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532B1 - 화학발광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화학발광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532B1
KR102600532B1 KR1020210045373A KR20210045373A KR102600532B1 KR 102600532 B1 KR102600532 B1 KR 102600532B1 KR 1020210045373 A KR1020210045373 A KR 1020210045373A KR 20210045373 A KR20210045373 A KR 20210045373A KR 102600532 B1 KR102600532 B1 KR 10260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iode
light
amplifier
measuring devic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129A (ko
Inventor
이민호
고안나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5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6Chemiluminescence; Biolumin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by periodically varying the intensity of light, e.g. using chop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화학발광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화학발광 측정장치는 서랍식의 카세트 트레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카세트 트레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투입되는 카세트 키트 상의 테스트 라인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는 제1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광량측정부; 상기 제1 광량측정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카세트 키트 상의 컨트롤 라인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는 제2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 광량측정부; PCB 기판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키는 제1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학발광 측정장치{CHEMILUMINESCENC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화학발광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소형의 화학발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학발광 중에서 특히 바이오발광(Bioluminescence)은 여러 가지 면역진단검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화학발광 검사법은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광량을 검출하여 진단검사에 사용하는 것으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10-12 와트 이하의 매우 미약한 광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형광 검사법이 여기광을 사용함에 따라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동반하는데 비해 화학발광 검사법은 신호가 미약하지만 대신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수반하지 않는 장점을 지닌다.
종래에는 이러한 미약한 광을 검출하기 위해 X선 필름을 사용하고 셔터를 개방하여 오랫동안 노출시켜 화학발광에 의한 광을 누적시켜 측정하거나 CCD 카메라의 셔터를 개방하여 오랫동안 노출시켜 화학발광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매우 큰 증폭율을 갖는 광증배관(PMT, Photomulitiplier Tube)를 사용하여 화학발광을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화학발광 검사법에 많이 사용되는 광증배관은 부피가 크고 가격도 비싸거니와 구동을 위해 수백볼트를 인가해야 하는 점 때문에 휴대용 화학발광 측정장치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반면에 포토다이오드는 광증배관에 비해 작고 저렴하며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지만 포토다이오드를 화학발광 측정장치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1011 ~ 1012 정도로 증폭시켜 피코 와트(pico watt) 이하의 매우 미약한 광신호를 검출해야 하지만 캐패시터 같은 전자부품의 누설전류와 캐패시터나 저항 같은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PCB 기판의 자체의 누설전류 때문에 매우 미약한 광신호에 의한 매우 미약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3016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세트 키트의 장착시 외부 빛이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광량 측정시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누설전류 감소에 따라 정확한 광량 측정이 가능해지도록 한 화학발광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가능하고,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가격이 저렴해지도록 한 화학발광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는 서랍식의 카세트 트레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카세트 트레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투입되는 카세트 키트 상의 테스트 라인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는 제1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광량측정부; 상기 제1 광량측정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카세트 키트 상의 컨트롤 라인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는 제2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 광량측정부; PCB 기판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키는 제1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량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라인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시키는 제1 집광렌즈; 및 상기 제1 집광렌즈를 통해 집속된 광을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의 검출면에 집광시키는 제1 검출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량측정부는, 상기 컨트롤 라인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시키는 제2 집광렌즈; 및 상기 제2 집광렌즈를 통해 집속된 광을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의 검출면에 집광시키는 제2 검출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CB 기판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키는 제2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 각각의 검출면과 상기 제1 검출렌즈 및 상기 제2 검출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카세트 트레이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기 전에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 각각의 검출면을 덮고, 상기 카세트 트레이를 통해 상기 카세트 키트가 상기 본체부 내부로 투입되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 각각의 검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증폭기 및 상기 제2 증폭기는 포토다이오드 전류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피드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기 및 상기 제2 증폭기는 PCB 기판에서 상기 피드백 저항의 양측의 솔더링 부분 사이를 부분 절개하여 형성되는 누설전류 차단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의 양측 끝단은 상기 피드백 저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의 절단면을 덮는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층은 금속으로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층은 구리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에 의하면, 카세트 키트의 장착시 외부 빛이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광량 측정시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누설전류 감소에 따라 정확한 광량 측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량 측정시 누설전류 차단구멍으로부터의 빛의 유입을 차단하여 정확한 광량 측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를 통해 광량을 측정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가능하고,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키트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제1 광량측정부 및 제2 광량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제1 증폭기 및 제2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제1 증폭기 및 제2 증폭기의 PCB 기판 상의 누설전류 차단구멍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키트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제1 광량측정부 및 제2 광량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제1 증폭기 및 제2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제1 증폭기 및 제2 증폭기의 PCB 기판 상의 누설전류 차단구멍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는 본체부(110), 제1 광량측정부(120), 제2 광량측정부(130), 제1 증폭기(140), 제2 증폭기(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카세트 트레이(111)를 구비하며,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는 서랍식, 즉 본체부(110)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카세트 키트(200)가 수용되는 키트수용부(11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세트 키트(200)는 목표물질의 진단을 위한 키트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물질이 주입되는 검체 주입구(210) 및 테스트 윈도우(220)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각각 시약이 도포된 테스트 라인(221) 및 콘트롤 라인(222)을 갖는 다공성 멤브레인 스트립(223)이 수용되며, 이때 상기 테스트 라인(221)이 상기 검체 주입구(210)에 인접하게 수용되고, 상기 테스트 라인(221) 및 콘트롤 라인(222)은 상기 테스트 윈도우(220)를 통해 카세트 키트(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테스트 라인(221)은 목표물질 진단을 위한 시약이 도포되어 상기 목표물질과 시약의 화학반응이 발생하는 부분이고, 상기 콘트롤 라인(222)은 카세트 키트(200)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체가 전개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시약이 도포되어 목표물질과 시약의 화학반응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제1 광량측정부(120)는 카세트 트레이(111)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는 카세트 키트(200) 상의 테스트 라인(221)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며, 제1 집광렌즈(121), 제1 검출렌즈(122) 및 제1 포토다이오드(123)를 포함한다.
제1 집광렌즈(121)는 상기 테스트 라인(221)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시킨다.
제1 검출렌즈(122)는 상기 제1 집광렌즈(121)를 통해 집속된 광을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의 검출면에 집광시킨다.
제1 포토다이오드(123)는 상기 제1 검출렌즈(122)를 통해 검출면으로 집광된 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제2 광량측정부(130)는 카세트 트레이(111)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는 카세트 키트(200) 상의 콘트롤 라인(222)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며, 제2 집광렌즈(131), 제2 검출렌즈(132) 및 제2 포토다이오드(133)를 포함한다.
제2 집광렌즈(131)는 상기 콘트롤 라인(222)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시킨다.
제2 검출렌즈(132)는 상기 제2 집광렌즈(131)를 통해 집속된 광을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의 검출면에 집광시킨다.
제2 포토다이오드(133)는 상기 제2 검출렌즈(132)를 통해 검출면으로 집광된 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제1 증폭기(140)는 PCB 기판(14112, 151)(141, 151) 상에 구성되어 제1 포토다이오드(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포토다이오드(123)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킨다.
제2 증폭기(150)는 PCB 기판(151) 상에 구성되어 제2 포토다이오드(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포토다이오드(133)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증폭기(140) 및 상기 제2 증폭기(150)는 공통적으로 피드백 저항(142, 152)을 포함하며, 통상의 포토다이오드 증폭회로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드백 캐패시터가 생략된다. 상기 피드백 캐패시터가 생략되는 이유는 상기 피드백 캐패시터가 절연저항을 가져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누설전류에 의해 정확한 광량 측정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증폭기(140) 및 제2 증폭기(150)는 1.0ㅧ109 배 이상의 증폭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증폭기(140) 및 상기 제2 증폭기(150)는 누설전류를 더욱 차단하기 위해, PCB 기판(141, 151) 상에서의 누설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증폭기(140) 및 제2 증폭기(150)는 PCB 기판(141, 151) 상에서의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도 6과 같이 상기 피드백 저항의 양측의 솔더링(soldering) 부분 사이를 부분 절개하여 형성되는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을 포함한다.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의 양측 끝단은 상기 피드백 저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의 절단면에는 금속층(144, 154)이 구비된다. 상기 금속층(144, 154)은 금속으로 도금되어 형성되며, 일 예로, 상기 금속층(144, 154)은 구리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금속층(144, 154)은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을 통해 외부로부터 빛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금속층(144, 154)을 통해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을 향하는 빛을 반사시켜서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전류 차단을 위해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테스트 라인(221) 및 상기 콘트롤 라인(222)에서 발생되는 광 이외의 외부로부터의 광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서 테스트 라인(221) 및 콘트롤 라인(222)에서의 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는 셔터(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셔터(160)는 카세트 트레이(111)가 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될 때 본체부(110)의 외부로부터의 빛이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제2 포토다이오드(133)의 검출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셔터(160)는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과 상기 제1 검출렌즈(122) 및 상기 제2 검출렌즈(132)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셔터(160)는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가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을 덮고,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를 통해 상기 카세트 키트(200)가 상기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셔터(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노출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구멍(16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가 인출되기 전에 상기 노출구멍(161)들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로부터 이격되도록 셔터(16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셔터(16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가 카세트 키트(200)를 수용한 채로 상기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면 셔터(160)를 상기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노출구멍(161)들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을 상기 제1 검출렌즈(122) 및 상기 제2 검출렌즈(132)를 향해 노출시키는 셔터(16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매우 미약한 광량을 측정하기 위해 1.0ㅧ109 배 이상의 증폭율을 갖는 제1 증폭기(140) 및 제2 증폭기(150)를 사용한 상태에서 카세트 트레이(111)가 열리면 외부로부터 강한 빛이 포토다이오드에 입사하여 증폭기를 통한 신호가 포화상태에 이른다. 따라서 포화상태에 이른 증폭기가 매우 미약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수준까지 감쇄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상기 셔터(160)는 이러한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화학발광 측정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목적물질 및 목적물질과의 화학반응을 위한 시약이 도포된 상태의 카세트 키트(200)를 카세트 트레이(111) 내에 삽입한다. 이때, 카세트 트레이(111)를 인출하기 전에 셔터(160)를 앞서 설명한 닫힌 상태로 유지시킨 후 카세트 트레이(111)를 열어서 카세트 키트(200)를 삽입한 후 카세트 키트(200)가 수용된 상태의 카세트 트레이(111)를 본체부(110) 내부로 밀어넣어서 카세트 키트(200)를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한다.
카세트 키트(200)가 본체부(110)로 투입되면 셔터(160)를 앞서 설명한 열린 상태로 유지시킨 후 카세트 키트(200)의 테스트 라인(221) 및 콘트롤 라인(222) 각각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이때, 테스트 라인(221)에서 발생된 광은 제1 집광렌즈(121)를 통해 집속된 후 그 집속된 광을 제1 검출렌즈(122)를 통해 제1 포토다이오드(123)의 검출면으로 집광시키며, 콘트롤 라인(222)에서 발생된 광은 제2 집광렌즈(131)를 통해 집속된 후 그 집속된 광을 제2 검출렌즈(132)를 통해 제2 포토다이오드(133)의 검출면으로 집광시킨다.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으로 집광된 광은 제1 증폭기(140) 및 제2 증폭기(150)에서 증폭되고, 그 증폭된 광량이 측정된다. 이때 제1 증폭기(140) 및 제2 증폭기(150) 각각의 PCB 기판(141, 151) 상에 형성되는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을 통해 PCB 기판(141, 151) 표면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차단되므로 PCB 기판(141, 151)상에서의 누설전류가 감소되며,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의 절단면에서는 금속층(144, 154)에 의해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발광 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카세트 키트(200)의 장착시 외부 빛이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광량 측정시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누설전류 감소에 따라 정확한 광량 측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량 측정시 누설전류 차단구멍(143, 153)으로부터의 빛의 유입을 차단하여 정확한 광량 측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를 통해 광량을 측정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가능하고, 화학발광 측정장치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서랍식의 카세트 트레이(111)를 구비하는 본체부(110);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는 카세트 키트(200) 상의 테스트 라인(221)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는 제1 포토다이오드(123)를 포함하는 제1 광량측정부(120);
    상기 제1 광량측정부(12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카세트 키트(200) 상의 콘트롤 라인(222)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광량을 측정하는 제2 포토다이오드(133)를 포함하는 제2 광량측정부(130);
    PCB 기판(141)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키는 제1 증폭기(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량측정부(120)는,
    상기 테스트 라인(221)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시키는 제1 집광렌즈(121); 및
    상기 제1 집광렌즈(121)를 통해 집속된 광을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의 검출면에 집광시키는 제1 검출렌즈(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량측정부(130)는,
    상기 콘트롤 라인(222)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시키는 제2 집광렌즈(131); 및
    상기 제2 집광렌즈(131)를 통해 집속된 광을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의 검출면에 집광시키는 제2 검출렌즈(132)를 더 포함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PCB 기판(151)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로 입력되는 광량을 증폭시키는 제2 증폭기(150)를 더 포함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과 상기 제1 검출렌즈(122) 및 상기 제2 검출렌즈(132) 사이에 개재되는 셔터(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160)는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가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되기 전에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을 덮고, 상기 카세트 트레이(111)를 통해 상기 카세트 키트(200)가 상기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면 상기 제1 포토다이오드(123) 및 상기 제2 포토다이오드(133) 각각의 검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140) 및 상기 제2 증폭기(150)는 포토다이오드 전류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피드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기(140) 및 상기 제2 증폭기(150)는 PCB 기판(141, 151)에서 상기 피드백 저항의 양측의 솔더링 부분 사이를 부분 절개하여 형성되는 누설전류 차단구멍을 포함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의 양측 끝단은 상기 피드백 저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차단구멍의 절단면을 덮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금속으로 도금되어 형성되는,
    화학발광 측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구리 소재인,
    화학발광 측정장치.
KR1020210045373A 2021-04-07 2021-04-07 화학발광 측정장치 KR10260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73A KR102600532B1 (ko) 2021-04-07 2021-04-07 화학발광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73A KR102600532B1 (ko) 2021-04-07 2021-04-07 화학발광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29A KR20220139129A (ko) 2022-10-14
KR102600532B1 true KR102600532B1 (ko) 2023-11-08

Family

ID=8359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73A KR102600532B1 (ko) 2021-04-07 2021-04-07 화학발광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5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84B1 (ko) * 2008-09-02 2011-01-18 주식회사 셀텍 다기능 휴대용 진단 시스템
IN2014DN08156A (ko) 2012-04-23 2015-05-01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KR101516563B1 (ko) * 2013-09-13 2015-05-04 전자부품연구원 진단 스트립 삽입형 리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29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 et al. Quantitative fluorescence assays using a self-powered paper-based microfluidic device and a camera-equipped cellular phone
US7315376B2 (en) Fluorescence detection system
JP3249820B2 (ja) ルミネッセンスを高速にディジタル信号処理するモジュール化された計測システム
US20010038450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the sensitivity and reproducibility of bioluminescent analytical methods
EP1275964A1 (en) Measuring method for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US83579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 fluorescent sample disposed on a substrate
US20100099178A1 (en) Contaminant Detection Apparatus
KR102600532B1 (ko) 화학발광 측정장치
US20240027352A1 (en) System for analog light measuring and photon counting in chemiluminescence measurements
DE102006054165B3 (de) Langzeitstabile optische Sensoranordnung, insbesondere Wasserstoffsensor, und kombinierte Gassensoranordnung
GB2202988A (en) Photomultiplier
DE102005022288B4 (de) Gassensoranordnung und Mess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Langzeitstabilität
JP2006313164A (ja) ガスセンサ装置及びガス計測方法
KR102119437B1 (ko) Pcr칩
TW201743042A (zh) 光學微纖維感測器
Pittet et al. PCB technology-based electrochemiluminescence microfluidic device for low-cost portable analytical systems
CN109084893B (zh) 一种用于光敏探测器的避光检测装置及检测方法
WO2014078349A1 (en) Measuring luminescence and absorbance and apparatus therefor
CN109239338B (zh) 宽量程免疫层析检测装置及方法
EP1923668A1 (en) Method of processing an analog sensor signal in a gas sensor arrangement and measured value processing device
JP2019505000A (ja) 光学センサ装置
CN214309127U (zh) 一种标准光源装置
US20050151097A1 (en) Device to detect and/or characterize individual moving objects having very small dimensions
CA1118608A (en) Automatic photometric titrator
CN112903096A (zh) 一种标准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