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17B1 -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417B1
KR102596417B1 KR1020210122336A KR20210122336A KR102596417B1 KR 102596417 B1 KR102596417 B1 KR 102596417B1 KR 1020210122336 A KR1020210122336 A KR 1020210122336A KR 20210122336 A KR20210122336 A KR 20210122336A KR 102596417 B1 KR102596417 B1 KR 10259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passive sonar
inspection
sona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258A (ko
Inventor
신효섭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에 센서마개를 연결한 후 센서마개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센서 설치 후 다양한 점검을 수행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INTEGRATED CHECKING SYSTEM WITH PASSIVE SONAR SENSO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소나는 수중 음파 전파를 이용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물체 및 목표물을 탐지하고 식별하는 장치이다. 소나는 수중에서 물체의 위치 탐색을 위한 신호탐지, 청음, 통신, 항해 등을 수행하기 위해 수중 음향을 이용한다.
해상 또는 잠수물체에 수동소나센서가 설치될 경우 센서 및 케이블에 대한 설치 검사가 수행되고, 주기적으로 점검이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 및 케이블의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기 위한 점검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점검 방식으로는 최초 설치 전 수조 시험(소스 레벨) 및 스테이브별 검사(절연 시험, 캐패시턴스, 극성 확인)가 개별적인 검사 방법으로 이루어져 시간과 검사에 소요되는 장치가 많이 필요하다. 설치 후 고장 검사는 절연 및 단선 검사 수준으로 점검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57198호 (2021.05.2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에 센서마개를 연결한 후 센서마개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센서 설치 후 다양한 점검을 수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 상기 수동소나센서의 외부를 감싸도록 연결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마개;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수신장치;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상기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하는 점검장치를 포함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마개는, 상기 수동소나센서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스피커;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 하이드로폰;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센서; 상기 센서마개와 상기 수동소나센서 간의 간극을 막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센서는,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점검장치는, 상기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절연 및 단선을 점검하고 상기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캐패시턴스를 점검하는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 상기 수동소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1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장치는, 대상 신호를 상기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스피커 처리부; 상기 기준 하이드로폰으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는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 상기 공기흡입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신호 처리부는 제1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1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는 제2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2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은, 상기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 처리부에 연결되어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입력하고, 상기 센서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수신한 제2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위상을 확인하고 극성을 확인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2 점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에 있어서,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에 센서마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상기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상기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에 센서마개를 연결한 후 센서마개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센서 설치 후 다양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기존의 소나센서 설치 전 수조 시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소나센서 설치 후 고장 검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의 센서마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의 점검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상 또는 잠수물체에 수동소나센서가 설치될 경우 센서 및 케이블에 대한 설치 검사가 수행되고, 주기적으로 점검이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 및 케이블의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기 위해서 점검 장치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수동소나의 센서 스테이브 및 케이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 장치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은 기존의 소나센서 설치 전 수조 시험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기존의 소나센서 설치 후 고장 검사를 예시한 도면이다.
현재 수준으로는 최초 설치 전 수조 시험(소스 레벨) 및 스테이브별 검사(절연 시험, 캐패시턴스, 극성 확인)가 개별적인 검사 방법으로 이루어져 시간과 검사에 소요되는 장치가 많이 필요하다. 스테이브는 매질(예컨대 수중)에서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설치 후 고장 검사는 절연 및 단선 검사 수준으로 점검을 수행한다. 실제 센서의 어느 부분에서 어떻게 고장이 생겼는지 알 수 없으므로 고장이 식별되면 센서 스테이브와 케이블을 모두 교체하여 재검사 후 사용해야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설치 후 검사 과정을 최초 설치 전 검사 수준에서 가능하도록 여러가지 검사를 통합하여 단일 장비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해양 등의 수동소나 설치 후 철거하여 점검이 이루어지기 힘든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의 센서마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의 점검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은 운용장치에 설치된 센서의 고장점검을 위해 특수설계된 센서마개와 휴대용 점검장치를 설치한다. 센서의 특성을 고려한 진공상태를 점검한다. 주 센서와 기준 센서를 비교하여 신호를 점검한다. 수조 시험과 스테이브별 검사 및 고장 검사를 통합하여 점검한다.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은 운용장치(10)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100), 수동소나센서의 외부를 감싸도록 연결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마개(200),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수신장치(300),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하는 점검장치(400)를 포함한다.
운용장치(10)는 수동소나센서(100) 부착이 필요한 잠수함일 수 있으나 수동소나센서(100)가 적용될 수 있는 일종의 격벽을 갖는 다양한 산업용 장비일 수 있다.
센서마개(200)는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스피커(210),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 하이드로폰(220),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센서(230), 센서마개와 상기 수동소나센서 간의 간극을 막는 차단막(24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흡입센서(230)는 센서마개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센서마개(200)는 하이드로폰이 들어갈 수 있게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원통 내부에 차단막이 있다. 소나센서의 수신특성을 맞추기 위해 마개 내부에서 공기흡입을 통해 진공상태를 만들고, 내부 공기압을 센싱한다.
점검장치(400)는 D/A 신호를 생성하여 센서 특성에 맞는 레벨/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마개(200)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주 센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센서신호 처리부에서 A/D 변환을 수행한다. 기준 센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 처리부에서 A/D 변환을 수행한다.
점검장치(400)는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절연 및 단선을 점검하고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캐패시턴스를 점검하는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310), 수동소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1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신호 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310) 및 센서신호 처리부(320)는 수동소나센서에 연결된 센서수신장치(30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점검장치(400)는 대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전송하는 스피커 처리부(410), 기준 하이드로폰으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는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420), 공기흡입센서에 연결되어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유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신호 처리부(320)는 제1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1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할 수 있다.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420)는 제2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2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할 수 있다.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은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하고, 스피커 처리부에 연결되어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입력하고, 센서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고,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수신한 제2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레벨과 주파수를 확인한다. 신호를 송신한 시간으로 위상을 확인하고, 극성을 확인한다. 신호 레벨 확인과 함께 단선 점검(디퍼런셜 신호선을 확인)을 수행한다. 점검장치 정상동작과 함께 절연점검을 수행한다. 신호선 캐패시턴스를 점검(센서 + 케이블 + 관통구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위상을 확인하고 극성을 확인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2 점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은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은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에 센서마개를 연결하는 단계(S10), 센서마개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센서마개를 연결하는 단계(S10)는 센서마개에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스피커,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 하이드로폰,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센서, 센서마개와 수동소나센서 간의 간극을 막는 차단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흡입센서는 센서마개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점검장치를 통해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절연 및 단선을 점검하고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캐패시턴스를 점검을 수행하고, 수동소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점검장치를 통해 대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전송하고, 기준 하이드로폰으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고,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제1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1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할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제2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2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할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하고,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입력하고,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고, 수신한 제2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위상을 확인하고 극성을 확인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40)는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2 점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점검시험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점검에 필요한 장비 및 계측기 수를 줄여 관리가 수월하고, 센서 설치 후에도 다양한 점검이 가능하여 고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휴대 가능하므로 점검 장소의 공간적인 제약사항에 영향받지 않는다.
점검장치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
    상기 수동소나센서의 외부를 감싸도록 연결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마개;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수신장치;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상기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하는 점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마개는, 상기 수동소나센서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스피커;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 하이드로폰;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센서; 및 상기 센서마개와 상기 수동소나센서 간의 간극을 막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센서는,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장치는,
    상기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절연 및 단선을 점검하고 상기 수동소나센서의 신호선의 캐패시턴스를 점검하는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
    상기 수동소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1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장치는,
    대상 신호를 상기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스피커 처리부;
    상기 기준 하이드로폰으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는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
    상기 공기흡입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처리부는 제1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1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하고,
    상기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는 제2 고정 이득 및 신호 이퀄라이저를 적용하고 제2 가변 이득 앰프를 적용하고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고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 처리부에 연결되어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입력하고,
    상기 센서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 하이드로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수신한 제2 신호의 신호 레벨 및 주파수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위상을 확인하고 극성을 확인한 제1 점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연 단선 캐패시턴스 점검부에 연결되어 절연 여부, 단선 여부, 캐패시턴스에 관한 제2 점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시스템.
  10.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에 있어서,
    운용장치에 설치된 수동소나센서에 센서마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상기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수동소나센서가 출력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변환한 신호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한 센서수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마개를 통해 상기 수동소나센서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동소나센서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하고, 기준 하이드로폰을 통해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며, 공기흡입센서를 통해 상기 센서마개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공기를 흡입하며, 기 센서마개와 상기 수동소나센서 간의 간극을 차단막을 통해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나센서 점검 방법.
KR1020210122336A 2021-09-14 2021-09-14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KR10259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36A KR102596417B1 (ko) 2021-09-14 2021-09-14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36A KR102596417B1 (ko) 2021-09-14 2021-09-14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58A KR20230039258A (ko) 2023-03-21
KR102596417B1 true KR102596417B1 (ko) 2023-10-31

Family

ID=8580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36A KR102596417B1 (ko) 2021-09-14 2021-09-14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4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24B1 (ko) * 2017-08-2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198B1 (ko) 2019-09-27 2021-05-28 엘아이지넥스원(주) 빅데이터 기반의 소나 성능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24B1 (ko) * 2017-08-2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58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459A (en) Subject identif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654637B1 (ko) 케이블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CN106104246B (zh) 超声气体泄露检测器和测试方法
US7318335B2 (en) Ultrasonic gas leak detector including a detector testing device
US9804053B2 (en) Defect analysis device, defect analysis method, and program
RU2655707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обнаружение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средах
US95683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noise from acoustic energy from a valve
CN116484308B (zh) 一种基于边缘自适用计算的数据采集方法
US86382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leak in a system component and/or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system component
KR102293302B1 (ko) 누수 감지 장치 및 시스템
RU2683633C1 (ru) Контроль стационарного состояния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CN105277968B (zh) 一种地震激发源的自动激发控制方法及装置
KR101548288B1 (ko) 반사파 계측을 이용한 배선 진단 시스템
KR102596417B1 (ko) 수동소나센서 연동 통합 점검 시스템
US20140053649A1 (en) Monitoring unit and method for detecting structural defects which can occur in an aircraft nacelle during use
CN109725318B (zh) 信号处理方法及装置、主动传感器及存储介质
CN110132509A (zh) 一种埋地管道破损点定位系统和方法
US201102887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time-of-flight of an acoustic signal
CN101793548A (zh) 直流换流站设备噪声相干分离的装置与方法
CN116990870A (zh) 一种用于地下管线探测的发射接收系统
KR100729937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복합센서를 이용한 전력기기의부분방전 측정장치
KR20170109770A (ko) 수중 운동체의 자체 소음과 자기 발생 소나 신호를 이용한 수중 운동체의 상태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20210262886A1 (en) Fluid leakage diagnosis device, fluid leakage diagnosis system, fluid leakage diagno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fluid leakage diagnosis program
KR101045479B1 (ko) 다인자 계측시스템
CN115541714A (zh) 一种基于压电传感器的海底管道损伤检测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