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796B1 - Two-way tumbler - Google Patents

Two-way tumb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796B1
KR102599796B1 KR1020210146916A KR20210146916A KR102599796B1 KR 102599796 B1 KR102599796 B1 KR 102599796B1 KR 1020210146916 A KR1020210146916 A KR 1020210146916A KR 20210146916 A KR20210146916 A KR 20210146916A KR 102599796 B1 KR102599796 B1 KR 10259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y
opening
cov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2048A (en
Inventor
고연지
Original Assignee
고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연지 filed Critical 고연지
Priority to KR102021014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796B1/en
Publication of KR2023006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7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65D25/50Separable nozzles or spouts arranged to be plugged in two alternat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텀블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는, 상부에 제1 덮개가 결합되며 하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용기; 상부에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와 마주보며 접하고, 하부에 제2 덮개가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와 상기 제2 용기의 제2 개구의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홀부를 고정시키는 밸트 또는 링 구조의 결합부재; 상기 링홀부에 삽입되는 오링 및 상기 오링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되는 양방향 주머니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 또는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용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wo-way tumbler.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having a first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 second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top to face and contact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bottom; A coupling member having a belt or ring structure that secures a ring hole portion formed along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comprising an O-ring inserted into the ring hole and a two-way bag connected to the O-ring to physically separate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and to be deformed into an upward or downward convex structure; and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formed to cover part or all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or the second container.

Description

양방향 텀블러{TWO-WAY TUMBLER}Two-way tumbler {TWO-WAY TUMBLER}

본 발명은 양방향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구조의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tumble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umbler with a structure that forms a separate space inside the container to store contents (e.g., beverage, water) more efficiently and allow for convenient drinking.

최근 들어, 사회적인 가장 큰 이슈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카페, 패스트푸드점, 식당 등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컵 뿐만 아니라 일회용 종이컵도 사용이 금지되기 때문에,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가정 및 회사 등에서도 개인용 컵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컵 기능과 보온병 기능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고 다량의 음료를 편리하게 보관하며 마실 수 있는 텀블러(tumbler)가 주목받고 있다.Recently, the biggest social issue can be said to be 'environment'. In particular, since the use of not only disposable plastic cups but also disposable paper cups is banned in cafes, fast food restaurants, and restaurants,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According to this trend, personal cups are being widely used at home and in companies, and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tumbler, which can utilize both cup and thermos functions at the same time and can conveniently store and drink large amounts of beverages. there is.

이러한 텀블러 시장이 급속한 확장세를 보이면서, 다양한 기능과 구조의 텀블러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텀블러는 다른 컵에 비하여 휴대성이 우수하여 외출 및 야외활동 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tumbler market is rapidly expanding, tumblers with various functions and structures are being developed. These tumblers are more portable than other cups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going out and doing outdoor activities.

그러나, 종래의 개인용 텀블러인 경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텀블러의 구조 상 한번 사용한 텀블러는 재사용을 하려면 반드시 세척(설거지)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야외활동 시 재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텀블러에 보관되는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은 한가지 종류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또한, 전용 보온병에 비하면 보온기능이 약하게 때문에, 텀블러에 보관된 내용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가 내려가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적정온도의 내용물을 마시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personal tumblers have several problems as follow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tumbler, once used tumblers must be washed (dishes) to be reused, so there is a limit to their reuse during outdoor activities. Additionally, the contents (e.g., beverages, water) stored in the tumbler are inevitably limited to one type. In addition, because th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is weaker than that of a dedicated thermos,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tumbler decreases over time, making it difficult for users to drink the content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따라서, 재사용이 편리하고 세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내용물을 적합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텀블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tumbler with a new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for reuse, can be cleaned efficiently, and can appropriately store various contents.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0684호(공개일자: 2019.08.02.)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0684 (Publication date: 2019.08.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첫째, 두 개의 용기(제1 용기 및 제2 용기)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을 수평으로 분리하는 내부용기(오링과 양방향 주머니)를 구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저장공간이 형성된 텀블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First, an inner container (O-ring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umbler with two physically separated storage spaces (two-way pockets).

둘째, 본 발명은 상기 텀블러의 내부용기인 양방향 주머니를 양방향(상부방향 및 하부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purpose in implementing the two-way pocket,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of the tumbler, so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convex structure in either direction (upper direction and lower direction).

셋째, 본 발명은 상기 텀블러의 내부용기인 양방향 주머니의 볼록한 구조 외부면에 형성된 저장공간에 보온기능 향상을 위한 보온용 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Third,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to be stored in a storage sp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structure of the two-way pocket,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of the tumbler.

넷째, 본 발명은 상기 텀블러의 내부용기인 양방향 주머니를 다층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다층구조가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가지도록 구현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ourth,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two-way pocket,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of the tumbler, into a multi-layer structure, and to implement the multi-layer structure to have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부에 제1 덮개가 결합되며 하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용기; 상부에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와 마주보며 접하고, 하부에 제2 덮개가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와 상기 제2 용기의 제2 개구의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홀부를 고정시키는 밸트 또는 링 구조의 결합부재; 상기 링홀부에 삽입되는 오링 및 상기 오링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되는 양방향 주머니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 또는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용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텀블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ontainer having a first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 second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top to face and contact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bottom; A coupling member having a belt or ring structure that secures a ring hole portion formed along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comprising an O-ring inserted into the ring hole and a two-way bag connected to the O-ring to physically separate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and to be deformed into an upward or downward convex structure; and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formed to cover part or all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or the second container.

이때, 상기 링홀부는,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가 폴딩된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용기의 제2 개구가 폴딩된 제2 가이드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홈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ing ho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in a first guide in which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is folded and a second guid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is folded is coupled to each other. Do it as

또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양방향 주머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저장공간과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양방향 주머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저장공간 중에서, 상기 양방향 주머니의 상기 볼록한 구조 외부면에 형성된 저장공간에는 보온용 물질이 보관되며, 상기 보온용 물질은, 가열된 물, 냉각된 물 또는 보온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mong the first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two-way pocket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two-way pocket of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e convex structure of the two-way pocket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s any one of heated water, cooled water, or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또한, 상기 양방향 주머니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접하는 상기 양방향 주머니의 제1 표면층 열전도율과 상기 제2 공간과 접하는 상기 양방향 주머니의 제2 표면층 열전도율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way pocket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irst surface layer of the two-way pocket in contact with the first space is different from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econd surface layer of the two-way pocket in contact with the second space.

또한,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을 중심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용기 또는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덮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are coupled to a central axis so as to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and cover a portion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or the second container.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장치와 구성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chieved by other devices and configura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두 개의 용기(제1 용기 및 제2 용기)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을 수평으로 분리하는 내부용기(오링과 양방향 주머니)를 구비하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세척(설거지)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ince two containers (a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ntain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an inner container (O-ring and a two-way pocket) that horizontally separates the inner space formed, various contents (e.g. , beverages, water) can be stored more efficiently and washing (dishes) is convenient.

둘째, 상기 텀블러의 내부용기인 양방향 주머니를 양방향(상부방향 및 하부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할 수 있어, 텀블러 재사용 시 별도의 세척(설거지) 과정 없이도 양방향(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번갈아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 담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two-way pocket,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of the tumbler, can be transformed into a convex structure in either direction (upper and lower directions), so when reusing the tumbler, it can be used in both directions (upper and lower directions) without a separate washing (dishwashing) proces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conveniently drink the contents (e.g., beverages, water) alternately in different directions.

셋째, 상기 텀블러의 내부용기인 양방향 주머니의 볼록한 구조 외부면에 형성된 저장공간에 보온용 물질(예를 들면, 가열된 물, 냉각된 물 또는 보온재) 을 보관할 수 있어, 상기 텀블러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적정온도의 내용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insulating materials (e.g., heated water, cooled water or insulating material)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structure of the two-way pocket,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of the tumbler,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tumbler an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tent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the user.

넷째, 상기 텀블러의 내부용기인 양방향 주머니를 다층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다층구조가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가지도록 구현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two-way pouch,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of the tumbler, is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the multi-layered structure is implemented to have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various contents to be appropriately stored depending on the storage purpo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제1 용기(100) 및 제2 용기(200)의 수직 단면도(a) 및 조립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수직 단면도(a) 및 정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상부방향 활용(a) 및 하부방향 활용(b)의 예시이다.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 and an assembly view (b)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200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 and a front view (b)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upward use (a) and downward use (b)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and the length, area, thicknes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intention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 the entir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수직 단면도이다.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제1 용기(100) 및 제2 용기(200)의 수직 단면도(a) 및 조립도(b)이다.Figure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 and an assembly view (b)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200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는 제1 용기(100), 제2 용기(200), 내부용기(300), 결합부재(400), 덮개(500) 및 용기커버(600)를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100, a second container 200, an inner container 300, a coupling member 400, and a cover 500. and a container cover 60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100)는 상부에 제1 덮개(510)가 결합되는 제1 입구(110)와, 하부에는 개방된 구조의 제1 개구(120)가 형성되는 용기일 수 있다.First, the first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let 110 at the top to which the first cover 510 is coupled, and a first opening 120 of an open structure at the bottom. It can be courage.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1 용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는데, 제1 용기(100)의 제1 개구(120) 가장자리부에는 직각(또는 직각에 가까운)으로 한번 또는 두번 이상 폴딩된 제1 가이드(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구적인 안전성을 가지면서도 접속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구조를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개구(120)의 접합면을 따라 반원 형상의 홈(G)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후 설명되는 제2 용기(200)와 결합하여 링형의 링홀부(R)를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iner 100 may be cylindrical or similar in shape as shown, and once at a right angle (or close to a right angle) at the edge of the first opening 120 of the first container 100. Alternatively, the first guide 130 may be formed to be folded more than twice.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shape of a 'ㄷ' a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known structures that can secure the connection area while maintaining mechanical safety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t this time, a semicircular groove (G) may be formed along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120,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contain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ring-shaped ring hole portion (R). there i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200)는 하부에 제2 덮개(520)가 결합되는 제2 입구(210)와, 상부에는 개방된 구조의 제2 개구(220)가 형성되는 용기일 수 있다.Next, the second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inlet 210 at the bottom to which the second cover 520 is coupled, and a second opening 220 of an open structure at the top. It may be a container that is 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2 용기(200)는 상부에 제2 개구(220)가 형성되어 제1 용기(100)의 제1 개구(120)와 마주보며 접하고, 하부에는 제2 덮개(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는데, 제2 용기(200)의 제2 개구(220) 가장자리부에는 직각(또는 직각에 가까운)으로 한번 또는 두번 이상 폴딩된 제2 가이드(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구적인 안전성을 가지면서도 접속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구조를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개구(220)의 접합면을 따라 반원 형상의 홈(G)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되는 제1 용기(100)와 마주보며 결합하여 링형의 링홀부(R)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링홀부(R)는 제1 용기(100)의 제1 개구(120)가 폴딩된 제1 가이드(130)와, 제2 용기(200)의 제2 개구(220)가 폴딩된 제2 가이드(230)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홈(C)이 서로 결합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is second container 200 has a second opening 220 formed at the top to face and contact the first opening 120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a second cover 220 at the bottom. can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iner 200 may have a cylindrical or similar shape as shown, and the edge of the second opening 220 of the second container 200 is formed at a right angle (or close to a right angle) once or twice or more. A folded second guide 230 may be formed.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shape of a 'ㄷ' a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known structures that can secure the connection area while maintaining mechanical safety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t this time, a semicircular groove (G) may be formed along the joint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220, which faces and combines with the first container 100 described above to form a ring-shaped ring hole portion (R). can be formed. That is, the ring hole portion (R) includes a first guide 130 in which the first opening 120 of the first container 100 is folded, and a guide 130 in which the second opening 220 of the second container 200 is folded. The semicircular grooves C formed in each of the two guides 23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300)는 링홀부(R)에 삽입되는 오링(310) 및 상기 오링(310)과 연결되어 제1 용기(100)와 제2 용기(20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되는 양방향 주머니(320)를 포함하는 용기일 수 있다.Next, the inner contain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ring 310 inserted into the ring hole portion (R) and the O-ring 310 to form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200. ) may be a container including a two-way bag 320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and deformed into a convex structure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내부용기(300)는 두 개의 용기(제1 용기 및 제2 용기)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을 수평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저장공간인 제1 저장공간(140)과 제2 저장공간(2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오링(310)은 제1, 제2 용기(100, 200)와 양방향 주머니(320) 사이를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실리콘 재질의 고무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홀부(R)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저장공간(140)과 제2 저장공간(240)에 보관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is internal container 300 can horizontally separate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combining two containers (a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ntainer), with the first storage space being two physically separated storage spaces. A space 140 and a second storage space 24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O-ring 31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sea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0 and 200 and the two-way bag 320.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ubber ring made of silicone. It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ring hole (R) to prevent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40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24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이러한 내부용기(300) 중에서 양방향 주머니(320)는, 상기 양방향(상부방향 및 하부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주머니처럼 볼록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머니처럼 일방향(상부방향)으로 볼록하여 안에 내용물을 담아 음용하다가, 재사용을 위하여 뒤집어서 반대방향(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하여 다른 내용물을 담아 음용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른 재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양방향 주머니(320)가 변형되는 방식은 내용물의 중량 또는 공기를 불어 넣는 방식일 수 있으나, 다른 기구적인 원리에 의해 볼록한 형태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mong these internal containers 300, the two-way pocket 320 can be deformed into a convex structure in any one of the two directions (upward direction and downward direction). For example, it is made of silicone material and has a convex shape like a pock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convex in one direction (upward direction) like a bag and is consumed with the contents inside, then turned over for reuse and transformed to be convex in the opposite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to make it convex in the opposite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If the contents can be contained and consumed, other known materials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At this time, the method of deforming the two-way bag 320 may be by blowing the weight of the contents or air, but the direction of the convex shape can also be controlled by other mechanical principles.

또한, 양방향 주머니(320)는 볼록한 구조 외부면에 형성된 저장공간[제1 저장공간(140) 또는 제2 저장공간(240)]에 보온기능 향상을 위한 보온용 물질이 보관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보온용 물질은 가열된 물, 냉각된 물 또는 보온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way pocket 320 may store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in a storage space (first storage space 140 or second storage space 24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structure, for example. For example, the insulation material may be any one of heated water, cooled water, or an insulation material.

또한, 양방향 주머니(320)는 다층구조(적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다층구조는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저장공간(140)과 접하는 양방향 주머니(320)의 제1 표면층(미도시됨) 열전도율과 상기 제2 저장공간(240)과 접하는 양방향 주머니(320)의 제2 표면층(미도시됨) 열전도율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하여, 제1 저장공간(140)에 보관되는 내용물과 제2 저장공간(240)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냉각 보온성이 필요한 경우, 제1 표면층(미도시됨)과 제2 표면층(미도시됨) 중에서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층과 접하는 저장공간 내에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열 보온성이 필요할 경우, 제1 표면층(미도시됨)과 제2 표면층(미도시됨) 중에서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층과 접하는 저장공간 내에 보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wo-way pocket 320 can be formed as a multi-layer structure (laminated structure), and the multi-layer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to have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For exampl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irst surface layer (not shown) of the two-way bag 320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rage space 140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of the two-way bag 320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rage space 240 ( (not shown)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so that when cooling and thermal insulation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40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240, the first surface layer ( It can be stored in a storage spac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not shown)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not shown), which has a relatively high thermal conductivity. Conversely, when heat retention is required, it can be stored in a storage spac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with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among the first surface layer (not shown) and the second surface layer (not show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400)는 제1 용기(100)의 제1 개구(120)와 제2 용기(200)의 제2 개구(220)의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홀부(R)를 고정시키는 밸트 또는 링 구조의 결합수단일 수 있다.Next, the coupling memb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120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pening 220 of the second container 200. It may be a coupling means of a belt or ring structure that secures the ring hole portion (R).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결합부재(400)는 제1, 제2 용기(100, 200)의 가장자리부에는 직각(또는 직각에 가까운)으로 한번 또는 두번 이상 폴딩된 제1, 2 가이드(130, 230)를 고정시키는 밸트 또는 링 구조의 결합수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홀부(R)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링홀부(R)와 결합부재(400)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구조, 후크 체결 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se coupling members 400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s 130 and 230 folded at right angles (or close to right angles) once or twice 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0 and 200. It may be a coupling means of a belt or ring structure that secures the. Therefore, the function of fixing the ring hole portion (R) formed along the joint surfac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ring hole portion (R) and the coupling member 400 may be fixed by screws, b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known coupling methods such as sliding structure and hook fastening structure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이러한 결합부재(400)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제2 용기(100, 200)의 기구적인 결합성을 강화시키고,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텀블러 세척 시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is coupling member 400 strengthens the mechanical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asy to couple and separate, so a convenient effect can be expected when washing the tumbl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500)는 제1 용기(100) 상부의 제1 입구(110)와 결합하는 제1 덮개(510) 및 제2 용기(200) 하부의 제2 입구(210)와 결합하는 제2 덮개(520)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v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ver 510 coupled to the first inlet 110 at the top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a second cover 510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200.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cover 520 coupled to the inlet 210.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덮개(500)는 내부용기(30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저장공간인 제1 저장공간(140)과 제2 저장공간(240)에 보관되는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보관하거나 마시기 위한 통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차에 따라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뚜껑 구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덮개 개폐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is cover 500 stores contents (e.g.,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a passage for storing or drinking (beverage, water). For example, it may be a lid structure that opens and closes by rotating according to a ste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known li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an include all.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커버(600)는 결합부재(400)와 결합되어 제1 용기(100) 또는 제2 용기(200) 중 어느 하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일 수 있다. Lastly, the container cov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formed to cover part or all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100 or the second container 200 by combining with the coupling member 400. It can be.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용기커버(600)는 제1 용기(100) 또는 제2 용기(2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용기(100, 200) 내부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보온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커버(600)의 밑면은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텀블러를 세울 수 있는 바닥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is container cover 600 performs the function of physically protecting the first container 100 or the second container 200 and simultaneously enhancing the heat insulation of the contents stored inside the containers 100 and 200. You may.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600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and can be used as a floor on which the two-way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rected.

한편, 용기커버(600)를 결합부재(400)에 결합하는 방식인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재(400)의 양측을 중심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180도)하며 제1 용기(100) 또는 제2 용기(200)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덮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번거로운 삽입과 분리과정 없이도 반복적인 회전(180도)만으로도 편리하게 용기커버(600)의 위치를 제1 용기(100) 또는 제2 용기(200)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sertion and separation may be possible using a sliding structure that couples the container cover 600 to the coupling member 4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400 are coupled to the central axis, It rotates (180 degrees) about the central axis and may be coupled to cover a portion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100 or the second container 200.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cover 600 can be conveniently moved to the first container 100 or the second container 200 just by repeated rotation (180 degrees) without cumbersome insertion and separation proces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를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로 용기(C: 100, 200, 300, 400), 덮개(500: 510, 520) 및 용기커버(600)를 포함하며 구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용기커버(600)가 제2 용기(200)를 덮으며 바닥에 세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용기(100)의 제1 덮개(510)를 열고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담으면, 제1 용기(100)에 형성된 제1 저장공간(140)에 상기 내용물이 보관되어 텀블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a front view of the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een from the outside, showing a container (C: 100, 200, 300, 400), a cover (500: 510, 520), and a container cover (600). ) and you can check the configuration. At this time, since the container cover 600 covers the second container 200 and is standing on the floor, open the first cover 510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remove the contents (e.g., beverage, water). When contained,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40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100 and can be consumed convenient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umbler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는 다른 실시예를 추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will be added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다른 실시 예Another embodiment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양방향 텀블러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양방향 텀블러의 내부용기(300: 310, 320) 및 용기커버(60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실시 예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비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방향 텀블러가 뒤집힌 상태로 도시하였음을 확인한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e will look at other embodiments of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two-way tumbl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inner container (300: 310, 320) and the container cover (600) of the two-way tumbler, and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with the embodiments referring to FIGS. 1 and 2. do. Additionally, for convenience of comparative explan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two-way tumbler is shown upside dow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수직 단면도(a) 및 정면도(b)이다.Figure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 and a front view (b)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의 (a)를 살펴보면, 상부에 제1 덮개(510)가 결합되며 하부에 제1 개구(120)가 형성된 제1 용기(100), 상부에 제2 개구(220)가 형성되어 제1 용기(100)의 제1 개구(120)와 마주보며 접하고 하부에 제2 덮개(520)가 결합되는 제2 용기(200), 제1 용기(100)의 제1 개구(120)와 상기 제2 용기(200)의 제2 개구(220)의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홀부(R)를 고정시키는 밸트 또는 링 구조의 결합부재(400), 링홀부(R)에 삽입되는 오링(310) 및 상기 오링(310)과 연결되어 제1 용기(100)와 제2 용기(20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되는 양방향 주머니(320)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내부용기(300), 결합부재(400)와 결합되어 제1 용기(1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용기커버(600)를 포함하는 양방향 텀블러가 도시되어 있다.First, looking at (a) of FIG. 4, a first container 100 is formed in which a first cover 5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first opening 1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2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1 A second container 200 that faces and touches the first opening 120 of the container 100 and has a second cover 520 coupled to the bottom, the first opening 120 of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200. 2 A coupling member 400 of a belt or ring structure that secures the ring hole portion (R) formed along the joint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220 of the container 200, and an O-ring 310 inserted into the ring hole portion (R) And an inner container 300 that is connected to the O-ring 310 and includes a two-way pocket 320 that physically separates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200 and is deformed into an upwardly convex structure. , a two-way tumbler is shown including a container cover 600 coupled to a coupling member 400 and formed to cover part or all of the first container 100.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는 내부용기(300: 310, 320)인 양방향 주머니(320)가 제1 용기(100)인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용기(100)와 상기 내부용기(300)의 양방향 주머니(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저장공간(140)과, 제2 용기(200)와 상기 내부용기(300)의 양방향 주머니(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저장공간(240) 중에서, 제2 저장공간(240)에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커버(600)는 제1 용기(100)를 덮도록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2 덮개(520)를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two-way tumb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way bag 320,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300: 310, 320), is modified into a structure that is convex upward, which is the first container 100, so that the first container A first storage space 140 formed between 100 and the two-way pocket 320 of the inner container 300, and a second storage space 140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tainer 200 and the two-way pocket 320 of the inner container 300. Among the formed second storage spaces 240, contents (eg, beverages, water) can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240. Accordingly, the container cover 600 can be combined to cover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second cover 520 to use it.

다음으로, 도 4의 (b)를 살펴보면, 외부에서 바라본 용기(C: 100, 200, 300, 400), 제2 덮개(520) 및 용기커버(600)를 포함하며 구성된 양방향 텀블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용기커버(600)가 제1 용기(100)를 덮으며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 방향인 제2 용기(200)의 제2 덮개(520)를 열고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담으면, 제2 용기(200)에 형성된 제2 저장공간(240)에 상기 내용물이 보관되어 텀블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다.Next, looking at (b) of Figure 4, you can see the appearance of the two-way tumbler consisting of the container (C: 100, 200, 300, 400), the second cover 520, and the container cover 600 as seen from the outside. You can. At this time, since the container cover 600 covers the first container 100 and can stand on the floor, open the second cover 520 of the second container 200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pour the contents (e.g., When the tumbler user (beverage, water)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240 formed in the second container 200, the contents can be conveniently consum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umbler user.

한편, 도 1, 2와의 비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방향 텀블러가 뒤집힌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용기커버(600)가 아래로 위치하며 제2 덮개(520)가 위로 위치하게 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Meanwhile, for the convenience of comparison with FIGS. 1 and 2, the two-way tumbler is shown in an inverted state. However, it will be obvious that in actual use, the container cover 600 is positioned downward and the second cover 520 is positioned upward. .

양방향 텀블러의 활용 예시Example of using a two-way tumbler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양방향 텀블러를 활용하는 예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we will look at an example of utilizing the two-way tumbl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텀블러의 상부방향 활용(a) 및 하부방향 활용(b)의 예시이다.Figure 5 is an example of upward use (a) and downward use (b) of a two-way tumb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두 개의 용기[제1 용기(100) 및 제2 용기(200)]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을 수평으로 분리하는 내부용기[300, 오링(310)과 양방향 주머니(320)]를 구비하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세척(설거지)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First, looking at FIG. 5, an inner container [300, an O-ring 310, and a two-way pocket 320] horizontally separates the inner space formed by combining two containers [the first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ainer 200]. )],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tore various contents (e.g., beverages, water) more efficiently and making washing (dishes) convenient.

또한, 내부용기(300)인 양방향 주머니(320)를 양방향(상부방향 및 하부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할 수 있어 도 5의 (a)와 같이, 양방향 주머니(320)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될 경우, 반대방향인 제1 용기(100) 측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일 예로,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다. 이어서, 도 5의 (B)와 같이 텀블러 재사용 시에는 별도의 세척(설거지) 과정 없이도 양방향 주머니(320)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양방향(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번갈아 내용물(예를 들면, 음료, 물) 담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wo-way bag 320, which is the inner container 300, can be transformed into a convex structure in either direction (upper and lower directions), so as shown in (a) of Figure 5, the lower part of the two-way bag 320 When transformed into a convex structure in the direction, for example, a beverage can be placed and consum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Subsequently, as shown in (B) of FIG. 5, when reusing the tumbler, the two-way bag 320 can be used by deforming it into a convex structure in the upper direction without a separate washing (dishwashing) process, so it can be used alternately in both directions (upper and lower direction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contents (e.g. beverage, water) to be conveniently consumed.

이때, 용기커버(600)는 양방향 주머니(320)의 볼록한 구조와 반대방향인 제1 용기(100) 또는 제2 용기(2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용기(100, 200) 내부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보온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커버(600)의 밑면은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텀블러를 세울 수 있는 바닥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와의 비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방향 텀블러가 뒤집힌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용기커버(600)가 아래로 위치하며 제2 덮개(520)가 위로 위치하게 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cover 600 physically protects the first container 100 or the second container 2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x structure of the two-way bag 320 and at the same time stores the container cover 600 inside the containers 100 and 200. It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warmth of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600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and can be used as a floor on which the two-way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rected. Meanwhile, for the convenience of comparison with (A) in Figure 5, the two-way tumbler is shown in an inverted state, but it is obvious that in actual use, the container cover 600 is positioned downward and the second cover 520 is positioned upward. something to do.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is does not mean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ased on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later-described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will say they do it.

100(110, 120, 130, 140): 제1 용기
110: 제1 입구, 120: 제1 개구, 130: 제1 가이드, 140: 제1 저장공간
200(210, 220, 230, 240): 제2 용기
210: 제2 입구, 220: 제2 개구, 230: 제2 가이드, 240: 제2 저장공간
300(310, 320): 내부용기, 310: 오링, 320: 양방향 주머니
400: 결합부재
500(510, 520): 덮개(500), 510: 제1 덮개, 520: 제2 덮개
600: 용기커버
R: 링홀부
100 (110, 120, 130, 140): 1st container
110: first entrance, 120: first opening, 130: first guide, 140: first storage space
200 (210, 220, 230, 240): 2nd container
210: second inlet, 220: second opening, 230: second guide, 240: second storage space
300 (310, 320): inner container, 310: O-ring, 320: two-way pocket
400: Coupling member
500 (510, 520): cover (500), 510: first cover, 520: second cover
600: Container cover
R: Ring hole part

Claims (5)

상부에 제1 덮개가 결합되며 하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용기;
상부에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와 마주보며 접하고, 하부에 제2 덮개가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와 상기 제2 용기의 제2 개구의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홀부를 고정시키는 밸트 또는 링 구조의 결합부재;
상기 링홀부에 삽입되는 오링 및 상기 오링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변형되는 양방향 주머니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내부용기 -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양방향 주머니 사이에 제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양방향 주머니 사이에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됨 -; 및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 또는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된 용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홀부는, 상기 제1 용기의 제1 개구가 폴딩된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용기의 제2 개구가 폴딩된 제2 가이드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홈이 서로 결합된 것이고, 상기 제1 가이드의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홈에 각각 상기 오링이 결합되고, 상기 오링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양방향 주머니가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양방향 주머니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접하는 상기 양방향 주머니의 제1 표면층 열전도율과 상기 제2 저장공간과 접하는 상기 양방향 주머니의 제2 표면층 열전도율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텀블러.
A first container having a first cover coupled to the top and 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a second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top to face and contact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bottom;
A coupling member having a belt or ring structure that secures a ring hole portion formed along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comprising an O-ring inserted into the ring hole and a two-way bag connected to the O-ring to physically separate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and deform into a convex structure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 the first container 1. A first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wo-way pocket of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nd a second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two-way pocket of the inner container -; and
It includes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formed to cover part or all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or the second container,
The ring hole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semicircular grooves formed in a first guide in which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is folded and a second guid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is folded, and the first guide The O-ring is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econd guide, respectively, and the two-way bag extending from the O-ring extends through the first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to provide the inner container,
The two-way bag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irst surface layer of the two-way bag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rage space is different from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econd surface layer of the two-way bag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rage space.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주머니의 상기 볼록한 구조의 외부면에 형성된 저장공간에는 보온용 물질이 보관되며,
상기 보온용 물질은, 가열된 물, 냉각된 물 또는 보온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텀블러.
According to paragraph 1,
Insulating material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structure of the two-way pocket,
A two-way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on material is any one of heated water, cooled water, or an insulation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을 중심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용기 또는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덮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텀블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ainer cover is,
A two-way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are coupled to a central ax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and are coupled to cover a portion of either the first container or the second container.
KR1020210146916A 2021-10-29 2021-10-29 Two-way tumbler KR102599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16A KR102599796B1 (en) 2021-10-29 2021-10-29 Two-way tumb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16A KR102599796B1 (en) 2021-10-29 2021-10-29 Two-way tumb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48A KR20230062048A (en) 2023-05-09
KR102599796B1 true KR102599796B1 (en) 2023-11-08

Family

ID=864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916A KR102599796B1 (en) 2021-10-29 2021-10-29 Two-way tumb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7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69A (en) * 2007-08-31 2009-03-19 Yoshino Kogyosho Co Ltd Portable container holder
KR101530907B1 (en) * 2014-12-26 2015-06-23 이충호 A liquid container
JP2019218326A (en)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ダイゾー Discharge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458A (en) * 1996-03-29 1997-10-14 Sumitomo Sitix Corp Wafer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KR20190090684A (en) 2018-08-08 2019-08-02 김병열 Separate Tumb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69A (en) * 2007-08-31 2009-03-19 Yoshino Kogyosho Co Ltd Portable container holder
KR101530907B1 (en) * 2014-12-26 2015-06-23 이충호 A liquid container
JP2019218326A (en)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ダイゾー Discharge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48A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3473C (en) Container with cover and closure reinforcement
AU2004216674B2 (en) Container with cover
US20040028296A1 (en) Isothermal pocket bag for bottles and foodstuffs
AU2002215197A1 (en) Isothermal bag for bottles and foodstuffs
US20050279751A1 (en) Kangaroo Koozie
TWM411186U (en) Thermal insulated cup sleeve with containing bag
US20150096995A1 (en) System for Maintaining Beverage Temperature
KR102599796B1 (en) Two-way tumbler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TWM560449U (en) Cup with automatic straw
TWM452728U (en) Hot-cold ice cup improvement
KR20090115349A (en) Cool drink vessel for take out
KR101302419B1 (en) Cup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CN110053877A (en) Portable heat-insulation box and its application
CN206472987U (en) A kind of lunch box
AU2012216548B2 (en) Container with cover
US20200354136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CN205866537U (en) Layering drinking cup that stretches out and draws back
KR102480655B1 (en) Straw Tumbler
CN209202682U (en) A kind of cup
US20220144502A1 (en) Portable Cooler
KR102598773B1 (en) cold chain insulated bag
CN209498989U (en) A kind of novel portable is spoken out of turn bottle
JP2021109674A (en) Beverage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