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631B1 -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 Google Patents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631B1
KR102601631B1 KR1020210175042A KR20210175042A KR102601631B1 KR 102601631 B1 KR102601631 B1 KR 102601631B1 KR 1020210175042 A KR1020210175042 A KR 1020210175042A KR 20210175042 A KR20210175042 A KR 20210175042A KR 102601631 B1 KR102601631 B1 KR 10260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ver
main body
location information
gns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428A (ko
Inventor
권찬오
이준혁
원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앤
Priority to KR102021017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NSS 수신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부, 본체부의 상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단커버, 본체부의 하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단커버, 하단커버의 하부면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단자커버 및 하단커버의 하부면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터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 관측이 용이하며 범용성 있는 충전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GNSS RECEIVER STRUCTURE FOR FIELD SURVEY SUPPORT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본 발명은 GNSS 수신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측위시스템)는 우주 궤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고도·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크게 위성, 지상의 제어국, 사용자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 제어국의 수신장치에서 고도 약 20,000㎞ 중궤도에 위치해 있는 인공위성에서 신호를 받아 100m 이내의 위치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 GNSS의 기본 원리이며, 위성의 위치와 위성시계, 전리층모델, 위성궤도변수, 위성상태 등의 항법정보가 있다면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GNSS는 작게는 1m 이하 해상도의 정밀한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으며, 군사적 용도뿐 아니라 항공기·선박·자동차 등 교통수단의 위치 안내나 측지·긴급구조·통신 등 민간 분야에서도 폭넓게 응용된다.
GNSS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수신기를 구비하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점, 수신기가 소형인 점, 실시간으로 출력을 얻을 수 있어 이동중에도 작업할 수 있는 점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지리적 위치추정(geolocalization)은 차량, 휴대 전화, 자산 추적, 보안, 및 많은 다른 것들을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므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GNSS 수신기들에 대한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 GNSS 수신기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 관측이 용이한 GNSS 수신기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높으며, 단가적인 측면에서도 종래에 비해 단가 절감 및 부품 수급이 용이한 GNSS 수신기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 관측이 용이하며 범용성 있는 충전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회로와 고용량 충전배터리를 탑재하여 낮은 전력과 높은 안정성으로 구동이 가능한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부; 본체부의 상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단커버; 본체부의 하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단커버; 하단커버의 하부면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단자커버; 및 하단커버의 하부면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터리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커버의 하부면과 배터리커버의 사이 공간에는 충전배터리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본체격판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부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공간과 상단커버 사이에는 안테나모듈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상단커버의 하부면에는 안테나모듈의 상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4쌍의 안테나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안테나고정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제1고정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공간에는 메인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안테나모듈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블루투스모듈이 설치되고 메인회로기판의 타측에는 USB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주변LED가 내장된 LED커버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하단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너트장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너트조립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너트장착부의 중앙에는 너트홀이 천공되고, 너트조립체는 너트홀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너트조립체는, 너트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폴대너트; 및 중앙에 폴대너트가 삽입되며, 폴대너트를 하단커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너트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너트고정부는, 폴대너트가 삽입되는 너트중앙부; 너트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너트고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너트연장부; 너트연장부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단부; 및 너트중앙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너트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에서 상기 단자커버의 상부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버의 상부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는, 상기 하단커버의 하부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하부폴대; 및 하부폴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폴대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 관측이 용이한 기구 디자인을 선정하며, 범용성 있는 리튬이온 충전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회로와 고용량의 충전용 배터리를 탑재 및 회로 구성으로 낮은 전력과 높은 안정성으로 8시간 이상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회로를 소형화하여 저전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수신기용 임베디드 시스템에 맞춤 제작으로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 유지할 수 있고, 기존 시스템에 비해 단가 절감 및 부품 수급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대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커버 및 배터리커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대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 구조는, 본체부(200), 상단커버(100), 하단커버(400), 단자커버(500) 및 배터리커버(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0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면 일측에는 다수의 주변LED(231)가 내장된 LED커버(230)가 장착된다. LED커버(230)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아크릴 위에 검은 도표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주변LED(231)는 GNSS 수신기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면 나머지 부분에는 다수의 수직돌기부(240)가 돌출 형성된다. 다수의 수직돌기부(240)는 종방향(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 공간 중앙에는 본체격판(220)이 횡방향(전후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부(200)의 내부를 상부공간(221)과 하부공간(222)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본체부(200)의 상부공간(221)에는 안테나모듈(210)이 장착되고, 본체부(200)의 하부공간(222)에는 메인회로기판(250)이 장착되어 안테나모듈(210)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모듈(210)은 기존의 Cap 방식의 안테나보다 정확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Raw 방식의 안테나를 적용한다. 상기 안테나모듈(210)은 기존 GPS 안테나가 할 수 없는 Beidou 위성의 수신을 제공하는 GPS-RTK와 잘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상단커버(100)는 본체부(200)의 상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단커버(10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커버(100)의 하부면에는 안테나모듈(210)의 상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4쌍의 안테나고정부(110)가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안테나고정부(110)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1고정부(111)와 제1고정부(11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고정부(112)로 구성된다.
각각의 안테나고정부(110)의 사이에는 4개의 안테나보조홀(120)이 형성된다. 안테나보조홀(120)은 안테나고정부(110)가 안테나모듈(210)을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단커버(100)의 장착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사용자는 안테나보조홀(120)을 이용하여 상단커버(100)를 정확한 위치에 놓는 것만으로도 안테나모듈(210)이 안테나고정부(110)에 의해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모듈(210)이 4쌍의 안테나고정부(110)에 의해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사용자가 상단커버(100)만 제거하면 바로 안테나모듈(21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공간(222)에는 메인회로기판(250)이 장착된다. 메인회로기판(250)은 안테나모듈(210)과 본체격판(22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방수·방진에 더욱 유리하다.
상기 메인회로기판(250)은 소형화하여 저전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수신기용 임베디드 시스템에 맞춤 제작으로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 시스템에 대비하여 단가 절감 및 부품 수급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인회로기판(250)의 일측에는 블루투스모듈(251)이 설치되고, 메인회로기판(250)의 타측에는 USB커넥터(252)가 설치된다. 상기 블루투스모듈(251)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장시간 사용에 유리하고, 블루투스 5.0을 적용하여 연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단커버(400)는 본체부(200)의 하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본체부(200)와 하단커버(400) 사이에는 너트조립체(300)가 장착된다. 너트조립체(300)는 본체부(200)의 하부공간(222)에 배치되어 하단커버(4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커버(500)는 하단커버(400)의 하부면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커버(600)는 하단커버(400)의 하부면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단커버(400)의 하부면과 배터리커버(600)의 사이 공간에는 충전배터리(620)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사용자는 배터리커버(600)만 분리하면, 충전배터리(620)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충전배터리(620)는 범용성 있는 리튬이온배터리 18650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회로와 고용량의 충전용 배터리를 탑재 및 회로 구성으로 낮은 전력과 높은 안정성으로 8시간 이상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커버(400)의 하부면에는 하부폴대(700)가 삽입 결합되고, 하부폴대(700)의 하단에는 원판 형상의 폴대브라켓(710)이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커버 및 배터리커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조립체(300)는 본체부(200)와 하단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폴대너트(310) 및 너트고정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조립체(300)는 하단커버(4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너트장착부(4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폴대너트(310)는 너트홀(4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폴대너트(310)에 하부폴대(70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너트고정부(320)는 중앙에 폴대너트(310)가 삽입되며, 폴대너트(310)를 하단커버(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너트고정부(320)는, 폴대너트(310)가 삽입되는 너트중앙부(321), 너트중앙부(321)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너트고정홀(32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너트연장부(322), 너트연장부(322)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단부(323) 및 너트중앙부(321)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커버(400)에 형성된 가이드부(46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너트삽입부(324)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중앙부(321)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너트연장부(322)는 너트중앙부(32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너트단부(323)는 너트연장부(322)의 말단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너트단부(323)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단부삽입부(323a)가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너트삽입부(324)는 하단이 너트중앙부(321)에 결합되고, 상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너트중앙부(321) 방향으로 오므라들거나, 너트중앙부(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커버(400)의 상부면 중앙에는 너트장착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410)는 전술한 너트중앙부(321)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돌부(411) 및 한 쌍의 장착돌부(411) 사이에 배치되어 너트삽입부(324)가 노출될 수 있는 장착홀부(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장착부(410)의 중앙에는 너트홀(420)이 천공되고, 이러한 너트홀(420)을 통해 폴대너트(3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너트장착부(41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한 쌍의 너트연장부(322)에 형성된 너트고정홀(32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너트고정삽입부(43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너트장착부(410)를 기준으로 전방과 우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술한 USB커넥터(252)가 노출될 수 있는 USB홀(441)을 구비한 단자공간부(440) 및 충전배터리(620)가 장착될 수 있는 배터리공간부(450)가 각각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배터리공간부(450)와 단자공간부(440)는 하단커버(400)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공간부(450)는 배터리커버(6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며, 단자공간부(440)는 단자커버(5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공간부(450)의 너트장착부(410)와 가까운 측면 및 단자공간부(440)의 너트장착부(410)와 가까운 측면에는 전술한 너트삽입부(324)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4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공간부(450)의 측면 상단 및 하단에는 전술한 너트단부(323)의 단부삽입부(32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삽입홀(470)이 각각 형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상기 단자공간부(440)의 측면 상단 및 하단에도 단부삽입홀(470)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너트고정부(320)를 이용하여 폴대너트(310)의 위치를 쉽게 규제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폴대너트(310)를 고정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폴대너트(310)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커버(500)의 상부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자안착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버(600)의 상부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안착부(610)가 형성된다.
각각 단자안착부(510)는 단자커버(500)의 중심부 방향에 배치된 단부의 높이가 가장 높고, 단자커버(50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다가, 단자커버(500)의 중심부로부터 제일 먼 곳에 배치된 말단의 높이가 다시 높아지는 'U'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각각 배터리안착부(610)는 배터리커버(600)의 중심부 방향에 배치된 단부의 높이가 가장 높고, 배터리커버(60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다가, 배터리커버(600)의 중심부로부터 제일 먼 곳에 배치된 말단의 높이가 다시 높아지는 'U'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단자안착부(510) 및 배터리안착부(610)는 단자공간부(440) 및 배터리공간부(450)에 어떠한 형태의 부품을 넣어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상단커버 110 : 안테나고정부
111 : 제1고정부 112 : 제2고정부
120 : 안테나보조홀 200 : 본체부
210 : 안테나모듈 220 : 본체격판
221 : 상부공간 222 : 하부공간
230 : LED커버 231 : 주변LED
240 : 수직돌기부 250 : 메인회로기판
251 : 블루투스모듈 252 : USB커넥터
300 : 너트조립체 310 : 폴대너트
320 : 너트고정부 321 : 너트중앙부
322 : 너트연장부 322a : 너트고정홀
323 : 너트단부 323a : 단부삽입부
324 : 너트삽입부 400 : 하단커버
410 : 너트장착부 411 : 장착돌부
412 : 장착홀부 420 : 너트홀
430 : 너트고정삽입부 440 : 단자공간부
441 : USB홀 450 : 배터리공간부
460 : 가이드부 470 : 단부삽입홀
500 : 단자커버 510 : 단자안착부
600 : 배터리커버 610 : 배터리안착부
620 : 충전배터리 700 : 하부폴대
710 : 폴대브라켓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부; 본체부의 상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단커버; 본체부의 하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단커버; 하단커버의 하부면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단자커버; 하단커버의 하부면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터리커버; 및 하단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너트장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너트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조립체는,
    너트장착부의 중앙에 천공된 너트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폴대너트; 및 중앙에 폴대너트가 삽입되며, 폴대너트를 하단커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너트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고정부는,
    폴대너트가 삽입되는 너트중앙부; 너트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너트고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너트연장부; 너트연장부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단부; 및 너트중앙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중앙부는 하단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너트장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삽입부는 하단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너트단부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단부삽입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단부삽입부는 하단커버에 형성된 단부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본체격판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부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공간과 상단커버 사이에는 안테나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커버의 하부면에는 안테나모듈의 상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4쌍의 안테나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안테나고정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제1고정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공간에는 메인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안테나모듈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블루투스모듈이 설치되고 메인회로기판의 타측에는 USB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주변LED가 내장된 LED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의 상부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버의 상부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커버의 하부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하부폴대; 및
    하부폴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폴대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KR1020210175042A 2021-12-08 2021-12-08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KR10260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42A KR102601631B1 (ko) 2021-12-08 2021-12-08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42A KR102601631B1 (ko) 2021-12-08 2021-12-08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28A KR20230086428A (ko) 2023-06-15
KR102601631B1 true KR102601631B1 (ko) 2023-11-13

Family

ID=8676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042A KR102601631B1 (ko) 2021-12-08 2021-12-08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6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69B1 (ko) * 2020-06-15 2021-03-30 올래디오 주식회사 어구를 식별하는 스마트부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708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유동방지를 위한 건전지 커버
KR101864721B1 (ko) * 2016-10-14 2018-06-05 메스코(주) 방수 기능이 뛰어난 전자 부이
KR102566887B1 (ko) * 2018-12-10 202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69B1 (ko) * 2020-06-15 2021-03-30 올래디오 주식회사 어구를 식별하는 스마트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28A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32514U (zh) 一体化多传感器激光雷达扫描系统
CN201497509U (zh) 一种双天线gps/ins组合导航仪
US5957717A (en) Range pole with integrated power system
CN103754327B (zh) 一种海况测量浮标
CN106525006A (zh) 一种表层波流移动观测系统
KR102601631B1 (ko) 현장조사 지원 및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nss 수신기 구조
Matos et al. Man portable acoustic navigation buoys
CN211285734U (zh) 智能变形桩监测装置
JPH1090017A (ja) 海面定点を浮遊する多目的ポッド
CN208921138U (zh) 惯性导航系统在运载体上的安装结构
US20110068974A1 (en) Inline GPS Receiver Module
CN201408262Y (zh) 一种组合式车载gps
CN113503874A (zh) 光纤组合导航系统
CN101487885B (zh) 一种追踪、训练用gps定位器
KR100547776B1 (ko) 지피에스 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CN215810885U (zh) 光纤组合导航系统
CN213210477U (zh) 一种便捷的sim卡防水置换结构
CN212401555U (zh) 无人机
CN201368915Y (zh) 一种gps导航器的固定座
CN219245771U (zh) 一种鸽子定位器
KR20050064651A (ko) 태양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자세 방위각 측정시스템 및 그측정방법
CN100531006C (zh) 车载卫星通信天线自动寻星装置
CN110824418A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定位系统以及无人机
CN213842158U (zh) 一种新型多功能测绘仪保护装置
CN203745650U (zh) 一种地理空间情报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