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028B1 -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 Google Patents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028B1
KR102605028B1 KR1020220162427A KR20220162427A KR102605028B1 KR 102605028 B1 KR102605028 B1 KR 102605028B1 KR 1020220162427 A KR1020220162427 A KR 1020220162427A KR 20220162427 A KR20220162427 A KR 20220162427A KR 102605028 B1 KR102605028 B1 KR 10260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member
insulation performance
storage box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인환
홍성원
박태현
이동규
정철우
노윤호
윤창석
신예원
권순호
조영웅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22016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1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to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열부재가 직접 바디부재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단열부재인 바디부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memb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frame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and a cover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memb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By configuring the insulating member to form a body member directly, the cold insulating box does not include a separate body outer shell and body inner sheath, so the cold insulating box can be lighter, and the body is an insulating membe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ody outer shell and body inner shea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old box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member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Cooling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은 향상된 보냉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storage box that is lightweight and has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일반적으로 보냉상자는 저온의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스박스와 일회용 EPS 보냉상자 등을 말하며,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에는 종래 보냉상자의 일형태가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cold boxes are used to keep low-temperature items fresh, and include ice boxes and disposable EPS cold boxes. Korean Patent No. 10-2254344 (2021.05.14) discloses a type of conventional cold box. there is.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에 개시된 보냉상자의 경우, 외면을 이루는 바디 외피와, 내면을 이루는 바디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부재와, 상면을 이루는 커버 외피와, 하면을 이루는 커버 내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바디 외피와 바디 내피 사이 및 커버 외피와 커버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각각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cold storage box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254344 (2021.05.14.), it consists of a body shell forming the outer surface and a body inner skin forming the inner surface, a body memb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body member forming the upper surface. A structure consisting of a cover shell and a cover inner shell forming the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cover member provided to cover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with insulation materials built in between the body shell and the body inner shell and between the cover shell and the cover inner shell,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위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에 개시된 보냉상자의 경우, 바디 외피와 바디 내피에 단열재가 내장되고, 또한 커버 외피와 커버 내피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나, 바디부재가 바디 외피 및 바디 내피를 포함하고, 커버부재가 커버 외피 및 커버 내피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냉상자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또한 보냉상자의 두께가 두꺼워져 상대적으로 얇은 단열재를 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ld storage box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254344 (2021.05.14.), the cold storage box has a structure in which insulation is built into the body shell and body inner shell, and an insulation material is built between the cover shell and the cover inner shell. Although the box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the body member includes a body outer shell and a body inner shell, and the cover member includes a cover outer shell and a cover inner shell, so the weight of the cold storage box becomes heavier and the thickness of the cold storage box becomes thick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old storage box may be reduced because a relatively thin insulation material must be built in.

한국등록특허 제10-2254344호 (2021.05.14. 등록)Korean Patent No. 10-2254344 (registered on May 14, 2021)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경량화 되면서도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her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member formed in a form with an open top whil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frame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and a cover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member. A cold storage box is provided that is lightweight and has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대응하는 형상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rame member includes a first frame tha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ce of an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Provided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omprising a second fram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또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providing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또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hav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onnect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Provide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interconnected in an insertion form.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구비하는 제1프레임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상기 제2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구비하는 제2프레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rib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rib of the second frame. Provided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including a second frame rib having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ame.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리브는, 상기 제1프레임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further includes a frame rib suppor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rame rib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rib includes the first frame rib and the Provided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frame rib supports and is provided to prevent elastic deformation by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rib and the frame rib support.

또한, 상기 바디부재에는,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바디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면이 플랫(flat)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프레임접촉부에 맞닿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ody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frame contact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and has a flat outer surface, and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hape. The frame provide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in a form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내측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절곡부가 상기 제1프레임접촉부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inner bending portion bent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and the inner bending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Provide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또한, 상기 바디부재에는,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 둘레로부터 상기 바디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면이 플랫(flat)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프레임접촉부에 맞닿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ody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that is formed in a recessed form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and has a fla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hape. The frame provide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in a form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바디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ody member is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materia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glazed, providing a cold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do.

또한, 상기 바디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ody member provides a cold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receiving space therein is glazed.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is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materia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glazed, providing a cold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do.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provide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front surface is glazed.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전 결합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cold storage box is provided that is lightweight and has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further comprising a handle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member.

또한, 상기 핸들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 단부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부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andle member includes a grip portion having a certain length, a pair of bent portion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nd each end of the pair of bent portions facing each other. Provided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omprising a pair of rotary coupling protrusions that are extended and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열부재가 직접 바디부재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단열부재인 바디부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insulating member to form a body member directly, the cold insulating box does not include a separate body outer shell and body inner shell, so the cold insulating box can be made lighter, and the body outer shell and body inner shell are not included in the cold insulating box.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old box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body member, which is an insulation member, can be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body inner skin.

또한, 바디부재의 상단부 둘레에 프레임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바디부재의 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ddition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of the body member is improved by coupling the frame member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또한, 프레임부재를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하면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부재를 바디부재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configured to be combined in an undercut structure made of protrusions and grooves, so that the frame member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융착 방식에 의한 결합 방식에 비해 원재료의 제약이 없으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불량률이 낮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be joined in an undercut structure consisting of protrusions and grooves, there are advantages of lower production costs, lower defect rate, and no restrictions on raw materials compared to the fusion method.

또한, 커버부재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cover member as a single insulating member, the cold storage box can be made lighter compared to a form including a multi-layered cover member made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since the entire cover member acts as an insulator, the cold storage box can 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1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1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2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제2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바디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핸들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재, 프레임부재 및 핸들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재가 바디부재 방향으로 회전되어 프레임부재의 측벽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ody member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6.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XX in FIG. 6.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ody member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irst frame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1.
Figure 1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1.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XX cross section and YY cross section of FIG. 13.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irst frame of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rame of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6.
Figure 1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6.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XX cross section and YY cross section of FIG. 18.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rame of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20.
Figure 22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dy member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diagram showing the XX cross section and YY cross section of FIG. 22.
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XX in FIG. 22.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ver member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ver member of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plan view showing a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diagram showing the XX cross section and YY cross section of FIG. 27.
Figure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member mounted on a fram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ody member, frame member, and handl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30.
Figure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member and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frame membe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보냉이 필요한 각종 물품류를 운송 내지 배송하기 위한 박스용기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는 물품을 수용하는 바디부재(100)와, 바디부재(100)에 결합하는 프레임부재(200) 및 바디부재(100)의 개방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ld insula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 container for transporting or delivering various items requiring cold insulation. The cold insula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member 100 for accommodating the goods. It may include a frame member 200 coupled to the body member 100 and a cover member 30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이하, 도 1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냉상자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2, each configuration of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바스켓(basket)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3 to 5, the body member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sket with the top open while forming a certain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goods therein.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는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면부(101), 바닥면부(101)의 가장자리 장측변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벽 및 바닥면부(101)의 가장자리 단측변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단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측벽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body member 100 includes a rectangular plate-shaped bottom portion 101 and a pair of long side walls that stand facing each other from the edge long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01. And it may include a side wall portion 102 made up of a pair of short side walls that stand facing each other from the edge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1.

이때, 바디부재(100)의 한 쌍의 장측벽은, 바디부재(10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한 쌍의 장측벽 사이의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long side walls of the body member 100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long side wall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즉, 바디부재(100)의 한 쌍의 장측벽 각각은 바디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 walls of the body member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100.

또한, 바디부재(100)의 한 쌍의 단측벽 역시 바디부재(10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한 쌍의 단측벽 사이의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부재(100)의 한 쌍의 단측벽 각각은 바디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hort side walls of the body member 100 may also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short side wall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and accordingly, the body member 100 ) Each of the pair of short side walls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100.

한편,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바닥면부(101)의 장측변 방향 양 단부에는 바디부재(100) 바닥면부(101)의 단측변 방향을 따라 바디부재(100)의 바닥면부(101)의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한 쌍의 핸들안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6 and 9,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101 of the body member 100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there are body members ( A pair of handle seating portions 110 recess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1 of 100 may be formed.

이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바닥면부(101)에 핸들안착부(110)가 형성됨으로써,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핸들부재(400)가 바디부재(100)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제2프레임(220)의 장측변 상단부에 거치된 상태의 다른 바디부재(100)의 상부에, 다른 바디부재(100)를 용이하게 쌓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As the handle seating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1 of the body member 100, the handle memb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ed inside the body member 100, as shown in FIG. 32. It is provided so that other body members 100 can be easily stacked on top of another body member 100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ong side of the second frame 220.

한편, 바디부재(100)는 단열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member 100 may be provided as a member wit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material.

이때, 바디부재(100)의 바닥면부(101) 및 측벽부(102)의 내측면은 각각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1 and the side wall portion 102 of the body member 100 may each be provided in a glazed form.

여기서, 글레이징 처리는,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재 표면에 열을 가해 발포폴리프로필렌의 표층을 녹인 후 다시 빠르게 냉각시켜,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재 표층에 견고한 보호층이 생성되도록 하는 공법을 의미한다.Here, glazing treatment refers to a method of applying heat to the surface of a expanded polypropylene member to melt the surface layer of the expanded polypropylene and then quickly cooling it again to create a strong protective layer on the surface layer of the expanded polypropylen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별도의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 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 자체가 단열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되면서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므로, 바디부재(100)의 내측면에 글레이징 처리를 하여 바디부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separate body shell and body inner shell members, but as shown in FIG. 24, the body member 100 itself is provided as a member wit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is equipped to accommodate goods t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00 is glaz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ody member 100 and prevent contamin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별도의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 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바디부재(100) 자체가 단열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되면서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단열부재인 바디부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body shell and body inner shell member, but the body member 100 itself is provided as a member with heat insulation and is provided to accommodate goods therein, so that the cold storage box is not provided separately. Since the body outer shell and body inner shell are not included, the cold box can be lighter,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old box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body member, which is an insulating member, can be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body outer shell and body inner skin. There are benefits to this.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에는 후술하는 프레임부재(200)의 제1프레임(210)의 바디외측지지부(211)가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프레임접촉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 and 8, a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of the first frame 210 of the frame memb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it. One frame contact portion 121 may be provided.

좀 더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접촉부(121)는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만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1프레임접촉부(121)는 외측면이 플랫(flat)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210)의 바디외측지지부(211)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121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by a certain thicknes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 Additionally,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121 may have a flat outer surface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of the first frame 210.

여기서, 제1프레임접촉부(121)의 하단부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프레임(210)의 걸림돌부(217)가 삽입되는 제1프레임걸림홈부(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프레임걸림홈부(122)는 제1프레임접촉부(121)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12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rame locking groove portion 122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17 of the first frame 210 as shown in FIG. 14 is inserted. The first frame locking groove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121.

이어서,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에는 프레임부재(200)의 제2프레임(220)의 바디내측지지부(221)가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2프레임접촉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131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so that the body inner support portion 221 of the second frame 220 of the frame member 200 comes into contact with it.

좀 더 구체적으로, 제2프레임접촉부(131)는 바디부재(100)의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면으로부터 바디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2프레임접촉부(131)는 외측면이 플랫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2프레임(220)의 바디내측지지부(221)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131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and is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100. It may be formed in a stepped form, and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131 may have an outer surface formed in a flat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nner support portion 221 of the second frame 220. there is.

여기서, 제2프레임접촉부(131)의 상단부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프레임(220)의 하단외측절곡부(222)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지지부(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지지부(132)는 수평 방향으로 플랫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13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rame support portion 132 that supports the lower outer bent portion 222 of the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19. The second frame support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프레임(220)의 리브보강체(228)를 삽입하는 보강체삽입홈(140)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there is a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 140 into which the rib reinforcement 228 of the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21 is inserted. This can be provided.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200)는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여, 바디부재(1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비된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rame member 200 is coupl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described abov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ody member 100.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200)는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rame memb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rame 210 and a second frame 220.

먼저, 제1프레임(210)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측변(201a)과 한 쌍의 단측변(201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이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First,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frame 210 is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consisting of a pair of long sides 201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1b,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formed by a body member ( 100) is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좀 더 상세하게,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은 한 쌍의 장측변(201a)과 한 쌍의 단측변(201b)로 이루어지는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각각의 한 쌍의 장측변(201a)과 한 쌍의 단측변(201b)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디외측지지부(211)와, 바디외측지지부(211)의 상단부에서 바디외측지지부(211)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외측절곡부(212)와, 외측절곡부(212)의 단부에서 바디외측지지부(211)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1프레임리브(213)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first frame 210 is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consisting of a pair of long sides 201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1b, each A pair of long sides 201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1b include a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arranged in a for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constant height, and a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An outer bent portion 212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211, and a first frame rib 213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from the end of the outer bent portion 212. ) may include.

또한,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장측변(201a)과 한 쌍의 단측변(201b)은, 바디외측지지부(211)의 하단부에서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내측절곡부(216)와, 내측절곡부(216)의 단부에서 바디외측지지부(211)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부(2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long sides 201a and the pair of short sides 201b of the first frame 210 are internally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outer support 211 toward the body member 100. It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216 and a stopping protrusion 217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an end of the inner bent portion 216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이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제1프레임(21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외측지지부(211)의 내측면이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프레임접촉부(121)에 맞닿는 형태로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210 provided in this form is a first fram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outer support 211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as shown in FIG. 23. It can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in a form that abuts the contact portion 121.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한 쌍의 장측벽은, 바디부재(10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한 쌍의 장측벽 사이의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바디부재(100)의 한 쌍의 단측벽 역시 바디부재(10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한 쌍의 단측벽 사이의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1프레임(210)을 바디부재(100)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제1프레임(210)을 바디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long side walls of the body member 100 ar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long side wall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and the body member 100 The pair of short side walls of the member 100 may also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short side wall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Accordingly, the first frame 210 The first frame 21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member 100 by passing it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여기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장측변(201a)과 한 쌍의 단측변(201b)은, 바디외측지지부(211)의 하단부에서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내측절곡부(216)와, 내측절곡부(216)의 단부에서 바디외측지지부(211)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부(217)에 의해 제1프레임(210)은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걸림 결합할 수 있게 구비된다.Here, as shown in FIG. 23, a pair of long sides 201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1b of the first frame 210 are connected to the body member 100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uter support 211. The first frame 210 is formed by an inner bent portion 216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and a stopping protrusion 217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inner bent portion 216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dy outer support portion 211. is provid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즉, 제1프레임(210)의 내측절곡부(216)가 바디부재(100)의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바디부재(100)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만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제1프레임접촉부(121)의 하단부에 걸리면서, 제1프레임(210)의 내측절곡부(216)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부(217)가, 제1프레임접촉부(121)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제1프레임걸림홈부(122)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1프레임(210)은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걸림 결합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bent portion 216 of the first frame 21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and has a certain thicknes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The locking protrusion 217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ner bent portion 216 of the first frame 210 is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121, which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s much as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121. The first frame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locking groove 122,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in the inner direction, and can be hook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there is.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프레임(210)은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바디부재(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first frame 210 is firm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there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body member 100.

이어서, 제1프레임(210)의 제1프레임리브(213)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13-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결합돌기(213-1)는 제1프레임리브(21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first frame rib 213 of the first frame 21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13-1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10, as shown in FIG. 14.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13-1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rame rib 213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1프레임리브(213)에 형성된 결합돌기(213-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프레임(220)의 제2프레임리브(225)에 구비된 결합홈(225-1)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제1프레임(210)의 결합돌기(213-1)를 제2프레임(220)의 결합홈(225-1)에 삽입시킴으로써 제1프레임(210)와 제2프레임(220)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3,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formed on the first frame rib 213 is a coupling groove 225-1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rib 225 of the second frame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of the first frame 210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220. ) can be combined into an undercut structure.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3-1)의 상단에는 결합돌기(213-1)가 결합홈(225-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경사부(213-11)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4, a downward inclined portion 213-11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can be formed.

이어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은, 외측절곡부(212)로부터 제1프레임(2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프레임리브(213)와, 제1프레임(2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first frame 21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er bent portion 212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ame 210, and includes a first frame rib 213, It may further include frame rib supports 214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10.

프레임리브지지체(214)는 외측절곡부(2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리브지지체(214)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13-1)들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결합돌기(213-1)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rame rib supports 214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bent portion 21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frame rib supports 214 hav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It may be disposed between (213-1) or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이와 같이, 제1프레임(210)에 프레임리브지지체(214)가 구비됨으로써,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제2프레임리브(225)의 결합홈(225-1)에 결합돌기(213-1)가 삽입되면, 제2프레임리브(225)는 제1프레임리브(213) 및 프레임리브지지체(2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리브(213) 및 프레임리브지지체(21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이로써 제2프레임리브(225)의 결합홈(225-1)에 삽입된 결합돌기(213-1)가 제2프레임리브(225)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홈(22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frame rib support 214 in the first frame 210, it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rib 225 of the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23.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is inserted, the second frame rib 2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rib 213 and the frame rib support body 214 to form the first frame rib 213 and the frame rib support body 214. ), thereby preventing elastic deformation, and thus the engaging protrusion 213-1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rib 225 is caus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frame rib 225.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upling groove (225-1).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의 제1프레임리브(213)는, 제1프레임리브(213)의 각 부분 중 프레임리브지지체(214)에 대향하는 부분에, 프레임리브지지체(214) 방향으로 돌출 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지지체(2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리브지지체(214)에는,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각 부분 중 돌출지지체(215)의 양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1프레임리브(213)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체절곡부(214-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frame rib 213 of the first frame 210 is located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frame rib support 214 among each portion of the first frame rib 213. It may include a protruding support 215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rib support 214. In this case, the frame rib support 214 includes the amount of the protruding support 215 among each part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A support bent portion 214-1 formed in a bent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rib 213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end.

여기서, 제1프레임리브(213)에 돌출지지체(215)와 지지체절곡부(214-1)가 구비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214) 사이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프레임(220)의 제2프레임리브(225)의 각 부분 중 제2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리브절곡부(225-3)를 포함하는 부분이 삽입된다.Here, between the frame rib support 214, which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support 215 and the support bent portion 214-1 on the first frame rib 213, a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21 is provided. Among each part of the second frame rib 225, the part including the rib bending portion 225-3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220 is inserted.

좀 더 구체적으로, 제2프레임리브(225)의 리브절곡부(225-3)는 돌출지지체(215)의 양 단부와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지지체절곡부(214-1) 사이에 삽입되고, 리브절곡부(225-3) 사이의 제2프레임리브(225) 부분은 돌출지지체(215)의 길이 방향 돌출면과,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길이 방향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rib bent portion 225-3 of the second frame rib 225 is inser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rotruding support 215 and the support bent portion 214-1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 the portion of the second frame rib 225 between the rib bent portions 225-3 is provided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longitudinal protrud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support 215 and the longitudinal outer surface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do.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언더컷 구조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By configuring it in this form,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undercut structure coupling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more firmly.

이어서,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단측변(201b) 각각의 외측에는 손잡이부(218) 및 핸들지지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1 and 15, a handle portion 218 and a handle support portion 219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each pair of short sides 201b of the first frame 210.

좀 더 구체적으로, 손잡이부(218)는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단측변(201b) 각각의 외측부의 중앙에 구비되되,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단측변(201b) 각각의 상단부 외측에서 제1프레임(210)의 내측 방향 및 상측 방향으로 각각 함몰된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218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hort sides 201b of the first frame 210, They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outside of each upper end in the inner and upper directions of the first frame 210, respectively.

한편, 핸들지지부(219)는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단측변(201b) 각각의 상단부 길이 방향 양 측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핸들지지부(219)는 제1프레임(210)의 한 쌍의 단측변(201b) 각각의 상단부 외측에서 바디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support portion 219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short sides 201b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handle support portion 219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frame 210. The pair of short sides 201b may each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100.

이와 같이 핸들지지부(219)가 구비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핸들부재(400)가 제1프레임(210)의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일 때, 핸들부재(400)의 내측에서 핸들부재(4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By providing the handle support portion 219 in this way, when the handle memb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10, as shown in FIG. 4, the handle member 400 is inside the handle member 400. It is provided to support (400).

다음으로, 제2프레임(22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측변(202a)과 한 쌍의 단측변(202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이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Next, the second frame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ring consisting of a pair of long sides 202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2b, as shown in FIG. 16,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a body member. It is provid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100).

좀 더 상세하게,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은 한 쌍의 장측변(202a)과 한 쌍의 단측변(202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각각의 한 쌍의 장측변(202a)과 한 쌍의 단측변(202b)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디내측지지부(221)와, 바디내측지지부(221)의 상측 단부에서 제2프레임(22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하단외측절곡부(222)와, 하단외측절곡부(222)의 단부에서 제2프레임(220)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방절곡부(223)와, 상방절곡부(223)의 단부에서 제2프레임(22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단외측절곡부(224)와, 상단외측절곡부(224)의 단부에서 제2프레임(220)의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2프레임리브(225)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7 to 19, the second frame 220 is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consisting of a pair of long sides 202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2b, each A pair of long sides 202a and a pair of short sides 202b are located at a body inner support portion 221 arranged in a for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constant height, and an upper end of the body inner support portion 221. A lower outer bent portion 222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and an upper bent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from the end of the lower outer bent portion 222. (223), an upper outer bent portion 224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upper bent portion 223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and a second frame at the end of the upper outer bent portion 224. It may include a second frame rib 225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220 .

이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제2프레임(22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내측지지부(211)의 외측면에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2프레임접촉부(131)에 맞닿는 형태로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220 provided in this form is a second fram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described abo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inner support portion 211, as shown in FIG. 23. It can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in a form that abuts the contact portion 131.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제2프레임접촉부(131)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플랫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지지부(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이 바디부재(100)의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결합하였을 때, 제2프레임(220)의 하단외측절곡부(222)가 제2프레임지지부(132)에 접촉하여 전체적으로 제2프레임(220)이 제2프레임지지부(13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Here, as described above, a second frame support portion 132 formed in a flat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131 of the body member 10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frame 220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the lower outer bent portion 222 of the second frame 220 contacts the second frame support portion 132. Thus, the second frame 220 as a whole is provided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support portion 132.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지지부(132)의 일부분은, 제2프레임(220)의 상방절곡부(223) 및 제2프레임리브(225)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3, a portion of the second frame support 132 is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bent portion 223 and the second frame rib 225 of the second frame 220. It could be.

이어서, 제2프레임리브(225)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225-1)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결합홈(225-1)은 제2프레임리브(225)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econd frame rib 225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225-1 formed in a recessed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19. In this case, the coupling groove ( 225-1)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along the second frame rib 22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2프레임리브(225)에 구비되는 결합홈(225-1)에는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제1프레임리브(213)에 구비되는 결합돌기(213-1)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바디부재(100)의 결합돌기(213-1)를 제2프레임(220)의 결합홈(225-1)에 삽입시킴으로써 바디부재(100)와 제2프레임(220)을 언더컷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oupling groove 225-1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rib 225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provided in the first frame rib 213 of the body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body.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of the member 100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220, the body member 100 and the second frame 220 can be coupled in an undercut structure. do.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결합돌기(213-1)를 제2프레임(220)의 결합홈(225-1)에 삽입시키는 경우 제2프레임리브(225)는 제1프레임리브(213)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에는 제1프레임리브(213)와, 제1프레임(2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214)가 구비되어 있어, 제2프레임리브(225)는 제1프레임리브(213)와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사이에 배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3,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of the body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220, the second frame rib 225 is It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rib 213, an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body member 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rib 213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10. The frame rib support body 214 is provided, and the second frame rib 2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rib 213 and the frame rib support body 214.

이에 따라, 제1프레임(210)의 결합돌기(213-1)를 제2프레임(220)의 결합홈(22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는 제2프레임리브(225)가 제1프레임리브(213)와 프레임리브지지체(214)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이로써 결합홈(225-1)에 삽입된 결합돌기(213-1)가 제2프레임리브(225)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홈(22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of the first frame 2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220, the second frame rib 225 is the first frame rib ( Since it is firmly supported by 213) and the frame rib support 214, elastic deformation is prevented, and thus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causes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frame rib 225.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upling groove 225-1.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리브(225)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돌기(213-1)가 결합홈(225-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경사부(155-11)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9,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rib 225 is provided with an upward inclined portion 155-11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213-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5-1. can be formed.

이에 따라,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둘레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을 가압하면, 제1프레임(210) 결합돌기(213-1)의 하방경사부(213-11)와 제2프레임(220)의 결합홈(225-1)의 상방경사부(225-1)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미끄러지게 되어, 제1프레임(210)의 결합돌기(213-1)를 제2프레임(220)의 결합홈(225-1)에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게 된다.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are pressed, the first frame 210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213-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and the upward inclined portion 225-1 of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220 slide while facing each other, It becomes easy to insert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of the first frame 210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of the second frame 220.

한편, 제2프레임(220)의 제2프레임리브(225)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리브절곡부(225-3)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frame rib 225 of the second frame 220 may be provided with a rib bending portion 225-3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21. .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의 제1프레임리브(213)에는, 제1프레임리브(213)의 각 부분 중 프레임리브지지체(214)에 대향하는 부분에, 프레임리브지지체(214) 방향으로 돌출 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지지체(215)가 구비되고, 프레임리브지지체(214)에는,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각 부분 중 돌출지지체(215)의 양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1프레임리브(213)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체절곡부(2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프레임리브(213)에 돌출지지체(215)와 지지체절곡부(214-1)가 구비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214) 사이에는, 제2프레임리브(225)의 각 부분 중 제2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리브절곡부(225-3)를 포함하는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 the first frame rib 213 of the first frame 210, a portion of each part of the first frame rib 213 that faces the frame rib support 214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A protruding support 215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is provided, and the frame rib support 214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215 at a portion of each part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facing both ends of the protruding support 215. A support bent portion 214-1 formed in a bent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rib 213 may be provided, where the protruding support 215 and the support bent portion 214-1 are formed on the first frame rib 213. ) Between the frame rib supports 214 provided, among each part of the second frame rib 225, a part including the rib bent portion 225-3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is inserted. It can be.

좀 더 구체적으로, 제2프레임리브(225)의 리브절곡부(225-3)는 돌출지지체(215)의 양 단부와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지지체절곡부(214-1) 사이에 삽입되고, 리브절곡부(225-3) 사이의 제2프레임리브(225) 부분은 돌출지지체(215)의 길이 방향 돌출면과, 프레임리브지지체(214)의 길이 방향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rib bent portion 225-3 of the second frame rib 225 is inser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rotruding support 215 and the support bent portion 214-1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 the portion of the second frame rib 225 between the rib bent portions 225-3 is provided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longitudinal protrud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support 215 and the longitudinal outer surface of the frame rib support 214. do.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언더컷 구조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By configuring it in this form,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undercut structure coupling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more firmly.

이상 설명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각각을 바디부재(100)의 측벽 상단부 둘레 및 제2프레임(220)의 둘레를 서로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의 하단부 둘레 및 제2프레임(220)의 상단부 둘레를 각각 가압하면, 제1프레임리브(213) 및 제2프레임리브(225)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돌기(213-1)가 결합홈(225-1)으로 삽입됨으로써 언더컷 구조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3,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described above are each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and the second frame 220. With the circumferences of the two frames 220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ame 220 are pressed, respectively, the first frame rib 213 and the second frame rib 213 As each of the frame ribs 225 is elastically de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 213-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5-1, so that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undercut structure.

여기서, 제1프레임(210)의 하단부 둘레 및 제2프레임(220)의 상단부 둘레를 각각 가압하여,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을 결합시킬 때, 제2프레임리브(225)가 탄성 변형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리브(225)와 상방절곡부(223) 사이에 리브보강체(228)가 구비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are joined by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220, the second frame rib 225 ), a rib reinforcement 228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rame rib 225 and the upper bent portion 223, as shown in FIG. 21, to prevent the frame from being damaged by elastic deformation.

이어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한 쌍의 단측변(201b) 각각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핸들부재(400)의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장착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6 and 17, both ends of a handle memb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each pair of short sides 201b of the second frame 220. A pair of handle mounting portions 226 may be provided.

한 쌍의 핸들장착부(226) 각각은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회전돌기삽입홀(226-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돌기삽입홀(226-1) 각각에는 핸들부재(400)의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45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Each of the pair of handle mounting portions 226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protrusion insertion hole 226-1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side, and each of the rotating protrusion insertion holes 226-1 is provided with a handle member 400. A pair of rotation coupling protrusions 450 are provided for insertion.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한 쌍의 장측변(202a) 각각의 상부에는 제2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된 핸들부재(400)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는 핸들거치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7, a handle member 400 rot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s 202a of the second frame 220. A handle holder 227 may be provided.

핸들거치부(227)는 제2프레임(220)의 한 쌍의 장측변(202a) 각각의 상부에 제2프레임(220)의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적재를 위해 제2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된 핸들부재(400)는 양 단부가 핸들거치부(227)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handle holder 227 may be formed at the top of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s 202a of the second frame 220 in a recessed form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as shown in FIG. 32. As shown, the handle member 400, which is rot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220 for loading the body member 100, is provided so that both ends can be seated on the handle holder 227.

한편,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이상 설명한 프레임부재(200)가 결합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측벽부 상단 외측 둘레에는 프레임부재(200)의 두께만큼의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측벽부 상단 외측 둘레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바디부재(100)를 서로 적재하였을 때 상부에 적재되는 바디부재(100)가 단차에 의해 상부에 적재되는 바디부재(100)가 하부에 적재되는 의 바디부재(100)의 수용공간의 일정부분 만큼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above-described frame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as shown in FIG. 4,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body member 100 has a thicknes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rame member 200. A step portion may be formed. In this way, a step is formed around the upper outer edg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so that when a plurality of body members 100 are stacked on each other, the body member 100 loaded on top has a step.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ody member 100 loaded at the top is inserted only to a certain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member 100 loaded at the botto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바디부재(100) 자체가 단열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되면서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하면서, 바디부재(100)의 측벽부 상단부 둘레에 프레임부재(200)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보냉상자에 별도의 바디내피 부재가 포함되지 않게 되어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 될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부재(200)에 의해 바디부재(1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바디내피 부재의 두께만큼 바디단열재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goods therein while the body member 100 itself is provided as a member with insulation properties, and a frame member 200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member 100. ) By configuring it in a form that combines, the cold insulation box does not include a separate body lining member, so the cold insulation box can be made lighter, and the strength of the body member 100 can be improved by the frame member 200,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body insulation can be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body lin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old box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으로, 커버부재(300)는 일예로 외측 둘레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측변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측변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어, 전술한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Next, the cover member 300 is, for example, provided a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whose outer circumference consists of a pair of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form the body member 100 described above. It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portion.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의 커버부재(30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ver member 300 of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and may be provided with the outer front surface glaz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커버부재(300)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냉상자가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냉상자의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cover member 300 of a single heat insulating member, so that the cold storage box can be lighter than a type including a multi-layered cover member made of a plurality of members. Since the entire cover member acts as an insul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cold box can be further improved.

다만, 커버부재(300)가 별도의 커버외피 부재 및 커버내피 부재 없이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커버부재(300)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커버부재(300)가 쉽게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300)의 외부 전면에 글레이징 처리를 하여 커버부재(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였다.However, if the cover member 300 is composed of a single insulation member without a separate cover outer shell member and a cover inner shell member, the durability of the cover member 300 is reduced and the cover member 300 may be easily contaminated, so the cover member 300 may be easily contaminated. Glazing was applied to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ver member 300 and prevent contamination.

한편, 도 26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한 쌍의 장변측 각각의 상측 부분에는, 커버부재(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측연장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6 and 28,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s am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ver member 300, an out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300. (310) may be provided.

이로써,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는 외측 둘레의 하면부가 제2프레임(220)의 하단외측절곡부(222)에 맞닿고, 한 쌍의 장변측 측면 부분이 제2프레임(220)의 상방절곡부(223)에 맞닿으며, 외측연장부(310)의 하면부가 제2프레임(220)의 상단외측절곡부(224)에 맞닿아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8,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ver memb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bent portion 222 of the second frame 220, and the pair of long side side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rame (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extension 310 abuts the upper outer bent portion 224 of the second frame 220 to firmly seal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member. It is provided so that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의 상면 각 꼭지점 부분에는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디스택돌기(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300)의 상면에 바디스택돌기(330)가 구비됨에 따라 커버부재(300)의 상부에 다른 보냉상자를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5, body stack protrusions 330 protruding in an “L” shape may be provided at each vertex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and a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As the stack protrusion 330 is provided, another cold storage box can be safely loaded on top of the cover member 300.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의 하면 각 꼭지점 부분에는 "ㄱ"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스택돌기안착홈(3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300)의 하면에 스택돌기안착홈(350)가 구비됨에 따라 복수개의 커버부재(300)들을 안정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 each vertex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stack protrusion seating groove 350 that is recessed in an “ㄱ” shape,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As the stack protrusion seating groove 350 is provided, a plurality of cover members 300 can be stacked stably.

다음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상자는 전술한 바디부재(100)에 회전 결합하는 핸들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9, the cold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member 400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100 described above.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재(4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지부(310)와, 파지부(310)의 양 단부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330) 및 한 쌍의 절곡부(350)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전술한 제2프레임(220) 핸들장착부(226)의 회전돌기삽입홀(226-1)에 회전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0 and 31, the handle member 400 includes a grip portion 310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310 are formed by bend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pair of bent portions 330 and the pair of bent portions 350 are formed to extend from each end to face each other, and each of the rotating protrusion insertion holes 226-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226 of the second frame 220 is described above. 1) may include a pair of rotational coupling protrusions 450 provided for rotational coupling.

핸들부재(40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0)의 상부 개방 부분으로 회전하여 제2프레임(220)의 핸들거치부(227) 거치되도록 구비되어, 커버부재(300) 없이도 제2프레임(220)에 거치된 핸들부재(400)에 다른 바디부재(100)를 적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2, the handle member 400 rotates to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member 100 and is provided to be mounted on the handle holder 227 of the second frame 220,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handle holder 227 of the second frame 220. It is provided so that another body member 100 can be loaded on the handle member 400 mounted on the second frame 220.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열부재가 직접 바디부재(100)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보다 경량된 보냉상자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바디외피 및 바디내피의 두께만큼 단열부재인 바디부재(100)의 두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된 보냉상자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member is configured to directly form the body member 100, so that a separate body shell and body inner shell are not included, so a lighter cooling box can be obtained. Since the thickness of the body member 100, which is an insulating member, can be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body shell and body inner shell, a cold box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또한, 바디부재(100)의 상단부 둘레에 프레임부재(200)를 결합시킴으로써, 경량화 되면서도 바디부재(100)의 강도가 향상된 보냉상자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combining the frame member 200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00,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of the body member 100 while being lightweight can be obtained.

또한, 바디부재(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부재(200)를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으로 구성하면서,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이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부재(200)를 바디부재(100)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보냉상자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frame member 200 that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body member 100 is composed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have protrusions. And by configuring the frame member 200 to be combined with an undercut structure consisting of a groove, a cold storage box can be obtained that can easily and firmly couple the frame member 200 to the body member 100.

또한,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이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언더컷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융착 방식에 의한 결합 방식에 비해 원재료의 제약이 없으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불량률이 낮은 보냉상자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to be joined in an undercut structure consisting of protrusions and grooves,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raw materials compared to the fusion method, the production cost is low, and the defect rate is low. You can get this low cooler box.

또한, 커버부재(300)를 단일 단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층 형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300) 전체가 단열 작용을 하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된 보냉상자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cover member 300 with a single insulating member, it can be made lighter compared to a form including a multi-layered cover member made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entire cover member 300 has an insulating effect. Therefore, a cold box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바디부재
101 : 바닥면
102 : 측벽부
110 : 한 쌍의 핸들안착부
121 : 제1프레임접촉부
122 : 제1프레임걸림홈부
131 : 제2프레임접촉부
132 : 제2프레임지지부
140 : 보강체삽입홈
200 : 프레임부재
210 : 제1프레임
201a : 한 쌍의 장측변
201b : 한 쌍의 단측변
211 : 바디외측지지부
212 : 외측절곡부
213 : 제1프레임리브
213-1 : 결합돌기
213-11 : 하방경사부
214 : 프레임리브지지체
214-1 : 지지체절곡부
215 : 돌출지지체
216 : 내측절곡부
217 : 걸림돌부
218 : 손잡이부
219 : 핸들지지부
220 : 제2프레임
202a : 한 쌍의 장측변
202b : 한 쌍의 단측변
221 : 바디내측지지부
222 : 하단외측절곡부
223 : 상방절곡부
224 : 상단외측절곡부
225 : 제2프레임리브
225-1 : 결합홈
225-2 : 상방경사부
225-3 : 리브절곡부
226 : 핸들장착부
226-1 : 회전돌기삽입홀
227 : 핸들거치부
228 : 리브보강체
300 : 커버부재
310 : 외측연장부
330 : 바디스택돌기
350 : 스택돌기안착홈
400 : 핸들부재
410 : 파지부
430 : 한 쌍의 절곡부
450 :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
100: body member
101: bottom surface
102: side wall part
110: A pair of handle seating parts
121: first frame contact part
122: 1st frame locking groove
131: Second frame contact part
132: second frame support
140: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
200: frame member
210: 1st frame
201a: A pair of long sides
201b: A pair of unilateral sides
211: Body outer support
212: outer bend
213: 1st frame rib
213-1: Combination protrusion
213-11: Downward slope
214: frame rib support
214-1: Support bending part
215: protruding supporter
216: medial bend
217: Stumbling protrusion
218: handle part
219: handle support
220: 2nd frame
202a: A pair of long sides
202b: A pair of unilateral sides
221: Body inner support
222: Bottom outer bend
223: upward bending part
224: Upper outer bend
225: 2nd frame rib
225-1: Combination groove
225-2: Upward slope
225-3: Rib bending part
226: Handle mounting part
226-1: Rotating protrusion insertion hole
227: Handle holder
228: Rib reinforcement body
300: cover member
310: Outer extension
330: Body stack protrusion
350: Stack projection seating groove
400: Handle member
410: gripping part
430: a pair of bent parts
450: A pair of rotational coupling protrusions

Claims (15)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면서, 상부를 개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대응하는 형상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재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 body memb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frame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and
a cover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member;
Including,
The frame member is,
A first frame formed in a ring shape and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frame, and includes a second frame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are improved while being lightweight. Cool box.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mutually coupled by inserting it into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구비하는 제1프레임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상기 제2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구비하는 제2프레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frame is,
It includes a first frame rib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omprising a second frame rib having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리브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리브는,
상기 제1프레임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리브 및 상기 프레임리브지지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frame is,
Further comprising a frame rib suppor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rame rib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rib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rib and the frame rib support and is provided to prevent elastic deformation by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rib and the frame rib suppor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에는,
측벽부의 상단부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바디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면이 플랫(flat)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프레임접촉부에 맞닿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body member,
A first fram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and has a flat outer surface,
The first frame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in a form that contacts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내측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절곡부가 상기 제1프레임접촉부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In clause 7,
The first frame is,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an inner bend part is provided that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bent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contac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에는,
측벽부의 상단부 내측 둘레로부터 상기 바디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면이 플랫(flat)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프레임접촉부에 맞닿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body member,
A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in a depressed shape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and has a flat outer surface,
The second frame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in a form that abuts the second frame contac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member is,
A cold box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and having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glazed, making it lighter and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clause 10,
The body member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is gla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ver member is,
A cold box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and having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glazed, making it lighter and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외부 전면이 글레이징(glazing) 처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clause 12,
The cover member is,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characterized by the outer front being gla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전 결합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ld storage box with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being lightweight, further comprising a handle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 단부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부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According to clause 14,
The handle member is,
A gripping portion having a certain length,
a pair of bent portion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The pair of bent portions extend from each end to face each other, and each includes a pair of rotary coupling protrusions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member. The cold insulation has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e weight. Box.

KR1020220162427A 2022-11-29 2022-11-29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KR102605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427A KR102605028B1 (en) 2022-11-29 2022-11-29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427A KR102605028B1 (en) 2022-11-29 2022-11-29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028B1 true KR102605028B1 (en) 2023-11-23

Family

ID=8897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427A KR102605028B1 (en) 2022-11-29 2022-11-29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02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758A (en) * 2001-08-27 2003-03-12 Sekisui Chem Co Ltd Hot-insulating and cold-insulating conveyance container
JP2011255912A (en) * 2010-06-07 2011-12-22 Sekisui Plastics Co Ltd Carrier container for glass substrate
KR200463583Y1 (en) * 2012-02-20 2012-11-12 희 달 유 Chovy container of good heaping
KR102254344B1 (en) 2019-11-19 2021-05-21 엔피씨(주) Cooling box
KR20220135779A (en) * 2021-03-31 2022-10-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Returnable box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758A (en) * 2001-08-27 2003-03-12 Sekisui Chem Co Ltd Hot-insulating and cold-insulating conveyance container
JP2011255912A (en) * 2010-06-07 2011-12-22 Sekisui Plastics Co Ltd Carrier container for glass substrate
KR200463583Y1 (en) * 2012-02-20 2012-11-12 희 달 유 Chovy container of good heaping
KR102254344B1 (en) 2019-11-19 2021-05-21 엔피씨(주) Cooling box
KR20220135779A (en) * 2021-03-31 2022-10-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Returnabl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00958A (en) Interlocking closure
US10232978B2 (en) Light and integrated junction system of the walls of a collapsible container
WO1995018047A1 (en) Folding and unfolding box
AU2018252625B2 (en) Folding box
KR102254344B1 (en) Cooling box
CN112810966A (en) Thermal insulation container
KR101910860B1 (en) Packaging box for cooling
KR102605028B1 (en)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JP6227854B2 (en) Lid assembly for cold and heat insulation container and cold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container
KR20210007917A (en) Box for maintaining freshness of shipment provided with insulator and the method for packing the box with the insulator
JP6530682B2 (en) Synthetic resin folding container
KR102417836B1 (en) Insulating box
KR100432733B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102305822B1 (en) Box and Assembly automation line of box
JP2008260568A (en) Thermal insulation container and pre-cooling low-temperature storage distribution method of goods using the same
CN211120194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102586872B1 (en) Cooling box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KR102575416B1 (en) Cooling box
KR100906695B1 (en) A radiation door for freezing storehouse
JP3230569U (en) Transport container
KR102457233B1 (en) Thermal insulation panel
JP2017044352A (en) Cool box
CN208553142U (en) Refrigerator
WO2020255886A1 (en) Constant temperature container
KR102340876B1 (en) Insula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