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943B1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943B1
KR102604943B1 KR1020190024365A KR20190024365A KR102604943B1 KR 102604943 B1 KR102604943 B1 KR 102604943B1 KR 1020190024365 A KR1020190024365 A KR 1020190024365A KR 20190024365 A KR20190024365 A KR 20190024365A KR 102604943 B1 KR102604943 B1 KR 10260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e
steam
steamer
pair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333A (ko
Inventor
노정준
윤지현
이아영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943B1/ko
Priority to US17/434,197 priority patent/US11840795B2/en
Priority to PCT/KR2020/002901 priority patent/WO2020175959A1/ko
Priority to EP20762069.1A priority patent/EP393309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티머; 스티머의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 스티머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스티머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 및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스팀 발생장치와 스티머를 연결하며 스티머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스팀 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CLOTHING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침구류와 같은 직물로 이루어진 물품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기는 수조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을 세척함에 따라 별도의 탈수, 건조과정 등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종래의 세탁기보다 의류를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세탁수를 통한 별도의 세탁과정 없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의류 처리장치(KR 10-2011-0099914A)나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KR 10-1425557B1)는 스팀 발생장치와 스팀 분사장치를 호스로 연결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상기 호스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스팀 분사장치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호스에 휘어지거나 접히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의 내부에서 스팀이 응결된 물이 상기 호스의 휘어진 부분에 고이게 되고 상기 호스의 내부 유로를 막아 스팀 분사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99914A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2011.09.09 공개) KR 10-1425557B1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 2014.07.25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스팀 분사가 원활하게 이뤄지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스티머의 승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스팀 가이드관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스팀 가이드관이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티머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스팀 가이드관 내에서 응결된 물이 스팀 가이드관 내에서 고이지 않고 스팀 발생장치로 낙하하여 스팀으로 재가열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전후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다수의 스팀 분사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스팀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스팀 바디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놓인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티머; 상기 스티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 상기 승강 모터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세워져서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 상기 스티머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바;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바디를 회전시키고, 상기 리드 스크류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회전 모터; 상기 스티머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티머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와 상기 스티머를 연결하며 상기 스티머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스팀 가이드관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 가이드관은 길이 가변되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팀 가이드관은,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 연결된 인렛 가이드관; 상기 스티머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머와 함께 승강하는 아웃렛 가이드관; 및 상기 인렛 가이드관과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을 연결하고 상기 인렛 가이드관 및 아웃렛 가이드관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연결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상기 인렛 가이드관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상단에는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제2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의 내둘레에는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외둘레에 접하는 제1실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통공의 내둘레에는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의 외둘레에 접하는 제2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하단에는 상기 제1통공의 하단 주변부에 걸리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의 하단에는 상기 제2통공의 하단 주변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렛 가이드관의 내경은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내경은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스팀 가이드관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가 배치되며 구획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된 기계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스팀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가이드관이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티머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스팀 가이드관 내에서 응결된 물이 스팀 가이드관 내에서 고이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팀 발생장치는 스티머 및 스팀 가이드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팀 가이드관 내에서 응결된 물이 스팀 발생장치로 낙하하여 스팀으로 재가열될 수 있다.
또한, 스팀 가이드관은 인렛 가이드관, 아웃렛 가이드관 및 연결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스팀 가이드관은 수직 방향을 유지하며 길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 및 제2실링은 스팀 가이드관을 통과하는 스팀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가이드관 및 아웃렛 가이드관의 상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부에 의해 연결 가이드관이 인렛 가이드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걸림부에 의해 아웃렛 가이드관이 연결 가이드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에는 상기 스팀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 가이드관이 기계실에서부터 수용공간까지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이드관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등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이하 편의상 총칭하여 '스팀'이라 함)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S)과 구획되는 기계실(P)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P)은 수용공간(S)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P)과 수용공간(S)은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구획판(11)은 캐비닛(10) 내에서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스팀 발생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150)는 캐비닛(10)의 내부, 좀 더 상세히는 기계실(P)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150)는 물을 저장하거나 물이 지나가는 소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장치(150)는 상기 히터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스팀 가이드관(160)을 통해 스티머(30)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되는 거치대(6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60)는 수용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거치대(6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체결되거나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60)에는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될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은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은 옷걸이로 명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의류 지지유닛(20)은 의류가 걸쳐지는 걸이부(21)와, 걸이부(21)를 거치대(60)에 매다는 고리(22)와, 걸이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사이드 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21)는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걸이부(21)의 상단은 고리(22)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21)의 상단에는 의류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고리(22)는 걸이부(21)의 상단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고리(22)는 거치대(60)에 걸릴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의류를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은 걸이부(20)의 양 단부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23)이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20)에 의류가 지지되는 경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은 의류의 몸통 양측을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몸통은 좌우 방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 지지유닛(20)이 걸이부(21) 및 고리(22)를 포함하고 사이드 프레임(23) 및 연결바(24)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옷걸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는 스팀이 분사되는 스티머(30)와, 스티머(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모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장치는 스티머(30)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티머(3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티머(30)는 캐비닛(10)의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티머(30)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및 좌우 방향 이동에 대해서는 구속될 수 있다.
스티머(30)는 의류 지지유닛(20)에 지지된 의류(C)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C)를 리프레쉬 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티머(30)는 상하로 승강하며 의류(C)에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C)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펼 수 있다.
스티머(30)는 승강 모터(40)에 의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 모터(40)의 회전력을 상하방향 동력으로 변환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승강 모터(4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된 리드 스크류(42)를 회전시킬 수 있고, 후술할 회전모터 브라켓(51)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42)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모터(40)가 상기 리드 스크류(42)를 회전시키면 스티머(30), 회전모터(50), 회전모터 브라켓(51) 및 가이드 브라켓(52)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승강 모터(40)는 캐비닛(10)의 좌우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모터(40)는 기계실(P)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모터(40)는 리드 스크류(42)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승강 모터(40)는 리드 스크류(4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 스크류(42)는 기계실(P)에서 수용 공간(S)까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11)에는 리드 스크류(42)가 통과하는 스크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좌우 내면에는 스티머(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4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10)의 내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가 구비되고 승강 모터(40)에 상기 랙기어와 치합된 피니언 기어가 연결된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승강 기어(40)는 스티머(3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스티머(30)는 전후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스팀바디(31)와, 한 쌍의 스팀 바디(31)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2)와, 연결부(32)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스팀바디(3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스팀바디(31)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는 한 쌍의 스팀바디(31)의 사이로 들어올 수 있다.
한 쌍의 스팀 바디(31)는 프론트 스팀바디(31A)와 리어 스팀바디(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는 프론트 스팀바디(31A)와 리어 스팀바디(31B)의 사이로 들어올 수 있다.
프론트 스팀바디(31A)는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의 전면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고, 리어 스팀바디(31B)는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의 배면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각 스팀 바디(31)에는 의류(C)를 향하는 복수개의 스팀 분사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팀 분사부(31C)는 홀 또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스팀 분사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스팀바디(31B)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스팀 분사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2)는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단부와 리어 스팀바디(31B)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좌측 단부 및 리어 스팀바디(31B)의 좌측 단부는 연결부(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우측 단부 및 리어 스팀바디(31B)의 우측 단부는 연결부(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스팀바디(31A), 리어 스팀바디(31B) 및 한 쌍의 연결부(32)는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가 통과하는 단일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수평 방향에 대해 스티머(30)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연장부(33)는 연결부(32)에서 캐비닛(10)의 측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느 하나의 연장부(33)는 프론트 스팀바디(31A) 및 리어 스팀바디(31B) 각각의 좌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연장부(33)는 프론트 스팀바디(31A) 및 리어 스팀바디(31B) 각각의 우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스티머(30)는 한 쌍의 연결부(32)와, 그에 연결된 한 쌍의 연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모터(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연장부(33)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 모터(50)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브라켓(52)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티머(30)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는 회전 모터(5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 브라켓(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티머(30)의 양 단부가 각각 회전 모터(50)에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로써, 스티머(30)는 회전 모터(50)에 의해 회전하여 의류에 접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승강하며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C)의 주름이나 구김을 효과적으로 펼 수 있다. 또한, 의류(C)에 다양한 각도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티머(30), 좀 더 상세히는 연장부(33)에는 회전 모터(50)가 장착되는 회전모터 브라켓(51)이 체결될 수 있다.
회전모터 브라켓(51) 및 가이드 브라켓(52)에는 가이드바(41)가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티머(30)와, 가이드 브라켓(52)와, 회전모터 브라켓(51)과, 회전 모터(50)는 가이드바(41)에 의해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스티머(30)에는 스팀 주입부(33A)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팀 주입부(33A)는 연장부(3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장치(150)에 연결된 스팀 가이드관(160)는 스팀 주입부(33A)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 발생장치(150)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티머(3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스팀 주입부(33A)는 스티머(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팀 주입부(33A)는 연장부(33)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장부(3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티머 연결부와, 상기 스티머 연결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스팀 가이드관(160)이 연결되는 가이드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 주입부(33A)가 체결된 연장부(33)는, 상기 스티머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파트와, 상기 스티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된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스티머(30)가 회전하더라도 스팀 주입부(33A)는 계속 하측을 향하여 스팀 가이드관(16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티머(30)의 내부에는 스팀 주입부(33A)로 주입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31C)로 안내하는 이너 스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팀유로는 연장부(33)와, 연결부(32)와, 스팀 바디(31)의 내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 분사부(31C)에서 스팀이 의류(C)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스팀 가이드관(16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스팀 발생장치(150)와 스티머(30)를 연결할 수 있다. 스팀 가이드관(160)은 스팀 발생장치(150)에서 발생한 스팀을 스티머(30)의 스팀 주입부(33A)로 안내할 수 있다.
스팀 가이드관(16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가이드관(160) 내에서 스팀이 응결되더라도, 응결된 물은 스팀 가이드관(160) 내부에 고이지 않고 스팀 발생장치(150)로 낙하하여 스팀으로 재가열될 수 있다.
구획판(11)에는 스팀 가이드관(160)이 통과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팀 가이드관(160)은 길이 가변되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스팀 가이드관(160)은 스티머(30)의 승강에 따라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스팀 가이드관(160)은 길이 가변되는 안테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스팀 가이드관(160)은 스티머(30)가 승강하더라도 항상 수직방향을 유지하며 스팀을 원활하게 스티머(30)로 안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팀 가이드관(160)은 스팀 발생장치(150)에 연결된 인렛 가이드관(161)과, 스티머(30)에 연결된 아웃렛 가이드관(16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가이드관(160)은 인렛 가이드관(161)과 아웃렛 가이드관(162)을 연결하는 연결 가이드관(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렛 가이드관(161)과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인렛 가이드관(161)과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연결 가이드관(163)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팀 발생장치(150)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승하여 인렛 가이드관(16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인렛 가이드관(16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인렛 가이드관(161)은 구획판(11)에 형성된 관통공(11A)을 통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렛 가이드관(161)은 구획판(11)의 상면에 장착되고 별도의 배관에 의해 스팀 발생장치(15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스티머(30)의 하측에서 스팀 주입부(33A)에 연결될 수 있다.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스티머(3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스팀은 상승하여 스티머(30)로 주입될 수 있다. 아웃렛 가이드관(16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관(163)은 인렛 가이드관(161)과 아웃렛 가이드관(162)을 연통시킬 수 잇다. 인렛 가이드관(161)의 스팀은 연결 가이드관(163)을 통과하여 아웃렛 가이드관(162)으로 상승할 수 있다.
연결 가이드관(163)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가이드관(163)이 하나인 경우, 스팀 가이드관(160)은 3단 길이가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 가이드관(163)이 3개인 경우 스팀 가이드관(160)은 5단 길이가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이드관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팀 가이드관(160)은 인렛 가이드관(161)과, 아웃렛 가이드관(162)과, 연결 가이드관(163)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 가이드관(161), 아웃렛 가이드관(162) 및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부는 서로 연통되어 스팀이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렛 가이드관(161)의 상단에는 연결 가이드관(162)이 통과하는 제1통공(161B)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관(163)은 상기 제1통공(161B)을 통과하여 인렛 가이드관(16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연결 가이드관(163)은 상하로 이동하여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인렛 가이드관(161)의 상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경은 연결 가이드관(163)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둘레와 연결 가이드관(163)의 외둘레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차에 의해 연결 가이드관(163)이 인렛 가이드관(161)에 대해 원활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통공(161B)의 내둘레에는 연결 가이드관(163)의 외둘레에 접하는 제1실링(16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164)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164)은 오 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실링(164)은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둘레와 연결 가이드관(163)의 외둘레 사이의 틈으로 스팀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실링(164)은 연결 가이드관(163)을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하여, 연결 가이드관(163)이 인렛 가이드관(161)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며 상하 이동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연결 가이드관(163)의 하단에는 제1통공(161B)의 하단 주변부에 걸리는 제1걸림부(16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63A)는 연결 가이드관(163)의 하단부 외둘레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또는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63A)와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둘레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인렛 가이드관(161)의 상단에 형성된 제1통공(161B)의 직경은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둘레와 제1통공(161B)의 내둘레는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63A)는 인렛 가이드관(161)의 내둘레와 제1통공(161B)의 내둘레를 연결하는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연결 가이드관(163)이 상승하여 인렛 가이드관(161)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가이드관(163)의 상단에는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통과하는 제2통공(163B)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상기 제2통공(163B)을 통과하여 연결 가이드관(163)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상하로 이동하여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아웃렛 가이드관(163)의 상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경은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둘레와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외둘레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차에 의해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연결 가이드관(163)에 대해 원활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2통공(163B)의 내둘레에는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외둘레에 접하는 제2실링(165)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165)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164)은 오 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실링(165)은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둘레와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외둘레 사이의 틈으로 스팀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실링(165)은 아웃렛 가이드관(162)을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하여,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연결 가이드관(163)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며 상하 이동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하단에는 제2통공(163B)의 하단 주변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16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162A)는 아웃렛 가이드관(163)의 하단부 외둘레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또는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162A)와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둘레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관(163)의 상단에 형성된 제2통공(163B)의 직경은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둘레와 제2통공(163B)의 내둘레는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162A)는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둘레와 제2통공(163B)의 내둘레를 연결하는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상승하여 연결 가이드관(162)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이드관(16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스팀 발생장치(150)에서 발생한 스팀은 상승하여 스팀 가이드관(1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스팀 가이드관(160) 내로 유입된 스팀은 인렛 가이드관(161), 연결 가이드관(163) 및 아웃렛 가이드관(16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스티머(130)로 주입될 수 있다.
승강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스티머(30)가 상승하면, 스티머(30)에 체결된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스티머(30)와 함께 상승한다. 이 경우,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연결 가이드관(163)의 제2통공(163B)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스팀 가이드관(16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스티머(30)가 계속 상승하여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제2걸림부(162A)가 연결 가이드관(163)의 제2통공(163B) 하단부 주변에 걸리면, 연결 가이드관(163)이 인렛 가이드관(161)의 제1통공(161B)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스팀 가이드관(160)의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스티머(30)는 연결 가이드관(163)의 제1걸림부(163A)가 인렛 가이드관(161)의 제1통공(161B) 하단부 주변에 걸릴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스티머(30)가 하강하면, 스티머(30)에 체결된 아웃렛 가이드관(162)은 스티머(30)와 함께 하강한다. 이 경우, 연결 가이드관(163)이 인렛 가이드관(161)의 제1통공(161B)을 통해 인렛 가이드관(161)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스팀 가이드관(160)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스티머(30)가 계속 하강하여 연결 가이드관(163)이 인렛 가이드관(161) 내로 완전히 수용되면, 아웃렛 가이드관(162)이 연결 가이드관(163)의 제2통공(163B)을 통해 연결 가이드관(163)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스팀 가이드관(160)의 길이가 더 줄어들 수 있다.
스티머(30)는 아웃렛 가이드관(162)의 제2걸림부(162A)가 연결 가이드관(163)의 내부로 완전히 수용될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앞서 설명한 승강 모터(40), 회전 모터(50) 및 스팀 발생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회전 모터(5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스팀 발생장치(150)를 제어하여 스티머(30)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와 회전 모터(50)를 동시에 제어하여 스티머(30)의 승강 및 회전동작을 조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의류(C)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캐비닛 11: 구획판
11A: 관통공 20: 의류 지지유닛
30: 스티머 33A: 스팀 주입부
40: 승강모터 50: 회전모터
80: 컨트롤러 150: 스팀 발생장치
160: 스팀 가이드관 161: 인렛 가이드관
161B: 제1통공 162: 아웃렛 가이드관
162A: 제2걸림부 163: 연결 가이드관
163A: 제1걸림부 163B: 제2통공
164: 제1실링 165: 제2실링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전후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다수의 스팀 분사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스팀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스팀 바디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놓인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티머;
    상기 스티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
    상기 승강 모터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세워져서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
    상기 스티머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바;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바디를 회전시키고, 상기 리드 스크류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회전 모터;
    상기 스티머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티머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와 상기 스티머를 연결하며 상기 스티머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스팀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이드관은 길이 가변되는 다단 구조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이드관은,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 연결된 인렛 가이드관;
    상기 스티머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머와 함께 승강하는 아웃렛 가이드관; 및
    상기 인렛 가이드관과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을 연결하고 상기 인렛 가이드관 및 아웃렛 가이드관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연결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가이드관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상단에는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제2통공이 형성된 의류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의 내둘레에는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외둘레에 접하는 제1실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통공의 내둘레에는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의 외둘레에 접하는 제2실링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하단에는 상기 제1통공의 하단 주변부에 걸리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의 하단에는 상기 제2통공의 하단 주변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의류 처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가이드관의 내경은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연결 가이드관의 내경은 상기 아웃렛 가이드관의 외경보다 큰 의류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이드관은 수직하게 배치된 의류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가 배치되며 구획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된 기계실이 더 형성된 의류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스팀 가이드관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의류 처리장치.
KR1020190024365A 2018-02-28 2019-02-28 의류 처리장치 KR102604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65A KR102604943B1 (ko) 2019-02-28 2019-02-28 의류 처리장치
US17/434,197 US11840795B2 (en) 2018-02-28 2020-02-28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20/002901 WO2020175959A1 (ko) 2019-02-28 2020-02-28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0762069.1A EP3933098B1 (en) 2019-02-28 2020-02-28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65A KR102604943B1 (ko) 2019-02-28 2019-02-28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33A KR20200105333A (ko) 2020-09-07
KR102604943B1 true KR102604943B1 (ko) 2023-11-22

Family

ID=7247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365A KR102604943B1 (ko) 2018-02-28 2019-02-28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9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49B1 (ko) * 2005-03-25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레쉬 장치
KR100841308B1 (ko) * 2005-04-22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KR100808193B1 (ko) * 2006-05-10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101672280B1 (ko)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5557B1 (ko) 2013-07-10 2014-08-01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33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5502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48669B2 (ja) 衣類および衣服を洗濯し、洗浄し、乾燥させて、アイロンをかけるための機械
ITBS20110038A1 (it) Sistema per il lavaggio di indumenti in installazioni idrauliche come docce, vasca-doccia combinate e simili
KR20190053329A (ko) 옷을 자동으로 접어주는 기능과 살균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물 보관함
KR102630196B1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3614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604943B1 (ko) 의류 처리장치
US2022012777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710392B1 (ko) 의류처리장치
EP3933098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336126B1 (ko) 수납 기능을 갖는 세탁기
CN107130418B (zh) 衣物处理设备
KR20110099913A (ko) 의류처리장치
ITFI20150018U1 (it) Asciugabiancheria pensile
WO2013080137A2 (en) Equipment for stain removing, washing, drying and ironing clothes
WO2021176292A1 (es) Maquina de planchado y alisado de telas en forma automática con funcionamiento inercial
KR20220079312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150029438A (ko) 의류 관리 장치
ITBS20130018A1 (it) Sistema per il lavaggio di indumenti in installazioni idrauliche come docce, vasca-doccia combinate e simili
AU2014208203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TBS20080146A1 (it) Macchina per smacchiare, lavare, asciugare e stirare panni e indumen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