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932B1 - Drone - Google Patents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932B1
KR102597932B1 KR1020220093362A KR20220093362A KR102597932B1 KR 102597932 B1 KR102597932 B1 KR 102597932B1 KR 1020220093362 A KR1020220093362 A KR 1020220093362A KR 20220093362 A KR20220093362 A KR 20220093362A KR 102597932 B1 KR102597932 B1 KR 10259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unit
purification
batter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6156A (en
Inventor
김혜숙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102022009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932B1/en
Publication of KR2023012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9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thereby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 using steam, electricity,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8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power plant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고, 비행 중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방제 및 비료 살포가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은, 드론몸체부 및 상기 드론몸체부 외측에 결합되며, 구동(驅動)되어 상기 드론몸체부를 비행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몸체부의 내부에는, 지상통제장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상통제장비가 송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that can easily discharge heat generated by a battery to the outside, can remove fine dust during flight, and can perform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body and a plurality of driving parts that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and are driven to fly the drone body, and inside the drone body,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wireless 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is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drive unit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ive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power from the battery. It includes a circuit board including one or more circuit elements driven using.

Description

드론{DRONE}Drone {DRONE}

본 발명은 드론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고, 비행 중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방제 및 비료 살포가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that can easily discharge heat generated by a battery to the outside, can remove fine dust during flight, and can perform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Drone)은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로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단순한 사격 연습에 사용되었으나,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뿐만 아니라 촬영용 또는 운송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Drones, which ar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re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and were initiall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and used for simple shooting practice. However, with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they are used not only for military purposes but also for filming or transportation. It is being expanded and distributed to various fields.

일반적으로 드론은 양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부,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지상의 원격조정자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한다.In general, a dron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that output lift,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exchanges data with a remote controller on the groun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s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Her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by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and a propeller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드론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고출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높은 온도의 열이 발생하고, 배터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드론이 포함하는 회로기판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드론의 제작 시 드론 몸체에 기공 등을 포함하는 방열이 가능한 구조의 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발열을 배출하기 위한 설계에 따라 방수가 가능한 드론은 제작하기 어렵다.As the batteries used in drones require high output, they generate high temperature heat,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ies can affect the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drone, making it necessary to create pores in the drone body when manufacturing the drone. A design of a structur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is requir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waterproof drone that is designed to dissipate heat from the battery.

한편, 농업기술(agricultural technology)은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작물 재배를 위해 자동화가 많이 발전되어 있으나, 농촌의 노동 인력들이 고령화됨에 따라 자동화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농업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의 경우, 작업의 난이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에도 위협을 주는 요인이 있어 자동화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은 작물에 따라서 연간 10회 이상 필요한 것으로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작업자에 의한 동력분무기를 이용한 노동집약적인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은 생산비의 절감이 어렵고, 고압용 노즐에서 발생된 미세입자의 비산으로 인한 손실은 물론 근접 작업자의 중독사고가 우려되며, 불균일한 살포로 인하여 방제 및 비료 살포의 효과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과도한 노동력투하와 더불어 전술한 각종 문제점 발생에 따른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의 기피현상 등이 심화되고 있어, 새로운 작업 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으로 드론을 조종하면서 농약 및 비료를 살포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농지 방제 및 비료 작업은 작업 면적에 따라 드론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조종한다.Meanwhile, agricultural technology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Automation has been greatly developed for crop cultivation, but as the rural workforce ages, the importance of automa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work, which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agriculture, not only is the work difficult, but there are also factors that pose a threat to the health of workers, so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utomation is urgently needed. Typically,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work is required more than 10 times a year depending on the crop, placing a great burden on worker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duce production costs in the labor-intensive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work using power sprayers by workers, and there are concerns about loss due to scattering of fine particles generated from high-pressure nozzles, as well as poisoning of nearby workers, and uneven Spraying may reduce the effectiveness of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In this way, the avoidance of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work due to the various problems mentioned above, along with excessive labor commitment, is becoming more severe,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work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echnology to spray pesticides and fertilizers while remotely controlling a drone is being researched. Farmland pest control and fertilizer work using drones involves setting the drone's movement path or manually controlling it depending on the work area.

또한 농업용 드론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 구조를 위해 방수 기능이 도입되는 드론은 개발되기 어려워 드론을 이용한 방제 및 비료 살포 시 그 방제 및 비료가 드론 내부로 침투되어 드론의 유지 및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although agricultural drones are being developed, as mentioned above,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drone with a waterproof function for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so when pest control and fertilizer are sprayed using a drone, the pest control and fertilizer penetrate into the drone, causing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drone. Management is difficul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5998호 (2021년04월05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35998 (announced on April 5, 20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147호 (2020년09월02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51147 (announced on September 2, 202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3104호 (2021년03월26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33104 (published on March 26, 202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고, 비행 중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방제 및 비료 살포가 가능한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provide a drone that can easily discharge heat generated by a battery to the outside, remove fine dust during flight, and perform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비행 가능한 드론(Drone)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드론몸체부 및 상기 드론몸체부 외측에 결합되며, 구동(驅動)되어 상기 드론몸체부를 비행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몸체부의 내부에는, 지상통제장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상통제장비가 송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capable of flying, and the drone is coupled to the drone body and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and is driven. 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that fly the drone body, and inside the drone body, 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operates the driving units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 control unit, the driver unit,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are mounted,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ircuit board including one or more circuit elements driven using power from the battery.

상기 드론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가 실장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회로기판이 실장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회로기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밖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포함하는 방열판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이 포함하는 방열판의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포함하는 방열판의 타단은, 상기 드론몸체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열의 전달을 위한 제1 열전도도(Thermal conductance)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회로기판 간 열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열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Inside the drone body, a first area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circuit board is mounted are formed,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each formed by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and a heat sink for transferring heat out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one end of the heat sink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ttery, and one end of the heat sink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ttery. One end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of the drone body portion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heat sink is,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thermal conductance for heat transfer, and a slit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 reduce heat transfer between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The sl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thermal conductivity to reduce the transfer of heat.

상기 드론은, 상기 구동부 간 위치되도록 상기 드론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일단이 상기 드론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정화지지대, 상기 정화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정화프로펠러부 및 상기 정화프로펠러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정화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타단은, 상기 구동부 간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의 타단은, 상기 정화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drone is coupled to a side of the dron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units, and further includes a purifying unit that removes dust contained in the air, wherein the purifying unit includes a purifying support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one body, 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urification support, and includes a purification propeller unit that rotates to generate an air flow, and a purification filter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urification propeller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s located between the driving units.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s form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purification unit.

상기 드론몸체부의 하부에는 액체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액체수용부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 상기 액체를 가압하는 실린더부, 상기 가압된 액체가 저장되는 가압용기부, 상기 가압된 액체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에 의해 가압된 액체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의 일단에는 무게추가 포함되어 상기 가압된 액체의 배출 범위를 넓힌다.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body includes a liquid receiving portion, and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tank portion containing the liquid, a cylinder portion pressurizing the liquid, a pressurizing container portion storing the pressurized liquid, and discharge of the pressurized liquid. It includes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valve unit for controlling and a plurality of nozzles through which liquid pressurized by the valve unit is discharged, and a weight is included at one end of the nozzle to expand the discharge range of the pressurized liquid.

상기 액체수용부는,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액체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액체의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액체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 상으로 비행시킨다.The liquid receiving unit includes a weight sensor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liquid when the weight of the liquid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weight. The drone is flown over the location where the liquid is stored.

본 발명인 드론에 따르면, 배터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고, 비행 중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방제 및 비료 살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drone, it is easy to discharg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to the outside, remove fine dust during flight, and enable pest control and fertilizer spray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수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so,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includ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지상통제장비로부터 구동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상통제장비는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또는 지상관제센터의 별도 서버, 별도 장치를 포함한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ly by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from ground control equipmen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user terminals including controllers or smart phones, or includes separate servers and separate devices in the ground control center.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회전익 방식의 멀티콥터 드론일 수 있으며, 구동부(200)의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양력을 발생시킨다. 드론(1000)은 일반적으로 프로펠러의 개수에 따라 트윈(2개), 트라이(3개), 쿼드(4개), 헥사(6개), 옥타(8개), 도데카(12개) 등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구동부(200)가 쿼드방식인 드론(쿼드콥터(quadcopter) 또는 쿼드로터(quadrotor))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otary-wing multicopter drone, and generates lift by rotating the propeller of the driving unit 200. Drones (1000) are generally divided into Twin (2), Tri (3), Quad (4), Hexa (6), Octa (8), Dodeca (12)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opellers. 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quad-type drone (quadcopter or quadrotor) with a driving uni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도 1을 참조하면, 드론몸체부(100) 및 드론몸체부(100)의 외측에 결합되며, 구동(驅動)되어 드론몸체부(100)를 비행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rone body 100 and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100, and is driven to fly the drone body 100. It includes two driving units 200.

복수개의 구동부(200)는 드론몸체부(100) 외측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된다. 구동부(200)는, 일단이 드론몸체부(100) 외측에 결합되는 구동지지대(201)를 포함한다. 구동지지대(201)의 타단은 구동프로펠러부와 결합된다. 구동프로펠러부는, 구동프로펠러(203) 및 구동모터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200 are each radial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100. 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driving support 201,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drive support 201 is coupled to the drive propeller portion. The driving propeller part includes a driving propeller 203 and a driving motor.

구동프로펠러(203)는 구동되어 양력 또는 추력을 발생시켜 드론몸체부(100)를 비행시킨다. 구동모터는 구동프로펠러(203)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드론몸체부(100) 내부에 실장된 배터리(10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프로펠러(203)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구동모터는 구동변속기(ES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프로펠러(203)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변속기가 구동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The driving propeller 203 is driven to generate lift or thrust to make the drone body 100 fly. The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propeller 203, and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02 mounted inside the drone body 100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propeller 203. The drive motor may include a drive transmission (ESC). The drive motor may be driven by a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propeller 203. Alternatively, the drive transmission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drive motor.

본 발명에 따른 드론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제어부 및 배터리(102)가 실장된다. A control unit and a battery 102 are mounted inside the dron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지상통제장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는, 지상통제장비와 Wi-Fi, 위성통신 또는 셀룰러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셀룰러 통신은 LTE 및 5G 통신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ground control equip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partment can communicate with ground control equipment via Wi-Fi, satellite communication, or cellular. Cellular communications include LTE and 5G communications.

제어부는 배터리(102)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 데이터의 연산을 위한 CPU 등 연산모듈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회로기판(104)을 더 포함한다. 회로기판(104)은, 종래 드론(1000)들과 같이, 무선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로 소자는 지상통제장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연산하여, 연산된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부(200), 상세하게는 구동모터 또는 구동변속기를 동작시킨다.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ircuit board 104 that includes one or more circuit elements driven using power from the battery 102, an operation module such as a CPU for calculating data, and a memory in which data is stored. The circuit board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like the conventional drone 1000, and the circuit element calculat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operates the driver 200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in detail. operates the drive motor or drive transmission.

제어부는 비행제어기, 센서융합기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기본적인 자세제어가 가능하며, GPS 모듈이 탑재되어 위치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비행제어기는 수신한 원격 비행명령어를 센서 융합기에서 보내온 상태 추정치와 비교, 그 차이 값으로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들을 PWM 신호로 변환해 구동부(200)로 전달한다. 회전운동은 3축 자이로센서, 3축 가속도센서, 3축 지자기센서를 이용하고, 병진운동은 GPS수신기와 기압센서를 이용한다. 기압센서는 안정적인 고도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며, 지자기 센서는 방향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드론(1000)의 방향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후술하게 될, 중량센서를 더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various sensors such as flight controllers and sensor fusion devices to enable basic attitude control, and is equipped with a GPS module to exchange location data. The flight controller compares the received remote flight command with the state estimate sent from the sensor fusion device, calculates the rotation speed using the difference, converts the calculated results into a PWM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riving unit 200. Rotational movement uses a 3-axis gyro sensor,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3-axis geomagnetic sensor, and translational movement uses a GPS receiver and barometric pressure sensor.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enables stable altitude control, and the geomagnetic sensor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drone (1000) by recording data about the direction.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배터리(102)는 구동부(200)(더 정확히는, 구동프로펠러부) 및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 및 배터리(102)는 드론몸체부(100) 내부에 실장된다. 드론몸체부(100) 내부의 공간이 한정되어, 용량이 큰 배터리(102)가 실장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드론(1000)에 실장되는 배터리(102)의 크기가 제한되고 이는 드론(1000)의 운용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한정된 드론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용량이 큰 배터리(102)를 실장하기 위해 배터리(102)와 회로기판(104)은 인접할 수밖에 없다.The battery 102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200 (more precisely, the driving propeller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nd battery 102 are mounted inside the drone body 100. Because the space inside the drone body 100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battery 102 with a large capacity. Accordingly, the size of the battery 102 mounted on the drone 1000 is limited, which shortens the operating time of the drone 1000. Additionally, in order to mount the battery 102 with a large capacity in the limited internal space of the drone body 100, the battery 102 and the circuit board 104 must be adjacent to each other.

드론(1000)에 사용되는 배터리(102)는 고출력을 발휘함에 따라 발열이 생기고, 이 때 발생하는 발열은 제어부, 상세하게는 회로기판(104)에 영항을 줄 수 있다. 배터리(102)의 발열이 회로기판(104)에 영향을 줌에 따라 회로기판(104)에 포함된 회로 소자 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드론(1000)의 비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The battery 102 used in the drone 1000 generates heat as it exerts high output,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may affect the control unit, specifically the circuit board 104. As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102 affects the circuit board 104, it may also affect circuit elements included in the circuit board 104, which may also affect the flight of the drone 10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top view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드론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102)가 실장되는 제1 영역(101)과 회로기판(104)이 실장되는 제2 영역(103)이 형성된다. 제1 영역(101)과 제2 영역(103)은 각각 배터리(102) 및 회로기판(104)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3) 밖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열판(1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inside the dron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rea 101 on which the battery 102 is mounted and a second area 103 on which the circuit board 104 is mounted are formed. do. The first area 101 and the second area 103 have a heat sink 110 for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102 and the circuit board 104 out of the first area 101 and the second area 103, respectively. )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110) 각각은, 도 3을 참조하면, 일단은 제1 영역(101) 또는 제2 영역(103)에 위치하고, 타단은 드론몸체부(100)의 측벽을 관통하여 드론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방열판(110)의 타단은 두 개의 구동프로펠러부 간 위치하여 구동프로펠러부의 구동에 의한 드론(1000)의 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heat sinks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located in the first area 101 or the second area 103,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the side wall of the drone body 100 and extending into the drone body 100. It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10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is located between the two driving propeller part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ight of the drone 1000 due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propeller part.

일단이 제1 영역(101)에 위치한 방열판(110)은 배터리(102)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로기판(104)이 아닌 드론(1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배터리(102)의 발열이 회로기판(104)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제2 영역(103)에 위치한 방열판(110)도 회로기판(104)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터리(102)가 아닌 드론(1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회로기판(104)의 발열이 배터리(102)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The heat sink 110,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101, discharges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102 to the outside of the drone 1000, not to the circuit board 104,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102 is transferred to the circuit board ( 104) does not affect it. In addition, the heat sink 110 located in the second area 103 also discharges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board 104 to the outside of the drone 1000, not the battery 102,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circuit board 104 is transferred to the battery 102. ) so as not to affect it.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110)은 열의 전도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된다. 방열판(110)은 배터리(102) 및 회로기판(104)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한 제1 열전도도(Thermal conductance)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방열판(110)의 제1 열전도도는, 후술하게 될, 슬릿(120)의 제2 열전도도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sink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 sink 1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thermal conductivity for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102 and the circuit board 104. The first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 sink 110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seco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l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드론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영역(101)과 제2 영역(103)의 경계에는 배터리(102) 및 회로기판(104) 간 열 전달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슬릿(120)이 형성된다. 슬릿(120)은 열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방열판(110)이 구리, 알루미늄, 철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릿(120)은 유리, 석면 또는 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101 and the second area 103 formed inside the dron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evice for preventing or reduc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battery 102 and the circuit board 104. A slit 120 is formed. The slit 1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thermal conductivity to reduce heat transfer. For example, if the heat sink 110 is made of copper, aluminum, iron, or an alloy thereof, the slit 120 may be made of glass, asbestos, or wood.

한편, 물질에 따른 열전도도는, 그래핀 4800~5300W/mK, 다이아몬드 900~2300W/mK, 은 429W/mK, 구리 400W/mK, 금 318W/mK, 알루미늄 237W/mK, 철 80W/mK, 납 35W/mK, 스테인리스 스틸 12~45W/mK, 콘크리트 1.7W/mK, 유리 1.1W/mK, 석면 0.16W/mK, 나무 0.04~0.4W/mK, 공기 0.025W/mK, 에어로젤 0.004~0.04W/mK 등이다.Meanwhile, the therm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material is graphene 4800~5300W/mK, diamond 900~2300W/mK, silver 429W/mK, copper 400W/mK, gold 318W/mK, aluminum 237W/mK, iron 80W/mK, lead 35W/mK, stainless steel 12~45W/mK, concrete 1.7W/mK, glass 1.1W/mK, asbestos 0.16W/mK, wood 0.04~0.4W/mK, air 0.025W/mK, airgel 0.004~0.04W/ mK, etc.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정화부(300)를 더 포함한다. 정화부(300)는 정화지지대(301) 및 정화프로펠러부를 포함한다. 정화지지대(301)는 일단이 드론몸체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정화지지대(301)의 타단에는 정화프로펠러부가 결합된다. 한편, 도시의 편의 상 본 발명에 따른 정화부(300)는 도 1 및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urifying unit 300 that removes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purification unit 300 includes a purification support unit 301 and a purification propeller unit. One end of the purification support 30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one body 100. A purification propeller un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urification support 301.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purifi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FIGS. 1 and 2.

정화프로펠러부는, 정화프로펠러(303), 정화프로펠러(303)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정화프로펠러(303)를 동작시키는 정화모터 및 정화모터의 구동속도를 변화시키는 정화변속기(ESC)를 포함한다. 정화모터 또는 정화변속기는 배터리(10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된다.The purification propeller unit includes a purification propeller 303, a purification motor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to operate 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and a purification transmission (ESC) that changes the driving speed of the purification motor. The purification motor or purification transmission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02 and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정화부(300)는, 내부에 정화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정화관(310)을 더 포함한다. 정화관(310)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원기둥, 원뿔 또는 수직단면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지도록 윗면과 아랫면의 넓이가 다른 원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The purification unit 300 further includes a purification pipe 310 including a purification propeller unit therein. The purification pipe 310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with a space inside, a cone, or a cylinder with different upper and lower areas so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 has a trapezoidal shape.

정화관(310)의 중심에는 정화프로펠러부가 위치하고, 정화프로펠러부의 상부 및 하부, 즉 정화관(3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정화필터(311)가 결합된다. 정화필터(311)는 공지의 공기청정기 용 헤파 필터 또는 카본 필터 등을 포함한다.A purification propeller un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urification pipe 310, and purification filters 311, which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urification propeller unit,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urification pipe 310. The purification filter 311 includes a known HEPA filter or carbon filter for air purifiers.

정화지지대(301)는 정화프로펠러부가 방사형으로 결합된 구동부(200) 간 위치되도록 드론몸체부(10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정화지지대(301)는, 정화프로펠러부가 전술한 방열판(110)의 타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방열판(110)의 타단 상측에 정화프로펠러부가 위치하도록 결합된다.The purification support 301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drone body 100 so that the purification propeller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parts 200 radially coupled. At this time, the purification support 301 is coupled so that the purification propeller portion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and is preferably coupled so that the purification propeller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판(110)은, 구동프로펠러부에 의한 드론(1000)의 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타단이 양 구동부(200) 간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정화부(300)도 양 구동부(200) 간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구동프로펠러부에 의한 드론(1000)의 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sink 110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is positioned between both driving units 2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ight of the drone 1000 by the driving propeller unit. Therefore, the purification unit 300 is also formed to be located between both driving units 2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ight of the drone 1000 by the driving propeller unit.

정화프로펠러(303)는, 정화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구동하는 정화프로펠러(303)는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정화프로펠러(303)는 상측의 공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정화필터(311)는 정화프로펠러(30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며, 따라서 정화필터(311)는 정화프로펠러(303)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화프로펠러(303)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최종적으로 정화프로펠러부의 하부에 위치한 방열판(110)의 타단에 접한다. 따라서 정화프로펠러(303)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는 정화필터(311)에 의해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방열판(110)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드론몸체부(100) 내부에서 생긴 열이 전달된 방열판(110) 타단을 냉각시킬 수 있어, 드론(1000)이 비행함에 따라 방열판(110)의 타단을 냉각시키는 것보다 더 빠르게 방열판(110)의 타단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is driven to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purification motor. The driven purification propeller 303 rotates to generate air flow. Preferably, 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moves ai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purification filter 311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and therefore the purification filter 311 can remove fine dust from the air moving by 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In addition, the air mov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the purifying propeller 303 finally contacts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urifying propeller unit. Therefore, fine dust is removed from the air moving by the purification propeller 303 by the purification filter 311, and the air from which the fine dust is removed moves to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generated inside the drone body 100. Since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to which heat is transferred can be cooled,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can be cooled faster than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is cooled as the drone 1000 flies.

한편 정화관(310)이 윗면과 아랫면의 넓이가 다른 원기둥의 형태일 경우, 윗면의 넓이가 아랫면의 넓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화관(3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이동할 때의 공기 흡입이 더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purification pipe 310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with different area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and thus air flows from the upper to the lower part of the purification pipe 310. It is easier to inhale air when moving.

한편, 방열판(110)은 드론몸체부(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고, 방열판(110)의 타단에서 냉각됨에 따라 발열판의 면에 물 등 액체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게 될, 액체수용부(400)가 배출하는 액체가 방열판(110)에 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방열판(110)이 냉각됨에 따라 발생한 액체 또는 액체수용부(400)가 배출할 때 묻은 액체를 흐르도록 하기 위해 방열판(110)은 드론몸체부(100) 외부에서 타단까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판(110)의 상면에는 발생한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홈이 파여질 수 있다.Meanwhile, as heat generated in the drone body 100 is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110 and cooled at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110, liquid such as water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10. Alternatively,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liquid contain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adhere to the heat sink 110.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liquid generated as the heat sink 110 to cool or the liquid deposited when the liquid receiving part 400 is discharged to flow, the heat sink 11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angle from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100 to the other end. You can. Additionally,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ink 110 to allow the generated liquid to flow.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액체수용부(400)를 더 포함한다. 액체수용부(400)는 드론몸체부(100) 하부에 결합된다. 드론몸체부(100)와 액체수용부(400) 간에는 액체수용부(4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공지의 드론(1000) 용 짐벌(401, Gimba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짐벌(401)의 상부는 드론몸체부(100)의 하부와 결합되고, 짐벌(401)의 하부는 액체수용부(40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quid container 400. The liquid container 4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100. A known gimbal 401 for the drone 1000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drone body 100 and the liquid container 400 to prevent shaking of the liquid container 400. Accordingly, the upper part of the gimbal 40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100, and the lower part of the gimbal 40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400.

액체수용부(400)는 액체를 수용하며, 드론(1000)이 비행할 때 지면을 향해 수용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액체수용부(4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고, 배터리(102)는 액체수용부(400)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액체수용부(400)가 수용하는 액체는 농업에 이용되는 방제용 액체 또는 비료용 액체 등일 수 있다.The liquid container 400 accommodates liquid, and can discharge the liquid toward the ground when the drone 1000 flies.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liquid container 400, and the battery 102 a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liquid container 400. The liquid accommodated by the liquid container 400 may be a pest control liquid or a fertilizer liquid used in agricultur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수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액체수용부(400)는, 도 4를 참조하면, 탱크부(410), 실린더부(420), 가압용기부(430), 밸브부(440) 및 배출부(4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liquid receiv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part 410, a cylinder part 420, a pressurized container part 430, a valve part 440, and a discharge part 450. do.

탱크부(410)는 방제용 또는 비료용 액체가 수용되는 탱크를 포함한다. 탱크부(410)와 실린더부(420) 간에는 탱크부(410)에 수용된 액체가 실린더부(420)로 이동하는 액체관(411)을 포함한다. 탱크부(410)에 수용된 액체는 실린더부(420)로 이동하며, 실린더부(420)는 이동된 액체를 가압한다. The tank unit 410 includes a tank containing liquid for pest control or fertilizer. Between the tank unit 410 and the cylinder unit 420, there is a liquid pipe 411 through which the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unit 410 moves to the cylinder unit 420. The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unit 410 moves to the cylinder unit 420, and the cylinder unit 420 pressurizes the moved liqui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42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er uni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린더부(420)는, 도 5를 참조하면, 드론(1000)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관(413)을 더 포함한다. 실린더부(420)는 공기관(413)과 액체관(411)에서 유입된 액체 및 공기를 혼합하여 가압할 수 있다. 액체 및 공기가 함께 혼합 및 가압됨에 따라 액체의 압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공기관(413)의 일단은 실린더부(420)와 결합되고, 공기관(413)의 타단은 전술한 정화프로펠러부 및 방열판(110)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관(413)을 통해 실린더부(420)로 유입되는 공기는 미세번지가 제거된 공기의 비중이 높다. Referring to FIG. 5 , the cylinder unit 420 further includes an air pipe 413 through which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of the drone 1000. The cylinder unit 420 can pressurize the mixture of liquid and air introduced from the air pipe 413 and the liquid pipe 411. As the liquid and air are mixed and pressurized together, the pressure of the liquid can become higher. Meanwhile, one end of the air pipe 413 may be coupled to the cylinder portion 420,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pipe 413 may be formed to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urification propeller portion and the heat sink 110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air flowing into the cylinder unit 420 through the air pipe 413 has a high proportion of air from which fine particles have been removed.

실린더부(420)는, 흡입된 공기 및 물을 가압하는 실린더(423)와 그 실린더(423)를 동작시키는 동력장치부(421)를 포함한다. 동력장치부(421)는 공지된 모터일 수 있다. 동력장치부(421)는 실린더(423) 내 실린더 로드 등을 왕복운동 동작시킨다.The cylinder unit 420 includes a cylinder 423 that pressurizes the sucked air and water, and a power unit 421 that operates the cylinder 423. The power unit 421 may be a known motor. The power unit 421 operates the cylinder rod within the cylinder 423 in a reciprocating motion.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423)의 내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관(413) 및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관(411)과 연결되어 공기 및 액체를 흡입한다. 공기관(413) 및 액체관(4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420) 내에서 만나 공기 및 액체가 함께 실린더(423)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관(413) 및 액체관(411)이 각각 실린더(423)의 내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interior of the cylinder 4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air pipe 413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liquid pipe 411 through which liquid flows in to suck air and liquid. The air pipe 413 and the liquid pipe 411 meet within the cylinder portion 420 as shown in FIG. 5, and air and liquid can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423 together, but the air pipe (411) is not limited to this. 413) and the liquid pipe 411 may each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423.

한편, 공기관(413) 및 액체관(411)과, 실린더(423)의 연결부는 공지된 체크밸브(check valve, 415)와 결합되어 공기 및 액체가 단방향으로 실린더(423)의 내부로 진입만 가능하고 실린더(423)의 내부에 흡입된 공기 및 액체가 다시 공기관(413) 및 액체관(411)으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다. Meanwhi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air pipe 413 and the liquid pipe 411 and the cylinder 423 is combined with a known check valve (415), so that air and liquid can only enter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423 in one direction. and prevents the air and liquid sucked into the cylinder 423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pipe 413 and the liquid pipe 411.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423)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및 액체는 왕복운동(피스톤 운동)하는 실린더(423)에 의해 가압되어 액체의 압력이 높아진다.The air and liquid sucked into the cylinder 4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surized by the cylinder 423 in reciprocating motion (piston movement),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liquid.

본 발명에 다른 실린더부(420)는 가압용기부(430)를 향해 가압된 액체를 배출하는 실린더관(427)을 더 포함한다. 실린더(423)와 실린더관(427)의 일단은 공지된 체크밸브(425)로 결합되어 가압된 액체가가 다시 실린더(423)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 실린더(423) 내에서 가압된 액체는 가압용기부(430)를 향해서만 이동한다. 실린더부(420)에서 가압된 액체는 가압용기부(430)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실린더부(420)와 가압용기부(430) 간에는 가압된 액체가 이동하는 실린더관(427)이 포함된다.The cylinder uni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ylinder tube 427 that discharges the pressurized liquid toward the pressurized container unit 430. One end of the cylinder 423 and the cylinder tube 427 is coupled with a known check valve 425 to prevent the pressurized liqui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423 again, so that the pressurized liquid within the cylinder 423 is It moves only toward the pressurized container unit 430. The liquid pressurized in the cylinder unit 420 moves to the pressurized container unit 430 and is stored. A cylinder tube 427 through which pressurized liquid moves is included between the cylinder unit 420 and the pressurized container unit 430.

가압용기부(430)에 저장된 액체는 밸브부(440)에 의해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가압용기부(430)와 밸브부(440) 간에는 가압된 액체가 밸브부(4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관(431)이 포함된다.Discharge of the liquid stored in the pressurized container unit 430 may be controlled by the valve unit 440. A pressure tube 431 through which pressurized liquid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part 440 is included between the pressure container part 430 and the valve part 44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밸브부(4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한 가압된 액체는 배출부(45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부(450)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복수개의 연질 노즐(451)을 포함한다. 밸브부(440)와 배출부(450) 간에는 밸브관(441)으로 연결되고, 밸브관(441)은 복수개의 노즐(451)들과 연결된다. 복수개의 노즐(451)은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복수개의 노즐(451)은 각각 일단에 일정 중량을 가진 무게추(453)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노즐(4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압된 액체는 노즐(451)이 포함하는 무게추(453)에 의해 노즐(451)이 자유롭게 운동함에 따라, 가압된 액체의 배출 시 그 배출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The pressurized liquid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unit 44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450. The discharge unit 450 extends downwar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oft nozzles 451. The valve unit 440 and the discharge unit 450 are connected by a valve pipe 441, and the valve pipe 44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nozzles 451.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451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451 includes a weight 453 having a certain weight at one end. The pressurized liq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451 moves freely due to the weight 453 included in the nozzle 451, so that when the pressurized liquid is discharged, the range of discharge is changed. can be expanded.

한편, 액체수용부(400)는 탱크부(410)에 수용된 액체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중량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중량센서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량센서는 탱크부(410)에 수용된 액체의 중량이 기 설정된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경우(예를 들어 탱크부(410)에 수용 가능한 전체 액체 중량의 1/5 등), 그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Meanwhile, the liquid receiving part 400 includes a weight sensor (not shown) that can detect the weight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part 410. The weight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weight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unit 410 decreases below a preset certain weight (for example, 1/5 of the total liquid weight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tank unit 410), the weight sensor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do.

제어부는 중량센서로부터 액체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정보를 수신하면, 드론(1000)이 액체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 상으로 비행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GPS 모듈을 포함하여 비행중인 드론(1000)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하고 지상통제장비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에도 GPS모듈을 포함하는 위치데이터생성장치가 포함된다. 이 때, 이 위치는 드론(1000)의 최초 비행 시작 위치일 수도 있다. 제어부는 현재 비행중인 드론(1000)의 위치데이터와 액체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의 위치데이터를 비교하여 비행중인 드론(1000)을 액체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 상으로 복귀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weight sensor that the weight of the liquid has decreased below a certain weight, it controls the driving unit 200 so that the drone 1000 flies to the location where the liquid is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GPS module and can generate location data of the flying drone 1000 and transmit and receive it with ground control equipment. In addition, the location where the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lso includes a location data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GPS module. At this time, this location may be the initial flight start location of the drone 1000.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location data of the currently flying drone 1000 with the location data of the location where the liquid is stored and controls the drive unit 200 to return the flying drone 1000 to the location where the liquid is stor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농업용 드론(1000)을 활용한 농지 방제 및 비료 작업은 지상통제장비를 통해 수동으로 비행 경로를 조작하거나, 또는 작업 면적에 따라 드론(1000)의 비행 경로를 기 설정할 수 있다. 드론(1000)의 이동 경로가 기 설정된 경우, 드론(1000)이 이륙하는 위치(즉, 드론 스테이션)에서 드론(1000)이 이륙하여 드론(1000) 스테이션에서 일정거리 비행할 때까지는 지상통제장비를 통해 드론(1000)의 비행을 조작하고, 일정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드론(1000)의 비행 경로는 기 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른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한 액체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정보를 지상통제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지상통제장비는 드론(100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경우, 드론(1000)의 비행 경로를 조작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farmland pest control and fertilizer work using a conventional agricultural drone (1000) can manually manipulate the flight path through ground control equipment, or the flight path of the drone (1000) can be preset according to the work area. . If the movement path of the drone (1000) is preset,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s not used until the drone (1000) takes off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rone (1000) takes off (i.e., the drone station) and fli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rone (1000) station. The flight of the drone (1000)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panel, and when the drone (1000) moves away from a certain distance, the flight path of the drone (1000) follows a preset flight path.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can transmit information that the weight of the received liquid has decreased below a certain weight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may manipulate the flight path of the drone 1000 when the distance to the drone 1000 is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에 의한 방제 및 비료 작업을 하는 면적이 큰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복수개가 동시에 운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작업하는 면적이 큰 경우, 복수개의 드론(1000)은 각각 서로 다른 구역에 방제 및 비료 작업을 수행한다. 복수개의 드론(1000)은 각각 기 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방제 및 비료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각 드론(1000)은 구비한 중량센서에 의해 액체수용부(400)에 수용된 액체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경우, 그 정보를 지상통제장비로 송신할 때 다른 인근의 드론(1000)으로 그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그 정보를 수신한 다른 드론(1000)은 자신의 비행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즉 그 정보를 수신한 다른 드론(1000)은, 그 정보를 송신한 드론(1000)의 비행 경로를 합하여 다른 드론(1000)의 비행 경로를 수정한다. 따라서 액체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하여 드론(1000) 스테이션으로 복귀한 드론(1000)의 작업 구역은 액체가 충분한 다른 드론(1000)이 맡아 계속 작업할 수 있다.When the area on which pest control and fertilizer work by 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s large, a plurality of drone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In this case, when the working area is large, a plurality of drones (1000) each perform pest control and fertilizer work in different areas. The plurality of drones 1000 each fly along a preset flight path and perform pest control and fertilizer work.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liquid container 400 decreases below a certain weight by the weight sensor provided, each drone 100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to detect other nearby drones 1000.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gether. Another drone 1000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can modify its flight path. That is, the other drone 1000 that received the information modifies the flight path of the other drone 1000 by adding the flight path of the drone 1000 that transmitted th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work area of the drone 1000 that has returned to the drone 1000 station because the weight of the liquid has decreased below a certain weight can be taken over by another drone 1000 with sufficient liquid and can continue to work.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는, V2X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V2X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노변기지국(RSU) 또는 차량(OBU)과 V2X 통신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2X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method. 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est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by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with a roadside base station (RSU) or a vehicle (OBU).

일반적으로, V2X 통신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V2X 통신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는 피계측장치 및 그 피계측장치와 V2X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한 데이터를 계측,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하는 계측장치를 포함한다. 계측장치 및 피계측장치는 각각 V2X 모듈을 구비하여 V2X 통신 규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시험의 여건 상 계측장치 및 피계측장치는 실내에서 무선으로 연결되어 시험장치 및 피시험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성능이 시험되거나, 실제 차량에 V2X 모듈이 포함된 계측장치가 탑재되고, 그 차량을 도로 상에서 주행하여 통신 성능을 테스트해왔다.Generally, in a system for testing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measured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measured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and measures and analyzes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to determine V2X communication. Includes measuring equipment to test performance.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ed device are each equipped with a V2X module,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Depending on the test conditions,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ed device are connected wirelessly indoors to tes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test device and the tested device, or a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V2X module is mounted on an actual vehicle and the vehicle is driven on the road. Communication performance has been tested by driving.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에는 종래 실내 또는 차량에 탑재되던 V2X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노변기지국 또는 다른 차량과 V2X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통신 데이터를 지상통제장비로 송신하며, 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 지상통제장비에는 통신 성능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그 통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변기지국 또는 차량의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V2X communication module that was conventionally mounted indoors or in a vehicle, enabling V2X communication with a roadside base station or other vehicles,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 program to test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installed in the received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data can be analyzed to test th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or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노변기지국 또는 차량을 포함하는 피계측장치(미도시)는, 도로 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규격에 따라 수집한 도로 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A roadside base station or a measured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ata on the road,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llected data on the road according to the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standard.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피계측장치와 V2X 통신 규격에 따라 도로 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통제장비는, 드론(1000)으로부터 도로 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도로 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계측장치는, RTCM(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정보를 이용하여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RTK 모듈 및 V2X 통신 규격에 따라 도로 상 데이터 및 측정된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드론(1000)으로 송수신하는 V2X 모듈을 포함한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road with a measured device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standards.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road data from the drone 1000 and analyzes the road data to test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measure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RTCM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information to measure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device and an RTK module that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device and data on the road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Includes a V2X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o the drone (1000).

드론(1000)과 피계측장치는 V2X 통신 규격에 따라 서로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드론(1000)은 피계측장치와 송수신한 데이터를 지상통제장비로 송신한다. 드론(1000)과 피계측장치가 통신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BSM(Basic Safety Message)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드론(1000)과 피계측장치가 통신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BSM 메시지 외에 다른 V2X 통신 방식에 의해 생성 및 송수신되는 메시지에도 포함될 수 있다.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drone 1000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easured device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may be included in a Basic Safety Message (BSM) message. In addition,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may be included in messages generated and transmitted and received by other V2X communi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BSM messages.

지상통제장비는 드론(10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한다. 지상통제장비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한다. 지상통제장비는, 드론(1000)과 피계측장치가 송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상통제장비가 분석하는 데이터는 피계측장치 및 드론(1000)이 포함하는, 센서모듈, 위치측정 모듈,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CAN 모듈 등에 의해 수집된 도로 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로 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정보, 차량 추돌 경고, 차량 고장 경고, 작업 구간 알림, 실시간 교통정보, 낙하물 정보제공, 노면 기상정보제공과 관련한 데이터를 포함한다.Ground control equipment analyzes data received from the drone (1000) and tests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that can analyze data and display the results of testing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nalyzes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and displays the results of th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 on the display modul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m. The data analyzed by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road data collected by the measured device and the drone 1000, such as a sensor module,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and a CAN module that collects driving information. Data on the road includes, for example, data related to vehicle driving information, vehicle collision warning, vehicle breakdown warning, work zone notificati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falling object information, and road surface weath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피계측장치는 도로 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피계측장치는 드론(1000)과 V2X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계측장치는 수집한 도로 상 데이터를 V2X 통신 규격에 따라 드론(1000)으로 송수신한다.The measure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ata on the road. The measured device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rone 1000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standards. The measured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the collected road data to the drone 1000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standards.

본 발명에 따른 피계측장치는, 노변기지국(RSU, Road Side Unit) 및/또는 테스트 차량에 설치된다. 노변기지국은 노변(路邊)에 설치되는 ITS 인프라 장치로, 도로 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V2X 통신 규격에 따라 V2X 통신 모듈이 탑재된 차량과 송수신한다. The measure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adside unit (RSU) and/or a test vehicle. Roadside base stations are ITS infrastructure devices installed on the roadside, which collect data on the road and transmit and receive the collected data with vehicles equipped with V2X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standards.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0)은, 노변기지국 및/또는 테스트 차량에 설치된 피계측장치와 V2X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드론(1000)이 송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드론(1000)과 무선 연결된 지상통제장비로 송신되고, 지상통제장비는 그 정보를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한 결과는 지상통제장비의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되어 사용자는 V2X 통신 성능 테스트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 measured device installed in a roadside base station and/or a test vehicle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Information about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drone (1000)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one (1000),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nalyzes the information and tests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the test results are provided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so users can check the results of th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

피계측장치는, 도로 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모듈, RTCM(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정보를 이용하여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RTK 모듈, V2X 통신 규격에 따라 수집된 도로 상 데이터 및 측정된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드론(1000)으로 송수신하는 V2X 모듈을 포함한다. 테스트 차량에 설치된 피계측장치는, C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테스트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CAN 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measured device includes a sensor module that collects data on the road, an RTK module that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device using RTCM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information, and on-road data and measurements collected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standards. It includes a V2X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device to the drone 1000. The measured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vehicle further includes a CAN module that collect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est vehicle using the CAN protocol.

피계측장치가 포함하는 센서모듈은, 도로 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은, 영상감시장치(映像監視裝置),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신호제어기(信號制御機), 기상센서(Meteorologica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included in the measured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data on the road. For example, a sensor module may include a video surveillance device, radar, lidar, signal controller, and meteorological sensor.

RTK(Real Time Kinematic)는 실시간 이동 정밀 측정 기술로 주로 위성 항법 시스템에서 수 센티미터 정도의 오차를 유지하기 위한 초정밀, 첨단 기술이다.RTK (Real Time Kinematic) is a real-time moving precision measurement technology that is mainly used in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to maintain an error of several centimeters.

피계측장치가 포함하는 RTK 모듈은 RTCM(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정보를 이용하여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RTK 모듈은 피계측장치의 변화되는 위치를 측정하여 피계측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는 도로 상 데이터로서 V2X 모듈에 의해 드론(1000)으로 송신된다. RTK 모듈은 위치 보정을 위한 RTCM 정보를 수신하는 RF부, 수신된 RTCM 정보를 이용하여 1cm 및 1ppm 정확도로 위치를 측정하는 RTK부 및 RF부와 RTK부를 제어하는 V2X제어부를 포함하고, RTK부는 GPS, GNSS, GLONASS, QZSS 및 Beidou를 지원할 수 있다.The RTK module included in the measured device can measure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device using RTCM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information. The RTK module measures the changing position of the measured device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asured device, and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rone 1000 by the V2X module as road data. The RTK module includes an RF unit that receives RTCM information for position correction, an RTK unit that measures the position with 1cm and 1ppm accuracy using the received RTCM information, and a V2X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F unit and the RTK unit, and the RTK unit uses GPS , can support GNSS, GLONASS, QZSS and Beidou.

피계측장치가 포함하는 V2X 모듈은, 드론(1000)과 V2X 통신 규격에 따라 피계측장치가 생성하거나 수신한 도로 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V2X 모듈은 V2X 통신 규격에 따른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RF 신호를 아날로그 I/Q 신호로 변환하는 RF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I/Q 신호를 디지털 I/Q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I/Q 신호를 V2X 통신 규격에 따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신호의 V2X 통신 성능을 측정하는 모뎀부 및 상기 RF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모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V2X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2X module included in the measured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on-road data generated or received by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The V2X module receives an RF (Radio Frequency) signal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and converts the received RF signal into an analog I/Q signal. The V2X module converts the converted analog I/Q signal into a digital I/Q signal. A data conversion unit, a modem unit that decodes the converted digital I/Q signal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standards and measures th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decoded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RF unit, the data conversion unit, and the modem unit. It may include a V2X control unit.

피계측장치가 테스트 차량에 설치될 때 포함하는 CAN 모듈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한다. 주행 정보는, 차량의 가속, 감속, 제동 등 정보를 포함한다. 주행 정보는 피계측장치가 드론(1000)으로 송신하는 도로 상 데이터에 포함된다. CAN 모듈은 C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CAN 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WIFI 모듈 및 BT(Bluetooth)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B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device is installed in the test vehicle, the CAN module included collects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cceleration, deceleration, and braking of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oad data transmitted from the measured device to the drone 1000. The CAN module can collect vehicle driving information using the CAN protocol. The CAN module may include a WIFI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WIFI (Wireless Fidelity) and a BT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BT (Bluetooth).

피계측장치가 수집한 도로 상 정보는, V2X 모듈에 의해 드론(1000)으로 송신된다. 드론(1000)은, 피계측장치의 V2X 통신 규격에 따른 송수신 성능을 계측한다. The roa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easured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drone 1000 by the V2X module. The drone 1000 measur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measured device according to the V2X communication standard.

지상통제장비는 드론(1000)의 V2X 모듈이 송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지상통제장비는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한다. 연산부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V2X 통신 성능을 평가한다. 지상통제장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통신 성능의 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표출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면, 지상통제장비는 수신한 도로 상 데이터, 피계측장치의 위치 정보, 주행 정보, V2X 통신 성능, 계측 장치의 위치 정보 및 계측 장치의 주행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다.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a calculation unit that tests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by analyz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V2X module of the drone 1000. 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software and display modules to test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calculation unit executes software to evaluat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displays the test results of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through the user interface. When the user executes the user interface,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displays the received road dat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asured device, driving information,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module. It can be expressed.

한편, 연산부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데이터를 분석할 때, 평가항목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의 평가항목은 패킷오류율(PER), 지연시간(Latency), 최대통신거리(MCD), 수신신호강도(RSSI), Heading Error, Jitter, Distance를 포함한다. Meanwhile, when analyzing data using software, the calculation unit analyzes the data according to evaluation items. Evaluation items at this time include Packet Error Rate (PER), Latency,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MCD),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Heading Error, Jitter, and Distance.

지상통제장비는 주행 화면 표시부, 성능 항목 표시부, 주행 정보 표시부, 지도 표시부 및 그래프 표시부를 포함한다, 주행 화면 표시부는 계측 장치의 주행 화면을 실시간 스트리밍하고, 성능 항목 표시부는 계측된 V2X 통신 성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주행 정보 표시부는 계측 장치의 주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지도 표시부는 드론(1000) 및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지도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그래프 표시부는 계측된 V2X 통신 성능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a driving screen display unit, a performance item display unit,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a map display unit, and a graph display unit. The driving screen display unit streams the driving screen of the measurement device in real time, and the performance item display unit displays the measured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real time. 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in real time, the map display unit displays the locations of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on the map in real time, and the graph display unit shows the measured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It can be displayed as a graph.

지도 표시부는, 드론(1000) 및 피계측장치가 각각 측정한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한다. 이때의 지도는 Google Map을 이용할 수 있어 지도 상 실시간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도 표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드론(1000) 및 피계측장치의 위치를 도로 기반의 지도, 위성 사진 기반의 지도, 지형 기반의 지도 또는 도로, 위성 및 지형이 조합된 지도 상에 표시한다. 지도 표시부는 테스트 차량에 설치된 피계측장치와 드론(1000) 사이의 V2V 통신 또는 노변기지국에 설치된 피계측장치와 계측 장치 사이의 V2I 통신이 성공한 구간과 실패한 구간을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map display unit displays the positions measured by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on a map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module. The map at this time can use Google Maps, allowing real-time tracking on the map. The map display unit displays the locations of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on a road-based map, a satellite photo-based map, a terrain-based map, or a map combining roads, satellites, and terrain,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The map display unit can distinguish between successful and failed sections of V2V communication between the measured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vehicle and the drone (1000) or V2I communication between the measured device installed i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display them on the map in real time. You can.

그래프 표시부는 V2X 통신 성능을 그래프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한다. 그래프 표시부는, 연산부가 평가항목에 따라 V2X 통신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그래프화 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한다. 그래프 표시부는 설정한 입력 및 출력 정보에 따라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graph display unit displays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as a graph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odule. The graph display unit generates in real time the results of th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 by the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tems, graphs them,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module. The graph display unit can generate and display a graph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t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지상통제장비는, 로그 표시부 및 오차비교부를 더 포함한다.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further includes a log display unit and an error comparison unit.

로그 표시부는 드론(1000)으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로그(Log)를 수집한다. 로그 표시부가 수집한 통신 로그는 드론(1000) 및 피계측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로그를 포함한다. 즉, 로그 표시부가 수집한 통신 로그는 드론(1000)이 피계측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로그, 드론(1000)이 피계측장치로 송신한 데이터 로그, 피계측장치가 드론(1000)으로 송신한 데이터 로그 및 피계측장치가 드론(10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로그를 수집한다. 로그 표시부는 V2X 통신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 로그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할 수 있다. 로그 표시부는 피계측장치 및 드론(1000)의 통신 로그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출할 수 있다. The log display unit collects a communication log from the drone 10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log collected by the log display unit includes data transmission/reception logs of the drone 1000 and the measured device.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log collected by the log display unit is the data log received by the drone 1000 from the measured device, the data log transmitted by the drone 1000 to the measured device, and the data transmitted by the measured device to the drone 1000. The log and the measured device collect data logs received from the drone 1000. The log display unit can collec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logs according to V2X communication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module. The log display unit can calculate the communication log of the measured device and the drone 1000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module.

오차비교부는 드론(1000)이 송신한 송신 로그와 피계측장치가 수신한 수신 로그를 비교한다. 오차비교부는 송신 로그와 수신 로그를 비교한 후, 피계측장치가 데이터를 오차 없이 수신한 경우 ACK(ACKnowledge) 응답을 디스플레이모듈로 표출하여 데이터가 오차 없이 수신되었다라는 내용을 전달한다.The error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transmission log sent by the drone 1000 and the reception log received by the measured device. The error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transmission log and the reception log, and when the measured device receives the data without error, it sends an ACK (ACKnowledge) response to the display module to convey the message that the data was received without error.

지상통제장비는, 피계측장치 및/또는 드론(10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고유의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로 구분하여 DB(Data Base)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The ground control equipment can classify the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ed device and/or the drone 1000 into a unique hardware address (MAC Address) and store a DB (Data Base) file.

피계측장치 및 드론(1000)은, WAVE와 C-V2X의 V2X 통신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WAVE와 C-V2X는 프로토콜 스택 자체가 다르고, 데이터 변조 방법에 차이가 있다. C-V2X와 WAVE는 사용주파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동시에 사용하여도 상호 영향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계측장치 및 드론(1000)이 포함하는 V2X 모듈 및 제2 V2X 모듈은, C-V2X 모듈과 WAVE 모듈을 포함하고, C-V2X와 WAVE가 서로 다른 사용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여 피계측장치와 드론(1000)이 통신함에 따라 C-V2X 방식 및 WAVE 방식의 V2X 통신이 모두 가능하다.The measured device and drone 1000 can support V2X communication standards of WAVE and C-V2X. WAVE and C-V2X have different protocol stacks and different data modulation methods. If C-V2X and WAVE have different usage frequencies, there is no mutual influence even if they are used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V2X module and the second V2X module included in the measured device and the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V2X module and a WAVE module, and C-V2X and WAVE simultaneously use different usage frequencies. As the measured device and the drone 1000 communicate, both C-V2X and WAVE V2X communications are possible.

V2X 통신 성능의 평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능 메뉴, 주행화면 스트리밍, 2D 오차 평가 결과, 성능 평가 결과 그래프, 항목 별 실시간 정보, 웹 기반 지도 분석 창 및/또는 실시간 DU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 구성은 순서대로 주행 화면 표시부, 2D 오차 평가 결과 표시부, 그래프 표시부, (성능 항목 표시부 및 위치 정확도 표시부), 지도 표시부 및/또는 주행 정보 표시부와 같이 명명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for evaluating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may include a function menu, driving screen streaming, 2D error evaluation results,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graphs, real-time information for each item, web-based map analysis window, and/or real-time DUT information. Here, each component of the user interface may be named in order as a driving screen display unit, a 2D error evaluation result display unit, a graph display unit, (performance item display unit and location accuracy display unit), a map display unit, and/or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메뉴는, 로드 데이터베이스 항목, 세이브 데이터베이스 항목, 세이브 로그 항목, 선호도 세팅 항목, 시뮬레이션 시작 항목, 평가 테스트 정보 항목, 평가 시작 항목, 리포트 출력 항목 및/또는 프로그램 정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데이터베이스 항목 또는 시뮬레이션 시작 항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뮬레이션 동영상(평가 결과)을 불러와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V2X 성능 평가 시스템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과거에 진행했던 평가 시험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이 시작되면 지도 표시부에는 테스트에 사용된 장비(차량 단말기 및/또는 기지국) 및/또는 계측 장치의 위치가 마커로 표시되고 평가 결과 그래프 표시부에는 설정된 평가 항목에 대한 시험 데이터 값이 그래프로 표출되고, 주행 정보 표시부, 성능 항목 표시부 및/또는 위치 정확도 표시부에는 각 구성에 해당하는 값들이 표출될 수 있다. 세이브 데이터베이스 항목은 현재 평가하고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킬 수 있다. 세이브 로그 항목은 성능 평가 중 발생한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선호도 세팅 항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일반 설정 항목, 스트리밍 설정 항목, 지도 설정 항목, 그래프 설정 항목, 모니터 설정 항목 및/또는 평가 필요 조건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시뮬레이션 시작 항목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러온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실행시킬 수 있다. 평가 테스트 정보 항목은 해당 평가 시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평가 시작 항목은 평가를 시작시킬 수 있다. 리포트 출력 항목은 평가 결과를 리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정보 항목은 본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function menu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load database item, a save database item, a save log item, an affinity setting item, a simulation start item, an evaluation test information item, an evaluation start item, a report output item, and/or a program information item. . The load database item or simulation start item can load and run a simulation video (evaluation result) stored in the database. At this time, the V2X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an analyze evaluation tests conducted in the past using the stored database. And when the simulation starts, the location of the equipment (vehicle terminal and/or base station) and/or measuring device used in the test is displayed as a marker in the map display section, and the test data values for the set evaluation items are displayed in a graph in the evaluation result graph display section. In addition,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configur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performance item display unit, and/or location accuracy display unit. The save database item can save the data currently being evaluated to the database. The save log item can store logs that occurred during performance evaluation. Preference setting items can set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etc., and may include general setting items, streaming setting items, map setting items, graph setting items, monitor setting items, and/or evaluation requirement setting items,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m. The explanation is provided later. The simulation start item can run a simulation video loaded from the database. The evaluation test information item can be stored in a database by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tes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The evaluation start item can start the evaluation. Report output items can output evaluation results as a report. The program information item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this evaluation program.

주행 화면 표시부는 차량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주행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riving screen display unit can receive streaming video input through the camera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terminal and output it.

2D 오차 평가 결과 표시부는 드론(1000) 또는 피계측장치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2차원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The 2D error evaluation result display unit can display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00 or the measured device in a 2D graph.

성능 항목 표시부는 성능 항목(시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시험 항목은 PER, 최대 유효 통신 거리, 지연시간(Latency) 및/또는 데이터 전송률(Throughput)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item display unit can display performance items (test items). Test items may include PER, maximum effective communication distance, latency, and/or data transfer rate (Throughput).

주행 정보 표시부는 차량 단말기 또는 기지국의 GPS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GPS 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방향, 요 레이트 값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can display GPS information from a vehicle terminal or base station. GP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latitude, longitude, altitude, speed, direction, and yaw rate value.

위치 정확도 표시부는 계측 장치 또는 피시험 장치가 계측한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표시할 수 있다.The position accuracy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accuracy of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or the device under test.

지도 표시부는 차량 단말기, 계측 장치 및/또는 기지국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지도 표시부는 구글맵을 사용할 수 있고, 구글맵에서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도로, 위성 및/또는 지형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p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measurement device, and/or base station on the map. The map display can use Google Maps and can display hybrid, road, satellite, and/or topographic maps supported by Google Maps.

그래프 표시부는 설정한 입력 및 출력 정보에 따라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할 정보는 그래프 오른쪽의 X축값, Y1축값 및/또는 Y2축값을 입력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The graph display unit can generate and display a graph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t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can be determined by entering the X-axis value, Y1-axis value, and/or Y2-axis value on the right side of the graph.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감시장치는, 도로 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또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감시장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용도를 갖는 CCTV일 수 있으며, 각 CCTV는 서로 다른 소정 구역의 영상을 포함하는 도로 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도로 상(道路 上)은 도로변(道路邊)을 포함한다. *The video surveill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or a camera that generates video data by photographing the road. The video surveillance device may be a plurality of CCTVs with different purposes, and each CCTV may collect data on the road including images of different predetermined areas. 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on the road includes the roadside.

레이더는 무선탐지와 거리측정(Radio Detecting And Ranging)의 약어로 마이크로파(극초단파, 10cm~100cm 파장) 정도의 전자기파를 물체에 발사시켜 그 물체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물체와의 거리, 방향, 고도 등을 알아내는 무선감시장치로서, 전파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반사파를 수신한 시각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의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Radar is an abbreviation for Radio Detecting and Ranging. It emits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order of microwaves (10cm~100cm wavelength) to an object and receives th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determine the distance, direction, and altitude from the object. It is a wireless surveillance device that measures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an object by measuring the time until the time the reflected wave is received using the straight-line nature of radio waves.

라이다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하고, 그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받아 물체까지의 거리 등을 측정함으로써 주변의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장치로서, 라이다는 전통적인 레이다와 원리가 같으나 그 사용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이 다르다. 라이다는 대상 물체까지의 거리 뿐 아니라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라이다는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센서로 사용된다. Lidar is a device that precisely depicts the surroundings by firing a laser pulse,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surrounding objects, and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 Lidar is similar to traditional radar in its principles. It is the same, but the wavelength of electromagnetic waves used is different. LIDAR can measure not only the distance to the target object, but also the speed and direction of movement. LiDAR is used as a sensor to acquir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create 3D images.

신호제어기는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교통신호의 제어뿐만 아니라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집할 수 있다. A signal controller refers to a device that controls traffic signals, and can not only control traffic signals but also collect information about traffic signals.

기상센서는 기상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도로 상 자율주행하는 차량에 제공하는 기상 정보를 수집 및 생성할 수 있다.A weather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weather and can collect and generate weather information provided to autonomous vehicles on the road.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요약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상물의 위치·고도·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s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ltitude, speed, etc. of ground objects using artificial satellites.

GLONASS는 러시아 우주국 무선항법 시스템은 3축 위치, 속도결정 및 시간 스템프까지 전 세계 기지국에 분산 보급 운영하는 GLONASS는 미국의 GPS와 많은 점에서 닮았고 다른 점은 24개 위성이 3개 궤도에 8개씩 배치된 것뿐이다.GLONASS is a Russian space agency radio navigation system that distributes 3-axis position, speed determination, and time stamps to base stations around the world. GLONASS is similar to the US GPS in many ways, but the difference is that 24 satellites are placed 8 in 3 orbits. It just happened.

QZSS 또는 준텐초는 일본이 개발한 지역용 GNSS 시스템이다. 미국의 GPS가 전 세계용인데 비해, QZSS는 일본 전용이다. 일본 상공에 8시간 머무는 미치비키 위성 4기로 24시간을 커버한다. QZSS or Juntencho is a regional GNSS system developed by Japan. While America's GPS is for use around the world, QZSS is for Japan only. It covers 24 hours with four Michibiki satellites that hover over Japan for 8 hours.

베이더우는 중국이 개발한 지구측위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용 인공위성 또는 중국의 GPS 체계 자체를 일컫기도 한다.Beidou also refers to a satellite for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eloped by China or to China's GPS system itself.

갈릴레오 시스템은 미국의 GPS 독점에 대항해 유럽 연합(EU)과 유럽 우주 기관(ESA)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세계 최초의 민간용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이다.The Galileo system is the world's first civilia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at is being jointly promoted by the European Union (EU) and the European Space Agency (ESA) to counter the US GPS monopoly.

지상통제장비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데이터의 분석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Ground control equipment includes smartphones, tablet personal computers, mobile phones, video phones, desktop personal computers, and laptop personal computers equipped with software capable of analyzing data. computer), netbook compute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wearable device (e.g. smart glasses, head-mounted-device (HMD), etc. ) or a smart watch).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Display modul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flexible display.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망을 통해 드론(1000) 또는 지상관제센터의 별도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검색 정보 및 선택 정보의 입력과, 검색된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디지털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는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무인단말기(kiosk)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such as a desktop PC, laptop PC, tablet PC, or smartphone equipped wit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mouse, touchpad, or touch screen, and a display screen, and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a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You can access the drone (1000) or a separate server at the ground control center through any configuration that can process digital information, allowing input of search information and selection information, an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display search resul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o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d a desktop PC. (desktoppersonal computer), laptop PC (laptop personal computer), netbook compute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wearable device (e.g. smart glasses, head-worn devi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ead-mounted-device (HMD), etc.), unmanned terminal (kiosk), or smart watch).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지상관제센터의 별도 서버는 각각이 구비한 통신부 및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망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단말기와 서버가 각각 구비한 통신부는, 전술한 통신망을 통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망을 위해 구비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parate server of the ground control center can communicate through each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nd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wifi network,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s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respectively, may include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for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control units may be processors that execute sequential execution processes stored in memory. Alternatively, they may operate as software modules driven and controlled by a processor. Furthermore, a processor may be a hardware devi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to be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changes or substitutions that are obviou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0 : 드론몸체부 101 : 제1 영역
102 : 배터리 103 : 제2 영역
104 : 회로기판 110 : 방열판
120 : 슬릿 200 : 구동부
201 : 구동지지대 203 : 구동프로펠러
300 : 정화부 301 : 정화지지대
303 : 정화프로펠러 310 : 정화관
311 : 정화필터 400 : 액체수용부
401 : 짐벌 410 : 탱크부
411 : 액체관 413 : 공기관
415 : 체크밸브 420 : 실린더부
421 : 동력장치부 423 : 실린더
425 : 체크밸브 427 : 실린더관
430 : 가압용기부 431 : 가압관
440 : 밸브부 441 : 밸브관
450 : 배출부 451 : 노즐
453 : 무게추 1000 : 드론
100: Drone body 101: First area
102: Battery 103: Second area
104: circuit board 110: heat sink
120: slit 200: driving unit
201: Drive support 203: Drive propeller
300: Purification unit 301: Purification support
303: Purification propeller 310: Purification pipe
311: Purification filter 400: Liquid receiving part
401: Gimbal 410: Tank unit
411: liquid pipe 413: air pipe
415: check valve 420: cylinder part
421: Power unit 423: Cylinder
425: check valve 427: cylinder tube
430: Pressurized container part 431: Pressurized pipe
440: valve part 441: valve pipe
450: discharge unit 451: nozzle
453: Weight 1000: Drone

Claims (1)

비행 가능한 드론(Drone)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드론몸체부; 및
상기 드론몸체부 외측에 결합되며, 구동(驅動)되어 상기 드론몸체부를 비행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몸체부의 내부에는,
지상통제장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상통제장비가 송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가 실장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회로기판이 실장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회로기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밖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포함하는 방열판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이 포함하는 방열판의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포함하는 방열판의 타단은, 상기 드론몸체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열의 전달을 위한 제1 열전도도(Thermal conductance)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회로기판 간 열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열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드론은,
상기 구동부 간 위치되도록 상기 드론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정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일단이 상기 드론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정화지지대;
상기 정화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정화프로펠러부; 및
상기 정화프로펠러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정화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타단은, 상기 구동부 간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의 타단은, 상기 정화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론몸체부의 하부에는 액체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액체수용부는 수용된 액체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액체의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이하인 경우, 상기 드론을 상기 액체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 상으로 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In a drone that can fly, the drone:
Drone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and driven to fly the drone body;
Including,
Inside the drone body,
A control unit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operat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mounted,
The control unit,
A circuit board including one or more circuit elements driven using power from the battery,
Inside the drone body, a first area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circuit board is mounted are forme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each include a heat sink for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out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ne end of the heat sink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ttery,
One end of the heat sink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circuit board,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of the drone body portion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heat sink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thermal conductivity for transferring the heat,
A slit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 reduce heat transfer between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The sl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thermal conductivity to reduce the transfer of heat,
The drone is,
A purifying unit coupled to a side of the dron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units and remov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It further includes,
The purification department,
A purification support,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one body;
A purification propell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urification support and rotating to generate an air flow; and
Purification filter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urification propeller unit;
Including,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s formed to be located between the driving units,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s formed to be located below the purification uni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includes a liquid container, and the liquid container includes a weight sensor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contained liquid,
The control unit, when the weight of the liquid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weight, flies the drone to a location where the liquid is stored.
KR1020220093362A 2022-02-22 2022-07-27 Drone KR102597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362A KR102597932B1 (en) 2022-02-22 2022-07-27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05A KR102428531B1 (en) 2022-02-22 2022-02-22 Drone
KR1020220093362A KR102597932B1 (en) 2022-02-22 2022-07-27 Dr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05A Division KR102428531B1 (en) 2022-02-22 2022-02-22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156A KR20230126156A (en) 2023-08-29
KR102597932B1 true KR102597932B1 (en) 2023-11-02

Family

ID=828474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05A KR102428531B1 (en) 2022-02-22 2022-02-22 Drone
KR1020220093362A KR102597932B1 (en) 2022-02-22 2022-07-27 Dro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05A KR102428531B1 (en) 2022-02-22 2022-02-22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853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6782A1 (en) 2017-05-12 2018-11-15 Arto Koivuharju Air filtering apparatus
US20210188453A1 (en) 2015-05-01 2021-06-24 Intelligent Energy Limited Aerial dro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88A (en) * 2015-12-26 2017-07-05 자이로캠주식회사 The air cleaner and electric fan based on hovering or flying drone
KR101967993B1 (en) * 2017-08-21 2019-04-10 울산과학기술원 Air purifying drone
KR102151147B1 (en) 2018-07-30 2020-09-02 이해곤 Dust removing system using drone
KR102295789B1 (en) 2019-09-17 2021-08-3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Drone capable of adjusting propulsion direction
KR102379398B1 (en) * 2020-02-10 2022-03-28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Drone f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utonomous injection using the same
KR102235998B1 (en) 2020-09-17 2021-04-05 강명구 System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agricultural dro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8453A1 (en) 2015-05-01 2021-06-24 Intelligent Energy Limited Aerial drone
WO2018206782A1 (en) 2017-05-12 2018-11-15 Arto Koivuharju Air filter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kyPort: payload: medical cooler for the skyport(2015.06.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156A (en) 2023-08-29
KR102428531B1 (en)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0080B2 (en) Aerial video based point, distance, and velocity real-time measurement system
US9967707B2 (en) Weather data dissemination
US9654984B2 (en) Cell tower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00265329A1 (en) Lightweight platform for remote sensing of point source mixing and system for mixing model validation and calibration
US20160309337A1 (en) Wireless coverage testing systems and method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10010025A1 (en)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air vehicle with wimax communication
CN113196084A (en) Positioning system,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8150028A (en) Unmanned sensor placement in cluttered terrain
KR101929129B1 (en) Apparau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gricultural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60320775A1 (en) Cell towe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ystems and methods using robotic devices
Witayangkurn et al.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ntegrated with sensor observation service
WO2022015873A2 (en) An architecture for providing forecasts of gnss obscuration and multipath
US11287531B2 (en) Architecture for providing forecasts of GNSS obscuration and multipath
GB2601584A (en) Path planning using forecasts of obscuration and multipath
GB2601861A (en) Improving accuracy of a GNSS receiver that has a non-directional antenna
JP6553023B2 (en) Lagrang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flood conditions
CN112422927A (en) Real-time combination 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shooting video and map
KR20190037212A (en) System for exploring disaster site usinig drone
JP2023041675A (en) Drone-work support system and drone-work support method
Argrow et al. UAV systems for sensor dispersal, telemetry, and visualization in hazardous environments
KR102597932B1 (en) Drone
KR20190010126A (en) System for exploring disaster site usinig drone
CN107291092B (en) WiFi-supported air-ground cooperativ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US11579237B2 (en) Determining a plurality of installation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adio devices
US9947135B2 (en) Close-out audit systems and methods for cell sit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