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596B1 -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2596B1 KR102602596B1 KR1020220180965A KR20220180965A KR102602596B1 KR 102602596 B1 KR102602596 B1 KR 102602596B1 KR 1020220180965 A KR1020220180965 A KR 1020220180965A KR 20220180965 A KR20220180965 A KR 20220180965A KR 102602596 B1 KR102602596 B1 KR 1026025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ffiliated store
- terminal
- business
- store
- lo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xi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NFC 태그를 등록하여 영업시간 여부를 입력하고, 비콘(Beacon)을 통하여 가맹점 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에서 기 발급된 NFC 태그를 가맹점 단말에서 리딩하는 경우 영업시간 여부를 확인받아 표시하는 영업확인부,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하는 경우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는 인력확인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한 후, 영업시간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를 포함하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NFC 태그를 이용하여 영업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고 비콘을 이용하여 응대인력이 매장 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국에서 영업중인 상인들은 대부분 소상공인으로, 사업체 규모가 소규모이고 경제적으로는 중소기업을 거쳐 중견기업 및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구조에서 풀뿌리 경제조직에 해당한다. 전문성을 갖춘 경우도 존재하지만 대부분 기본적인 재화와 용역을 제공하는 경제활동을 소규모로 수행하는데, 이러한 소상공인의 활동은 고용창출은 물론 산업발전과 경제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서민의 생활안정을 도움으로써 국민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 상대적으로 취약한 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실직자, 명예퇴직자, 고령자 등에게 창업 등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경제활동을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소상공인을 위한 골목상권이나 오프라인 상권을 온라인과 연계시키는 네이버의 동네시장이나, LBS(Location Based Service)로 지역경제를 이루는 상점을 안내하는 플랫폼도 등장하고 있다.
이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상점의 영업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84920호(2020년03월05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1-0037040호(2021년04월06일 공개)에는, 근린생활시설의 영업시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근린생활시설의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학습을 위하여 전력사용량 데이터와 영업여부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셋을 구축하며, 학습 및 검증을 완료한 후 근린생활시설의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질의로 입력함으로써 영업시간을 예측하는 구성과, 각 시설의 영업시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계학습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업여부를 예측한 후, 예측된 결과가 맞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음으로써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구성 모두 한국전력공사에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구성일 뿐 일반적인 플랫폼에서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실현가능성이 떨어진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을 한다는 것은 전력사용량에 기반하여 말 그대로 예측을 하는 것일 뿐 실제로 현재 영업중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구성이 아니다. 소상공인의 경우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상점과는 다르게 항상 근로자가 근무하는 것이 아니고, 1인 기업과 같이 점주가 곧 직원이면서 주인인 경우에는 관혼상제 등 다양한 개인사정으로 잠시 문을 닫거나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멀리서 찾아온 고객은 그대로 돌아가는 수 밖에 없다. 또, 점주가 영업을 한다고 할지라도 잠시 식사 또는 화장실을 가거나 집에 다녀오는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상점창문에 포스트잇을 붙이고 가는 방법밖에 없어 고객들은 점주에게 전화를 걸거나 점주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수 밖에는 없다. 도심이 아닌 시골이나 외곽지역의 경우 이러한 일이 더욱 심해지는데 마땅한 대안이 없는 형편이다. 이에, 인프라의 구축에 큰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도 영업여부나 응대인력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NFC 카드를 발급하여 가맹점 단말에서 NFC 카드를 태깅하여 영업여부를 기록하도록 하고, 각 매장에 설치된 비콘(Beacon)의 신호를 가맹점 단말이 수신하여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경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각 매장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응대인력 존재로 표기함으로써, 각 상점이 영업중인지, 또 영업중이라면 점주나 직원은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하여 먼 길을 찾아왔는데 문을 닫아 돌아가는 사태나 각 점주에게 전화를 걸어 행방을 파악하는 수고로움을 없애고, 점주나 직원도 화장실도 편하게 가지 못하고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NFC 태그를 등록하여 영업시간 여부를 입력하고, 비콘(Beacon)을 통하여 가맹점 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에서 기 발급된 NFC 태그를 가맹점 단말에서 리딩하는 경우 영업시간 여부를 확인받아 표시하는 영업확인부,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하는 경우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는 인력확인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한 후, 영업시간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를 포함하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NFC 카드를 발급하여 가맹점 단말에서 NFC 카드를 태깅하여 영업여부를 기록하도록 하고, 각 매장에 설치된 비콘(Beacon)의 신호를 가맹점 단말이 수신하여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경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각 매장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응대인력 존재로 표기함으로써, 각 상점이 영업중인지, 또 영업중이라면 점주나 직원은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하여 먼 길을 찾아왔는데 문을 닫아 돌아가는 사태나 각 점주에게 전화를 걸어 행방을 파악하는 수고로움을 없애고, 점주나 직원도 화장실도 편하게 가지 못하고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매장의 운영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확인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가맹점 신청을 하는 경우 NFC 태그를 지급하고 비콘(Beacon)을 배송해주거나 설치해주는 플랫폼의 서버일 수 있다. 또,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NFC 태그를 가맹점 단말(400)에 태깅하는 경우 영업중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영업중으로 선택된 경우 영업중으로, 영업전으로 선택된 경우 영업전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콘의 신호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함으로 표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업시간보다 더 일찍 오거나 더 일찍 퇴근하는 등 소상공인의 상점 영업시간이 일정치 않고, 또 오픈했다고 할지라도 대체인력이 없어 점주가 잠시 자리를 비우는 일이 많은 것을 고려하여 NFC 태그로 영업중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비콘을 이용하여 상주여부를 파악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영업여부 및 상주여부의 정보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400)은 가맹점을 신청한 후 NFC 태그를 등록하고 비콘을 설치하며 NFC 태그의 태깅으로 영업여부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비콘의 신호를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여 상주여부를 알리는 가맹점주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에서 아르바이트나 매니저 등의 단말을 등록하는 경우에도 NFC 태그 및 비콘을 이용하여 영업여부 및 상주여부를 표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400)로 비콘 신호를 보내는 비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IoT 기기(50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업확인부(310), 인력확인부(320), 정보확인부(330), 직원확인부(340), 방문안내부(350), 위치공유부(360), 상태반영부(370), 영업변경부(380), 주기체크부(390), 위치안내부(391), 표지판표시부(393) 및 지도표기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로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업확인부(31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발급된 NFC 태그를 가맹점 단말(400)에서 리딩하는 경우 영업시간 여부를 확인받아 표시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400)은, NFC 태그를 등록하여 영업시간 여부를 입력하고, 비콘(Beacon)을 통하여 가맹점 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업중인지의 여부는 NFC 태그 외에도 가맹점주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페이지 등을 이용해서도 가능한데, 도 4j와 같이 NFC 태그를 태깅하여 영업중 여부를 기입하면 [NFC] 태그로 표시되고,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영업시간 여부를 기입하면 [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가맹점주의 단말이라고 가정하면, 가맹점에서 직원을 고용할 수도 있고 매니저를 고용할 수도 있으므로, 직원 단말 및 매니저 단말 등을 더 등록할 수도 있으며, 직원 단말 및 매니저 단말도 가맹점 단말(400)과 동일하게 비콘을 통하여 응대인력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가맹점 단말(400)의 실시예로 하나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가맹점 단말(400)에서 접근가능한 메뉴와 매니저 단말 또는 직원 단말에서 접근가능한 메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인력확인부(32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하는 경우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반경 50 내지 70m 범위 안에 있는 가맹점 단말(400)을 찾아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비콘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주변에 신호를 보내는데, 비콘이 발신하는 신호 도달 거리 내로 가맹점 단말(400)이 들어오면 비콘이 기 설정된 ID 값을 내보내게 되고, 가맹점 단말(400)의 블루투스 장치가 비콘으로부터 받은 ID 값을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매장에 응대인력이 존재한다고 표시를 하게 된다. 이때, 비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갖춰야 할 조건이 있는데, 먼저 가맹점 단말(400)의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가 Android 4.3 이상 또는 iOS 7.0 이상이어야 하며, 가맹점 단말(400)의 블루투스가 반드시 작동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비콘 SDK가 내장된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제공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비콘을 이용하면, 실내로 들어서면 전파가 차단되어 위치를 알 수 없는 GPS와 달리 실내로 들어서도 위치파악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적다. 또, 비콘이 저렴하고 작으며 벽에도 쉽게 부착할 수 있어서 소상공인의 사물인터넷(IoT) 인프라 구축에 적합한 무선통신기술이다.
이때, 블루투스 기능을 끈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블루투스 기능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하는데, 블루투스 기능이 꺼진 경우를 대비하여 고주파 비콘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고주파 비콘의 경우 블루투스 방식 대신 사람 귀에 들리지 않는 고주파음으로 매장마다 서로 다른 신호를 보내고, 이 소리를 가맹점 단말(400)의 마이크가 인식하면, 가맹점주가 매장에 도착한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고주파음을 활용하기 때문에 가맹점주가 블루투스를 작동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비가청음역대의 비콘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또한 마이크에서 인식하는 비가청음역대의 음원을 비콘이 출력하면 가맹점 단말(400)에서 이를 감지하여 본 발명의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가맹점주, 직원 또는 매니저가 매장에 있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 모든 것들이 합해진 하이브리드 비콘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비콘의 인식 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로 이벤트 메시지를 보내는 지오펜스(Geo-Fense)를 구축할 수도 있다.
정보확인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한 후, 영업시간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비콘 외에 비가청주파수대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피커는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사용하며, 사람들의 시설 출입 확인이 필요한 시간 동안 정해진 간격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트리거 신호는 신호를 듣는 인간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① 가맹점 단말(400)의 데이터 주파수 프로토콜(Data Frequency Protocol, DFP)에 정의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계산을 포함하여 인코딩 된 값을 스피커로 출력한다. ② 매장에 출근하는 가맹점주, 매니저, 직원 등이 가맹점 단말(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③ 애플리케이션은 매장의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수행한다. ④ 애플리케이션은 FFT 분석 결과로부터 피크 값 검출을 통해 유효한 주파수 값을 추출하며, ⑤ 미리 설정한 DFP를 바탕으로 추출한 주파수 값을 비트 데이터로 디코딩한다.
마지막으로 ⑥ CRC 체크를 통해 디코딩한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데이터 변형이 있는 경우 ② 단계로 복귀하여 트리거 신호 분석을 다시 수행하며, 데이터 변형 없는 정확한 데이터인 경우 가맹점 단말(400)은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트리거 신호 값, 응대인력(가맹점주, 매니저, 직원 등) 위치, 응대인력 ID를 전송한다. ⑦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송받은 데이터들을 확인하고, ⑧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응대인력의 상주여부인증에 이용하도록 한다. ⑨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응대인력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가맹점 단말(400)로 그 정보를 전달하여, 재실 인증 확인을 완료한다.
이때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Pre-Defined Protocol)에 대해서는, 고주파를 이용한 비트 데이터는 비트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매핑 된 주파수 양 옆에 GB(Guard Bandwidth)를 두며, 비트 간격(Bit range)은 그 두 배를 사용하고, 해당 비트를 나타내는 값은 중앙에 위치하여 On-off Keying 기법에 따라 값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18kHz ~ 20kHz 범위에서 50Hz의 GB를 사용할 경우 비트 간격은 100kHz가 되고, 매핑 되는 비트 위치는 18.05kHz, 18.15kHz, 18.25kHz, 19.75kHz, 19.85kHz, 19.95kHz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Br은 비트 범위를 의미하며, fa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GB 50Hz, 비트 간격 100Hz, 주파수 범위 18kHz ~ 20kHz를 사용하는 경우 Pdf=100Hz(18kHz~20kHz)와 같이 표시되며, 데이터의 길이는 20bit임을 알 수 있다. 즉,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트리거 신호는 Pdf로 정의한 값을 이용하여 CRC를 포함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맹점 단말(400)의 마이크는 주변 소리를 수집하여 FFT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인식하는데, 분석한 FFT 값으로부터 On-off Keying 기법을 변형하여 수신한 데이터 디코딩을 수행한다. 각 비트에 매핑 된 주파수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비트 값을 1,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Pdf=100Hz(18kHz~19kHz)로 DFP가 정의된 FFT 분석 결과를 받은 경우 유효한 피크는 18.0~18.1kHz, 18.1kHz~18.2kHz, 18.5kHz~18.6kHz, 18.8kHz~18.9kHz 총 4개의 범위라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영역 주파수의 중앙 값18.05kHz, 18.15kHz, 18.55kHz, 18.85kHz와 매핑 된 비트의 위치인 첫 번째, 두 번째, 다섯 번째, 아홉 번째가 비트 1을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코딩 된 비트 값은 10bit 데이터 1100010010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피크를 추출하는 기준 값에 따라 18.7kHz~18.8kHz 구간의 작은 피크를 유효한 값으로 인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CRC 기법을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CRC는 m 비트 에러 검출에 사용할 경우, 모든 상황에 대하여 최소 (1-2-m)×100%의 에러 검출률을 보장하며, 데이터 m비트는 별도로 전송하는 데이터가 아닌 실제 데이터의 뒤에 추가되어 함께 전송된다. 즉, m=3일 경우 10비트 데이터 1100010010 중 맨 뒤 3개의 비트 010은 에러 검출을 위해 추가된 데이터로 사용되며,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앞의 7개 비트인 1100010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n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매장 출입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전송하며, 가맹점 단말(400)의 애플리케이션은 DFP를 바탕으로 주파수 값을 비트 데이터로 디코딩한 후 CRC 검토를 통해 트리거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트리거 데이터는 응대인력 ID, 응대인력 위치 정보와 함께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응대인력 ID를 이용하여 등록된 응대인력 정보를 찾아오고 트리거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장 정보를 찾아온다. 그 후 매장 정보와 전달받은 응대인력 위치 데이터를 체크하여 응대인력이 유효한 범위 내에 위치한 것을 확인하면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응대인력이 해당 매장에 위치한 것으로 인증하고, 재실 여부를 다시 가맹점 단말(400)에 전송하게 되며, 유효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게 된다.
직원확인부(34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매니저 단말을 등록한 경우, 매니저 단말에서 비콘의 기 설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업로드하면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기할 수 있다. 매니저 외에도 직원, 아르바이트생 등의 단말을 등록할 수 있고, 비콘을 이용하여 각 매니저, 직원이나 아르바이트생이 출근시각에 출근을 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근태관리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방문안내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위치와 일치하고 응대인력이 없는 경우, 가맹점 단말(400)로 호(Call) 발신 또는 푸시(Push) 메시지를 전달하여 고객방문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원 등의 응대인력이 잠시 창고에서 물건 정리를 하는 경우 또는 화장실에 간 경우 등과 같이 잠시 자리를 비웠지만, 사용자는 이를 알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가게를 나가서 다른 가게로 가게 된다. 이에, 영업중이라고 표기가 되었고,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기가 되었지만 실제로는 응대인력이 없는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400)로 호 발신을 하여 손님이 왔다는 것을 안내해줄 수 있다.
위치공유부(360)는,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가 가맹점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를 안내하고, 가맹점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안내하며, 가맹점 단말(400)의 도착예정시각을 안내할 수 있다. 잠시 옆 가게로 간 경우 등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매장에 방문한 손님이 다른 가게로 가지 않도록 도착예정시각을 안내해줄 수 있다.
상태반영부(37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요일에 따른 영업시간을 설정한 경우, 요일에 따른 영업시간이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한 경우 영업중 또는 영업전 팝업을 가맹점 단말(400)에서 출력하여 영업중 또는 영업전 기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재실은 했지만 아직 준비가 덜 끝나서 영업중으로 바꾸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영업중 또는 영업전의 버튼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영업개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영업변경부(380)는, 영업시간 전에 가맹점 단말(400)에서 영업중으로 설정한 경우 영업중으로 표시하고, 영업시간중에 가맹점 단말(400)에서 영업전으로 설정한 경우 영업전으로 표시하며, 영업시간 종료 후 영업중으로 설정한 경우 영업중으로 표시할 수 있다. 각 개인이 개인사정으로 일찍 출근하고 일찍 퇴근할 수도 있고 또 반대의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업시간 전이라도 영업중이라고 설정된 경우 영업중으로 표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업중이라고 영업시간에 표기는 되었지만 개인사정으로 일찍 들어가야 하는 경우 영업전(종료 등)으로 선택을 받는 경우 영업전으로 표기할 수 있다.
주기체크부(390)는, 비콘의 신호를 가맹점 단말(400)에서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체크하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한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며, 가맹점 단말(400)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하지 못한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주기는 600 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치안내부(391)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하지 못하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에 따른 위치태그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주, 매니저, 직원 등의 위치가 화장실인 경우 [화장실] 태그를, 식당인 경우 [식사]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또, 가맹점주가 잠시 집에 간 경우에는, [집]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이때, 화장실과 식사 등 반복되는 일상생활의 경우에는 각 인력별로 매장으로 복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을 낸 후 도착예상시각까지 함께 표시해줄 수도 있다. 이때, 영업중인데 화장실을 간 경우에는 여전히 비콘의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가 많을 수 있다. 화장실이나 물건을 채우려 잠시 건물 내 창고 등을 간 경우에는 이를 표기할 수 있도록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측위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업중이라고 표기가 되었고 응대인력이 있다고 표시가 되었지만 잠시 직원, 매니저, 점주가 자리를 비운 경우 등에도 사용자에게 직원, 매니저, 점주가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 RSSI>
블루투스에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무선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RSSI는 안테나의 이득 및 각종 회로에서의 손실등은 고려되지 않고 수신기에서의 세기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RF 신호를 사용하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RSSI는 실내 환경에서 다양한 간섭 및 회절 등의 영향을 받아 바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비콘의 RSSI 신호 강도는 기본적으로 음수 dBm값으로 표현되며, 따라서 0에 가까워질수록 신호가 강해진다. RSSI 신호의 대부분은 0 ~ -100dBm으로 표현되며 -100dBm에서는 신호의 세기가 작아 송수신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RSSI값에는 각종의 외부적인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노이즈까지 포함되어 있는 신호로 신호의 세기 자체로 거리 및 위치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RSSI 신호를 활용한 거리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에는 삼변측량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상적인 RSSI 값과 거리와의 관계식은 수학식 2과 같이 Path-Loss 전달 모델을 사용하여 로그함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를 거리 D에 대하여 변형하면 수학식 3과 같다. N은 주변 환경으로 인한 전파손실 정도인 전파 손실 계수를 의미한다. 이때 전파손실 계수 N은 경로 손실 지수로 주변 환경에 따라 일반적인 실내 환경에서는 4, 장애물이 아무것도 없는 실내 자유 공간상의 환경에서는 2의 값으로 표현한다.
D는 송수신기 사이의 거리이며, 송신전력은 출력전력으로 RSSI는 출력 전력에서 거리에 따른 손실을 차감한 것이다. 송수신기 사이에 장애물이 없고 거리가 1m이며, RSSI가 59라고 가정한다면 전파 손실 계수 N은 실내 공간에서 2이며 출력값은 -59dBm임을 알 수 있다. 표 1은 비콘의 송신 전력에 대한 표인데, 비콘이 제공하는 송신 전력 세기의 단계별 값을 장비에서의 세팅값과 실제 출력값(dBm 단위)으로 나타낸 것이다.
Tx Power parameter setting level | Output power(dBm) |
0 | -64 |
-6 | -73 |
-23 | -86 |
<RSSI 신호의 필터링>
블루투스 비콘은 저전력으로 RSSI 신호만을 활용하여 거리를 측정하여야 한다. 초기 수신된 비콘 신호 세기는 불안정하여 RSSI 값을 바로 사용할 경우 감쇠가 비연속적이며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특성에 의해 수신된 값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실외에서 아주 이상적인 환경에서 RSSI 값은 수학식 2와 같이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신호의 세기 감쇠 모델을 적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RSSI 값은 궤환 방식 필터링을 통해 안정된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평균 방식 필터링은 1개의 RSSI 값이 아닌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RSSI값들의 합을 수신된 개수로 나눈 평균값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평균 필터링은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평균 방식 필터링은 여러 개의 수신된 RSSI가 필요하다.
궤환 방식 필터링은 이전에 수신된 RSSI 값이 이후에 수신된 RSSI 값에 의해 변화되는 형태로, 수신된 양이 적어도 필터링이 가능하다. 계수 k 값을 조정해 감쇠곡선에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다. 계수 k를 통해 이전에 수신한 RSSI값과 최근 수신한 RSSI 값에 가중치를 주어 필터링이 가능하다. 궤환 방식 필터링은 수학식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SSILAST는 가장 최근에 수신한 값이며, RSSIn-1은 그 이전에 수신한 n-1 개의 RSSI값을 평균한 값이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최적의 k값을 x로 설정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수신한 RSSI값은 x배 해주고 평균 필터링을 통해 구한 값에 y배(x+y=1) 한 다음 더하여 최종 RSSI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평균방식 필터링의 평균을 구한 RSSI값의 개수는 여러 가지 경우를 시험한 결과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1을 z라고 가정하면, 연속된 z+1 개의 신호를 수신한 다음 앞의 z 개의 값은 평균을 구하여 궤환 방식 필터링의 이전 필터링 데이터 값으로 사용한다. 평균 방식 필터링을 통해 얻은 RSSI값과 필터링 하지 않은 RSSI 값을 더하여 최종적으로 궤환 방식의 필터링된 RSSI값을 구할 수 있다. 필터링을 통해 얻은 RSSI 값과 비콘마다 지정된 좌표 값을 이용해 삼변측량법을 활용한 수학식 3에 대입하면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표지판표시부(393)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위치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생이 잠시 화장실을 간 경우에는 도어에 [화장실]이라고 써붙인 후 가는 경우가 있는데, 가맹점에서 외부를 향하여 LED 또는 LCD 등의 글자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이를 매장 내 네트워크와 연동시킨 후, 위치태그를 표기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빔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전면유리 등에 후면 투하(Rear Projection)하여 태그를 표시하고 이를 원격으로 실시간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고객들도 기다리면 오는 것인지, 기다리지 말고 그냥 돌아서야 하는 것인지, 또 기다리는 경우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위치태그와 함께 도착예상시각도 함께 표기해줄 수 있다.
지도표기부(395)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영업중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아이콘으로 지도 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LBS에서 더 나아가 영업중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지도 상에서 아이콘 및 색상으로 표기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안내를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f를 보면 아이콘 및 색상의 정의가 도시되는데, 지도상에 아이콘 표시가 적색이면 영업전, 녹색이면 영업중이다. 또, 아이콘 표시 안에 사람 모양의 아이콘이 더 있다면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이고, 없다면 응대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아이콘 옆에 노란색의 표시가 더 있다면 이벤트를 하는 곳이고 그렇지 않다면 이벤트를 하지 않는 곳이다. 물론, 아이콘의 형상이나 그래픽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영업중인지 아닌지, 응대인력이 있는지 없는지, 이벤트를 하는지 안하는지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디자인 또는 아이콘이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매출 예측 서비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IoT 플랫폼을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각 상점의 신용카드데이터를 이용하여 매출을 예측하는 서비스를 더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는 각 가맹점을 모으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부가 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측치 알고리즘과 그래디언트 부스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점별 매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상점의 신용카드 매출 데이터에 다양한 결측치 알고리즘을 적용해 앙상블 기반의 트리계열 머신러닝 모델로 예측 성능을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다. 과거의 매출 데이터를 이용해 이후 3 개월 매출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데이터 경쟁 플랫폼 DACON에서 진행된 상점 신용카드 매출 예측 경진대회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 중 결측치 처리 부분은 평균 대체법, 중앙값 대체법, 선형 보간법, 곡선 보간법 등의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측 모델은 그래디언트 부스팅 계열의 XGBoost, LightGBM, CatBoost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예측 목표가 각 상점의 미래 3개월 매출이므로, 거래가 이루어진 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던 기존 데이터 셋을 각 상점의 월 매출 합계 데이터로 만들 수 있다. 결측치 처리 데이터셋의 경우, 변수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매출의 결측값을 평균 대체법, 중앙값 대체법, 선형 보간법, 곡선 보간법으로 결측치를 처리해 결과적으로 MEAN, MEDIAN, LINEAR, SPLINE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결과와 각 가맹점의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각 업종, 상권, 규모, 평수 등을 더 분류하는 경우 예측정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NFC 카드 발급>
가맹점 단말(400)에서 NFC 카드(태그)를 발급받는 절차는 도 3a와 같을 수 있다. 도 3b와 같이 가맹점 단말(400)에서 가맹점 신청을 하고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면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도 3c와 같이 가맹점 단말(400)에서 NFC 카드 발급을 요청하면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발급완료팝업을 제공하면서 도 3d와 같이 NFC 카드를 가맹점 단말(400)에 태그하라고 요청한다. NFC 카드의 번호가 등록되면 발급성공 또는 실패 화면이 출력된다.
<가맹점 애플리케이션>
도 4a와 같이 가맹점 단말(400)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도 4b와 같은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NFC 카드(태그)를 태깅하면 [영업중-영업전]의 팝업화면이 나타나는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이 비콘을 통하여 현재위치가 매장인 것을 확인해야 [영업중-영업전]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가맹점 단말(400)에서 도 4d와 같이 매니저를 추가할 수 있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영업중으로 설정했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한 경우, 도 4e와 같이 [영업중], [운영자 있음]으로 표기되고, 지도 상에서는 초록색 아이콘(운영중) 내 사람(운영자 있음) 아이콘이 표시되게 된다. 도 4f와 같이 운영시간에 영업전, 즉 운영을 해야 할 시간이라면 영업중이라고 표기되어야 하는데, 영업전(종료 또는 전(Before))을 선택하게 되면, [영업중]은 [영업전]으로 변경되지만, 응대인력은 존재하므로 [운영자 있음]으로 표기된다. 또 도 4g와 같이 설정한 운영시간(영업시간)에 가맹점 단말(400)에서 매장 밖에서 영업중을 선택하려고 하는 경우, 관리자의 위치가 매장 내에 확인되지 않으므로 위치에 간 후 영업중으로 변경하라는 팝업이 나오게 된다. 즉,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가 매장 내에서 비콘과 통신되지 않는 상태라면, NFC 태그를 태깅했다고 할지라도 영업중으로 변경할 수 없게 된다. 또 가맹점 단말(400)에서 운영시간을 등록하지 않고 로그인한 경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 4h와 같이 운영시간을 설정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i와 같이 운영시간에 관리자가 매장에 있을 경우, 매장에 없을 경우, 운영시간이 아닌데 관리자가 매장에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 모든 경우의 수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j와 같이 영업상태(영업중-영업전)를 변경할 수 있는데,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을 한 것인지, NFC 태그를 이용하여 변경을 한 것인지에 대한 구분을 할 수 있고, 도 4k 및 도 4l과 같이 운영시간(영업시간) 내 NFC 태그로 태깅할 경우 영업중 또는 영업전 팝업을 제공한다. 매장정보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가맹점 단말(400)은 도 4m과 같은 화면에서 매장을 소개하는 글을 업로드할 수 있고, 도 4n과 같이 수정도 할 수 있다. 할인 등 이벤트를 진행중이라면 가맹점 단말(400)은 도 4o와 같은 이벤트를 등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NFC 태그와 NFC 카드는 동일한 것으로 정의한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단말(10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회원가입 후 메뉴를 이용할 수 있고, 도 5c와 같이 지도 상에서 어느 가게가 문을 열었고 또 어느 가게에 응대인력이 실시간으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5d와 같이 가맹점 리스트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고, 매장 아이콘(포인터)을 선택한 경우 상세화면에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5e와 같이 재검색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고, 동일 위치에 가맹점이 다수인 경우 드롭박스 형식으로 리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f 및 도 5g와 같이 각 아이콘을 정의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h와 같이 가맹점이 음식점 등인 경우 판매하는 메뉴, 상품 등을 출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도 5i와 같이 이벤트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또는 지오펜스 등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5j는 사용자, 즉 일반고객의 화면이 아니라, 매니저나 직원의 메뉴이다.
<관리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각 가맹점과 사용자를 가맹점 회원과 고객 회원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존재한다. 이때, 관리자가 이용할 수 있는 관리자 모드의 메뉴는 도 6a와 같고, NFC 등록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b와 같이 관리자 단말은, 대시보드, 사용자관리, 가맹점관리, 서비스관리, NFC 카드관리 등의 메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을 관리할 수 있으며, 도 6c와 같이 대시보드에서는 사용자, 가맹점의 수와, 설치수 현황, 비콘 확인 가맹점 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6d 및 도 6e와 같이 사용자 관리를 할 수 있는데, 일반 고객이 가맹점이 된 경우 등을 변경할 수 있고 가맹점 승인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 도 6f와 같이 각 비콘이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 또 가맹점의 해지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도 6g과 같이 가맹점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때 카테고리를 나누어 등록을 할 수 있다. 도 6h 및 도 6i와 같이 비콘의 상태는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기기 부착 위치는 어디인지, 이벤트 노출 범위(지오펜스)는 몇 미터인지, NFC 태그는 등록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 키오스크는 존재하는지 아닌지, 비콘 Major, Minor, UUID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비콘의 패킷 구조는 패킷의 Data 중 16 bytes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장치에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할당하여 네트워크에서 비콘을 인식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2 bytes의 Major는 특정한 비콘 및 사용자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것은 UUID에 의해 인식되는 영역 내에 하위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2 bytes의 Minor는 0부터 65535까지의 숫자로 설정하여 개발자가 지정한 지역과 지역 내에서의 사례를 더 세분화하여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어 비콘을 여러 병원에서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UUID는 각각의 병원을, Major는 병원 내에 있는 병동을, Minor는 병동 내에서의 병실을 구분할 수 있도록 수 있도록 값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bytes의 송신전력은 전송할 때의 신호 세기로, 비콘이 1m에서 측정되는 RSSI값을 나타낸다. 비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과 RSSI 신호 값을 계산하여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도 6j와 같이 범위를 매장 운영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도 6k 및 도 6l과 같이 NFC 카드를 관리할 수 있다.
군 단위 지방 소규모 지자체에서는 거주지역과 매장밀집지역인 시내나 읍내 간 거리가 멀어 매장확인이 어렵고, 매장으로 전화를 걸어 확인할 수 있지만 연결이 안된 경우 운영중인데 바빠서 전화를 못 받는 것인지 알 길이 없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영업중인 것인지 등을 안내하거나 전화를 받는 인력을 줄일 수 있고 1 인이 직원과 점주를 겸하는 경우 일손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으며, 고객인 사용자도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대기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6의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점 단말에서 기 발급된 NFC 태그를 가맹점 단말에서 리딩하는 경우 영업시간 여부를 확인받아 표시한다(S7100).
이때,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하는 경우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고(S7200),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한 후, 영업시간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확인한다(S7300).
상술한 단계들(S7100~S7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7100~S7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7의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NFC 태그를 등록하여 영업시간 여부를 입력하고, 비콘(Beacon)을 통하여 가맹점 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기 발급된 NFC 태그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리딩하는 경우 영업시간 여부를 확인받아 표시하는 영업확인부,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상기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가맹점에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는 인력확인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한 후, 영업시간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위치와 일치하고 영업중이라고 표기가 되었고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기가 되었지만 실제로는 응대인력이 없는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로 호(Call) 발신 또는 푸시(Push) 메시지를 전달하여 고객방문을 안내하는 방문안내부,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하지 못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 따른 위치태그를 표시하도록 하는 위치안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위치태그를 표시하는 표지판표시부를 포함하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은,
매장 내 구비된 고주파 비콘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음을 인식하면, 가맹점주가 매장에 도착한 사실을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매장 내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가맹점 단말의 데이터 주파수 프로토콜(Data Frequency Protocol)에 정의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계산을 포함하여 인코딩된 값을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트리거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수행하고, FFT 분석 결과로부터 피크 값 검출을 통해 유효한 주파수 값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 주파수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추출한 주파수 값을 비트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CRC 체크를 통해 디코딩한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데이터 변형없는 정확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로 트리거 신호 값, 응대인력 위치 및 응대인력 ID를 전송하며,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응대인력 ID를 이용하여 등록된 응대인력 정보를 찾아오고, 상기 트리거 신호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장 정보를 찾아오고, 매장 정보와 응대인력 위치를 체크하여 응대인력이 유효한 범위 내에 위치한 것을 확인하여 응대인력이 매장에 위치한 것으로 인증하고, 재실 여부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전송하며, 유효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며,
상기 위치안내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하지 못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위치인 화장실이나 식당일 때 [화장실] 태그 또는 [식당] 태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매니저 단말을 등록한 경우, 상기 매니저 단말에서 상기 비콘의 기 설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업로드하면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기하는 직원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의 위치가 상기 가맹점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가맹점 단말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안내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의 도착예정시각을 안내하는 위치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요일에 따른 영업시간을 설정한 경우, 상기 요일에 따른 영업시간이고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업로드한 경우 영업중 또는 영업전 팝업을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출력하여 영업중 또는 영업전 기록을 하도록 하는 상태반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영업시간 전에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영업중으로 설정한 경우 영업중으로 표시하고, 상기 영업시간중에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영업전으로 설정한 경우 영업전으로 표시하며, 상기 영업시간 종료 후 영업중으로 설정한 경우 영업중으로 표시하는 영업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비콘의 신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체크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한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비콘의 신호를 받아 업로드하지 못한 경우 응대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하는 주기체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영업중 여부 및 응대인력 여부를 아이콘으로 지도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지도표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0965A KR102602596B1 (ko) | 2022-12-21 | 2022-12-21 |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0965A KR102602596B1 (ko) | 2022-12-21 | 2022-12-21 |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2596B1 true KR102602596B1 (ko) | 2023-11-15 |
Family
ID=8874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0965A KR102602596B1 (ko) | 2022-12-21 | 2022-12-21 |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259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7084A (ko) * | 2010-10-11 | 2012-04-1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가맹점 단말에 예약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예약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JP4984490B2 (ja) * | 2005-10-28 | 2012-07-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不在時の訪問者認証システム |
KR20200028817A (ko) * | 2019-04-02 | 2020-03-17 | 시비디코리아(주) |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
KR102188384B1 (ko) * | 2020-06-11 | 2020-12-08 | 조현용 |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2022
- 2022-12-21 KR KR1020220180965A patent/KR1026025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84490B2 (ja) * | 2005-10-28 | 2012-07-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不在時の訪問者認証システム |
KR20120037084A (ko) * | 2010-10-11 | 2012-04-1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가맹점 단말에 예약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예약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28817A (ko) * | 2019-04-02 | 2020-03-17 | 시비디코리아(주) |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
KR102188384B1 (ko) * | 2020-06-11 | 2020-12-08 | 조현용 |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ia et al. | Adopting Internet of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buildings: A review of enabl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 |
KR101835832B1 (ko) |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호출 시스템 | |
EP2679041B1 (en) | Observation platform for using structured communications | |
CN101814227B (zh) | 一种基于物联网实现设备远程控制的系统和方法 | |
CN105392150A (zh) | 管理信标的方法、终端设备、服务器和存储介质 | |
JP2012529873A (ja) | モバイル装置向けのコンテキスト・ベースの対話モデル | |
KR20100099345A (ko) | 매장 내 멀티-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개인 위치 추적 방법 | |
JP7520880B2 (ja) | 5g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ための自動無線周波数安全およびコンプライアンス | |
US9154573B2 (en) | Information exchange apparatus, method and managing system applied thereto | |
JP6263303B1 (ja) | デバイス、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1026440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CN104509137A (zh) | 用于在预定位置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 |
US10810869B2 (en) | Crowdsourced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 |
JP4167716B1 (ja) | 対象物位置対応制御装置および対象物位置対応制御プログラム | |
US967464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
KR100650512B1 (ko)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EP3373025A1 (en) | System for creating radio wave state map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602596B1 (ko) | IoT 플랫폼을 이용한 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JP2005300474A (ja) | 場所誘導システムおよび場所誘導方法 | |
Schmitt et al. | OTIoT—A browser-based object tracking solu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 |
KR20180090218A (ko)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호출 시스템 | |
KR20170029970A (ko) |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장치, 초음파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
KR20180090220A (ko) | 고객 응대 및 처리 현황을 처리하기 위한 호출 및 태깅 시스템 | |
KR20180090214A (ko) |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 |
Curran et al. | An IoT Framework for Detecting Movement Within Indoor Environ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