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400B1 -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400B1
KR102604400B1 KR1020180162357A KR20180162357A KR102604400B1 KR 102604400 B1 KR102604400 B1 KR 102604400B1 KR 1020180162357 A KR1020180162357 A KR 1020180162357A KR 20180162357 A KR20180162357 A KR 20180162357A KR 102604400 B1 KR102604400 B1 KR 10260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re earth
support body
powder
air injec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789A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01F35/184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30Mixing gase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는 희토류 고형분을 믹싱하는 믹서기의 통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몸통; 내측에 지지몸통을 마련하며, 믹싱 과정 중 믹서기의 통 바깥으로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이 유입되는 분말유입통; 분말유입통의 하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희토류 분말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희토류 분말이 유입된 지지몸통과 분말유입통 간의 틈새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희토류 분말이 포집부 쪽으로 모이도록 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OF RARE EARTH SOLIDS}
본 발명은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규소강판 표면에 도포되는 절연코팅층은 규소강판 적층 시 와전류 손실 감소와 함께 표면층에 장력을 부여하여 저철손, 고자속 특징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최근에는 절연코팅층을 새라믹층으로 만들어주는 고형분 대신에 절연코팅층의 품질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서 고가의 희토류 고형분을 첨가시키는 추세다.
종래에는 규소강판 표면에 도포되는 절연코팅 용액에 첨가되는 고가의 희토류 고형분을 믹서기를 통해 제조하는 과정 중, 믹서기 바깥 주변으로 희토류 분말이 비산 및 낙하되어 낭비될 수 있었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나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희토류 고형분을 믹싱하는 믹서기의 통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몸통; 내측에 상기 지지몸통을 마련하며, 믹싱 과정 중 상기 믹서기의 통 바깥으로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이 유입되는 분말유입통; 상기 분말유입통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된 희토류 분말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희토류 분말이 유입된 상기 지지몸통과 상기 분말유입통 간의 틈새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희토류 분말이 상기 포집부 쪽으로 모이도록 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말유입통은 상기 틈새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관통구와 연결된 에어분사노즐과, 상기 에어분사노즐을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몸통의 외면에는 상기 에어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가 상기 틈새공간으로 흘러 가도록 나선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통의 하부에는 스프링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믹서기의 통에 상기 희토류 고형분이 채워져 상기 믹서기의 통의 중량에 의해 상기 지지몸통이 내려가 상기 관통구가 개방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틈새공간으로 상기 에어분사노즐에 의한 에어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믹서기에 의한 믹싱이 완료된 희토류 고형분이 제거되어 상기 믹서기의 통의 중량이 감소하여 상기 지지몸통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올라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상기 지지몸통과 상기 분말유입통 간 설정된 위치에서 밀착이 이루어져 상기 관통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지지몸통과 상기 분말유입통은 상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설정된 부위까지 점점 줄어들다가 해당 설정된 부위에서 하단까지 점점 커지는 곡면 형상을 갖는 원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는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희토류 고형분 포집 작업이 완료된 도 1의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100)는 희토류 고형분을 믹싱하는 믹서기(10)의 통(2)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몸통(110)과, 내측에 지지몸통(110)을 마련하며, 믹싱 과정 중 믹서기(10)의 통(2) 바깥으로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이 유입되는 분말유입통(120)과, 분말유입통(120)의 하부에 마련되며, 분말유입통(120) 내부로 유입된 희토류 분말을 포집하는 포집부(130)와, 희토류 분말이 유입된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 간의 틈새공간(S)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희토류 분말이 포집부(130) 쪽으로 모이도록 하는 에어분사부(140)를 포함한다.
믹서기(10)는 통(2) 내부에 마련된 믹싱수단을 통해 희토류 고형분을 믹싱하여 제조한다. 믹싱수단은 믹싱 날개(22)와, 날개(22)를 회전시키는 모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기(10)의 통(2)에 희토류 고형분이 채워지면, 그 무게에 의해 하측의 지지몸통(110)을 누르게 되며, 지지몸통(110)의 하부에는 스프링부재(115)가 마련되어 하중에 의해 지지몸통(110)이 내려오게 된다.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은 상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설정된 부위까지 점점 줄어들다가 해당 설정된 부위에서 하단까지 점점 커지는 곡면 형상을 갖는 원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측에 지지몸통(110)을 마련한 분말유입통(120)과 지지몸통(110) 사이에는 틈새공간(S)이 형성되며, 믹싱 과정 중 믹서기(10)의 통(2) 바깥으로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particle)이 해당 틈새공간(S)으로 유입된다.
분말유입통(120) 상단 주변부에는 믹서기(10)의 통(2) 하단 주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 너비로 펴진 스크린망(122)이 마련되어, 믹서기(10)의 통(2) 바깥으로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이 분말유입통(120)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어, 분말유입통(120)과 지지몸통(110) 사이의 틈새공간(S)으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또, 분말유입통(120)은 틈새공간(S)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구(120a)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관통구(120a)는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 간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의 형상으로 인해 믹서기(10)의 통(2)이 비어있는 상태에서는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 간 설정된 위치에서 밀착이 이루어져 관통구(120a)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반면, 믹서기(10)의 통(2)에 희토류 고형분이 채워져 믹서기(10)의 통(2)의 중량에 의해 지지몸통(110)이 내려가면 관통구(120a)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에어분사부(140)는 관통구(120a)와 연결된 에어분사노즐(142)과, 에어분사노즐(142)을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기(10)의 통(2)에 희토류 고형분이 채워져 믹서기(10)의 통(2)의 중량에 의해 지지몸통(110)이 내려가 관통구(120a)가 개방된 상태가 되면, 공기주입부(144)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관통구(120a)를 통하여 분말유입통(120)과 지지몸통(110) 사이의 틈새공간(S)으로 에어분사노즐(142)에 의해 분사된다.
지지몸통(110)의 외면에는 에어분사노즐(142)을 통해 분사된 에어가 틈새공간(S)으로 효과적으로 흘러 들어가 희토류 분말을 포집부(130)로 모으도록 복수의 나선형의 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홈(110a)은 관통구(120a)와 대응되는 위치 및 그 아래쪽의 지지몸통(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분사노즐(142)을 통해 분사된 에어가 선풍(旋風)을 일으켜 효과적으로 희토류 분말이 포집부(130)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포집부(130)는 분말유입통(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틈새공간(S)을 통해 유입된 희토류 분말을 포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믹서기(10)에 의해 믹싱이 완료된 희토류 고형분이 믹서기(10)의 통(2)에서 비워져서 통(2)의 중량이 감소하면, 지지몸통(110)이 스프링부재(115)의 복원력에 의해 올라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 간 설정된 위치에서 밀착이 이루어져 관통구(120a)가 폐쇄된다. 지지몸통(110)과 분말유입통(120)의 형태 상 서로 중간 부위에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믹서기 통 110: 지지몸통
115: 스프링부재 120: 분말유입통
130: 포집부 140: 에어분사부
142: 에어분사노즐 144: 공기주입부
S: 틈새공간

Claims (5)

  1. 희토류 고형분을 믹싱하는 믹서기의 통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몸통;
    내측에 상기 지지몸통을 마련하며, 믹싱 과정 중 상기 믹서기의 통 바깥으로 비산 및 낙하하는 희토류 분말이 유입되는 분말유입통;
    상기 분말유입통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된 희토류 분말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희토류 분말이 유입된 상기 지지몸통과 상기 분말유입통 간의 틈새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희토류 분말이 상기 포집부 쪽으로 모이도록 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유입통은 상기 틈새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관통구와 연결된 에어분사노즐과,
    상기 에어분사노즐을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통의 외면에는 상기 에어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가 상기 틈새공간으로 흘러 가도록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통의 하부에는 스프링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믹서기의 통에 상기 희토류 고형분이 채워져 상기 믹서기의 통의 중량에 의해 상기 지지몸통이 내려가 상기 관통구가 개방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틈새공간으로 상기 에어분사노즐에 의한 에어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기에 의한 믹싱이 완료된 희토류 고형분이 제거되어 상기 믹서기의 통의 중량이 감소하여 상기 지지몸통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올라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상기 지지몸통과 상기 분말유입통 간 설정된 위치에서 밀착이 이루어져 상기 관통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지지몸통과 상기 분말유입통은 상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설정된 부위까지 점점 줄어들다가 해당 설정된 부위에서 하단까지 점점 커지는 곡면 형상을 갖는 원통으로 마련된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KR1020180162357A 2018-12-14 2018-12-14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KR10260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357A KR102604400B1 (ko) 2018-12-14 2018-12-14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357A KR102604400B1 (ko) 2018-12-14 2018-12-14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789A KR20200073789A (ko) 2020-06-24
KR102604400B1 true KR102604400B1 (ko) 2023-11-20

Family

ID=7140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57A KR102604400B1 (ko) 2018-12-14 2018-12-14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4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4B1 (ko) 2016-06-22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원료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용 원료혼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94352A1 (en) * 2012-07-24 2015-02-26 Nepuree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food mill
KR101731524B1 (ko) * 2014-04-29 2017-04-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분말 제조장치용 사이클론 및 이를 포함하는 나노분말 제조 장치
EP3025786A1 (en) * 2014-11-28 2016-06-01 Omya International AG Apparatus for simultaneous grinding and froth flotation
KR20160072352A (ko) * 2014-12-12 2016-06-23 동보씨엠텍산업(주) 저위투입구 믹서로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4B1 (ko) 2016-06-22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원료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용 원료혼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789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052B1 (ko) 도포막 형성 장치
EP3540320A1 (en) Water-dripping noise elimination mechanism and atomizer
CN105750107A (zh) 喷洒装置和具有其的无人机
KR102604400B1 (ko)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JP2017030859A (ja) 粒状物の回転式計量充填装置
CN206587639U (zh) 适合短纤维或粉剂物料混合匀质调湿的自控搅拌装置
CN103447191A (zh) 一种控制气溶胶污染的超声波雾化装置
CN106076981A (zh) 物体表面清洗装置、方法及清洗冰球的制备方法
KR102604406B1 (ko) 노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CN209428109U (zh) 一种粉液混合防溅漏斗
CN109550623A (zh) 一种提高多晶硅铸锭用坩埚内表面粗糙度的方法
CN207385735U (zh) 压电陶瓷喷射阀喷嘴口防挂液结构
CN108211888A (zh) 一种带有分散装置的涂料分散机械设备
KR100983668B1 (ko) 언로더 호퍼
US2981450A (en) Dispensing spout
CN205770741U (zh) 塑胶色粉称量容器
CN207917668U (zh) 一种防堵塞的碳粉投料设备
CN209393313U (zh) 一种研香器
CN207221458U (zh) 一种金属漆过滤器
KR101576722B1 (ko) 도전성 볼 탑재 헤드
JP3207505U (ja) コーヒー抽出装置
CN209155941U (zh) 一种釉浆研磨机
JP2014112588A (ja) 洗浄装置
CN215744353U (zh) 清除堵塞喷嘴的速干材料用的溶剂槽
CN214485794U (zh) 辅助填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