스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제는 규범적 후처리 능력과 함께 general_profile_idc(일례로서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에서도 발견됨)의 특정 프로파일 값을 가진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디코더가 정상 코어 디코딩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그 프로파일 값과 동일한 general_profile_idc 및 1과 같은 지정된 비제로 프로파일 공간 값과 동일한 general_profile_sp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비트스트림의 지정된 규범적 후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요구된다. 이 예의 경우, general_profile_space의 단일 비제로 값을 허용하도록 수정된 HEVC 메인 1O 프로파일 디코더에 비트스트림이 입력되지만, 다른 경우에는 디코더는 레거시 메인 10 프로파일 디코더에 부합하다.
따라서, 후처리 능력을 가진 디코더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지정된 후처리 기능을 적용하여 후처리 이후에 적합성 포인트로서 사용되는 출력 비디오를 제공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후처리 능력은 기존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레거시 디코더에 쉽게 추가될 수 있으며, 개념적으로는, 후처리 능력을 가진 디코더의 적합성 포인트는 규범적 후처리 기능의 출력이 되도록 변경된다. 디코더는 2가지 주요 방법으로 수정된다. 첫째, 수신된 비트스트림이 디코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변경되어, 디코더가 general_profile_space의 비제로 값을 갖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그 프로파일에 대한 디코더 코딩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섹션에서 general_profile_space에 대한 허용 가능한 값을 변경함으로써 간단히 수행된다. 둘째, 규범적 후처리는 디코딩 이후 및 디코딩된 비디오의 출력 전에 적용되어 디코딩 처리 자체의 제어와 관련하여 어떠한 변경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규범적 후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 디코더의 경우, 그러한 디코더는 수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HEVC 비트스트림이 2의 유효한 general_profile_idc 값을 갖더라도, 레거시 디코더와 같은 후처리 능력이 없는 레거시 HEVC 메인 10 프로파일 디코더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가 0일 때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할 것이지만, HEVC의 종래의 사양에 따라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general_profile_space) 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 경우, 규범적 후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 일례로서 메인 10과 같은 기존의 프로파일에 여전히 부합하는 임의의 레거시 디코더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프로세스(550)는 "후처리가 수행되는 것이면, 후처리 타입 코드를 판독함(5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형식에 의해, profile_tier_level 신태스의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이 규범적 후처리가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경우, 후처리의 타입은 디코더가 반드시 필수적이지는 않은 다수의 후처리 알고리즘을 제공할 때 다른 비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다른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의 배열에 따라 적용되는 다른 적응형 전처리 기능 및/또는 후처리 기능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비트스트림 (또는 별도의 비트스트림)에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특정 화상 또는 화상 내의 특정 슬라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자 및 파라미터는 NAL 유닛의 넌-VCL 섹션의 화상 파라미터 세트(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또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와 같은 파라미터 세트에 또는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의해 표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타입의 후처리가 수행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값이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도록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대해 복수의 값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도 위에 제공되었다.
전술한 다른 옵션들에 의해, 디코더 측에서 한 가지 타입의 후 처리는 제공되는 유일한 타입이므로 한 가지 타입의 후 처리만이 규범적 후처리일 수 있거나 디코더에 의해 제공된 모든 타입이 규범적인 것으로 고려되며, 또는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의 상태 또는 파라미터(또는 포맷)를 고려할 때, (규범적 후처리에 의해 획득되어야만 하는) 디코더 측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의 요구되는 파라미터로 인해 어떤 후처리가 규범적 후처리인지 명확하므로 그러한 판독은 필요하지 않다.
그렇지 않으면, 디코더가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1 (및/또는 다른 값들)의 값이 규범적 후처리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수정될 수 있을지라도, 수정된 디코더가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의해 표시되는 후처리의 타입을 갖지 못하면, 디코더가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디코딩되고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디코더는 디코딩을 모두 생략할 수 있다.
특정 타입의 후처리와 관련하여, 명시된 규범적 후처리기 기능은 전처리기 기능과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후처리된 비디오는 후처리되지 않은 비디오보다 훨씬 우수한 주관적인 비디오 품질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후처리 기능은 개정된 HEVC 표준에서 완전히 정의될 수 있어, 표준에서 정의된 참조 디코더와 동일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비트-정확(bit-exact) 비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데 후처리 능력을 포함하는 모두 부합하는 디코더가 필요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기능 및 후처리 기능은 특정 비디오 코딩 표준 및/또는 확장에 설명된, 후처리 기능이 전처리 기능의 역인 HDR(High Dynamic Range) 비디오 콘텐츠를 재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선형 전달 함수일 수 있다. 전처리 기능은 후처리 능력이 없는 레거시 디코더가 특정 비디오 코딩 표준 및/또는 확장에 설명된 것과 같은 SDR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 가능한 SDR(Standard Dynamic Range) 비디오를 출력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전처리에 대응하는 다른 타입의 후처리는 YUV 이미지 데이터에서 RGB 컬러 공간 데이터 값과 같은 다른 이미지 데이터 변환, 다른 채도 또는 휘도 값 변환, 컬러 온도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550)는 "설정에 따라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함"(56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는 이제 이미지 또는 프레임을 프로파일 코드 데이터와 부합하여 재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그 결과 이미지 또는 프레임이 디코딩되거나 압축해제된다.
프로세스(550)는 "후처리 표시 및 타입 코드에 따라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에 후처리를 수행함"(56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이 규범적 후처리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규범적 후처리가 디코딩된 이미지에 적용된다. 규범적 후처리는 단일 타입의 후처리 또는 다수의 상이한 후처리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규범적으로 간주되지 않는 후처리는 그럼에도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또는 파라미터 세트와 같은 다른 비 프로파일 데이터에 표시될 때 디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스케일링과 같은 프로파일에 관계없이 디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550)는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함"(56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는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거나,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될 준비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인코더, 디코더 및 비트스트림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예컨대, 능력 교환 및 협상, 및 세션 기술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에서 프로파일 표시를 이용하는 미들 장비(middle box), 비디오 서버 및 플레이어에도 적용된다. 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HEVC 표준 또는 다른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2개의 시스템(700)은 예시적인 후처리 표시 프로세스(600)에 사용되고, 동작으로 도시되며,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프로세스(600)는 균등하게 넘버링되고 이와 달리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액션(602 내지 6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로세스(600)는 관련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 관하여 논의된 동작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시스템(700)은 로직 유닛 또는 로직 회로 또는 모듈(750)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진 프로세싱 유닛(들)(7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로직 회로 또는 모듈(750)은 전처리 유닛(202)(도 2)과 유사한 전처리 유닛(702), 코어 인코더 유닛(704) 및 프로파일 핸들링 유닛(752)을 가진 비디오 인코더(730) 및/또는 코어 디코더 유닛(708), 프로파일 핸들링 유닛(754) 및 후처리 유닛(210)(도 2)과 유사한 후처리 유닛(710)을 가진 비디오 디코더(7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의 목적을 위해, 시스템(700) 중 하나는 인코더로서 동작하고 다른 시스템(700)은 디코더로서 동작하는 2개의 시스템(700)이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600)는 특정 모듈 또는 유닛과 관련된 하나의 특정 동작 또는 액션 세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 동작 또는 액션은 여기에 도시된 특정 모듈 또는 유닛과 상이한 모듈과 관련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인코더에 의해 사용될 프로파일을 결정함"(6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인코더가 어떤 능력을 갖거나 가질 것인지를 결정하고, 적합성 포인트에서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의 원하는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그 다음에 그 파라미터와 일치하거나 가장 가까운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것은 전술되어 있다.
프로세스(600)는 "규범적 후처리가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 값을 설정함"(60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HEVC에 대해,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고 0으로 설정되어 디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할 것이지만 후처리는 필요하지 않으며, 1로 설정되어 이미지 데이터의 디코딩 후에 규범적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미래의 표준 버전을 위해 예약된 다른 값은 새로운 표준이 제공되지만 디코더가 새로운 표준과 호환되지 않는 경우 또는 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이들 경우에 이미지 데이터의 디코딩은 적어도 디코더에 대해 선택적이다. 이와 달리, 복수의 규범적 후처리 타입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규범적이어야 하는 후처리 타입의 조합을 나타내는 데 더 많은 수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인코딩될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함"(606)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가 파라미터 세트를 갖게 되면, 인코더는 인코딩할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미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는 전처리될 수 있고 전처리의 일부는 규범적 후처리에 의해 역변환되어야하는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함"(608)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압축하여 그 후에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이 그 프로파일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부합하는 파라미터를 갖는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프로파일 데이터 및 다른 후처리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에 배치함"(6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일 수 있는 프로파일 코드 설정은 그 목적을 위해 지정된 이미지 데이터의 NAL 넌-VCL 헤더 영역을 가진 패킷 내에 배치되지만 압축 된 이미지 데이터는 비트스트림에 배치되는 패킷의 NAL VCL 영역에 배치된다. 일부 세부사항은 위에 제공되었다.
프로세스(600)는 "이미지 데이터, 프로파일 데이터 및 다른 후처리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으로 송신함"(6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미지 데이터는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또는 양자 모두를 통해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다.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의 규범적 부분으로서 수행되는 후처리의 타입은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 값에 의해 또는 이와 달리 SEI 메타데이터 또는 파라미터 세트와 같이 프로파일의 일부분으로 간주되지 않는 데이터의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 후자의 데이터는 또한 이미지 및 프로파일 데이터와 함께 동일한 비트스트림 또는 개별 비트스트림으로 송신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이제는 디코더 측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함"(612)을 포함할 수 있고, 디코더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패킷을 추출하며, 패킷으로부터 이미지 및 프로파일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후처리 타입 표시자를 수신하고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판독함"(6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데이터, 특히, profile_tier_level 신택스는 어떤 프로파일이 사용될지 뿐만 아니라 프로파일의 어떤 티어 및 레벨이 사용되고, 차례로 어떤 코딩 툴이 어느 설정에서 사용될지도 결정하도록 판독된다. 이는 일례로서 일반 콘텍스트 해석 값이 0도 1도 아닌 (또는 1 이외의 값인) 경우 또는 값이 1 (또는 다른 값)이지만 디코더가 수정되지 않은 레거시 디코더에서처럼 규범적 후처리가 수행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제로 값을 허용하도록 수정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비디오 시퀀스에 대해 디코딩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디코더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정된 디코더일 때, (1)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이 어떤 타입의 후처리가 규범적인지를 나타내고, (2) 디코더는 그러한 타입의 후처리를 하나만 제공하며, (3) 제한된 수의 후처리 타입 중 어느 것이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따라 규범적 후처리인지를 결정하기 쉬우며, 또는 (4) 디코더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후처리 타입 전부가 규범적 후처리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되므로, 디코더는 어떤 타입의 규범적 후처리가 수행되는 것인지 안다.
그렇지 않으면, 인코더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VPS, SPS 또는 PPS와 같은 파라미터 세트에서 또는 SEI 메타데이터 내의 이미지 및 프로파일 데이터와 함께 송신된 다른 비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규범적 후처리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프로파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함"(6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가 어떤 프로파일, 티어 및 레벨이 적용될 것인지를 포함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를 판독하면, 디코더는 적어도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한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파라미터를 가지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적절한 알고리즘 및 코딩 툴을 사용하여 디코딩한다.
프로세스(600)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에 따라, 규범적 후처리를 적용함"(61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가 능력을 갖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HEVC의 general_profile_space)가 규범적 후처리가 적용될 것임을 나타내며, 규범적 후처리의 타입이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되면, 디코더는 규범적 후처리를 수행하거나 이미지 데이터를 규범적 후처리를 수행하는 개별 유닛에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규범적 후처리의 일부로 간주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후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디코딩되고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는 선택된 프로파일에 부합한다.
그 다음에 프로세스(600)는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거나,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추가 송신될 "디코딩되고 후처리된 이미지를 제공함"(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300, 400, 500, 및/또는 600)의 구현예는 예시된 순서로 도시된 모든 동작의 수행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예들에서 본 명세서의 임의의 프로세스의 구현예는 도시된 동작들의 서브세트만의 수행 및/또는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의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제공하는 신호 함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들)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프로세서로 전달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명령어 또는 명령어 세트에 응답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명령어 또는 명령어 세트의 형태로 소프트웨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 물품은 일시적인 신호 그 자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예들 또는 다른 예들 중 임의의 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 비일시적 물품은 RAM 등과 같이 "일시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임시로 보유할 수 있는 신호 그 자체 이외의 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구현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로직, 펌웨어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 로직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명령어 세트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램가능 회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프로그램가능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펌웨어를 단일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시스템 온 칩(SoC) 등과 같은 보다 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로서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코딩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통한 구현을 위해 로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구현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로직 유닛"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펌웨어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 로직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로직 유닛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시스템 온 칩(SoC) 등과 같은 보다 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로서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 유닛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코딩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를 통한 구현을 위해 로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명령어 세트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고 또한 로직 유닛이 그 기능을 구현하는 데 소프트웨어의 일부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구현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라는 용어는 모듈 또는 로직 유닛을 지칭할 수 있는데, 이들 용어는 전술되었다. 따라서, "구성요소"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로직, 펌웨어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 로직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명령어 세트로서 구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고, 또한 로직 유닛이 그 기능을 구현하는 데 소프트웨어의 일부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후처리 표시를 가진 비디오 코딩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비디오 코딩 시스템(700)은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시스템(700)은 이미징 디바이스(701)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이미징 디바이스(701)에 접속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이미징 디바이스는 비디오 카메라, 스틸 사진 카메라, 또는 양자 모두일 수 있고, 디바이스(7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이 그러한 카메라를 보유한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700)는 카메라이고, 이미징 디바이스(701)는 카메라의 이미지 캡처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하드웨어 및 센서이다.
시스템(7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 및/또는 그래픽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7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5),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저장부(706)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703), 메모리 저장부(706)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5)는 예를 들어 버스, 와이어 또는 다른 액세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5)는 시스템(700)에 통합되거나 시스템(700)과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700)은 또한 이미지 데이터, 프로파일 데이터 및 다른 후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안테나(71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이미징 디바이스(701)가 이미지 데이터의 유일한 소스가 아닐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유닛(720)은 전처리 유닛(702) 및 코어 인코더(704)를 구비하는 비디오 인코더(730), 또는 코어 디코더(708) 및 후처리 유닛(710)을 갖는 디코더(732), 또는 대안적으로 동작될 인코더(730)와 디코더(732) 모두를 가진 로직 회로(75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700)은 시스템에 대한 인코더 측 또는 디코더 측에 있을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어느 하나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2개의 디바이스(700)가 필요하되 하나는 인코더로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디코더로서 작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유사한 명칭이 붙여진 구성요소와 각각 유사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730)는 프로파일 제어 데이터, 프로파일 적합성, 및 후처리와 관련된 특징을 포함하는 다른 넌-VCL 데이터를 관리하고,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후처리와 관련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비트스트림에 배치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형태로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갖는 프로파일 핸들링 유닛(들)(752)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코더(7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처리와 적어도 관련이 있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설정을 포함하는 추출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코딩 툴 및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파일 핸들링 유닛(들)(754)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파일 핸들링 유닛(752 및 754)은 단일 모듈 또는 유닛이 아닐 수도 있지만, 다수의 유닛 또는 모듈에 걸쳐 분산되되 프로파일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및 특히 규범적 후처리의 사용 및 제어와 관련이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모듈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처리 유닛(720)을 통해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모듈은 전용 하드웨어 부분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메모리 저장부(706)는 예를 들어, 처리 유닛(720)을 위한 공유 메모리일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프로파일 데이터 및 다른 후처리 데이터는 전술한 옵션 중 하나에 저장되거나 이러한 옵션의 조합에 저장되거나 다른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70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700)(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5)는 제외)은 그래픽 프로세서, 쿼드 코어 중앙 처리 유닛 및/또는 메모리 제어기 입출력(I/O) 모듈을 구비하는 단일 칩 또는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700)(다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5)는 제외)은 칩셋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703)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멀티코어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칩(들), 칩셋,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그래픽 카드, 통합 그래픽, 범용 그래픽 처리 유닛(들)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저장부(706)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메모리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메모리 저장부(706)는 또한 캐시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물 및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800)은 시스템(800)은 매체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러한 문맥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800)은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울트라 랩탑 컴퓨터, 태블릿, 터치 패드, 휴대용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팜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셀룰러 전화, 조합형 셀룰러 전화/PDA, 텔레비전,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또는 스마트 TV),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 메시징 디바이스,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통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시스템(800)은 디스플레이(82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플랫폼(802)을 포함한다. 플랫폼(802)은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 또는 콘텐츠 전달 디바이스(들)(840) 또는 다른 유사한 콘텐츠 소스들과 같은 콘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내비게이션 특징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제어기(850)는 예를 들어 플랫폼(802) 및/또는 디스플레이(820)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플랫폼(802)은 칩셋(805), 프로세서(814), 메모리(812), 저장부(811), 그래픽 서브시스템(815), 애플리케이션(816) 및/또는 무선장치(818)뿐만 아니라 안테나(들)(81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칩셋(805)은 프로세서(814), 메모리(812), 저장부(811), 그래픽 서브시스템(815), 애플리케이션(816) 및/또는 무선장치(818) 사이에 상호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칩셋(805)은 저장부(811)와의 상호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장부 어댑터(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4)는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또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x86 명령어 세트 호환가능 프로세서, 멀티 코어 또는 기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유닛(CPU)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810)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들), 듀얼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들) 등일 수 있다.
메모리(8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SRAM(Static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811)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내부 저장 디바이스, 부착된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배터리 백업 SDRAM(동기식 DRAM) 및/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저장부(811)는, 예를 들어, 복수의 하드 드라이브가 포함될 때 가치있는 디지털 매체에 대한 스토리지 성능 향상 보호를 증가시키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서브 시스템(815)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스틸 또는 비디오와 같은 이미지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서브시스템(815)은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 유닛(GPU) 또는 시각 처리 유닛(VPU)일 수 있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서브시스템(815) 및 디스플레이(820)를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포트, 무선 HDMI 및/또는 무선 HD 준수 기술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그래픽 서브시스템(815)은 프로세서(814) 또는 칩셋(805)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그래픽 서브시스템(815)은 칩셋(805)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독립형 카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 처리 기술은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 기능이 칩셋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별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로서,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 기능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기능은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장치(818)는 여러 적절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반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셀룰러 네트워크 및 위성 네트워크를 포함한다(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 무선장치(818)는 임의의 버전에서 하나 이상의 적용 가능한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820)는 임의의 텔레비전 타입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0)는 예를 들어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비디오 모니터, 텔레비전형 디바이스 및/또는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0)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820)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820)는 시각적 투사를 수용할 수 있는 투명한 표면일 수 있다. 이러한 투사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이미지 및/또는 객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투사는 모바일 증강 현실(MAR)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각적 오버레이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816)의 제어 하에서, 플랫폼(802)은 디스플레이(820)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82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는 임의의 국내, 국제 및/또는 독립 서비스에 의해 호스팅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플랫폼(802)에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는 플랫폼(802) 및/또는 디스플레이(820)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802) 및/또는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는 네트워크(860)에 대해 매체 정보를 통신(예컨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네트워크(860)에 연결될 수 있다. 콘텐츠 전달 디바이스(들)(840)도 플랫폼(802) 및/또는 디스플레이(8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는 케이블 텔레비전 박스, 개인용 컴퓨터, 네트워크, 텔레비전, 디지털 정보 및/또는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인터넷 활용 디바이스 또는 기기, 및 네트워크(860)를 통해 또는 직접 콘텐츠 제공자와 플랫폼(802) 및/또는 디스플레이(820) 간에 콘텐츠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다른 유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가 시스템(800) 내의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구성요소 및 콘텐츠 제공자에 대해 네트워크(860)를 통해 단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통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콘텐츠의 예는 예컨대, 비디오, 음악, 의료 및 게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매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는 매체 정보, 디지털 정보 및/또는 다른 콘텐츠를 포함하는 케이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과 같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의 예는 임의의 케이블 또는 위성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또는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예들은 본 개시물에 따른 구현예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플랫폼(802)은 하나 이상의 내비게이션 특징을 갖는 내비게이션 제어기(8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50)의 내비게이션 특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822)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내비게이션 제어기(850)는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적 (예를 들어, 연속 및 다차원)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게 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특히, 휴먼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일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및 텔레비전 및 모니터와 같은 다수의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물리적 제스처를 사용하여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에 대해 데이터를 제어하고 제공하게 한다.
제어기(850)의 내비게이션 특징의 이동은 포인터, 커서, 포커스 링,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다른 시각 표시자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20)) 상에 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816)의 제어 하에서, 내비게이션 제어기(850) 상에 위치한 내비게이션 특징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22) 상에 표시된 가상 내비게이션 특징에 매핑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제어기(850)는 별개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플랫폼(802) 및/또는 디스플레이(820)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기술된 요소 또는 문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드라이버(도시 생략)는, 예를 들어, 인에이블 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초기 부팅 이후에 버튼의 터치로 텔레비전과 같은 플랫폼(802)을 즉시 턴온 및 턴오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로직은 플랫폼(802)으로 하여금 플랫폼이 턴 "오프"되더라도 매체 어댑터 또는 다른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 또는 콘텐츠 전달 디바이스(들)(840)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칩셋(805)은 예를 들어 7.1 서라운드 사운드 오디오 및/또는 고화질 (7.1) 서라운드 사운드 오디오에 대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통합 그래픽 플랫폼용 그래픽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그래픽 드라이버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익스프레스 그래픽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시스템(800)에 도시된 임의의 구성요소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802) 및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는 통합될 수 있고 또는 플랫폼(802) 및 콘텐츠 전달 디바이스(들)(840)가 통합될 수 있으며 또는 플랫폼(802),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 및 콘텐츠 전달 디바이스(들)(840)가 통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플랫폼(802) 및 디스플레이(820)는 통합된 유닛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820) 및 콘텐츠 서비스 디바이스(들)(830)가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820) 및 콘텐츠 전달 디바이스(들)(840)가 통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물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시스템(800)은 무선 시스템, 유선 시스템,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시스템으로서 구현되는 경우, 시스템(8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송신기, 수신기, 송수신기, 증폭기, 필터, 제어 로직 등과 같은 무선 공유 매체를 통해 통신하기에 적합한 구성요소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공유 매체의 예는 RF 스펙트럼 등과 같은 무선 스펙트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시스템으로서 구현되는 경우, 시스템(800)은 입출력(I/O) 어댑터, I/O 어댑터를 대응하는 유선 통신 매체와 접속시키는 물리적 커넥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디스크 제어기, 비디오 제어기, 오디오 제어기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매체를 통해 통신하기에 적합한 구성요소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매체의 예는 와이어, 케이블, 금속 리드, 인쇄 회로 보드(PCB), 백플레인, 스위치 패브릭, 반도체 물질, 연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802)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논리적 채널 또는 물리적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정보는 매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정보는 사용자를 위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임의의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콘텐츠의 예는, 예를 들어, 음성 대화, 화상 회의, 스트리밍 비디오, 전자 메일("이메일") 메시지, 음성 메일 메시지, 영숫자 심볼,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대화로부터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음성 정보, 침묵 기간, 배경 노이즈, 컴포트 노이즈, 톤 등일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커맨드, 명령어 또는 제어어(control words)를 나타내는 임의의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시스템을 통해 매체 정보를 라우팅하거나 노드에게 사전결정된 방식으로 매체 정보를 처리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구현예는 도 8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요소 또는 문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700 또는 800)은 다양한 물리적 스타일 또는 폼 팩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시스템(700 또는 800)이 구현될 수 있는 소형 폼 팩터 디바이스(900)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900)는 무선 능력을 갖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와 같은 모바일 전원 또는 전력 공급장치 및 처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는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울트라 랩탑 컴퓨터, 태블릿, 터치 패드, 휴대용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팜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셀룰러 전화, 조합형 셀룰러 전화/PDA, 텔레비전,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또는 스마트 텔레비전),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메시징 디바이스,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는 또한 손목 컴퓨터, 손가락 컴퓨터, 반지 컴퓨터, 안경 컴퓨터, 벨트 클립 컴퓨터, 팔 밴드 컴퓨터, 신발 컴퓨터, 의류 컴퓨터 및 다른 착용형 컴퓨터와 같이 사람이 착용하도록 구성된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음성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가 예로써 스마트폰으로서 구현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다른 구현예는 다른 무선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현예는 이 문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02), 디스플레이(904), 입출력(I/O) 디바이스(906) 및 안테나(908)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900)는 또한 내비게이션 특징(9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4)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적합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임의의 적합한 스크린(910)을 포함할 수 있다. I/O 디바이스(906)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I/O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O 디바이스(906)의 예는 영숫자 키보드, 숫자 키패드, 터치 패드, 입력 키, 버튼, 스위치, 로커 스위치, 마이크로폰, 스피커, 음성 인식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또한 마이크로폰(도시 생략)에 의해 디바이스(9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음성 인식 디바이스(도시 생략)에 의해 디지털화될 수 있다. 구현예는 이 문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양자의 조합을 사용하여 다양한 구현 예가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요소의 예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회로 요소(예컨대, 트랜지스터, 레지스터, 캐패시터, 인덕터 등), 집적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로직 게이트, 레지스터, 반도체 디바이스, 칩, 마이크로칩, 칩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예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머신 프로그램,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루틴, 서브루틴, 함수, 방법, 절차,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명령어 세트, 컴퓨팅 코드, 컴퓨터 코드, 코드 세그먼트, 컴퓨터 코드 세그먼트, 워드, 값, 심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가 하드웨어 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원하는 컴퓨팅 레이트, 전력 레벨, 열 허용오차, 처리 사이클 예산, 입력 데이터 레이트, 출력 데이터 레이트, 메모리 리소스, 데이터 버스 속도 및 기타 설계 또는 성능 제약과 같은 임의의 수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하나 이상의 양태는, 머신에 의해 판독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을 제조하게 하는 프로세서 내의 다양한 로직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전형적인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P 코어"로 알려진 이러한 표현은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다양한 고객이나 제조 시설에 공급되어 실제로 로직 또는 프로세서를 만드는 제조 머신에 로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특징들이 다양한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물이 관련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뿐만 아니라 다른 구현예의 다양한 수정은 본 개시물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 예는 추가 구현예와 관련된다.
일례로서,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들 중 하나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임 - 와, 이미지 데이터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디코더로 송신될 비트스트림에 제공하여 이미지 데이터는 디코딩되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에 따라 상기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다른 예로서, 방법은 또한,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은 선택적으로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 2 값, 및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이며, 방법이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 디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지만,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디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를 나타내는 복수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를 SDR에서 HDR로 변환하는 것과, YUV 이미지 데이터를 RGB 컬러 공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이미지 데이터의 컬러 온도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은,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표시자들을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 -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고,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와,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후처리되고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해, 방법은,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에 의해 표시되는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규범적 후처리를 수립하고, 방법은 프로파일 코드 설정에 의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처리의 타입을 나타내는 비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의 설정이 이미지 데이터가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지만 디코더가 프로파일 코드 설정에 의해 표시된 후처리를 수행할 능력을 갖지 않는 경우 디코더에서 비디오 시퀀스의 디코딩을 스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되는 인코더를 포함하되, 인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 -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신택스 요소들 중 하나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하며, 이미지 데이터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디코더로 송신될 비트스트림에 제공하여 이미지 데이터는 디코딩되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또한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선택적으로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값, 및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이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복수의 후처리 값을 가지며, 각각의 후처리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에 의해 표시되는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규범적 후처리를 수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안에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명령어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들을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획득 -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고,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하고,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하나의 프로파일 신택스 요소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후처리되고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공하게 한다.
매체는 또한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은 선택적으로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 2 값, 및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이고, 실행된 명령어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 디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지만,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디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작동하게 하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를 나타내는 복수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를 SDR에서 HDR로 변환하는 것과, YUV 이미지 데이터를 RGB 컬러 공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이미지 데이터의 컬러 온도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위 예들 중 어느 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장치는 위 예들 중 어느 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위 예들은 특징들의 특정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위 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현예에서, 위 예들은 이러한 특징들의 서브세트만을 수행하고, 그러한 특징들을 다른 순서로 수행하며, 그러한 특징들의 상이한 조합을 수행하고/하거나 명시적으로 나열된 특징 이외의 추가 특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들은 예시적인 장치, 예시적인 시스템 및/또는 예시적인 물품에 관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한다.

Claims (25)

  1. 후처리 표시(post-processing indication)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으로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conformance parameters)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syntax)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프로파일 표시자들 중 하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general context interpretation code)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은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 2 값,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 중 하나이며,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디코더로 송신될 비트스트림에 제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하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되도록 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이용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인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 디코더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지만, 상기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디코더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를 나타내는 복수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를 SDR(standard dynamic range)에서 HDR(high dynamic range)로 변환하는 것과,
    YUV 이미지 데이터를 RGB 컬러 공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컬러 온도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 디코더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지만, 상기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디코더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를 나타내는 복수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며,
    상기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를 SDR(standard dynamic range)에서 HDR(high dynamic range)로 변환하는 것과,
    YUV 이미지 데이터를 RGB 컬러 공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컬러 온도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방법.
  8.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방법으로서,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표시자들을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고,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은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 2 값,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 중 하나이며,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와,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의 설정에 따라 후처리를 위해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상기 후처리된 데이터가 사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인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후처리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profile conformance point)를 형성하기 위해 규범적(normative) 후처리를 수립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코드 설정에 의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처리의 타입을 나타내는 비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의 설정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지만 디코더가 프로파일 코드 설정에 의해 표시된 상기 후처리를 수행할 능력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디코더에서 비디오 시퀀스의 디코딩을 스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후처리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규범적 후처리를 수립하고,
    상기 방법은,
    프로파일 코드 설정에 의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후처리의 타입을 나타내는 비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의 설정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지만 디코더가 프로파일 코드 설정에 의해 표시된 상기 후처리를 수행할 능력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디코더에서 비디오 시퀀스의 디코딩을 스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되는 인코더를 포함하되,
    상기 인코더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profile_tier_level 신택스를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에 부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 - 상기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프로파일 표시자들 중 하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은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 2 값,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 중 하나이며,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디코더로 송신될 비트스트림에 제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하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되도록 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인
    시스템.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복수의 후처리 값을 가지며, 각각의 후처리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후처리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규범적 후처리를 수립하는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복수의 후처리 값을 가지며, 각각의 후처리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며,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후처리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후처리 이후에 프로파일 적합성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규범적 후처리를 수립하는
    시스템.
  21.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디코딩된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의 적합성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표시자들을 가진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의 profile_tier_level 신택스 설정을 획득 - 상기 profile_tier_level 신택스의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될 것임을 나타내고,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이며,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은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디코딩을 나타내는 제 1 값, 디코딩 이후에 후처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제 2 값,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이 스킵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값 중 하나이고,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는 후처리 이외의 이유로 원래 수립된 기존의 프로파일 표시자임 - 하고,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 표시자의 설정에 따라 후처리를 위해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상기 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코딩 프로파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프로파일이고,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general_profile_space 코드이며,
    상기 실행된 명령어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 디코더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지만, 상기 프로파일 코드 설정의 값의 사용에 의해 예상되는 후처리의 타입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디코더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작동하게 하며,
    상기 일반 콘텍스트 해석 코드는 후처리를 나타내는 복수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값은 상이한 후처리 타입 또는 후처리 타입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상기 후처리는,
    이미지 데이터를 SDR에서 HDR로 변환하는 것과,
    YUV 이미지 데이터를 RGB 컬러 공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컬러 온도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1 항 내지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87007854A 2015-10-20 2016-09-20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KR102606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4069P 2015-10-20 2015-10-20
US62/244,069 2015-10-20
US15/099,506 2016-04-14
US15/099,506 US10798422B2 (en) 2015-10-20 2016-04-14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with post-processing indication
PCT/US2016/052628 WO2017069892A1 (en) 2015-10-20 2016-09-20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with post-processing ind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440A KR20180059440A (ko) 2018-06-04
KR102606583B1 true KR102606583B1 (ko) 2023-11-24

Family

ID=5852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854A KR102606583B1 (ko) 2015-10-20 2016-09-20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98422B2 (ko)
EP (1) EP3366041A4 (ko)
KR (1) KR102606583B1 (ko)
CN (1) CN108141613B (ko)
WO (1) WO201706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2285B (zh) * 2014-10-21 202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Roi视频实现方法及装置
EP3244616A1 (en) * 2016-05-13 2017-11-15 Thomson Licensing A method for encoding an input video comprising a luma component and two chroma components, the method comprising reshaping of said input video based on reshaping functions
US10015504B2 (en) * 2016-07-27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ing image segmentation data using video coding
US10083754B1 (en) * 2017-06-05 2018-09-2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ynamic selection of soft decoding information
CN107590780B (zh) * 2017-08-09 2023-01-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474408B2 (en) * 2017-09-07 2019-11-12 Apple Inc. Image data processing pipeline bypass systems and methods
US10965866B2 (en) * 2018-03-20 2021-03-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generation system, image display system, image generation method, and moving vehicle
US10951888B2 (en) * 2018-06-04 2021-03-16 Contrast, Inc. Compressed high dynamic range video
BR112020026618A2 (pt) * 2018-06-26 2021-03-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jetos de sintaxe de alto nível para codificação de nuvem de pontos
MX2021002934A (es) * 2018-09-13 2021-07-16 Fraunhofer Ges Forschung Fusion de flujos de bits.
US11172232B2 (en) * 2019-09-06 2021-11-09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level information in video coding
CN110674072B (zh) * 2019-09-30 2020-11-03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vpx总线的存储板及热插拔方法
KR20220113395A (ko) 2019-12-26 2022-08-12 바이트댄스 아이엔씨 비디오 코딩에서의 프로필 티어 레벨 파라미터 세트
US11418814B2 (en) * 2020-05-22 2022-08-16 Tencent America LLC Constraint on syntax elements for still picture profiles
US11902552B2 (en) 2020-09-17 2024-02-13 Lemon Inc. Decoder configuration record in coded video
CN118044197A (zh) * 2021-09-30 2024-05-14 字节跳动有限公司 用于视频处理的方法、装置和介质
CN114693567B (zh) * 2022-05-30 2022-09-20 深圳思谋信息科技有限公司 图像颜色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24020465A1 (en) * 2022-07-21 2024-01-25 Kbr Wyl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an electronic med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4304A1 (en) * 2005-02-07 2013-03-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in a Microprocessor for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Devices
WO2015053120A1 (ja) * 2013-10-08 2015-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7203D0 (en) 1998-04-03 1998-06-03 Nd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signal
CN101371297A (zh) * 2006-01-18 2009-02-18 Lg电子株式会社 用于编码和解码信号的设备和方法
US8237865B2 (en) 2006-12-18 2012-08-07 Emanuele Salvucci Multi-compatible low and high dynamic range and high bit-depth texture and video encoding system
CN105721881B (zh) 2007-01-11 2019-07-09 汤姆森许可贸易公司 对mpeg-4avc高层编码中简档使用语法的方法和装置
CN101626512A (zh) * 2009-08-11 2010-01-13 北京交通大学 一种基于相关性优化准则的多描述视频编码方法及装置
KR101791919B1 (ko) * 2010-01-22 2017-11-02 톰슨 라이센싱 예시-기반의 초 해상도를 이용하여 비디오 압축을 위한 데이터 프루닝
US20110299604A1 (en) * 2010-06-04 2011-12-0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video sharpening
US20120075436A1 (en) * 2010-09-24 2012-03-29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stereo video data
CN103780914B (zh) 2012-02-27 2017-04-12 英特尔公司 环路滤波加速电路及环路滤波方法
US9357197B2 (en) 2012-05-24 2016-05-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layer backwards-compatible video delivery for enhanced dynamic range and enhanced resolution formats
US9451256B2 (en) 2012-07-20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Reusing parameter sets for video coding
US9161039B2 (en) 2012-09-24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Bitstream properties in video coding
US20140098851A1 (en) * 2012-10-04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video properties
US8866975B1 (en) 2013-05-02 2014-10-2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Backwards-compatible delivery of digital cinema content with higher dynamic range and related preprocessing and coding methods
EP2819414A3 (en) 2013-06-28 2015-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736507B2 (en) * 2013-11-13 2017-08-1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DR broadcast service
US10271054B2 (en) 2014-02-25 2019-04-23 Apple, Inc. Display-side adaptive video processing
US20150264404A1 (en) * 2014-03-17 2015-09-1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9402083B2 (en) 2014-04-24 2016-07-26 Vidyo, Inc. Signaling conformance points using profile space
US10200690B2 (en) * 2015-09-22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Video decoder conformance for high dynamic range (HDR) video coding using a core video stand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4304A1 (en) * 2005-02-07 2013-03-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in a Microprocessor for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Devices
WO2015053120A1 (ja) * 2013-10-08 2015-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1661A1 (en) 2017-04-20
KR20180059440A (ko) 2018-06-04
EP3366041A4 (en) 2019-06-12
WO2017069892A1 (en) 2017-04-27
CN108141613B (zh) 2022-05-17
CN108141613A (zh) 2018-06-08
EP3366041A1 (en) 2018-08-29
US10798422B2 (en)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583B1 (ko)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US10462467B2 (en) Refining filter for inter layer prediction of scalable video coding
CN109076246B (zh) 使用图像数据校正掩码的视频编码方法和系统
US20150181216A1 (en) Inter-layer pixel sample prediction
US10764592B2 (en) Inter-layer residual prediction
US9749636B2 (en) Dynamic on screen display using a compressed video stream
US20160088298A1 (en) Video coding rate control including target bitrate and quality control
WO2018090367A1 (en)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with reduced supporting data sideband buffer usage
JP2015521820A (ja) 関心領域ベースの3dビデオコーディング
US10536710B2 (en) Cross-layer cross-channel residual prediction
US20140169467A1 (en) Video coding including shared motion estimation between multple independent coding streams
JP2016506165A (ja) インターレイヤの動きデータ継承
US20200021813A1 (en) Method and system of multiple channel video coding with cross-channel referencing
US9860533B2 (en) Cross-layer cross-channel sample prediction
KR101777487B1 (ko) 코딩 단위 비트 수 제한
US20130170543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treaming out of data for video transcoding and other applications
KR20170032605A (ko) 영상 칼라성분 샘플링 위치 정보 전송을 통한 비디오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15146599A (ja) レイヤ間画素サンプル予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