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321B1 -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 Google Patents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321B1
KR102598321B1 KR1020210027558A KR20210027558A KR102598321B1 KR 102598321 B1 KR102598321 B1 KR 102598321B1 KR 1020210027558 A KR1020210027558 A KR 1020210027558A KR 20210027558 A KR20210027558 A KR 20210027558A KR 102598321 B1 KR102598321 B1 KR 10259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digital
social
digital exhib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0239A (en
Inventor
이관태
Original Assignee
이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태 filed Critical 이관태
Publication of KR2021011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3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전시 개설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 기획을 하는데 이용하고 전시물에 관한 콘텐츠 제작을 하는데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시 관람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물의 관람을 하는데 이용하고 상기 전시 개설자 또는 다른 전시 관람자와의 소통을 하는데 이용하는 디지털 전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지털 전시에 관한 플랫폼 운영 및 관리를 수행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이 제공된다.It is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s, which the user uses as an exhibition creator to plan an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nd creates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ion, or the user as an exhibition viewer to view the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 digital exhibition application program used to view and communicate with the exhibition creator or other exhibition visitors; A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including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that performs platform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digital exhibitions and provides cloud-based digital exhibition services is provided.

Description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s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본 발명은 누구든(기성 작가, 신진 작가, 큐레이터, 일반 대중들) 언제 어디서나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전시를 쉽게 개설할 수 있고 또한 전시를 쉽게 관람할 수 있으며, 전시 개설자와 전시 관람자 상호 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방식으로 비대면 소통할 수 있는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yone (established artists, new artists, curators, and the general public) to easily open an exhibition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location and time, and to easily view the exhibition, and provides a social network between the exhibition creator and exhibition viewers. It is about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to provide social museum services that enabl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rough service (SNS).

기존의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등은 전시물품의 전시나 관람에 물질적,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전시물들은 훼손이나 분실에 대한 우려로 많은 공간적 제약을 가지고 있어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 편리한 장소에 전시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전시 장소를 옮기려면 다른 박물관이나 전시장에 소장되고 있는 전시물들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오프라인 상에서의 전시란 전시 기간이 정해져 있는 것이어서, 그 기간이 경과하면 관람이 불가능하며, 관람을 하더라도 이후에는 다시 관람할 수 없어 일회성에 그치는 한계가 있다.Existing museums, art galleries, exhibition halls, etc. have material,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in displaying or viewing exhibits. In other words, some exhibits have many spatial restrictions due to concerns about damage or loss, so it is often difficult to display them in places that are convenient for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In order to move the exhibition location, it is necessary to physically remove the exhibits from other museums or exhibition halls. It takes a lot of money and time to move it. In addition, offline exhibitions have a fixed exhibition period, so they cannot be viewed after the period has elapsed, and even if viewed, they cannot be viewed again afterward, so they are limited to being one-time only.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모바일 공간에서 언제 어디서나 전시물을 관람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들이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디지털 전시 시스템들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게시된 전시물을 관람자들이 단순히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 관점에서만 접근하고 있는데 그치고 있고, 소셜 큐레이터 개념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전시 개설자와 관람자 간, 동일 전시물을 관람한 관람자들 간의 쌍방향의 소통 및 감정의 상호 공유(공감)까지도 가능하도록 구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은 존재하지 않았다.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digital exhibition platforms are emerging that allow exhibitions to be viewed anytime, anywhere in online/mobile spaces. However, digital exhibition systems to date are only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nience, allowing viewers to simply view exhibitions unilaterally posted by service providers, and have not fully introduced the concept of social curators, and have not been able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ocial curators in earnest. In fact, there was no digital exhibition platform that enabled two-way communication and even mutual sharing of emotions (empathy) between viewers who viewed the same exhibi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소셜 큐레이터 개념이 적용됨은 물론 전시 개설자와 관람자 간 그리고 동일 전시물을 관람한 관람자들 간의 쌍방향의 소통 및 감정의 상호 공유(공감)까지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디지털 전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not only applies the social curator concept, but also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and mutual sharing of emotions (empathy) between the exhibition organizer and viewers and between viewers who viewed the same exhib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전시 개설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 기획을 하는데 이용하고 전시물에 관한 콘텐츠 제작을 하는데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시 관람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물의 관람을 하는데 이용하고 상기 전시 개설자 또는 다른 전시 관람자와의 소통을 하는데 이용하는 디지털 전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지털 전시에 관한 플랫폼 운영 및 관리를 수행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s, which the user uses as an exhibition creator to plan an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nd creates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ion, or the user uses it as an exhibition viewer. A digital exhibition application program used to view exhibitions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nd communicate with the exhibition creator or other exhibition viewers; A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including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that performs platform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digital exhibitions and provides cloud-based digital exhibition services is provided.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소셜 큐레이터 개념이 적용됨은 물론 전시 개설자와 관람자 간 그리고 동일 전시물을 관람한 관람자들 간의 쌍방향의 소통 및 감정의 상호 공유(공감)까지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디지털 전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ocial curator concept is applied, but also two-way communication and mutual sharing of emotions (empathy) between the exhibition creator and viewers and between viewers who viewed the same exhibition are possibl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that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의 비즈니스 모델(BM)을 전반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는 전시 서비스 기능, 채택 가능한 기술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들.
1 is a diagram generally explaining the business model (BM) of a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9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exhibition service functions and adoptable technologies implemented through a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미술품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 작품과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매개체로 하여 작가, 대중, 기관, 여타 부류의 공동체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단순히 전문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관람자가 단순히 관람하는데 그치지 않고 비전문적 사용자가 나 자신의 스토리와 개인적으로 창출한 1차 또는 2차 저작물을 전시하는 것을 매개체로 하여 다른 사람과의 감성적/감정적/정서적 소통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 사이에 공감을 일으키는 상황을 조성함으로써, 온라인/모바일 공간에서 사람들 상호간 서로 어울리고 싶어하는 복합 전시 공간을 창출함은 물론 이들 간의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풍성한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한다.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ridges the gap between artists, the public, institutions, and other types of communities by using various works of art, including works of art, and various cultural contents as a medium, and simply displays the works of professional artists and engages viewers. Rather than simply viewing, non-professional users use the medium of displaying their own stories and personally created primary or secondary works to form emotional/emotional/emotional communicatio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o build empathy among them. The core value is to create a complex exhibition space where people want to mingle with each other in online/mobile spaces, as well as to enable rich exchanges between them in offline spaces, by creating a situation that promotes social interaction.

여기서,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소셜 큐레이터란 작가 자신 혹은 전문적인 큐레이터일 수도 있지만, 비전문적인 개인 창작자들도 자신만의 전시 기획,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일반인들도 모두 소셜 큐레이터로서 역할 및 활동을 할 수 있다.Here, i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ial curator may be the artist himself or a professional curator, but since even non-professional individual creators can plan their own exhibitions and produce content, ordinary people can also play the role and activities as social curators. can d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시 개설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 기획을 하는데 이용하고 전시물에 관한 콘텐츠 제작을 하는데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시 관람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물의 관람을 하는데 이용하고 상기 전시 개설자 또는 다른 전시 관람자와의 소통을 하는데 이용하는 디지털 전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지털 전시에 관한 플랫폼 운영 및 관리를 수행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the user as an exhibition creator to plan an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nd to create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ion, or by the user as an exhibition viewer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 digital exhibition application program used to view exhibits and communicate with the exhibition creator or other exhibition visitors; and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that performs platform oper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digital exhibitions and provides cloud-based digital exhibition services.

또한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즉,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와 사용자 단말(즉, 사용자의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만을 통해서 서비스될 수도 있지만, 스마트 액자, 빔 프로젝트 등의 여타 IoT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서 서비스될 수도 있고, 향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O2O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미술품, 예술 작품 등의 전시는 물론, 기술, 사진, 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의 전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rviced only through a service server (i.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and a user terminal (i.e., user's PC, smartphone, tablet PC, etc.), but may also be serviced through a smart picture frame, beam, etc. It can be serviced through linking with other IoT devices such as projects, or it can be implemented as an O2O service linking online and offline in the future. In addition, of course,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exhibition of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echnology, photos, and videos, as well as the exhibition of artworks and works of ar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의 비즈니스 모델(BM)을 전반적으로 설명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는 전시 서비스 기능, 채택 가능한 기술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들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ere, Figure 1 is a diagram generally explaining the business model (BM) of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 to 9 are diagrams showing the business model (BM) of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reference drawings to explain the exhibition service functions implemented and technologies that can be adopted.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본 발명의 소셜 큐레이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ⅰ) 전시 기획 콘텐츠 구축을 위한 에디터 기능, ⅱ) 전시 관람 콘텐츠 소비를 위한 뷰어 기능, ⅲ) 온라인-오프라인 연계를 위한 O2O 서비스 기능 및 맞춤형 콘텐츠 추천 기능, ⅳ) 오프라인 전시 및 감성 문화 소비를 위한 구매/후원 기능 등이 구현 및 서비스 제공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누구나 쉽게 전시실을 만들고, 보다 쉽게 전시에 참여하고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모바일 공간 상의 복합 전시 공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ocial curator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an editor function for building exhibition planning content, ii) a viewer function for consuming exhibition viewing content, iii) an O2O service function and a 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function for online-offline linkage, iv) By designing to implement and provide services such as purchase/sponsorship functions for offline exhibitions and emotional cultural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plex exhibition space in the online/mobile space where anyone can easily create an exhibition room and more easily participate in and view exhibitions. Let it happen.

이에 따라 소셜 큐레이터들은 전시실 만들기, 콘텐츠 구성하기, 상세 감상 설정하기, 아트 샵 판매 설정 등의 보다 손쉬운 과정을 통해서 온라인/모바일 공간 상에서 독립적인 전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람자들은 전시 찾기, 전시 참여, 내 콘텐츠 올리기, 전시 관람, 콘텐츠 구매, 내 컬렉션 확인 등의 다양한 관람 및 참여 기회를 손쉽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social curators can create independent exhibition spaces in online/mobile spaces through easier processes such as creating an exhibition room, organizing content, setting up detailed viewing, and setting up art shop sales. In addition, viewers can obtain various viewing 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an easy and intuitive way, such as finding exhibitions, participating in exhibitions, uploading my content, viewing exhibitions, purchasing content, and checking my collection.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소셜 큐레이팅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기존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과 비교할 때 아래와 같은 장점들을 보유한다. The social curating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compared to the existing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1) 전시 공간 구현 편의성 및 전시 기획 효과 증대를 위한 에디팅 기능 강화(1) Strengthening the editing function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exhibition space creation and exhibition planning effectiveness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는 전시 개설자(작가, 일반 대중들을 포함한 다양한 소셜 큐레이터들)의 전시 기획 및 웹 또는 앱 상에서 화면 표출될 전시 공간(이하, 디지털 가상 전시 공간이라 명명함) 구현 과정에서 편의성 및 효과 증대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디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웹 또는 앱 상의 영상 서비스 채널과의 연동, 이미지 편집 기능, 영상 재생 및 업로드 기능, 포스터 제작 보조 기능, 음악 설정 기능, 각종 라이브러리 기능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가상 전시 공간의 구현의 편의성 및 활용성 강화를 위한 에디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가상 전시 공간은 기존의 오프라인 전시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딱딱한 물리적 공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계 없이 자유롭고 다채로운 전시 공간(예를 들어, 사막, 바다, 루브르 박물관 등)을 설정하여 전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시자는 해당 전시 작품의 컨셉, 내용, 스토리 등에 더욱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는 가상의 전시 공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exhibition planning by exhibition creators (artists, various social curator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and implementation of an exhibition space to be displayed on the web or app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gital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to increase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For example, to strengthen the editing function, linkage with video service channels on various webs or apps, image editing functions, video playback and upload functions, poster creation assistance functions, music setting functions, and various library functions can be applied.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2 to 5, an edit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enhanc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implementing a digital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xample, the digital virtual exhibition space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offline exhibition spaces and is not limited to a rigid physical space, but rather sets up a free and colorful exhibition space without boundaries (e.g., desert, sea, Louvre Museum, etc.) Because it can be displayed, the exhibit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 virtual exhibition spaces that can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content, and story of the exhibition work.

이를 토대로 소셜 큐레이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축된 디지털 가상 전시 공간을 통해 다양한 전시물들이 관람자의 취향별, 성별, 관심도별로, 날씨, 계절, 시간대별로, 또는 관람자의 이전 관람이력을 근거로 한 맞춤형 추천 및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람자들의 접근성 및 참여 강화를 유도한다.Based on this, the Social Curator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allows various exhibitions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viewer's taste, gender, interest level, weather, season, time of day, or based on the viewer's previous viewing history through the digital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By enabling customized recommendations and promotions, we encourage enhanced accessibility and participation of viewers.

(2) 전시품 관련 주문 구매 & 후원 &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2) Order purchase & sponsorship & crowdfunding services related to exhibition items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술한 관람자들의 참여 강화는 전시품 관련 주문 구매, 작가 후원, 크라우드 펀딩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ing the participation of viewers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ordering and purchasing related to exhibition items, sponsoring artists, and crowdfunding.

기존의 오프라인 전시의 경우에는 특정 화랑(갤러리)에서 제공하거나 작가 자신의 발품을 통해 얻은 특정 전시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어, 신진 작가나 일반 개인이 자신의 창작물을 전시 및 홍보하는데에 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성 높은 작품 및 작가의 출현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In the case of existing offline exhibitions, most cases are held through a specific exhibition space provided by a specific gallery or obtained through the artist's own efforts, allowing new artists or ordinary individuals to display and promote their creations. There were great difficulties in doing so, and as a result, there were limitations that made it difficult for diverse works and writers to emerge.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소셜 큐레이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신진 작가는 물론 일반 개인도 자신의 다양한 창작물을 본 플랫폼을 통해서 전시할 수 있으며, 관람자들도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단순 댓글 이외에도 다양한 후원 방식, 개인/공동 구매 방식, 전시품 및 작가 관련 굿즈 판매, 목소리 기부 등)으로 전시자의 작품 활동을 격려 및 후원할 수 있다. 또한 관람자들의 소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서 해당 전시자의 향후 작품 활동 및 전시 기획에 관한 후원을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social curator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new artists but also ordinary individuals can exhibit their various creative works through this platform, and viewers can also display the works in FIGS. 1, 6, and 7. You can encourage and support the exhibitor's work in the ways shown (in addition to simple comments, various sponsorship methods, individual/group purchasing methods, sales of exhibits and artist-related goods, voice donations, etc.). In addition, viewers can support the exhibitor's future work activities and exhibition planning through social crowdfunding.

(3) 풍부한 전시 관람 효과 구현을 위한 뷰잉 기능 강화(3) Strengthening viewing functions to realize rich exhibition viewing effects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는 관람자의 작품 감상 편의성 강화 및 관람 효과/감상 기능 강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The following technologies can be applied to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hance the viewer's convenience in viewing works and to enhance viewing effects/appreciation functions.

일 예로, 관람자가 소지한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의 제약을 벗어나 실제 작품 사이즈로 작품을 감상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행동(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선택, 사용자의 작품 내 응시 시점 검출 등)에 기초하여 실제 작품의 특정 윈도우 영역에 관한 상세 뷰를 단말기 화면 전체에 확대 표출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작품의 특정 부분을 응시하였을 때와 시각적으로 동일한 관람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동 가능한 디지털 액자 또는 프로젝터를 통해서 실제 작품 사이즈에 근접하거나 동일한 사이즈의 디지털 작품 화면을 구성해냄으로써, 실제 작품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관람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various technologies can be applied to view the work at its actual size,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screen size of the viewer's terminal such as a PC, tablet, or smartphone. For example, based on user behavior (e.g., user's touch selection, detection of the user's gaze point in the work, etc.), a detailed view of a specific window area of the actual work is displayed enlarged on the entire terminal screen, allowing the user to It can create the same visual viewing effect as when staring at a specific part of an actual work.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reate a screen of a digital work of similar size or close to the size of the actual work through a digital picture frame or projector that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user terminal, thereby giving the same visual viewing effect as viewing the actual work.

다른 예로, 디지털 전시물이 설계된 특정의 전시 공간 또는 관람자의 댁내의 공간의 특정 영역에 자연스럽게 오버레이되도록 배치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디지털 전시물을 배치할 공간의 특정 영역(즉, 선택 면(selecting surface))의 에지를 인식하여 수평과 투시각으로 자동 맞춤을 한 후, 사용자가 미세 조정하여 위치 비례 및 크기를 맞추도록 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arrange digital exhibits so that they are naturally overlaid in a specific designed exhibition space or a specific area of the viewer's home space. For this purpose, the edge of a specific area (i.e., selecting surface) of the space where the digital exhibition is to be placed is recognized and automatically adjusted in terms of horizontal and perspective angles, and then the user fine-tunes it to match the position proportion and size. A function that allows this can be applied.

또 따른 예로, 액자 프레임 자동 변경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전시물의 정보(주제/컬러/패턴/질감 등)를 자동 인식한 후 최적화된 액자 프레임으로 추천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utomatic picture frame change technology may be applied. In other words,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utomatically recognize information (subject/color/pattern/texture, etc.) of digital exhibits and then recommend an optimized picture frame.

또 다른 예로, 디지털 전시의 한계(시각적 관람 행위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 미술품, 조각상 등과 같이 거칠기, 높낮이 및 굴곡을 갖는 입체감 등을 직접 경험할 수 없는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전시품의 전시 화면에서 터치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거칠기, 굴곡 등을 진동 등의 촉각 혹은 청각(예를 들어, 유화 미술품을 손으로 실제 터치하였을 때를 가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쓰쓰슥"하는 소리)으로 표현해줄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시각적 전시 관람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전시품의 전시 화면에서 터치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작품 내용, 물체, 배경 등을 음성으로 혹은 뇌파로 전환하여 안내해주는 기능 등도 적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digital exhibitions (limits of visual viewing behavior). For example,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directly experience three-dimensional effects such as oil paintings, sculptures, etc., which have roughness, height, and curvature, the roughness, curvature, etc.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ouch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gital exhibition is generated by vibration, etc. It can be expressed through tactile or auditory senses (e.g., the “squeak” sound that can occur when an oil painting is actually touched by hand).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visual exhibition view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a function that provides guidance by converting the contents, objects, and backgrounds of works, etc.,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touched on the exhibition screen of the digital exhibition into voice or brain waves, can be applied.

TTS 변환 기술을 적용한 목소리 도슨트 기능 구현Implementation of voice docent function using TTS conversion technolog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디지털 전시물의 관람/감상을 보조 및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도슨트(docent) 기능 및 설명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전시물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TTS(Text to Speech)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전시물의 작품 설명에 관한 원본 텍스트에 TTS 변환 기술을 적용하여 소정의 음성(예를 들어, 디폴트 목소리, 특정 연예인의 목소리, 목소리 기부를 한 사람의 목소리, 작가의 목소리 등)으로 디지털 전시물을 소개 및 설명함으로써, 전시 관람자인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전시물을 보다 친근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TTS 기능을 강화하는 기술로서 텍스트의 자간 또는/및 글자 크기에 따라 목소리 톤 또는/및 빠르기가 적응적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도슨트가 실제로 설명해주는 것과 같은 효과(실제 사람의 목소리처럼 자연스럽게 들리게 하는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docent functions and explanation functions to assist and enhance viewing/appreciation of digital exhibitions. Additionally, Text to Speech (TTS) technology can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digital exhibits. As shown in Figure 8, TTS conversion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original tex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work of the digital exhibition to convert a predetermined voice (e.g., the default voice, the voice of a specific celebrity, the voice of the person who donated the voice, the artist's voice) By introducing and explaining digital exhibitions using voice, etc., users who are exhibition viewers can appreciate the digital exhibitions in a more friendly way.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ology to enhance the TTS function, the tone of voice and/or speed is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spacing and/or font size of the text, resulting in the same effect as a docent actually explaining. (An effect that makes it sound natural like a real person's voice) can be applied.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디지털 전시품의 작품 설명에 관한 원본 텍스트에 TTS(Text to Speech) 변환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디지털 전시품에 관한 도슨트(docent) 기능을 적용하되, 전시 관람자인 사용자가 도슨트될 목소리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원본 텍스트 내의 글자의 자간의 상대적 대소에 따라 도슨트의 빠르기를 조절하고, 상기 원본 텍스트 내의 글자 크기의 상대적 대소에 따라 도슨트의 목소리 톤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applies a docent function for the digital exhibition by applying TTS (Text to Speech) conversion technology to the original tex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work of the digital exhibition, but the user who is the exhibition viewer Allows the voice to be docented to be selected, adjusts the speed of the doc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size of letters in the original text, and adjusts the pitch of the docent's voice tone according to the relative size of letters in the original text. You can.

감정 공유 커뮤니티 서비스Emotion sharing community ser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디지털 전시품과 연계하는 감정 공유 커뮤니티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n emotion sharing community service linked to digital exhibits.

일 예로, 동일한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한 관람자들이라 하더라도, 그 관람을 통해서 느끼는 감정은 모두 동일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를 테면, 어떤 관람자는 해당 작품을 감상하면서 쓸쓸함이라는 감정을 느꼈다면, 다른 어떤 관람자는 동일한 작품을 감상하면서 괴로움을, 또 따른 어떤 관람자는 무서움을 느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에 의하면, 해당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면서 느낀 관람자의 감정을 입력하거나 해당 감정에 상응하는 감정 심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도 9의 '감정 태그' 참조), 해당 작품을 관람하면서 동일/유사한 감정(예를 들어, 쓸쓸함, 외로움, 소외감, 슬픔 등과 같이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른 동일 감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감정)을 느낀 관람자들 간의 공유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는 위와 같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공통 감정 또는 감성을 지닌 사람들끼리 서류 감정을 공유하고 해당 감정으로부터 비롯된 개개인의 문제들을 상호간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온라인/오프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viewers view the same digital exhibition, the emotions they feel while viewing it will not all be the same. For example, one viewer may have felt loneliness while appreciating the work, another viewer may have felt distress while appreciating the same work, and another viewer may have felt fear. Therefore, according to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 screen interface that allows the viewer to input the emotion felt while viewing the digital exhibition or select an emo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emotion ('emotion tag' in Figure 9). '), it is possible to form a sharing community among viewers who felt the same/similar emotions (e.g., emotions belonging to the same emotional category according to pre-specified criteria, such as loneliness, loneliness, alienation, sadness, etc.) while viewing the work. A function that allows it to be implemented can be implemented. In other words,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sts in forming the above community, a space (online/offline) that allows people with common emotions or sensibilities to share document emotions and mutually empathize with individual problems arising from those emotions. It can play a role in enabling this to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에 의할 때, 서비스 기능의 하나로서 각각의 개인이 매일 매일 소비했던 감정들을 정리할 수 있는 감정 다이어리 기능을 제공하고, 그 감정 다이어리의 내용을 수집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각의 개인이 그러한 감정(특히, 부정적 감정)을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 콘텐츠(cultural content)(예를 들어, 쓸쓸함의 감정을 해소/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화/책/여행 등)를 추천해주는 기능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f the service functions, an emotional diary function is provided that allows each individual to organize the emotions consumed every day, an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emotional diary, each individual A function that recommends cultural content (e.g., movies/books/travel, etc. that help individuals relieve/heal feelings of loneliness) that can help individuals heal such emotions (especially negative emotions). can also be applied.

위와 유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는 전시자 개인의 전시뿐만 아니라, 수의 작가, 동일 커뮤니티 내의 여러명, 특정 작가와 이를 후원하는 후원자들과 같이 복수의 참여자에 의해 협업하여 이루어지는 전시도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From a similar perspective to the above,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not only exhibitions by individual exhibitors, but also exhibitions collaboratively conducted by multiple participants, such as a number of artists, several people within the same community, specific artists, and sponsors who support them. An environment can be created.

디지털 전시 콘텐츠와 연계한 음악 콘텐츠 추천 서비스Music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linked to digital exhibition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디지털 미술 전시품 등의 콘텐츠를 음악과 연계하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도 제공될 수 있다(도 9 참조).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that links content such as digital art exhibits with music can also be provided (see FIG. 9).

예를 들어, 디지털 전시품의 속성, 내용, 스토리, 작가 이력 등의 다양한 정보들에 기반할 때, 혹은 디지털 전시품이 전시되는 가상 전시 공간의 특성에 기반할 때, 혹은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는 관람 시간/관람일의 날씨/계절 등에 기반할 때, 혹은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는 관람자의 취향, 선호 음악 장르 등에 기반할 때, 혹은 전시자의 전시 기획 의도 및 전시품의 전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전시자의 개인적/사회적 메시지 등에 기반할 때, 디지털 전심품의 시각적 전시 행위와 가장 부합하는 청각적 효과음 또는 음악을 자동 추천해주거나, 전시자 또는 관람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properties, content, story, and artist history of digital exhibits, or whe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where the digital exhibit is displayed, or when viewing the digital exhibit/viewing time/ When based on the weather/season of the viewing day, etc., or when based on the tastes and preferred music genres of viewers viewing digital exhibitions, or when based on the exhibition planning intention of the exhibitor and the personal/social message the exhibitor wishes to convey through the display of the exhibits, etc. Based on this, a function can be applied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uditory sound effects or music that best matches the visual display behavior of the digital exhibition, or allows the exhibitor or viewer to set them directly.

또한 추천된 음악 콘텐츠와 관련하여 해당 음악 콘텐츠를 좋아하는 타 관람자(타 사용자)가 관심을 갖거나 좋아하는 디지털 전시물을 연이어 추천해주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도 9 참조).Additionally, in relation to the recommended music content, a function may be applied to successively recommend digital exhibitions that other viewers (other users) who like the music content are interested in or like (see FIG. 9).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는 전시 관람자인 해당 사용자의 음악 취향에 따른 선호 음악 장르 정보 및 동일 디지털 전시품을 기존에 관람한 전시 관람자들로부터 통계적으로 가장 우세하게 취합되는 선호 음악 장르 정보를 합집합 관계로 추출한 제1 추출 정보; 상기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는 현재 관람 시간과 관련된 계절 및 날씨 정보를 추출한 제2 추출 정보; 상기 디지털 전시품을 전시한 전시 개설자의 전시 기획 의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전시품의 전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상기 전시 개설자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메시지를 추출한 제3 추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music genre according to the music taste of the user, who is an exhibition viewer viewing the digital exhibition, and statistically most dominant information from exhibition visitors who have previously viewed the same digital exhibition. First extra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extracting preferred music genre information through a union relationship; second extraction information extracting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viewing time of the digital exhibition; According to the exhibition planning intention of the exhibition organizer who displayed the digital exhibition product, third extracted information that extracts the personal or social message of the exhibition organizer to be conve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digital exhibition product can be obtained.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3 추출 정보에 따른 전시 기획 의도에 따른 개인적/사회적 메시지에 가장 부합하는 상기 제1 추출 정보에 따른 선호 음악 장르를 선택한 후, 상기 제2 추출 정보에 따른 계절 및 날씨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계절, 동일 날씨, 동일 시간대에 상기 동일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한 전시 관람자들이 해당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할 때 함께 들었던 음악 중 빈도수에 따라 높은 빈도수를 가진 사전 지정된 개수만큼의 음악을 자동 추천해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selects a preferred music genre according to the first extracted information that best matches the personal/social message according to the exhibition plann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n selects the preferred music genre according to the second extracted information. Based on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songs with a high frequency among the music that exhibition visitors who viewed the same digital exhibition in the same season, weather, and time zone listened to while viewing the digital exhibition. can be automatically recommended.

이때,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3 추출 정보에 따른 개인적/사회적 메시지의 경중을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척도화하고, 상기 제1 추출 정보에 따른 선호 음악 장르를 통계적 분류에 따른 음조 및 빠르기에 기준하여 척도화한 후, 머신 러닝 기반으로 척도별 매칭도를 계산하여 상기 개인적/사회적 메시지의 경중에 맞춰 높은 매칭도를 갖는 선호 음악 장르를 선별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scales the severity of personal/social messages according to the third extracted information according to pre-designated standards, and selects the preferred music genre according to the first extracted information by pitch and speed according to statistical classification. After scaling based on , the matching degree for each scale is calculated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a method of selecting preferred music genres with a high matching degre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personal/social message can be appl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that and can be changed.

Claims (5)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전시 개설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 기획을 하는데 이용하고 전시물에 관한 콘텐츠 제작을 하는데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시 관람자로서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물의 관람을 하는데 이용하고 상기 전시 개설자 또는 다른 전시 관람자와의 소통을 하는데 이용하는 디지털 전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지털 전시에 관한 플랫폼 운영 및 관리를 수행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되는 디지털 전시품의 작품 설명에 관한 원본 텍스트에 TTS(Text to Speech) 변환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디지털 전시품에 관한 도슨트(docent) 기능을 적용하되, 전시 관람자인 사용자가 도슨트될 목소리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원본 텍스트 내의 글자의 자간의 상대적 대소에 따라 도슨트의 빠르기를 조절하고, 상기 원본 텍스트 내의 글자 크기의 상대적 대소에 따라 도슨트의 목소리 톤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는 전시 관람자인 해당 사용자의 음악 취향에 따른 선호 음악 장르 정보 및 동일 디지털 전시품을 기존에 관람한 전시 관람자들로부터 통계적으로 가장 우세하게 취합되는 선호 음악 장르 정보를 합집합 관계로 추출한 제1 추출 정보; 상기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는 현재 관람 시간과 관련된 계절 및 날씨 정보를 추출한 제2 추출 정보; 상기 디지털 전시품을 전시한 전시 개설자의 전시 기획 의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전시품의 전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상기 전시 개설자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메시지를 추출한 제3 추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추출 정보에 따른 전시 기획 의도에 따른 개인적/사회적 메시지에 가장 부합하는 상기 제1 추출 정보에 따른 선호 음악 장르를 선택한 후, 상기 제2 추출 정보에 따른 계절 및 날씨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계절, 동일 날씨, 동일 시간대에 상기 동일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한 전시 관람자들이 해당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할 때 함께 들었던 음악 중 빈도수에 따라 높은 빈도수를 가진 사전 지정된 개수만큼의 음악을 자동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
As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s,
The user uses it to plan an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s an exhibition creator and uses it to create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ion, or the user uses it to view the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s an exhibition viewer and the exhibition creator or other exhibitor uses it to view the exhibition in a web or app environment. A digital exhibition application program used to communicate with viewers; And a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that performs platform operation and management regarding digital exhibitions and provides cloud-based digital exhibition services.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TTS (Text to Speech) conversion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original text related to the work description of the digital exhibition exhibited in the above web or app environment to apply the docent function for the digital exhibition, but the user who is the exhibition viewer becomes the docent. Allows the voice to be selected, adjusts the speed of the doc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size of letters in the original text, and adjusts the pitch of the docent's voice tone according to the relative size of letters in the original text,
A product that extracts the preferred music gen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usic taste of the user who is an exhibition viewer viewing the digital exhibition product and the preferred music genre information statistically most dominantly collected from exhibition visitors who have previously viewed the same digital exhibition product in a union relationship. 1 Extract information; second extraction information extracting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viewing time of the digital exhibition; Obtaining third extraction information that extracts the personal or social message of the exhibition creator that the exhibition creator who displayed the digital exhibition product wants to convey through the display of the digital exhibition product according to the exhibition planning intention of the exhibition creator,
After selecting a preferred music genre according to the first extracted information that best matches the personal/social message according to the exhibition plann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xtracted information, the same season is selected based on the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xtracted information. , a social system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 pre-determined number of songs with a high frequency among the music that exhibition visitors who viewed the same digital exhibition in the same weather and at the same time listened to while viewing the digital exhibition.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시 관람자인 사용자가 상기 웹 또는 앱 환경에서 전시되는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하면서 느낀 감정을 태그 입력하거나 해당 감정에 상응하는 감정 심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태그 입력 또는 상기 감정 심볼 선택시 해당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상기 태그 입력 또는 상기 감정 심볼 선택의 결과에 근거할 때, 동일 디지털 전시품을 관람한 후에 느낀 감정이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른 동일 감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감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의 전시 관람자들을 그룹화하고, 그룹화한 관람자들 중 정보 공개에 동의한 관람자들에 관한 정보를 해당 그룹에 속한 관람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동일 감정을 갖는 전시 관람자들 간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커뮤니티 그룹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gital exhibition application program is,
Provides a screen interface that allows users, who are exhibition viewers, to tag the emotions they feel while viewing digital exhibits displayed in the web or app environment or select emotional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emotions,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Points are awarded to the user when the tag is entered or the emotional symbol is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entering the tag or selecting the emotional symbol, grouping a plurality of exhibition visitors whose emotions they felt after viewing the same digital exhibition ar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emotions belonging to the same emotional category according to pre-specified criteria, Characterized by implementing a community group function so that a community can be formed between exhibition visitors with the same emo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ose who have agreed to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among the grouped visitors to the viewers belonging to the group. ,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3 추출 정보에 따른 개인적/사회적 메시지의 경중을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척도화하고, 상기 제1 추출 정보에 따른 선호 음악 장르를 통계적 분류에 따른 음조 및 빠르기에 기준하여 척도화한 후, 머신 러닝 기반으로 척도별 매칭도를 계산하여 상기 개인적/사회적 메시지의 경중에 맞춰 높은 매칭도를 갖는 선호 음악 장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뮤지엄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erver,
The severity of personal/social messages according to the third extracted information is scaled according to pre-specified standards, and the preferred music genre according to the first extracted information is scaled based on pitch and speed according to statistical classification, and then the machine A social museum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matching degree for each scale based on learning and selecting preferred music genres with a high matching degre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personal/social message.
KR1020210027558A 2020-02-28 2021-03-02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KR1025983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16 2020-02-28
KR20200025016 2020-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239A KR20210110239A (en) 2021-09-07
KR102598321B1 true KR102598321B1 (en) 2023-11-03

Family

ID=7779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558A KR102598321B1 (en) 2020-02-28 2021-03-02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3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056A (en) 2021-05-12 2022-11-2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Big data-based art convergence AI service user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11B1 (en) * 2015-11-02 2017-10-16 백명섭 Method for 3d virtual gallery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2075833B1 (en) * 2018-03-15 2020-02-11 주식회사 노다멘 Cu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of art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239A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cord Beyond the head: The practical work of curating contemporary art
Manovich Avant-garde as Software
Gürsimsek Animated GIFs as vernacular graphic design: producing Tumblr blogs
Mihailova To dally with Dalí: Deepfake (Inter) faces in the art museum
Guzik Information sharing as embodied practice in a context of conversion to Islam
van Leeuwen The new visuality of writing
Rhee et al. Visual content analysis of visitors’ engagement with an instagrammable exhibition
Milner Jr Celebrity culture as a status system
KR102598321B1 (en) Digital exhibition platform system for social museum service
Bayer Evangelizing the ‘Gallery of the Future’: a critical analysis of the Google Art Project narrative and its politic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stakes
Hansson Controlling singularity: The role of online communication for young visual artists’ identity management
Grincheva The ‘GuggenTube’phenomenon: breaking the boundaries of a ‘digital museum’space
Karrebæk et al. Punjabi at heart: Language, legitimacy, and authenticity on social media
Cook et al. Euphoria and Dystopia: The Banff New Media Institute Dialogues
Guha Making a “Hate-Watch”: Netflix’s Indian Matchmaking and the Stickiness of “Cringe Binge TV”
Polak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mmunication with Music Fans: An Example from South Korea
Udell The museum of the infinite scrol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google arts and culture as a virtual tool for museum accessibility
Carreira Experimental curating in times of the perpetual beta
Brage The rise of Brutalism and Antidesign: And their implications on web design history
Zhao Data-Driven Storytelling for Casual Users
Mainsah et al.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curating an artistic event with African youth in a Norwegian city
Stiefvatter Sinnfluencers on the rise–a critical visual content analysis of green and mainstream influencers on Instagram
Dragulescu Data portraits: aesthetics and algorithms
Gross The Artists in the Branded World. A Theoretical Approach to Artist Personal Branding
Crowston Requirements of the Renée Crown University Honors Program 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