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843B1 -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843B1
KR102602843B1 KR1020210190718A KR20210190718A KR102602843B1 KR 102602843 B1 KR102602843 B1 KR 102602843B1 KR 1020210190718 A KR1020210190718 A KR 1020210190718A KR 20210190718 A KR20210190718 A KR 20210190718A KR 102602843 B1 KR102602843 B1 KR 10260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secondary winding
current
thyristor
re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989A (ko
Inventor
윤광희
김희진
전경한
Original Assignee
(주)파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닉스 filed Critical (주)파워닉스
Priority to KR102021019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8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64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the stepless control of reactive power is obtained by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miconductor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1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 Measuring apparent energy
    • G01R21/003Measuring reactive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2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or power factor or reactive power compensating or correct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1차권선, 2차권선, 제 1 사이리스터 및 제 2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는 자계 제어 리액터(MCR);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의 상기 1차권선에 상기 2차권선의 직류(DC) 전류에 대응하는 지상 무효 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1차권선의 턴수 중 일부 턴수에 대응하는 지점에 탭핑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전압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상기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이용하여 무효 전력 공급 장치의 자계 제어 리액터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에 따라 동작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DEVICE PROVIDING LAGGING REACTIVE POWER IN A MAGNETICALLY CONTROLLED MANNER}
본 개시 내용은 자계 제어 리액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계통을 운용함에 있어 계통에 적용되는 유도성 부하에 기인한 지상 무효 전력 및 계통에 적용되는 장거리 선로 및 용량성 부하에 기인한 진상 무효 전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효 전력들은 전력 계통에서의 전력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계통에서의 전력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전자 소자를 이용하는 유연송전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의 개발 및 공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사이리스터를 활용하여 커패시터 및 리액터를 투입/개방하여 진상 또는 지상 무효 전력을 공급하여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설비이다.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방식 중 자계 제어 방식으로 전력 계통에 연속적으로 지상 무효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최근에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전력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리액터가 자계 제어를 통해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나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야 하는 특성상 이를 테스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전력 계통에 연결되는 자계 제어 방식의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 내용은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효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전압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는, 1차권선 및 2차권선을 포함하는 자계 제어 리액터(MCR) - 상기 1차권선은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가 상기 전력 계통에 연결될 때 상기 전력 계통과 병렬로 연결됨 -; 및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의 상기 1차권선에 상기 2차권선의 직류(DC) 전류에 대응하는 지상 무효 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는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1 사이리스터와 역병렬로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는 상기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탭핑(tapping)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N 및 a는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N 및 a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에 의해 인가되는 상기 시험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시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상기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a/N에 상기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을 곱한 값을 상기 시험 전압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양측 주각(York)들을 포함하고 각 주각에 상기 1차권선 및 상기 2차권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리스터는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는 다른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는 각 주각의 상기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상기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또는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오프시 유도성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와 연결된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의 1차권선 측의 상기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전류센서(C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1차권선 측의 출력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을 가지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의 자계 제어 리액터(MCR)의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탭핑에 의해 시험 전압 제공부를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 ― N 및 a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상기 1차권선, 2차권선, 제 1 사이리스터 및 제 2 사이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권선은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가 전력 계통에 연결될 때 상기 전력 계통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사이리스터는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와 역병렬로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됨 ―; 상기 N 및 a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에 의해 인가되는 시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시험 전압은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음 ―; 및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로의 상기 결정된 시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2차권선의 직류(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상기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점호각 제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이용하여 무효 전력 공급 장치의 자계 제어 리액터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에 따라 동작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종래의 사이리스터 제어 리액터에 비하여 2차 권선의 전류를 제어하므로, 사이리스터 밸브가 저압에 적용될 수 있고 사이리스터에 전류가 적게 흐르고 손실도 적기 때문에, 사이리스터 밸브의 절연 및 방열 설계 및 제작을 절감된 비용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계 제어 방식의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자계 제어 리액터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자계 제어 리액터의 2차 권선에서 발생한 직류 전류에 따른 1차 권선의 전류 발생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공급을 위한 자계 제어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계 제어 리액터가 전력 계통으로 무효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에 자계 제어 방식으로 무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자계 제어 리액터(MCR: Magnetically Controlled Reactor)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에 연속적으로 지상 무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및 이러한 지상 무효 전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에 따라 동작하는지 시험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계 제어 리액터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계 제어 리액터는 철심에 1차권선 및 2차권선이 감겨있는 변압기와 유사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변압기는 리액턴스의 성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유하고 있는 철심을 통하여 하나의 권선(예를 들어, 2차권선)에서 교류(AC) 전압을 발생시키면 자속의 시간 변화에 따라 다른 권선(예를 들어, 1차권선)에서도 AC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자계 제어 리액터는 변압기와 다르게 2차권선에 직류(DC) 전류(도 1의 DC 소스 E)가 흐르게 하여 자속의 DC 오프셋()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DC 오프셋으로 인해 철심의 자화가 포화 영역으로 도달하게 되면 정상 영역과 대비하여 1차권선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증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자계 제어 리액터의 2차권선에서 발생한 DC 전류에 따른 1차권선의 전류 발생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2a는 2차권선 내 DC 전류 발생값이 '0'일때 기자력(Hl) 및 자속(Φ)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하며, 도 2b는 2차권선 내 DC 전류 발생값이 '0'이 아닐때 기자력(Hl) 및 자속(Φ)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a에서와 같이, 2차권선 내 DC 전류 발생값이 '0'이면(즉, ), 자계는 포화되지 않아 1차권선에 약간의 지상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b에서와 같이, 2차권선 내 DC 전류가 발생하면(즉, ) 리액터의 철심은 포화되고 1차권선에 발생하는 지상 전류가 크게 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권선에 DC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속의 DC 오프셋이 발생하는 경우, 자계 제어 리액터의 자속(Φ)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은 정현파 진폭이고, w는 각속도이고, 는 자속의 DC 오프셋이다.
자속에 따라 2차권선에 유기되는 전압(e)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차권선의 권선수이다.
상기식과 같이 2차권선에서 DC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시간에 따라 변화가 없으므로 2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는 영향이 없게 된다. 그러나, 자기회로에서는 투자율(μ)이 변화하여 포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기자력(Hl)과 자속(Φ)의 관계는 비선형성을 가진다. 이러한 비선형 관계를 함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H는 자장의 세기(즉, 자계)이고, Hl은 기자력으로서 H에 대한 선적분으로 흐르는 전류와 같다.
기자력(Hl)은 AC 성분과 DC 성분의 전류값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는 AC 전류에 기인하는 기자력 성분이고, 는 DC 전류에 기인하는 기자력 성분이다.
상기식 및 도 2b에서와 같이, DC 전류에 의한 자계의 세기가 0이 아니며 양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2차권선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따라 자계가 포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발생하는 자계에 따라 1차권선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해당 포화 영역에서 일정한 증가 대비 급격히 전류 증폭을 보이게 된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공급을 위한 자계 제어 리액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자계 제어 리액터는 양측 주각(York)에 2개의 변압기 구조의 권선(즉, 1차권선 및 2차권선)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는 전류의 값이 양에서 전류가 증폭되고, 다른 하나는 전류의 값이 음에서 전류가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두 개의 전류가 합쳐져서 출력 전류는 교류파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2차권선에서 발생하는 AC 전류값에 대비하여 1차권선 측에서는 권선비의 역수인 N2/N1(여기서, N1은 1차권선수이고 N2는 2차권선수임)의 비율보다 훨씬 높게 증폭된 전류값을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자계 제어 리액터는 2차권선에 DC 전류를 추가로 발생시킴으로써 1차권선에 증폭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해당 전류는 유도성 전류로서 자계 제어 리액터는 전력 계통에 지상 무효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계 제어 리액터는 전력 계통에 병렬로 설치될 수 있으며, 3상 전력 계통의 경우 각 상에 자계 제어 리액터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1상 당 권선은 사이리스터들(310, 320)의 제어를 통하여 2차권선에 DC 전류를 만들어줄 수 있는 미리 결정된 개수(예를 들어, 8개)로 설계될 수 있다. 사이리스터들(310, 320)은 2차권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역병렬로 연결되어 사이리스터 밸브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리스터(310)는 하나의 주각(예를 들어, 도 3의 왼쪽 주각)의 2차권선에 연결될 수 있고, 사이리스터(320)는 다른 하나의 주각(예를 들어, 도 3의 오른쪽 주각)의 2차권선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양측 주각의 2차권선 사이에는 사이리스터(310 또는 320) 오프시 유도성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이오드(33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330)의 연결방향은 구현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주각으로부터 오른쪽 주각으로 순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반대인 역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계 제어 리액터가 전력 계통으로 무효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자계 제어 리액터는 예컨대 22.9kV와 같은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 계통(200)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력 계통(200)으로 지상 무효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리스터들(310, 320)을 포함하는 DC 전류 공급용 AC-DC 컨버터(400)는 2차권선에 DC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력 계통(200)과 연결된 1차권선 측에서 목표 지상 무효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사이리스터들(310, 320)의 위상 제어를 통해 2차권선에서 발생되는 DC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에 자계 제어 방식으로 무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자계 제어 방식으로 무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 제어부(550), HMI(Human Machine Interface)(560), 전압센서(PT: Potential Transformer)(510), 전류센서(CT: Current Transformer)(5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은 고압 또는 특고압이 흐르는 전력 계통(20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에 DC 전류를 발생시키면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철심이 포화되면서 1차권선에서 발생하는 지상 전류가 크게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2차권선에 발생한 DC 전류에 대응하여 1차권선에서 생성되는 지상 무효 전력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에 따라 계산 또는 예측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계 제어 리액터(500)는 양측 주각에 각각 1차권선 및 2차권선이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자계 제어 리액터(500)는 제 1 사이리스터(310) 및 제 2 사이리스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리스터(310)는 하나의 주각(예를 들어, 왼쪽 주각)의 2차권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사이리스터(320)는 제 1 사이리스터(310)와 역병렬로 다른 하나의 주각(예를 들어, 오른쪽 주각)의 2차권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자계 제어 리액터(500)는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 및 다른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330)는 제 1 사이리스터(310) 및/또는 제 2 사이리스터(320)의 오프시 유도성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에 2차권선에서 발생한 직류(DC) 전류에 대응하는 지상 무효 전력이 발생하도록,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압센서(PT)(510)는 전력 계통(200)과 연결된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 측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부(55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류센서(CT)(520)는 전력 계통(200)과 연결된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 측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550)로 제공할 수 있다. HMI(560)는 운용자가 시스템 설정, 시스템 상태 감시 및 시스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소정의 통신망(예를 들어, RS-485 등과 같은 해당 설비에 적용된 통신망)을 통해 제어부(5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HMI(560)는 전력 시스템에서 보상되어야 할 목표 무효 전력값을 예측 또는 설정하고, 전력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중앙처리유닛(CPU), 구동부, 전압검출부 및 전류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제어부(550)의 각 유닛을 제어하고 무효 전력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중앙처리유닛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다른 처리 유닛이 추가되거나 통합된 형태일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550)의 제어에 따라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 1 사이리스터(310) 및/또는 제 2 사이리스터(320)의 위상제어(즉, 점호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압검출부는 전압센서(510)로부터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제어부(550)로 전달할 수 있고, 전류검출부는 전류센서(520)로부터 출력 전류를 수신하여 제어부(5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전압센서(510) 및 전류센서(520)로부터 측정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자계 제어 리액터(500)에서 발생하는 무효 전력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발생된 무효 전력값으로부터 설정된 목표 무효 전력값에 도달하도록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된 지상 무효 전력값이 3MVAR이고 목표 지상 무효 전력값이 5MVAR인 경우, 제어부(550)는 추가로 2MVAR의 지상 무효 전력이 더 발생할 수 있도록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어부(55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예를 들어, 1도 등) 제 1 사이리스터(310) 및/또는 제 2 사이리스터(320)의 점호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에서 발생된 무효 전력값이 설정된 목표 무효 전력값에 도달할 때까지 전술한 2차권선의 DC 전류 조정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설정된 목표 무효 전력값이 자계 제어 리액터(500)에서 발생되는 무효 전력값보다 큰 경우에 사이리스터들(310, 320)의 점호각을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 증가시키고 다시 발생된 무효 전력값과 목표 무효 전력값을 비교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발생된 무효 전력값이 목표 무효 전력값에 가까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설정된 목표 무효 전력값이 자계 제어 리액터(500)에서 발생되는 무효 전력값보다 작은 경우에 사이리스터들(310, 320)의 점호각을 미리 결정된 위상만큼 감소시키고 다시 발생된 무효 전력값과 목표 무효 전력값을 비교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발생된 무효 전력값이 목표 무효 전력값에 가까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무효 전력 공급 장치는 사이리스터의 위상 제어를 통해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전력 계통과 연결되는 1차권선 측에 무효 전력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사이리스터가 고압의 전력 계통에 연결되지 않고 저압에서 동작할 수 있어 저전류 및 저손실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고조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리스터 밸브의 절연 및 방열 설계 및 제작을 절감된 비용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고조파로 인한 모선 내 타 설비로의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리액터의 구조가 변압기와 유사한 2개 권선 구조를 가짐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킨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자계 제어 방식의 무효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계통에 적용되기 전에, 제조 공장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효 전력 공급 장치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에 따라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예를 들어, 7.2kV 이상의 특고압)에 연결하여 시험하는 경우에, 리액터는 사이리스터를 제어함에 따라 100% 무효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제조 공장의 수전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시험이 불가능하여 검증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조 공장에서 무효 전력 공급 장치에 수전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저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자속 포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역시 검증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이용하면서도 무효 전력 공급 장치의 자계 제어 리액터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에 따라 동작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시험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효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전압 제공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 전압 제공부(600)는 시험 전압을 발생시키는 AC 전압원(61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험 전압 제공부(60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즉, 도 6의 C 지점 및 D 지점)에 탭핑(tapping)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N 및 a는 양의 정수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전압 제공부(600)는 각 주각의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A 및 B 지점은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 측이 실제 전력 계통에 연결될 때 전력 계통에 병렬로 연결되는 지점이다. 도 6과 같이 시험 전압 제공부(600)가 C-D 단에 연결되는 경우에, 도 5의 전압센서(PT)(510) 및 전류센서(CT)(520)는 시험 전압 제공부(600)와 연결되어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 측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5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1차권선의 턴수(N) 및 탭턴수(a)에 기초하여 시험 전압 제공부(600)에서 인가될 시험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어부(550)는 a/N에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을 곱한 값을 시험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이 10kV이고, 1차권선의 턴수(N)=8이고, 탭턴수(a)=2이면, 시험 전압 제공부(600)에서 인가될 시험 전압은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의 1/4인 2.5kV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개시 내용은 탭턴수 조정을 통해 정격 전압보다 훨씬 낮은 원하는 시험 전압을 자계 제어 리액터(500)에 인가하더라도 이러한 시험 전압이 1차권선 중 탭부분에 인가됨으로써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 측 출력전류 및 자계 포화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5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험 전압을 결정하고 시험 전압 제공부(600)가 결정된 시험 전압을 자계 제어 리액터(500)로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시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의 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면서 1차권선 측의 출력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자계 제어 리액터(500)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을 가지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은 제조 공장에서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인가하면서도 무효 전력 공급 장치의 자계 제어 리액터(500)에 정격 전압을 인가할 경우(즉, 실제 전력 계통에 연결할 경우)에 자계 제어 리액터(500)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에 따라 정확하게 동작할 것인지 미리 검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계 제어 리액터(500), 제어부(550) 및 시험 전압 제공부(600)를 포함하는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전압 제공부(60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탭핑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710). 제어부(550)는 N 및 a에 기초하여 시험 전압 제공부(600)에 의해 인가되는 시험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720). 제어부(550)는 결정된 시험 전압을 자계 제어 리액터(500)로 인가할 수 있다(730). 제어부(550)는 자계 제어 리액터(500)의 2차권선의 직류(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740).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전력 계통
310, 320: 사이리스터
330: 다이오드
400: AC-DC 컨버터
500: 자계 제어 리액터
510: 전압 센서(PT)
520: 전류 센서(CT)
550: 제어부
560: HMI
600: 시험 전압 제공부
610: AC 전압원

Claims (9)

  1.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효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은 시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전압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는,
    1차권선 및 2차권선을 포함하는 자계 제어 리액터(MCR) - 상기 1차권선은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가 상기 전력 계통에 연결될 때 상기 전력 계통과 병렬로 연결됨 -; 및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의 상기 1차권선에 상기 2차권선의 직류(DC) 전류에 대응하는 지상 무효 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는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1 사이리스터와 역병렬로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는 상기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탭핑(tapping)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고, N 및 a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N 및 a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에 의해 인가되는 상기 시험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시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상기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a/N에 상기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을 곱한 값을 상기 시험 전압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양측 주각(York)들을 포함하고 각 주각에 상기 1차권선 및 상기 2차권선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이리스터는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는 다른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는 각 주각의 상기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상기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주각의 2차권선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또는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오프시 유도성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와 연결된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의 1차권선 측의 상기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전류센서(CT)를 더 포함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1차권선 측의 출력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을 가지는지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7.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의 자계 제어 리액터(MCR)의 1차권선의 턴수(N) 중 일부 턴수(a)에 대응하는 지점에 탭핑에 의해 시험 전압 제공부를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 ― N 및 a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는 상기 1차권선, 2차권선, 제 1 사이리스터 및 제 2 사이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권선은 상기 무효 전력 공급 장치가 전력 계통에 연결될 때 상기 전력 계통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사이리스터는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와 역병렬로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됨 ―;
    상기 N 및 a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 전압 제공부에 의해 인가되는 시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시험 전압은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보다 낮음 ―; 및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로의 상기 결정된 시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2차권선의 직류(DC) 전류에 대응하여 설계된 출력 전류가 상기 1차권선 측에 발생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는 상기 제 1 사이리스터 및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점호각 제어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시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a/N에 상기 전력 계통의 정격 전압을 곱한 값을 상기 시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2차권선의 DC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1차권선 측의 출력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자계 제어 리액터가 설계된 자계 포화 특성을 가지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
KR1020210190718A 2021-12-29 2021-12-29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0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18A KR102602843B1 (ko) 2021-12-29 2021-12-29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18A KR102602843B1 (ko) 2021-12-29 2021-12-29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89A KR20230100989A (ko) 2023-07-06
KR102602843B1 true KR102602843B1 (ko) 2023-11-17

Family

ID=8718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718A KR102602843B1 (ko) 2021-12-29 2021-12-29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8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9775B2 (ja) 2007-02-05 2014-04-02 ブライトマイアー,マックス 変圧器の二次側に整流器エレメントのないac−dcコンバ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631B1 (ko) * 2016-12-23 2018-11-30 (주)파워닉스 한류기 유지 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33596B1 (ko) * 2017-09-12 2019-10-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9775B2 (ja) 2007-02-05 2014-04-02 ブライトマイアー,マックス 変圧器の二次側に整流器エレメントのないac−dcコンバータ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1년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21.7.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89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9307B2 (en) Active filter for resonance reduction
US11336198B2 (en) System for generating a power output and corresponding use
US100686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a magnetic unidirectional flux component of a transformer core
US9013258B2 (en) Rectifier transformer
CN110161288A (zh) 一种输出交直流复合电压的直流支撑电容器测试装置
JP5459775B2 (ja) 変圧器の二次側に整流器エレメントのないac−dcコンバーター
CA3003978C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power intended to supply a consuming appliance from a conductor traversed by an alternating electrical current
KR102602843B1 (ko)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Ismail et al. Automatic voltage stabilization using IGBT based on load tap changer with fault consideration
US9041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linearizing a transformer
KR102598214B1 (ko) 전력 계통에 자계 제어 방식으로 지상 무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98225B1 (ko)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을 전류센서없이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979827B2 (ja) インバータ式x線高電圧装置
CN106876119B (zh) 用于变压器中的dc分量的补偿的电路布置
US10297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a magnetic unidirectional flux component in the core of a three-phase transformer
KR101447703B1 (ko) 3상 6펄스 정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광대역 수동형 고조파필터
JP2021072770A (ja) 漏れ電流用の補償装置
CN115428105A (zh) 无线电力传输系统中的电流感测
CN115602430B (zh) 一种基于铁芯磁化补偿的谐波抑制装置和方法
Harkenthal et al. Automated test systems for distribution transformers–Part I
JP7274209B2 (ja) 電力系統用アクティブフィルタ装置
Rastogi Harmonics Analysis of Indian Rail Electric Locomotive Traction Drives Converters and their Mitigation Techniques.
US10483031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reducing a magnetic unidirectional flux component in the core of a transformer
US20170012561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of secondary excitation device, and variable speed pumped-storage generating system
Lu et al. Rectifier transformer saturation on commutation fai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