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91B1 - EPS Block Connector - Google Patents

EPS Block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91B1
KR102601791B1 KR1020230089673A KR20230089673A KR102601791B1 KR 102601791 B1 KR102601791 B1 KR 102601791B1 KR 1020230089673 A KR1020230089673 A KR 1020230089673A KR 20230089673 A KR20230089673 A KR 20230089673A KR 102601791 B1 KR102601791 B1 KR 10260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center
hollow hub
rivet nut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동백
Original Assignee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량블록(20)의 이음부에 위치하고, 한쪽으로 편중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교차링크(30); 교차링크(30)의 교차부에 설치하고, 중심에 탭구멍(41)을 갖는 리벳너트(40); 교차링크(30)의 단부에 형성하는 중공형 허브(31); 중공형 허브(31)의 중심에 설치하는 피벗(50); 피벗(5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중공형 허브(31)를 지지하는 플랜지(51); 피벗(50)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하여 중공형 허브(31)의 상면에 밀착하는 스냅링(52); 피벗(50)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경량블록(20)의 표면에 박는 나이프(60); 중공형 허브(31)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환형의 안내홈(32); 안내홈(32)을 따라 미끄러지고, 서로 V자 모양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쐐기앵글(70); 쐐기앵글(7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71); 상판(71)의 중앙에서 리벳너트(40)의 상단을 향해 역사다리꼴 단면으로 함몰하는 채널부(72); 리벳너트(40)의 중심과 만나도록 채널부(72)에 형성하는 장공(73); 장공(73)을 통해 탭구멍(41)에 결합하는 고정볼트(74)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block connecting device for construction, comprising: a cross link (30) located at the joint of a lightweight block (20) and crossing in an X shape with a rotation center biased to one side; A rivet nut (40)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ross links (30) and having a tapped hole (41) at the center; A hollow hub (31) formed at the end of the cross link (30); A pivot (5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hub (31); A flange 5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to support the hollow hub 31; A snap ring (52)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Knives 60 each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ivot 50 and driven into the surface of the lightweight block 20; An annular guide groove (3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A pair of wedge angles 70 that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32 and face each other in a V shape; A top plate (71) connecting the top of the wedge angle (70); A channel portion 72 recess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71 toward the top of the rivet nut 40; A long hole (73) formed in the channel portion (72) to meet the center of the rivet nut (40); It includes a fixing bolt (74) coupled to the tapped hole (41) through the long hole (73).

Description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EPS Block Connector}Lightweight block connector for construction {EPS Block Connector}

본 발명은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에 이용하는 경량블록 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lightweight blocks for constru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ing device for lightweight blocks for construction that enables strong connections between lightweight blocks used in forming concrete structures.

일반적으로 경량블록인 EPS(Expanded Poly-Styrene)는 폴리스틸렌과 발포체를 주원료로 한 경량의 대형발포성 재료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시 내부 중량을 감량하여 하중부담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EPS (Expanded Poly-Styrene), a lightweight block, is a lightweight, large-scale foam material made mainly of polystyrene and foam, and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load burden by reducing the internal weight when forming concrete structures.

특히 고층 건축물의 지상에 조성하는 공원의 구조물과 대형 조형물의 내부를 경량블록으로 채우고 경량블록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구조물 중량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이러한 구조물이 올려지는 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하여 지하주차장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filling the interior of park structures and large-scale sculptures built on the ground of high-rise buildings with lightweight blocks and pouring concrete of a certain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lightweight blocks, the weight of the structures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structures acts on the slab on which these structures are placed. By reducing the load, the collaps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은 경량블록은 주로 사각의 육면체 형태 또는 다양한 형태로 절단한 후 서로 밀착하여 시공하는데, 이음부에 ㄷ자 모양의 철침 또는 클립을 박아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철침 또는 클립을 박기 전에 경량블록을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박아야 하지만 경량블록이 대형인 경우 밀착이 어려워 경량블록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Such lightweight blocks are mainly cut into square hexahedrons or various shapes and then constructed by sticking them together, and are fixed by inserting U-shaped iron needles or clips into the joints. However, before driving iron needles or clips, lightweight blocks must be drive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if the lightweight blocks are large, it is difficult to adhere them closely, resulting in gaps between the lightweight blocks.

국내 등록특허 제10-2207048호(공고 2021.01.25.)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207048 (Notice 2021.01.25.) 국내 등록특허 제10-0690049호(공고 2007.03.09.)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690049 (Notice 2007.03.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 성형에 이용하는 경량블록의 이음부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ightweight block connecting device for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gaps between joints of lightweight blocks used in forming structures.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는, 경량블록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기 위한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에 있어서, 경량블록의 이음부에 위치하고, 한쪽으로 편중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교차링크; 교차링크의 교차부에 설치하고, 중심에 탭구멍을 갖는 리벳너트; 교차링크의 단부에 형성하는 중공형 허브; 중공형 허브의 중심에 설치하는 피벗; 피벗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중공형 허브를 지지하는 플랜지; 피벗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하여 중공형 허브의 상면에 밀착하는 스냅링; 피벗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경량블록의 표면에 박는 나이프; 중공형 허브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환형의 안내홈; 안내홈을 따라 미끄러지고, 서로 V자 모양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쐐기앵글; 쐐기앵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 상판의 중앙에서 리벳너트의 상단을 향해 역사다리꼴 단면으로 함몰하는 채널부; 리벳너트의 중심과 만나도록 채널부에 형성하는 장공; 장공을 통해 탭구멍에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The lightweight block connector for constru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weight block connector for construction for connecting lightweight blocks to each other, and is located at the joint of the lightweight blocks and has an X-shaped center of rotation biased toward one side. crosslinks that intersect in shape; A rivet nut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cross links and having a tapped hole at the center; A hollow hub formed at the end of the cross link; A pivot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hollow hub; A flang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to support the hollow hub; A snap ring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and tight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hub; Knives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pivot and driven into the surface of the lightweight block; An annular guide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hub; A pair of wedge angles that slide along a guide groove and face each other in a V shape; A top plate connecting the top of the wedge angle; A channel portion that is depress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toward the top of the rivet nut; A long hole formed in the channel portion to meet the center of the rivet nut; It has the feature of including a fixing bolt that connects to the tapped hole through the long hole.

본 발명은 피벗의 하단 중심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슬롯을 형성하고, 나이프의 상단 중앙을 슬롯으로 삽입하여 피벗과 나이프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한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slot with a constant width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pivot upward, inserting the top center of the knife into the slot, and joining the pivot and the knife to each oth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V자 모양을 이루는 쐐기앵글(70)과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된 교차링크(30)를 이용하여 나이프(60)를 경량블록(20)에 박은 상태에서 경량블록(20)을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경량블록(20)의 이음부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lightweight block ( 20) can be brought into strong close contact,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gaps between the joints of the lightweight blocks 20.

상판(71)에 형성한 채널부(72)를 고정볼트(74)에 의해 리벳너트(4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량블록(20)의 밀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channel portion 72 formed on the top plate 71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ivet nut 40 with the fixing bolt 74, there is an effect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close contact state of the lightweight block 20. there is.

피벗(50)의 하단에 설치한 나이프(60)가 구비되어 있고, 나이프(60)를 경량블록(20)의 표면에 박아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 knife 6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ivot 50, and the knife 60 is driven into the surface of the lightweight block 20 to join it, which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construction.

교차링크(30)가 가위 형태로 움직일 때 피벗(5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나이프(60)와 경량블록(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ivot 50 is configured to rotate when the cross link 30 moves in a scissors shap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clearance between the knife 60 and the lightweight block 20.

피벗(50)에 형성한 플랜지(51)와 피벗(50)에 설치한 스냅링(52)에 의해 피벗(50)이 중공형 허브(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ivot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low hub 31 by the flange 51 formed on the pivot 50 and the snap ring 52 installed on the pivot 50.

상판(71)에 형성한 채널부(72)에 의해 고정볼트(74)의 머리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채널부(72)를 리벳너트(40)에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hannel portion 72 formed on the top plate 71 not onl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head of the fixing bolt 74 from protruding, but also allows the channel portion 72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ivet nut 40.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을 아래쪽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링크, 리벳너트 및 중공형 허브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경량블록을 연결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의해 경량블록이 연결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보인 평면도로서, 쐐기앵글에 의해 경량블록이 밀착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viewed from below.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link, rivet nut, and hollow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viewed from below.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nnecting lightweight block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ghtweight blocks connected by Figure 6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lightweight block being adhered to by the wedge angl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9.

본 발명은 경량블록(20)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량블록(20)의 이음부에 위치하고, 한쪽으로 편중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교차링크(30); 교차링크(30)의 교차부에 설치하고, 중심에 탭구멍(41)을 갖는 리벳너트(40); 교차링크(30)의 단부에 형성하는 중공형 허브(31)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joining lightweight blocks 20 against each other, and includes a cross link 30 that is located at the joint of the lightweight blocks 20 and crosses in an X shape to have a rotation center biased to one side; A rivet nut (40)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ross links (30) and having a tapped hole (41) at the center; It includes a hollow hub 31 formed at the end of the cross link 30.

경량블록(20)은 예를 들면 EPS(Expanded Poly-Styrene)을 재료로 성형한 발포성 블록일 수 있다.The lightweight block 20 may be a foam block made of, for example, expanded poly-styrene (EPS).

교차링크(3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금속 플랫바 또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성형할 수 있다. 교차링크(30)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모양으로 교차하고, 리벳너트(40)가 설치되는 교차링크(30)의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도록 한다. 교차링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겹쳐서 가위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The cross link 30 can be formed from a metal flat bar or plastic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width. For example, the cross links 30 intersect in an The cross links 30 can be connected in the form of scissors by overlapping them up and down, as shown in FIG. 3.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링크(30)의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으므로, 교차링크(30)의 양단부 사이의 폭에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링크(30)에는 리벳너트(40)가 삽입되는 중심구멍(34)을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 8, the center of the cross link 30 is biased to one side, so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the cross link 30. As shown in FIG. 3, the cross link 30 has a center hole 34 into which the rivet nut 40 is inserted, formed in a vertically penetrating shape.

리벳너트(40)는 중심구멍(34)에 헐겁게 결합하여 교차링크(30)가 리벳너트(4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rivet nut 40 is loosely coupled to the center hole 34 so that the cross link 30 can freely rotate around the rivet nut 40.

리벳너트(40)는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환봉을 소재로 하여 절삭가공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리벳너트(40)의 상단에는 리벳너트(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환형의 상부헤드(부호생략)를 형성하고, 교차링크(30)에 형성한 원형구멍(33)에 리벳너트(40)를 삽입한 다음 리벳너트(40)의 하단에 리벳너트(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환형의 하부헤드(부호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The rivet nut 40 can be formed by cutting using a metal round bar as shown in FIGS. 3 and 9. An annular upper head (symbol omitte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rivet nut 40 is formed at the top of the rivet nut 40, and a rivet nut 40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hole 33 formed in the cross link 30. ) can be inserted and then an annular lower head (symbol omitte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vet nut 40 can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ivet nut 40.

리벳너트(40)의 중심에 형성하는 탭구멍(41)은, 리벳너트(40)를 교차링크(30)에 조립한 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벳너트(40)를 교차링크(30)에 조립한 후 탭구멍(41)을 가공하면 탭구멍(41)의 나사산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ap hole 4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ivet nut 40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rivet nut 40 to the cross link 30 and then processing it. In this way, if the tapped hole 41 is processed after assembling the rivet nut 40 to the cross link 30, the thread of the tapped hole 4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중공형 허브(31)는 교차링크(3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허브(31)의 중심에 원형구멍(33)을 형성할 수 있다. 피벗(50)을 원형구멍(33)에 헐겁게 결합함으로써 피벗(50)이 중공형 허브(31)에 형성한 원형구멍(33)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hollow hub 31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ross link 30. As shown in Figure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 a circular hole 3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llow hub 31. The pivot 50 is loosely coupled to the circular hole 33 so that the pivot 50 can freely rotate in the circular hole 33 formed in the hollow hub 31.

본 발명은 중공형 허브(31)의 중심에 설치하는 피벗(50); 피벗(5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중공형 허브(31)를 지지하는 플랜지(51); 피벗(50)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하여 중공형 허브(31)의 상면에 밀착하는 스냅링(52); 피벗(50)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경량블록(20)의 표면에 박는 나이프(6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vot 5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hub 31; A flange 5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to support the hollow hub 31; A snap ring (52)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It includes a knife (60)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pivot (50) and driven into the surface of the lightweight block (20).

피벗(50)과 플랜지(51)는 금속 환봉을 소재로 하여 선삭가공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플랜지(51)의 외경은 피벗(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The pivot 50 and the flange 51 can be formed as one piece using a metal round bar by turn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5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vot 50.

첨부도면 도 1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벗(50)의 외주면에 환형의 멈춤홈(54)을 형성하고, 스냅링(52)을 멈춤홈(54)에 끼워서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in the attached drawing, an annular stop groove 5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and the snap ring 52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it into the stop groove 54.

스냅링(52)과 플랜지(51)는 피벗(50)이 중공형 허브(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이프(6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성형할 수 있다. 나이프(60)의 하단은 날카롭게 가공할 수 있다.The snap ring 52 and flange 51 serve to prevent the pivot 50 from leaving the hollow hub 31. The knife 60 can be molded using a metal plate with a certain thickness. The lower end of the knife 60 can be sharpened.

본 발명은 중공형 허브(31)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환형의 안내홈(32); 안내홈(32)을 따라 미끄러지고, 서로 V자 모양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쐐기앵글(70); 쐐기앵글(7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71)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nular guide groove (3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A pair of wedge angles 70 that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32 and face each other in a V shape; It includes a top plate (71) connecting the top of the wedge angle (70).

안내홈(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허브(31)의 외주면에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안내홈(32)의 폭은 쐐기앵글(70)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 3, the guide groove 3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with a certain width and depth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3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wedge angle 70.

쐐기앵글(70)과 상판(7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쐐기앵글(70)은 L자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wedge angle 70 and the top plate 71 can be formed as one piece using a metal plate with a certain thickness. The wedge angle 70 can be formed with an L-shaped cross section.

본 발명은 상판(71)의 중앙에서 리벳너트(40)의 상단을 향해 역사다리꼴 단면으로 함몰하는 채널부(72); 리벳너트(40)의 중심과 만나도록 채널부(72)에 형성하는 장공(73); 장공(73)을 통해 탭구멍(41)에 결합하는 고정볼트(74)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nnel portion 72 recess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71 toward the top of the rivet nut 40; A long hole (73) formed in the channel portion (72) to meet the center of the rivet nut (40); It includes a fixing bolt (74) coupled to the tapped hole (41) through the long hole (73).

채널부(72)는 역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채널부(72)는 상판(71)의 중앙에 형성할 수 있고, 상판(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channel portion 72 may be formed to have an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 The channel portion 7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71 and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71.

장공(73)의 중앙이 리벳너트(40)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고정볼트(74)는 쐐기앵글(70)과 상판(71)의 움직임을 멈추는 역할을 하고, 교차링크(30)를 정지시킴으로써 경량블록(20)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er of the long hole 73 can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rivet nut 40. The fixing bolt 74 serves to stop the movement of the wedge angle 70 and the top plate 71, and to keep the lightweight block 20 in close contact by stopping the cross link 30.

본 발명은 피벗(50)의 하단 중심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슬롯(53)을 형성하고, 나이프(60)의 상단 중앙을 슬롯(53)으로 삽입하여 피벗(50)과 나이프(60)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lot 53 is formed with a certain width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pivot 50 upward, and the upper center of the knife 60 is inserted into the slot 53 to connect the pivot 50 and the knife 60. They can be constructed by joining together.

슬롯(53)은 피벗(50)의 하단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슬롯(53)의 폭은 나이프(60)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한다. 나이프(60)와 피벗(50)은 브레이징 용접, 전기용접, 납땜, 접착에 의해 서로 접합할 수 있다.The slot 53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pivot 50 toward the top. The width of the slot 53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knife 60. The knife 60 and the pivot 50 can be joined to each other by brazing welding, electric welding, soldering, or adhes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블록(20)을 서로 밀착한 후 교차링크(30)의 중심을 경량블록(20)의 이음부에 대략 위치시킨 다음 나이프(60)를 경량블록(20)의 표면에 박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60)가 경량블록(20)의 안쪽으로 진입하여 박힌다.As shown in Figure 6, the lightweight blocks 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enter of the cross link 30 is approximately positioned at the joint of the lightweight blocks 20, and then the knife 60 is inserted into the lightweight blocks 20. When driven into the surface, the knife 60 enters the inside of the lightweight block 20 and is driven into it, as shown in FIG. 7 .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74)를 풀고 상판(71)을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쐐기앵글(70)이 중공형 허브(31)에 형성한 안내홈(32)을 따라 미끄러진다.Afterwards,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xing bolt 74 is loosened and the upper plate 71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8, the guide groove 32 formed in the hollow hub 31 by the wedge angle 70 It slides along.

이때 쐐기앵글(70)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부분과 안내홈(32)이 만나면서 교차링크(30)의 양단부 폭이 좁아지고, 교차링크(30)와 피벗(50)을 통해 나이프(60)로 전달된 힘에 의해 경량블록(20)이 강하게 밀착한다.At this time, as the narrowing portion between the wedge angles (70) and the guide groove (32) meet,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cross link (30) narrows, and the width of the cross link (30) is narrowed by the knife (60) through the cross link (30) and the pivot (50). The lightweight block 20 adheres strongly due to the transmitted force.

풀어져 있던 고정볼트(74)를 타이트 하게 조이면 상판(71)과 쐐기앵글(70)이 정지하고 경량블록(20)의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f the loose fixing bolt (74) is tightened, the top plate (71) and the wedge angle (70) stop and the lightweight block (20)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20 : 경량블록 30 : 교차링크
31 : 중공형 허브 32 : 안내홈
40 : 리벳너트 41 : 탭구멍
50 : 피벗 51 : 플랜지
52 : 스냅링 53 : 슬롯
60 : 나이프 70 : 쐐기앵글
71 : 상판 72 : 채널부
73 : 장공 74 : 고정볼트
20: lightweight block 30: cross link
31: hollow hub 32: guide groove
40: Rivet nut 41: Tap hole
50: pivot 51: flange
52: Snap ring 53: Slot
60: Knife 70: Wedge angle
71: Top plate 72: Channel part
73: Long hole 74: Fixing bolt

Claims (2)

경량블록(20)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기 위한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량블록(20)의 이음부에 위치하고, 한쪽으로 편중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교차링크(30);
상기 교차링크(30)의 교차부에 설치하고, 중심에 탭구멍(41)을 갖는 리벳너트(40);
상기 교차링크(30)의 단부에 형성하는 중공형 허브(31);
상기 중공형 허브(31)의 중심에 설치하는 피벗(50);
상기 피벗(5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중공형 허브(31)를 지지하는 플랜지(51);
상기 피벗(50)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하여 상기 중공형 허브(31)의 상면에 밀착하는 스냅링(52);
상기 피벗(50)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경량블록(20)의 표면에 박는 나이프(60);
상기 중공형 허브(31)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환형의 안내홈(32);
상기 안내홈(32)을 따라 미끄러지고, 서로 V자 모양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쐐기앵글(70);
상기 쐐기앵글(7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71);
상기 상판(71)의 중앙에서 상기 리벳너트(40)의 상단을 향해 역사다리꼴 단면으로 함몰하는 채널부(72);
상기 리벳너트(40)의 중심과 만나도록 상기 채널부(72)에 형성하는 장공(73);
상기 장공(73)을 통해 상기 탭구멍(41)에 결합하는 고정볼트(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
In the construction lightweight block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lightweight blocks 20 to each other,
Cross links 30 located at the joints of the lightweight blocks 20 and crossing in an X shape to have a rotation center biased to one side;
A rivet nut (40)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ross links (30) and having a tapped hole (41) at the center;
A hollow hub 31 formed at the end of the cross link 30;
A pivot 5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hub 31;
A flange 5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to support the hollow hub 31;
A snap ring 52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5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Knives 60 each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ivot 50 and driven into the surface of the lightweight block 20;
an annular guide groove (3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hub (31);
A pair of wedge angles (70)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32) and facing each other in a V shape;
A top plate (71) connecting the top of the wedge angle (70);
a channel portion 72 recess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cross-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71 toward the top of the rivet nut 40;
a long hole 73 formed in the channel portion 72 to meet the center of the rivet nut 40;
A fixing bolt (74) coupled to the tapped hole (41) through the long hole (73);
A lightweight block connection device for construction,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50)의 하단 중심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슬롯(53)을 형성하고,
상기 나이프(60)의 상단 중앙을 상기 슬롯(53)으로 삽입하여 상기 피벗(50과 나이프(60)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경량블록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use 1,
Forming a slot 53 with a constant width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pivot 50 upward,
A lightweight block connecting device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ivot (50) and the knife (60) are join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upper center of the knife (60) into the slot (53).
KR1020230089673A 2023-07-11 2023-07-11 EPS Block Connector KR1026017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73A KR102601791B1 (en) 2023-07-11 2023-07-11 EPS Block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73A KR102601791B1 (en) 2023-07-11 2023-07-11 EPS Block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791B1 true KR102601791B1 (en) 2023-11-14

Family

ID=8874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673A KR102601791B1 (en) 2023-07-11 2023-07-11 EPS Block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9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49B1 (en) 2004-12-24 2007-03-09 현대건설주식회사 Reinforced ground structure of a sur-softground using EPS blocks
KR20130058829A (en) * 2011-11-28 2013-06-05 임동구 Variable structure
KR101604116B1 (en) * 2016-02-12 2016-03-16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Appartment Insulation Fixing Device
KR102125573B1 (en) * 2020-01-29 2020-06-2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xing devic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KR102207048B1 (en) 2019-11-07 2021-01-25 현대엔지니어링(주) Hollow core slab manufacturing method using EPS blo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49B1 (en) 2004-12-24 2007-03-09 현대건설주식회사 Reinforced ground structure of a sur-softground using EPS blocks
KR20130058829A (en) * 2011-11-28 2013-06-05 임동구 Variable structure
KR101604116B1 (en) * 2016-02-12 2016-03-16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Appartment Insulation Fixing Device
KR102207048B1 (en) 2019-11-07 2021-01-25 현대엔지니어링(주) Hollow core slab manufacturing method using EPS block
KR102125573B1 (en) * 2020-01-29 2020-06-2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xing devic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8810A (en) Post cap
US20100058677A1 (en) Anchor for handling building elements, in particular a concrete panel
KR101509100B1 (en) Excellent workability H-beam adapter
JP3272839B2 (en) Jig for joining
US6203239B1 (en) Wedge plug tubing connector
KR102601791B1 (en) EPS Block Connector
KR101518622B1 (en) Joint structure of compisite column and beam
JP2006028759A (en) Bracket
US3081537A (en) Method and tool for fastening roof deck
KR101420662B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KR20160000817U (en) Spacer combination structure of non-welding deck plate
CN210766771U (en) Positioning device for assembled steel pipe pile foundation
JPH0711156B2 (en) Method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steel beams
KR101440284B1 (en) Welding nodal structure
CA3088266A1 (en) Anchoring system for formwork struts
KR101534457B1 (en) Steel Pipe Pile Coupler with Bolt Tightening U-shape Reinforcing Bar
JPH1025817A (en) Special joint fitting for afc construction method, wood member jointing method using this fitting, and method of cutting this fitting
JP7381025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ipe members and connection method of steel pipe members
JPH07150635A (en) Joint construction between column and beam using shape steel
KR102565855B1 (en) Method for fixing stell bar using stell bar fixing apparatus
JPH0469572U (en)
JPH0932287A (en) Support method and tool for gap filling filler of pipe insertion hole
JP2000192550A (en) Joining metal fitting and joining part structure of framework member
KR200294215Y1 (en) A Steel Beam-Column Connetion Device With Rib, Dog-bone And Partial Welding
FR2583086A1 (en) Device for anchoring a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