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441B1 -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441B1
KR102597441B1 KR1020230024216A KR20230024216A KR102597441B1 KR 102597441 B1 KR102597441 B1 KR 102597441B1 KR 1020230024216 A KR1020230024216 A KR 1020230024216A KR 20230024216 A KR20230024216 A KR 20230024216A KR 102597441 B1 KR102597441 B1 KR 10259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ed person
message
messages
information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수진
현창하
Original Assignee
한수진
현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진, 현창하 filed Critical 한수진
Priority to KR102023002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4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분석하여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사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는, 상기 피보호자가 사용 중인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며,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 중인 채팅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하되,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채팅정보를 생성하는 채팅정보수집모듈; 및 상기 채팅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피보호자의 사용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정보연산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연산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및 채팅방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워드; 상기 피보호자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상대방; 상기 피보호자가 참여한 채팅방의 전체참여자가 관심을 갖는 제1 관심주제; 상기 피보호자가 관심을 갖는 제2 관심주제; 및 상기 피보호자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사용패턴; 을 포함하는 정보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통계정보는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for a protected pers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provide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protected person to the guardian by analyzing a chat application running on the terminal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preset manner, and includes an integrated server connected to a database, the integrated server comprising: A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chatting application that the protected person is using, collects messages from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and generates chat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s; and a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preset manner using the cha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It includes, and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ncludes: keywords used by the protected person and users of the chat room; A person exchanging messages with the protected person; A first topic of interest in which all participants of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participates are interested; a second topic of interest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interested; and usage patterns including usage time of the protected person; Provides a system in which statistical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groups including is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guardian, wherei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s calculated using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scription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for a protected pers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최근 들어, 날이 갈수록 학교폭력 문제가 심화되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학교폭력은 학생의 학부모에게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학교폭력 사건이 심화되고 나서야 아는 경우가 많다. Recently,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is worsening day by day and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particular, such school violence is often not known to the students' parents, so parents often find out about it only after the school violence incident has intensified.

이러한 학교폭력에 대하여 각 학교마다 학생들의 폭력, 고민, 왕따, 학교에 대한 불만사항을 신고하도록 신고함이 교내 출입구나 복도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교사가 순찰하여 신고함을 열어 확인해야 하므로 학생이 편지를 신고함에 투입, 신고하더라도 신고한 사실을 즉시 알지 못하여 학생들의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에는 신고함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였기에 현재 이 신고함은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Regarding such school violence, each school has a reporting box installed at the entrance or hallway of the school for students to report violence, concerns, bullying, and complaints about the school. However, teachers must patrol and open the reporting box to check, so students are Even if a letter is put into the report box and reported, students' difficulties are not promptly resolved because they are not immediately aware of the fact that the letter was reported. As the report box was not used properly in the past, it is currently being neglected.

이에, 전화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교장실이나 교무실에 신고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직접 학생이 교사에게 말로써 신고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의 입장이 난처하여 전화신고를 기피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지 못하여 학교의 폭력, 가출, 왕따 등의 생활문제 사고는 날로 증가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way to report students' difficulties directly to the principal's office or the teacher's office using the phone, but since this requires the student to report it verbally to the teacher, students are reluctant to report by phone because they are embarrassed. Accordingly, due to the inability to resolve students' difficulties, incidents of life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running away from home, and bullying are increasing day by day.

종래기술로 개시되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9551호는 학생들의 위치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보하여 학교 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CCTV와 같은 영상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사각지대에서 학교 폭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9551, which is disclosed as a prior art, discloses structur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by securing the location and images of students in real time, but in blind spots where imaging devices such as CCTV are not placed. When school violence occurs,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it cannot be prevented.

전술한 배경기술은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pplicant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955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955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보호자(예를 들어, 자녀)에게 수신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피보호자의 관심주제, 사용패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echnology is available to more accurately check the status of the ward by monitoring messages received from the ward (e.g., child)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ward's topics of interest, usage patterns, etc. I would like to propose.

또한, 피보호자가 사용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에 위험단어(예를 들어, 학교폭력 단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림으로써 피보호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방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message received from a chat application used by a protected person contains dangerous words (e.g., school violence words), the guardian is notified of this fact to prevent danger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to the protected person.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are provided.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분석하여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사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는, 상기 피보호자가 사용 중인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며,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 중인 채팅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하되,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채팅정보를 생성하는 채팅정보수집모듈; 및 상기 채팅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피보호자의 사용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정보연산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연산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및 채팅방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워드; 상기 피보호자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상대방; 상기 피보호자가 참여한 채팅방의 전체참여자가 관심을 갖는 제1 관심주제; 상기 피보호자가 관심을 갖는 제2 관심주제; 및 상기 피보호자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사용패턴; 을 포함하는 정보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통계정보는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analyzes a chat application running on the protected person's terminal in a preset manner and provide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protected person to the guardian. It includes an integrated server connected to a database, and the integrated server is used by the protected person. A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is connected to an active chat application and collects messages from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and generates chat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s; and a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preset manner using the cha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It includes, and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ncludes: keywords used by the protected person and users of the chat room; A person exchanging messages with the protected person; A first topic of interest in which all participants of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participates are interested; a second topic of interest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interested; and usage patterns including usage time of the protected person; Provides a system in which statistical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groups including is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guardian, wherei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s calculated using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또한, 상기 사용정보연산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관심주제를 판단하는 관심주제연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주제연산부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규정된 리딩메시지와 상기 리딩메시지에 대한 반응메시지를 기반으로 판단하되, 상기 반응메시지는, 직접반응메시지 및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하여 연산처리하고, 상기 직접반응메시지와 간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심주제를 판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may include a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topics of interest; It includes, wherein the interest topic calculation unit determines based on a leading message defined in a preset manner and a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is divided into a direct response message and an indirect response message and is processed. , the first and second topics of interest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different weights for the direct response message and the indirect response message.

또한, 상기 관심주제연산부는, 상기 리딩메시지와 반응메시지의 연관성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리딩메시지에 대한 간접반응메시지를 구분하는 제1 인공지능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공지능모델은, 상기 리딩메시지 및 반응메시지의 키워드를 각각 추출한 후, 상기 리딩메시지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키워드그룹에 상기 반응메시지의 키워드가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includes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and classifies the indirect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and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ing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After extracting the keywords of the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keyword of the response message is included in the keyword group related to the keyword of the leading message.

또한, 상기 관심주제연산부는, 제k 채팅방에서, 리딩메시지에 대한 직접반응메시지 및 간접반응메시지의 입력속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심주제를 판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관심주제는, 상기 피보호자가 참여한 제k+1 채팅방의 입력속도; 및 상기 특정 리딩메시지의 입력시간; 을 더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topics of interest by further considering the input speed of the direct response message and indirect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in the k chat room. The subject is the input speed of the k+1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participates; and input time of the specific leading message; It can be judged by further considering.

또한,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하는 채팅방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상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이벤트상황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상황관리모듈은,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들이 입력하는 메시지 중 위험메시지를 식별하는 제2 인공지능모델을 포함하는 위험메시지판단부; 및 상기 위험메시지판단부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위험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호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보호자알림부;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that provides the guardian with event situ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risk message determination unit includ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identifies risk messages among messages input by participants of the chat room; and a guardian notification unit that provides an alarm to the guardi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anger message for the protected person has been input through the danger message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보호자알림부는,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들이 입력하는 메시지의 입력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호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guardian notification unit may provide an alarm to the guardi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peed of messages input by participants in the chat room exceeds a preset standard speed.

또한, 상기 사용정보연산모듈은, 상기 채팅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입력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보호자질문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자질문처리부는, 상기 보호자가 입력한 문장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식별하는 제3 인공지능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채팅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ncludes a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nswers to questions input by the guardian using the chat information;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identifies at least one keyword of the sentence entered by the guardian, and cha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using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guardian.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a) 채팅정보수집모듈에 의해, 피보호자의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 중인 채팅방의 메시지가 수집되며,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채팅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b) 사용정보연산모듈의 관심주제연산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채팅방의 메시지 중에서 리딩메시지가 식별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리딩메시지로 구분된 메시지를 대상으로, 상기 리딩메시지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지능모델에 의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연관키워드그룹이 생성되는 단계; (d) 상기 리딩메시지 이후의 메시지를 대상으로, 반응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 각각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상기 키워드가 상기 (c) 단계에서 연산된 연관키워드그룹에 포함되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키워드가 상기 연관키워드그룹에 포함되면, 반응메시지로 구분되며, 상기 반응메시지의 수치 및 입력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채팅방 전체참여자의 제1 관심주제와 상기 피보호자의 제2 관심주제가 결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system, and (a) by means of a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messages from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are connected to the chatting applic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nd chatting information is collected based on the messages. Generating steps; (b) identifying a leading message among the messages in the chat room in a preset manner by the interest topic calculation unit of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c) extracting the keywords of the leading messages from the messages classified into the leading messages in step (b), and then generating a group of related keywords for the keywords by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in advance. ; (d) A step of identifying response messages targeting messages after the leading message. After extracting keywords for each of the messag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words are included in the related keyword group calculated in step (c). step; and (e) if a keyword is included in the related keyword group in step (d), it is classified into a response message, and considering the numerical value and input speed of the response message, the first topic of interest of all participants in the chat room and the subject of the protected person A step of determining a second topic of interest; Provides a method including.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반응메시지 중 상기 채팅어플리케이션의 직접답장기능을 사용한 형식의 메시지는 직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하고, 상기 직접반응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하되, 상기 직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를 상기 간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보다 크게 설정하여 반응도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e), among the response messages, messages in a format using the direct reply function of the chat application are classified as direct response messages, and the rest excluding the direct response messages are classified as indirect response messages. The degree of responsiveness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the weight of the response message to be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indirect response message.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리딩메시지 이후의 이미지파일, URL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되, 상기 반응메시지보다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반응도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step (e), at least one of an image file after the leading message, a message containing URL information, and an emoticon may be further considered, and the responsiveness may be determined by giving a greater weight than the reaction message.

본 발명은 피보호자(예를 들어, 자녀)에게 수신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피보호자의 관심주제, 사용패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피보호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messages received from a protected person (e.g., a child),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rotected person's topics of interest, usage patterns, etc., so that the status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또한, 피보호자가 사용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에 위험단어(예를 들어, 학교폭력 단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림으로써 피보호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message received from a chat application used by a protected person contains dangerous words (e.g., school violence words), danger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to the protected person can be prevented by notifying the guardian of this fact. .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various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deriv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관심주제연산부에서 반응메시지를 평가하는 예시적 방식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에서 관심주제를 판단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동작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The above-described and other aspects, features and benefits of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ethod of evaluating a response message in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of the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opic of interest in a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for a protect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the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llustr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features and structure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스템'으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은 피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써드파티 서버(미도시)로부터 문자 메시지(예를 들어, SMS, MMS 메시지)나, 인스턴트 메시지(예를 들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SNS 메시지, 이메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을 미리 명시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ereinafter, the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system'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chat application' used herein can be understood as any application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on a terminal owned by a protected person. It is specified in advance that this concept includes all text messages (e.g., SMS, MMS messages), instant messages (e.g., messages from messenger applications), SNS messages, and emails from third-party servers (not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통합서버(100)에서 수행되며, 통합서버(100)는 인공지능모델(103)과 연결된다. 인공지능모델(103)은 소정의 목적을 위해, 미리 학습되도록 구성된다. 피보호자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채팅어플리케이션(101)은 적어도 하나의 채팅방(102)이 동작되며, 상기 채팅방(102)의 메시지는 자동으로 통합서버(100)로 전송되어 수집되도록 구성된다. 무선네트워크망을 거쳐 통합서버(100)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 처리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system is performed on the integrated server 100, and the integrated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03.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03 is configured to be trained in advance for a predetermined purpose. The chatting application 101 used in the terminal of the protected person operates at least one chat room 102, and the messages in the chat room 102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server 100 and collected. It is processed in a preset manner in the integrated server 100 via a wireless network.

통합서버(100)에서 분석된 통계정보인 사용정보는 보호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정보는 보호자가 요청한 때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주기적인 리포트형태로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보호자가 참여 중인 채팅방(102)에 이벤트상황이 발생된 경우, 채팅방(102)의 다른 참여자(A, B, C, D)의 보호자의 연락처가 상기 피보호자의 단말기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보호자에게 자동 알림을 제공하여, 보호자의 빠른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 Usage information, which is statistical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tegrated server 100, is provided to the guardian. Us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hen requested by the guardian, or may be provided to the guardian in the form of periodic reports. As described later, when an event situation occurs in the chat room 102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participating,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guardian of the other participants (A, B, C, D) of the chat room 102 will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protected person's terminal. You can. In addition, when an event situation occurs, an automatic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guardian, encouraging the guardian to respond quick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합서버(100)는 채팅정보수집모듈(110), 사용정보연산모듈(120) 및 이벤트상황관리모듈(130)을 포함한다. 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integrated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a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0, and an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130.

채팅정보수집모듈(110)은 피보호자가 사용 중인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된다. 개인정보보안을 위해,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서, 피보호자의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 때,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피보호자가 참여 중인 채팅방 중 일부는 액세스(access)를 차단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The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chat application that the protected person is using. Fo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t can be connected to the chat applic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fter going through a certain authentication process. Of course,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guardian's selection, some of the chat rooms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participating may be preset to block access.

채팅정보수집모듈(110)은 채팅방연결부(111), 메시지수집부(112) 및 채팅정보생성부(113)를 포함한다. The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includes a chat room connection unit 111, a message collection unit 112, and a cha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3.

채팅방연결부(111)는 전술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보호자가 분석 대상이 되는 채팅방 또는 상대방을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호자가 별도의 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기본적으로 채팅방 및 상대방의 전체선택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chat room connection unit 111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authentication process and allow the guardian to select the chat room or counterpart to be analyzed. If the guardian does not make a separate selection, it can be set to default to all selections of the chat room and other parties.

메시지수집부(112)는 개별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메시지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수집부(112)는 데이터베이스모듈(미도시)과 연결되며,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essage collection unit 112 is configured to collect messages exchanged in real time in individual chat rooms. The message collec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a database module (not shown) and may be configured to store such information.

채팅정보생성부(113)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팅정보를 생성한다. 각 메시지의 종류, 시간, 발신자 등 메시지에 대한 모든 정보를 기반으로 채팅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시로서, 메시지 종류-내용(텍스트)-시간-발신자-호명키워드 등으로 구분되어 데이터패킷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패킷이 사용정보연산모듈(120)로 전송된다. The chat information generator 113 generates chat information using a message. Chat information is created based on all information about the message, such as the type, time, and sender of each message. As an example, a data packet may be formed by dividing message type - content (text) - time - sender - calling keyword, etc. These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to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0.

사용정보연산모듈(120)은 관심주제연산부(121), 통계정보생성부(122) 및 보호자질문처리부(123)를 포함한다. 사용정보연산모듈(120)은 채팅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피보호자의 사용정보를 연산하고, 사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0 includes an interest topic calculation unit 121, a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and a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123.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0 calculates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preset manner using cha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관심주제연산부(121)는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피보호자뿐만 아니라, 채팅방 전체참여자가 관심을 갖는 관심주제를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의 내용인 텍스트를 대상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심주제를 연산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메시지에 복수의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의 비율을 고려하여 연산한다. 예를 들어, A의 메시지에는 X와 Y의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으며, 미리 공지된 자연어처리를 이용하여 X는 30%의 비율로, Y는 70%의 비율로 연산시 반영될 수 있다. 만약, A의 메시지에 X라는 단일 키워드만 추출된 경우, X는 100%의 비율이라는 점에서 서로 취급을 달리한다.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121 is configured to calculate topics of interest to not only the protected person but also all chat room participants through a pre-trained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is is a method of calculating topics of interest by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text, which is the content of the message. Multiple keywords can be extracted from one message.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taking these ratios into consideration. For example, keywords X and Y can be extracted from A's message, and X can be reflected at a 30% rate and Y at a 70% rate when calculating using previously know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f only a single keyword, X, is extracted from A's message, they are treated differently in that

전체참여자의 관심주제를 제1 관심주제로 규정하고, 피보호자의 관심주제를 제2 관심주제로 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채팅방의 특정 참여자의 관심주제를 연산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피보호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특정 참여자의 관심주제를 연산하여 보호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The topic of interest of all participants is defined as the first topic of interest, and the topic of interest of the protected person is defined as the second topic of interes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ruct the guardian to calculate the subject of interest of a specific participant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guardian's selection. In this case, the subject of interest of the specific participant can be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tected person and output to the guardian.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관심주제연산부에서 반응메시지를 평가하는 예시적 방식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ethod of evaluating a response message in the subject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of the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for a protect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ure 3.

관심주제연산부(121)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규정된 리딩메시지와 상기 리딩메시지에 대한 반응메시지를 기반으로 판단한다. 이 때, 반응메시지는, 직접반응메시지 및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하여 연산처리하고, 직접반응메시지와 간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여 관심주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121 makes a decision based on a leading message defined in a preset manner and a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At this time, the response message is divided into a direct response message and an indirect response message and processed, and the weight of the direct response message and the indirect response message is set differently to determine the topic of interest.

리딩메시지는 다수의 공통 키워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 최초의 메시지를 의미한다. 일 예시적인 처리방식으로서, 메시지들은 모두 최초에 리딩메시지로 구분된 후, 키워드의 연관성에 대한 포함관계를 기준으로, 모두 그룹핑된다. The leading message refers to the first message among messages containing multiple common keywords. As an exemplary processing method, all messages are first classified into leading messages, and then all are grouped based on the inclusion relationship of the correlation of keywords.

즉, 키워드의 연관성이 있다고 확인된 메시지들은 특정 그룹으로 묶이게 되며, 이들 중 최초의 메시지를 리딩메시지로 규정한다. 리딩메시지를 발신한 참여자에게는 별도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해당 참여자의 관심주제를 파악할 때 고려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messages confirmed to have keyword relevance are grouped into a specific group, and the first message among them is designated as the leading message. Separate weight is given to the participant who sent the leading message. These weights can be considered when identifying the topic of interest of the participant.

제1 인공지능모델은, 리딩메시지 및 반응메시지의 키워드를 각각 추출한 후, 리딩메시지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키워드그룹에 반응메시지의 키워드가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반응메시지를 선정한다. 반응메시지를 기반으로 해당 키워드를 수치화한 후, 복수의 키워드들의 랭크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xtracts the keywords of the leading message and the reaction message, respectively, and then selects the reaction message by determining whether the keyword of the reaction message is included in the keyword group related to the keyword of the leading message. After quantifying the keyword based on the response message, the ranks of multiple keywords are provided to the guardian.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메시지는 직접반응메시지 및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된다. 직접반응메시지는 용어 그대로 리딩메시지에 대해 형식적으로 '답장기능'을 사용하여 답장을 한 형태이다. 피보호자가 사용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직접반응메시지가 가능한지 여부는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직접반응메시지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간접반응메시지만을 이용한다. 본원에서는 직접반응메시지 기능이 있는 채팅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response messages are divided into direct response messages and indirect response messages. Direct response messages, as the term suggests, are a form of formal reply to a leading message using the 'reply function'. Whether direct response messages are possibl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hat application used by the protected person. If there is no direct response message function, only indirect response messages are used. In this institute, the explanation is based on a chat application with a direct response message function.

반응메시지 중에서 직접반응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된다. 이 때, 직접반응메시지와 간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여 관심주제를 판단한다. 일 예시로서, 직접반응메시지에는 0.5를 부여하고, 간접반응메시지에는 0.3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Among response messages, except for direct response messages, the rest are classified as indirect response messages. At this time, the topic of interest is determined by setting different weights for the direct response message and the indirect response message. As an example, 0.5 may be assigned to a direct response message, and 0.3 may be assigned to an indirect response message. These weights can be optim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choice.

리딩메시지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키워드들을 점수화한 후, 이들의 랭크를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호자에게 채팅방 참여자의 관심주제를 신뢰도 높은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By categorizing the leading message based on keywords, scoring multiple keywords, and providing their ranks to the guardia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guardian with topics of interest to chat room participants in a highly reliable wa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에서 관심주제를 판단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opic of interest in a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for a protect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explained further with reference to FIG. 4 .

관심주제연산부(121)는, 리딩메시지에 대한 직접반응메시지 및 간접반응메시지의 입력속도를 더 고려하여 관심주제를 판단한다. 단순히 반응메시지의 숫자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관심주제에 대해 참여자들의 반응이 빠를 경우, 해당 키워드를 다른 키워드에 비해 더 우위에 있는 것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 때, 제1 및 제2 관심주제는, 피보호자가 참여한 제k+1 채팅방의 입력속도 및 특정 리딩메시지의 입력시간을 더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121 determines the topic of interest by further considering the input speed of the direct response message and indirect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Rather than simply considering the number of response messages, if participants respond quickly to a specific topic of interest, the keyword is treated as superior to other keywords.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topics of interest can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input speed of the k+1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participates and the input time of a specific leading message.

리딩메시지의 입력시간은 '입력시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월/요일/시간 등에 따라, 참여자들의 반응속도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시로서, 월요일 2:00 AM의 반응속도와 금요일 6:00 PM의 반응속도는 다를 것이 명백하므로, 제1 인공지능모델에 의해 반응속도가 느릴 것으로 연산되는 시각에서의 속도와, 반응속도가 빠를 것으로 연산되는 시각에서의 속도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put time of the leading message can be understood as ‘input time’. This is because the reaction speed of participa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day/month/week/time, etc. As an example, it is clear that the reaction speed at 2:00 AM on Monday and the reaction speed at 6:00 PM on Friday are different, so the speed at the time when the reaction speed is calculated to be slow by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reaction speed are It is desirable to take into account all speeds at the time calculated to be fast.

통계정보생성부(122)는 보호자질문처리부(123)와 연동되며, 보호자질문처리부(123)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The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is linked with the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123 and generates statist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123.

보호자질문처리부(123)는 보호자가 입력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3 인공지능모델을 구비함에 따라, 보호자가 자유로운 문장 형식으로 질문을 입력할 경우,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The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123 is configured to provide answers to questions entered by the guardian. Equipped with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when a guardian enters a question in a free sentence format, an answer to this question is provided.

제3 인공지능모델은 보호자가 입력한 문장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식별하고, 제3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키워드에 대응되는 채팅정보를 연산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dentifies at least one keyword in the sentence entered by the guardian, calculates cha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using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provides it to the guardian.

이벤트상황관리모듈(130)은 피보호자가 활동하는 채팅방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상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위험메시지판단부(131), 보호자알림부(132), 참여자 보호자정보 확인부(133) 및 위험상황 판단부(134)를 포함한다. The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130 provides the guardian with event situ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Specifically, it includes a risk message judgment unit 131, a guardian notification unit 132, a participant guardia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3, and a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34.

여기서, '위험' 이란, 유해, 폭력, 협박, 음란, 금지, 성인 등 미성년자나 기타 피보호자들에게 공개되기에 부적합한 게재물의 성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험단어'는 이러한 부적합한 성격을 지닌 단어를 의미하며, '위험메시지'는 위험단어를 포함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피보호자가 수신한 욕설이나 폭력성 또는 협박성 단어가 포함된 메시지는 위험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Here, ‘dangerous’ refers to the nature of posts that are unsuitable for disclosure to minors or other protected persons, such as harmful, violent, threatening, obscene, prohibited, or adult. Therefore, 'dangerous words' refer to words with such inappropriate characteristics, and 'dangerous messages' refer to messages containing dangerous words. Therefore, messages containing profanity, violence, or threatening words received by a protected person can be said to be dangerous messag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의 동작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ure 5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채팅정보를 생성한 후, 보호자에게 통계정보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ogether,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chat information and then provides statistical information to the guardian.

위험메시지판단부(131)는 채팅방의 참여자들이 입력하는 메시지 중 위험메시지를 식별하는 제2 인공지능모델을 포함한다. 보호자알림부(132)는 위험메시지판단부(131)를 통해 피보호자에 대한 위험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소위 '왕따'와 같은 집단괴롭힘 등이 확인되면, 빠른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보호자알림부(132)는 채팅방의 참여자들이 입력하는 메시지의 입력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의 입력속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위험메시지가 아니더라도, 보호자에게 해당 상황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isky message determination unit 131 includes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identifies risky messages among messages input by chat room participants. The guardian notification unit 132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larm to the guardi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angerous message for the protected person has been input through the dangerous message determination unit 131. This is because when group harassment such as so-called ‘bullying’ is confirmed, quick action is needed. Meanwhile, the guardian notification unit 132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larm to the guardi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peed of messages input by chat room participants exceeds a preset standard speed. If the input speed of a message increases explosively, even if it is not a dangerous message, the guardian may need to be aware of the situation.

보호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러한 보호자질문의 답변을 연산처리하여 보호자에게 답변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guardian inputs a ques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answers to the guardian's question and provide an answer to the guardian.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이벤트상황관리모듈(130)은 위험상황 판단부(134)를 더 포함한다. 위험상황 판단부(134)는 채팅방의 참여자들의 갈등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한다. 위험상황 내지 갈등상황은 위험메시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위험메시지로 판단되지 않더라도, 채팅방 참여자들의 갈등상황은 충분히 상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위험상황을 별도로 판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해당 참여자들의 보호자에게 '도움요청' 알람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보호자는 이러한 갈등상황의 해결을 위해 중재를 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130 further includes a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34.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34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conflict situation of participants in the chat room. This is because risk situations or conflict situations do not necessarily include a risk message. Even if it is not judged to be a dangerous message, the conflict situation of chat room participants can be sufficiently assumed, so it can be designed to separately determine the risky situation through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is dangerous, a 'help request' alarm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guardians of the participants, and through this, each guardian can mediate to resolve the conflict situ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채팅어플리케이션 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술한 사항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Fig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the protected chat application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50)을 포함한다. The method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to S150.

단계(S110)는 채팅정보수집모듈(110)에 의해, 피보호자의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 중인 채팅방의 메시지가 수집되며,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채팅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messages from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are collected by connecting to the chatting applic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by the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and chatt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messages.

단계(S120)는 사용정보연산모듈(120)의 관심주제연산부(121)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채팅방의 메시지 중에서 리딩메시지가 식별되는 단계이다. Step S120 is a step in which a leading message is identified among the messages in the chat room in a preset manner by the interest topic calculation unit 121 of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0.

단계(S130)는 단계(S120)에서 상기 리딩메시지로 구분된 메시지를 대상으로, 상기 리딩메시지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지능모델에 의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연관키워드그룹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In step S130, the keyword of the leading message is extracted from the message classified as the leading message in step S120, and then a group of related keywords for the keyword is generated by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in advance. It's a step.

단계(S140)는 상기 리딩메시지 이후의 메시지를 대상으로, 반응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 각각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상기 키워드가 단계(S130)에서 연산된 연관키워드그룹에 포함되는지 판단되는 단계이다. Step S140 is a step of identifying response messages targeting messages after the leading message. After extracting keywords for each of the messag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words are included in the related keyword group calculated in step S130. This is the stage where it becomes possible.

단계(S150)는 단계(S140)에서 키워드가 상기 연관키워드그룹에 포함되면, 반응메시지로 구분되며, 반응메시지의 수치 및 입력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채팅방 전체참여자의 제1 관심주제와 상기 피보호자의 제2 관심주제가 결정되는 단계이다. In step S150, if a keyword is included in the related keyword group in step S140, it is classified into a response message, and considering the numerical value and input speed of the response message, the first topic of interest of all participants in the chat room and the first topic of interest of the protected person are determined. 2 This is the stage where the topic of interest is decided.

단계(S150)는 반응메시지 중 상기 채팅어플리케이션의 직접답장기능을 사용한 형식의 메시지는 직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하고, 직접반응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한다. 이 때, 직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를 상기 간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보다 크게 설정하여 반응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반응도'는 특정 메시지에 대한 다른 참여자들의 반응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이해될 수 있다. In step S150, among the response messages, messages using the direct reply function of the chat application are classified as direct response messages, and the rest excluding the direct response messages are classified as indirect response messages. At this time, the responsiveness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weight of the direct response message to be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indirect response message. Here, 'responsiveness' can be understood as an indicator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response of other participants to a specific message.

또한, 리딩메시지 이후의 이미지파일, URL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되, 상기 반응메시지보다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반응도를 결정한다. 이미지파일, URL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이모티콘은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라고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an image file after the leading message, a message containing URL information, and an emoticon is further considered, and a greater weight is given than the response message to determine the responsiveness. This is because image files, messages containing URL information, and emoticons can be considered to be of more active interest.

피보호자 단말기 및 보호자 단말기는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Protected terminals and guardian terminals are communication capable desktop computers, laptop computers, laptops, smart phones, tablet PCs, mobile phones, and smart watches.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ortable game consol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digital voice It may include a digital audio recorder, digital audio player,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video play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tc.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mponents or functions,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통합서버
110: 채팅정보수집모듈 120: 사용정보연산모듈
121: 관심주제연산부 122: 통계정보생성부
123: 보호자질문처리부 130: 이벤트상황관리모듈
131: 위험메시지판단부 132: 보호자알림부
133: 참여자 보호자정보 확인부
100: Integrated server
110: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20: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122: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3: Guardian question processing unit 130: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131: Danger message judgment unit 132: Guardian notification unit
133: Participant guardian information confirmation section

Claims (5)

피보호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채팅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분석하여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사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는,
상기 피보호자가 사용 중인 채팅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며,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 중인 채팅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하되,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채팅정보를 생성하는 채팅정보수집모듈; 및
상기 채팅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피보호자의 사용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정보연산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연산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및 채팅방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워드;
상기 피보호자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상대방;
상기 피보호자가 참여한 채팅방의 전체참여자가 관심을 갖는 제1 관심주제;
상기 피보호자가 관심을 갖는 제2 관심주제; 및
상기 피보호자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사용패턴; 을 포함하는 정보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통계정보는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연산되고,
상기 사용정보연산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관심주제를 판단하는 관심주제연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주제연산부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규정된 리딩메시지와 상기 리딩메시지에 대한 반응메시지를 기반으로 판단하되,
상기 반응메시지는,
직접반응메시지 및 간접반응메시지로 구분하여 연산처리하고, 상기 직접반응메시지와 간접반응메시지의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심주제를 판단하는, 시스템.
A system that analyzes a chat application running on a protected person's terminal in a preset manner and provide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protected person to the guardian, comprising an integrated server connected to a database, the integrated server,
A cha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is connected to a chat application that the protected person is using, collects messages from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and generates chat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s; and
a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usage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in a preset manner using the cha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Includes,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s,
Keywords used by the protected person and users of the chat room;
A person exchanging messages with the protected person;
A first topic of interest in which all participants of the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participates are interested;
a second topic of interest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interested; and
A usage pattern including the usage time of the protected person; Statistical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groups including is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guardian, wherei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s calculated using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s,
a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topics of interest; Includes,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Decision is made based on the leading message defined in a preset manner and the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The response message is,
A system that divides direct response messages and indirect response messages and processes them, and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topics of interest by setting different weights for the direct response messages and indirect response message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주제연산부는,
상기 리딩메시지와 반응메시지의 연관성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리딩메시지에 대한 간접반응메시지를 구분하는 제1 인공지능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공지능모델은,
상기 리딩메시지 및 반응메시지의 키워드를 각각 추출한 후, 상기 리딩메시지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키워드그룹에 상기 반응메시지의 키워드가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opic of interest calculation unit,
It includes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and distinguishes an indirect response message to the leading messag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 system that extracts each keyword of the leading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keyword of the response message is included in a keyword group related to the keyword of the leading messag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가 활동하는 채팅방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상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이벤트상황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상황관리모듈은,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들이 입력하는 메시지 중 위험메시지를 식별하는 제2 인공지능모델을 포함하는 위험메시지판단부; 및
상기 위험메시지판단부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위험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호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보호자알림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that provides the guardian with event situ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a chat room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active; It further includes,
The event situation management module is,
a risky message determination unit includ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identifies risky messages among messages input by participants of the chat room; and
a guardian notification unit that provides an alarm to the guardi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angerous message for the protected person has been input through the dangerous message determination unit; system, including.
KR1020230024216A 2023-02-23 2023-02-23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5974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216A KR102597441B1 (en) 2023-02-23 2023-02-23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216A KR102597441B1 (en) 2023-02-23 2023-02-23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441B1 true KR102597441B1 (en) 2023-11-03

Family

ID=8874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216A KR102597441B1 (en) 2023-02-23 2023-02-23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44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51A (en) 2012-04-24 2013-11-01 에스케이 시큐리티 주식회사 Managing system of school violence
KR20150120651A (en) * 2014-04-18 2015-10-28 플러스기술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afe service for ward, device for monitoring dangerous message to providing safe service for ward, terminal of guardian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210118845A (en) * 2019-01-21 2021-10-01 비트데펜더 아이피알 매니지먼트 엘티디 Parental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isclosur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51A (en) 2012-04-24 2013-11-01 에스케이 시큐리티 주식회사 Managing system of school violence
KR20150120651A (en) * 2014-04-18 2015-10-28 플러스기술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afe service for ward, device for monitoring dangerous message to providing safe service for ward, terminal of guardian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210118845A (en) * 2019-01-21 2021-10-01 비트데펜더 아이피알 매니지먼트 엘티디 Parental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isclosur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Is this the era of misinformation yet: combining social bots and fake news to deceive the masses
US110619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media event detection and coreferencing
US20190342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monitoring of and interaction with chat and instant messaging participants
Spence et al. Variability in Twitter content across the stages of a natural disaster: Implications for crisis communication
US10109023B2 (en) Social media events detection and verification
CN1573780B (en) Obfuscation of a spam filter
Oh et al. ICT mediated rumor beliefs and resulting user actions during a community crisis
US201003305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child review process within a networked community
Gupta et al. Combating fake news: Stakeholder interventions and potential solutions
Jones et al. Susceptibility to email fraud: A review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data-collection methods, and ethical considerations
CA30758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media event detection and coreferencing
Alim Analysis of tweets related to cyberbullying: Exploring information diffusion and advice available for cyberbullying victims
US10516639B2 (en) Aggregated notification feeds
Sumner et al. Examining factors impacting the effectiveness of anti-phishing trainings
McGuinness et al.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in UK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crisis communication in the era of social media
KR102597441B1 (en) Protected person chat application c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resci Harnessing the Social Sensing Revolu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Reuter A European Perspective on Crisis Informatics: Citizens’ and Authorities’ Attitudes Towards Social Media for Public Safety and Security
Wang et al. News trustworthiness and verification in China: The tension of dual media channels
Leavitt Upvoting the news: breaking news aggregation, crowd collaboration, and algorithm-driven attention on reddit. com
CN115280722A (en) Adjusting weights for weighted consensus algorithms for blockchains
Hewett Toward identification of key breakers in social cyber-physical networks
Zainal et al. The Level of Teenage Confidence in Hoax News Exposure on Social Media
Tang et al. Repost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eporting system: An empirical study from sina weibo
Kimibei et al. Social media as a medium of crisis communication amongst University Campuses in Kisii Coun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