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586B1 -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586B1
KR102601586B1 KR1020220146865A KR20220146865A KR102601586B1 KR 102601586 B1 KR102601586 B1 KR 102601586B1 KR 1020220146865 A KR1020220146865 A KR 1020220146865A KR 20220146865 A KR20220146865 A KR 20220146865A KR 102601586 B1 KR102601586 B1 KR 102601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subcontract
contrac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원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원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원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22014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5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5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을 제공하는 BIM도면 제공부,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를 유효하게 처리하는 원도급 생성부,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를 생성하는 현장 관리부,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 정보,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을 유효하게 처리하는 하도급 생성부,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을 이행하고,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도급기성정보를 생성하는 기성 청구부 및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를 획득하면 하자접수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를 획득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를 유효하게 처리하는 하자 보수부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 BIM drawing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BIM drawings, which are three-dimensional drawings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work of any building, and the BIM drawings. In connection with this, a primary contract document contain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and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which effectively processes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through electronic approval, collects on-site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A site management unit that obtains and generates a site docum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and creates a sub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A subcontract generation unit that effectively processes subcontracts through electronic approval, performs subcontrac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amount when sub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and generates contract information using the BIM drawing and field information. If the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the building defect information are obtained from the existing claims department and the building owner terminal, the defect is registered, and if the repair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defect i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the defect repair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electronic payment method. It relates to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defect repair department.

Description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설공사 동안 발생하는 건설공정, 건설문서 및 공사비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ystematically managing the construction process, construction documents, and construction cost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work.

건설업체 현장관리자는 현장 대리인으로써 공사현장의 착공부터 준공까지 맡아서 현장을 총괄 감독하고, 각 공종별 하도급 업체의 지도와 계약에 따른 계약금액을 초과하지 않고 공사를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건설업체 공무부는 견적, 제작도, 납품업무, 전 현장의 공사일정 조율, 건축주로부터 기성청구, 현장서류의 누락정보 확인 등을 진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건설업체 공무부는 계약금액에 따른 일반 관리비와 이윤을 적절히 남기기 위해 노력하고, 건설업체 현장관리자는 이러한 이윤을 초과하는 공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도급업체의 일정을 조율하고, 하도급 기성청구서를 확인하여 과기성의 유무를 판단한다. As an on-site agent, the site manager of a construction company is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from the start to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guiding the subcontractors for each type of work, and ensuring that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without exceeding the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the contract. The construction company's public affairs department is responsible for estimating, manufacturing drawings, delivery, coordinating construction schedules for all sites, making ready-made claims from building owners, and checking missing information in site documents.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company's public affairs department strives to appropriately cover general management costs and profits according to the contract amount, and the construction company's site manager coordinates the subcontractor's schedule to prevent construction exceeding these profits from occurring, and checks the subcontractor's ready-made invoic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x.

그러나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정보와 서류로 인해 현장관리자는 현재 시점에서 얼마의 이윤이 남고 얼마의 지출이 발생했는지 신속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건설업체는 건설공사 도중에 손실을 메우기 위해 부실공사를 단행하거나, 건설공사 종료 후 손해를 보게 된다. 따라서 건설업체는 다수의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비에 대한 이익과 손실에 대한 적정성 유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건축주는 건설업체가 제공하는 비용의 근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documents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it is difficult for site managers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how much profit is left and how much expenses have been incurred at the current point. Therefore, construction companies either perform shoddy work to make up for losses during construction or incur losses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refore, construction companies need a system that can immediately check the adequacy of profits and losses for construction costs incurred at multiple construction sites, and a system that allows building owners to easily understand the basis for costs provided by construction companies. It is necessary.

또한, 일반적으로 건설업체에서 공사비를 관리하는 방법은 수기로 오프라인 문서를 작성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식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면 각 현장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업체 현장관리자에게 수기 문서 또는 파일을 배포하여 작성토록 하고, 작성된 문서 또는 파일을 우편 및 이메일로 회신 받아 건설업체 공무부에서 보관한다. Additionally, construction companies generally manage construction costs by manually creating offline documents or controlling formulas using Microsoft's Excel program. Then, handwritten documents or files are distributed to the construction company site managers in charge of each site to be filled out, and the written documents or files are replied to by mail and e-mail and stored in the construction company's public affairs department.

건설공사와 관련된 서류에는 품의서, 지출 결의서, 하도급 내역서, 월별 기성 청구서, 도급 기성 청구서 등이 있고, 각 서류를 통해서 업체 간 교류되는 정보의 양도 방대하다. 다만, 건설공사와 관련된 서류는 상당히 중요하고 은밀한 서류임에도 불구하고 전달과정에서 보안에 상당히 취약하다. 우편으로 서류를 주고받을 시 도난 및 오배송 등에 대한 위험이 있으며, 이메일로 주고받을 시 바이러스 노출 등에 대한 위험이 있다. 따라서 건설공사와 관련된 서류를 작성하기 용이하고, 업체 간 주고받기 용이하고, 보안성 높은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Documents related to construction work include letters of agreement, expenditure resolutions, subcontract statements, monthly invoices, and contract invoices,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companies through each document is enormous. However, although documents related to construction work are very important and confidential documents, they are quite vulnerable to security during the delivery process. There is a risk of theft and misdelivery when sending and receiving documents by mail, and there is a risk of exposure to viruses when sending and receiving documents by email.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ystem that makes it easy to prepare documents related to construction work, facilitates exchange between companies, and has high secur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650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65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77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177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상에서 건설공사와 관련된 건설과정, 건설문서 및 건설비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BIM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을 제공하고,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원도급 및 하도급을 관리하고, 건설현장 내 현장문서를 관리하고, 원도급 및 하도급 기성 청구를 관리하고, 건축물 하자보수를 관리하는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BIM drawings, which are three-dimensional drawings containing BIM informa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process, construction documents, and construction costs related to construction work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online, and the BIM The purpose is to obtain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that manages primary contracts and subcontracts in connection with drawings, manages field documents within construction sites, manages ready-made claims for primary contracts and subcontracts, and manages building defect repairs.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은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을 제공하는 BIM도면 제공부,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를 유효하게 처리하는 원도급 생성부,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를 생성하는 현장 관리부,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 정보,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을 유효하게 처리하는 하도급 생성부,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을 이행하고,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도급기성정보를 생성하는 기성 청구부 및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를 획득하면 하자접수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를 획득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를 유효하게 처리하는 하자 보수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M drawing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BIM drawing, a three-dimensional drawing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work of an arbitrary building, and the BIM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 a primary contract document contain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and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effectively processes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through electronic approval, and field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A site management unit that acquires and creates a site docum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creates a sub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and , a subcontract generation unit that effectively processes subcontracts through electronic payment, and when sub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subcontract settle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amount, and the BIM drawing and field information are used to generate contract information. If the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the defec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obtained from the existing claims department and the building owner's terminal, the defect is registered, and if the repair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defect i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the defect repair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the electronic payment method. We provide defect repair depart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방법은BIM도면 제공부에 의하여, 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이 제공되는 BIM도면 제공단계; 원도급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가 생성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가 유효하게 처리되는 원도급 생성단계; 현장 관리부에 의하여,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가 생성되는 현장 관리단계; 하도급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 정보,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가 생성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이 유효하게 처리되는 하도급 생성단계; 기성 청구부에 의하여,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이 이행되고,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도급기성정보가 생성되는 기성 청구단계; 및 하자 보수부에 의하여,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가 획득되면 하자접수 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가 획득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가 유효하게 처리되는 하자 보수단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M drawing, a three-dimensional drawing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n arbitrary building, by a BIM drawing provider. BIM drawing provision stage; A primary contract generation step in which a primary contract document including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by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and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A site management step in which site information occur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s acquir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by the site management unit, and site documents ar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 subcontract creation step in which a sub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by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and the subcontract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A ready-made billing step in which, when subcontract-ready information is input from a subcontractor's terminal, subcontrac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contribution is performed by the ready-made billing department, and contract-ready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BIM drawing and field information; When the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the defect information on the building are obtained from the building owner's terminal by the defect repair department, the defect is registered, and when the repai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defect i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s terminal, defect repair is effective through electronic approval. Provides defect repair steps that are handled appropriate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BIM도면과 연계하여 원도급 및 하도급을 관리하고, 건설현장 내 현장문서를 관리하고, 원도급 및 하도급 기성 청구를 관리하고, 건축물 하자보수를 관리함으로써, 건설업체는 건축주에게 기성 청구 시 현재 공사단계의 적정 공사비의 근거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the original contract and subcontract in connection with BIM drawings, managing field documents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managing ready-made claims for original contract and subcontract, and managing building defect repair, the construction company provides ready-made services to the building owner. When making a request, the basis for the appropriate construction cost for the current construction stage can be clearly presented.

또한, 본 발명은 건설업체가 다수의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비에 대한 이익과 손실에 대한 적정성 유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construction companies to immediately check the adequacy of profits and losses for construction costs incurred at multiple construction sites.

또한, 본 발명은 건설업체와 건축주 간 도급,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하도급 시 발생하는 문서를 종래 이메일 및 우편으로 주고받은 것과 비교하여 보다 업무 편의성 및 보안성을 높여 건설공사와 관련된 서류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business convenience and security to manage documents related to construction work compared to sending and receiving documents generated during contracts between construction companies and building owners and subcontracts between construction companies and subcontractors through conventional email and postal mail. There is a possible eff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BIM도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IM도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급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급견적 및 도급내역 생성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관리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계변경정보을 통한 원도급문서 갱신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신된 원도급문서를 이용한 도급견적 및 도급내역 갱신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적대비표 및 기안서를 생성하는 하도급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도급업체 선정에 따른 하도급문서 생성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기성청구서 및 하도급기성청구서 생성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기성정보에 따른 하도급 내역서 생성 과정 및 하도급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도급기성청구서 생성 과정 및 원도급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하자보수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BIM drawing.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BIM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of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ntrac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contract estimate and contract deta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updating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hrough design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updating the contract estimate and contract details using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subcontracting process for generating a quotation comparison table and d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subcontract document creation process according to subcontractor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initial ready-made invoice and a subcontracted in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 subcontract statement based on ready-made subcontract information and the settlement process for the ready-made subcontract b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original contract invoice and the settlement process for the original contract in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building defect repair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BIM도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IM도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급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급견적 및 도급내역 생성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관리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계변경정보을 통한 원도급문서 갱신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신된 원도급문서를 이용한 도급견적 및 도급내역 갱신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적대비표 및 기안서를 생성하는 하도급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도급업체 선정에 따른 하도급문서 생성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기성청구서 및 하도급기성청구서 생성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도급 기성정보에 따른 하도급 내역서 생성 과정 및 하도급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도급기성청구서 생성 과정 및 원도급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하자보수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BIM drawing.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BIM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of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ntrac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contract estimate and contract deta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updating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hrough design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updating the contract estimate and contract details using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subcontracting process for generating a quotation comparison table and d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subcontract document creation process according to subcontractor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initial ready-made invoice and a subcontracted in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 subcontract statement based on ready-made subcontract information and the settlement process for the ready-made subcontract b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original contract invoice and the settlement process for the original contract in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building defect repair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은 BIM도면 제공부(100), 원도급 생성부(200), 현장 관리부(300), 하도급 생성부(400), 기성 청구부(500) 및 하자 보수부(6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M drawing provision unit 100, a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200, an on-site management unit 300, a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a ready-made billing unit 500, and a defect Includes a maintenance unit 600.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상에서 건축주 단말(1), 현장관리자 단말(2), 공무부 단말(3) 및 하도급업체 단말(4)이 접근가능하도록 하여 각 단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건설공사 종합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관리 서버(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5)는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 원도급 생성부(200), 현장 관리부(300), 하도급 생성부(400), 기성 청구부(500) 및 하자 보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site manager terminal (2),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subcontractor terminal (4) to be accessible on the Internet network,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each terminal, It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5 that implements a web page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of construction work, and the management server 5 includes the BIM drawing provision unit 100,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and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 may include a subcontract generation unit 400, a ready-made billing unit 500, and a defect repair unit 6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도급도서 생성부(110) 및 도면 DB(12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provides a BIM drawing, which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an arbitrary building. At this time,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may include a contract book generating unit 110 and a drawing DB 120.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BIM도면은 임의의 건설공사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이다. 상기 BIM 정보는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 에너지 분석, 도면화, 견적, 시공, 준공, 유지보수, 철거 등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 생성되는 건축적 정보를 일컫는다. 그리고 상기 BIM도면은 이러한 BIM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과 3차원 도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인 2차원의 도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M drawin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any construction project. The BIM information refers to architectural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including construction planning, design, energy analysis, drawing, estimation, construction, completion, maintenance, and demolition. And the BIM drawing may include a 3D drawing including this BIM information and a 2D book that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3D drawing.

도 2의 (a)는 종래 Hand Drawing을 이용한 도면으로, 직관적으로 작성되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오염, 분실, 수정, 체계적 관리에 있어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도 2의 (b)는 그다음 세대인 CAD system을 이용한 도면으로, 쉽고 빠른 설계 및 수정이 가능하고 도면 관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룰 수 있는 엔지니어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도 2의 (c)는 그다음 세대인 CAD와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도면으로, 준공 후의 건축물을 시각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적용 재질 및 주변과의 관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도면 오차에 따른 낮은 신뢰도와 설계변경에 따른 수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2의 (d)는 그다음 세대인 CAD와 3D를 이용한 도면으로, 건축, 구조, 설비 등 다양한 공종 간 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초기 BIM의 형태로 미완성 형태이다. Figure 2 (a) is a drawing using conventional hand draw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tuitively created and capable of various expression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contamination, loss, modific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b) in Figure 2 is a drawing using the next generation CAD system, which has the advantages of enabling easy and quick design and modification, easy drawing management, and being able to express in various color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n engineer who can handle the software. There is. Figure 2 (c) is a drawing using the next generation CAD and computer graphics,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visually express the building after completion and identifying the applied material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s in advance, but with low drawing errors due to drawing errors.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modify due to reliability and design changes. (d) in Figure 2 is a drawing using the next generation CAD and 3D, which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construction types such as architecture, structure, and equipment, but is in an unfinished form in the form of early BIM.

그러나 본 발명의 BIM도면은 태양, 빛, 열, 공기, 음을 포함하는 친환경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공간과 공간 내 에너지를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설계보완을 유도하여 설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BIM도면은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구조 단면도, 구조평면도 2차원 설계도서, 난간, 창호, 내부마감, 외부마감, 조경, 방수, 단열재, 가벽, 조적, 기초, 기둥, 보, 계단, 슬라브에 대한 3차원 도면, 도면에 따른 건설공사 시 필요한 공조물량, 공조물량에 따른 견적, 공조물량에 따른 내역, 건축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BIM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space and energy within the space using eco-friendly analysis tools including sun, light, heat, air, and sound, and can improve design quality by inducing design supplementation accordingly. It has a remarkable effect. In other words, the BIM drawing include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structural floor plan, two-dimensional design book, railings, windows, interior finishing, exterior finishing, landscaping, waterproofing, insulation, temporary walls, masonry, foundations, columns, beams, stairs, etc. for any building. It can include a 3D drawing of the slab,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according to the drawing, an estimate based on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detail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owner.

상기 BIM도면은 도 3의 (a)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IM도면에서 임의의 건축물의 기초, 기둥, 보, 계단을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 BIM정보는 층별 기초, 기둥, 보, 계단에 따른 부피를 공조물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BIM정보는 경질우레탄보드, 열반사 단열재 등 단열재 유형별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c)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난간, 내부 계단실 난간 및 조경 상부 난간을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 BIM정보는 아연도금 제작난간 등 층별, 난간 유형별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d)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 BIM정보는 층별, 창호 유형별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a), the BIM drawing is a drawing in which the foundation, column, beam, and staircase of an arbitrary building are created in the BIM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in the drawing is the foundation and column for each floor. , the volume of beams, and stairs can be included as air conditioning volume. And looking at (b) of Figure 3, it is a drawing of an insulat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of the drawing may include the area for each type of insulation material, such as rigid polyurethane board and heat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 Looking at (c) of Figure 3, it is a drawing of an external railing, an internal staircase railing, and a landscaping upper ra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of the drawing includes the area by floor and railing type, such as galvanized production railings. can do. Looking at (d) of FIG. 3, it is a drawing of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of the drawing may include the area of each floor and window type.

다음으로,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를 유효하게 처리한다. 이때,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원도급견적 생성부(210), 원도급내역 생성부(220), 건축주 DB(230), 건설업체 DB(240), 원도급 DB(250), 원도급견적 DB(260) 및 원도급내역 DB(270)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generates a primary contract document including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and effectively processes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At this time,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includes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unit 210, a primary contract details generation unit 220, a building owner DB 230, a construction company DB 240, a primary contract DB 250, and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DB 260. ) and original contract details DB (270).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원도급은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주와 건축주에게 건축물 건설공사를 의뢰받은 건설업체 간의 계약이고, 건설업체가 본 건축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건축주가 건설공사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계약이다.The primary contrac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act between an owner who wants to build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company that has been commissioned by the owner to construct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agrees to complete the building and the owner pays compensation for the construction work. It is a contract that becomes effective upon agreement.

상기 건축주정보 및 건설업체정보는, 건축주/건설업체 사명, 각 사업자등록번호, 각 회사전화번호, 각 회사주소, 각 회사이메일, 각 팩스번호, 각 대표자 성함, 각 대표자 주민번호, 각 대표자 생년월일, 각 대표자 연락처, 각 대표자 휴대전화, 각 대표자 이메일, 각 대표자 주소, 각 담당자, 각 담당자 이메일, 각 담당자 연락처, 각 담당자 휴대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uilding owne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clude the building owner/construction company name, each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each company phone number, each company address, each company email, each fax number, each representative's name, each representative's resident number, each representative's date of birth, It may include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address, each representativ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and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상기 원도급정보는, 공사명, 계약금액, 계약보증금, 지체상금율, 물가변동계약금액조정방법, 착공년월일, 준공년월일, 하자담보책임, 계약일자, 건축물의 대지위치, 지역지구, 대지면적, 용도, 규모, 건축면적, 연면적, 용적률산정용연면적, 법정건폐율, 건폐율, 법정용적률, 용적률, 건축물구조, 최고높이, 조경면적, 조경비율, 법정주차대수, 주차대수, 접한도로정보, 단열공법, 세대수, 주차대수, 주차종류별 계획주차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원도급정보는 도급 시 또는 도급 후 건설공사 중 발생한 계약 이외의 상황에 대해 건축주와 건설공사 간이 합의 하에 결정해야하는 모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project, contract amount, contract deposit, liquidated damages rate, price fluctuation contract amount adjustment method, date of construction start, date of completion, liability for defects, contract date, site location of the building, local district, site area, use, Size,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total floor area for floor area ratio calculation, legal building-to-land ratio, building-to-land ratio, legal floor area ratio, floor area ratio, building structure, maximum height, landscaping area, landscaping ratio, legal parking space, number of parking spaces, adjacent road information, insulation method, number of households, It can include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and the planned number of parking spaces by parking type. In other words,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that must be decided upon by agreement between the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regarding situations other than the contract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work at the time of contract or after contract.

상기 원도급문서는, 도급 시 작성되는 문서와 도급 후 건설공사 중 발생한 계약 이외의 상황에 대해 작성되는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급문서는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계약에 사용하는 문서인 원도급 계약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해결방안을 작성하여 결재권자에게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문서인 기안서, BIM도면에 기초하여 지출이 예상되는 건설비용을 사전에 계획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문서인 지출 결의서, 계약 시 BIM도면에서 건축주가 설계변경을 요청한 부분을 작성하는 문서인 설계변경 문서, BIM도면에서 지출이 예상되는 부분 이외 무상으로 처리되는 부분에 대해 작성하는 문서인 무상처리 문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사고 진행 과정을 기록하는 문서인 사고 경위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s may include documents prepared at the time of contracting and documents prepared for situations other than the contract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work after contracting.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contract documents include the original contract agreement, which is a document used in the contract between the owner and construction company, the draft plan,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a solution to problem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and requests decision-making from the approval authority, and BIM drawings. Expenditure resolution, which is a document that plans and requests approval for construction costs expected to be spent in advance based on the cost; design change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the portion of the BIM drawing requested by the owner to change the design at the time of contract; and expenditure is expected in the BIM drawing. It can include a free processing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written for parts that are handled free of charge, and an accident report, which is a document that records the progress of an accident that occurred during construction work.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도급에 있어서,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건축주 단말(1)로부터 입력된 건축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주 DB(230)는 상기 건축주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건설업체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입력된 건설업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설업체 DB(240)는 상기 건설업체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건축주 단말(1) 및 상기 공무부 단말(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된 일부 또는 전체 상기 원도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 DB(250)는 상기 원도급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 DB(250)는 원도급문서 종류별 원도급양식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건축주정보, 상기 건설업체정보 및 상기 원도급정보가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생성된 원도급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In a contract between a building owner and a construction company,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may obtain 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the building owner DB 230 can store and update 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may obtai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put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of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DB 240 can store and update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may obtain some or all of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can store and update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The primary contract DB 250 can store primary contract forms for each type of primary contract document, and can store primary contract documents in which 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format.

또한,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건축주 단말(1)에 상기 원도급문서를 제공하고 전자서명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건축주 단말(1)로부터 상기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획득 수 있다.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에 상기 원도급문서를 제공하고 전자서명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상기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획득할 수 있다. 계약자간 전자서명이 각각 완료되면,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원도급문서에 대하여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원도급 DB(250)는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원도급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200 may provide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o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request an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can obtain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200 may provide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o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request an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200 can obtain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When each electronic signature between contractors is completed,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200 can process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so that electronic approval is valid. And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can store original contract documents for which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validly process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을 유효하게 처리하면 상기 관리 서버(5)로부터 구현된 웹페이지 상에 기 설정된 형식으로 해당 원도급에 대한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 중 일부를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단말이라면 건설업체의 수주현황들을 웹페이지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processes the primary contract through an electronic payment method, 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for the primary contract are displayed in a preset format on the web page implemen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5. It is characterized by posting some of the information an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Therefore, any terminal with permission to access the web page has the notabl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check the construction company's order status on the web page.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온라인상에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원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약자 간 우편 및 이메일 방식으로 원도급문서를 주고받지 않아도 되어 업무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원도급문서의 보안성 및 관리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o be gener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online,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by eliminating the need to exchange original contract documents between contractors through mail and email. This has the notabl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and manageability of original contract documents.

한편 원도급견적을 생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BIM정보를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견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견적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원도급견적양식에 따라 원도급견적문서를 생성하는 원도급견적 생성부(210) 및 상기 견적정보, 상기 원도급견적문서를 저장하는 원도급견적 DB(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in order to generate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quotation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work using the BIM information, and uses the quot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according to a preset primary contract quotation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generating unit 210 that generates a document, and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DB 260 that stores the quotation information and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다시 말하면,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부(21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사용부피당 레미콘 단가, 넓이당 거푸집 단가, 무게당 철근 단가를 포함하는 단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BIM정보는 3차원 도면상에서 건축물 부위별 규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BIM정보는 철근콘크리트 공종의 계단, 구조 기둥, 구조 프레임, 바닥, 벽을 각각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레미콘 사용부피(m3), 거푸집 넓이(m2) 및 철근 무게(ton)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BIM 정보는 층별, 부분별 항목, 항목별 물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량은 항목에 따라 넓이, 부피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부(210)는 상기 단가정보와 상기 BIM 정보를 이용하여 견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견적정보는, 레미콘 사용부피와 사용부피당 레미콘 단가를 곱산한 레미콘 공사비, 거푸집 넓이와 넓이당 거푸집 단가를 곱산한 거푸집 공사비, 철근 무게와 무게당 철근 단가를 곱산한 철근 공사비 및 레미콘 공사비, 거푸집 공사비 및 철근 공사비를 합산한 총 공사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unit 210 can obtain unit pr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dy-mixed concrete unit price per volume used, the formwork unit price per area, and the rebar unit price per weight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the BIM information used to generate the estimat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cale of each building part on a 3D drawing. For example, the BIM information may include the ready-mixed concrete usage volume (m 3 ), formwork area (m 2 ), and reinforcing bar weight (ton) used to make stairs, structural columns, structural frames, floors, and wall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respectively. You can. That is, the BIM information may include items for each floor, part, and quantity for each item, and the quantity may be expressed as area, volume, etc. depending on the item. That is,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quotation information using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BIM information. The quo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ady-mix concrete construction cost multiplied by the ready-mix concrete usage volume and the ready-mix concrete unit price per usage volume, the formwork construction cost multiplied by the formwork area and the formwork unit price per area, and the reinforcing bar weight multiplied by the reinforcing bar unit price per weight. It can include the total construction cost that combines the rebar construction cost, ready-mix concrete construction cost, formwork cost, and rebar construction cost.

또한 원도급내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견적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를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내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내역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원도급내역양식에 따라 원도급내역문서를 생성하는 원도급내역 생성부(220) 및 상기 내역정보, 상기 원도급내역문서를 저장하는 원도급내역 DB(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generate original contract details,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detailed information on construction work using the quotation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uses the detailed information to form a preset original contract details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original contract details generating unit 220 that generates an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according to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B 270 that stores the details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여기서, 상기 원도급내역문서는 단가 및 공사비가 포함되지 않고 공종별 항목만 표시된 공내역서이거나 공종별 항목, 단가 및 공사비가 모두 포함된 내역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역정보는 공정코드, 품목코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재료비의 외화단가와 국산단가와 금액, 노무비의 단가와 금액, 경비의 단가와 금액 및 재료비 금액, 노무비 금액, 경비 금액을 합산한 품명 합계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may be a construction statement that does not include unit prices and construction costs and only shows items by construction type, or it may be a statement that includes all construction items, unit prices, and construction costs. And the abov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process code, item code, product name, standard, unit, quantity, foreign currency unit price and domestic unit price and amount of material cost, unit price and amount of labor cost, unit price and amount of expense, material cost amount, labor cost amount, and expense amount. The total product name and total amount can be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은 BIM도면을 기반으로 건축물 건설공사에 예측되는 공사비의 견적을 생성할 수 있고,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의 원도급 정보를 견적된 공사비에 반영함으로써 세부적인 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즉, 건설업체는 건축주에게 건설비용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고, 건축주는 건설비용의 적정성과 합리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의 건설비용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emarkable effect of being able to generate an estimate of the expected construction cost for building construction based on BIM drawings, and to identify detailed items in more detail by reflecting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in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There is.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company can provide a basis for the construction cost to the owner, and the owner can easily determine the adequacy and rationality of the construction cost. In other words,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transparently managing construction costs between building owne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로부터 유효하게 처리된 원도급문서 내 원도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IM도면으로 원도급도서와 유관도서를 생성하는 도급도서 생성부(110) 및 상기 BIM도면, 상기 원도급도서 및 상기 유관도서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도면 DB(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and related documents from the BIM drawing based on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effectively processed by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awing DB 120 that links and stores the BIM drawings, the original contract drawings, and the related books.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원도급도서는 건축주와 도급계약 시 사용되는 설계도서 일체를 말하고, 유관도서는 설계도서 외 설비, 전기, 구조 등 시공에 필요한 도서일체를 일컫는다. 즉, 원도급도서 및 유관도서는 건설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설계도와 시방서 및 이에 따른 구조계산서와 설비관계의 계산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방서는 시공 방법, 재료의 종류와 등급, 공사현장에서의 주의사항 등 설계도에 표시할 수 없는 것을 기술한 문서이다. 상기 도급도서 생성부(110)는 상기 도급도서 및 유관도서를 DWG, IFC, PDF 파일형식 중 하나로 생성할 수 있다.The original contract book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all design books used when signing a contract with the building owner, and related books refer to all books necessary for construction, such as equipment, electricity, and structure, in addition to design books. In other words,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s and related documents may include the design drawings and specifications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as well as structural calculations and facility-related calculations accordingly. Here, the specification is a document that describes things that cannot be indicated on the design drawing,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types and grades of materials, and precaution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contract book creation unit 110 can generate the contract book and related books in one of DWG, IFC, and PDF file formats.

종래 건설업체에서 제공하는 설계도서의 경우 건설업체에서 편한 위치를 임의적으로 지정하여 단면도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허가단계에서 구조를 맡긴 후 구조도서가 생성되는데, 이때 구조도서는 설계도서와 달리 일부 설계변경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설계도서와 구조도서가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시공에 착수하여 설계변경 부분을 재시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재시공을 하게 되면 예기치 않은 건설비용이 추가되고 건설공사 기간도 길어지는 만큼 사전에 설계도서와 구조도서의 정합하는 과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In the case of design documents provided by conventional construction companies, the construction company randomly designates a convenient location and creates a cross-sectional drawing, etc. And at the approval stage, after the structure is entrusted, a structural document is created. At this time, unlike the design document, some design changes may occur in the structural document.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design document and the structural document are not the same, there are often cases where construction is started without recognizing this and the design change part is re-constructed. Reconstruction adds unexpected construction costs and prolongs the construction period, so the process of matching design documents and structural documents in advance is very importan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원도급 전 BIM도면뿐만 아니라 원도급 후 원도급정보가 반영된 BIM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IM도면에 원도급정보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현장 관리, 하도급 생성, 기성 청구 및 하자 보수에 활용할 수 있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BIM drawings that reflect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fter the original contract as well as BIM drawings before the original contract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ly,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reflected in BIM drawings and used for on-site management, creation of subcontracts, ready-made claims, and defect repair, a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improving constructability.

다음으로,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를 생성한다.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공사현장 DB(310)와 스마트일보 DB(32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obtains site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and creates a site docum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may include a construction site DB 310 and a smart daily DB 320.

현장문서 중 기본착공서류가 생성됨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획득된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로부터 획득된 상기 원도급정보에 기초하여 기본착공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정보는 현장명, 착공일자, 완공일자, 현장관리자 선임계, 예정공정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정보는 계약금액 및 계약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착공서류에는 건축주정보 및 건설업체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를 이용하여 공사현장 DB(310)에 저장된 기 설정된 기본착공서류양식에 따라 기본착공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사현장 DB(310)는 상기 현장정보와 기본착공서류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creating basic construction documents among field documents,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starts basic construction based on the si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Documents can be created. At this time, the sit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ite name, construction start date, completion date, site manager appointment information, and scheduled schedule.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contract amount and contract date. The above basic construction documents may also include owne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may use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to generate basic construction documents according to a preset basic construction document format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DB 310. And the construction site DB 310 can store the site information and basic construction start documents.

또한, 일반적으로 현장관리자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하도급업체가 법령을 잘 준수하는지 공사 시 안전과 품질 등을 감독 및 지도하고, 공사일보에 기록한다. 현장문서 중 스마트일보가 생성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획득된 현장사진과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이 비교되어 형태의 정합도와 자재의 적합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스마트일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ite managers generally supervise and guide safety and quality during construction to ensure that subcontractors comply with laws and regulation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record them in the construction log. In generating a smart daily report among field documents, the field management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eld photos obtained from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and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drawings are compared to derive analysis results on the degree of conformity of form and suitability of materials, and a smart daily report is generated using the field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우선,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공사일보와 현장사진을 입력 및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현장관리자 단말(2)에 스마트일보 DB(320)에 저장된 일보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일보양식에 따라 상기 현장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일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일보가 생성되기 위한 상기 현장정보는 현장명, 작성일자, 날씨, 온도, 금일작업내용, 명일작업내용, 입력투입현황, 자재투입현황, 외주인력투입현황, 장비투입현황 및 작업지시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일보 DB(320)는 상기 현장정보와 스마트일보를 저장할 수 있다. First,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provides the daily report form stored in the smart daily report DB 320 to the site manager terminal 2 so that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 and site photos can be input and uploaded, and is sent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When the field information is entered according to the daily report format, the smart daily report can be created. At this time, the site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smart daily report includes site name, creation date, weather, temperature, today's work details, day's work details, input input status, material input status, outsourced manpower input status, equipment input status, and work instructions. Details may be included. And the Smart Daily DB 320 can store the field information and Smart Daily.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마트일보는 종래 현장관리자로부터 작성되는 공사일보에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일보이다.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획득한 현장사진과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 또는 원도급정보가 반영된 BIM도면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실제 현장에서 시공된 현장사진과 BIM도면 중 동일한 부분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해당 부분 형태의 정합도와 자재의 적합도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도출된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스마트일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daily report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ily report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th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 prepared by a conventional site manager.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can compare the site photo acquir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th the BIM drawing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or a BIM drawing reflecting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 other words,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same part of the site photos and BIM drawings constructed at the actual site, the degree of conformity of the form of the part and the suitability of the materials can be analyzed. And the field management unit 300 can generate a smart daily report including analysis results deriv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한편,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상기 현장정보가 설계변경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설계변경정보에 따라 상기 BIM도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에 상기 설계변경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에, 설계변경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현장 관리부(300)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상기 현장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즉,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상기 설계변경정보에 따라 BIM도면을 변경할 수 있고, 상기 도면 DB(120)는 상기 설계변경정보에 따라 변경된 BIM도면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과 연계하여 생성된 원도급문서를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변경된 BIM도면과 연계하여 생성된 원도급문서로 갱신하거나 버전을 달리하여 상기 원도급 DB(250)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site information includes design change information,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provides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to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so that the BIM draw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On the other hand, if it does not contain design change information,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may wait until the si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That is,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can change the BIM drawing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and the drawing DB 120 can store the BIM drawing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updates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with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d BIM drawing from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Alternatively, the version can be changed and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그러면,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에 갱신된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할 수 있고, 전자서명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주 단말(1)에 갱신된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할 수 있고, 전자서명을 획득할 수 있다. 계약자 간 전자서명을 모두 획득하면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갱신된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 DB(250)는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되고 갱신된 원도급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Then,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200 can request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obtain an electronic signature. In addition,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 can be requested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an electronic signature can be obtained. When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re obtained,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200 can process the electronic approval for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 to be valid. And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can store processed and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s so that electronic approval is valid.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는 웹페이지 상에 게시된 원도급정보를 갱신된 원도급정보로 수정하여 다시 게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200 may revise the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posted on the web page into update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and post it again.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 내 원도급견적 생성부(210)는 갱신된 BIM도면 내 BIM 정보를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견적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견적정보를 이용하여 기 생성된 원도급견적문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unit 210 in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updates the quotation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work using the BIM information in the updated BIM drawing, and uses the updated quotation information to create the previously generated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It is characterized by updating.

또한,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 내 원도급내역 생성부(220)는 갱신된 견적정보와 갱신된 원도급정보를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내역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내역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원도급내역양식에 따라 원도급내역문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견적 DB(260)는 갱신된 원도급견적정보 및 갱신된 원도급견적문서를 저장하고, 상기 원도급내역 DB(270)는 갱신된 원도급내역정보 및 갱신된 원도급내역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generation unit 220 in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updates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work using the updated quotation information and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uses the updated detail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reviously set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updating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according to the details format. In addition,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DB 260 stores updated original contract quotation information and an updated original contract quotation document, and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B 270 may store update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an updated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따라서, 본 발명의 현장 관리부(300)는 현장 관리자가 수기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던 착공서류 및 공사일보가 온라인상으로 작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현장 관리부(3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실제 시공된 현장사진과 BIM도면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분석결과를 공사일보에 반영하여 형태의 정합도와 자재의 적합도가 검토된 스마트일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설계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설계변경정보가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 및 도급 생성부(20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에 설계변경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고, BIM도면과 연계하여 생성된 원도급문서, 원도급견적문서 및 원도급내역문서도 역시나 즉각적으로 갱신된 BIM도면을 반영하여 변경 및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현장관리자의 공사 관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nstruction start documents and construction logs, which were previously written by hand or in a separate program, to be prepared online by the site manager. In addition,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nd analyzes actual construction site photos and BIM drawing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reflects the analysis results in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 to publish a smart daily report in which the consistency of form and suitability of materials are reviewed. can be creat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sign change occurs in the field,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and the contract generating unit 200, thereby creating a design in the BIM drawing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It can be updated to reflect change information, and original contract documents, original contract estimate documents, and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s created in connection with BIM drawings can also be immediately changed and updated to reflect the updated BIM drawings.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management for site managers.

다음으로,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 정보,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을 유효하게 처리한다.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하도급업체 DB(410), 하도급 DB(420) 및 하도급 공사비 DB(43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creates a subcontract document contain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and effectively processes the subcontract through electronic approval.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may include a subcontractor DB 410, a subcontract DB 420, and a subcontract construction cost DB 430.

우선,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하도급업체정보를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업체 DB(410)는 상기 하도급업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건설업체정보를 요청 및 획득하거나,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로부터 건설업체 DB(240)에 저장된 건설업체정보를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 및 공무부 단말(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하도급정보를 요청 및 획득할 수 있고, 하도급 DB(420)는 상기 하도급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First,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can request and obtain subcontractor information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the subcontractor DB 410 can store the subcontractor information. The subcontract generation unit 400 may request and obtai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or request and obtai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company DB 240 from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 In addition,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can request and obtain subcontract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the subcontract DB 420 can store the subcontract information.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중 비용측면에서 적합한 하도급업체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하도급문서 중 기안서를 생성함에 있어서, 우선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단말(4)에 하도급 DB(420)에 저장된 공내역양식을 제공할 수 있고, 각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상기 공내역양식에 따라 각 하도급 정보가 입력되면 견적대비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공내역은 품목별 단위 및 수량이 작성되어 있으나, 품목별 비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내역을 일컫는다. 상기 하도급정보는 하도급업체가 제공할 수 있는 품목별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공내역양식에 각 하도급업체의 품목별 비용이 입력된 견적대비표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견적대비표와 각 하도급업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안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 DB(420)은 상기 하도급정보, 상기 견적대비표 및 기안서를 저장할 수 있다. In creating a draft document among subcontract documents so that a suitable subcontractor can be selected from a cost perspective among a plurality of subcontractors,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first stores the subcontractor DB 420 in the plurality of subcontractor terminals 4. A public contract form can be provided, and a quote comparison table can be generated when each sub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from each subcontractor terminal 4 according to the public contract form. The public detail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details in which the unit and quantity for each item are prepared, but the cost for each item is not included. The subcontracting information may include costs for each item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ubcontractor. In other words, the subcontract generation unit 400 can generate a quotation comparison table in which the cost for each subcontractor's item is entered in a public statement form, and can generate a draft including the quotation comparison table and information on each subcontractor. . And the subcontract DB 420 can store the subcontract information, the quotation comparison table, and the draft.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건설업체의 결재권자에게 자동으로 생성된 기안서를 제공할 수 있고, 결재권자가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중 적합한 하도급업체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ubcontract gener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ally generated draft to the approval authority of a construction company, and has a remarkable effect of helping the approval authority select a suitable subcontractor among a plurality of subcontractors. there is.

또한, 선정된 하도급업체와의 하도급 계약을 위해서,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선정정보를 획득하면, 건설업체 정보, 선정된 하도급업체의 하도급업체정보 및 선정된 하도급업체의 하도급정보를 기 저장된 하도급양식에 따라 하도급문서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하도급문서를 하도급 DB(420)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enter into a subcontract with a selected subcontractor,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obtains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including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contractor, and the selected subcontractor. The company's subcontract information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tored subcontract form, and the generated subcontract document can be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420).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하도급은 건설업체가 건축주로부터 건설공사 도급을 받은 후 수급인인 건설업체가 다시 제3자인 하도급업체에게 도급을 주어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의 계약이고, 하도급업체가 건설공정 일부를 완성할 것으로 약정하고 건설업체가 건설공정 일부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계약을 말한다.The subcontractin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act between a construction company and a subcontractor in which the construction company receives a construction contract from the building owner and then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contractor, subcontracts the contract to a third party, a sub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 completes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t refers to a contract that becomes effective when the construction company agrees to pay compensation for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상기 하도급업체정보 및 건설업체정보는, 하도급업체/건설업체 사명, 각 사업자등록번호, 각 회사전화번호, 각 회사주소, 각 회사이메일, 각 팩스번호, 각 대표자 성함, 각 대표자 주민번호, 각 대표자 생년월일, 각 대표자 연락처, 각 대표자 휴대전화, 각 대표자 이메일, 각 대표자 주소, 각 담당자, 각 담당자 이메일, 각 담당자 연락처, 각 담당자 휴대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급업체 DB(410)는 상기 하도급업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above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clude the name of the subcontractor/construction company, each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each company phone number, each company address, each company email, each fax number, each representative's name, each representative's resident number, and each representative's name. It can include date of birth,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address, each representativ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and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The subcontractor DB 410 may store the subcontractor information.

상기 하도급정보는 하도급업체가 담당하는 공사의 종류, 공사기간, 입찰액, 공급가액, 노무비, 부가가치세, 원도급 건설공사명, 하도급 건설공사명, 대금지급 방법, 특약사항, 계약조건, 하자보증, 지급자재 및 수량, 계약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급 DB(420)는 상기 하도급정보 및 하도급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 The above subcontrac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type of work the subcontractor is responsible for, construction period, bid amount, supply price, labor cost, value-added tax, name of the primary contract construction work, name of the subcontract construction work, payment method, special provisions, contract conditions, defect warranty, materials to be paid, and quantity. , may include the contract date. The subcontract DB 420 can store the subcontract information and subcontract documents.

또한,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상기 하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 및 획득하고, 선정된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상기 하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계약자 간의 전자서명을 모두 획득한 후 온라인상에서 발생된 전자결재를 유효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 DB(420)는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하도급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requests and obtain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document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requests and obtain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document from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4. I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can process the electronic approval generated online to be valid after obtaining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nd the subcontract DB 420 can store subcontract documents for which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validated.

한편,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입찰을 통해서 선정된 하도급업체와 하도급을 생성하기 때문에 도급 생성과 달리 견적을 생성할 필요가 없다. Meanwhile, because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creates a subcontract with a subcontractor selected through bidding, there is no need to generate a quote, unlike contract cre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도급 생성부(400)는 온라인상에서 건설업체와 선정된 하도급 업체 간 하도급문서를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하도급 계약이 성사될 수 있고, 계약자 간 우편 및 이메일 방식으로 하도급문서를 주고받지 않아도 되어 업무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하도급문서의 보안성 및 관리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ubcontract documents to be gener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elected subcontractor online, so that the subcontract contract can be concluded online, and the subcontractor contract can be concluded online, and the subcontractor can be concluded through mail and email between contractors. This can improve business convenience by eliminating the need to exchange subcontract documents, and has the notabl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and manageability of subcontract documents.

다음으로,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을 이행하고,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도급기성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초기 기성부(510), 매출현황 DB(520), 원도급기성 DB(530) 및 하도급기성 DB(54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when the sub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performs subcontrac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amount and generates the ready-made contract information using the BIM drawing and field informatio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may include an initial ready-made part 510, a sales status DB 520, a primary contract DB 530, and a subcontract DB 540.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하도급 기성청구에 있어서, 우선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현장 노임, 현장 식대, 현장 전도금, 현장 철근/레미콘 현황 및 각종 집행내역을 포함하는 초기기성정보를 획득하고, 초기기성정보를 이용하여 초기기성청구서를 생성하는 초기 기성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bcontract billing between a construction company and a subcontractor,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includes on-site wages, on-site meals, on-site deposits, on-site rebar/ready-mixed concrete status, and various execution details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nitial ready-made unit 510 that acquires the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and generates an initial ready-made bill using the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하도급기성청구는 현장에 사용된 자금의 정산을 말한다. 따라서 현장에 사용된 자금에는 상술한 현장 노임, 현장 식대, 현장 전도금, 현장 철근/레미콘 현황 및 각종 집행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향후 정산서를 생성하기 용이하도록 각각의 항목별로 분류되어 상기 초기기성청구서가 생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subcontracting claim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settlement of funds used on site. Therefore, funds used on site may include the above-mentioned on-site wages, on-site meals, on-site deposits, on-site rebar/ready-mixed concrete status, and various execution details. At this time,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initial bill to be generated by classifying each item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future settlement statements.

이때, 상기 하도급기성 DB(540)와 매출현황 DB(520)는 상기 초기기성정보와 초기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초기기성청구서를 하도급기성청구서를 생성하기 전에 생성하는 것은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건설공사에 대해 앞으로 사용될 공사비를 저장할 하도급기성 DB(540)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하도급기성 DB(540)에는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하도급기성뿐만 아니라, 해당 건설업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백 건의 하도급기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초기 기성부(510)는 상기 초기기성정보를 이용하여 초기기성청구서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하도급기성 DB(540)는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초기기성정보 및 초기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초기기성정보 내 품목에 대한 수정 및 저장이 발생하여도 타 공사와 데이터 혼선이 일어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subcontract DB 540 and the sales status DB 520 may store the initial ready information and the initial ready invoice. Creating the initial ready-made invoice before generating the subcontracted invoice is to secure the subcontracting DB 540 to store the construction cost to be used in the future for construction work on an arbitrary building. In other words, the subcontract DB 540 can store not only the subcontract for any building, but also hundreds of subcontracts in progress by the construction company. At this time, the initial construction unit 510 generates an initial construction bill using the initial constru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subcontractor DB 540 can store the initial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an initial construction bill for an arbitrary building, and based on this, This has the significant effect of preventing errors that cause data confusion with other companies even when modifications and storage of items within the initial information are made.

또한,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선정된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에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된 하도급기성청구양식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하도급기성청구양식에 따라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기성정보와 하도급기성정보가 반영되어 하도급기성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도급기성 DB(540)는 상기 하도급기성정보와 하도급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provide the subcontractor claim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or DB 540 to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receive a subcontractor claim form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Once the subcontract information is entered, a subcontract invoice can be created. At this time,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most preferably generate a subcontracted bill by reflecting the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and the subcontracted information. The subcontract DB 540 can store the subcontract information and subcontract request.

또한,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하도급기성정보, 상기 하도급 DB(420) 내 상기 하도급정보, 상기 원도급 DB(250) 내 원도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된 하도급내역양식에 따라 하도급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기성 DB(540)는 상기 하도급 내역서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uses the subcontract information, the subcontract information in the subcontract DB 420,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to form a subcontract details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540. A subcontract statement can be created according to . And the subcontract DB 540 can store the subcontract details.

그러면,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상기 하도급 내역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 및 획득하고, 선정된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상기 하도급 내역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계약자 간의 전자서명을 모두 획득한 후 온라인상에서 발생된 전자결재를 유효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매출현황 DB(520)와 하도급기성 DB(540)는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하도급 내역서를 저장할 수 있다.The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requests and obtain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statement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request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statement from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I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process electronic payments generated online to be valid after obtaining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dditionally, the sales status DB 520 and the subcontract DB 540 can store subcontract statements for which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validly processed.

그리고 상기 공무부 단말(3)은 상기 하도급업체정보에 따라 하도급 기성청구금을 지불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지불한 하도급 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된 정산양식에 따라 정산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도급기성 DB(540)는 상기 정산정보와 정산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하도급 기성청구금을 상기 매출현황 DB(520)에 반영할 수 있다.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can pay the subcontract bill according to the subcontractor information. The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obtain settlement information on the subcontract ready-made bill pai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generate a settlement statement according to the settlement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540. there is. The subcontractor DB 540 can store the settlement information and settlement statement.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may reflect the ready-made subcontracting billing amount in the sales status DB 520.

또한,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정산서를 웹페이지 상에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라면 하도급 기성청구 현황을 웹페이지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post the settlement statement on a web page. Therefore, there is a notable effect in that anyone who has the authority to access the web page can easily check the status of the subcontracted claims on the web page.

다음으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도급 기성청구에 있어서,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원도급기성정보를 생성한다. Next, in the request for ready-made contracts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generates ready-mad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using the BIM drawing and site information.

이때,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상기 기성 청구부(500)로부터 상기 원도급기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상기 원도급기성정보를 이용하여 기성 BIM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는 상기 기성 청구부(500)에 상기 기성 BIM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성 BIM도면은 상기 기성 청구부(500)에서 현장 관리자 단말(2)과 공무부 단말(3)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may obtain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from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And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can generate a ready-made BIM drawing using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can provide the ready-made BIM drawing to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The ready-made BIM drawing can be provided from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respectively.

그러면, 원도급 기성청구에 있어서 3단계의 검토과정을 거칠 수 있다. 우선,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2)은 현장에서 임의의 건축물에 대하여 기성할 부분에 대한 현장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무부 단말(3)은 기성 BIM도면에서 현장사진과 대응되는 부분을 검토 및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2)로부터 촬영된 현장사진과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검토된 기성 BIM도면을 비교할 수 있고, 각 단말로부터 적합하게 검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n, you can go through a three-step review process in the original contract request. First, the site manager terminal 2 can take on-site photos of parts to be prepared for any building at the site. Next,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can review and confirm the part of the ready-made BIM drawing that corresponds to the site photo. Finall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compare the on-site photos taken from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with the ready-made BIM drawings review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can compare the ready-made BIM drawings review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You can check whether it has been properly reviewed.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각 단말로부터 적합하게 검토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부분에 대해서 원도급기성 DB(530)에 저장된 원도급기성양식에 따라 원도급기성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기성 DB(530)는 현장사진, 현장사진과 BIM도면 비교결과 및 원도급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 If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determines that it has been appropriately reviewed by each termi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can generate a primary contracting invoice according to the primary contracting form stored in the primary contracting DB 530 for the corresponding part. The original contract DB (530) can store site photos, comparison results of site photos and BIM drawings, and original contract invoices.

그리고 상기 건축주 단말(1)은 상기 원도급기성청구서를 제공받을 수 있고, 보완, 수정 및 승인과정을 통해 건설업체의 공무부는 건축주에게 원도급 기성청구금을 청구할 수 있다. 상기 건축주 단말(1)은 건설업체정보에 따라 원도급 공사비를 지불하면 원도급 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성 청구부(500)는 원도급 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정산정보를 이용하여 원도급기성 DB(530)에 기 저장된 정산양식에 따라 정산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도급기성 DB(530)는 원도급 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서와 정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 기성청구금은 상기 매출현황 DB(520)에 반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ilding owner's terminal (1) can receive the original contract completion claim, and through the supplementation, modification and approval process, the construction company's public affairs department can request the original contract completion claim from the building owner.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can generate settlemen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contract amount when the original contract construction cost is pai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can obtain settlement information on the original contract ready-made billing amount, and use the settlement information to generate a settlement statement according to the settlement form already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DB 530. The primary contract DB 530 can store settlement statements and settlement information for primary contract established claims. In addition, the original contract amount can be reflected in the sales status DB (52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BIM도면을 기반으로 하도급 기성청구와 도급 기성청구를 수행함으로써,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 건축물의 각 부위별로 보다 객관적이고 명확한 기성청구가 가능하여 투명한 건설비용처리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ubcontracting ready-made claims and subcontracting ready-made claims based on BIM drawings, enabling more objective and clear ready-made claims for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and each part of the building, thereby enabling transparent construction cost processing. It works.

다음으로,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건축주 단말(1)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를 획득하면 하자접수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를 획득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를 유효하게 처리한다.Next, the defect repair unit 600 receives the defect upon obtaining the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the defect information on the building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obtains repai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defect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If so, defect repairs will be processed effectively through electronic payment.

한편,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건축물의 건설공사 완공 후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건축물에 대한 보증서를 생성한 후 관리하는 보증서 관리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하자보수의 과정을 건축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증서가 생성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상기 보수정보와 상기 BIM도면을 이용하여 하자보수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보증서 관리부(610) 및 하자보수 DB(6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fect repair unit 600 includes a warranty management unit 610 that generates and manages a warranty for the building to facilitate maintenanc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defect repair report using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BIM drawing for buildings for which a warranty has been created so that the building owner can confirm the repair process. That is, the defect repair unit 600 may include a warranty management unit 610 and a defect repair DB 620.

상기 하자보수보고서에 대하여,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상기 건축주 단말(1)로부터 상기 하자보수보고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 및 획득하고, 상기 건설업체 단말(3)로부터 상기 하자보수보고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계약자 간의 전자서명을 모두 획득한 후 온라인상에서 발생된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보수정보, 전자결재 전 하자보수보고서,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하자보수보고서를 하자보수 DB(620)에 저장할 수 있다.Regarding the defect repair report, the defect repair department 600 requests and obtain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defect repair report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receive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defect repair report from the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 3. You can request and obtain an electronic signature. In addition, the defect repair unit 600 can obtain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nd then process the electronic payment made online to be valid. In addition, the defect repair unit 600 can store repair information, a defect repair report before electronic approval, and a defect repair report with valid electronic approval in the defect repair DB 620.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자 보수부(600)는 온라인상에서 하자보수보고서를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하자보수에 대한 상호확인이 가능하고, 우편 및 이메일 방식으로 하자보수보고서를 주고받지 않아도 되어 업무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하자보수보고서의 보안성 및 관리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주는 온라인상으로 건축물의 보수과정 및 보수결과를 확인 및 기록할 수 있고, 향후 추가적으로 해당 건축물에 대한 하자가 발생하였을 때 똑같은 문제로 하자가 발생했는지, 새로운 문제로 하자가 발생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defect repair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defect repair reports to be generated online and approved electronically, thereby enabling mutual confirmation of defect repairs between building owne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online, and defect repair reports through mail and e-mail. Work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not having to exchange maintenance reports, and there is a notable effect of improving the security and manageability of defect maintenance reports. In addition, the building owner can check and record the building's repair process and repair results online, and when additional defects occur in the building in the future,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defect occurred due to the same problem or a new problem. There is a notable effect that can be discerned.

건설공사 종합 관리 방법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 방법은 BIM도면 제공단계(S100), 원도급 생성단계(S200), 현장 관리단계(S400), 하도급 생성단계(S700), 기성 청구단계(S800) 및 하자 보수단계(S10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IM drawing provision step (S100),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step (S200),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and Includes defect repair step (S10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BIM도면 제공단계(S100)는 BIM도면 제공부(100)에 의하여, 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이 제공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BIM drawing providing step (S100), a BIM drawing, which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an arbitrary building, is provided by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BIM도면은 임의의 건설공사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이다. 상기 BIM 정보는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 에너지 분석, 도면화, 견적, 시공, 준공, 유지보수, 철거 등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 생성되는 건축적 정보를 일컫는다. 그리고 상기 BIM도면은 이러한 BIM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과 3차원 도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인 2차원의 도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M drawin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any construction project. The BIM information refers to architectural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including construction planning, design, energy analysis, drawing, estimation, construction, completion, maintenance, and demolition. And the BIM drawing may include a 3D drawing including this BIM information and a 2D book that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3D drawing.

도 2의 (a)는 종래 Hand Drawing을 이용한 도면으로, 직관적으로 작성되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오염, 분실, 수정, 체계적 관리에 있어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도 2의 (b)는 그다음 세대인 CAD system을 이용한 도면으로, 쉽고 빠른 설계 및 수정이 가능하고 도면 관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룰 수 있는 엔지니어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도 2의 (c)는 그다음 세대인 CAD와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도면으로, 준공 후의 건축물을 시각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적용 재질 및 주변과의 관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도면 오차에 따른 낮은 신뢰도와 설계변경에 따른 수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2의 (d)는 그다음 세대인 CAD와 3D를 이용한 도면으로, 건축, 구조, 설비 등 다양한 공종 간 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초기 BIM의 형태로 미완성 형태이다. Figure 2 (a) is a drawing using conventional hand draw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tuitively created and capable of various expression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contamination, loss, modific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b) in Figure 2 is a drawing using the next generation CAD system, which has the advantages of enabling easy and quick design and modification, easy drawing management, and being able to express in various color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n engineer who can handle the software. There is. Figure 2 (c) is a drawing using the next generation CAD and computer graphics,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visually express the building after completion and identifying the applied material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s in advance, but with low drawing errors due to drawing errors.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modify due to reliability and design changes. (d) in Figure 2 is a drawing using the next generation CAD and 3D, which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construction types such as architecture, structure, and equipment, but is in an unfinished form in the form of early BIM.

그러나 본 발명의 BIM도면은 태양, 빛, 열, 공기, 음을 포함하는 친환경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공간과 공간 내 에너지를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설계보완을 유도하여 설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BIM도면은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구조 단면도, 구조평면도 2차원 설계도서, 난간, 창호, 내부마감, 외부마감, 조경, 방수, 단열재, 가벽, 조적, 기초, 기둥, 보, 계단, 슬라브에 대한 3차원 도면, 도면에 따른 건설공사 시 필요한 공조물량, 공조물량에 따른 견적, 공조물량에 따른 내역, 건축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BIM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space and energy within the space using eco-friendly analysis tools including sun, light, heat, air, and sound, and can improve design quality by inducing design supplementation accordingly. It has a remarkable effect. In other words, the BIM drawing include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structural floor plan, two-dimensional design book, railings, windows, interior finishing, exterior finishing, landscaping, waterproofing, insulation, temporary walls, masonry, foundations, columns, beams, stairs, etc. for any building. It can include a 3D drawing of the slab,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according to the drawing, an estimate based on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detail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owner.

상기 BIM도면은 도 3의 (a)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IM도면에서 임의의 건축물의 기초, 기둥, 보, 계단을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 BIM정보는 층별 기초, 기둥, 보, 계단에 따른 부피를 공조물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BIM정보는 경질우레탄보드, 열반사 단열재 등 단열재 유형별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c)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난간, 내부 계단실 난간 및 조경 상부 난간을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 BIM정보는 아연도금 제작난간 등 층별, 난간 유형별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d)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작성한 도면이고, 해당 도면의 BIM정보는 층별, 창호 유형별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a), the BIM drawing is a drawing in which the foundation, column, beam, and staircase of an arbitrary building are created in the BIM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in the drawing is the foundation and column for each floor. , the volume of beams, and stairs can be included as air conditioning volume. And looking at (b) of Figure 3, it is a drawing of an insulat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of the drawing may include the area for each type of insulation material, such as rigid polyurethane board and heat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 Looking at (c) of Figure 3, it is a drawing of an external railing, an internal staircase railing, and a landscaping upper ra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of the drawing includes the area by floor and railing type, such as galvanized production railings. can do. Looking at (d) of FIG. 3, it is a drawing of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M information of the drawing may include the area of each floor and window type.

①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도급① Contract between building owner and construction company

다음으로,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원도급 생성부(200)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가 생성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가 유효하게 처리된다.Next, in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step (S200), a primary contract document including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by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200, and the primary contract is created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The document is processed validly.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원도급은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주와 건축주에게 건축물 건설공사를 의뢰받은 건설업체 간의 계약이고, 건설업체가 본 건축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건축주가 건설공사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계약이다.The primary contrac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act between an owner who wants to build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company that has been commissioned by the owner to construct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agrees to complete the building and the owner pays compensation for the construction work. It is a contract that becomes effective upon agreement.

상기 건축주정보 및 건설업체정보는, 건축주/건설업체 사명, 각 사업자등록번호, 각 회사전화번호, 각 회사주소, 각 회사이메일, 각 팩스번호, 각 대표자 성함, 각 대표자 주민번호, 각 대표자 생년월일, 각 대표자 연락처, 각 대표자 휴대전화, 각 대표자 이메일, 각 대표자 주소, 각 담당자, 각 담당자 이메일, 각 담당자 연락처, 각 담당자 휴대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uilding owne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clude the building owner/construction company name, each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each company phone number, each company address, each company email, each fax number, each representative's name, each representative's resident number, each representative's date of birth, It may include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address, each representativ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and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상기 원도급정보는, 공사명, 계약금액, 계약보증금, 지체상금율, 물가변동계약금액조정방법, 착공년월일, 준공년월일, 하자담보책임, 계약일자, 건축물의 대지위치, 지역지구, 대지면적, 용도, 규모, 건축면적, 연면적, 용적률산정용연면적, 법정건폐율, 건폐율, 법정용적률, 용적률, 건축물구조, 최고높이, 조경면적, 조경비율, 법정주차대수, 주차대수, 접한도로정보, 단열공법, 세대수, 주차대수, 주차종류별 계획주차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원도급정보는 도급 시 또는 도급 후 건설공사 중 발생한 계약 이외의 상황에 대해 건축주와 건설공사 간이 합의 하에 결정해야하는 모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project, contract amount, contract deposit, liquidated damages rate, price fluctuation contract amount adjustment method, date of construction start, date of completion, liability for defects, contract date, site location of the building, local district, site area, use, Size,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total floor area for floor area ratio calculation, legal building-to-land ratio, building-to-land ratio, legal floor area ratio, floor area ratio, building structure, maximum height, landscaping area, landscaping ratio, legal parking space, number of parking spaces, adjacent road information, insulation method, number of households, It can include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and the planned number of parking spaces by parking type. In other words,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that must be decided upon by agreement between the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regarding situations other than the contract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work at the time of contract or after contract.

상기 원도급문서는, 도급 시 작성되는 문서와 도급 후 건설공사 중 발생한 계약 이외의 상황에 대해 작성되는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급문서는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계약에 사용하는 문서인 원도급 계약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해결방안을 작성하여 결재권자에게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문서인 기안서, BIM도면에 기초하여 지출이 예상되는 건설비용을 사전에 계획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문서인 지출 결의서, 계약 시 BIM도면에서 건축주가 설계변경을 요청한 부분을 작성하는 문서인 설계변경 문서, BIM도면에서 지출이 예상되는 부분 이외 무상으로 처리되는 부분에 대해 작성하는 문서인 무상처리 문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사고 진행 과정을 기록하는 문서인 사고 경위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s may include documents prepared at the time of contracting and documents prepared for situations other than the contract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work after contracting.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contract documents include the original contract agreement, which is a document used in the contract between the owner and construction company, the draft plan,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a solution to problem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and requests decision-making from the approval authority, and BIM drawings. Expenditure resolution, which is a document that plans and requests approval for construction costs expected to be spent in advance based on the cost; design change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the portion of the BIM drawing requested by the owner to change the design at the time of contract; and expenditure is expected in the BIM drawing. It can include a free processing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written for parts that are handled free of charge, and an accident report, which is a document that records the progress of an accident that occurred during construction work.

도 5를 보면,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건설업체의 공무부 단말(3)로부터 건설업체정보가 획득된 후 건설업체 DB(240)에 저장 및 갱신될 수 있고(S201), 상기 공무부 단말(3) 또는 건축주 단말(1)로부터 건축주정보가 획득된 후 건축주 DB(230)에 저장 및 갱신될 수 있고(S202), 상기 건축주 단말(1) 및 상기 공무부 단말(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원도급정보가 획득된 후 원도급 DB(250)에 저장 및 갱신될 수 있다(S203).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상기 건축주정보, 상기 건설업체정보 및 상기 원도급정보가 기 설정된 원도급양식에 따라 상기 원도급문서가 생성되면 상기 원도급 DB(250)에 저장될 수 있다(S204). Referring to Figure 5, in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S200),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can be acquir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of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n stored and updated in the construction company DB (240) (S201),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 3) Alternatively, after 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it can be stored and updated in the building owner DB (230) (S202), and the original contract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fter the information is acquired, it can be stored and updated in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S203). And in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step (S200), when the client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primary contract form,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may be stored in the primary contract DB 250 (S204).

또한,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에 상기 원도급문서가 제공된 후 전자서명이 획득되고, 상기 건축주 단말(1)에 상기 원도급문서가 제공된 후 전자서명이 획득될 수 있다(S205). 계약자간 전자서명이 각각 완료되면,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상기 원도급문서에 대하여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S206). 그리고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원도급문서가 상기 원도급 DB(250)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S200), an electronic signature is obtained after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s provided to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an electronic signature can be obtained after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s provided to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 S205). When the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re completed,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S200) can be processed so that electronic approval is valid for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S206). In addition, in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step (S200),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for which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validated may be stored in the primary contract DB (250).

또한,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관리 서버(5)로부터 구현된 웹페이지 상에 상기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 중 일부가 게시될 수 있다(S207). 따라서 웹페이지 접근 권한이 있는 단말은 원도급에 대한 정보를 웹페이지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in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step (S200), some of the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may be posted on a web page implemented by the management server 5 (S207). Therefore, terminals with web page access rights have the notable effect of being able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contract on the web page.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온라인상에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원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약자 간 우편 및 이메일 방식으로 원도급문서를 주고받지 않아도 되어 업무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원도급문서의 보안성 및 관리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o be cre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online,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by eliminating the need to exchange original contract documents between contractors through mail and email. This has the notabl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and manageability of original contract documents.

한편,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원도급견적 생성부(210)에 의하여, 상기 BIM정보를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견적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견적정보가 이용되어 기 설정된 원도급견적양식에 따라 원도급견적문서가 생성되는 원도급견적 생성단계(S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단계(S210)는 상기 견적정보, 상기 원도급견적문서가 원도급견적 DB(260)에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looking at Figure 6, in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quotation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work is generated by using the BIM information by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unit 210, and the quotation information is used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step (S210) in which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 primary contract quotation form. And in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step (S210), the quotation information and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may be stored in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DB (260).

상기 견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BIM정보는 3차원 도면상에서 건축물 부위별 규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BIM정보는 철근콘크리트 공종의 계단, 구조 기둥, 구조 프레임, 바닥, 벽을 각각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레미콘 사용부피(m3), 거푸집 넓이(m2) 및 철근 무게(ton)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BIM 정보는 층별, 부분별 항목, 항목별 물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량은 항목에 따라 넓이, 부피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The BIM information used to generate the estimat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cale of each building part on a 3D drawing. For example, the BIM information may include the ready-mixed concrete usage volume (m 3 ), formwork area (m 2 ), and reinforcing bar weight (ton) used to make stairs, structural columns, structural frames, floors, and wall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respectively. You can. In other words, the BIM information may include items for each floor, part, and quantity for each item, and the quantity may be expressed as area, volume, etc. depending on the item.

그리고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단계(S21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사용부피당 레미콘 단가, 넓이당 거푸집 단가, 무게당 철근 단가를 포함하는 단가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211). 그러면,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단계(S210)는 상기 BIM 정보와 단가정보가 이용되어 견적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S212).And in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step (S210), unit pr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dy-mixed concrete unit price per used volume, the formwork unit price per area, and the rebar unit price per weight can be obtain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S211). Then, in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step (S210), quot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using the BIM information and unit price information (S212).

상기 견적정보는, 레미콘 사용부피와 사용부피당 레미콘 단가를 곱산한 레미콘 공사비, 거푸집 넓이와 넓이당 거푸집 단가를 곱산한 거푸집 공사비, 철근 무게와 무게당 철근 단가를 곱산한 철근 공사비 및 레미콘 공사비, 거푸집 공사비 및 철근 공사비를 합산한 총 공사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estimate information includes the ready-mix concrete construction cost multiplied by the volume of ready-mix concrete used and the ready-mix concrete unit price per volume used, the formwork construction cost multiplied by the formwork area and the formwork unit price per area, the rebar construction cost and ready-mixed concrete construction cost multiplied by the weight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bar unit price per weight, and the formwork construction cost. It may include the total construction cost including the rebar construction cost.

그리고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단계(S210)는 상기 견적정보가 이용되어 원도급견적 DB(260)에 기 저장된 원도급견적양식에 따라 원도급 견적문서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원도급 견적문서는 원도급견적 DB(260)에 저장될 수 있다(S213).In addition, in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step (S210), the quot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to create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according to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form previously stored in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DB (260), and the generated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can be generated in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DB (260). ) can be stored in (S213).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원도급내역 생성부(220)에 의하여, 상기 견적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가 이용되어 건설공사에 대한 내역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내역정보가 이용되어 기 설정된 원도급내역양식에 따라 원도급내역문서가 생성되는 원도급내역 생성단계(S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내역 생성단계(S220)는 상기 내역정보, 상기 원도급내역문서가 원도급내역 DB(270)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can be used to generat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work by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generating unit 220,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is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original contract details generation step (S220) in which an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original contract details format. And in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creation step (S220), the details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may be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B (270).

여기서, 상기 원도급내역문서는 단가 및 공사비가 포함되지 않고 공종별 항목만 표시된 공내역서이거나 공종별 항목, 단가 및 공사비가 모두 포함된 내역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역정보는 공정코드, 품목코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재료비의 외화단가와 국산단가와 금액, 노무비의 단가와 금액, 경비의 단가와 금액 및 재료비 금액, 노무비 금액, 경비 금액을 합산한 품명 합계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may be a construction statement that does not include unit prices and construction costs and only shows items by construction type, or it may be a statement that includes all construction items, unit prices, and construction costs. And the abov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process code, item code, product name, standard, unit, quantity, foreign currency unit price and domestic unit price and amount of material cost, unit price and amount of labor cost, unit price and amount of expense, material cost amount, labor cost amount, and expense amount. The total product name and total amount can be included.

따라서 상기 원도급견적 생성단계(S210)는 BIM도면을 기반으로 건축물 건설공사에 예측되는 공사비의 견적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원도급내역 생성단계(S220)는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의 원도급 정보를 견적된 공사비에 반영함으로써 세부적인 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original contract estimate generation step (S210), an estimate of the construction cost expected for building construction work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BIM drawing, and in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creation step (S220),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can be used to generate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being able to understand detailed items in more detail by reflecting th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의 도급도서 생성부(110)에 의하여,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로부터 유효하게 처리된 원도급문서 내 원도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IM도면으로 원도급도서와 유관도서가 생성되는 원도급도서 생성단계(S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도급도서 생성단계(S300)는 상기 BIM도면, 상기 원도급도서 및 상기 유관도서가 연계되어 도면 DB(120)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original contract document with the BIM drawing based on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that has been effectively processed from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S200) by the contract book creation unit 110 of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imary contract book creation step (S300) in which and related books are created. And in the original contract book creation step (S300), the BIM drawing, the original contract book, and the related books may be linked and stored in the drawing DB 120.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원도급도서는 건축주와 도급계약 시 사용되는 설계도서 일체를 말하고, 유관도서는 설계도서 외 설비, 전기, 구조 등 시공에 필요한 도서일체를 일컫는다. 즉, 계약도서 및 유관도서는 건설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설계도와 시방서 및 이에 따른 구조계산서와 설비관계의 계산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방서는 시공 방법, 재료의 종류와 등급, 공사현장에서의 주의사항 등 설계도에 표시할 수 없는 것을 기술한 문서이다. 상기 원도급도서 생성단계(S300)는 상기 도급도서 및 유관도서가 DWG, IFC, PDF 파일형식 중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The original contract book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all design books used when signing a contract with the building owner, and related books refer to all books necessary for construction, such as equipment, electricity, and structure, in addition to design books. In other words, contract documents and related documents may include design drawings and specifications necessary for construction work, and structural calculations and facility-related calculations accordingly. Here, the specification is a document that describes things that cannot be indicated on the design drawing,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types and grades of materials, and precautions at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original contract book creation step (S300), the contract book and related books may be created in one of DWG, IFC, and PDF file formats.

종래 건설업체에서 제공하는 설계도서의 경우 건설업체에서 편한 위치를 임의적으로 지정하여 단면도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허가단계에서 구조를 맡긴 후 구조도서가 생성되는데, 이때 구조도서는 설계도서와 달리 일부 설계변경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설계도서와 구조도서가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시공에 착수하여 설계변경 부분을 재시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재시공을 하게 되면 예기치 않은 건설비용이 추가되고 건설공사 기간도 길어지는 만큼 사전에 설계도서와 구조도서의 정합하는 과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In the case of design documents provided by conventional construction companies, the construction company randomly designates a convenient location and creates a cross-sectional drawing, etc. And at the approval stage, after the structure is entrusted, a structural document is created. At this time, unlike the design document, some design changes may occur in the structural document.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design document and the structural document are not the same, there are often cases where construction is started without recognizing this and the design change part is re-constructed. Reconstruction adds unexpected construction costs and prolongs the construction period, so the process of matching design documents and structural documents in advance is very importan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원도급 전 BIM도면뿐만 아니라 원도급 후 원도급정보가 반영된 BIM도면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BIM도면에 원도급정보가 즉각적으로 반영되어 현장 관리, 하도급 생성, 기성 청구 및 하자 보수에 활용될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BIM drawings before the original contract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but also BIM drawings reflecting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fter the original contract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ly,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s immediately reflected in BIM drawings, which can be used for on-site management, subcontract creation, ready-made claims, and defect repair, and has the notable effect of improving constructability.

한편,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S200)는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견적문서 및 원도급내역문서가 유효하게 처리되면 관리 서버(5)로부터 구현된 웹페이지 상에 기 설정된 형식으로 해당 원도급에 대한 견적정보 및 내역정보 중 일부가 게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라면 건설업체의 수주현황에 대한 견적 및 내역들을 웹페이지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Meanwhile, in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step (S200), when the primary contract quotation document and primary contract details document are processed effectively through the electronic approval method, quota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imary contract is provided in a preset format on the web page implemen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5. It is characterized by posting some of the historical information.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that anyone who has permission to access the web page can easily check the estimates and details of the construction company's order status on the web page.

② 현장관리자의 건설공사 관리② Construction management by site managers

다음으로,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현장 관리부(300)에 의하여,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가 생성된다. Next, in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site information occur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s acquir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by the site management unit 300, and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s used. This creates field documents.

도 7을 보면, 현장문서 중 기본착공서류가 생성됨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획득된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에 기초하여 기본착공서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현장명, 착공일자, 완공일자, 현장관리자 선임계, 예정공정표를 포함하는 상기 현장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401).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계약금액, 계약일자, 건축주정보 및 건설업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원도급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402). 그리고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가 이용되어 공사현장 DB(310)에 저장된 기 설정된 기본착공서류양식에 따라 기본착공서류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현장정보와 기본착공서류가 상기 공사현장 DB(310)에 저장될 수 있다(S403). Referring to FIG. 7, when basic construction documents are generated among field documents,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is to generate basic construction documents based on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You can. At this time, in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the site information including the site name, construction start date, completion date, site manager appointment, and scheduled schedule can be obtained (S401). In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cluding contract amount, contract date, building owne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S402). And in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can be used to generate basic construction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t basic construction document format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DB (310), and the site information and basic construction commencement documents can be generated. Documents may be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DB 310 (S403).

또한, 일반적으로 현장관리자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하도급업체가 법령을 잘 준수하는지 공사 시 안전과 품질 등을 감독 및 지도하고, 공사일보에 기록한다. 현장문서 중 스마트일보가 생성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획득된 현장사진과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이 비교되어 형태의 정합도와 자재의 적합도에 대한 분석결과가 도출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분석결과가 이용되어 스마트일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ite managers generally supervise and guide safety and quality during construction to ensure that subcontractors comply with laws and regulation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record them in the construction log. In generating a smart daily report among field documents, the field management step (S4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field photos obtained from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and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er (10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IM drawings are compared to derive analysis results on form consistency and material suitability, and the site information and analysis results are used to generate a smart daily report.

우선,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공사일보와 현장사진을 입력 및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현장관리자 단말(2)에 스마트일보 DB(320)에 저장된 일보양식이 제공될 수 있다(S404).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일보양식에 따라 상기 현장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일보가 생성될 수 있다(S405). 이때, 상기 스마트일보가 생성되기 위한 상기 현장정보는 현장명, 작성일자, 날씨, 온도, 금일작업내용, 명일작업내용, 입력투입현황, 자재투입현황, 외주인력투입현황, 장비투입현황 및 작업지시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상기 현장정보와 스마트일보가 상기 스마트일보 DB(320)에 저장될 수 있다. First, in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the daily report form stored in the smart daily report DB (320) may be provided to the site manager terminal (2) so that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 and site photos can be input and uploaded (S404). In the field management step (S400), the smart daily report can be generated when the field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the daily report form from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S405). At this time, the site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smart daily report includes site name, creation date, weather, temperature, today's work details, day's work details, input input status, material input status, outsourced manpower input status, equipment input status, and work instructions. Details may be included. And in the field management step (S400), the field information and smart daily report can be stored in the smart daily report DB (320).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마트일보는 종래 현장관리자로부터 작성되는 공사일보에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일보이다.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획득한 현장사진과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 또는 원도급정보가 반영된 BIM도면이 비교될 수 있다(S406). 즉, 실제 현장에서 시공된 현장사진과 BIM도면 중 동일한 부분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해당 부분 형태의 정합도와 자재의 적합도가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도출된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스마트일보가 생성될 수 있다(S407).The smart daily repor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ily report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th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 prepared by a conventional site manager.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site photo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can be compared with the BIM drawing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or the BIM drawing reflecting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S406). In other words, the consistency of the shape of the part and the suitability of the material can be analyz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same part among the site photos and BIM drawings constructed at the actual site. And in the field management step (S400), a smart daily report containing analysis results deriv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be generated (S407).

또한, 도 8을 보면 상기 현장 관리단계(S400)는 상기 현장정보가 설계변경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설계변경정보에 따라 상기 BIM도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에 상기 설계변경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s408). 설계변경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상기 현장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된다. 그러면, 본 발명은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에 의하여, 상기 설계변경정보에 따라 BIM도면이 변경되고, 변경된 BIM도면이 도면 DB(120)에 저장되는 BIM도면 변경단계(S500)와,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 제공단계(S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과 연계하여 생성된 원도급문서를 상기 BIM도면 변경단계(S500)로부터 변경된 BIM도면과 연계하여 생성된 원도급문서로 갱신하거나 버전을 달리하여 원도급 DB(250)에 저장하는 원도급문서 갱신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looking at FIG. 8, in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if the site information includes design change information, the design change is sent to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so that the BIM draw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s408). If it does not contain design change information, it waits until the fiel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The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M drawing change step (S500) in which the BIM draw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by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and the changed BIM drawing is stored in the drawing DB 120; By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sion step (S100) is updated with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changed from the BIM drawing change step (S5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S600) of updating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or storing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n a different version in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그리고 상기 원도급문서 갱신단계(S600)는 갱신된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요청 및 획득될 수 있다(S602). 그리고 상기 원도급문서 갱신단계(S600)는 갱신된 원도급문서에 대한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될 수 있고,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되고 갱신된 원도급문서가 원도급 DB(250)에 저장될 수 있다(S603). 그리고 상기 원도급문서 갱신단계(S600)는 상기 웹페이지 상에 게시된 원도급정보가 갱신된 원도급정보로 수정되어 다시 게시될 수 있다(S604).And in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updating step (S600),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document can be requested and obtained (S602). In addition,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updating step (S600) can be processed so that electronic approval for the updated primary contract document is valid, and the electronic approval is processed to be valid, and the updated primary contract document can be stored in the primary contract DB 250 (S603) ). And in the step of updating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S600),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posted on the web page may be modified with update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posted again (S604).

그리고 도 9를 보면 상기 원도급문서 갱신단계(S600)는 상기 원도급 생성부(200) 내 원도급견적 생성부(210)에 의하여, 갱신된 BIM도면 내 BIM 정보가 이용되어 건설공사에 대한 견적정보가 갱신되고, 갱신된 견적정보가 이용되어 기 생성된 원도급견적문서가 갱신되는 원도급견적 갱신단계(S610)와, 갱신된 견적정보와 갱신된 원도급정보가 이용되어 건설공사에 대한 내역정보가 갱신되고, 갱신된 내역정보가 이용되어 기 설정된 원도급내역양식에 따라 원도급내역문서가 갱신되는 원도급내역 갱신단계(S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도급견적 갱신단계(S610)와 원도급내역 갱신단계(S620)는 갱신된 원도급견적정보 및 갱신된 원도급견적문서가 원도급견적 DB(260)에 저장되고, 갱신된 원도급내역정보 및 갱신된 원도급내역문서가 원도급내역 DB(270)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in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updating step (S600), the BIM information in the updated BIM drawing is used by the original contract estimate generation unit 210 in the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unit 200 to update the estimate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work. A primary contract quotation update step (S610) in which the updated quotation information is used to update the previously created original contract quotation document, and the updated quotation information and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re used to update and update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work.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original contract details update step (S620) in which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preset original contract details format using the details informa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update step (S610) and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update step (S620),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quotation information and updated original contract quotation document are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DB 260, and the update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nd updated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 are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quotation DB 260. It can be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details DB (270).

따라서, 본 발명의 현장 관리단계(S400)는 현장 관리자가 수기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던 착공서류 및 공사일보가 온라인상으로 작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장에서 설계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설계변경정보가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 및 도급 생성부(20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BIM도면 제공단계(S100)로부터 제공된 BIM도면이 설계변경정보가 반영되어 갱신될 수 있고, BIM도면과 연계하여 생성된 원도급문서, 원도급견적문서 및 원도급내역문서도 역시나 즉각적으로 갱신된 BIM도면이 반영되어 변경 및 갱신될 수 있도록 하여 현장관리자의 공사 관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ite management step (S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struction start documents and construction daily reports that the site manager had prepared by hand or in a separate program to be prepared on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sign change occurs in the field, the design chang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and the contract generating unit 200, so that the BIM drawing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ing step (S100) changes the design. Information can be reflected and updated, and original contract documents, original contract estimate documents, and original contract details documents created in connection with BIM drawings can also be immediately changed and updated to reflect the updated BIM drawings, making construction management more convenient for site managers.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that can improve .

③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하도급③ Subcontracting between construction companies and subcontractors

다음으로,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하도급 생성부(400)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정보, 하도급업체정보 및 하도급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가 생성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이 유효하게 처리된다. Next,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a subcontract document contain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by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400, and an electronic payment method is used. Through this, subcontracting is processed effectively.

도 10을 보면 우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하도급업체정보가 요청 및 획득될 수 있고, 하도급업체 DB(410)에 저장될 수 있다(S701). 그리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 또는 원도급 생성부(200)로부터 건설업체 DB(240)에 저장된 건설업체정보가 요청 및 획득될 수 있다(S702). 그리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 및 공무부 단말(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하도급정보가 요청 및 획득될 수 있고, 하도급 DB(420)에 상기 하도급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703).Referring to Figure 10, first,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subcontractor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and obtained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stored in the subcontractor DB 410 (S701). And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company DB (240) can be requested and obtain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or the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200) (S702). And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subcontract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and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the subcontract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420. (S703).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중 비용측면에서 적합한 하도급업체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하도급문서 중 기안서가 생성됨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단말(4)에 하도급 DB(420)에 저장된 공내역양식이 제공될 수 있고, 각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상기 공내역양식에 따라 각 하도급 정보가 입력되면 견적대비표가 생성될 수 있다(S704).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공내역은 품목별 단위 및 수량이 작성되어 있으나, 품목별 비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내역을 일컫는다. 상기 하도급정보는 하도급업체가 제공할 수 있는 품목별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공내역양식에 각 하도급업체의 품목별 비용이 입력된 견적대비표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견적대비표와 각 하도급업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안서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하도급 DB(420)에 저장될 수 있다(S705). When a draft document is created among subcontracting documents so that a subcontractor suitable for cost can be selected among a plurality of subcontractors,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is performed by stor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420) in the plurality of subcontractor terminals (4). A breakdown form can be provided, and when each sub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from each subcontractor terminal 4 according to the above breakdown form, a quote comparison table can be generated (S704). The public detail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details in which the unit and quantity for each item are prepared, but the cost for each item is not included. The subcontracting information may include costs for each item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ubcontractor. In addition,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a quotation comparison table can be created in which the cost for each subcontractor's item is entered in a public statement form, and a draft including the quotation comparison table and each subcontractor's information can be created, It may be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420 (S705).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건설업체의 결재권자에게 자동으로 생성된 기안서가 제공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중 적합한 하도급업체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in that an automatically generated draft can be provided to the approval author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can help select a suitable subcontractor among a plurality of subcontractors.

또한, 선정된 하도급업체와의 하도급 계약을 위해서, 도 11을 보면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선정정보가 획득되면 건설업체 정보, 선정된 하도급업체의 하도급업체정보 및 선정된 하도급업체의 하도급정보가 기 저장된 하도급양식에 따라 하도급문서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하도급문서가 하도급 DB(420)에 저장될 수 있다(S706, S707). In addition, for a subcontract with a selected subcontractor, referring to FIG. 11,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includes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contractor, and A subcontract document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form in which the subcontrac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contractor is already stored, and the generated subcontract document can be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420 (S706, S707).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하도급은 건설업체가 건축주로부터 건설공사 도급을 받은 후 수급인인 건설업체가 다시 제3자인 하도급업체에게 도급을 주어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의 계약이고, 하도급업체가 건설공정 일부를 완성할 것으로 약정하고 건설업체가 건설공정 일부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계약을 말한다.The subcontractin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act between a construction company and a subcontractor in which the construction company receives a construction contract from the building owner and then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contractor, subcontracts the contract to a third party, a sub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 completes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t refers to a contract that becomes effective when the construction company agrees to pay compensation for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상기 하도급업체정보 및 건설업체정보는, 하도급업체/건설업체 사명, 각 사업자등록번호, 각 회사전화번호, 각 회사주소, 각 회사이메일, 각 팩스번호, 각 대표자 성함, 각 대표자 주민번호, 각 대표자 생년월일, 각 대표자 연락처, 각 대표자 휴대전화, 각 대표자 이메일, 각 대표자 주소, 각 담당자, 각 담당자 이메일, 각 담당자 연락처, 각 담당자 휴대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clude the name of the subcontractor/construction company, each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each company phone number, each company address, each company email, each fax number, each representative's name, each representative's resident number, and each representative's name. It can include date of birth,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address, each representative, each representative's email, each representative's contact information, and each representative's mobile phone.

상기 하도급정보는 하도급업체가 담당하는 공사의 종류, 공사기간, 입찰액, 공급가액, 노무비, 부가가치세, 원도급 건설공사명, 하도급 건설공사명, 대금지급 방법, 특약사항, 계약조건, 하자보증, 지급자재 및 수량, 계약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ubcontrac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type of work the subcontractor is responsible for, construction period, bid amount, supply price, labor cost, value-added tax, name of the primary contract construction work, name of the subcontract construction work, payment method, special provisions, contract conditions, defect warranty, materials to be paid, and quantity. , may include the contract date.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상기 하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획득되고, 선정된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상기 하도급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획득될 수 있다(S708). 그리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계약자 간의 전자서명이 모두 획득된 후 온라인상에서 발생된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될 수 있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하도급문서가 하도급 DB(420)에 저장될 수 있다(S709).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document can be obtain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document can be obtained from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4 (S708 ). In addition,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the electronic approval generated online can be processed to be valid after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have been obtained, and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the subcontract document for which the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processed is valid. It can be stored in DB 420 (S709).

한편,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입찰을 통해서 선정된 하도급업체와 하도급이 생성되기 때문에 도급 생성과 달리 견적이 생성될 필요가 없다. Meanwhile, in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a subcontract is created with a subcontractor selected through bidding, so unlike contract creation, there is no need to generate an estimate.

따라서 본 발명의 하도급 생성단계(S700)는 온라인상에서 건설업체와 선정된 하도급 업체 간 하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계약이 성사될 수 있고, 계약자 간 우편 및 이메일 방식으로 하도급문서를 주고받지 않아도 되어 업무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하도급문서의 보안성 및 관리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S7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ubcontract documents to be cre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elected subcontractor online, so that a contract can be concluded online, and subcontracts can be completed between contractors through mail and email. Work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need to exchange documents, a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and manageability of subcontract documents.

④ 도급/하도급 기성청구④ Subcontract/subcontract ready-made claims

다음으로,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기성 청구부(500)에 의하여,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이 이행되고,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원도급기성정보가 생성된다.Next, in the ready-made billing step (S800), when the subcontracted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4 by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subcontrac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racted payment is performed, and the BIM drawing and field information are performed.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using .

도 12를 보면 우선,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하도급 기성청구에 있어서, 우선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현장 노임, 현장 식대, 현장 전도금, 현장 철근/레미콘 현황 및 각종 집행내역을 포함하는 초기기성정보가 획득되고, 초기기성정보가 이용되어 초기기성청구서가 생성되는 초기 기성단계(S8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기기성정보와 초기기성청구서는 초기기성 DB(540)와 매출현황 DB(520)에 저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2, first of all, in the subcontract ready-made claim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ubcontractor,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is the field wage, on-site meal, on-site conversion fee, on-site rebar/ready-mixed concrete status and information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2).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itial ready-made step (S810) in which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execution details is acquired, and the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an initial ready-made bill. The initial ready information and initial ready invoice can be stored in the initial ready DB (540) and the sales status DB (520).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하도급기성청구는 현장에 사용된 자금의 정산을 말한다. 따라서 현장에 사용된 자금에는 상술한 현장 노임, 현장 식대, 현장 전도금, 현장 철근/레미콘 현황 및 각종 집행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향후 정산서를 생성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초기 기성단계(S810)는 각각의 항목별로 분류되어 상기 초기기성청구서가 생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subcontracting claim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settlement of funds used on site. Therefore, funds used on site may include the above-mentioned on-site wages, on-site meals, on-site deposits, on-site rebar/ready-mixed concrete status, and various execution details. At this time, it is most desirable that the initial ready-made bill (S810) is classified into each item and the initial ready-made bill is generated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a future settlement statement.

이때, 상기 하도급기성 DB(540)와 매출현황 DB(520)는 상기 초기기성정보와 초기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초기기성청구서가 하도급기성청구서가 생성되기 전에 생성되는 것은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건설공사에 대해 앞으로 사용될 공사비를 저장할 하도급기성 DB(540)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하도급기성 DB(540)에는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하도급기성뿐만 아니라, 해당 건설업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백 건의 하도급기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 기성단계(S810)는 상기 초기기성정보가 이용되어 초기기성청구서가 생성됨으로써, 상기 하도급기성 DB(540)는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초기기성정보 및 초기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초기기성정보 내 품목에 대한 수정 및 저장이 발생하여도 타 공사와 데이터 혼선이 일어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subcontract DB 540 and the sales status DB 520 may store the initial ready information and the initial ready invoice. The reason why the initial ready-made bill is created before the subcontracted bill is created is to secure the subcontracted DB 540 to store the construction cost to be used in the future for construction work on an arbitrary building. In other words, the subcontract DB 540 can store not only the subcontract for any building, but also hundreds of subcontracts in progress by the construction company. At this time, in the initial construction stage (S810), the initial construction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an initial construction invoice, so that the subcontractor DB (540) can store the initial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initial construction invoice for any building. Based on this,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preventing errors that cause data confusion with other companies even when modifications and storage of items within the initial information are made.

또한,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선정된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에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된 하도급기성청구양식이 제공될 수 있고, 하도급기성청구양식에 따라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청구서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하도급기성정보와 하도급기성청구서는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될 수 있다(S801, S802).In addition, in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the subcontracted ready-made claim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ed DB 540 can be provided to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4, and when the subcontracted ready-made claim form is enter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ed claim form, A subcontracting invoice may be created. The subcontract information and subcontract request can be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540 (S801, S802).

도 13을 보면,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하도급기성정보, 상기 하도급 DB(420) 내 상기 하도급정보, 상기 원도급 DB(250) 내 원도급정보가 이용되어 상기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된 하도급내역양식에 따라 하도급 내역서가 생성되고, 상기 하도급 내역서는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될 수 있다(S803, S804, S805). Referring to FIG. 13, in the ready-made request step (S800), the subcontract information, the subcontract information in the subcontract DB 420,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n the original contract DB 250 are used and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540. A subcontract detail is creat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details format, and the subcontract details can be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540 (S803, S804, S805).

또한,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상기 하도급 내역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획득되고, 선정된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4)로부터 상기 하도급 내역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획득될 수 있다(S806). 그리고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계약자 간의 전자서명이 모두 획득된 후 온라인상에서 발생된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될 수 있고,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하도급 내역서가 매출현황 DB(520)와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될 수 있다(S807). In addition, in the ready-made request step (S800),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statement is obtain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and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subcontract statement can be obtained from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4. (S806). In addition,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can be processed so that the electronic approval generated online is valid after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re obtained, and the subcontract statement for which the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validated is stored in the sales status DB 520 and the subcontract status DB (520). It can be stored in DB 540 (S807).

상기 공무부 단말(3)은 상기 계좌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업체정보에 따라 하도급 기성청구금을 지불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공무부 단말(3)은 지불한 하도급 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하도급기성DB(530)에 저장된 정산양식에 따라 정산서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하도급기성 DB(540)에 저장될 수 있다(S808). 그리고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정산서가 웹페이지 상에 게시될 수 있도록 한다(S809).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can pay the subcontract bill according to the subcontractor information including the account information. Then,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can generate settlement information for the paid subcontract bill. In the ready-made billing step (S800), a settlement statemen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tlement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ing DB (530) and stored in the subcontracting DB (540) (S808). And the ready-made billing step (S800) allows the settlement statement to be posted on the web page (S809).

다음으로, 도 14를 보면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도급 기성청구에 있어서,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기성 청구부(500)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가 이용되어 원도급기성정보가 생성된다.Next, looking at FIG. 14, in the ready-made contract request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in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the BIM drawing and site information are used by the ready-made claim unit 500 to generat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do.

본 발명은 상기 BIM도면 제공부(100)에 의하여, 상기 기성 청구부(500)로부터 상기 원도급기성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원도급기성정보가 이용되어 기성 BIM도면이 생성되는 기성 BIM도면 생성단계(S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성 BIM도면은 상기 기성 청구부(500)에서 현장 관리자 단말(2)과 공무부 단말(3)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dy-made BIM drawing generation step (S900) in which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by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100,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a ready-made BIM drawing.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d the ready-made BIM drawing can be provided from the ready-made billing unit 500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and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respectively.

그러면, 원도급 기성청구에 있어서 3단계의 검토과정을 거칠 수 있다. 우선,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2)은 현장에서 임의의 건축물에 대하여 기성할 부분에 대한 현장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무부 단말(3)은 기성 BIM도면에서 현장사진과 대응되는 부분을 검토 및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2)로부터 촬영된 현장사진과 상기 공무부 단말(3)로부터 검토된 기성 BIM도면이 비교될 수 있고, 각 단말로부터 적합하게 검토되었는지 확인될 수 있다(S812).Then, you can go through a three-step review process in the original contract request. First, the site manager terminal 2 can take on-site photos of parts to be prepared for any building at the site. Next,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can review and confirm the part of the ready-made BIM drawing that corresponds to the site photo. Lastly, in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field photos taken from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and the ready-made BIM drawings reviewed from the public affairs department terminal (3) can be compared, and from each terminal It can be confirmed whether it has been appropriately reviewed (S812).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각 단말로부터 적합하게 검토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부분에 대해서 원도급기성 DB(530)에 저장된 원도급기성양식에 따라 원도급기성청구서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원도급기성 DB(530)는 현장사진, 현장사진과 BIM도면 비교결과 및 원도급기성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S813).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appropriately reviewed by each terminal, an original contracted claim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riginal contracted form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ed DB (530) for the corresponding part. The original contract DB (530) can store site photos, comparison results of site photos and BIM drawings, and original contract invoices (S813).

그러면, 상기 건축주 단말(1)은 상기 원도급기성청구서를 제공받을 수 있고, 보완, 수정 및 승인과정을 통해 건설업체의 공무부는 건축주에게 원도급 기성금을 청구할 수 있다. 상기 건축주 단말(1)로부터 계좌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업체정보에 따라 원도급 기성청구금이 지불되면 원도급 기성청구금에 대한 정산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정산정보를 이용하여 정산양식에 따라 정산서를 생성할 수 있고, 원도급기성 DB(530)와 매출현황 DB(520)에 저장될 수 있다(S814). 그리고 상기 매출현황 DB(520)에 원도급 기성청구금이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성 청구단계(S800)는 상기 정산서가 웹페이지 상에 게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815).Then,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can receive the original contract payment request, and through the supplementation, modification, and approval process, the construction company's public affairs department can request the original contract payment from the building owner. When the original contract ready-made claim is pai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including account information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settlemen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contract ready-made claim is generated, and the ready-made claim step (S800) uses the settlement information. A settlement statemen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tlement form and stored in the original contract DB (530) and sales status DB (520) (S814). In addition, the original contract amount may be reflected in the sales status DB 520. And the ready-made billing step (S800) can allow the settlement statement to be posted on the web page (S815).

이에 따라, 본 발명은 BIM도면을 기반으로 하도급 기성청구와 도급 기성청구를 수행함으로써,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 건축물의 각 부위별로 보다 객관적이고 명확한 기성청구가 가능하여 투명한 건설비용처리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ubcontracting ready-made claims and subcontracting ready-made claims based on BIM drawings, enabling more objective and clear ready-made claims for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and each part of the building, thereby enabling transparent construction cost processing. It works.

⑤ 건축물 하자보수⑤ Repair of building defects

다음으로,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상기 하자 보수부(600)에 의하여, 건축주 단말(1)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가 획득되면 하자접수 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가 획득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가 유효하게 처리된다. Next, in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the defect is received when the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the defec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obtained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by the defect repair unit (600), and the defect is received at the site manager terminal (2) When repair information on building defects is obtained from ), defect repair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electronic approval.

도 15를 보면 우선,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상기 하자 보수부(600) 내 보증서 관리부(610)에 의하여, 건축물의 건설공사 완공 후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건축물에 대한 보증서가 생성된 후 관리되는 보증서 관리단계(S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5, first, in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a warranty for the building is generated and managed by the warranty management unit 610 in the defect repair unit 600 to facilitate maintenanc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arranty management step (S1100).

또한,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하자보수의 과정을 건축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증서가 생성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상기 보수정보와 상기 BIM도면이 이용되어 하자보수보고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 및 하자 보수부(600)는 상기 BIM 제공부(100)로부터 기성 BIM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S1002). 현장관리자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2)을 통해서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BIM drawing are used to generate a defect repair report for buildings for which a warranty has been created so that the building owner can confirm the defect repair process. In other words, the field manager terminal 2 and the defect repair unit 600 can obtain ready-made BIM drawings from the BIM provider 100 (S1002). The site manager can generate repair information for building defects by inputting it through the site manager terminal (2).

그러면,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기성 BIM 도면과 보수정보가 이용되어 하자보수보고서가 생성될 수 있고, 하자보수 DB(620)에 저장할 수 있다(S1003). 즉, 건축주, 건설업체 및 현장관리자는 BIM도면이 기반이 되어 하자보수보고서가 생성됨으로써 건축물 상에서 어느 부분에 하자가 발생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하자 보수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n, in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a defect repair report can be generated using ready-made BIM drawings and repair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defect repair DB 620 (S1003). In other words, building owners, construction companies, and site managers have the remarkable effect of being able to intuitively check which part of the building a defect occurred and check the defect repair process in detail by generating a defect repair report based on BIM drawings.

그리고 하자보수보고서에 대하여,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상기 건축주 단말(1)로부터 상기 하자보수보고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획득되고, 상기 건설업체 단말(3)로부터 상기 하자보수보고서에 대한 전자서명이 획득될 수 있다(S1004). 그리고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계약자 간의 전자서명이 모두 획득된 후 온라인상에서 발생된 전자결재가 유효하도록 처리될 수 있고, 보수정보, 전자결재 전 하자보수보고서, 전자결재가 유효 처리된 하자보수보고서가 하자보수 DB(620)에 저장될 수 있다(S1005). And for the defect repair report, in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defect repair report is obtained from the building owner terminal (1), and an electronic signature for the defect repair report is obtained from the construction company terminal (3). This can be obtained (S1004). In addition, in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after all electronic signatures between contractors are obtained, the electronic approval generated online can be processed to be valid, and the repair information, defect repair report before electronic approval, and defect repair for which the electronic approval has been validated are processed. The report may be stored in the defect repair DB 620 (S1005).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자 보수단계(S1000)는 온라인상에서 하자보수보고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하자보수에 대한 상호확인이 가능하고, 우편 및 이메일 방식으로 하도급문서를 주고받지 않아도 되어 업무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하자보수보고서의 보안성 및 관리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주는 온라인상으로 건축물의 보수과정 및 보수결과를 확인 및 기록할 수 있고, 향후 추가적으로 해당 건축물에 대한 하자가 발생하였을 때 똑같은 문제로 하자가 발생했는지, 새로운 문제로 하자가 발생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defect repair step (S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efect repair report to be generated and electronically approved online, enabling mutual confirmation of defect repair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construction company online, and subcontracting by mail and email. Work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need to exchange documents, and there is a notable effect of improving the security and manageability of defect repair reports. In addition, the building owner can check and record the building's repair process and repair results online, and when additional defects occur in the building in the future,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defect occurred due to the same problem or a new problem. There is a notable effect that can be discerned.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firmware, middleware, microcode,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or any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as software, firmware, middleware, or microcode, program code or code segments that perform necessary tasks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들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형식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작업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And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described in the general context of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uch as program modules or components that are executed by a computer. Typically, program modules or components include routines, programs, objects, and data structures that perform specific tasks or implement specific data types.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practiced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where tasks are performed by remote processing devices that are linked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program modules may be located in both local and remote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ing memory storage devices.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으로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through substitution or substitution by elements or equivalents.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0.. BIM도면 제공부
110.. 도급도서 생성부
120.. 도면 DB
200.. 원도급 생성부
210.. 원도급견적 생성부
220.. 원도급내역 생성부
230.. 건축주 DB
240.. 건설업체 DB
250.. 원도급 DB
260.. 원도급견적 DB
270.. 원도급내역 DB
300.. 현장 관리부
310.. 공사현장 DB
320.. 스마트일보 DB
400.. 하도급 생성부
410.. 하도급업체 DB
420.. 하도급 DB
430.. 하도급 공사비 DB
500.. 기성 청구부
510.. 초기 기성부
520.. 매출현황 DB
530.. 원도급기성 DB
540.. 하도급기성 DB
600.. 하자 보수부
610.. 보증서 관리부
620.. 하자보수 DB
1.. 건축주 단말
2.. 현장관리자 단말
3.. 공무부 단말
4.. 하도급업체 단말
5.. 관리 서버
100.. BIM drawing provision department
110.. Contract book creation department
120.. Drawing DB
200.. Original contract creation department
210.. Original contract quotation generation department
220.. Original contract details creation section
230.. Building owner DB
240.. Construction company DB
250.. Primary contract DB
260.. Original contract estimate DB
270.. Original contract details DB
300.. Field Management Department
310.. Construction site DB
320.. Smart Daily DB
400.. Subcontract creation department
410.. Subcontractor DB
420.. Subcontract DB
430.. Subcontract construction cost DB
500.. ready-made billing book
510.. Early establishment
520.. Sales status DB
530.. Original contract DB
540.. Subcontract DB
600.. Defect Repair Department
610.. Warranty Management Department
620.. Defect repair DB
1.. Building owner terminal
2.. On-site manager terminal
3.. Ministry of Public Affairs terminal
4.. Subcontractor terminal
5.. Management server

Claims (5)

인터넷 네트워크상에서 건축주 단말, 현장관리자 단말, 공무부 단말 및 하도급업체 단말이 접근 가능하도록 하여 각 단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건설업체의 건설공사 종합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을 제공하는 BIM도면 제공부;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를 유효하게 처리하는 원도급 생성부;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를 생성하는 현장 관리부;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 정보,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를 생성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을 유효하게 처리하는 하도급 생성부;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을 이행하고, 상기 BIM도면과 상기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도급기성정보를 생성하는 기성 청구부; 및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를 획득하면 하자접수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를 획득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를 유효하게 처리하는 하자 보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BIM도면은,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구조 단면도 및 구조 평면도에 대한 2차원 설계도서, 임의의 건축물의 난간, 창호, 내부마감, 외부마감, 조경, 방수, 단열재, 가벽, 조적, 기둥, 보, 계단, 슬라브에 대한 3차원 도면, 상기 3차원 도면에 따른 건설공사 시 필요한 공조물량, 상기 공조물량에 따른 견적 및 상기 공조물량에 따른 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원도급문서는,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계약에 사용하는 문서인 원도급 계약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해결방안을 작성하여 결재권자에게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문서인 기안서, 상기 BIM도면에 기초하여 지출이 예상되는 건설비용을 사전에 계획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문서인 지출 결의서, 계약 시 상기 BIM도면에서 건축주가 설계변경을 요청한 부분을 작성하는 문서인 설계변경 문서, 상기 BIM도면에서 지출이 예상되는 부분 이외 무상으로 처리되는 부분에 대해 작성하는 문서인 무상처리 문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사고 진행 과정을 기록하는 문서인 사고 경위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도급 생성부는,
원도급 계약자인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업무 편의성 및 상기 원도급 문서의 보안성과 관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상기 원도급 계약서, 상기 기안서, 상기 지출 결의서, 상기 설계변경 문서, 상기 무상처리 문서 및 상기 사고 경위서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도급 생성부는,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중 비용측면에서 적합한 하도급업체가 건설업체로부터 선정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단말에 하도급 DB에 저장된 품목별 단위 및 수량이 작성된 공내역양식을 제공하고, 각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공내역양식에 따라 각 하도급 정보가 입력되면 견적대비표를 생성하고, 상기 견적대비표와 각 하도급업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안서를 생성하고,
선정된 하도급업체의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하도급 양식에 따라 하도급문서를 생성하고,
하도급 계약자인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업무 편의성 및 상기 하도급 문서의 보안성과 관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서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상기 하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성 청구부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현장 노임, 현장 식대, 현장 전도금, 현장 철근/레미콘 현황 및 각종 집행내역을 포함하는 초기기성정보를 획득하고, 초기기성정보를 이용하여 초기기성청구서를 생성하는 초기 기성부; 및
건설업체에서 건설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건축물별 상기 초기기성정보 및 상기 초기기성청구서를 저장하는 하도급기성 DB;를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건설공사에 대해 앞으로 사용될 공사비를 미리 확인할 수 있고, 건축물별 초기기성정보 내 품목에 대한 수정이 발생하여도 타 건축물의 건설공사와 데이터 혼선이 일어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기성 청구부는,
선정된 하도급업체 단말에 상기 하도급기성 DB에 저장된 하도급기성청구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청구양식에 따라 입력된 하도급기성정보와 상기 하도급기성 DB에 저장된 초기기성정보를 반영하여 하도급기성청구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A management server that allows access to the building owner's terminal, site manager's terminal, public affairs department's terminal, and subcontractor's terminal on the Internet network, receives information from each terminal, and implements a web page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company's construction work;
The management server is,
A BIM drawing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BIM drawings, which are three-dimensional drawings contain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any building;
A primary contract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a primary contract document including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and effectively processes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A site management unit that acquires site information occurring at a construction site from a site manager terminal and generates site documents using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 subcontract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a sub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and effectively processes the subcontract through an electronic payment method;
When sub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from a subcontractor terminal, a ready-made billing unit performs subcontrac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amount and generates ready-made contract information using the BIM drawing and the field information; and
A defect repair department that receives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defect information on the building from the building owner's terminal, and effectively processes defect repair through electronic payment when repair information on building defects i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s terminal; Including,
The BIM drawing is,
Two-dimensional design books for structural cross-sections and structural floor plans for any building, railings, windows, interior finishes, exterior finishes, landscaping, waterproofing, insulation, temporary walls, masonry, columns, beams, stairs, and slabs for any building. It includes a 3D drawing, the air conditioning quantity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according to the 3D drawing, an estimate based on the air conditioning quantity, and details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quantity,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s:
Expens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original contract agreement, which is a document used in contracts between building owne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e draft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a solution for problem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and requests decision-making from the approval authority, and the BIM drawings above. Expenditure resolution, which is a document that plans the expected construction costs in advance and requests approval; design change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the part of the BIM drawing requested by the client to change the design at the time of contract; other than the part where expenditure is expected in the BIM drawing Includes a free processing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written for parts that are handled free of charge, and an accident report, which is a document that records the progress of an accident that occurred during construction work,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uni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work between the building owner, who is the primary contracto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as well as the security and management of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s, the primary contract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draft, the expenditure resolution, the design change document, and the free processing document are available online. and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accident details can be cre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The subcontract creation department,
To enable the construction company to select a subcontractor that is suitable in terms of cost among multiple subcontractors, a report form containing the unit and quantity for each item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is provided to multiple subcontractor terminals, and the above list information is sent from each subcontractor terminal. When each subcontractor's information is entered according to the form, a quote comparison table is created, and a draft including the quote comparison table and each subcontractor's information is created,
Create a subcontract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tored subcontract form using the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contra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work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ubcontractor and the security and management of the subcontract document, the subcontract document can be cre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ubcontractor online,
The ready-made claim part is,
An initial ready-made department that obtains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including on-site wages, on-site meal expenses, on-site conversion fees, on-site rebar/ready-mix concrete status, and various execution details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and generates an initial ready-made bill using the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and
By including a subcontractor database that stores the initial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initial construction invoice for each building on which construction work is being carried out by a construction company,
You can check in advance the construction cost to be used in the future for construction work on any building, and even if changes occur to items in the initial information for each building, you can prevent errors that cause data confusion with the construction work of other buildings. ,
The ready-made claim part is,
The subcontracting ready claim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ing DB is provided to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and subcontracting is completed by reflecting the subcontracting information enter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ing request form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and the initial ready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contracting DB.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generating ready-made invo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부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현장사진과 상기 BIM도면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BIM도면이 비교되어 형태의 정합도와 자재의 적합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스마트일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eld management department sai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site photo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and the BIM drawings provided from the BIM drawing provider are compared to derive analysis results on the degree of conformity of form and suitability of materials, and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that generates a smart daily report using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자 보수부는,
건축물의 건설공사 완공 후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건축물에 대한 보증서를 생성한 후 관리하는 보증서 관리부;를 포함하고,
하자보수의 과정을 건축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증서가 생성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상기 보수정보와 상기 BIM도면을 이용하여 하자보수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defect repair department said,
It includes a warranty management department that creates and manages a warranty for the building to facilitate maintenanc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defect repair report using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BIM drawing for buildings for which a warranty has been created so that the building owner can check the defect repair process.
BIM도면 제공부에 의하여, 임의의 건축물의 건설공사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도면인 BIM도면이 제공되는 BIM도면 제공단계;
원도급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건축주정보, 건설업체정보 및 원도급정보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가 생성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원도급문서가 유효하게 처리되는 원도급 생성단계;
현장 관리부에 의하여,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현장정보와 상기 원도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문서가 생성되는 현장 관리단계;
하도급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BIM도면과 연계하여 상기 건설업체 정보,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를 포함하는 하도급문서가 생성되고,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도급이 유효하게 처리되는 하도급 생성단계;
기성 청구부에 의하여,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정보가 입력되면 하도급기성금에 따른 하도급 정산이 이행되고, 상기 BIM도면과 현장정보를 이용하여 도급기성정보가 생성되는 기성 청구단계; 및
하자 보수부에 의하여,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보증서 내 보증정보와 건축물의 하자정보가 획득되면 하자접수 되고,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건축물 하자에 대한 보수정보가 획득되면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서 하자보수가 유효하게 처리되는 하자 보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IM도면은,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구조 단면도 및 구조 평면도에 대한 2차원 설계도서, 임의의 건축물의 난간, 창호, 내부마감, 외부마감, 조경, 방수, 단열재, 가벽, 조적, 기둥, 보, 계단, 슬라브에 대한 3차원 도면, 상기 3차원 도면에 따른 건설공사 시 필요한 공조물량, 상기 공조물량에 따른 견적 및 상기 공조물량에 따른 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원도급문서는,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계약에 사용하는 문서인 원도급 계약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해결방안을 작성하여 결재권자에게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문서인 기안서, 상기 BIM도면에 기초하여 지출이 예상되는 건설비용을 사전에 계획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문서인 지출 결의서, 계약 시 상기 BIM도면에서 건축주가 설계변경을 요청한 부분을 작성하는 문서인 설계변경 문서, 상기 BIM도면에서 지출이 예상되는 부분 이외 무상으로 처리되는 부분에 대해 작성하는 문서인 무상처리 문서, 건설공사 중 발생한 사고 진행 과정을 기록하는 문서인 사고 경위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도급 생성단계는,
원도급 계약자인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업무 편의성 및 상기 원도급 문서의 보안성과 관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서 건축주와 건설업체 간 상기 원도급 계약서, 상기 기안서, 상기 지출 결의서, 상기 설계변경 문서, 상기 무상처리 문서 및 상기 사고 경위서를 포함하는 원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도급 생성단계는,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중 비용측면에서 적합한 하도급업체가 건설업체로부터 선정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하도급업체 단말에 하도급 DB에 저장된 품목별 단위 및 수량이 작성된 공내역양식이 제공되고, 각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공내역양식에 따라 각 하도급 정보가 입력되면 견적대비표가 생성되고, 상기 견적대비표와 각 하도급업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안서가 생성되고,
선정된 하도급업체의 하도급업체 정보 및 하도급 정보가 이용되어 기 저장된 하도급 양식에 따라 하도급문서가 생성되고,
하도급 계약자인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업무 편의성 및 상기 하도급 문서의 보안성과 관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서 건설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상기 하도급문서가 생성 및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성 청구단계는,
상기 현장관리자 단말로부터 현장 노임, 현장 식대, 현장 전도금, 현장 철근/레미콘 현황 및 각종 집행내역을 포함하는 초기기성정보가 획득되고, 초기기성정보가 이용되어 초기기성청구서가 생성되는 초기 기성단계;를 포함하고,
건설업체에서 건설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건출물별 상기 초기기성정보 및 상기 초기기성청구서가 하도급기성 DB에 저장됨으로써, 임의의 건축물에 대한 건설공사에 대해 앞으로 사용될 공사비가 미리 확인될 수 있고, 건축물별 초기기성정보 내 품목에 대한 수정이 발생하여도 타 건축물의 건설공사와 데이터 혼선이 일어나는 오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기성 청구단계는,
선정된 하도급업체 단말에 상기 하도급기성 DB에 저장된 하도급기성청구양식이 제공되고, 상기 하도급업체 단말로부터 하도급기성청구양식에 따라 입력된 하도급기성정보와 상기 하도급기성 DB에 저장된 초기기성정보가 반영되어 하도급기성청구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 종합 관리 방법.
A BIM drawing providing step in which a BIM drawing, which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includ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an arbitrary building, is provided by the BIM drawing providing unit;
A primary contract generation step in which a primary contract document including building owner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and primary 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by the primary contract generation unit, and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A site management step in which site information occur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s acquir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by the site management unit, and site documents ar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ontract information;
A subcontract creation step in which a sub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BIM drawing by the subcontract creation unit, and the subcontract is effectively processed through an electronic approval method;
A ready-made billing step in which, when subcontract-ready information is input from a subcontractor's terminal, subcontrac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ract contribution is performed by the ready-made billing department, and contract-ready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BIM drawing and field information; and
When the warranty information in the building warranty and the defect information on the building are obtained from the building owner's terminal by the defect repair department, the defect is registered, and when the repair information on the building defect i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s terminal, defect repair is effective through electronic approval. Includes a defect repair step to be processed,
The BIM drawing is,
Two-dimensional design books for structural cross-sections and structural floor plans for any building, railings, windows, interior finishes, exterior finishes, landscaping, waterproofing, insulation, temporary walls, masonry, columns, beams, stairs, and slabs for any building. It includes a 3D drawing, the air conditioning quantity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according to the 3D drawing, an estimate based on the air conditioning quantity, and details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quantity,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s:
Expens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original contract agreement, which is a document used in contracts between building owne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e draft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a solution for problem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and requests decision-making from the approval authority, and the BIM drawings above. Expenditure resolution, which is a document that plans the expected construction costs in advance and requests approval; design change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that prepares the part of the BIM drawing requested by the client to change the design at the time of contract; other than the part where expenditure is expected in the BIM drawing Includes a free processing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written for parts that are handled free of charge, and an accident report, which is a document that records the progress of an accident that occurred during construction work,
The original contract creation step i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work between the building owner, who is the primary contracto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as well as the security and management of the primary contract documents, the primary contract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draft, the expenditure resolution, the design change document, and the free processing document are available online. and the original contract document including the accident details can be cre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The subcontract creation step is,
To enable the construction company to select a subcontractor that is suitable in terms of cost among multiple subcontractors, a list form containing the unit and quantity for each item stored in the subcontract DB is provided to multiple subcontractor terminals, and the list record form is provided to each subcontractor's terminal. When each subcontractor's information is entered according to the form, a quote comparison table is created, and a draft including the quote comparison table and each subcontractor's information is created.
The subcontractor information and subcontrac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contractor are used to create a subcontract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aved subcontract form,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work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ubcontractor and the security and management of the subcontract document, the subcontract document can be created and approved electronically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subcontractor online,
The ready-made claim step is,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including on-site wages, on-site meals, on-site deposits, on-site rebar/ready-mix concrete status, and various execution details is obtained from the site manager terminal, and the initial ready-made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an initial ready-made invoice; Contains,
By sto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initial construction invoice for each building on which construction is being carried out by a construction company in the subcontractor database, the construction cost to be used in the future for construction work on any building can be confirmed in advance, and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for each building can be confirmed in advance. Even if changes occur to items in the existing information, errors that cause data confusion with the construction of other building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 ready-made claim step is,
The subcontracting ready claim form stored in the subcontracting ready DB is provided to the selected subcontractor terminal, and the subcontracting information enter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ing request form from the subcontractor terminal and the initial ready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contracting DB are reflected to determine subcontracting.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by the creation of a ready-made invoice.
KR1020220146865A 2022-11-07 2022-11-07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601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865A KR102601586B1 (en) 2022-11-07 2022-11-07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865A KR102601586B1 (en) 2022-11-07 2022-11-07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586B1 true KR102601586B1 (en) 2023-11-13

Family

ID=8874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865A KR102601586B1 (en) 2022-11-07 2022-11-07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5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52479A (en) * 2024-03-26 2024-04-30 广州珠江装修工程有限公司 BIM-based interior decoration engineering supervision method and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02A (en) 2003-10-07 2003-11-10 강명종합건설 주식회사 approval method of document with internet in a construction office
KR20160090165A (en) * 2015-01-21 2016-07-29 정용주 Vertical Platform Content For Small Construction Work
KR101717766B1 (en) 2015-07-14 2017-03-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Labor-based Progress Measurement for Cost and Schedule Control System in Construction Programs
KR101760260B1 (en) * 2016-12-20 2017-07-21 조재한 BIM omitted
KR102089062B1 (en) * 2018-11-08 2020-03-13 주식회사 코헴 Payment system
KR20210144390A (en)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Method for generating tunnel construction documents automatical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02A (en) 2003-10-07 2003-11-10 강명종합건설 주식회사 approval method of document with internet in a construction office
KR20160090165A (en) * 2015-01-21 2016-07-29 정용주 Vertical Platform Content For Small Construction Work
KR101717766B1 (en) 2015-07-14 2017-03-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Labor-based Progress Measurement for Cost and Schedule Control System in Construction Programs
KR101760260B1 (en) * 2016-12-20 2017-07-21 조재한 BIM omitted
KR102089062B1 (en) * 2018-11-08 2020-03-13 주식회사 코헴 Payment system
KR20210144390A (en)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Method for generating tunnel construction documents automatical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52479A (en) * 2024-03-26 2024-04-30 广州珠江装修工程有限公司 BIM-based interior decoration engineering supervis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wey Construction quantity surveying: a practical guide for the contractor's QS
Trauner Construction delays: Understanding them clearly, analyzing them correctly
Arslan et al. E-bidding proposal prepa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Yi et al. Optimal transportation planning for prefabricated products in construction
WO2008157219A1 (en) Administering contracts over data network
WO2000075837A9 (en) Building construction bid and contract management system, internet-bas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Towey Cost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KR102601586B1 (en) Construction Work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U2020101652A4 (en)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US200100186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transacting an order and for communicating order information between a construction contractor and a construction material supplier
The Chartered Institute of Building Code of estimating practice
Twort et al. Civil engineering: supervision and management
Higham et al. Project finance for construction
Yusuf et al. Framework for enhancing cost management of building services
Kang et al.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a VDC support system based on BIM
US20150213397A1 (en) Construction computer software related method and apparatus
Dell’Isola Detailed cost estimating
KR101247616B1 (en) Lease service system for non structure part of construct and method thereof
Moyles An analysis of the contractor’s estimating process
Roachanakanan A case study of cost overruns in a Thai condominium project
Soosaimuthu et al. Interface with Scheduling, Estimation, Costing, and Forecasting Applications
KR20040025084A (en)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operation cost of particulars of construction work
Rojas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building and electrical contractors
Stránský 13. UTILIZATION OF LOW-CODE DEVELOPMENT PLATFORM FOR PROCUREMENT PROCESSES OF SUBCONTRACTORS
Holm A Contractor's Guide to Planning, Scheduling, and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