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708B1 -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708B1
KR102598708B1 KR1020210104651A KR20210104651A KR102598708B1 KR 102598708 B1 KR102598708 B1 KR 102598708B1 KR 1020210104651 A KR1020210104651 A KR 1020210104651A KR 20210104651 A KR20210104651 A KR 20210104651A KR 102598708 B1 KR102598708 B1 KR 102598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ewable energy
amount
time series
climate
targe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643A (ko
Inventor
김진영
김현구
강용혁
윤창열
김창기
김보영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0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7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는 상기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하는 주성분 분석부;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제1 에너지량 산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상기 자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부; 그리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상기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제2 에너지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ALCULATING RENEWABLE ENERGY AMOUNT AND METHOD THEREOF}
실시 예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의 전력공급체계를 대체하고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전력공급시스템의 신재생 에너지 공급 비율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초기투자와 설비 운영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발전설비에서의 전력 생산량을 예측하고 장단기 운영수익을 통한 경제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태양광 발전과 같은 재생 에너지원은 시간 및 환경적 변동성으로 인해 출력의 불안정성이 높으며 발전출력을 예측하기도 어렵다. 특정 부하 특성에 맞는 신재생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최적 용량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투자설비의 발전량,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비용을 기반으로 한 장단기 경제성 분석 또한 사업성 검토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재생 에너지 시스템 설치에 대한 장단기 경제성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실시 예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는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하는 주성분 분석부;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제1 에너지량 산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부; 그리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상기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제2 에너지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기후 인자 별로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하고, 상기 시계열 상관성과 상기 기후 인자 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대한 지형 섭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지형 섭동값과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제1 복원 정보 및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누락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복원 정보는, 상기 지형 섭동값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복원 정보는,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보정치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에 대한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재생 에너지량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상기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에너지량 산출부는,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대응하는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하고,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합산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은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상기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는, 기후 인자 별로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 상관성과 상기 기후 인자 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대한 지형 섭동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형 섭동값과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는, 제1 복원 정보 및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산출된 최종 복원 정보를 통해 상기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복원 정보는 상기 지형 섭동값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복원 정보는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에 대한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재생 에너지량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상기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대응하는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합산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부분을 복원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접 영역과의 수평적 관계뿐만 아니라 수직적 관계를 고려하여 입체적으로 데이터의 누락된 부분을 복원하므로,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복원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복원으로 품질이 향상된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므로 정확도 높은 재생 에너지량 산출이 가능하다.
재생 에너지원 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보정을 수행하므로 재생 에너지원 별 정확도 높은 재생 에너지량 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과 제1 주변 영역의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S22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연직층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S25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S26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는 단말/서버 장치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는 선택부(110), 데이터 복원부(120), 주성분 분석부(130), 제1 에너지량 산출부(140), 보정치 산출부(150) 및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12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계열 기후 데이터라 함은 임의의 기간 동안 기후와 관련한 인자에 대한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기후와 관련한 인자는 수평면 전일사량, 법선면 전일사량, 온도, 습도, 대기압, 풍속, 풍향, 파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열 기후 데이터는 199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수평면 전일사량, 법선면 전일사량, 온도, 습도, 대기압, 풍속, 풍향, 파고, 지열 등에 대한 측정값을 1시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경우에는 기후 정보의 측정 과정에서 측정 장비의 오류, 측정의 시기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인하여 모든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0년 2월 5일부터 2000년 10월 31일까지 해당 지역에서 습도를 측정하는 장비에 고장이 발생하여 해당 기간에서의 습도 측정값이 누락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지역에서의 기후 측정 시기가 타 지역보다 늦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 몇 년간의 기후 자료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일부 시계열 기후 정보가 누락된 경우,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 산출의 정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의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데 있어 30년의 시계열 수평면 전일사량 자료가 요구되나, 30년 중 10년치의 수평면 전일사량 자료가 누락된 경우에는 해당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더라도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정보를 복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복원부(120)를 통해 대상 영역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시계열 기후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재생 에너지량 산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에서는 일부 누락된 데이터에 대한 내용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데이터 해상도의 향상을 위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삽입함으로써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1시간 단위의 정보를 20분이나 30분 단위에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 높은 시계열 기후 데이터로의 복원이 가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복원부(120)는 기후 인자 별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시계열 상관성과 기후 인자 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주변 영역에 대한 지형 섭동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지형 섭동값과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1 복원 정보 및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누락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복원 정보는 지형 섭동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2 복원 정보는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주성분 분석부(130)는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에너지원이라 함은 태양광 에너지, 풍력 에너지, 파력 에너지, 지열 에너지, 수력 에너지, 바이오매스 에너지 등과 같은 재생 에너지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성분 분석부(130)는 태양광 에너지원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수평면 전일사량 및 온도를 주성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부(130)는 풍력 에너지원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할 수 있으며, 풍속, 온도, 대기압을 주성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주성분 분석부(130)는 다수의 기후 인자로 구성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각각의 재생 에너지원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특정 기후 인자를 주성분으로 결정하여 이용함으로써 재생 에너지량 산출에 있어 차원을 축소하여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주성분 분석부(130)는 주성분 분석 과정에서 대상 영역에서 대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자원 지도와 같은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베이스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에너지량 산출부(140)는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은 재생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입력값이 입력되면 기 공지된 공식에 따라 재생 에너지량을 예측 또는 산출하는 기 공지된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보정치 산출부(150)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자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에 대한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재생 에너지량의 상관 관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보정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대응하는 보정치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보정치를 통해 보정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합산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서 설명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선택부(110)는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S210).
그러면, 데이터 복원부(12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S220).
다음으로, 주성분 분석부(130)는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S230).
그리고, 제1 에너지량 산출부(140)는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S240).
그리고,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자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S250).
그러면,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보정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S260).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에 대해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과 제1 주변 영역의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의 선택부(11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의 S210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영역은 신재생 재생 에너지원 전체에 대한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영역은 서울, 대전 등과 같은 특정 행정구역이거나 사용자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지역일 수 있다.
대상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영역은 사용자가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 도구를 통해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외에도, 대상 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세스에 의해 입력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주변 영역은 대상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영역이 결정되면, 선택부(110)는 대상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제1 주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상 영역으로 영역 A가 결정되면, 선택부(110)는 영역 A에 인접한 영역 B1 내지 B8을 제1 주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영역이라 함은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 중 대상 영역에 인접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대상 영역으로 영역 A가 결정되었으나 영역 B1 내지 B8에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부(110)는 영역 B1 내지 B8에 인접한 영역 중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대상 영역에 인접한 영역으로 간주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S22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연직층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의 데이터 복원부(12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의 S220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데이터 복원부(120)는 기후 인자 별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할 수 있다(S221).
예를 들어, 데이터 복원부(120)는 서로 대응하는 시간대에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풍속과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풍속을 비교하여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풍속뿐만 아니라 수평면 전일사량, 법선면 전일사량, 온도, 습도, 대기압, 풍향, 파고, 지열 등에 대해서도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 복원부(120)는 수평면 전일사량, 법선면 전일사량, 온도, 습도, 대기압, 풍속, 풍향, 파고, 지열 등 시계열 기후 데이터가 가지는 모든 기후 인자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상관성을 산출하는데 있어, 피어슨 상관(pearson correlation), 스피어만 상관(spearman correlation), 크론바흐 알파(crobach's alpha) 등 다양한 상관 분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관 기법은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다수 상관 기법의 조합 또는 다수 상관 기법의 상관 결과의 조합 등을 통해 상관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시계열 상관성과 기후 인자 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S222). 데이터 복원부(120)는 기후 인자별로 시계열 상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제1 주변 영역을 제2 주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기후 인자 별 임계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면 전일사량에 대한 임계치는 0.6으로 설정되고, 풍속에 대한 임계치는 0.4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변 영역은 기후 인자 별로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도 3의 예시에서 기후 인자 별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시계열 상관성을 나타낸 예시이다.
수평면 전일사량 풍속
B1 0.7 0.45
B2 0.8 0.32
B3 0.54 0.55
B4 0.4 0.7
B5 0.66 0.65
B6 0.61 0.22
B7 0.3 0.23
B8 0.38 0.24
표 1은 대상 영역(영역 A)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대한 제1 주변 영역(영역 B1 내지 B8)의 기후 인자 별 시계열 상관성을 나타낸다. 수평면 전일사량에 대한 임계치가 0.6으로 설정된 경우, 데이터 복원부(120)는 수평면 전일사량에 대해 0.6 이상의 시계열 상관성을 가지는 영역 B1, 영역 B2, 영역 B5, 영역 B6을 수평면 전일사량에 관한 제2 주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풍속에 대한 임계치가 0.4로 설정된 경우, 데이터 복원부(120)는 풍속에 대해 0.4 이상의 시계열 상관성을 가지는 영역 B1, 영역 B3, 영역 B4, 영역 B5를 풍속에 관한 제2 주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복원부(120)는 기후 인자 별로 독립적으로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영역이라고 하더라도, 지형 등의 환경적 요소에 의해 기후 인자 별로 지역간 시계열 상관성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 요소 등을 기후 인자 별로 반영하지 못하게 되면, 데이터 복원이 부정확해질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기후 인자 별 시계열 상관성을 통해 데이터 복원에 이용하는 제2 주변 영역을 기후 인자 별로 독립적 선택하여 복원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주변 영역에 대한 지형 섭동값을 산출할 수 있다(S223).
여기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표면에 대한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는 지표면으로부터 지상/지하로 소정의 거리만큼에 이격된 위치에서의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는 지표면뿐만 아니라 50m 상공에서의 대기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는 지표면뿐만 아니라 10m 지하에서의 지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지형 섭동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지형 섭동( perturbation)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앞서 표 1의 예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2 주변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 B1, 영역 B3, 영역 B4, 영역 B5 각각에 대해 지표면의 풍속 데이터와 대응하는 연직층의 영역 B11, 영역 B13, 영역 B14, 영역 B15에 대한 풍속 데이터를 지형 섭동 모델에 입력하여 지형 섭동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B1에서의 풍속에 관한 지형 섭동값, B3에서의 풍속에 관한 지형 섭동값, B4에서의 풍속에 관한 지형 섭동값, B5에서의 풍속에 관한 지형 섭동값이 각각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는 모든 기후 인자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기후값은 지형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산을 포함하는 지역과 산을 포함하지 않는 지역은 측정된 기후값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2 주변 영역의 연직층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의 영향을 고려하여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복원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데이터 복원부(120)는 지형 섭동값과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4).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1 복원 정보 및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누락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120)는 기후 인자 별로 제1 복원 정보와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복원 정보는 지형 섭동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2 주변 영역 별로 산출된 지형 섭동값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1 복원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제2 복원 정보는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복원부(120)는 제2 주변 영역 별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2 복원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S25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의 보정치 산출부(15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의 S250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에 대한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재생 에너지량의 상관 관계를 산출할 수 있다(S251).
이를 위해,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자원 지도와 같은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베이스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수신할 수 있다.
보정치 산출부(150)는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여 도 7에서와 같은 상관성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치 산출부(150)는 태양광 에너지 - 풍력 에너지 상관 관계, 태양광 에너지 - 수력 에너지 상관 관계, 태양광 에너지 - 지열 에너지 상관 관계, 태양광 에너지 - 파력 에너지 상관 관계, 풍력 에너지 - 수력 에너지 상관 관계, 풍력 에너지 - 지열 에너지 상관 관계, 풍력 에너지 - 파력 에너지 상관 관계, 수력 에너지 - 지열 에너지 상관 관계, 수력 에너지 - 파력 에너지 상관 관계, 지열 에너지 - 파력 에너지 상관 관계 등 모든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일대일 관계에서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여 상관성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관성 매트릭스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즉, 앞서의 예시를 참조하면, 대상 영역(영역 A)에 대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영역 B1 내지 B8) 각각에 대해 도 7에서와 같은 상관성 매트릭스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보정치 산출부(150)는 8개의 상관성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치 산출부(150)는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상관성을 산출하는데 있어, 피어슨 상관(pearson correlation), 스피어만 상관(spearman correlation), 크론바흐 알파(crobach's alpha) 등 다양한 상관 분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관 기법은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다수 상관 기법의 조합 또는 다수 상관 기법의 상관 결과의 조합 등을 통해 상관 관계를 산출할 수 있다.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S25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치 산출부(150)는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의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로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평균 계산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보정치 산출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재생 에너지원 사이에서는 서로 간의 상관성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상관성은 지역에 따라 서로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주변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재생 에너지량 상관 관계를 통해 대상 영역에서 이용할 재생 에너지량 보정치를
도 8은 도 2의 S26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100)의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의 S260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대응하는 보정치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S261).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태양광 에너지, 풍력 에너지, 지열 에너지, 수력 에너지, 파력 에너지 등 각각의 재생 에너지원 별로 산출된 재생 에너지량을 각각에 대응하는 보정치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에 보정치를 곱하거나 합산함으로써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재생 에너지원 사이의 상관성에 따른 보정치를 통해 각각의 재생 에너지량을 보정하게 되므로, 정확한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보정치를 통해 보정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합산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S262). 제2 에너지량 산출부(160)는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보정된 재생 에너지량, 풍력 에너지에 대한 보정된 재생 에너지량, 지열 에너지에 대한 보정된 재생 에너지량, 수력 에너지에 대한 보정된 재생 에너지량, 파력 에너지에 대한 보정된 재생 에너지량 등을 모두 합산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다양한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부분을 복원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접 영역과의 수평적 관계뿐만 아니라 수직적 관계를 고려하여 입체적으로 데이터의 누락된 부분을 복원하므로, 시계열 기후 데이터의 복원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복원으로 품질이 향상된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므로 정확도 높은 재생 에너지량 산출이 가능하다.
재생 에너지원 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보정을 수행하므로 재생 에너지원 별 정확도 높은 재생 에너지량 산출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110 : 선택부
120 : 데이터 복원부
130 : 주성분 분석부
140 : 제1 에너지량 산출부
150 : 보정치 산출부
160 : 제2 에너지량 산출부

Claims (11)

  1.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재생 에너지원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특정 기후 인자를 주성분으로 결정하는 주성분 분석부;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제1 에너지량 산출부;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부; 그리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상기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제2 에너지량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치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에 대한 제2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간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상기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기후 인자 별로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하고,
    상기 시계열 상관성과 상기 기후 인자 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대한 지형 섭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지형 섭동값과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서 누락된 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제1 복원 정보 및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누락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복원 정보는, 상기 지형 섭동값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복원 정보는,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량 산출부는,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대응하는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하고,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합산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6.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각 단계가 구현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에 있어서,
    대상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 대한 소정의 기간의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의 기간의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재생 에너지원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특정 기후 인자를 주성분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주성분을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재생 에너지 산출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의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 및 상기 보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재생 에너지원 각각에 대한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서 제1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에 대한 제2 재생 에너지원의 재생 에너지량간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상기 제1 재생 에너지원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는,
    기후 인자 별로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와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 사이의 시계열 상관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 상관성과 상기 기후 인자 별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주변 영역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연직층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대한 지형 섭동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형 섭동값과 상기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는,
    제1 복원 정보 및 제2 복원 정보를 합산하여 산출된 최종 복원 정보를 통해 상기 지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시계열 기후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복원 정보는 상기 지형 섭동값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복원 정보는 상기 제2 주변 영역의 지표면에 대한 제2 시계열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영역의 상기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대응하는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치를 통해 보정된 재생 에너지원 별 재생 에너지량을 합산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전체 재생 에너지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에너지량 산출 방법.
  11. 제6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청구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10104651A 2021-08-09 2021-08-09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9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51A KR102598708B1 (ko) 2021-08-09 2021-08-09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51A KR102598708B1 (ko) 2021-08-09 2021-08-09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43A KR20230022643A (ko) 2023-02-16
KR102598708B1 true KR102598708B1 (ko) 2023-11-07

Family

ID=8532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651A KR102598708B1 (ko) 2021-08-09 2021-08-09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7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470B1 (ko) * 2011-12-30 2013-09-05 주식회사 효성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위한 예측시스템
KR101476522B1 (ko) * 2012-12-31 2014-12-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에너지 발전량 예측 시스템
KR20190064761A (ko) * 2017-12-01 2019-06-11 김경학 태양광 발전 장치의 운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34714A (ko) * 2019-09-20 2021-03-31 한국전력공사 기후시계열 데이터 복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43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Wind energy potential assessment for the site of Inner Mongolia in China
US20200311835A1 (en) Mesoscale data-based automatic wind turbine layout method and device
CN115147012B (zh) 一种基于神经网络模型的碳排放量核算方法及装置
Liu et al. Energy and carbon performance of urban buildings using metamodeling variable importance techniques
Mowers et al. Quantifying value and representing competitiveness of electricity system technologies in economic models
KR102598708B1 (ko) 재생 에너지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Şener et 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wind energy de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CN111859303B (zh) 基于动态贝叶斯平均的土壤湿度融合方法及系统
CN103326396B (zh) 一种测定电力系统风电运行出力上限值的方法
CN112507526B (zh) 一种质子交换燃料电池系统性能预测方法及系统
CN114662970A (zh) 一种基于含多异质res电网脆弱性评估模型的构建方法
Peruchena et al. A clustering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solar energy yields: A case study for concentrating solar thermal power plants
Giannelos et al.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predictions of CO2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KR102643388B1 (ko) 일사량 및 발전량 데이터의 품질 평가를 위한 데이터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Bukenberger et al. Stochastic Transmission Planning: Latent Factor Approximation of AC Costs With DC Subproblems
KR102591679B1 (ko) 경제급전을 위한 발전량 결정 장치 및 방법
Le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public facilities on housing prices
CN113572152B (zh) 一种基于FP-growth的风电机组振荡模态与影响因素关联分析方法
CN107247835B (zh) 一种库容量算精度验证方法
Wen et al. Wind-Farm Layout Optimization based on Uncertain Set of Yearly Wind Distributions
Tavares et al. Probabilistic models in power distribution electrical networks
KR20230136481A (ko) 배터리 수명 예측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Gao et al. Application of the Analogue Method to Modeling Heat Waves: A Case Study With Power Transformers
Liu et al. Suitability analysis for implementing wind and solar farms based AHP method: Case study in Inner Mongolia, China
De Rubira et al. Clustering techniques for photovoltaic system simulations under nonuniform irradiance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