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825B1 - Battery module assembly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825B1
KR102600825B1 KR1020180047464A KR20180047464A KR102600825B1 KR 102600825 B1 KR102600825 B1 KR 102600825B1 KR 1020180047464 A KR1020180047464 A KR 1020180047464A KR 20180047464 A KR20180047464 A KR 20180047464A KR 102600825 B1 KR102600825 B1 KR 10260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zone
shell
cores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3587A (en
Inventor
이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4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825B1/en
Publication of KR2019012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쉘, 복수개의 전지코어 및 복수개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쉘은 두개의 리브를 포함하는데, 이는 쉘을 제1구역, 제2구역 및 제3구역으로 나누어지게 한다. 제1구역의 크기는 제2구역의 크기와 같다. 제3구역은 제1구역과 제2구역 사이에 위치한다. 제3구역의 크기는 제1구역의 크기보다 작다. 전지코어는 쉘 상에 배치되며 제1구역과 제2구역내에 위치한다. 접착층은 쉘 상에 배치되며 전지코어 사이 및 전지코어의 가장자리와 쉘 사이에 위치하며 전지코어와 쉘을 접착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which includes a shell, a plurality of battery cores,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The shell includes two ribs, which divide the shell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The size of area 1 is the same as that of area 2. Zone 3 is located between Zones 1 and 2. The size of Zone 3 is smaller than the size of Zone 1. The battery core is placed on the shell and is locat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The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 the shell and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s and between the edge of the battery core and the shell, and adheres the battery core and the shell.

Description

전지 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Y}Battery module assembly {BATTERY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전지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노트북에 적용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and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applied to a laptop.

리튬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밀도와 동작전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전자제품 및 모바일장치의 에너지원으로 응용되고 있다. 외관적으로 구분하면 파우치 셀, 원통형 전치, 각기둥 전지가 있다. 업계에서 현재는 주요하게 파우치 셀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그 이유는 내부에 적층되는 전지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쉽게 조절하여 설계가능하고 따라서 전지의 형상도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전지 쉘의 수용공간은 전지 어셈블리의 사이즈 구조에 맞게 설계할 수 있고 파우치 셀은 소비성 전자제품과 모바일장치에 쓰이는 데 아주 적합하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high energy density and operating voltage, so they ar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mobile devices. By appearance, there are pouch cells, cylindrical cells, and prismatic cells. The industry is currently focusing on pouch cells because the size of the battery assembly stacked inside can be easily adjusted and designed, and the shape of the battery can also be easily changed. Additionally, the storage space of the external battery shell can be designed to fit the size structure of the battery assembly, and the pouch cell is well suited for use in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and mobile devices.

일반적으로, 노트북에 적용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에서, 전지 쉘은 적어도 4개의 리브를 구비하는데, 이에 쉘은 4개 전지코어 배치구역과 전지코어 배치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배치구역으로 나뉜다. 이중, 전지코어 배치구역의 크기는 회로기판 배치구역보다 크다. 4개의 파우치 팩 전지코어는 각각 쉘의 4개 전지코어 배치구역 중에 배치되고 리브를 통해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위치를 나누고, 그 중 접착층은 쉘과 매 하나의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밑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파우치 팩 전지코어와 쉘을 접착한다. 하지만, 제품 출하 전의 고온 및 고습도(HTHH :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테스트에서 두 인접한 파우치 팩 전지코어 사이의 리브 및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밑부분과 쉘 사이의 접착층은 파우치 팩 전지코어가 열팽창되는 공간을 제한하여 파우치 팩 전지코어가 고온 및 고습도 테스트에서 심한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평면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Generally, in a battery module assembly applied to a laptop, the battery shell has at least four ribs, and the shell is divided into four battery core placement areas and a circuit board placement area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 placement areas. Among these, the size of the battery core placement area is larger than the circuit board placement area. The four pouch pack battery cores are each placed among the four battery core placement areas of the shell, and the positions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are divided by ribs. Among them, the adhesive layer is between the shell and the bottom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It is placed and adheres the pouch pack battery core and shell. However,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HTHH) tests before product shipment, the ribs between two adjacent pouch pack battery cores and the adhesive layer between the bottom of the pouch pack battery core and the shell are the space where the pouch pack battery core thermally expands. This limits the pouch pack battery core to cause severe deformation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s, and further affects the flatnes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비교적 뛰어난 평면도를 가지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a relatively excellent plan view.

본 발명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2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이에 쉘을 제1구역, 제2구역 및 제3구역으로 나누어지게 하며 상기 제1구역의 크기는 상기 제2구역의 크기와 같고, 상기 제3구역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구역의 크기는 상기 제1구역의 크기보다 작은 쉘;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전지코어; 및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코어들 사이 및 상기 전지코어들의 가장자리와 상기 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쉘을 접착시키는 복수개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ribs, which divide the shell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and the size of the first zone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second zone, and the A third zone is a shell located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has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zone; a plurality of battery cores disposed on the shell and located with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disposed on the shell,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s and between edges of the battery cores and the shell, and adhering the battery cores to the she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코어는, 2개의 제1전지코어와 2개의 제2전지코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2개의 제1전지코어는,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전지코어들은 상기 리브들의 상대적 양측에 각각 인접하고, 각 상기 제1전지코어들은 서로 대응되는 제1측변과 제2측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변은 상기 리브들과 인접하며, 상기 2개의 제2전지코어는,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전지코어들은 각각 상기 제1전지코어들과 인접하며, 각 상기 제2전지코어는 서로 대응되는 제3측변과 제4측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3측변은 상기 제2측변과 인접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ore includes two first battery cores and two second battery cores, wherein the two first battery cores are disposed on the shell, and each of the first battery cores located within the zone and the second zone, wherein the first battery cores are adjacent to relative sides of the ribs, and each of the first battery cores has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side sides, and the first battery cores hav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side sides. The side sides are adjacent to the ribs, and the two second battery cores are disposed on the shell and are locat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battery cores are each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Adjacent to the cores, each second battery core has corresponding third and fourth side sides, and the third side side is adjacent to the second sid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층들은, 2개의 제1접착층과 2개의 제2접착층을 포함하는데, 2개의 제1접착층은, 각 상기 제1전지코어의 상기 제2측변과 각 상기 제2전지코어의 상기 제3측변 사이에 위치하며 각 상기 제1전지코어의 상기 제2측변과 상기 쉘 사이 및 각 상기 제2전지코어의 상기 제3측변과 상기 쉘 사이까지 연장되며, 2개의 제2접착층은, 각 상기 제2전지코어의 상기 제4측변과 상기 쉘 사이에 위치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s include two first adhesive layers and two second adhesive layers, wherein the two first adhesive layers are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each of the first battery cores and on each of the second adhesive layers. It is located between the third side of the battery core and extends between the second side of each first battery core and the shell and between the third side of each second battery core and the shell, and includes two second battery cores. The adhesive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side of each second battery core and the she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쉘은 밑판을 더 포함하며, 이는 서로 대응되는 제1가장자리와 제2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들은 상기 밑판 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2가장자리에 수직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hell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which has first and second edg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ribs are installed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edge and the second ed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밑판과 상기 리브들은 심리스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and the ribs are seamless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들 및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제1가장자리 사이에는 수용구역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구역은 상기 제1구역, 상기 제2구역 및 상기 제3구역을 관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zone is provided between the ribs and the battery cores and the first edge, and the receiving zone passes through the first zone,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이는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회로기판은 전기적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circuit board, which is disposed on the shell and located within the receiving area, and the battery cores and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기판은, 본체부와 2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구역에서부터 상기 제3구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2개의 분기부는, 상기 본체부의 대응되는 양측을 연결시키고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분기부들은 전기적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main body and two branch parts, where the main body extends from the receiving area to the third area, and the two branch parts are located on corresponding sides of the main body. are connected, and the battery cores and the branch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코어들은 와이어 본딩으로 상기 분기부들과 전기적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or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es through wire bo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코어들은 파우치 팩 전지코어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ores are pouch pack battery cores.

상술한 기술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설계에 있어서, 쉘은 쉘을 제1구역, 제2구역 및 제3구역으로 나누어지게 하는 2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전지코어는 제1구역과 제2구역내에 위치하고, 접착층은 전지코어 사이 및 전지코어의 가장자리와 쉘 사이에 위치한다. 리브로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위치를 분리하고 접착층이 쉘과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밑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전지코어가 열팽창되는 공간은 리브와 접착층의 제한을 받지 않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비교적 우수한 평면도(flatness)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olution, in the desig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includes two ribs that divide the shell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and the battery core is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nd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s and between the edge of the battery core and the shell. Compared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the position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is separated by ribs and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shell and the bottom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the space where the battery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mally expands is limited by the ribs and the adhesive layer.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latively excellent flatness.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과 이점을 보다 명확하고 상세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쉘과 접착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전지코어와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in detail,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rawings.
1 is a plan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ssembl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ell and adhesive layer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 1.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ttery core and circuit board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ure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쉘과 접착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전지코어와 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ssembl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ell and adhesive layer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 1.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ttery core and circuit board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ure 1.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는 쉘(110), 복수개의 전지코어(120) 및 복수개의 접착층(130)을 포함한다. 쉘(110)은 2개의 리브(112)를 포함하고, 이에 쉘(110)을 제1구역(A1), 제2구역(A2), 제3구역(A3)으로 나누어지게 한다. 제1구역(A1)의 크기는 제2구역(A2)의 크기와 같고, 제3구역(A3)은 제1구역(A1)과 제2구역(A2) 사이에 위치하며, 제3구역(A3)의 크기는 제1구역(A1)의 크기보다 작다. 전지코어(120)는 쉘(110) 상에 배치되고, 제1구역(A1)과 제2구역(A2)내에 위치한다. 접착층(130)은 쉘(110) 상에 배치되고, 전지코어(120) 사이 및 전지코어(120)의 가장자리와 쉘(110) 사이에 위치하여 전지코어(120)와 쉘(110)을 접착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in this embodiment, the battery module assembly 100 includes a shell 110, a plurality of battery cores 120,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130. The shell 110 includes two ribs 112, which divide the shell 110 into a first area (A1), a second area (A2), and a third area (A3). The size of the first area (A1)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area (A2), the third area (A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and the third area (A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area (A1). The battery core 120 is disposed on the shell 110 and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The adhesive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shell 110 and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 120 and between the edge of the battery core 120 and the shell 110 to adhere the battery core 120 and the shell 110. .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쉘(110)은 평면도에서 직사각 형태로 구현되며 쉘(110)은 밑판(114)을 더 포함한다. 밑판(114)은 서로 대응되는 제1가장자리(114a)와 제2가장자리(114b)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제1가장자리(114a)와 제2가장자리(114b)는 쉘(110)의 긴 변이다. 리브(112)는 밑판(114) 상에 평행으로 설치되고 제1가장자리(114a)와 제2가장자리(114b)에 수직이다. 리브(112)는 밑판(114)에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밑판(114)과 리브(112)는 심리스 연결되고, 밑판(114)과 리브(112)는 일체로 형성된다. 쉘(110)의 재질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의 리브(112)는 실제적으로는 밑판(114)의 제1가장자리(114a)까지 연장되지 않으며, 전지코어(120)는 제1구역(A1)과 제2구역(A2)내에 위치하고 밑판(114)의 제1가장자리(114a)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브(112) 및 전지코어(120)와 밑판(114)의 제1가장자리(114a) 사이는 수용구역(C)을 구비하고, 수용구역(C)은 제1구역(A1), 제2구역(A2), 제3구역(A3)을 관통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구역(A1), 제2구역(A2) 및 제3구역(A3)은 서로 평행된다. 수용구역(C)은 제1구역(A1), 제2구역(A2) 및 제3구역(A3)의 윗측에 위치하고, 수용구역(C)과 제1구역(A1), 제2구역(A2) 및 제3구역(A3)은 수직관계를 이룬다. Specifically, the shell 110 of this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the shell 110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114. The bottom plate 114 includes a first edge 114a and a second edge 114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edge 114a and the second edge 114b are the long sides of the shell 110. . The ribs 112 are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bottom plate 114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edge 114a and the second edge 114b. The ribs 112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114. Preferably, the bottom plate 114 and the ribs 112 are seamlessly connected, and the bottom plate 114 and the ribs 112 are formed as one piece. The material of the shell 110 is, for example, plast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ib 112 of this embodiment does not actually extend to the first edge 114a of the bottom plate 114, and the battery core 120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and is located in the bottom plate ( It does not extend to the first edge 114a of 114). Therefore, a receiving area (C) is provided between the ribs 112 and the battery core 120 and the first edge 114a of the bottom plate 114, and the receiving area C is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1. It is connected through zone (A2) and zone 3 (A3). Here, the first zone (A1), the second zone (A2), and the third zone (A3)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receiving area (C) is located above the first area (A1), the second area (A2), and the third area (A3), and the receiving area (C),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and the third area (A3) form a vertical relationship.

또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코어(120)는 2개의 제1전지코어(122) 및 2개의 제2전지코어(124)를 포함한다. 제1전지코어(122)는 쉘(110) 상에 배치되고, 각각 제1구역(A1)과 제2구역(A2)내에 위치한다. 제1전지코어(122)는 각각 리브(112)의 양측에 인접하고, 리브(112)의 양측에 가장 인접한 전지코어(120)가 제1전지코어(122)이다. 매 제1전지코어(122)는 서로 대응되는 제1측변(122a)과 제2측변(122b)을 구비하고, 제1측변(122a)은 리브(112)와 인접한다. 제2전지코어(124)는 쉘(110) 상에 배치되고, 각각 제1구역(A1)과 제2구역(A2)내에 위치한다. 제2전지코어(124)는 각각 제1전지코어(122)에 인접하고, 매 제2전지코어(124)는 서로 대응되는 제3측변(124a)과 제4측변(124b)을 구비하고, 제3측변(124a)은 제2측변(122b)에 인접한다. 즉, 제1구역(A1)은 서로 인접하는 하나의 제1전지코어(122)와 하나의 제2전지코어(124)를 포함하며, 제2구역(A2)도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하나의 제1전지코어(122)와 하나의 제2전지코어(124)를 포함하며, 제1구역(A1)과 제2구역(A2)내에 위치하는 제1전지코어(122)와 제2전지코어(124) 사이에는 간격구조(예를 들면 리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전지코어(120)는 구체적으로 파우치 팩 전지코어이고, 제1전지코어(122)와 제2전지코어(124)는 실질적으로 서로 같은 구조와 사이즈를 갖고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battery core 12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wo first battery cores 122 and two second battery cores 124. The first battery core 122 is disposed on the shell 110 and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respectively. The first battery core 122 is adjacent to both sides of each rib 112, and the battery core 120 closest to both sides of the rib 112 is the first battery core 122. Each first battery core 122 has a first side 122a and a second side 122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ide 122a is adjacent to the rib 112. The second battery core 124 is disposed on the shell 110 and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respectively. The second battery cores 124 are each adjacent to the first battery core 122, and each second battery core 124 has corresponding third side sides 124a and fourth side sides 124b. The third side 124a is adjacent to the second side 122b. That is, the first area A1 includes one first battery core 122 and one second battery core 124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area A2 also includes one first battery core 122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battery core 122 and the second battery core 124 include a battery core 122 and one second battery core 124, and are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There is no spacing structure (e.g. rib) provided between them. Here, the battery core 120 is specifically a pouch pack battery core, and the first battery core 122 and the second battery core 124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size.

또한, 본 실시예의 접착층(130)은 2개의 제1접착층(132)과 2개의 제2접착층(134)을 포함하고, 이 중 제1접착층(132)과 제2접착층(134)은 제1구역(A1)과 제2구역(A2)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접착층(132)은 매 제1전지코어(122)의 제2측변(122b)과 매 제2전지코어(124)의 제3측변(124a) 사이에 위치하고, 매 제1전지코어(122)의 제2측변(122b)과 쉘(110)의 밑판(114) 사이 및 매 제2전지코어(124)의 제3측변(124a)과 쉘(110)의 밑판(114) 사이까지 연장된다. 제2접착층(134)은 매 제2전지코어(124)의 제4측변(124b)과 쉘(110)의 밑판(114) 사이에 위치한다. 즉, 매 제1전지코어(122)의 제1측변(122a)과 리브(112) 사이에는 접착층(130)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1전지코어(122)와 제2전지코어(124) 사이에는 간격구조(예를 들면 리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제1접착층(132)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층(130)은 예를 들면 절연고무, 고분자재료인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1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wo first adhesive layers 132 and two second adhesive layers 134, of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13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4 are in the first zone. It is located in (A1) and area 2 (A2). Specifically, the first adhesive layer 132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side side (122b) of each first battery core 122 and the third side side (124a) of each second battery core 124, and is connected to each first battery core. Between the second side side 122b of the core 122 and the bottom plate 114 of the shell 110 and between the third side side 124a of each second battery core 124 and the bottom plate 114 of the shell 110. It is extende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4 is located between the fourth side side 124b of each second battery core 124 and the bottom plate 114 of the shell 110. That is, the adhesive layer 130 is no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ide 122a and the rib 112 of each first battery core 122, but between the first battery core 122 and the second battery core 124. No gap structure (for example, ribs) is provided, and only the first adhesive layer 132 is provided. Here, the adhesive layer 130 is, for example, insulating rubber or a polym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실시예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는 회로기판(140)을 더 포함하고, 회로기판(140)은 쉘(110) 상에 배치되고 수용구역(C)내에 위치하며, 전지코어(120)는 회로기판(140)에 전기적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40)은 하나의 본체부(142)와 2개의 분기부(144)를 포함한다. 본체부(142)는 수용구역(C)으로부터 제3구역(A3)까지 연장된다. 분기부(144)는 본체부(142)의 상대적 양측을 연결하고, 전지코어(120)는 분기부(144)와 전기적 연결된다.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회로기판(140)의 본체부(142)와 분기부(144)는 평면도에서 T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분적인 본체부(142)와 전지코어(120)는 평행을 이루고, 전지코어(120)는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으로 분기부(144)와 전기적 연결된다. 여기서, 회로기판(140)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100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ircuit board 140, the circuit board 140 is disposed on the shell 110 and located in the receiving area (C), and the battery cor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40. More specifically, the circuit board 140 includes one main body 142 and two branch portions 144. The main body portion 142 extends from the receiving area (C) to the third area (A3). The branch portion 144 connects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42, and the battery cor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144. 1 and 3, the main body 142 and the branch portion 144 of the circuit board 140 are T-shaped in plan view, and the partial main body 142 and the battery core 120 are parallel. , and the battery cor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144 by, for example, wire bonding. Here, the circuit board 140 is,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서, 제1구역(A1)과 제2구역(A2)내에 위치하는 제1전지코어(122)와 제2전지코어(124) 사이에는 간격구조(예를 들면 리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접착층(130)은 전지코어(120) 사이 및 전지코어(120)의 가장자리와 쉘(110) 사이에 위치한다. 때문에, 리브로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위치를 분리하고 접착층이 쉘과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밑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전지코어(120)는 고온 및 고습도의 테스트에서 받는 내부 응력은 간격구조(예를 들면 리브)와 접착층의 제한을 받지 않고 비교적 큰 열팽창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고온 및 고습도 테스트 후, 본 실시예의 전지코어(120)는 변형이 없거나 그 변형량이 아주 작고, 본 실시예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는 비교적 우수한 평면도를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a gap structure (for example, a rib) is no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attery core 122 and the second battery core 124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Instead, the adhesive layer 130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 120 and between the edge of the battery core 120 and the shell 110. Therefore, compared 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the position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is separated by a rib and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shell and the bottom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the battery core 120 of this embodiment is test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internal stress received is not limited by the gap structure (e.g. ribs) and adhesive layer and has a relatively large thermal expansion space. Accordingly, aft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 the battery core 120 of this embodiment has no deformation or the amount of deformation is very small, and the battery module assembly 100 of this embodiment has a relatively excellent flatness.

이상, 본 발명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설계에 있어서, 쉘은 쉘을 제1구역, 제2구역 및 제3구역으로 나누어지게 하는 2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전지코어는 제1구역과 제2구역내에 위치하고, 접착층은 전지코어 사이 및 전지코어의 가장자리와 쉘 사이에 위치한다. 리브로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위치를 분리하고 접착층이 쉘과 매 파우치 팩 전지코어의 밑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전지코어가 열팽창되는 공간은 리브와 접착층의 제한을 받지 않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비교적 우수한 평면도를 가진다.Above, in the desig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includes two ribs that divide the shell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and the battery core is located with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s and between the edge of the battery core and the shell. Compared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the position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is separated by ribs and the adhesive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shell and the bottom of each pouch pack battery core, the space where the battery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mally expands is limited by the ribs and the adhesive layer.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excellent flatness.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해당 분야의 기술업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와 사상범위내에서 적당한 변형과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by way of examples,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100:전지 모듈 어셈블리
110:쉘
112:리브
114:밑판
114a:제1가장자리
114b:제2가장자리
120:전지코어
122:제1전지코어
122a:제1측변
122b:제2측변
124:제2전지코어
124a:제3측변
124b:제4측변
130:접착층
132:제1접착층
134:제2접착층
140:회로기판
142:본체부
144:분기부
A1:제1구역
A2:제2구역
A3:제3구역
C:수용구역
100: Battery module assembly
110: Shell
112: Rib
114: Bottom plate
114a: first edge
114b: Second edge
120: Battery core
122: First battery core
122a: First side
122b: Second side
124: Second battery core
124a: Third side
124b: Fourth side
130: Adhesive layer
132: First adhesive layer
134: Second adhesive layer
140: Circuit board
142: Main body
144: Branch
A1: Area 1
A2: Area 2
A3: Area 3
C: Receiving area

Claims (10)

2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이에 쉘을 제1구역, 제2구역 및 제3구역으로 나누어지게 하며 상기 제1구역의 크기는 상기 제2구역의 크기와 같고, 상기 제3구역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구역의 크기는 상기 제1구역의 크기보다 작은 쉘;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전지코어; 및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코어들 사이 및 상기 전지코어들의 가장자리와 상기 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쉘을 접착시키는 복수개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전지코어가 상기 리브와 상기 접착층의 제한을 받지 않는 열팽창 공간을 가지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It includes two ribs, which divide the shell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The size of the first zone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is the first zone. and a shell located between the second zone, wherein the third zone is smaller than the first zone;
a plurality of battery cores disposed on the shell and located with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nd
It is disposed on the shell, and is located between the battery cores and between the edges of the battery cores and the shel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that adhere the battery cores and the shell,
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the battery core has a thermal expansion space that is not limited by the ribs and the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코어는, 2개의 제1전지코어와 2개의 제2전지코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2개의 제1전지코어는,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전지코어들은 상기 리브들의 상대적 양측에 각각 인접하고, 각 상기 제1전지코어들은 서로 대응되는 제1측변과 제2측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변은 상기 리브들과 인접하며,
상기 2개의 제2전지코어는,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전지코어들은 각각 상기 제1전지코어들과 인접하며, 각 상기 제2전지코어는 서로 대응되는 제3측변과 제4측변을 구비하며, 상기 제3측변은 상기 제2측변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In paragraph 1
The battery core includes two first battery cores and two second battery cores,
The two first battery cores are disposed on the shell and are locat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the first battery cores are adjacent to relative sides of the ribs, and each of the first battery cores is disposed on the shell. The battery cores have first and second side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ide side is adjacent to the ribs,
The two second battery cores are disposed on the shell and are locat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battery cores are adjacent to the first battery cores, and each of the second battery cores is adjacent to the first battery cores. A battery modu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battery cores have third and fourth side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third side side is adjacent to the second side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들은, 2개의 제1접착층과 2개의 제2접착층을 포함하는데,
2개의 제1접착층은, 각 상기 제1전지코어의 상기 제2측변과 각 상기 제2전지코어의 상기 제3측변 사이에 위치하며 각 상기 제1전지코어의 상기 제2측변과 상기 쉘 사이 및 각 상기 제2전지코어의 상기 제3측변과 상기 쉘 사이까지 연장되며,
2개의 제2접착층은, 각 상기 제2전지코어의 상기 제4측변과 상기 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dhesive layers include two first adhesive layers and two second adhesive layers,
The two first adhesive layers are located between the second side of each first battery core and the third side of each second battery core and between the second side of each first battery core and the shell and extends between the third side of each second battery core and the shell,
A battery module assembly, wherein the two second adhesive layers are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side of each second battery core and the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밑판을 더 포함하고, 이는 서로 대응되는 제1가장자리와 제2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리브들은 상기 밑판 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2가장자리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ell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which has first and second edg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ribs are installed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edge and the second edge. Battery module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과 상기 리브들은 심리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4,
A battery module assembly, wherein the bottom plate and the ribs are seamlessly conn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 및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제1가장자리 사이에는 수용구역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구역은 상기 제1구역, 상기 제2구역 및 상기 제3구역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4,
A battery module assembly, wherein a receiving area is provided between the ribs, the battery cores, and the first edge, and the receiving area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제6항에 있어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이는 상기 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회로기판은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6,
A battery module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board, which is disposed on the shell and located within the receiving area, wherein the battery cores and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본체부와 2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구역에서부터 상기 제3구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2개의 분기부는, 상기 본체부의 대응되는 양측을 연결시키고 상기 전지코어들과 상기 분기부들은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In clause 7,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main body and two branch parts, where the main body extends from the receiving area to the third area, and the two branch parts connect corresponding two sides of the main body and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cores. A battery modu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 par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코어들은 와이어 본딩으로 상기 분기부들과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8,
A battery modu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or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es through wire bon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코어들은 파우치 팩 전지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A battery modu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ores are pouch pack battery cores.
KR1020180047464A 2018-04-24 2018-04-24 Battery module assembly KR102600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64A KR102600825B1 (en) 2018-04-24 2018-04-24 Battery modu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64A KR102600825B1 (en) 2018-04-24 2018-04-24 Battery modul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87A KR20190123587A (en) 2019-11-01
KR102600825B1 true KR102600825B1 (en) 2023-11-09

Family

ID=6853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464A KR102600825B1 (en) 2018-04-24 2018-04-24 Battery modul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8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902A (en) * 2009-09-15 2010-02-18 Mitsubishi Motors Corp Battery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automobile
JP2011049012A (en) * 2009-08-26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15162389A (en) * 2014-02-27 2015-09-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9012A (en) * 2009-08-26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10036902A (en) * 2009-09-15 2010-02-18 Mitsubishi Motors Corp Battery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automobile
JP2015162389A (en) * 2014-02-27 2015-09-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87A (en)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286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5221386B2 (en) Spacers for battery pack manufacturing
US5501918A (en) Thermal management of rechargeable batteries
KR101094024B1 (en) Secondary Battery
US20210184303A1 (en) Battery Module
JP7047206B2 (en) Battery module
KR20120123172A (en) Battery pack
US9231235B2 (en) Battery pack
KR102284485B1 (en) Battery pack
KR2009008164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102030112B1 (en) Battery pack
EP413160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2021531614A (en) Battery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2447127A (en) Packaged cell
KR20130062543A (en) Pouch type battery cell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KR102600825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US20200006723A1 (en) Catridg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102028168B1 (en) Battery pack having external member
JP5975533B2 (en) Battery module
KR20220023434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TWI766984B (en) Battery module
US11923519B2 (en) Battery pack
JP6876905B2 (en) Heat conductive sheet and battery pack using it
KR102066915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Frame Member Having Hole for Welding
CN220731660U (en) Battery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