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711B1 -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711B1
KR102596711B1 KR1020220119199A KR20220119199A KR102596711B1 KR 102596711 B1 KR102596711 B1 KR 102596711B1 KR 1020220119199 A KR1020220119199 A KR 1020220119199A KR 20220119199 A KR20220119199 A KR 20220119199A KR 102596711 B1 KR102596711 B1 KR 10259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ased
hologram
user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리
Priority to KR102022011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et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는, 고인의 유골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추출하여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골함 보관부;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표출하는 홀로그램 장치부;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고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식부; 유골함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유골함들의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고인정보 저장부;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유골함 보관부, 홀로그램 장치부, 사용자 인식부, 고인정보 저장부, 디스플레이부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고인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하며,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하며,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Hologram memori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메모리얼(memorial)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고인의 유골함 상면 또는 측면에 투사하여 보여줌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이나 지인들에게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한층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사란 신령에게 음식을 바치면서 기원을 드리거나, 돌아가신 이를 추모하는 의식을 말하는 것으로서, 우리 민족은 아득한 고대로부터 하늘을 공경해 제천 의식을 거행하였으며, 농경에 종사하게 된 뒤로는 우순풍조와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 의식이 성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 생활에는 부모님이 돌아가신 날인 기제를 드리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여기서, 기제란 사대봉사(四代奉祀)라 하여 4대를 지내며 해당되는 신위에만 드리는 것으로서, 현대에서 말하는 제사란 기제를 말하는 것으로서, 부모를 추모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는 상 위에 준비한 여러 가지 음식을 지방과 함께 올린 상태에서 지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사의 문제점은 준비한 여러 가지 음식과 지방을 상 위에 올려 지내기 때문에 부모님이 돌아가신 시간이 길어지면 질수록 부모님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부모님의 육성을 듣고 싶어도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모님이 돌아가시기 전에 영정 사진을 찍는 데, 오랜 시간이 흐르면 사진이 바래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돌아가신 부모님의 음성을 듣고 싶어도, 듣지 못하거나 돌아가신 고인의 DNA인 머리카락, 손톱 등을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제사를 지낸다 하더라도 돌아가신 부모님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3910호(2020.06.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고인의 유골함 상면 또는 측면에 투사하여 보여줌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이나 지인들에게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한층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는,
고인의 유골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추출하여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골함 보관부;
상기 유골함 보관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표출하는 홀로그램 장치부;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고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골함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유골함들의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고인정보 저장부;
상기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골함 보관부, 홀로그램 장치부, 사용자 인식부, 고인정보 저장부, 디스플레이부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고인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하며,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하며,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유골함 보관부는 단층 또는 복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자동 로봇 캐리어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식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는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는 고인의 성함, 출생일, 사망일, 가족관계, 생전에 남긴 말씀, 음성, 영상, 3차원 얼굴 및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는 홀로그램 표출부와,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와 별개의 장치로 마련되어 홀로그램 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필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은,
a) 사용자 인식부가 홀로그램 장치부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하는 단계;
b) 제어부가 고인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
c) 유골함 보관부 내의 자동 로봇 캐리어가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홀로그램 장치부의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제어부가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e) 디스플레이부의 홀로그램 표출부가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고, 프로필 표시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f) 제어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하는 단계; 및
g) 제어부가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식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제어부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는 고인들의 프로필에서 상기 사용자와의 관계를 검색하고, 관계 고인들의 프로필을 3D 프로필 썸 네일(thumb nail)과 함께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제어부가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AES256으로 암호화되어 있는 고인의 프로필 정보와 데이터를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반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는 고인의 성함, 출생일, 사망일, 가족관계, 생전에 남긴 말씀, 음성, 영상, 3차원 얼굴 및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제어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함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고인이 생전 주로 사용하던 단어, 문구, 문장을 중심으로 억양과 사투리의 음성 특징들이 적용된 음성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모델, 딥페이크(deep fake)로 가상 생성되어 리그(rig)된 3D 얼굴 또는 바디 모델, 고인의 바디 행동 모델, 고인의 프로필 베이스 챗봇 모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g)에서 상기 제어부가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챗봇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을 문장으로 생성하며, 매칭된 고인의 얼굴 모션 또는 제스처 모델을 불러와 3D 딥페이크(deep fake) 얼굴, 바디에 적용하여 모션을 생성하고, 상기 챗봇 모델에 의해 생성된 문장과, 3D 딥페이크 얼굴, 바디에 적용하여 생성된 모션을 고인의 음성과 바디 모션, 얼굴 모션으로 사용자에게 재생하며, 대화 분기별 경우에 따라 저장된 추억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고인의 유골함 상면 또는 측면에 투사하여 보여줌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이나 지인들에게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한층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에 있어서, 홀로그램 케이스 내에 표출된 홀로그램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의 구현을 위한 유골함 입함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에 있어서, 홀로그램 케이스 내에 표출된 홀로그램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100)는 유골함 보관부(110), 홀로그램 장치부(120), 사용자 인식부(130), 고인정보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골함 보관부(110)는 고인의 유골함들(110a)을 내부에 보관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추출하여 홀로그램 케이스(120b)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와 같은 유골함 보관부(110)는 단층 또는 복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자동 로봇 캐리어(예를 들면, 엘리베이터형 캐리어)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120)의 홀로그램 케이스(120b)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부(120)는 상기 유골함 보관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홀로그램 케이스(120b)의 내부 3차원 공간에 표출한다. 이와 같은 홀로그램 장치부(120)는 내부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식부(130), 고인정보 저장부(140) 및 제어부(160)의 전기/전자 장치 및 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는 주몸체부(120a)와, 상기 유골함 보관부(110)의 자동 로봇 캐리어에 의해 이송된 유골함을 안치하는 한편,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는 홀로그램 케이스(120b)와, 홀로그램 케이스(120b)를 보호하는 외부 보호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130)는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120)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고인 리스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사용자 인식부(130)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식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고인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120)의 내부에 마련되며, 이 고인정보 저장부(140)에는 상기 유골함 보관부(110)에 보관되어 있는 유골함들(110a)의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고인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는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는 고인의 성함, 출생일, 사망일, 가족관계, 생전에 남긴 말씀, 음성, 영상, 3차원 얼굴 및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120)의 홀로그램 케이스(120b)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홀로그램 케이스(120b)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는 홀로그램 표출부와,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120)와 별개의 장치로 마련되어 홀로그램 장치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필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12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골함 보관부(110), 홀로그램 장치부(120), 사용자 인식부(130), 고인정보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고인정보 저장부(140)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하며,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하며,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에 기반한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은, 먼저 사용자 인식부(130)가 홀로그램 장치부(120)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한다(단계 S40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130)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식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 인식부(130)가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어부(160)는 고인정보 저장부(140)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한다(단계 S402). 여기서, 제어부(160)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는 고인들의 프로필에서 상기 사용자와의 관계를 검색하고, 관계 고인들의 프로필을 3D 프로필 썸 네일(thumb nail)과 함께 표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60)에 의해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 탐색이 완료되면, 유골함 보관부(110) 내의 자동 로봇 캐리어가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110a)(도 1 참조)을 홀로그램 장치부(120)의 홀로그램 케이스(120b)(도 1 및 도 2 참조)의 내부로 이동시킨다(단계 S403).
그런 후, 제어부(160)는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한다(단계 S404). 여기서, 제어부(160)가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AES256으로 암호화되어 있는 고인의 프로필 정보와 데이터를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반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60)에 의해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의 디코딩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홀로그램 표출부가 홀로그램 케이스(120b)의 내부 3차원 공간에, 도 2의 (a)∼(c)와 같이,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한다. 여기서, 도 2의 (a)는 고인의 얼굴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의 예시이고, (b)는 고인의 상반신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의 예시이며, (c)는 고인의 반려동물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의 예시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의 프로필 표시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405). 여기서, 상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는 고인의 성함, 출생일, 사망일, 가족관계, 생전에 남긴 말씀, 음성, 영상, 3차원 얼굴 및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한다(단계 S406).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함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고인이 생전 주로 사용하던 단어, 문구, 문장을 중심으로 억양과 사투리의 음성 특징들이 적용된 음성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모델, 딥페이크(deep fake)로 가상 생성되어 리그(rig)된 3D 얼굴 또는 바디 모델, 고인의 바디 행동 모델, 고인의 프로필 베이스 챗봇 모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S407).여기서, 상기 제어부(160)가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챗봇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을 문장으로 생성하며, 매칭된 고인의 얼굴 모션 또는 제스처 모델을 불러와 3D 딥페이크(deep fake) 얼굴, 바디에 적용하여 모션을 생성하고, 상기 챗봇 모델에 의해 생성된 문장과, 3D 딥페이크 얼굴, 바디에 적용하여 생성된 모션을 고인의 음성과 바디 모션, 얼굴 모션으로 사용자에게 재생하며, 대화 분기별 경우에 따라 저장된 추억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의 구현을 위한 유골함 입함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골함 입함 절차는 먼저 고인의 이름과 생전 시의 정보를 텍스트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여 고인을 등록한다(단계 S501). 즉, 초기 제스처 인식을 통해 입함할 고인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로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띄운다. 그런 다음, 유골함 저장이 가능한 납골료 공간을 안내한 후, 지정한다. 그리고 고인의 이름과 생전시의 정보를 홀로그램의 텍스트 입력창을 통해 입력한다. 그런 후, 별도로 준비된 USB 등을 이용하여 고인의 생전 영상, 이미지, 음성 등 관련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이렇게 하여 고인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면, 고인과 관련된 관계자 및 가족들의 정보를 식별하고 암호화하여 사용자를 등록한다(단계 S502). 즉, 고인과 관련된 관계자 및 가족들의 지문과 음성, 얼굴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하고, 식별된 데이터는 AES256으로 암호화한다. 그런 후, 등록된 고인의 정보와 함께 그래프 DB의 연관 관계를 지정하고, 지정한 위치 정보와 함께 클라우드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를 등록한다.
그런 후, 홀로그램 장치 내부로 입함된 유골함을 자동 로봇 캐리어에 의해 미리 지정된 위치의 내부 납골묘로 이동시킨다(단계 S503).
그런 다음, 암호화되어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머신 러닝을 통해 AI를 학습시킨다(단계 S504). 즉, 암호화되어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는 머신 러닝을 통해 음성, 객체 추출, 3D 재생(reconstruction) 등을 수행한다.
이후, 전이학습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학습과 교정 장치를 통해 캐릭터 구조와 챗봇 AI의 다이얼로그(dialog)를 구성한다(단계 S505).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은 고인의 얼굴이나 신체 모습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고인의 유골함 상면 또는 측면에 투사하여 보여줌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이나 지인들에게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한층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 발명)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110: 유골함 보관부
110a: 유골함 120: 홀로그램 장치부
120a: 주몸체부 120b: 홀로그램 케이스
120c: 외부 보호 케이스 130: 사용자 인식부
140: 고인정보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제어부

Claims (13)

  1. 고인의 유골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추출하여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골함 보관부;
    상기 유골함 보관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얼굴, 고인의 상반신 및 고인의 반려 동물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표출하는 홀로그램 장치부;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고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골함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유골함들의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고인정보 저장부;
    상기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골함 보관부, 홀로그램 장치부, 사용자 인식부, 고인정보 저장부, 디스플레이부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고인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하며,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하며,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골함 보관부는 단층 또는 복층 구조로 구성되고,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자동 로봇 캐리어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 장치부의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고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해당 고인들에 대한 정보는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는 고인의 성함, 출생일, 사망일, 가족관계, 생전에 남긴 말씀, 음성, 영상, 3차원 얼굴 및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에 의한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에 있어서,
    1) 고인의 이름과 생전 시의 정보를 텍스트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여 고인을 등록하는 단계;
    2) 고인과 관련된 관계자 및 가족들의 정보를 식별하고 암호화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3) 홀로그램 장치 내부로 입함된 유골함을 자동 로봇 캐리어에 의해 미리 지정된 위치의 내부 납골묘로 이동하는 단계;
    4) 암호화되어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머신 러닝을 통해 AI를 학습시키는 단계;
    5) 전이학습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학습과 교정 장치를 통해 캐릭터 구조와 챗봇 AI의 다이얼로그(dialog)를 구성하는 단계;
    6) 사용자 인식부가 홀로그램 장치부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하는 단계;
    7) 제어부가 고인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
    8) 유골함 보관부 내의 자동 로봇 캐리어가 사용자와 관련된 고인의 유골함을 홀로그램 장치부의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9) 제어부가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10) 디스플레이부의 홀로그램 표출부가 홀로그램 케이스의 내부 3차원 공간에 고인의 홀로그램 영상을 표출하고, 프로필 표시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2차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11) 제어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하는 단계; 및
    12) 제어부가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7)에서 제어부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는 고인들의 프로필에서 상기 사용자와의 관계를 검색하고, 관계 고인들의 프로필을 3D 프로필 썸 네일(thumb nail)과 함께 표출하며,
    상기 단계 11)에서 상기 제어부가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지능 모델을 로딩함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고인이 생전 주로 사용하던 단어, 문구, 문장을 중심으로 억양과 사투리의 음성 특징들이 적용된 음성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모델, 딥페이크(deep fake)로 가상 생성되어 리그(rig)된 3D 얼굴 또는 바디 모델, 고인의 바디 행동 모델, 및 고인의 프로필 베이스 챗봇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12)에서 상기 제어부가 대화 분기별 메모리얼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식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챗봇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을 문장으로 생성하며, 매칭된 고인의 얼굴 모션 또는 제스처 모델을 불러와 3D 딥페이크(deep fake) 얼굴, 바디에 적용하여 모션을 생성하고, 상기 챗봇 모델에 의해 생성된 문장과, 3D 딥페이크 얼굴, 바디에 적용하여 생성된 모션을 고인의 음성과 바디 모션, 얼굴 모션으로 사용자에게 재생하며, 대화 분기별 경우에 따라 저장된 추억 영상을 재생하는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9)에서 제어부가 암호화된 고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AES256으로 암호화되어 있는 고인의 프로필 정보와 데이터를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반으로 디코딩하는 홀로그램 메모리얼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20119199A 2022-09-21 2022-09-21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KR10259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199A KR102596711B1 (ko) 2022-09-21 2022-09-21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199A KR102596711B1 (ko) 2022-09-21 2022-09-21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711B1 true KR102596711B1 (ko) 2023-11-02

Family

ID=8874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199A KR102596711B1 (ko) 2022-09-21 2022-09-21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7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872Y1 (ko) * 2004-11-22 2005-03-11 히데타카 토쿠하시 영상표시기능을 갖는 묘석 및 그를 이용한 납골 관리시스템
KR20200073910A (ko) 2018-12-16 2020-06-24 이선유 플로팅 홀로그램 장치를 가진 유골함
KR20210100446A (ko) * 2020-02-06 202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의 맥락에 대응하는 발화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93743B1 (ko) * 2020-05-29 2021-08-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챗봇 기반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872Y1 (ko) * 2004-11-22 2005-03-11 히데타카 토쿠하시 영상표시기능을 갖는 묘석 및 그를 이용한 납골 관리시스템
KR20200073910A (ko) 2018-12-16 2020-06-24 이선유 플로팅 홀로그램 장치를 가진 유골함
KR20210100446A (ko) * 2020-02-06 202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의 맥락에 대응하는 발화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93743B1 (ko) * 2020-05-29 2021-08-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챗봇 기반 케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4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machine interaction
Stiegler Technics and time, 2: Disorientation
US10482177B2 (en) Deep reading machine and method
US20150146040A1 (en) Imaging device
Horsti Digital materialities in the diasporic mourning of migrant death
Estrin Cold comfort: Empathy and memory in an Archaic funerary monument from Akraiphia
KR102596711B1 (ko) 홀로그램 메모리얼 장치 및 그 방법
Nakatsu et al. Entertainment, culture, and media art
O’Brien Why Look at Dead Animals?
US11393351B2 (en) Prayer device
Liszka Discerning Ancient Identity: The Case of Aashyet’s Sarcophagus (JE 47267)
Alley The Gay Artist as Tragic Hero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Stauder For the Eye Only: Aspects of the Visual Text in Ancient Egypt
Pierre Cinematography of Carl Theodor Dreyer: Performative Camerawork, Transgressing the Frame
KR102525911B1 (ko) 가족의 생전 형상과 가족의 dna를 갖는 ai 및 ai 원불(전패·위패), 십자가·예수·성모상·모세, ai유골함(골분함)과의 대화 및 ai로봇 상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aragna John Locke's Epistemological Empiricism and its Impact upon the Realistic Victorian Literature: Dickens' Great Expectations
Savin-Baden et al. Perspectives on Digital Afterlife
Pérez de Mendiola Mexican Contemporary Photography: Staging Ethnicity and Citizenship
JP2010081301A5 (ko)
Hwang Reading the “Comfort Women” in Cloud Atlas: A Comparative Approach
Al Hadawiyah Patriotism as Reflected in the MovieARGO
KR101583072B1 (ko) 임종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Ni It is More than a Bunch of Numbers: Trauma, Voicing and Identity in Jennifer Chow’s The 228 Legacy
Kozlovic Subtle Serpent Symbolism within Cecil B. DeMille’s Samson and Delilah (1949)
Reznik Re-writing Music Lyrics as Resistant Poetry in Tyehimba Jess's Olio and Morgan Parker's There Are More Beautiful Things Than Beyonc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