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557B1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557B1
KR102605557B1 KR1020230114426A KR20230114426A KR102605557B1 KR 102605557 B1 KR102605557 B1 KR 102605557B1 KR 1020230114426 A KR1020230114426 A KR 1020230114426A KR 20230114426 A KR20230114426 A KR 20230114426A KR 102605557 B1 KR102605557 B1 KR 10260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carbon dioxide
equipment
monitoring system
integrated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균
김태욱
Original Assignee
두성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성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성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62C99/0027Carbon dioxide extinguish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Abstract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더넷(Ethernet) TCP/IP를 통해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운용을 제어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웹서버를 구비하는 운전제어실; 상기 운전제어실의 웹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며, 입력된 제어신호를 웹서버를 통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운전제어실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더넷에 다수 개소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운전제어실에 전송하며, 일측 전면부에 장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터치 입력된 제어신호를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PLC 프로그램을 적용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신호 발생으로 인해 설비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비 오동작으로 인해 화재로 인식하여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고 발전설비가 정지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설비 운영중 릴레이 시퀀스로 인하여 언제든 수정 가능하고,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으로 설비 및 판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으로 설비 및 판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 및 시설물에는 자동 화재탐지 설비를 설치하도록 법제화 되어 있다.
국내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도시 지역과 같은 인구밀집 지역에서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전기적인 요인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의 화재발생 요인 중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전기적인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전기적인 요인에 의한 화재발생 형태는 주로 단락, 지락, 누전, 과부하 과전류, 접촉불량, 트래킹, 반단선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요인들로부터 전기설비 및 인명의 보호를 위해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 과전류 계전기, 누전 경보기 등의 보호 기기들이 설치운용 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적인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경우 자동 화재탐지 설비는 이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화재로 진전된 이후에 감지기에서 열, 연기, 불꽃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화재발생을 통보함으로써 화재 초기단계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항상 발생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드화된 제어시스템 설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설비의 노후화 및 이산화탄소 제어시스템 업체의 사업포기로 유지보수가 불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산화탄소 제어시스템은 하나의 보드로 개발되어 수정 및 개선이 불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산화탄소 제어시스템의 경우 5년 경과 후 노후화 될 경우,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재 발생으로 인지하여 발전 설비를 셧다운하는 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높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산화탄소 제어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통합 불가로 인해 메인 운전실에서 모니터링 불가하며, 현장 측에서만 확인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3417호 (등록일자: 2015년10월2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 신호 발생으로 인해 설비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비 오동작으로 인해 화재로 인식하여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고 발전설비가 정지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설비 운영중 릴레이 시퀀스로 인하여 언제든 수정 가능하고,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으로 설비 및 판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더넷(Ethernet) TCP/IP를 통해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운용을 제어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웹서버를 구비하는 운전제어실; 상기 운전제어실의 웹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며, 입력된 제어신호를 웹서버를 통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운전제어실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더넷에 다수 개소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운전제어실에 전송하며, 일측 전면부에 장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터치 입력된 제어신호를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PLC 프로그램을 적용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인터치 웹 클라이언트(INTOUCH Web Client) 적용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외부 인터넷 연결 PC에서 감시 가능한 구조이고, 통합 HMI(human machine interface) 구성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맞춰 구성하며, 웹 알람(Web Alarm) 화면 구축으로 실시간 감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은, 아날로그 인풋 카드 사용으로 단선 여부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아날로그 인풋 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단선 여부를 검출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인풋카드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인풋카드부는,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체크부;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인풋 보드로 연결된 분기케이블; 및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단선 여부 체크를 위한 종단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인풋 보드에 연결된 종단저항을 사용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제1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데이터 서버와, 제1 라우터와, 상기 제1 데이터 서버와 상기 제1 라우터와 이더넷(Ethernet)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는 제1 HMI(Human Machine Interface) 단말기를 구비하는 제1 소화설비 모니터링부;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제2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2 데이터 서버와, 상기 제2 데이터 서버와 이더넷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는 제2 HMI 단말기를 구비하는 제2 소화설비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라우터와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통합 라우터와, 상기 통합 라우터와 이더넷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1 HMI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HMI 단말기와 이더넷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통합 HMI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HMI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1 원격메시지를 수신하여 검증하고, 검증결과에 기초한 제1 제어메시지를 상기 제1 데이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1 제어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HMI 단말기는 상기 제2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2 원격메시지를 수신하여 검증하고, 검증결과에 기초한 제2 제어메시지를 상기 제2 데이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2 제어메시지에 기초하여 제2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HMI 단말기가 상기 제1 원격메시지를 검증하는 것은, 상기 제1 원격메시지의 정상상태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HMI 단말기는 제1 모바일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 서버가 상기 제2 원격메시지를 검증하는 것은, 상기 제2 원격메시지의 정상상태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HMI 단말기는 제2 모바일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경보는 상기 제1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되었을 때 제1 설정시간동안 발생하는 일반경보와, 상기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발생하는 확대경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바일 경보는 상기 제2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되었을 때 제1 설정시간동안 발생하는 일반경보와, 상기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발생하는 확대경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운전제어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이상 신호 발생으로 인해 설비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비 오동작으로 인해 화재로 인식하여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고 발전설비가 정지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설비 운영중 릴레이 시퀀스로 인하여 언제든 수정 가능하고,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으로 설비 및 판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통일된 시스템 개발로 시스템 증설의 유연성을 가지고, 다수의 사이트를 개발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수 개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정보를 중앙에서 통합관리 할 수 있고, 항시 시스템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 효율 증대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상위 HMI 시스템 교체로 설비 신뢰성 향상 및 신규 설비 추가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각 개소의 모든 데이터 및 감시 화면 통합으로 보다 편리한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향후 전체 통합이 매우 쉽고 구축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드화된 제어시스템 설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웹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화설비 제어 시스템 및 터치 스크린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회로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종단저항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인풋 보드에 검출 데이터를 송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이산화탄소 설비 ON 작동 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회로 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이산화탄소 설비 OFF 작동 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회로 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 HMI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HMI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1 HMI 단말기의 제1 원격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모바일 단말기의 모니터링과 관련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운전제어실(110), 모바일 디바이스(M) 및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을 구비함으로써, 이상 신호 발생으로 인해 설비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비 오동작으로 인해 화재로 인식하여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고 발전설비가 정지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설비 운영중 릴레이 시퀀스로 인하여 언제든 수정 가능하고,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으로 설비 및 판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웹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소화설비 제어 시스템 및 터치 스크린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제어실(110)은 이더넷(Ethernet) TCP/IP를 통해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의 운용을 제어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과 모바일 디바이스(M)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웹서버(111)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웹서버(111)는 인터치 웹 클라이언트(INTOUCH Web Client) 적용으로 모바일 디바이스(M) 및 외부 인터넷 연결 PC에서 감시 가능한 구조이고, 통합 HMI(human machine interface) 구성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맞춰 구성하며, 웹 알람(Web Alarm) 화면 구축으로 실시간 감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M)는 운전제어실(110)의 웹서버(111)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며, 입력된 제어신호를 웹서버(111)를 통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은, 운전제어실(11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더넷에 다수 개소 연결된다. 이때,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운전제어실(110)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의 일측 전면부에 장착된 터치 스크린(121)을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은 터치 입력된 제어신호를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PLC 프로그램을 적용한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회로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종단저항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인풋 보드에 검출 데이터를 송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이산화탄소 설비 ON 작동 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회로 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이산화탄소 설비 OFF 작동 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의 회로 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 HMI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HMI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제1 HMI 단말기의 제1 원격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니터링과 관련한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인풋카드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인풋카드부는 아날로그 인풋 카드 사용으로 단선 여부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아날로그 인풋 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단선 여부를 검출하여 터치 스크린(121)을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인풋카드부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단선체크부(123), 분기케이블(124) 및 종단저항(12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단선체크부(123)는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 수 있다. 분기케이블(124)은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인풋 보드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종단저항(125)은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단선 여부 체크를 위한 구성이다. 이때, 아날로그 인풋 보드에 연결된 종단저항(125)을 사용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 화재감지로 ON될 시 24V는 DI로 입력되어 DO로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게 되며, 설비 화재감지로 ON 될 시 8.615V AI(아날로그 인풋)로 입력되어 수치화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설비 OFF 시 DI로 4V 정도에 DC가 흘러들어 오지만, PLC DI 접점 동작 V는 19V 이상이기에 OFF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설비 OFF 시 1.7V 정도의 수치가 AI(아날로그 인풋)로 입력되어 수치화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오동작 회로 방지 및 단선 시 빠른 대처를 위한 릴레이시퀀스 회로를 사용하여, 설비 운용 중 릴레이 시퀀스로 인하여 언제든 수정 가능한다. 또한,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판넬을 열지 않아도 설비 및 판넬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소화설비 모니터링부(131), 제2 소화설비 모니터링부(132) 및 통합 모니터링부(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의 제1 소화설비 모니터링부(131)는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a)에 연결되어 제1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데이터 서버(131a)와, 제1 라우터(131b)와, 상기 제1 데이터 서버(131a)와 상기 제1 라우터(131b)와 이더넷(Ethernet)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a)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는 제1 HMI(Human Machine Interface) 단말기(131c)를 구비한다.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의 제2 소화설비 모니터링부(132)는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b)에 연결되어 제2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2 데이터 서버와, 상기 제2 데이터 서버와 이더넷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b)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는 제2 HMI 단말기를 구비한다.
또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의 통합 모니터링부(133)는 제1 라우터(131b)와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통합 라우터(133b)와, 상기 통합 라우터(133b)와 이더넷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1 HMI 단말기(131c)로부터 상기 제1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a)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HMI 단말기와 이더넷 TCP/IP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소화설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b)을 모니터링하는 통합 HMI 단말기(133c)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HMI 단말기(131c)는 제1 데이터 서버(131a)로부터 제1 원격메시지를 수신하여 검증하고, 검증결과에 기초한 제1 제어메시지를 제1 데이터 서버(131a)로 송신하고, 제1 데이터 서버(131a)는 상기 제1 제어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HMI 단말기(132c)는 제2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2 원격메시지를 수신하여 검증하고, 검증결과에 기초한 제2 제어메시지를 제2 데이터 서버로 송신하고, 제2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2 제어메시지에 기초하여 제2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HMI 단말기(131c)가 상기 제1 원격메시지를 검증하는 것은, 제1 원격메시지의 정상상태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HMI 단말기(131c)는 제1 모바일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서버가 제2 원격메시지를 검증하는 것은, 제2 원격메시지의 정상상태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된 경우 제2 HMI 단말기(132c)는 제2 모바일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바일 경보는 제1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되었을 때 제1 설정시간동안 발생하는 일반경보와, 상기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발생하는 확대경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모바일 경보는 제2 원격메시지에 포함된 값에 비 정상값이 포함되었을 때 제1 설정시간동안 발생하는 일반경보와,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발생하는 확대경보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원발명에 따르면, 통일된 시스템 개발로 시스템 증설의 유연성을 가지고, 다수의 사이트를 개발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수 개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정보를 중앙에서 통합관리 할 수 있고, 항시 시스템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 효율 증대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상위 HMI 시스템 교체로 설비 신뢰성 향상 및 신규 설비 추가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각 개소의 모든 데이터 및 감시 화면 통합으로 보다 편리한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향후 전체 통합이 매우 쉽고 구축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10: 운전제어실
111: 웹서버
120: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120a: 제1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120b: 제2 소화설비 제어시스템
121: 터치 스크린
122: 아날로그 인풋카드부
123: 단선체크부
124: 분기케이블
125: 종단저항
130: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31: 제1 소화설비 모니터링부
131a: 제1 데이터 서버
131b: 제1 라우터
131c: 제1 HMI 단말기
132: 제2 소화설비 모니터링부
132a: 제2 데이터 서버
132c: 제2 HMI 단말기
133: 통합 모니터링부
133b: 통합 라우터
133c: 통합 HMI 단말기
M: 모바일 디바이스
10: 광 케이블
20: 광 케이블

Claims (1)

  1. 이더넷(Ethernet) TCP/IP를 통해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의 운용을 제어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과 모바일 디바이스(M)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웹서버(111)를 구비하는 운전제어실(110);
    상기 운전제어실(110)의 웹서버(111)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출력하며, 입력된 제어신호를 웹서버(111)를 통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에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M); 및
    상기 운전제어실(11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더넷에 다수 개소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운전제어실(110)에 전송하며, 일측 전면부에 장착된 터치 스크린(121)을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터치 입력된 제어신호를 통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PLC 프로그램을 적용한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
    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설비 제어시스템(120)은,
    아날로그 인풋 카드 사용으로 단선 여부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아날로그 인풋 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단선 여부를 검출하여 터치 스크린(121)을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인풋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인풋카드부는,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체크부(123);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인풋 보드로 연결된 분기케이블(124); 및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단선 여부 체크를 위한 종단저항(125);
    을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인풋 보드에 연결된 종단저항(125)을 사용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30)으로 송출하고,
    설비 화재감지로 ON 될 시 24V의 전압이 DI로 입력되어 DO로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고, 8.615V AI(아날로그 인풋)로 입력되어 수치화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설비 OFF 시 DI로 4V의 직류전류가 입력되나, PLC DI 접점 동작 전압은 19V 이상의 전압이기에 OFF상태를 유지하며, 1.7V의 전압 수치가 AI(아날로그 인풋)로 입력되어 수치화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오동작 회로 방지 및 단선 시 빠른 대처를 위한 릴레이시퀀스 회로를 사용하여, 설비 운용 중 릴레이 시퀀스를 통해 수정 가능하고,
    판넬을 열지 않고 전면부 터치 모니터링을 통해 설비 및 판넬 상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30114426A 2023-04-21 2023-08-3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0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426A KR102605557B1 (ko) 2023-04-21 2023-08-3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783A KR102578208B1 (ko) 2023-04-21 2023-04-21 Co2 소화설비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30114426A KR102605557B1 (ko) 2023-04-21 2023-08-3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783A Division KR102578208B1 (ko) 2023-04-21 2023-04-21 Co2 소화설비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557B1 true KR102605557B1 (ko) 2023-11-23

Family

ID=88020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783A KR102578208B1 (ko) 2023-04-21 2023-04-21 Co2 소화설비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30114426A KR102605557B1 (ko) 2023-04-21 2023-08-3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783A KR102578208B1 (ko) 2023-04-21 2023-04-21 Co2 소화설비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82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34B1 (ko) * 2008-12-19 2009-04-09 엔텍월드(주) 공기예열기의 화재 감지 시스템(fds)및 센서 드라이브시스템(sds)의 통합운영장치
KR101563417B1 (ko) 2014-02-17 2015-10-2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검출 기능을 갖는 실시간 화재 보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2377A (ko) * 2016-06-29 2018-01-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웹서버를 이용한 소방엔진펌프 모니터링과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34B1 (ko) * 2008-12-19 2009-04-09 엔텍월드(주) 공기예열기의 화재 감지 시스템(fds)및 센서 드라이브시스템(sds)의 통합운영장치
KR101563417B1 (ko) 2014-02-17 2015-10-2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검출 기능을 갖는 실시간 화재 보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2377A (ko) * 2016-06-29 2018-01-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웹서버를 이용한 소방엔진펌프 모니터링과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208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4771B (zh) 用于断路器电气操作机构的二次回路全景状态监测系统
KR101721235B1 (ko)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2382151B1 (ko)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CA266503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e protection of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140035016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전력설비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05557B1 (ko)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2765B1 (ko)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0959896B1 (ko) 접지선 보안 장치
CN106059080A (zh) 基于电力设备运行智能综合在线监控系统
KR101449452B1 (ko) 용역사업자 망분리서버 네트워크(배전반, 비상발전기, 네트웍장비, cctv, 방송장비, 자동제어) 콘트롤박스 및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4317A (ko) 위험관리 통합 관제시스템
KR102235061B1 (ko) 원전 화재 시 안전정지 기기에 대한 운전원 조치 관리 시스템
KR20040087995A (ko) 네트워크 fire 방재감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N212752303U (zh) 一种基于物联网以及有线组网的智慧用电监测预警系统
CN114578765A (zh) 基于ai多传感技术的安全生产主动预警系统
KR101758100B1 (ko)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원클릭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CN110493066A (zh) 变电站后台监控通信传输故障查找方法
CN111951509A (zh) 一种老年公寓电气火灾实时监控报警系统
CN112071012A (zh) 火灾监测方法、电视机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564321B1 (ko) 분전반 제어를 통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