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792B1 -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792B1
KR102602792B1 KR1020200152087A KR20200152087A KR102602792B1 KR 102602792 B1 KR102602792 B1 KR 102602792B1 KR 1020200152087 A KR1020200152087 A KR 1020200152087A KR 20200152087 A KR20200152087 A KR 20200152087A KR 102602792 B1 KR102602792 B1 KR 10260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ata
gutter
main body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497A (ko
Inventor
방지웅
이중섭
이재한
김진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5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에 이용되는 배지의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배치되는 거터; 상기 트레이가 상기 거터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거터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트레이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구; 상기 접속구에 설치되는 프로브; 상기 거터에 설치된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로드셀을 들어올리는 액츄에이터; 상기 지지부 일측에 위치하는 센서 본체; 및 상기 로드셀과 상기 센서 본체와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는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A monitoring apparatus for medium environment}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에 이용되는 배지의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액재배는 생육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배지에 심어진 식물에 알맞은 농도로 조절된 양액을 공급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오이, 토마토, 방울토마토, 고추, 상추, 미나리, 장미, 카네이션 등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양액재배 농법을 사용하면 식물의 생육상황을 보다 완전하게 통제할 수 있다. 이는, 필요한 수분, 양분 등을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식물 생육에 필요한 만큼의 공급을 최적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물의 생육 촉진 뿐 아니라 출하시기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식물이 심어지는 배지의 종류에 따라 무기물 배지와 유기물 배지로 나뉘며, 무기물 배지로는 펄라이트, 암면, 모래, 자갈, 폴리우레탄 폼, 버미큘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유기물 배지로는 피트모스, 코코섬유, 왕겨, 훈탄 등이 사용된다. 이외에도 배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배지경도 있다.
양액재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물 생육에 필요한 만큼의 양분 공급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는 식물이 심어진 배지 상태의 세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 어려움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1에는 식물이 심어진 배지의 무게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감지되는 배지 상태에 따라 양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양액 공급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배지가 수용되어 지배가 이루어지는 트레이가 다수인 경우, 각각의 트레이에 상기한 센서의 구성을 모두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된 센서에서 측정되는 배지의 상태를 일일이 관찰 및 기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치의 어려움 및 비용 소요의 문제가 있다.
KR 10-1979751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지 트레이를 사용하는 양액재배에 있어서 배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장비를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자동으로 배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배치되는 거터; 상기 트레이가 상기 거터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거터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트레이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구; 상기 접속구에 설치되는 프로브; 상기 거터에 설치된 상기 트레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로드셀을 들어올리는 액츄에이터; 상기 지지부 일측에 위치하는 센서 본체; 및 상기 로드셀과 상기 센서 본체와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는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가 상기 거터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로드셀이 상승됨으로써,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트레이 내부의 배지의 무게 데이터가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센서 본체는 상기 접속구에 위치한 상기 프로브와 접함으로써 상기 배지의 상태 데이터가 감지되고, 측정된 상기 배지의 무게 데이터 및 감지된 상기 배지의 상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터를 따라 배치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차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데이터 입력부와 접속 및 분리되며, 상기 데이터 입력부와의 접속에 의해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배지의 데이터가 수집되는 데이터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지의 상태 데이터는 수분 데이터, 전기전도도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pH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하우스 내의 거터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 내 배지의 무게, 함수율, 전기전도도, pH 및 온도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최소한의 장비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거터, 트레이 및 프로브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거터, 트레이 및 프로브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본체부가 트레이 하부에서 정치하여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본체부가 트레이 하부에서 배지 상태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본체부가 데이터 수집부와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는, 다수의 거터(110)를 이용하여 작물 재배를 행하는 재배 장소에서, 다수의 거터(110)에 설치되는 트레이(130) 내의 배지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는, 베드부(100)와 모니터링부(200)를 포함한다.
베드부(100)는, 다수의 트레이(130)가 설치되는 다수의 거터(110)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30)는 내부에 배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는 프로브(141)가 설치되는 접속구(131)가 형성된다.
트레이(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지에는 작물이 재배되는 데에 필요한 양분을 포함하는 양액이 공급되어 보유됨으로써, 배지에 심어진 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141)는 트레이(130) 내부에서 접속구(131)에 설치된다.
접속구(131)는 트레이(130) 하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141)는 접속구(131)에 설치되어 프로브(141) 하부에 위치한 단자부(142)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프로브(141)는 트레이(130)에 수용되는 배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배지의 상태 데이터란, 예를 들면 배지의 수분(함수율), pH, 전기전도도 및 온도 등의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브(141)는 모니터링부(200)에 위치하는 센서 본체(270)와 함께 센서부의 구성을 이루며, 프로브(141)가 센서 본체(27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한 배지의 상태 데이터가 감지된다.
프로브(141)와 센서 본체(270)로 구성되는 센서부는 배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분 센서, 전기전도도 센서, 온도 센서 및 pH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구(131)는 트레이(130) 하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141)가 접속구(131)에 설치되어 프로브(141)의 하부, 즉 단자부(142)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거터(110)는 트레이(13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1)에 의해 하우스 천정에 설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행잉 거터를 예로 들어 설치되나, 그 외, 지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터의 구성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터(110)에는 상기 트레이(130)가 설치되기 위한 수용부(120)가 마련되어, 수용부(120)에 트레이(13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터(110)의 일부가 오목한 공간을 이루고 이 공간 내부에 트레이(130)가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거터(110)의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이 상면에 트레이(130)가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개구부(121)는 수용부(12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개구부(121)는 수용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된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1)의 형태는 상기한 슬릿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통공으로 형성되거나, 수용부(120)가 따로 구비되지 않고 수용부(120)에 해당하는 부분 전체가 개구되어 트레이(130)가 걸쳐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21)는 트레이(130)가 거터(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이(130)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거터(11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브(141)가 설치된 트레이(130)가 거터(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이(130)의 하부면은 거터(110)에 형성된 개구부(121)에 의해 노출되고, 트레이(130)에 설치된 프로브(141)는 접속구(131)와 상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면 된다.
모니터링부(200)는 본체부(210), 이동수단(220), 로드셀(250), 지지부(260), 액츄에이터(230), 센서 본체(270), 데이터 입력부(280) 및 데이터 수집부(30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0)는 거터(110)의 길이방향, 구체적으로는 거터(110)에 설치된 트레이(130) 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로드셀(250)은 본체부(2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260)는 로드셀(250)과 연결되며, 본체부(210) 상부에 위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210)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바(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260)는 상기한 거터(110)의 개구부(121)를 통과하여 트레이(130)를 지지하여 그 하중을 받는 구성으로서, 상기 거터(110)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이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거터(110)의 개구부(121)가 다수의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다수개 돌출된 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구부(121)가 트레이(130) 하부 전체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경우라면 트레이(130) 하부 형태와 대응하는 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260)와 로드셀(250) 사이에는 지지부(260)에 가해지는 하중이 로드셀(250)에 분산되어 가해질 수 있도록 판 형태를 갖는 로드셀 상판(24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로드셀(250)의 상부에 로드셀 상판(240)이 위치하고, 지지부(260)가 로드셀 상판(240) 상부에서 돌출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센서 본체(270)는 지지부(260) 일측에 위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본체(270)는 지지부(260)와 마찬가지로 본체 상부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거터(110)에 형성된 개구부(121) 및 접속구(131)를 통하여 프로브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
센서 본체(270)는 상기한 프로브(141)에서 감지되는 배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230)는 그 동작에 의하여 로드셀(250)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230)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 전기 펌프에 의한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 기구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30)는 로드셀(250)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판(241)과 로드셀(250) 사이에 위치하여, 그 동작에 따라 의해 본체부(210)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30)는 로드셀(250) 하부에 바로 위치할 수도 있다.
이동수단(220)은 상기 본체부(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차륜, 캐터필러, 또는 슬라이딩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터(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130)를 따라 레일(290)을 배치하고, 상기 이동수단(220)은 상기 본체부(210) 또는 베이스판(241)에 설치되며,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차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의 이동수단(220)의 경우에는 본체부(210)를 트레이(130)를 따라 이동 시키도록 하는 조향장치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베드부(100)가 설치되는 하우스 등의 시설 환경의 경우 노면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거터(110)에 설치되는 트레이(130)를 따라 레일(290)을 설치하고, 이동수단(220)으로서 차륜을 구비하여 본체부(210)를 이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조향장치 없이도 좋지 않은 노면 상에서 본체부(210)를 트레이(130)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280)는 본체부(21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250) 및 센서 본체(270)와 연결되어, 로드셀(250) 및 센서 본체(270)로부터의 데이터가 데이터 입력부(280)에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부(280)에는 데이터 수집부(300)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 수단으로서 플러그(28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에는 상기 액츄에이터(230), 로드셀(250) 및 센서 본체(27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81)가 구비되며, 배터리(281)는 데이터 입력부(28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300)는 베드부(100)의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레일(290)이 구비되는 경우, 레일(29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수집부(300)는 본체부(210)의 이동에 의해 데이터 입력부(280)와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부(300)에는 소켓(302)이 구비되고, 데이터 입력부(280)에 구비된 플러그(282)가 접속 소켓(302)에 삽입됨으로써, 데이터 입력부(280)와 데이터 수집부(300)가 접속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수단(220)인 차륜이 동작하여 본체부(210)가 레일(29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대상이 되는 거터(110)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0)는 다수의 거터(110) 중 대상이 되는 거터(110)에 설치된 트레이(130) 하부에 정지한 상태가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0)가 상기 트레이(130) 하부에 정지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30)가 구동하여 본체부(210)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230)의 구동에 의해 본체부(210)에 설치된 로드셀(250) 및 로드셀 상판(240)이 상승하고, 로드셀 상판(240)에 위치하는 지지부(260)가 거터(110)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통과하여 트레이(130)의 하부에 접하게 된다.
이 때, 지지부(260) 일측에 위치한 센서 본체(270)도 트레이(130)에 형성된 접속구(131) 측에 위치한 프로브(141)의 단자부(142)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130)도 거터(110)로부터 상승되면서 트레이(130)의 하중이 지지부(260) 및 로드셀 상판(240)을 통하여 상기 로드셀(250)에 실리게 되어 무게 데이터로서 측정되며, 프로브(141)와 센서 본체(270)가 접함으로써 배지의 상태 데이터가 감지된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배지의 무게 데이터와 감지된 배지 환경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부(280)에 입력된다.
이후, 액츄에이터(230)가 하강 동작하여 본체부(210)가 내려오도록 하고, 이에 따라 트레이(130)도 하강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이동수단(220)이 동작함에 따라 본체부(210)가 다음 대상이 되는 트레이(13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거터(110)에 설치된 트레이(130)의 배지 무게 데이터와 배지 환경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0)는 데이터 수집부(300) 측으로 이동하고, 데이터 입력부(280)의 플러그(282)가 데이터 수집부(300)의 소켓(302)에 삽입되며, 이로써, 데이터 입력부(280)에 입력된 상기 각 데이터가 데이터 수집부(300)에 의해 수집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터리(281)가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 입력부(280)와 데이터 수집부(300)가 접속함으로써 배터리(281)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하우스 내의 거터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 내 배지의 무게, 함수율, 전기전도도, pH 및 온도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최소한의 장비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드부
110: 거터
120: 수용부
121: 개구부
130: 트레이
131: 접속구
141: 프로브
142: 단자부
200: 모니터링부
210: 본체부
220: 이동수단
230: 액츄에이터
240: 로드셀 상판
241: 베이스판
250: 로드셀
260: 지지부
270: 센서 본체
280: 데이터 입력부
281: 배터리
290: 레일
300: 데이터 입력부

Claims (5)

  1.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트레이(130);
    상기 트레이(130)가 배치되는 거터(110);
    상기 트레이(130)가 상기 거터(1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30)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거터(110)에 형성되는 개구부(121);
    상기 트레이(130)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구(131);
    상기 접속구(131)에 설치되는 프로브(141);
    상기 거터(110)에 설치된 상기 트레이(1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본체부(210);
    상기 본체부(21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220);
    상기 본체부(210)에 설치되는 로드셀(250);
    상기 로드셀(250)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260);
    상기 로드셀(250)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액츄에이터(230);
    상기 지지부(260) 일측에 위치하는 센서 본체(270); 및
    상기 로드셀(250)와 상기 센서 본체(270)와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부(28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210)가 상기 거터(110)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230)에 의해 상기 로드셀(250)이 상승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60)가 상기 개구부(121)에 의해 노출된 트레이(130)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트레이(130) 내부의 배지의 무게 데이터가 상기 로드셀(250)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센서 본체(270)는 상기 접속구(131)에 위치한 상기 프로브(141)와 접함으로써 상기 배지의 상태 데이터가 감지되고, 측정된 상기 배지의 무게 데이터 및 감지된 상기 배지의 상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입력부(280)에 입력되는,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110)를 따라 배치되는 레일(2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220)은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290) 상에서 이동 가능한 차륜으로 구성되는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데이터 입력부(280)와 접속 및 분리되며, 상기 데이터 입력부(280)와의 접속에 의해 상기 데이터 입력부(280)에 입력된 배지의 데이터가 수집되는 데이터 수집부(300)를 더 포함하는,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의 상태 데이터는 수분 데이터, 전기전도도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pH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152087A 2020-11-13 2020-11-13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KR10260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87A KR102602792B1 (ko) 2020-11-13 2020-11-13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87A KR102602792B1 (ko) 2020-11-13 2020-11-13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97A KR20220065497A (ko) 2022-05-20
KR102602792B1 true KR102602792B1 (ko) 2023-11-16

Family

ID=8180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87A KR102602792B1 (ko) 2020-11-13 2020-11-13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7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72A (ja) * 2000-10-25 2002-05-08 Daizo:Kk 植物栽培装置
KR101547560B1 (ko) * 2013-08-29 2015-08-26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이동형 지능로봇을 이용한 영상기반 식물 생장관리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01A (ko) * 2014-08-19 2016-02-29 전태국 식물식재용기의 관수시스템
CA2867551A1 (en) * 2014-10-16 2016-04-16 Gilles Dumont Rotating drum apparatus
KR101979751B1 (ko) 2016-08-03 2019-05-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재배용 배지의 함수량 및 식물의 무게에 따른 양액 공급 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72A (ja) * 2000-10-25 2002-05-08 Daizo:Kk 植物栽培装置
KR101547560B1 (ko) * 2013-08-29 2015-08-26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이동형 지능로봇을 이용한 영상기반 식물 생장관리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97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9343B2 (ja) 垂直農場を管理するための自動モジュール式システム
JP6546585B2 (ja) 植物生育システム
CN113163725B (zh) 植物生长控制系统
CN115005084A (zh) 栽培系统和方法
JP6966487B2 (ja) 植物の成長制御システム
USD632451S1 (en) Array of transport elements for supporting and moving plant pots
KR102009453B1 (ko)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팜 자동화 시스템
KR102078062B1 (ko) 스마트 수목 관수 관리 시스템
EP3206476B1 (en) Horticultural method and apparatus
CN113873871A (zh) 生长系统和方法
KR20170042584A (ko) 캐리어 상에 배열되는 제거 가능한 측면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캐리어를 이용하는 식물의 재배를 위한 방법
KR102602792B1 (ko) 배지 환경 모니터링 장치
US20230225263A1 (en) Cannabis Growing Apparatus
KR101029312B1 (ko)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KR102602793B1 (ko) 식물의 생육 환경 모니터링 장치
KR101514344B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의 횡주 걸이대
CN207706960U (zh) 一种自动调速式栽培机
WO1982002642A1 (en) Hydroponic system
KR101869777B1 (ko) 인삼 수경 재배 장치
KR101866506B1 (ko) 자동화 식물재배 시스템
JP6397393B2 (ja) 環境診断システム
JPH0614665A (ja) 植物栽培ベッドおよび植物栽培装置
KR20160080968A (ko) Led 조사각,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용이한 스마트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재배기
KR20210096423A (ko) 수경 식물 재배장치
Jiang et al. Investigation of soil wetting pattern in drip irrigation using LoraWA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