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244B1 - 모듈 핸들 지그 - Google Patents

모듈 핸들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244B1
KR102600244B1 KR1020230046528A KR20230046528A KR102600244B1 KR 102600244 B1 KR102600244 B1 KR 102600244B1 KR 1020230046528 A KR1020230046528 A KR 1020230046528A KR 20230046528 A KR20230046528 A KR 20230046528A KR 102600244 B1 KR102600244 B1 KR 10260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fting
fixing
fixed
lif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석 filed Critical 박재석
Priority to KR102023004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모듈 핸들 지그가 개시된다. 모듈 핸들 지그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로서, 제1 핸들이 상부 표면에 돌출된 고정 핸들부와, 고정 핸들부의 표면과 제1 핸들의 사이의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표면에는 제2 핸들이 승강 공간으로 돌출된 승강 핸들부와, 고정 핸들부의 하부에서 승강 핸들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승강 블록과, 일단은 승강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핸들부를 통과하여 상기 승강 핸들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승강 블록의 하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후크 돌부가 형성되어 고정홀의 일부분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와,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승강 블록의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단은 승강 블록의 하부면에 접촉 가압되며 타단은 승강 블록의 하강시에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 핸들 지그{MODULE HANDLE ZIG}
본 발명은 지그의 고정 및 고정 해제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듈 핸들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 대상물에 핸들 지그를 고정하는 것은, 고정 대상물에 형성된 고정홀에 지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고정 대상물에 지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은, 고정홀의 내부에 후크 타입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걸림 고정한다.
즉, 걸림부의 선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에 걸림 작용에 의해 삽입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지그는 작업자가 고정 대상물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의 가압 및 해제 작동에 의한 고정 및 해제 작동이 번거로워, 효과적인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공보 20-048895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 대상물에 핸들의 승강 작동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고정 작동이 가능하고, 스토퍼를 이용한 고정된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한 모듈 핸들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로서, 제1 핸들이 상부 표면에 돌출된 고정 핸들부와, 고정 핸들부의 표면과 제1 핸들의 사이의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표면에는 제2 핸들이 승강 공간으로 돌출된 승강 핸들부와, 고정 핸들부의 하부에서 승강 핸들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승강 블록과, 일단은 승강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핸들부를 통과하여 상기 승강 핸들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승강 블록의 하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후크 돌부가 형성되어 고정홀의 일부분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와,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승강 블록의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단은 승강 블록의 하부면에 접촉 가압되며 타단은 승강 블록의 하강시에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고정 핸들부는, 승강 핸들부의 하강시 걸림 고정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탄성부재가 통과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1 바디와, 제1 바디의 양측에 연결되고 제1 바디의 상부 표면으로 돌출되어 제1 바디의 상부 표면과의 사이에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핸들부는,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디와, 제2 바디의 상부 표면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제2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의 하부에는, 제2 삽입홀을 통과하는 탄성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승강 블록은, 제2 바디의 하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걸림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3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고정부는, 제3 삽입홀에 삽입되어 승강 블록의 상하부로 돌출되며, 하부에는 후크 돌부가 형성되어 고정홀의 개구된 일부분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 고정부가 고정홀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 블록의 상부 표면에 지지되는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제1 핸들과 제2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해 제2 핸들과 제1 핸을 함께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는 작동에 의해 고정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부에 의해 모듈 핸들 지그의 안정적인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 핸들 지그가 고정 대상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토퍼부로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듈 핸들 지그가 고정 대상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의 걸림 고정부가 고정 대상물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의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고정핀이 고정 대상물에 미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핀이 승강 블록의 하강에 따라 하강되어 고정 대상물의 고정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듈 핸들 지그가 고정 대상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토퍼부로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모듈 핸들 지그가 고정 대상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100)는, 고정홀(11a)이 형성된 고정 대상물(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 대상물(11)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는, 고정 핸들부(10)와,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승강 작동되는 승강 핸들부(20)와, 고정 핸들부(10)의 하부에서 승강 핸들부(20)의 작동과 연동되어 승강되는 승강 블록(50)과, 승강 핸들부(20)의 작동에 따라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40) 및 고정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 핸들부(10)는 고정 대상물(11)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으로, 고정 대상물(11)에 본 실시예의 지그를 고정시 고정 대상물(11)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 핸들부(10)는, 고정 대상물(11)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1 바디(12)와, 제1 바디(12)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 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2)는 직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삽입홀(12a)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12a)은 후술하는 승강 핸들부(20)의 하강시 걸림 고정부(40)의 상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제1 바디(12)의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걸림 고정부(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바디(12)의 대향하는 양측 위치에는 제1 삽입홀(12a)에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삽입홀(1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12b)은 제1 바디(12)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승강 핸들부(20)와 승강 블록(50)을 탄성부재(30)를 이용하여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제1 삽입홀(12a)에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바디(12)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12)의 상측에는 제1 핸들(14)이 돌출될 수 있다.
제1 핸들(14)은 제1 바디(12)의 양측 가장자리 위치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핸들(14)이 제1 바디(1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은,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의 착탈 작동 과정에서 제2 핸들(24)이 제1 핸들(14)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손바닥 위치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핸들(14)은, 작업자가 제1 핸들(14)과 제2 핸들(24)을 함께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오무리는 경우 제2 핸들(24)이 제1 핸들(14)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도록 제1 바디(12)의 상부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핸들부(10)의 상측에는 승강 핸들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 핸들부(20)는 고정 핸들부(10)의 상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악력에 따라 제1 핸들(14)과의 사이의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승강 핸들부(20)가 고정 핸들부(10)의 상부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가 고정 대상물(11)에 걸림 해제되고, 승강 핸들부(20)가 탄성부재(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 핸들부(10) 방향으로 하강한 상태에서는 고정 대상물(11)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핸들부(20)는,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디(22)와, 제2 바디(22)의 상부 표면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제2 핸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2)는 제1 바디(12)의 상측의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바디(12)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22)의 상부에는 제1 핸들(14)의 하부 위치에 제2 핸들(24)이 돌출될 수 있다.
제2 핸들(24)은 제2 바디(22)의 상부에 돌출되는 것으로, 제1 핸들(14) 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되어 제1 핸들(1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핸들(14)과 제2 핸들(24)을 함께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오므리는 것으로 제2 핸들(24)이 제1 핸들(14)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22)의 하부에는 탄성부재(30)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일단은 제2 바디(22)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바디(12)의 제1 삽입홀(12a)을 통과하여 승강 블록(5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제1 바디(12)에 형성된 2개의 제1 삽입홀(12a)을 각각 통과하여, 제2 바디(22)와 승강 블록(50)을 서로간에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악력의 미작용시 제2 바디(22)가 제1 바디(12)의 표면에 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악력으로 제2 핸들(24)을 당기는 경우, 제2 바디(22)가 제1 바디(12)로부터 이격되어 본 실시예의 지그의 결합 해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가 제2 핸들(24)을 당기지 않는 경우, 제2 바디(22)는 제1 바디(12)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탄성부재(30)에 의해 연결된 승강 블록(50)이 하강되는 바, 고정핀(60)이 승강 블록(50)의 하강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되어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의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의 걸림 고정부가 고정 대상물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의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고정핀이 고정 대상물에 미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고정핀이 승강 블록의 하강에 따라 하강되어 고정 대상물의 고정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고정부(40)는, 본 실시예의 지그 작동시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고정부(40)는 승강 블록(50)의 하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후크 돌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고정부(40)는 고정 대상물(11)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고정홀(11a)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걸림 고정부(40)가 고정홀(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은, 작업자가 제1/제2 핸들(10, 20)을 파지한 상태로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 위치에 걸림 고정부(40)의 단부를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다.
승강 블록(50)은, 고정 핸들부(10)의 하부에서 승강 핸들부(20)의 승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블록(50)은, 제2 바디(22)의 하부에 탄성부재(30)에 의해 연결되며 걸림 고정부(40)가 삽입되는 제3 삽입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홀(51)은 걸림 고정부(4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고정부(40)는 하단은 승강 블록(50)의 하부로 돌출되어,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에 삽입 고정되고, 상단은 고정 핸들부(10)와의 사이에서 상대 이동에 따라 제1 삽입홀(12a)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60)은 걸림 고정부(40)의 측면 위치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60)은 승강 블록(50)의 하강시 승강 블록(50)의 하부면에 가압되어, 걸림 고정부(40)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그의 고정시, 걸림 고정부(40)가 고정홀(11a)의 직경의 일부분에 삽입되고 나머지 직경의 일부분에는 고정핀(60)이 삽입되는 바, 고정 대상물0에 지그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바디(12)의 측면에는 스토퍼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70)는 걸림 고정부(40)와 고정핀(60)이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에 함께 삽입 고정되어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가 고정 대상물(11)에 고정되는 경우, 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70)의 회전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부(70)는 제1 바디(12)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된 단부는 승강 블록(50)의 상부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블록(50)이 제1 바디(12)의 하부로 하강된 상태는 스토퍼부(70)의 지지 작용에 의해 고정되는 바, 걸림 고정부(40)와 고정핀(60)이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70)의 단부에는 회전된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이 가능한 표시부(71)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핸들 지그(100)는, 작업자가 제1 핸들(14)과 제2 핸들(24)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해 제2 핸들(24)과 제1 핸들(14)을 함께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는 작동에 의해 고정 대상물(11)에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부(70)에 의해 모듈 핸들 지그(100)의 안정적인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듈 핸들 지그의 작동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제1 핸들(14)과 제2 핸들(24)을 함께 파지한 상태로 걸림 고정부(40)의 단부를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에 위치시키고, 걸림 고정부(40)의 단부가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다음 작업자는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를 고정 대상물(11)에 고정하기 위해 제2 핸들(24)을 파지한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승강 블록(50)은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바디(12)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강되는 바, 승강 블록(50)의 하부 표면이 고정핀(60)을 가압하도록 하여 고정핀(60)이 고정홀(11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 대상물(11)의 고정홀(11a)의 내부에는 걸림 고정부(40)와 고정핀(60)이 함께 삽입 고정되는 바,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가 고정 대상물(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스토퍼부(70)를 회전시켜, 승강 블록(50)이 제1 바디(12)의 하부로 하강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하여, 모듈 핸들 지그(100)가 고정 대상물(11)에 고정된 상태의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듈 핸들 지그(100)의 결합 해제 작동은 결합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고정 핸들부 11...고정 대상물
11a..고정홀 12...제1 바디
12a..제1 삽입홀 12b..제2 삽입홀
14...제1 핸들 20...승강 핸들부
22...제2 바디 24...제2 핸들
30...탄성부재 40...걸림 고정부
41...후크 돌부 50...승강 블록
51...제3 삽입홀 60...고정핀
70...스토퍼부

Claims (6)

  1.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로서,
    제1 핸들이 상부 표면에 돌출된 고정 핸들부;
    상기 고정 핸들부의 상부 표면과 상기 제1 핸들의 사이의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표면에는 제2 핸들이 상기 승강 공간으로 돌출된 승강 핸들부;
    상기 고정 핸들부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 핸들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승강 블록;
    일단은 상기 승강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핸들부를 통과하여 상기 승강 핸들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승강 블록의 하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후크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의 일부분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 및
    상기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상기 승강 블록의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블록의 하부면에 접촉 가압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 블록의 하강시에 상기 걸림 고정부의 측면에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핸들부는, 상기 승강 핸들부의 하강시 상기 걸림 고정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통과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표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표면과의 사이에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핸들부는, 상기 승강 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상부 표면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제2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블록은,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걸림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3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제2 삽입홀을 통과하는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핸들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부는, 상기 제3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블록의 상하부로 돌출되며, 하부에는 상기 후크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의 개구된 일부분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모듈 핸들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 고정부가 상기 고정홀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블록의 상부 표면에 지지되는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모듈 핸들 지그.
KR1020230046528A 2023-04-10 2023-04-10 모듈 핸들 지그 KR10260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28A KR102600244B1 (ko) 2023-04-10 2023-04-10 모듈 핸들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28A KR102600244B1 (ko) 2023-04-10 2023-04-10 모듈 핸들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244B1 true KR102600244B1 (ko) 2023-11-09

Family

ID=8874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528A KR102600244B1 (ko) 2023-04-10 2023-04-10 모듈 핸들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2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48U (ko) * 2017-02-15 2018-08-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멀티 후크 렌치
KR200488958Y1 (ko) 2017-09-01 2019-04-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라쳇핸들 지그
KR20220037132A (ko) * 2020-09-17 2022-03-24 천공전기(주)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48U (ko) * 2017-02-15 2018-08-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멀티 후크 렌치
KR200488958Y1 (ko) 2017-09-01 2019-04-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라쳇핸들 지그
KR20220037132A (ko) * 2020-09-17 2022-03-24 천공전기(주)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989B1 (ko) 락킹 플라이어
EP1112701A1 (en) Castanet type hair iron
AU597705B2 (en) Chip carrier extraction tool
EP1911601A1 (en) A plate clamper with a handle for releasing a holder
KR102600244B1 (ko) 모듈 핸들 지그
US6025994A (en) Heat sink fastener
US4970779A (en) Remover for IC chips
US4021516A (en) Draw clamp
US6098235A (en) Mop head securement device
KR0122491B1 (ko) 벨트클립의 이중잠금장치
EP3536849B1 (en) Locking mechanism and an iro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6637065B2 (en) Quick release mop head jaws retainer
KR200208920Y1 (ko) 가방끈걸이
JP4335983B2 (ja) チューブクリップ
KR200443640Y1 (ko) 광케이블 작업용 클리퍼
JP2001161618A (ja) モップハンドル
US7559115B2 (en) Retractable luggage pull rod with rotating hook
JP2009113963A (ja) トレイ把持具
CN220327752U (zh) 一种防意外拔出的穿刺针固定装置
CN213593998U (zh) 铅笔夹持装置及削笔器
KR200180146Y1 (ko) 집게
CN214855887U (zh) 多功能食品夹
US9486122B2 (en) Mop base
CN220631834U (zh) 便于机械臂操作的自锁式衣撑
US20230173646A1 (en) Fiber handling tool with spring loaded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