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39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391B1
KR102599391B1 KR1020220045774A KR20220045774A KR102599391B1 KR 102599391 B1 KR102599391 B1 KR 102599391B1 KR 1020220045774 A KR1020220045774 A KR 1020220045774A KR 20220045774 A KR20220045774 A KR 20220045774A KR 102599391 B1 KR102599391 B1 KR 10259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tifact
cross
line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6848A (en
Inventor
이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럿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럿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럿펀트
Priority to KR102022004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391B1/en
Priority to JP2022080124A priority patent/JP7393818B2/en
Publication of KR2023014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3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원본 유물의 3D 스캐닝을 통해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3D 스캔부;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영역 분할을 수행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분할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2D 유물 영상을 획득하고 외곽선(윤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하는 라인 검출부;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위치에서의 두께와 길이의 값을 치수값으로 측정하는 치수 측정부; 및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추출된 상기 외곽선 또는 단면선을 정합하고 지정된 위치의 형상과 두께와 길이를 변형시켜 조정하여 상기 원본 유물의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 생성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rawing of an artifact based on 3D scan data, the device comprising: a 3D scanning unit that acquires 3D data through 3D scanning of an original artifact; a region division unit that performs region division on the 3D data based on a user-defined viewpoint vector and cutting plane; A line detection unit that acquires a 2D artifact image based on area information divided from the 3D data and extracts an outline and a cross-sectional line; a dimension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ickness and length values at a designated location of the 3D data as dimension values; and a drawing generator that generates a drawing of the original artifact by matching the outline or section line extracted from the 3D data and modifying and adjusting the shap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designated location.

Description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본 발명은 유물 도면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물의 3D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크기, 형상 및 표면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디지털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fact drawing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generate digital drawing data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size, shape, and surface of the artifact based on 3D scan data of the artifact. It's about.

문화재(이하, '유물' 이라 한다)는 먼 선대의 조상이 만들어 사용하던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현재에 발견 또는 발굴한 것이며 조상이 생활하던 환경, 문화 등을 추측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매우 귀중한 물건이다.Cultural asse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lics') are various types of items made and used by our distant ancestors that have been discovered or excavated in the present, and are very valuable and have historical value that can provide insight into the environment and culture in which our ancestors lived. It's a thing.

이러한 유물은 현재까지 남아 있는 숫자와 종류가 비교적 많이 희박하므로 그 역사적 가치와 귀중성 및 희소성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높이 평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조상의 생활방식과 지혜와 경험 등을 유추하고 필요한 연구와 학습 등을 진행하기 위하여는 해당 유물의 보존, 복원, 재생 등이 비교적 중요하며, 유물의 보존과 복원을 위하여는 첫째로 외형적 형상과 각 부분의 치수 확인 그리고 확인된 결과를 기록하는 도면화 작업이 비교적 매우 중요하다.Since the number and type of these relics remaining to this day are relatively rare, their historical value, preciousness, and rarity are generally evaluated more highly over time, and the lifestyle, wisdom, and experience of our ancestors can be inferred, and necessary research and In order to proceed with learning,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relevant relics are relatively important. To preserve and restore the relics, first, confirm the external shape and dimensions of each part and draw the confirmed results. This is comparatively very important.

즉, 유물의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종교적 가치는 물론이고 그 희소성 때문에 진품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보존, 복원, 연구, 전시 등을 추진하기 위하여 복제를 할 수 있어야 하고, 복제를 위하여는 외부 형상과 각 부분의 치수를 확인(측량)하고 도면화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In other words, due to the historical, cultural, artistic, and religious value of the relic, as well as its scarcity, it must be possible to reproduce it in order to promote conservation, restor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original.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check (measure) the dimensions of the part and draw it up.

귀중하고 희소성 있는 유물을 도면화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는 유물을 특정 테이블에 다양한 방식으로 정렬 고정 설치한 후 육안으로 관측하여 굴곡도가 포함되는 외부 형상을 직접 손으로 그리면서 도면화하고 캘리퍼스와 디바이더 등의 다양한 계측도구를 이용하여 각 부분의 두께와 길이의 치수를 각각 측정한 후 도면에 해당 외형, 치수, 단면을 각각 기재하는 방식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or drawing valuable and rare artifacts is to arrange and fix the artifacts on a specific table in various ways, observe them with the naked eye, and draw and draw the external shape, including the curvature, by hand. This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thickness and length of each part using various measuring tools such as calipers and dividers, and then recording the corresponding outline, dimensions, and cross-section on the drawing.

이러한 종래기술은 일부분이 파손되어 온전하지 못한 유물을 정렬하기 어렵고 도면화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의한 유물의 도면화에 있어서 정확도와 시간 그리고 정밀도 등에 비교적 큰 차이가 있게 된다.In this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align artifacts that are partially damaged and incomplete, and there is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in accuracy, time, and precision in drawing artifact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drawing operator.

따라서 숙련되지 않은 보통의 작업자인 경우에도 유물의 외형과 각 부분의 치수에 대한 측량과 도면화를 비교적 정확하며 정밀하게 작업하되 쉽게 진행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even for ordinary, unskilled work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iques to measure and draw the external appearance of artifacts and the dimensions of each part in a relatively accurate and precise but easy manner.

또한, 입체적 유물의 원형을 보존하고 파손하지 않으면서 정렬된 상태로 설치하여 각 부분의 두께와 치수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외부 형상과 각 부분의 치수를 비숙련자가 쉽고 빠르게 측량하고 형상을 도면화 하며 도면화 과정에서의 필요한 부분에 대한 형상 등을 수작업으로 직접 보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by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of the three-dimensional artifact and installing it in an aligned state without damaging it, an unskilled person can quickly and easily measure the overall external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and dimensions of each part, and the dimensions of each part, draw the shape, and draw the drawing.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that can manually reinforce the shape of necessary parts during the painting process.

한국 등록특허 제10-1296129호 (2013. 08. 05.)Korean Patent No. 10-1296129 (2013. 08. 05.) 한국 등록특허 제10-1968991호 (2019. 04. 09.)Korean Patent No. 10-1968991 (2019. 04. 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물의 3D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크기, 형상 및 표면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디지털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generate digital drawing data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size, shape, and surface of the artifact based on 3D scan data of the artif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물의 3D 스캔 데이터에 대해 세이딩(shading) 연산을 수행하여 형상 정보 및 표면의 요철 정보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that can clearly display shape information and surface irregularity information by performing a shading operation on the 3D scan data of the artifac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X-ray 렌더링을 통해 유물에 있는 투창 영역의 윤곽선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유물 도면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improve artifact drawing performance by accurately detecting the outline of the javelin area in the artifact through X-ray rende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는 원본 유물의 3D 스캐닝을 통해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3D 스캔부;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영역 분할을 수행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분할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2D 유물 영상을 획득하고 외곽선(윤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하는 라인 검출부;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위치에서의 두께와 길이의 값을 치수값으로 측정하는 치수 측정부; 및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추출된 상기 외곽선 또는 단면선을 정합하고 지정된 위치의 형상과 두께와 길이를 변형시켜 조정하여 상기 원본 유물의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 생성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scanning unit that acquires 3D data through 3D scanning of an original artifact; a region division unit that performs region division on the 3D data based on a user-defined viewpoint vector and cutting plane; A line detection unit that acquires a 2D artifact image based on area information divided from the 3D data and extracts an outline and a cross-sectional line; a dimension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ickness and length values at a designated location of the 3D data as dimension values; and a drawing generator that generates a drawing of the original artifact by matching the outline or section line extracted from the 3D data and modifying and adjusting the shap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designated location.

상기 3D 스캔부는 스캐너를 통해 상기 원본 유물을 3D 스캔 촬영한 후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상기 3D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3D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평면 또는 수평선 상에 해당 바닥면이 일치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가로 또는 세로 회전시켜 정렬할 수 있다.The 3D scanning unit obtains the 3D data by performing 3D modeling after 3D scanning the original artifact through a scanner, and positions the 3D data with the floor surface aligned with the plane or horizontal line set by the user. You can align them by rotating them horizontally or vertically.

상기 3D 스캔부는 정렬 시 -180°에서 180°까지 회전 각도 조절하고, ±0.1°, ±1°, ±5°, ±90° 단위로 회전 각도 선택할 수 있다.The 3D scan unit adjusts the rotation angle from -180° to 180° when aligned, and the rotation angle can be selected in ±0.1°, ±1°, ±5°, and ±90° increments.

상기 영역 분할부는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3D 데이터를 입체영역 또는 평면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The area dividing unit may divide the 3D data into a three-dimensional area or a planar area based on a user-defined viewpoint vector and cutting plane.

상기 라인 추출부는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중심선 위치에서의 2D SVG 외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할 수 있다.The line extractor may extract 2D SVG outlines and cross-section lines at a designated center line location for the 3D data.

상기 도면 생성부는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세이딩 연산을 수행하여 유물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보를 분석하고 유물 도면에 적용시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drawing generator may perform a shading operation on the 3D data to analyze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relic and apply it to the relic drawing to provide visualization.

상기 도면 생성부는 상기 3D 데이터를 X-ray 렌더링하여 뷰(view)방향을 기준으로 보이지 않는 내부 투창 기울기를 산출하여 투창을 가시화할 수 있다.The drawing generator may X-ray render the 3D data and visualize the javelin by calculating an invisible internal javelin tilt based on the view direction.

실시예들 중에서,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방법은 원본 유물의 3D 스캐닝을 수행하여 3D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3D 데이터를 회전시켜 정렬하는 3D 스캔 단계;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사용하여 정렬된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유물 영역 분할을 수행하여 도면화 작업에 필요한 입면과 단면을 얻는 영역 분할 단계; SVG 포맷 변환을 통해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중심선에서의 2D 외곽선 이미지 및 2D 단면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라인 추출 단계;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위치에서의 높이, 너비, 두께를 치수값으로 측정하는 치수 측정 단계; 및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추출한 2D 외곽선 이미지와 2D 단면선 이미지를 정합하여 유물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Among embodiments, a method for generating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includes a 3D scanning step of acquiring 3D data by performing 3D scanning of an original artifact and rotating and aligning the obtained 3D data; A region division step of performing artifact region division on the aligned 3D data using a viewpoint vector and a cutting plane to obtain elevations and cross sections required for drawing work; A lin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2D outline image and a 2D cross-sectional line image from a designated center line of the 3D data through SVG format conversion; A dimension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height, width, and thickness at a designated location for the 3D data as dimension values; and a drawing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rawing of the artifact by matching the 2D outline image and the 2D cross-sectional 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designated center line of the 3D data.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유물의 3D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크기, 형상 및 표면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디지털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digital drawing data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size, shape, and surface based on the 3D scan data of the artif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유물의 3D 스캔 데이터에 대해 세이딩(shading) 연산을 수행하여 형상 정보 및 표면의 요철 정보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rly display shape information and surface irregularity information by performing a shading operation on the 3D scan data of the artif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X-ray 렌더링을 통해 유물에 있는 투창 영역의 윤곽선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유물 도면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rtifact drawing performance by accurately detecting the outline of the javelin area in the artifact through X-ray render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일반적인 작업자가 희소성 있는 귀중한 유물을 파손 또는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3D 스캔하고 스캔된 이미지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정렬하며 유물의 전체 외형적 윤곽과 필요한 각 부분의 크기, 두께, 단면의 치수를 매우 정확하며 정밀하게 측정하고 도면화하여 유물의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기록 보존하며 파손된 유물의 경우는 원래 상태로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3D scan data-based relic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 typical worker to 3D scan a rare and valuable relic without damaging or damaging it, freely move and align the scanned image, and create the overall external outline and outline of the relic. By measuring and drawing the size, thickness, and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each necessary part very accurately and precisely, the shape of the relic can be accurately confirmed and recorded, and in the case of damaged relics, it can be accurate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물 도면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물 도면 생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유물 도면 생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물 도면 생성 장치에서 원본 유물의 도면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물의 도면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정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라인 추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X-ray 렌더링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라인의 정합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of FIG. 1.
Figure 4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process of drawing an original artifact in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rawing process of an artif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3D data align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3D data lin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3D data X-ray rende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cess of matching lines extracted from 3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 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pecified, events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물 도면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시스템(100)은 원본 유물(110), 스캐너(130),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n original artifact 110, a scanner 130, an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150, and a database 170.

원본 유물(110)은 도면 대상물로서, 토기나 기와, 비석, 자기 등의 각종 발굴 유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화가 필요한 다양한 유구와 유물이 포함될 수 있다.The original artifact 110 is a drawing object and may include various excavated artifacts such as pottery, tiles, tombstones, and porcelai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remains and artifacts that require drawing.

스캐너(130)는 원본 유물(110)을 3D로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캐너(130)는 3D 스캐닝 방식을 적용하여 원본 유물(110)에 접촉하지 않고 외부에서 3D 형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캐너(130)는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과 달리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스캐너(130)는 원본 유물 생성 장치(150)를 구성하는 3D 스캔부(3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canner 130 may obtain scan data by scanning the original artifact 110 in 3D. The scanner 130 can obtain 3D shap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without contacting the original artifact 110 by applying a 3D scanning method. The scann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relic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through a network, and, unlike Figure 1,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relic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In this case, the scanner 130 is an original relic generating device. It can perform the role of the 3D scanning unit 310 constituting (150).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원본 유물(110)의 3D 스캐닝을 통해 획득한 3D 데이터를 도면화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정렬된 데이터를 획득한 후 3D 깊이 기반으로 유물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정보를 바탕으로 2D 사영을 통해 2차원 유물 영상을 획득한 후 윤곽선 검출을 통해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스캐너(130)에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스캐너(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can draw 3D data obtained through 3D scanning of the original artifact 110.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150 acquires sorted data from 3D scan data, divides the artifact area based on 3D depth, acquires a 2D artifact image through 2D projection based on the divided area information, and then performs contour detection. You can create drawings through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canner 13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canner 130 through the network.

데이터베이스(170)는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70)는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유물의 높이, 너비, 두께 등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도구(Measurement Tool)로서 Adobe Illustrator 등의 각종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가 원본 유물(110)을 도면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7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For example, the database 170 is a measurement tool for measuring the height, width, thickness, etc. of artifacts from 3D scan data and can store various programs such as Adobe Illustrato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this. The drawing creation device 150 may store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during the process of drawing the original artifact 110.

도 2는 도 1의 유물 도면 생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210, a memory 230,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프로세서(210)는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can execute a procedure that processes each step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and can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the memory ( 230),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can do.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memory used to store all data required for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150. ,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touch screen, on-screen keyboard, or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case, the artifact drawing creation device 150 may be perform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s or systems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Local Area Network (LAN),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Wide Area Network (WAN), and VAN (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a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도 1의 유물 도면 생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3D 스캔부(310), 영역 분할부(330), 라인 검출부(350), 치수 측정부(370), 도면 생성부(39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includes a 3D scanning unit 310, a region dividing unit 330, a line detecting unit 350, a dimension measuring unit 370, a drawing generating unit 390, and a control unit ( (not shown) may be included.

3D 스캔부(310)는 원본 유물(110)의 3D 스캐닝을 통해 3D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3D 스캔부(310)는 스캐너(130)를 통해 원본 유물(110)을 3D 스캐닝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3D scanning unit 310 may acquire 3D scan data through 3D scanning of the original artifact 110. The 3D scanning unit 310 may acquire 3D scan data by 3D scanning the original artifact 110 through the scanner 130.

3D 스캐닝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레이저나 백색광을 대상물에 투사하여 대상물의 형상정보를 취득, 디지털 정보로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3D scanning can refer to a series of processes that acquire shape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convert it into digital information by projecting a laser or white light onto an object using a 3D scanner.

일 실시예에서, 3D 스캔부(310)는 3D 스캐닝 방식을 적용하여 원본 유물(110)에 접촉하지 않고 외부에서 형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3D 스캔부(310)는 스캐너(130)를 통해 정각 및 정샷 촬영하여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유효데이터 구간이 존재하도록 스캔할 수 있다. 여기에서, 3D 스캔부(310)는 한방향 1회 스캔으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스캐너(130)의 위치를 변경해가며 다중스캔을 실시할 수 있고, 이때 데이터 정합을 위해 오버랩구간이 존재하도록 스캔할 수 있다. 3D 스캔부(310)는 각각의 스캔 데이터를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3D 유물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스캔부(310)는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ld) 데이터로 이루어진 스캔 데이터를 면으로 재구성하여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형성하도록 모델링하여 3차원 유물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3D scanning unit 310 may obtain shap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without contacting the original artifact 110 by applying a 3D scanning method. The 3D scanning unit 310 can scan at the right angle and on the right shot through the scanner 130 to prevent distortion and ensure that a valid data section exists. Here, the 3D scan unit 310 can perform multiple scan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r 130 when data cannot be secured with a single scan in one direction, and at this time, scan so that an overlap section exists for data matching. can do. The 3D scanning unit 310 may generate 3D artifact scan data by performing 3D modeling on each scan data. For example, the 3D scanning unit 310 may acquire 3D artifact scan data by reconstructing scan data consisting of point cloud data into a surface and modeling it to create a visual three-dimensional effect.

일 실시예에서, 3D 스캔부(310)는 3D 스캔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로 가로회전(Rotation) 및 세로회전(Traslation)시켜 올바르게 정렬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3D 스캔부(310)는 원본 유물(110)이 누워 있거나 기울어져 있는 임의 상태로 3D 스캔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평면 또는 수평선 상에 해당 바닥면이 일치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3D 스캔 데이터를 각도 조절하여 회전시켜 정렬할 수 있다. 여기에서, 3D 스캔부(310)는 정렬 시 -180°~180°까지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0.1°, 1°, 5°, 90°단위로 회전 각도 선택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3D scan unit 310 can obtain correctly aligned data b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otating the 3D scan data at various angles. For example, the 3D scanning unit 310 stores 3D scanned data in a random state in which the original artifact 110 is lying or tilt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aligned with the plane or horizontal line set by the user. You can adjust the angle and rotate it to align it. Here, the 3D scan unit 310 can adjust the rotation angle from -180° to 180° when aligned, and the rotation angle can be selected in increments of 0.1°, 1°, 5°, and 90°.

영역 분할부(330)는 3D 데이터에 대한 영역 분할을 수행하여 유물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역 분할부(330)는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3D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분할부(330)는 3D 데이터를 전면부, 단면부, 후면부의 3가지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영역 분할부(330)는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벡터가 임의의 축상에 존재하고 시점벡터에 수직인 절단면이 존재할 때, 절단면의 좌표를 0이라고 하면, 좌표가 0보다 큰 집합은 전면부, 좌표가 0인 집합은 단면부, 좌표가 0보다 작은 집합은 후면부가 될 수 있다. 각 분할 영역은 입체영역(전면부, 후면부) 혹은 평면영역(단면부)이 된다.The region division unit 330 may divide the artifact region by performing region division on the 3D data. In one embodiment, the region dividing unit 330 may divide 3D data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ased on a user-defined viewpoint vector and cutting plane. For example, the area dividing unit 330 may divide 3D data into three areas: the front part, the cross-section part, and the back part. The area divider 330 operates when a user-defined viewpoint vector exists on an arbitrary axis and a cutting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viewpoint vector exists. If the coordinates of the cutting surface are 0, the set with coordinates greater than 0 is the front part, and the coordinates are 0. The set can be the cross-section part, and the set whose coordinates are less than 0 can be the rear part. Each divided area becomes a three-dimensional area (front, back) or a flat area (cross-section).

라인 추출부(350)는 분할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2D 유물 영상을 획득하고 라인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외곽선(윤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 추출부(350)는 3D 데이터에 대해 stl2svg, svg2png의 포맷 변환을 통해 2D 유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라인 추출부(350)는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중심선 위치에서의 2D SVG 외곽선(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심선은 바운더리 박스라고도 한다.The line extractor 350 may acquire a 2D artifact image based on the divided region information and extract the outline and cross-sectional line using a line extraction algorithm. In one embodiment, the line extractor 350 may acquire a 2D artifact image through format conversion of stl2svg and svg2png for 3D data. The line extractor 350 can extract a 2D SVG outline (outline) at a designated center line location for 3D data. Here, the center line is also called a boundary box.

SVG는 확장 가능한 벡터그래프(Scalable Vector Graphic)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지의 각 화소를 수식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며 해당 이미지를 무한정 확대하는 경우에도 확대된 이미지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반적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VG stands for Scalable Vector Graphic, which is a method of expressing each pixel of an image with a formula. It is known and common that no damage occurs to the enlarged image even if the image is enlarged indefinitely, so no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또한, 라인 추출부(350)는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중심선 위치에서의 2D 단면선 또는 절단면선을 추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ne extractor 350 may extract a 2D section line or a section line at a designated center line location for 3D data.

치수 측정부(370)는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위치에서의 두께와 길이의 값을 치수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수 측정부(370)는 3D 데이터에 대해 Adobe Illustrator 도구(tool)를 활용하여 유물의 크기를 자동 측정하여 기고(높이), 폭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치수 측정부(370)는 2D 유물 영상에 대해 2지점을 지정하여 수치를 확인할 수 있어 유물의 객관적인 수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The dimension measurement unit 370 can measure the thickness and length at a designated location for 3D data as dimension values. In one embodiment, the size measurement unit 370 can automatically measure the size of the artifact using an Adobe Illustrator tool for 3D data and check the height and width values. The dimension measurement unit 370 can determine the numerical value by specifying two points on the 2D artifact image, so that objective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artifact can be determined.

도면 생성부(390)는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위치의 형상과 두께와 길이를 변형시켜 조정하여 원본 유물(110)의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면 생성부(390)는 3D 데이터, 2D 외곽선 및 단면선 데이터에 의한 유물의 외관, 곡선, 굴곡도, 직선, 직선도, 렌더링, 선의 굵기, 면의 질감, 형상, 색상 등을 조정하여 변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 생성부(390)는 3D 데이터를 중심선이 지정한 위치에서의 추출된 2D 외곽선 또는 단면선과 정합하여 도면화할 수 있다. The drawing generator 390 may generate a drawing of the original artifact 110 by modifying and adjusting the shape, thickness, and length of a designated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3D data. That is, the drawing generator 390 adjusts the appearance, curve, curvature, straight line, straightness, rendering, line thickness, surface texture, shape, color, etc. of the artifact based on 3D data, 2D outline, and cross-section line data. It can be transformed. In one embodiment, the drawing generator 390 may create a drawing by matching the 3D data with the extracted 2D outline or section line at the location designated by the center line.

일 실시예에서, 도면 생성부(390)는 3D 데이터에 대한 세이딩 연산을 수행하여 표면 분석하고 유물 도면에 적용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면 생성부(390)는 세이더(Sha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D 데이터를 표면 분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awing generator 390 may perform surface analysis by performing a shading operation on 3D data and apply it to a drawing of an artifact for visualization. Here, the drawing generator 390 can perform surface analysis of 3D data using a shader program.

세이더(Shader)는 3D 컴퓨터 그래픽에서 다양한 시각적 효과(위치, 색상, 텍스쳐, 조명 등)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픽셀의 위치와 색상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Shader is a function that calculates various visual effects (position, color, texture, lighting, etc.) in 3D computer graphics and ultimately calculates the position and color of the pixel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면 생성부(390)는 1차 세이딩 연산을 통해 3D 데이터로부터 표면의 경사에 대한 정보인 그라디언트 맵을 계산할 수 있고, 그라디언트 맵을 통해 곡률(Curvature)을 산출한 후 곡률을 기초로 2차 세이딩 연산을 수행하여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대한 정보인 그레이 맵(Gray Map)을 계산할 수 있다. The drawing generator 390 can calculate a gradient map,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slope of the surface, from 3D data through a first shading operation, calculate the curvature through the gradient map, and then perform a second shading based on the curvature. By performing the ding operation, a gray map,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roughness of the surface, can be calculated.

도면 생성부(390)는 그레이 맵을 기초로 원본 유물(110)의 도면화에 적용하여 유물 표면의 미세한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The drawing generator 390 may apply the gray map to drawing the original artifact 110 to express minute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일 실시예에서, 도면 생성부(390)는 3D 데이터의 내부 제작흔이나 내부 투창 등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정보를 X-ray 렌더링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도면 생성부(390)는 평면 뷰(Top View)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가로축의 정보를 삭제하여 이미지 중첩으로 인한 가시화 방해를 막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awing generator 390 may express information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front, such as internal manufacturing marks or internal javelins of 3D data, through X-ray rendering. The drawing generator 390 can prevent visualization interference due to image overlap by deleting information on the central horizontal axis based on the top view direction.

제어부(미도시)는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3D 스캔부(310), 영역 분할부(330), 라인 추출부(350), 치수 측정부(370) 및 도면 생성부(39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and generates the 3D scanning unit 310, area dividing unit 330, line extracting unit 350, dimension measuring unit 370, and drawing.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units 390 can be manag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물 도면 생성 장치에서 원본 유물의 도면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process of drawing an original artifact in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3D 스캔부(310)를 통해 원본 유물(110)의 3D 스캐닝을 수행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3D 스캔 데이터를 회전시켜 정렬할 수 있다(단계 S410).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영역 분할부(330)를 통해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사용하여 정렬된 3D 데이터에 대한 유물 영역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30). 영역 분할부(330)는 3D 데이터를 전면부, 단면부, 후면부의 3가지 영역으로 분할하여 도면화 작업에 필요한 입면과 단면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performs 3D scanning of the original artifact 110 through the 3D scanning unit 310 to obtain 3D scan data and rotates and aligns the acquired 3D scan data. There is (step S410).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perform artifact region division on the aligned 3D data using the viewpoint vector and the cutting surface through the region dividing unit 330 (step S430). The area division unit 330 divides the 3D data into three areas: front, cross-section, and rear to obtain elevations and cross-sections required for drawing work.

또한,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라인 추출부(350)를 통해 외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할 수 있다(단계 S450). 라인 추출부(350)는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중심선에서의 2D SVG 외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할 수 있다. 라인 추출부(350)는 3D 스캔 데이터에서 라인을 직접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라인은 벡터 타입의 데이터인 SVG 포맷으로 저장되어 정밀도 저하 없이 손쉽게 Adobe Illustrator에서 활용할 수 있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치수 측정부(370)를 통해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위치에서의 높이, 너비, 두께를 치수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extract outlines and cross-section lines through the line extractor 350 (step S450). The line extractor 350 can extract 2D SVG outlines and cross-section lines from a designated center line for 3D data. The line extraction unit 350 can directly extract lines from 3D scan data. The extracted lines are saved in SVG format, which is vector type data, and can be easily used in Adobe Illustrator without loss of precision.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can measure the height, width, and thickness of the 3D data at a designated location as dimension values through the dimension measurement unit 370.

또한,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도면 생성부(390)를 통해 3D 데이터를 대한 지정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추출한 2D 외곽선 이미지와 지정된 중심선 기준으로 추출된 2D 단면선 이미지를 정합하여 유물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90). In addition, the relic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generates a relic drawing by matching the 2D out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designated center line of the 3D data and the 2D cross-section 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designated center line through the drawing generating unit 390. (step S49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물의 도면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rawing process of an artif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a) 3D 스캔 단계, (b) 실측 단계, (c) 파일 포맷 내보내는 단계, (d) 제도 단계의 4단계로 디지털 도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rtifact drawing creation device 150 performs digital drawing work in four steps: (a) 3D scanning step, (b) actual measurement step, (c) file format export step, and (d) drafting step. You can.

도 5의 (a) 3D 스캔 단계는 스캐너(130)를 사용하여 원본 유물(110)을 소정 시간 동안 3D 스캔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캐너(130)는 고정밀도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할 수 있고, 원본 유물(110)의 기형에 따라 다른 스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3D 스캔 촬영 후, 스캔 데이터를 병합(Merge)하여 3D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the 3D scanning step (a) of FIG. 5, the original artifact 110 may be 3D scan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using the scanner 130. Here, the scanner 130 can use a high-precision laser scanner, and different scanning method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deformity of the original artifact 110.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acquire 3D data by merging the scan data after taking a 3D scan.

도 5의 (b) 실측 단계는 실제 방안지 위 유물 배치를 하는 것처럼 동일한 환경에서 3D 데이터를 회전시켜 정렬할 수 있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실제 측점, 바디,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입면과 단면을 그리듯이 정렬된 3D 데이터로부터 라인(Line)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내부 제작흔이나 내부 투창 등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정보에 대해 렌더링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In the actual measurement step (b) in Figure 5, 3D data can be rotated and aligned in the same environment as arranging artifacts on an actual plan sheet. The artifact drawing creation device 150 can acquire line data from 3D data arranged as if drawing an elevation and cross section using actual measuring points, bodies, and calipers. The relic drawing generation device 150 can express information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front, such as internal manufacturing marks or internal javelins, through rendering.

도 5의 (c) 파일 포맷 내보내기(Export File Format) 단계는 SVG 파일의 라인 데이터(벡터 데이터)와 JPG 파일의 고해상도 3D 유물 이미지 데이터를 드래그-앤-드롭(drag-and-drop) 방식으로 일러스트레이터 또는 캐드 등의 프로그램으로 보내어 해당 프로그램에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 file format export step of Figure 5, the line data (vector data) of the SVG file and the high-resolution 3D artifact image data of the JPG file are drawn by drag-and-drop. You can send it to a program such as Later or CAD and have it run in that program.

도 5의 (d) 제도 단계는 사용자가 일러스트레이터 또는 캐드 등의 프로그램 내에서 내선과 제작흔 등을 그린 후 제도 작업을 마무리하여 유물 도면을 완성할 수 있다.In the drafting step (d) of Figure 5, the user can complete the drawing of the relic by drawing extensions and production marks within a program such as Illustrator or CAD and then completing the drafting work.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정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Figure 6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3D data align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유물의 도면화 과정에서 3D 스캔 데이터를 회전시켜 정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렬 과정은 방안지에 유물을 배치하여 바닥면에 닿게 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perform a process of rotating and aligning 3D scan data in the process of drawing an artifact. The alignment process may correspond to the act of arranging artifacts on the plan so that they touch the floor.

도 6에서,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실행 화면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스크롤 바(Scroll Bar)(610), 실행 화면 우측에 마련되는 각도 버튼(Angle Button)(620)들 및 사용자 정의 버튼(630)을 사용하여 3D 데이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스크롤 바(610)는 -180°~180°까지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각도 버튼(Angle Button)(620)들은 ±0.1°, ±1°, ±5°, ±90°로 회전 각도 선택이 가능하며, 사용자 정의 버튼(630)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입력이 가능하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사용자가 설정한 회전 각도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3D 데이터를 회전시켜 유물 이미지를 바닥면에 정렬시킬 수 있다.In FIG. 6,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includes a scroll bar 6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xecution screen, angle buttons 62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execution screen, and a user-defined button ( 630) can be used to rotate 3D data. Here, the scroll bar 610 can adjust the rotation angle from -180° to 180°, and the angle buttons 620 rotate at ±0.1°, ±1°, ±5°, and ±90°. An angle can be selected, and the user definition button 630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desired angle. The relic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align the relic image with the floor surface by rotating the 3D data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set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라인 추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Figure 7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3D data lin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유물의 도면화 과정에서 바닥면에 정렬된 3D 데이터로부터 외곽선 및 단면선 등의 라인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인 추출 과정은 정렬된 3D 데이터 기준으로 절단면을 선택하여 선택한 절단면 위치의 2D 라인 데이터(벡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윗면, 앞면, 우측면 등에서 회전축 조절하여 라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elic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may perform a process of extracting lines such as outlines and cross-section lines from 3D data aligned on the floor surface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relic. The line extraction process selects a cutting surface based on sorted 3D data and extracts 2D line data (vector data) at the selected cutting surface location.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can generate line data by adjusting the rotation axis on the top, front, right side, etc.

도 7에서, (a)는 윗면에서 회전축 조절한 경우의 라인 데이터 추출이고, (b)는 앞면에서 회전축 조절한 경우의 라인 데이터 추출이고, (c)는 우측면에서 회전축 조절한 경우의 라인 데이터 추출이다.In Figure 7, (a) is line data extraction when the rotation axis is adjusted from the top side, (b) is line data extraction when the rotation axis is adjusted from the front side, and (c) is line data extraction when the rotation axis is adjusted from the right side. a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X-ray 렌더링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Figure 8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3D data X-ray rende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유물의 도면화 과정에서 X-ray 렌더링을 통해 3D 데이터에 대한 뷰(view) 방향을 기준으로 보이지 않는 내부 투창 기울기를 산출하여 투창을 가시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relic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calculates the invisible internal javelin tilt based on the view direction of the 3D data through X-ray rendering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relic to visualize the javelin. You ca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라인의 정합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이다.Figure 9 is a screen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cess of matching lines extracted from 3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를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지정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추출된 2D 외곽선 이미지와 지정된 중심선 기준으로 추출된 2D 단면서 이미지를 정합한 이미지를 생성(추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9,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can generate (extract) an image that matches the 2D out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specified center line and the 2D cross-section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specified center line. there is.

도 9의 (b)를 참조하면, 유물 도면 생성 장치(150)는 지정된 위치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추출된 2D 외곽선 이미지와 단면선 이미지의 기준이 되는 중심선 위치를 조정하여 각각 비대칭 형상의 외곽선 이미지와 단면선 이미지로 정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곽선 이미지와 단면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각각의 중심선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하고 추출된 해당 이미지를 정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9, the artifact drawing generating device 15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enter line, which is the reference of the 2D outline image and the cross-section 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designated position, to create an outline image of an asymmetric shape and an outline image of an asymmetric shape, respectively. It can be registered with a cross-sectional line image. Here, the position of each center line from which the outline image and the cross-sectional line image are extracte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extracted corresponding images can be matched.

중심선을 기준으로 추출되는 외곽선 이미지와 단면선 이미지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도 9의 (b)와 같이 외곽선 이미지를 왼쪽에 배치하고 단면선 이미지를 오른쪽에 배치할 수 있고 그 반대 형상의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The outline image and section 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the center line can be either left or right. As shown in (b) of Figure 9, the outline image can be placed on the left and the section line image on the right, and vice versa. It can also be an image of a shape.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3D 유물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면화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고배의 투창 내부를 정밀하며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rawing of a relic based on 3D sca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generate a drawing image based on 3D scan data of a relic or precisely and accurately observe the inside of an old ship's javeli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유물 도면 생성 시스템
110: 원본 유물 130: 스캐너
150: 유물 도면 생성 장치 170: 데이타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3D 스캔부 330: 영역 분할부
350: 라인 추출부 370: 치수 측정부
390: 도면 생성부
100: Artifact drawing generation system
110: Original Artifact 130: Scanner
150: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17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3D scanning unit 330: Area dividing unit
350: Line extraction unit 370: Dimension measurement unit
390: Drawing creation unit

Claims (8)

원본 유물의 3D 스캐닝을 통해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3D 스캔부;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영역 분할을 수행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분할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2D 유물 영상을 획득하고 외곽선(윤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하는 라인 검출부;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위치에서의 두께와 길이의 값을 치수값으로 측정하는 치수 측정부; 및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추출된 상기 외곽선 또는 단면선을 정합하고 지정된 위치의 형상과 두께와 길이를 변형시켜 조정하여 상기 원본 유물의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3D 스캔부는
상기 3D 데이터를 다각도로 가로회전(Rotation) 또는 세로회전(Translation)시켜 정렬하며 정렬 시 -180°에서 180°까지 회전 각도 조절하고, ±0.1°, ±1°, ±5°, ±90° 단위로 회전 각도 선택하고,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시점벡터에 수직인 상기 절단면의 좌표에 따라 상기 3D 데이터를 전면부, 단면부, 후면부의 3가지 영역으로 분할하여 입체영역(전면부, 후면부) 또는 평면영역(단면부)으로 분할하고,
상기 도면 생성부는
1차 세이딩 연산을 통해 상기 3D 데이터로부터 표면의 경사에 대한 정보인 그라디언트 맵을 계산하고 상기 그라디언트 맵을 통해 곡률(Curvature)을 산출한 후 곡률을 기초로 2차 세이딩 연산을 수행하여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대한 정보인 그레이 맵(Gray Map)을 계산하고, 상기 그레이 맵을 기초로 유물 도면에 적용시켜 유물 표면의 미세한 변화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3D scanning unit that acquires 3D data through 3D scanning of the original artifact;
a region division unit that performs region division on the 3D data based on a user-defined viewpoint vector and cutting plane;
A line detection unit that acquires a 2D artifact image based on area information divided from the 3D data and extracts an outline and a cross-sectional line;
a dimension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ickness and length values at a designated location of the 3D data as dimension values; and
A drawing generator that generates a drawing of the original artifact by matching the outline or cross-section line extracted from the 3D data and modifying and adjusting the shap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designated location,
The 3D scanning unit
The 3D data is sorted by horizontal rotation or vertical translation at various angles, and when sorting,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from -180° to 180°, in units of ±0.1°, ±1°, ±5°, and ±90°. Select the rotation angle with
The area division unit is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cutt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viewpoint vector, the 3D data is divided into three areas, a front part, a cross-section part, and a back part, and divided into a three-dimensional area (front part, back part) or a planar area (cross-section part),
The drawing creation unit
Through the first shading operation, a gradient map,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slope of the surface, is calculated from the 3D data, and the curvature is calculated through the gradient map, and then a second sh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urvature to calculate the surface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that calculates a gray map,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unevenness, and applies it to the artifact drawing based on the gray map to visualize and provide subtle changes in the artifact surfac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캔부는
스캐너를 통해 상기 원본 유물을 3D 스캔 촬영한 후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상기 3D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3D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평면 또는 수평선 상에 해당 바닥면이 일치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가로 또는 세로 회전시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3D scanning unit
After 3D scanning the original artifact using a scanner, 3D modeling is performed to obtain the 3D data, and the 3D data is position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aligned with the plane or horizontal line set by the user.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rotation and align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추출부는
상기 3D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중심선 위치에서의 2D SVG 외곽선 및 단면선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ne extractor
A 3D scan data-based artifact drawing 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2D SVG outlines and cross-section lines at a designated center line location for the 3D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생성부는
상기 3D 데이터를 X-ray 렌더링하여 뷰(view)방향을 기준으로 보이지 않는 내부 투창 기울기를 산출하여 투창을 가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awing generator
A device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javelin is visualized by X-ray rendering the 3D data and calculating the invisible internal javelin tilt based on the view direction.
원본 유물의 3D 스캐닝을 수행하여 3D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3D 데이터를 회전시켜 정렬하는 3D 스캔 단계;
시점벡터와 절단면을 사용하여 정렬된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유물 영역 분할을 수행하여 도면화 작업에 필요한 입면과 단면을 얻는 영역 분할 단계;
SVG 포맷 변환을 통해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중심선에서의 2D 외곽선 이미지 및 2D 단면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라인 추출 단계;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위치에서의 높이, 너비, 두께를 치수값으로 측정하는 치수 측정 단계; 및
상기 3D 데이터에 대한 지정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추출한 2D 외곽선 이미지와 2D 단면선 이미지를 정합하여 유물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 생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D 스캔 단계는
상기 3D 데이터를 다각도로 가로회전(Rotation) 또는 세로회전(Translation)시켜 정렬하며 정렬 시 -180°에서 180°까지 회전 각도 조절하고 ±0.1°, ±1°, ±5°, ±90° 단위로 회전 각도 선택하고,
상기 영역 분할 단계는
상기 시점벡터에 수직인 상기 절단면의 좌표에 따라 상기 3D 데이터를 전면부, 단면부, 후면부의 3가지 영역으로 분할하여 입체영역(전면부, 후면부) 또는 평면영역(단면부)으로 분할하고,
상기 도면 생성 단계는
1차 세이딩 연산을 통해 상기 3D 데이터로부터 표면의 경사에 대한 정보인 그라디언트 맵을 계산하고 상기 그라디언트 맵을 통해 곡률(Curvature)을 산출한 후 곡률을 기초로 2차 세이딩 연산을 수행하여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대한 정보인 그레이 맵(Gray Map)을 계산하고, 상기 그레이 맵을 기초로 유물 도면에 적용시켜 유물 표면의 미세한 변화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캔 데이터 기반 유물 도면 생성 방법.
A 3D scanning step of acquiring 3D data by performing 3D scanning of the original artifact and rotating and aligning the obtained 3D data;
A region division step of performing artifact region division on the aligned 3D data using a viewpoint vector and a cutting plane to obtain elevations and cross sections required for drawing work;
A lin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2D outline image and a 2D cross-sectional line image from a designated center line of the 3D data through SVG format conversion;
A dimension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height, width, and thickness at a designated location for the 3D data as dimension values; and
A drawing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relic drawing by matching a 2D outline image and a 2D cross-sectional line image extracted based on a designated center line for the 3D data,
The 3D scanning step is
The 3D data is sorted by horizontal rotation or vertical rotation at various angles, and when sorting,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from -180° to 180° and in units of ±0.1°, ±1°, ±5°, and ±90°. Select the rotation angle,
The area division step is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cutt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viewpoint vector, the 3D data is divided into three areas, a front part, a cross-section part, and a back part, and divided into a three-dimensional area (front part, back part) or a planar area (cross-section part),
The drawing creation step is
Through the first shading operation, a gradient map,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slope of the surface, is calculated from the 3D data, and the curvature is calculated through the gradient map, and then a second sh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urvature to calculate the surface A method of generating a drawing of a relic based on 3D scan data, comprising calculating a gray map,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unevenness, and applying it to the drawing of the relic based on the gray map to visualize and provide subtle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relic. .
KR1020220045774A 2022-04-13 2022-04-13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KR102599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74A KR102599391B1 (en) 2022-04-13 2022-04-13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JP2022080124A JP7393818B2 (en) 2022-04-13 2022-05-16 3D scan data-based relic drawing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74A KR102599391B1 (en) 2022-04-13 2022-04-13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48A KR20230146848A (en) 2023-10-20
KR102599391B1 true KR102599391B1 (en) 2023-11-08

Family

ID=884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774A KR102599391B1 (en) 2022-04-13 2022-04-13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393818B2 (en)
KR (1) KR10259939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66B1 (en) 2007-01-10 2008-06-3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estoration system
KR102182887B1 (en) * 2019-10-07 2020-11-25 이건우 System of cultural property 3 dimensional drawing by using 3 D scan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3308A1 (en) 1998-11-25 2000-06-08 Siemens Corp Res Inc Image system for producing image spreadsheet e.g. for medical applications aligns images so that registration markers of corresponding cells in spreadsheet match
JP2004012221A (en) 2002-06-05 2004-01-15 Hitachi Eng Co Ltd Surveyed two-dimensional figure forming method and system of ruins legacy or the like
JP3684217B2 (en) 2002-07-23 2005-08-17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Automatic extraction system for structural lines on object surfaces
JP3699712B2 (en) 2003-05-28 2005-09-28 株式会社ナック Shape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JP3867143B2 (en) 2003-06-25 2007-01-10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Three-dimensional microscope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296129B1 (en) 2010-12-27 2013-08-19 주식회사 포스코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excellent magnetic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940261B2 (en) 2016-07-25 2021-09-22 株式会社パスコ Image analysis processing device, image analysi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68991B1 (en) * 2017-03-31 2019-04-15 이건우 System for providing restoration service of cultural heritage using 3D scan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66B1 (en) 2007-01-10 2008-06-3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estoration system
KR102182887B1 (en) * 2019-10-07 2020-11-25 이건우 System of cultural property 3 dimensional drawing by using 3 D scan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48A (en) 2023-10-20
JP7393818B2 (en) 2023-12-07
JP2023156957A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lantucci et al. Advanced damage detection techniques in historical buildings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3D surface anlysis
Pintus et al. A survey of geometric analysis in cultural heritage
US11105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rill core samples
US99531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extracting shapes from a point cloud
Lerma et al. Evaluating the 3D documentation of an early Christian upright stone with carvings from Scotland with multiples images
KR102182887B1 (en) System of cultural property 3 dimensional drawing by using 3 D scan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550428A (en) Bridge security evaluation method based on TLS (three-dimensional laser scanning) technique
Bianconi et al. Comparison between two non-contact techniques for art digitalization
Yang et al. An application of digital point cloud to historic architecture in digital archives
KR201701027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3D data of a building
KR20140099756A (en)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Oliveira et al. 3D modelling of laser scanned and photogrammetric data for digital documentation: the Mosteiro da Batalha case study
KR1025993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act drawings based on 3d scan data
Sapirstein Segmentation, reconstruction, and visualization of ancient inscriptions in 2.5 D
Pietroni et al. An interactive local flattening operator to support digital investigations on artwork surfaces
Lin Application of integration of HBIM and VR technology to 3D immersive digital management—take Han Type traditional architecture as an example
KR101808958B1 (en) Method for obtaining shape information of structure and method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structure
Boehler et al. High quality scanning and modeling of monuments and artifacts
Cheng The workflows of 3D digitizing heritage monuments
Ragia et al. Precise photorealistic visualization for restoration of historic buildings based on tacheometry data
Dore Procedural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HBIM) for recording and documenting European classical architecture
Ma et al. Surveying and mapping caves by using 3D digital technologies
CN113167568A (en) Coordinate calculation device,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Grifoni et al. 3D multi-modal point clouds data fusion for metrological analysis and restoration assessment of a panel painting
Sorrentino et al. Close-range photogrammetry reveals morphometric changes on replicative ground st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