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299B1 -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299B1
KR102597299B1 KR1020220160387A KR20220160387A KR102597299B1 KR 102597299 B1 KR102597299 B1 KR 102597299B1 KR 1020220160387 A KR1020220160387 A KR 1020220160387A KR 20220160387 A KR20220160387 A KR 20220160387A KR 102597299 B1 KR102597299 B1 KR 10259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terminal
rental
spa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코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코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코넛
Priority to KR102022016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2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하는 구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를 위한 표시를 메타버스 내 부착하는 임대차공고부, 구매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 간 임대차를 중개하는 중개부를 포함하는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sion system is provided, and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lease for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 buyer terminal requesting a lease for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nd a space in the metaverse from the user terminal.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rental requests, a rental announcement unit that attaches a sign for renting a space in the metaverse to the metaverse, and a leas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uyer terminal when a request to rent at least one space is received from a buyer terminal. It includes a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brokerage department.

Description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sion system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본 발명은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임대 또는 매매할 수 있도록 중개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유도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induces recycling of resources by brokering the rental or sale of a pre-built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구현에 확장현실(XR), 디지털트윈(Digital Twin),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융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확장현실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기술 범위에 있으며 가상융합 공간 및 디지털 휴먼 생성 기술 등을 포함한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햅틱(Haptic) 등의 기술의 발전과 컴퓨팅 파워(Computing Power)의 증가는 가상세계에서의 감각을 실재화하며 몰입감을 증가시키고 있다. 디지털트윈은 현실세계의 시스템을 가상세계로 복제하고 동기화하여 모니터링, 시뮬레이션, 제어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인데, 디지털트윈은 센싱이 가능한 IoT 장치들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와의 동기화가 그 핵심이다. 블록체인은 메타버스에서 사용자 신원확인,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창작물 및 저작물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는데,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으로 게임 이론을 사용한 인센티브 메카니즘이 개발되기도 했다.A variety of technologies such as extended reality (XR), digital tw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net of Things (IoT), and blockchain can be used convergently to implement the Metaverse service platform. Extend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is an interface that connects th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and includes virtual convergence space and digital human creation technology. Virtual reality (V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augmented reality (AR) and haptic and the increase in computing power are making the senses in the virtual world more realistic and increasing immersion. Digital twin is a technology that replicates and synchronizes systems in the real world to the virtual world to enable monitoring, simulation, and control. The key to digital twin is synchronization with actual data collected from IoT devices capable of sensing. Blockchain can be used in Metaverse to verify user identity, protect data privacy, and manage creative works and copyrighted works. An incentive mechanism using game theory has been developed based on blockchain to effectively manage resources between Metaverse service providers and users. It also happened.

이때,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거나 메타버스 내 자산을 관리하는 서비스가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2-0146298호(2022년11월01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442347호(2022년09월08일 공고)에는,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한 아바타가 메타버스 내에서 경제활동을 하도록 융합경제 서비스를 지원하고, 거래에 수반된 거래정보를 융합정보로 제공하며, 아바타의 거래행위에 따른 결과물이 융합경제로 반영되도록 하는 구성과, 메타버스 내 가상객체에 대한 자산을 관리하도록 가치산출모델을 이용하여 가상자산에 대한 가상가치정보를 산출하고, 가상자산을 관리 및 매매하는 것을 중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services that provide the Metaverse platform or manage assets within the Metaverse wer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this, the prior ar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2-0146298 (published on November 1, 2022) and Korea Registered Patent No. In No. 10-2442347 (announced on September 8, 2022), a convergence economy service is supported so that the avatar set on the user terminal can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within the metaverse, and transaction information accompanying the transaction is provided as convergence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avatar's transaction behavior in the convergence economy, calculates virtual value information for virtual assets using a value calculation model to manage assets for virtual objects in the metaverse, and manages and manages virtual assets. Configurations that mediate buying and selling are each disclosed.

다만, 전자의 경우 아바타가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거래정보로 제공하는 구성일 뿐 메타버스 플랫폼이나 서비스 자체를 거래하는 구성이 아니며, 후자의 경우에도 메타버스 내 가상자산을 가상가치를 산출하는 구성일 뿐 역시 메타버스 플랫폼이나 서비스 자체를 거래하는 구성이 아니다. 메타버스 플랫폼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요구되는데 일회성으로 제작된 메타버스 플랫폼이나 한 번 구축해놓고 쓰지 않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재활용 가능성은 전혀 논의되고 있지 않다. 이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대여 및 임대해줄 수 있는 거래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it is only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transaction information when the avatar engages in economic activities, and is not a configuration that deals with the Metaverse platform or service itself. In the latter case, it is also a configuration that calculates the virtual value of virtual assets in the Metaverse. However, it is not a structure that deals with the Metaverse platform or the service itself. A lot of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to build a Metaverse platform, but the possibility of reusing a Metaverse platform that is created one-time or is not used after being built is not discussed at all.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trading platform that can rent and lease the Metaverse platform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타버스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차를 중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대를 요청받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와 구매자 간을 중개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매자가 기 설정된 기간 임대차하거나 매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가능성을 높이며, 개발 프레임워크를 이종 플랫폼이나 산업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호환성을 가지고 연계될 수 있도록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제공함으로써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저장·처리·관리 등과 같은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기본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대규모 이용자 동시 참여를 위해서는 초고속·초저지연 5G/6G 네트워크, 지능형 분산 컴퓨팅과 같은 기술 개발을 지원하며, 이용자 요구나 수요 변화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술을 제공하고, 대규모 그래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내에 존재하는 엔티티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각 메타버스 플랫폼 내 엔티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roker a lease for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so that a lease is requested from a user terminal, and when a lease is requested from a buyer terminal, the Metaverse platform is brokered between the user and the buyer. By allowing buyers to lease or purchase for a pre-set period, it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already established Metaverse platform and provides interoperability so that the development framework can be linked with compatibility across heterogeneous platforms or industrial applications. To provide an open Metaverse platform and to enable simultaneous participation of large-scale users in basic infrastructure technologies for Metaverse services such as communication networks, data storage, processing, and management, ultra-high-speed, ultra-low-latency 5G/6G networks, and intelligent distributed computing are required. It supports technological development such as A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sion system can be provided that allows entities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to be recycled. 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하는 구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를 위한 표시를 메타버스 내 부착하는 임대차공고부, 구매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 간 임대차를 중개하는 중개부를 포함하는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lease for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 buyer requesting a lease for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rental requests for space in the metaverse from terminals and user terminals, a rental announcement unit that attaches a sign for renting a space in the metaverse to the metaverse, and a request to rent at least one space from a buyer terminal. When receiving, it includes a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includes a brokerage unit that brokers the renta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uy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타버스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차를 중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대를 요청받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와 구매자 간을 중개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매자가 기 설정된 기간 임대차하거나 매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가능성을 높이며, 개발 프레임워크를 이종 플랫폼이나 산업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호환성을 가지고 연계될 수 있도록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제공함으로써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저장·처리·관리 등과 같은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기본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대규모 이용자 동시 참여를 위해서는 초고속·초저지연 5G/6G 네트워크, 지능형 분산 컴퓨팅과 같은 기술 개발을 지원하며, 이용자 요구나 수요 변화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술을 제공하고, 대규모 그래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내에 존재하는 엔티티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각 메타버스 플랫폼 내 엔티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ntal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a rental request is received from a purchaser terminal, so as to mediate the lease for at least one space of the metaverse, between the user and the purchaser It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existing Metaverse platform by allowing buyers to lease or purchase the Metaverse platform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provides interoperability so that the development framework can be linked with compatibility across heterogeneous platforms or industrial applications. By providing (Interoperability), an open Metaverse platform can be provided, and for the simultaneous participation of a large number of users in basic infrastructure technologies for Metaverse services such as communication networks and data storage, processing, and management, ultra-high-speed, ultra-low-latency 5G/ I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6G networks and intelligent distributed computing, provides cloud technology to flexibly use computing resources according to changes in user needs or demand,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within the metaverse through large-scale graph data analysis.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entities within each metaverse platform can be reus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5 is an operation flowchart to explain a method of providing a metaverse rent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to mean at or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assist in preventing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taking unfair advantage of stated disclosures. The term “step of”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ying data of the terminal. It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buyer terminal 400. However, since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dditionally,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network, NFC (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This should be self-explanatory. In addition,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form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 구축된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임대 또는 매매하려는 임대인 또는 매도인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메타버스를 디자인한 디자이너의 단말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 단말(100) 제페토나 게더타운 샌드박스 등 타 플랫폼에서 제작된 메타버스 내 공간을 임대하려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임대할 공간 이미지, 공간 정보 및 가격 등을 업로드하고,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판매승인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구매자 단말(400)의 구매요청을 수신하여 날짜 및 금액을 선택하고 결제받아 공간임대링크를 전달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lessor or seller who wants to rent or sell at least one space in a pre-built metaverse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the terminal of the designer who designed the metavers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wants to rent space in the metaverse created on another platform, such as Zepeto or Gathertown Sandbox.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uploads space images, space information, and prices to be rented to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when sales approval occurs in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user terminal 100 )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 purchase request from the buyer terminal 400, selects a date and amount, receives payment, and delivers a space rental link.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 또는 매도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중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로부터 임차 또는 매수 요청을 받고 임대차 또는 매매를 중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400)의 맞춤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메타버스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삭제, 변형, 추가 등을 수행해주고 이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서버일 수 있다.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메타버스의 공간 이미지, 공간 정보 및 가격 등을 수신하고 판매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판매승인이 되는 경우 구매자 단말(400)에서 검색한 후 임대할 날짜 및 금액을 결제하면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400) 간 협의로 확정된 계약에 대해 사용자 단말(100)은 구매자 단말(400)로 공간임대링크를 제공하도록 하고, 구매자 단말(400)로부터 리뷰 및 별점을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100)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정산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metaverse rental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 request for rent or sale of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mediates the request.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 rental or purchase request from at least one buyer terminal 400 and mediates rental or sales. At this time,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that performs deletion, modification, addition, etc. of at least one component forming the metaverse when a custom request from the buyer terminal 400 exists and receives a fee for this. You can.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spatial image, spatial information, and price of the metavers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o approve the sale, and if the sale is approved, searches the buyer terminal 400. After payment, the date and amount to be rented ar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is sent to the buyer terminal 400 for a contract confirmed through negoti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400. It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space rental link, receives reviews and star ratings from the buyer terminal 400, and settles the remaining amount excluding the commission to the user terminal 100.

여기서,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임차 또는 매수하려는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400)의 구매자는 메타버스를 구축하기 위한 자본 또는 인력이 부족하거나, 구축할 시간이 없어 바로 메타버스 플랫폼이 필요한 구매자일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400)은,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임대하는데 필요한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고 사용범위와 기간을 설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만약, 구매자 단말(400)에서 커스터마이징을 요구하는 경우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At least one buy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 buyer who wants to rent or purchase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The buyer of the buyer terminal 400 may be a buyer who lacks capital or manpower to build a metaverse or does not have time to build a metaverse and needs a metaverse platform right away. At this time, the buy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enters into a licensing agreement necessary for renting the metaverse platform by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sets the scope and period of use. If the buyer terminal 400 requests customization,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the customization service and charge a service fee for the sam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and Figures 3 and 4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is is a drawing for

도 2를 참조하면,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임대차공고부(320), 중개부(330), 재활용촉진부(340), 요청반영부(350), 검색엔진부(360), 거래유도부(370) 및 라이센싱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ceiving unit 310, a rental announcement unit 320, a mediation unit 330, a recycling promotion unit 340, a request reflection unit 350, and a search engine unit. (360), it may include a transaction inducement unit (370) and a licensing unit (3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로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은,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verse rental service application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 when transmitting a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buyer terminal 400 install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You can open it. Additionally, a service program may be run 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purchaser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Additionally, a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는 각 구성요소가 모듈화되어 이종 플랫폼 내에서도 상호운용성을 가지도록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메타버스의 B 영역과 C 메타버스의 D 영역만을 임대한다고 가정하면, A 메타버스와 C 메타버스가 호환이 되어야 B 영역 및 D 영역을 조합(Combination)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임대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및 인프라는 상호운용성이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메타버스만을 받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자체로 임대가 되는 경우에는 관계가 없겠지만 향후 메타버스의 혼합 가능성에 기초하면 이하의 표준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a rental request for space within the metaverse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may request to lease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The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uilt so that each component is modularized and has interoperability even within heterogeneous platforms. For example, assuming that only the B area of A metaverse and the D area of C metaverse are leased, the A metaverse and C metaverse must be compatible to combine the B area and D area. Accordingly, the leased Metaverse platform and infrastructure may only receive open Metaverse designed for interoperability. Of course, it is not relevant if it is leased in itself, but based on the possibility of mixing metaverses in the futu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following standards will be used.

예를 들어, 초실감 미디어 기술 분야의 경우 홀로그램, 실감 콘텐츠의 생성 및 압축 기술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IEC TC 110, ISO TC 172, JTC 1/SC 29, JTC 1/SC 24, 크로노스 그룹 등에서, 현실-가상 세계 융합 및 실감 기술 분야의 경우 JTC 1/SC 24, JTC 1/SC 29, ITU-T SG 16, 크로노스 그룹 등에서, 융복합 미디어 전달 네트워크 기술 분야의 경우 3GPP, IEEE, ITU-T 등 전통적인 이동 및 유선 통신 표준화 기구에서,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은 ISO TC 307, JTC 1/SC 27, ITU-T SG 17, SG 13, SG 16 등에 의해, NFT 기술은 이더리움에서, 현실-가상 세계 연계 및 동기화 기술과 디지털 트윈 기술 분야의 경우 JTC 1/SC 29, IEEE 2888 그룹 등에서, 증강 및 가상현실 디바이스 기술 분야의 경우 IEEE 3079, IEEE 2888 그룹 등에서 관련 표준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field of ultra-realistic media technology, standardization work on holograms, realistic content creation and compression technology, etc. is being carried out by IEC TC 110, ISO TC 172, JTC 1/SC 29, JTC 1/SC 24, Khronos Group, etc. -In the field of virtual world convergence and realistic technology, JTC 1/SC 24, JTC 1/SC 29, ITU-T SG 16, Khronos Group, etc., and in the field of convergence media delivery network technology, traditional 3GPP, IEEE, ITU-T, etc. In the Mobile and Wired 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are supported by ISO TC 307, JTC 1/SC 27, ITU-T SG 17, SG 13, SG 16, etc., and NFT technology is used in Ethereum, in the real-virtual world. In the field of linkage and synchronization technology and digital twin technology, related standardization work is being promoted in JTC 1/SC 29 and IEEE 2888 group, and in the field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device technology, IEEE 3079 and IEEE 2888 group.

<메타버스 플랫폼 상호연동 표준화><Standardization of Metaverse platform interconnection>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표준화 추진은 먼저 메타버스 기술과 관련 산업의 발전 및 진화 방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앞서 분석한 메타버스 기술의 7 대 진화 방향과 주요 요소기술에 대한 표준화 현황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살펴보면 몰입감이 극대화되는 메타버스, 협업소통할 수 있는 메타버스, 디지털 자산이 생산유통되는 메타버스, 지능화된 메타버스로의 진화 방향과 관련해서는 최근의 해당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활동과 연계하여 기존 표준화 그룹에서의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아바타를 통해 현실의 경험을 확장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간 완전한 상호 연동이 가능한 메타버스, 가상-현실 세계 융합 메타버스 진화 방향에 대해서는 아직 해당 기술이 미흡하고 표준화 추진 초기 단계이므로 적극적인 기술개발이 우선 요구되며, 기술개발 작업과 연계하여 신규 표준화과제 제안 및 표준화 그룹 신설 등의 보다 적극적인 표준화 활동의 확대가 요구된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요소기술이 아닌 수많은 기술들이 통합되고 상호 연계되어 실현 가능하므로 이들 다양한 세부 요소기술 들을 적용하고 상호 연계시키는 메타버스 플랫폼 상호연동을 위한 기반표준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의 우선적 추진이 요구된다. 즉, 각 개별 표준 그룹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요소표준 기술들을 묶어서 메타버스 플랫폼이 체계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반표준기술이 요구된다. Promoting standardization for the Metaverse platform must first conside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Metaverse technology and related industries. Based on the seven major evolution directions of metaverse technology analyzed previously and the standardization status analysis results for major element technologies, we look at metaverse that maximizes immersion, metaverse that enable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metaverse that produces and distributes digital assets, and intelligentization. Regarding the direction of evolution into a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ctivities in the existing standardization group in connection with 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to advance the technology. Regarding the direction of evolution of the metaverse, which expands the experience of reality through avatars, the metaverse that allows complete interoperability between platforms, and the virtual-reality world convergence metaverse, active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first as the relevant technology is still insufficient and the standardization process is in the early stages. In addition, more active expansion of standardization activities, such as proposing new standardization tasks and establishing standardization groups, is required in connection with technology development work. In addition, as explained earlier, the Metaverse platform can be realized by integrating and interconnecting numerous technologies, not just a few element technologie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standard technology for the interoperability of the Metaverse platform that applies and interconnects these various detailed element technologies. Prioritization of standardization work is required. In other words, basic standard technology is required to enable the Metaverse platform to be systematically linked by bundling element standard technologies being developed by each individual standard group.

메타버스 관련 표준화 작업도 이미 다양한 부분에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표준화 기관은 크로노스 그룹이다. 2000년 ATI 테크놀로지스, Discreet, Evans & Sutherland, 인텔, 엔비디아, 실리콘 그래픽스(SGI),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로열티가 없는 개방형 표준 개발을 하고 있다.크로노스 그룹에서 특기할 만한 표준으로 glTF가 있다. glTF(GL Transmission Format)는 3차원 장면과 모델을 표현하는 파일 포맷으로 JSON 표준에 기반하고 있다. MPEG-V는, 실세계와 실세계와 메타버스, 메타버스와 메타버스간 교환하는 데이터 정의 표준이다. IEEE2888의 정식 명칭은 Interfacing Cyber and Physical World Working Group인데, 물리 객체와 가상 객체 간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센서를 통한 정보 교환을 위해 필요한 어휘, 요구사항, 메트릭, 데이터 형식에 표준을 진행한다. 최근 메타 버스 표준 포럼이 2022.6.21에 발족되었는데, 포럼은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3D그래픽/AR/VR 등의 개방형 표준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얼마전 메타버스 분야의 ICT 융합표준 프레임워크 개발에 착수 했다. 특히 TTA는 디지털가상화포럼을 통해 IEEE2888, MPEG-V 등의 표준화 할동도 진행하고 있다. 이에, 기 구축된 메타버스의 경우 모듈화를 통하여 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임대를 받을 메타버스의 경우 표준 프로토콜 및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임대요청을 받을 수도 있다.Metaverse-related standardization work is already underway in various areas. A representativ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s the Khronos Group. Established in 2000 under the leadership of ATI Technologies, Discreet, Evans & Sutherland, Intel, NVIDIA, Silicon Graphics (SGI), and Sun Microsystems, it is developing royalty-free open standards. glTF is a notable standard from the Khronos Group. there is. glTF (GL Transmission Format) is a file format that expresses 3D scenes and models and is based on the JSON standard. MPEG-V is a data definition standard that exchanges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real world and the metaverse, and between the metaverse and the metaverse. The formal name of IEEE2888 is the Interfacing Cyber and Physical World Working Group, which promotes standards for the vocabulary, requirements, metrics, and data formats required for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 and sensors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objects. Recently, the Metaverse Standard Forum was launched on June 21, 2022, and the forum aims to establish open standards for 3D graphics/AR/VR, etc. that make up the Metaverse. In Korea,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and the Korea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recently began developing an ICT convergence standard framework in the metaverse field. In particular, TTA is also carrying out standardization activities such as IEEE2888 and MPEG-V through the Digital Virtualization Forum. Accordingly, in the case of existing metaverses, combina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modularization, and in the case of metaverses to be leased, rental requests can be received only when standard protocols and frameworks are used.

임대차공고부(320)는,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를 위한 표시를 메타버스 내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를 임대할 구매자 단말(400)에서 이용자 수를 예측하여 기재하는 경우, 이를 위한 엣지 컴퓨팅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단일 사용자 환경에서 일반적인 클라우드 VR의 동작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값과 모션 센싱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내에서 감지되어 엣지 서버로 전달된다. 엣지 서버는 이 입력을 기반으로 VR 콘텐츠 프로세싱을 한 후, 사용자의 뷰포트 화면을 렌더링한다. 렌더링된 결과는 인코딩되어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며, 클라이언트는 이를 재생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구현한다. 엣지 서버는 네트워크 내의 서버 인스턴스로, 입력 신호 처리와 그래픽 렌더링, 영상 인코딩을 클라이언트 대신 수행한다.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사용자와 물리적 및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동작할 수 있다. The lease announcement unit 320 can attach a sign for renting space in the metaverse to the metaverse. At this time, when the buyer terminal 400 to rent the metaverse predicts and records the number of users, edge computing may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In a typical cloud VR operation process in a single-user environment, for example, user input and motion sensing data are detected within the client and transmitted to the edge server. The edge server processes VR content based on this input and then renders the user's viewport screen. The rendered result is encoded and sent to the client, and the client implements the content by playing it. An edge server is a server instance within a network that performs input signal processing, graphics rendering, and video encoding on behalf of clients. Since network delay must be minimized, it can operate physically and geographically close to the user.

엣지 서버가 동작하는 네트워크 내 물리적 서버를 엣지 노드라 하는데, 엣지 노드는 네트워크 장비 그 자체거나 그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물리머신으로, 네트워크 노드와 동일하게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트워크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컴퓨팅 및 네트워크 리소스 요구치, 네트워크 지연 허용치,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부하 변화량 등의 정보를 고려해야 하며, 엣지 노드의 가용 컴퓨팅 리소스도 고려되어야 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엣지 서버는 사용자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콘텐츠 및 네트워크 성능 지표 향상을 위해 서버가 동작할 엣지 노드가 결정된다. The physical server in the network where the edge server operates is called an edge node. An edge node is either the network equipment itself or a physical machine directly connected to it, and can be considered the same as a network node. In this situation, from a network perspective, information such as computing and network resource requirements, network delay tolerance, and computing and networking load changes must be considered for a specific application, and the available computing resources of the edge node must also be considered. The edge server of a specific application is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user, and the edge node on which the server will operate is determined to improve content and network performance indicators.

이에 반해 메타버스 콘텐츠는 다중 사용자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중 사용자 콘텐츠가 클라우드 VR 기법으로 동작할 때의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우선 각 사용자는 각각의 입력과 동작을 서버로 전송하며, 이 입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상호 간 뷰포트에 영향을 미친다. 기존 온라인 콘텐츠는 입력 신호만 공유되어 각 클라이언트에서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나, 클라우드 VR에서는 인접한 모든 사용자의 입력을 중앙집중화된 서버에서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각 사용자의 입력은 중앙 서버로 전달되어 데이터 취합 후 엔진 프로세싱 과정을 거치며, 이 결과는 각 사용자와 연관된 엣지 서버로 전달되어 각 사용자의 뷰포트에 대해 렌더링된 후 클라이언트로 전송된다. 또한, HMD 모션 프로세싱과 같은 지연 시간에 민감한 동작은 중앙 서버와 엣지 서버에 동시에 보내져 처리될 수도 있다. 중앙 서버에 보내진 모션 데이터는 엔진 프로세싱을 하여 자신과 다른 사용자의 뷰포트를 구성하는데 활용되며, 동시에 엣지 서버에 보내진 모션 데이터는 HMD 동작에 따른 신속한 뷰포트 렌더링에 활용될 수 있다.In contrast, metaverse content is generally multi-user. Looking at the process when multi-user content operates using cloud VR techniques, first, each user transmits their respective inputs and actions to the server, and these inputs generally affect the viewports between users. In existing online content, only the input signal is shared and processed individually by each client, but in cloud VR, the input of all adjacent users needs to be processed by a centralized server. In other words, each user's input is sent to the central server, where data is collected and then goes through an engine processing process. The results are then sent to the edge server associated with each user, rendered for each user's viewport,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lient. Additionally, latency-sensitive operations such as HMD motion processing may be simultaneously sent to the central server and edge server for processing. Motion data sent to the central server undergoes engine processing and is used to configure viewports for oneself and other users, while motion data sent to the edge server can be used for rapid viewport rendering according to HMD operation.

예를 들어, 2 대의 클라이언트와 1 대의 엣지 서버로 구성된 세트를 본 연구에서는 VCN(Virtual Content Network)이라 한다. VCN은 4대 이하의 클라이언트와 1대의 엣지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 클라이언트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VCN들의 엣지 서버 동작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VCN의 지연시간 감소뿐만 아니라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감소 및 컴퓨팅 리소스 균형을 달성할 수 있다. VCN의 엣지 서버를 적절한 엣지 노드에 배치하기 위해 첫 번째로, 각 VCN에 대해 엣지 서버 배치 후보지를 구한다. 배치 후보지는 네트워크 내 모든 노드가 될 수 있으며, 특정 노드에 배치되었을 때 예상되는 네트워크 비용을 기반으로 배치 후보지를 정렬한다. 두 번째로, 네트워크 내 모든 VCN의 엣지 서버를 최우선 후보 노드에 가상으로 배치한다. 이때 특정 노드의 가용 컴퓨팅 리소스가 해당 노드에 진입하게 될 모든 엣지 서버들의 리소스 요구치의 합을 충족시킬 수 없다면, 그중 일부 VCN의 엣지 서버를 다른 노드로 재배치한다. 여기서 컴퓨팅 리소스는 합산 및 비교가 용이하도록 워크로드 단위로 추상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및 컴퓨팅 부하를 함께 고려하면서 네트워크 내에 모든 VCN의 엣지 서버를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 set consisting of two clients and one edge server is called VCN (Virtual Content Network) in this study. A VCN can consist of up to 4 clients and 1 edge server. Since the location of the client in the network is fixed, by specifying the operation location of the edge servers of each VCN, it is possible to not only reduce the latency of the VCN, but also reduce the traffic load of the entire network and balance computing resources. In order to place a VCN's edge server on an appropriate edge node, first, a candidate edge server placement site is obtained for each VCN. Candidates for deployment can be any node in the network, and candidates for deployment are sorted based on the expected network cost when deployed to a specific node. Second, the edge servers of all VCNs in the network are virtually placed on the highest priority candidate nodes. At this time, if the available computing resources of a specific node cannot meet the sum of the resource requirements of all edge servers that will enter that node, some of the VCN's edge servers are relocated to other nodes. Here, computing resources are abstracted into workload units to facilitate aggregation and comparison. In this way, all VCN's edge servers can be placed within the network while taking network and computing load into consideration together.

VCN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집합과 VCN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별 트래픽 팩터를 이용하여 후보별 예상 트래픽 부하를 구할 수 있다. 링크별 트래픽 팩터란 엣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 상 각 링크에 요구되는 트래픽 부하를 의미한다. 네트워크내 모든 노드 집합의 각 노드에 대해, 해당 노드와 각 클라이언트 간 최단경로의 합과 트래픽 팩터의 곱으로 후보 노드의 예상 트래픽 부하를 구할 수 있다. 즉, VCN의 엣지 서버가 노드에 배치되었을 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트래픽 부하라는 의미다. 이렇게 구해진 후보 노드는 예상 트래픽 부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되어 VCN의 후보 목록을 구성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내 모든 VCN에 대해 각각의 후보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The expected traffic load for each candidate can be obtained using the client set that makes up the VCN and the traffic factor for each link of the VCN application. The traffic factor for each link refers to the traffic load required for each link on the network path between the edge server and the client. For each node in the set of all nodes in the network, the expected traffic load of the candidate node can be obtained as the product of the traffic factor and the sum of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 node and each client. In other words, it means the traffic load expected to occur when the VCN's edge server is deployed on the node. The candidate nodes obtained in this way are sorted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expected traffic load to form the VCN candidate list. In the same way, you can create individual candidate lists for all VCNs in the network.

그리고, 컴퓨팅 리소스를 고려하여 VCN의 후보들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데, 모든 VCN의 가장 좋은 후보 노드에 엣지 서버를 배치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특정 노드의 컴퓨팅 리소스가 부족하여 해당 노드에 엣지 서버를 모두 배치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각 VCN의 후보 노드 선택 상황을 배치 계획이라 하고, 최초에는 모든 VCN의 가장 좋은 후보 노드가 선택된 것으로 초기화된다. 하지만 리소스 초과 노드가 존재한다면 해당 노드에 배치될 예정이었던 엣지 서버 중 일부를 교체해야 한다. 교체 노드 선택 방법은 W-VBP(Weighted Vector Bin Packing)을 이용할 수 있다. VBP 기반 교체 기법이란 노드의 리소스 구성 비율과 엣지 서버의 리소스 구성 비율의 차이가 가장 큰 서버를 교체하는 방법이다. 이는 벡터를 기반으로 하므로 리소스 개수에 제약이 없으며, 일부 리소스만 고갈되어도 다른 타입의 리소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교체 대상 VCN의 모든 후보가 고갈되었다면 알고리즘은 최종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특정 VCN의 후보만 연속하여 고갈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VCN별 잔여 후보 비율을 가중치로 고려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lgorithm can be used to select VCN candidates by considering computing resources. It would be best to place an edge server on the best candidate node of all VCNs, but due to a lack of computing resources on a specific node, an edge server should be installed on that node. It may not be possible to place them all. The candidate node selection situation for each VCN is called a deployment plan, and is initially initialized with the best candidate node from all VCNs selected. However, if there is a node with excess resources, some of the edge servers scheduled to be deployed on that node must be replaced. The replacement node selection method can use W-VBP (Weighted Vector Bin Packing). The VBP-based replacement technique is a method of replacing the server with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the node's resource composition ratio and the edge server's resource composition ratio. Because it is vector-base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resources, and it minimizes the side effect of not being able to use other types of resources even if only some resources are depleted. If all candidates for a VCN to be replaced are depleted, the algorithm is considered to have ultimately failed. Therefore, the ratio of remaining candidates for each VCN can be considered as a weight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only candidates for a specific VCN are continuously depleted.

VBP의 결과인 벡터각과 가중치를 곱한 결과값이 가장 큰 엣지 서버가 교체 대상이 된다. 교체 대상이 된 엣지 서버를 보유한 VCN은 현재 선택된 후보 노드를 제거하고 자신의 후보 목록에서 다음 후보 노드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현재 상태를 기반으로 초과 노드 존재 여부를 다시 검사한다. 알고리즘의 실패는 네트워크 내 메타버스 콘텐츠들의 컴퓨팅 리소스 요구량이 총 가용 리소스에 가까워지거나 초과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하드웨어를 추가하거나 또는 콘텐츠들의 엣지 컴퓨팅으로의 오프로드 수준을 낮추는 대책을 적용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The edge server with the largest result of multiplying the vector angle and weight, which is the result of VBP, is subject to replacement. The VCN whose edge servers are subject to replacement removes the currently selected candidate node and selects the next candidate node from its candidate list. Then, it checks again for the presence of excess nodes based on the current state. Algorithm failure may occur when the computing resource requirements of metaverse contents within the network approach or exceed the total available resources. This situation can be overcome by adding hardware or applying measures to reduce the level of offloading of content to edge computing.

중개부(330)는, 구매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400) 간 임대차를 중개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400)은,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A가 의류쇼핑몰 메타버스를 구축했고, 구매자 B가 의류쇼핑몰 메타버스 자체를 임차하는 경우 전체로써 임차를 할 수 있다. 또, 구매자 B가 의류쇼핑몰 중 어느 하나의 가게를 임차하는 경우에는 부분만 임차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A가 메타버스 쇼핑몰 운영자이고, 구매자 B는 입점 쇼핑몰의 판매자일 수도 있다.When receiving a request to rent at least one space from the buyer terminal 400, the brokerage unit 330 may mediate a leas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400. The buyer terminal 400 may request to rent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t this time, if user A has built a clothing shopping mall metaverse and buyer B rents the clothing shopping mall metaverse itself, they can rent it as a whole. Additionally, if Buyer B leases a store in one of the clothing shopping malls, he or she may rent only a portion of the store. In this case, user A may be a metaverse shopping mall operator, and buyer B may be a seller of a shopping mall.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휴먼 생성><Creation of digital human based on metaverse>

디지털 휴먼 생성 기술에는 볼류매트릭 캡쳐 기반 3D 휴먼 모델링 기술, 단일 이미지 기반 3D 휴먼 모델링 기술, 영상 합성 기반 휴먼 및 공간 렌더링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볼류메트릭 캡쳐 기반 3D 휴먼 모델링 기술은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의 형상을 3차원 픽셀의 집합으로 생성한다. 볼류메트릭 캡쳐 기술은 많은 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최대한 보이는 그대로의 형상을 볼륨 형태, 즉 공간상의 3차원 픽셀 단위로 물체가 공간을 차지하는 것처럼 공간에 있는 형태와 색상을 촬영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구글의 릴라이터블스(Relightables) 시스템과 복원된 디지털 휴먼, 메타의 소시오티콘(Sociopticon) 시스템, 전신 코덱 아바타(Full-Body Codec Avatar) 등과 같을 수 있다. Digital human creation technology can use volumetric capture-based 3D human modeling technology, single image-based 3D human modeling technology, and image synthesis-based human and spatial rendering technology. Volumetric capture-based 3D human modeling technology creates a human shape located in real space as a set of 3D pixels. Volumetric capture technology uses a large number of cameras to capture the visible shape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rm of volume, that is, the shape and color in space as if an object occupies space in three-dimensional pixel units. For example, it could be Google's Relightables system, Restored Digital Human, Meta's Sociopticon system, Full-Body Codec Avatar, etc.

단일 이미지 기반 3D 휴먼 모델링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한 장의 얼굴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얼굴 모델 및 전신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자세를 유추한 후에 표준화된 3차원 휴먼 모델로 해당 자세를 만들고 변형하고 2차원 영상으로 투영한 다음 텍스처를 만들고 만들어진 3차원 모델을 렌더링하여 다시 입력 영상과 비교하여 생성하는 재귀적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 합성 기반 휴먼 렌더링 및 공간 렌더링 기술은 딥러닝 기술 활용한 새로운 표정과 자세의 사람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이용하여 사람 표정 영상을 학습하고, 입력되는 사람의 얼굴형에 맞게 새로운 표정을 생성할 수 있다. 3차원 휴먼 재건(3D Human Reconstruction), 3차원 장면 재건(3D Scene Reconstruction) 등에 대한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use single image-based 3D human modeling technology, which can create a 3D face model and full body model using a single face photo. After inferring a person's posture from an input image, the posture is created and transformed with a standardized 3D human model, projected onto a 2D image, then a texture is created, and the created 3D model is rendered and compared again with the input image. method can be used. Image synthesis-based human rendering and spatial rendering technology can also generate human images with new facial expressions and postures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Using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you can learn human facial expression images and create new faci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input face shape of the person. Technologies for 3D Human Reconstruction, 3D Scene Reconstruction, etc. can also be used.

<메타버스 디지털 휴먼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 with Metaverse Digital Humans>

메타버스에서 디지털 휴먼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활동하기 위한 인터랙션 기술도 부가할 수 있다. 인터랙션은 대화 인터랙션, 행동 인터랙션, 환경 인터랙션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인터랙션 기술이 없으면 디지털 휴먼은 특정 대상을 묘사한 디지털 객체로서 존재할 뿐이다. 디지털 휴먼은 AI 아바타로 확장되며 자연스러운 감정 전달 등을 위한 기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대화 인터랙션은 지능형 가상 에이전트 기술 혹은 대화형 봇 기술을 이용하는데,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워 가상 에이전트(Power Virtual Agents), 구글(Google)의 다이어로그플로우(DialogFlow)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행동 인터랙션에서 디지털 휴먼은 동작이나 얼굴 표정 등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정보와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 Interaction technology can also be added to allow digital humans to operate in more diverse ways in the metaverse. Interaction can be divided into conversation interaction, behavioral interaction,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 Without interaction technology, digital humans only exist as digital objects depicting specific objects. Digital humans are expanded into AI avatars and may include technologies for natural emotional transmission. Conversational interaction uses intelligent virtual agent technology or conversational bot technology, for example, Microsoft's Power Virtual Agents, Google's DialogFlow, etc. In behavioral interaction, digital humans can convey various information and emotions to users through movements or facial expressions.

행동 인터랙션에는 언어적 행동(Verbal Behavior)과 비언어적 행동(Nonverbal Behavior)이 가능한데, 언어적 행동으로 입의 움직임 등과 같이 직접적 동작을 표현하고 비언어적 행동으로 시선 응시, 눈 깜박임, 얼굴 표정, 고개 움직임, 몸 움직임 등 동작을 표현할 수 있다. 입력 문장에 따라 자동으로 캐릭터의 행동을 생성하는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SC)의 멀티센스(MultiSense) 기술은 웃음, 표정, 시선, 목소리 떨림 등을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환경 인터랙션은 XR 공간에서 주위 환경에 따른 인터랙션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가림 현상(Occlusion), 충돌처리(Collision Detection)를 수행할 수 있다.Behavioral interactions include verbal behavior and nonverbal behavior. Verbal behavior expresses direct movements such as mouth movements, and nonverbal behavior expresses gaze, eye blinks, facial expressions, head movements, and body movements. It can express actions such as movement. You can also use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character behavior based on input sentences. For example,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s (USC) MultiSense technology recognizes smiles, facial expressions, gaze, and voice tremors. You can also use it. Environmental interaction can suppor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XR space, and for this, occlusion and collis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재활용촉진부(340)는, 구매자 단말(400)이 원하는 메타버스를 추천하기 위하여, 구매자 단말(400)로부터 원하는 메타버스의 크기, 종류, 스타일, 디자인 및 용도를 포함하는 이용조건을 설정받고, 이용조건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메타버스를 구매자 단말(400)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메타버스가 중개 플랫폼에 업로드되어 있다면,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메타버스를 검색 및 찾아내야 한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구매자가 요구하는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 조건과 대응하는 태그를 가진 메타버스 플랫폼을 검색하여 보여주도록 검색엔진을 구축할 수 있다.In order to recommend a metaverse desired by the buyer terminal 400, the recycling promotion unit 340 receives usage conditions including the size, type, style, design, and purpose of the desired metaverse from the buyer terminal 400, At least one metaverse similar to the terms of use can be recommended to the buyer terminal 400. For example, if various metaverses are uploaded to a brokerage platform, buyers must search and find the metaverse they want. If a condition requested by a buyer exists without going through this process, a search engine can be built to search and display the Metaverse platform with tags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요청반영부(350)는, 메타버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모듈화하고, 구매자 단말(400)에서 요청하는 요청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및 변형을 요청하고, 요청사항을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사용자 A의 B 메타버스 플랫폼이 모두 마음에 들지만 C 부분을 변경하고 싶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측에서 직접 개발을 한 경우 개발자가 사용자 A에게 소속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사용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구매자는 이에 대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메타버스를 수정할 수도 있다. The request reflection unit 350 modularizes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metaverse, requests addition, dele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 so that the request requested by the purchaser terminal 400 can be reflected, and fulfills the request. It can be assigned to at least one person in charge. For example, let's say the buyer likes all of User A's B metaverse platforms, but wants to change part C. At this time, if the development is done directly by the user, the metaverse can be modified by the user providing this service and the buyer paying for it, assuming that the developer belongs to User A.

검색엔진부(360)는, 메타버스에 메타버스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검색 및 분류를 위하여 태그를 태깅하고, 구매자 단말(400)에서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400)의 키워드와 유사한 태그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버스를 구매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메타버스 공간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때, 추천을 위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협업 필터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협업 필터링의 경우 초기 데이터가 부족해서 생기는 콜드 스타트(Cold Start)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GAN(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를 이용하여 협업 필터링 구현 시 발생하는 희소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실제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불균형을 완화하여 추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CGAN을 이용하여 비어있는 사용자-아이템 매트릭스(User-Item Matrix)에 실제와 흡사한 가상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기존의 매트릭스로만 학습한 것과 비교했을 때 높은 정확도가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조건 벡터(Condition Vector)를 이용하여 소수 클래스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반영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협업 필터링을 적용하고,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통해 추천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비교 대상으로는 전통적인 오버샘플링 기법인 SMOTE, BorderlineSMOTE, SVM-SMOTE, ADASYN와 GAN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arch engine unit 360 tags the metaverse with a tag for search and classif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metaverse, and when searching by entering a keyword in the buyer terminal 400, the buyer terminal ( At least one metaverse with a tag similar to the keyword of 400) may be transmitted to the buyer terminal 400. At this time, a metaverse space suitable for the client may be recommended through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t this tim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an use collaborative filtering for recommendation. At this time, in the case of collaborative filtering, a cold start problem inevitably occurs due to insufficient initial data. To solve this proble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aborative filtering is implemented using CGAN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It is possible to improve recommendation performance by resolving the scarcity problem that arises while simultaneously alleviating data imbalance that occurs in actual data. By using CGAN to generate virtual data similar to reality in an empty User-Item Matrix, high accuracy is expected when compared to learning only with the existing sparse matrix. In this process, the distribution of the minority class can be identified using the condition vector and data can be generated by reflecting its characteristics. Afterwards, collaborative filtering can be applied and hyperparameter tuning can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comparison, traditional oversampling techniques such as SMOTE, BorderlineSMOTE, SVM-SMOTE, ADASYN and GAN can be used.

거래유도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메타버스를 구축하여 소유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임대요청에 따라 메타버스를 매물로 등록하고 거래를 중개하도록 할 수 있다.If the transaction induction unit 370 builds and owns a metaverse in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register the metaverse as for sale and broker a transaction according to a rent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라이센싱부(380)는, 사용자 단말(100)과 구매자 단말(400) 간 임대차 계약이 성사된 경우, 메타버스에 대한 사용권 또는 실시권을 구매자 단말(400)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메타버스 플랫폼이 있는데 이를 B 구매자, C 구매자, D 구매자 모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실시권을 허용할 것인지, B 구매자에게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시권을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보다 후자의 경우가 더 가격이 높아질 수 있다. 이때 라이센싱부(380)는, 메타버스 공간의 디자인에 대하여 디자인권, 저작권과 같은 권리를 신청 및 등록을 대행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 메타버스 공간의 디자인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을 발행할 수 있고, NFT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도 있다.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및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거래를 중개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디자이너와 클라이언트 간 라이센스 계약을 중개할 수도 있다.When a rental contract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400 is concluded, the licensing unit 380 may grant the right to use or license the metaverse to the buyer terminal 400. For example, there is a metaverse platform A, and it can be decided whether to grant a license to use it to all B buyers, C buyers, and D buyers, or to grant a license to use it exclusively to B buyers. The price may be higher in the latter case than in the former. At this time, the licensing department 380 can apply and register rights such as design rights and copyrights on behalf of the design of the metaverse space. In addition, NFT (Non-Fungible Token) can be issued for the design of the metaverse space, and transactions for NFTs can also be conducted. Transactions for at least one item and design result within the metaverse may be brokered, for example, a licensing agreement between a designer and a client may be brokered.

이하, 상술한 도 2의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가칭, 메타쉐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개 플랫폼으로, 사용자와 구매자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 단위, 시간 단위 등의 임대비용, 공간 이미지, 공간 정보 및 상세설명을 업로드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인 구매자는 원하는 메타버스 내 공간을 선택하고 원하는 날짜에 임대를 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플랫폼은 양 당사자 간을 중개할 수 있다.The platform (tentative name, Metash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okerage platform, as described above, and can connect users and buyers. Users can upload rental costs, space images, space inform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such as daily and hourly units, and buyers, who are clients, can select the space in the desired metaverse and receive a lease on the desired dat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can mediate between the two parties.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100)에서 임대를 요청하는 경우, 임대공고를 게시하고, (b)와 같이 구매자 단말(400)로부터 임차요청을 받아 임차조건, 사용료 및 변형가능여부 등의 조건을 파악한다. (c) 임대차 계약이 성사되면 (d)와 같이 사용자가 또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요청사항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중개수수료 및 변형비를 청구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은 본 발명의 플랫폼(웹코넛)은 메타버스를 기획 및 구축하는 플랫폼인데, 많은 기획 및 구축 후 다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존재하기 때문에 각 에셋이나 메타버스 플랫폼 또는 그 내부의 영역을 모듈화하여 임대하고, 이로 인하여 인력 및 자원의 낭비를 막고 물건을 재활용하듯 구축된 메타버스도 재활용할 수 있는 중개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 4a 내지 도 4e와 같이 각 층별로 임대할 수도 있고, 도 4f 및 도 4g와 같이 구축된 그 전체를 임대할 수도 있고, 도 4h 및 도 4i와 같이 에셋별로 임대할 수도 있다. 도 4j 내지 도 4n과 같이 제페토를 활용한 메타버스 자체를 임대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a) when a rental request is made on the user terminal 100, a rental notice is posted, and a renta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urchaser terminal 400 as in (b), and rental conditions, usage fees, and whe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are requested. Understand the conditions, etc. (c) Once the rental contract is concluded, the user or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flect the request as in (d) and charge a brokerage fee and modification fee for it. The platform (Webconu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b to 3d, is a platform for planning and building a metaverse. Since there are metaverse platforms that are not reused and discarded after much planning and construction, each asset or metaverse platform Alternatively, the internal area can be modularized and leased, thereby preventing waste of manpower and resources, and providing an intermediary platform that can recycle the constructed metaverse just as objects are recycled. Each floor can be rented as shown in FIGS. 4A to 4E, the entire building can be rented as shown in FIGS. 4F and 4G, or it can be rented by asset as shown in FIGS. 4H and 4I. As shown in Figures 4j to 4n, the metaverse itself using ZEPETO can be rented.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in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previously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through FIG. 1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 described below. Please omit the explan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신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a rental request for space in the metaverse from the user terminal (S5100).

그리고,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를 위한 표시를 메타버스 내 부착하고(S5200), 구매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 간 임대차를 중개한다(S5300).In addition,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attaches a sign for renting a space in the metaverse to the metaverse (S5200), and when a request to rent at least one space is received from a buyer terminal, a lease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uyer terminal. Mediation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sequ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may change,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of FIG. 5 are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etaverse rental service through FIGS. 1 to 4, so hereinafter. Please omit the explanation.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metaverse rent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metaverse rent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this may include programs included in the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by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application or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of providing a metaverse rent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readable by a computer such as in the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6)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메타버스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메타버스 내 공간에 대한 임대를 위한 표시를 상기 메타버스 내 부착하는 임대차공고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차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 간 임대차를 중개하는 중개부를 포함하는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임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이 원하는 메타버스를 추천하기 위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원하는 메타버스의 크기, 종류, 스타일, 디자인 및 용도를 포함하는 이용조건을 설정받고, 상기 이용조건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메타버스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추천하는 재활용촉진부;
상기 메타버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모듈화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요청하는 요청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상기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및 변형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상기 요청사항을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로 할당하는 요청반영부;
상기 메타버스에 상기 메타버스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검색 및 분류를 위하여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경우 상기 구매자 단말의 키워드와 유사한 태그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버스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엔진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메타버스를 구축하여 소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임대요청에 따라 상기 메타버스를 매물로 등록하고 거래를 중개하도록 하는 거래유도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임대차 계약이 성사된 경우, 상기 메타버스에 대한 사용권 또는 실시권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부여하는 라이센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requesting to rent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 buyer terminal requesting to rent at least one space in the metaverse; and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rental request for a space in the metaverse from the user terminal, a rental announcement unit that attaches a sign for renting a space in the metaverse in the metaverse, and a rental announcement unit that attaches a sign for renting a space in the metaverse to the metaverse, When a rental request is made, it includes a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brokerage department that brokers the renta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uyer terminal,
The ren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s,
In order to recommend a metaverse desired by the buyer terminal, usage conditions including the size, type, style, design, and purpose of the desired metaverse are set from the buyer terminal, and at least one metaverse similar to the usage conditions is set. Recycling promotion department recommended by buyer terminal;
Modularize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metaverse, reques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to add, delete, and modify the component so that the reques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is reflected, and meet the request at least A request reflection unit assigned to one person in charge of the terminal;
The metaverse is tagged with a tag for search and classif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metaverse, and when searching by entering a keyword in the buyer terminal, a tag similar to the keyword of the buyer terminal is attached. a search engine unit that transmits at least one metaverse to the buy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builds and owns the metaverse, a transaction induction unit that registers the metaverse for sale and brokers a transaction according to a rent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metaverse rental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licensing unit that grants the right to use or license the metaverse to the purchaser terminal when a lease agreement for the at least one space is conclud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purchaser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60387A 2022-11-25 2022-11-25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KR102597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387A KR102597299B1 (en) 2022-11-25 2022-11-25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387A KR102597299B1 (en) 2022-11-25 2022-11-25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299B1 true KR102597299B1 (en) 2023-11-06

Family

ID=8874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387A KR102597299B1 (en) 2022-11-25 2022-11-25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29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03A (en) * 2000-05-22 2002-03-08 문종현 A Method for Rental and Operating Virtual Office on the Internet
KR20130082646A (en) * 2011-12-13 2013-07-22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Method for blog service of location-based in digital map environment and system thereof
KR20210150838A (en) * 2020-06-04 2021-12-13 김경민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renting service using virtual space archive
KR20220028279A (en) * 2020-08-28 2022-03-0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Space sharing service device and method using idle space in store
KR102388442B1 (en) * 2021-11-03 2022-04-20 김병걸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94158B1 (en) * 2020-12-17 2022-05-09 주식회사 컬러버스 A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etaverse Spa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03A (en) * 2000-05-22 2002-03-08 문종현 A Method for Rental and Operating Virtual Office on the Internet
KR20130082646A (en) * 2011-12-13 2013-07-22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Method for blog service of location-based in digital map environment and system thereof
KR20210150838A (en) * 2020-06-04 2021-12-13 김경민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renting service using virtual space archive
KR20220028279A (en) * 2020-08-28 2022-03-0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Space sharing service device and method using idle space in store
KR102394158B1 (en) * 2020-12-17 2022-05-09 주식회사 컬러버스 A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etaverse Space
KR102388442B1 (en) * 2021-11-03 2022-04-20 김병걸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acharya et al. Coalition of 6G and blockchain in AR/VR spa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Buhalis et al. eTourism: crit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ourism destinations
Qiu et al. Applications of auction and mechanism design in edge computing: A survey
KR20220108914A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KR102597299B1 (en)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Morabito et al. Big data driven business models
KR2021007584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2d image
Noriega et al. Electronic institutions: the EI/EIDE framework
CN110503470A (en) A kind of method for running and system of product sales promotion
KR102530110B1 (en) System for providing property dealing service using virtualization of personal account
Khaliq et al. Customer Experience in the Web 3.0 Era: The Meeting of Blockchain and the Metaverse
KR20210017844A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business services that enable manufacturing collaboration
CN114998558A (en) Meta-universe scene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KR20200062979A (en) Method for providing platform service for designer
US202003205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branding using a platform that contains a plurality of features and functions that enable any user to have access to a complete digital presence and monetization opportunities with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both centralized and peer to peer network interfaces
Li et al. Aggregating heterogeneous services in the smart city: The practice in China
KR102498521B1 (en)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based virtual office service
US20240135437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ing open metaverse service interworking with a plurality of metaverse platforms
Almunawar et al. Value network view on digital marketplace
KR102513236B1 (en) Space-based social network system
CN114221967B (en) Resource sharing platform and resource sharing method based on block chain network
Grilo et al. E-procurement in the era of cloud computing
KR102535936B1 (en)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based language education service
Cheng et al. A 3D virtual space for the e-commerce strategy model
Sangeethaa et al. Blockchain in the Metave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