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276B1 -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276B1
KR102596276B1 KR1020180112454A KR20180112454A KR102596276B1 KR 102596276 B1 KR102596276 B1 KR 102596276B1 KR 1020180112454 A KR1020180112454 A KR 1020180112454A KR 20180112454 A KR20180112454 A KR 20180112454A KR 102596276 B1 KR102596276 B1 KR 10259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arture
signal
port
arriv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044A (ko
Inventor
정두훈
이인
이현호
이동연
차지혜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는 출발 신호 입력 시 출발 정보를 생성하는 출발 정보 생성부; 도착 신호 입력 시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항구 체크부; 상기 항구 체크부로부터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한다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도착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발 정보와 상기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regulatory reports}
본 발명은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 운송 과정에서 온실가스(ex.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이해되고 있어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다양한 규제가 만들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EU MRV(Monitoring, Reporting, Verification)는 유럽 연합이 유럽 연합 내 항구로 입항하는 모든 선박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규정으로서 2018년 시행 중에 있다.
또한, IMO DCS(Data Collecting System)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운항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연료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온실 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규정으로서 2019년 1월에 시행 예정이다.
위와 같은 규정은 선박이 운항을 마치면 선박이 규정을 준수하며 운항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규제 관련 리포트의 작성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에는 규제 관련 리포트가 선박에 탑승하였던 담당 승무원이 수기로 작성하였는데, 수기 작성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작성을 위한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0199호 (공개일: 2016.05.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정확하게, 쉽게 작성하도록 구성된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발 신호 입력 시 출발 정보를 생성하는 출발 정보 생성부; 도착 신호 입력 시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항구 체크부; 상기 항구 체크부로부터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한다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도착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발 정보와 상기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착 정보 생성부는 상기 항구 체크부로부터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을 벗어나 위치한다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도착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출발 신호가 입력되기 바로 전에 생성된 도착 정보에 포함된 도착 항구를 출발 항구로 지정하여 상기 출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는 상기 출발 정보와 상기 도착 정보 외에 연료 소모량, 운항 거리, 운항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는 연료 종류 별 연료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발 신호 입력 시 출발 정보를 생성하는 (a)단계; 도착 신호 입력 시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b)단계; 상기 (b)단계 결과,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면 도착 정보를 생성하는 (c-1)단계; 및 상기 출발 정보와 상기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 생성 방법은 상기 (b)단계 결과,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을 벗어나 위치하면 상기 도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c-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출발 신호가 입력되기 바로 전에 생성된 직전 도착 정보에 포함된 도착 항구를 출발 항구로 지정하여 상기 출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는 상기 출발 정보와 상기 도착 정보 외에 연료 소모량, 운항 거리, 운항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는 연료 종류 별 연료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이 목적 항구에 도착 시 규정에서 요구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규제 관련 리포트를 수기로 작성하던 종래와 달리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작성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구 체크부(120)의 동작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100)는 출발 정보 생성부(110)와, 항구 체크부(120)와, 도착 정보 생성부(130)와, 리포트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100)는 선박에 탑재된다.
출발 정보 생성부(110)는 출발 신호 입력 시 출발 정보를 생성한다.
출발 신호는 선박에 탑재된 선교 관리 시스템(50)(bridge management system)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참고로, 선교 관리 시스템(50)은 다른 통상적인 선박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컨대, 선교 관리 시스템(50)은 출발 항구에서 출항하고자 할 때 출항을 위한 각종 장비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탠바이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발 정보 생성부(110)는 선교 관리 시스템(50)에서 생성된 스탠바이 신호를 출발 신호로 인식하고, 출발 신호가 입력되면 출발 정보를 생성한다.
출발 정보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출발 정보는 출발 시간 및 출발 항구를 포함한다.
출발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간은 출발 신호가 출발 정보 생성부(110)에 입력된 시간일 수 있다. 또는 출발 시간은 선교 관리 시스템(50)에서 스탠바이 신호가 생성된 시간일 수 있다.
출발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항구는 출발 신호 입력 시 선박의 출발 위치가 되는 항구이다. 예컨대, 출발 정보 생성부(110)는 출발 신호가 입력되기 바로 전에 후술하는 도착 정보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도착 정보로부터 출발 항구를 도출한다. 도착 정보 생성부(130)가 도착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출발 신호가 입력되기 바로 전에 생성된 도착 정보는 도착 항구 및 도착 시간을 포함한다. 출발 정보 생성부(110)는 출발 신호가 입력되기 바로 전의 도착 정보에 포함된 도착 항구를 현재 출발 항구로 지정할 수 있다.
출발 정보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출발 정보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출발 신호가 생성된 후 선박은 목적 항구를 향해 항해한다.
선박의 항해 과정에서 항구 체크부(120)에는 도착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도착 신호는 선교 관리 시스템(bridge management system)(5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선교 관리 시스템(50)은 엔진을 오프시킬 필요가 있을 때 엔진을 오프시키기 위한 엔진 오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선교 관리 시스템(50)은 목적 항구에 도착하여 엔진을 오프시켜야할 때 엔진 오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선교 관리 시스템(50)은 목적 항구에 도착하지 않았지만 특별한 사정으로 엔진을 오프시켜야할 때 엔진 오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항구 체크부(120)는 선교 관리 시스템(50)에서 생성된 엔진 오프 신호를 일단 도착 신호로 인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구 체크부의 동작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항구 체크부(120)는 도착 신호 입력 시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한다.
설정 반경과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선박의 종류, 선박의 크기, 항구의 규모, 항구의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박이 목적 항구에 도착한 것으로 보는 형태가 다양하다.
예컨대,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선적하기 위해 항구의 안벽에 접안해야 한다. 이러한 컨테이너선의 경우 항구에 안벽에 접안해야 항구에 도착한 것으로 본다. 이때, 컨테이너선과 항구 사이의 거리는 제로(zero)이거나 제로에 가깝다.
또는 초대형 유조선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수심이 낮은 항구의 안벽에 접안하기 어렵다. 이러한 초대형 유조선의 경우 항구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계류하면 도착한 것으로 본다. 초대형 유조선이 계류된 상태에서 이송라인을 통해 액체 화물이 육상으로 이송되거나 소형 선박을 통해 액체 화물이 육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항구 체크부(120)의 판단의 기준이 되는 설정 반경은 경험적 또는 통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통계의 대상이 되는 모든 대상 선박이 각자의 목적 항구에 도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각 대상 선박과 각자의 목적 항구 사이의 거리가 10 해리(nautical mile) 이내일 때, 설정 반경은 10 해리로 결정될 수 있다.
선박의 현재 위치는 GPS 장치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목적 항구는 출발 전에 또는 도착 전에 입력되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항구 체크부(120)는 저장부에 저장된 목적 항구가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는지 체크한다.
또는 저장부에는 선박이 순차적으로 도착해야 하는 목적 항구들을 포함하는 목적 항구 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항구 체크부(120)는 목적 항구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목적 항구가 각각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는지 체크한다.
이때, 순차적으로 도착해야 하는 목적 항구들은 상호 상당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두 개 이상의 목적 항구가 위치할 가능성은 없다.
항구 체크부(120)는 목적 항구가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면, 제 1 신호를 생성한다.
도착 정보 생성부(130)는 항구 체크부(120)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선박이 목적 항구에 도착한 것으로 인식하여 도착 정보를 생성한다.
도착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도착 정보는 도착 시간 및 도착 항구를 포함한다.
일례로, 도착 시간은 항구 체크부(120)에 상기 제 1 신호의 생성 원인이 된 도착 신호가 입력된 시간일 수 있다. 또는 도착 시간은 선교 관리 시스템(50)에서 상기 제 1 신호의 생성 원인이 된 스탠바이 신호가 생성된 시간일 수 있다.
도착 정보 생성부(130)는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체크된 목적 항구를 도착 항구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항구 체크부(120)는 목적 항구가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지 않으면, 제 2 신호를 생성한다.
도착 정보 생성부(130)는 항구 체크부(120)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선박이 목적 항구에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도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후, 선박은 다시 목적 항구를 향해 항해를 재개할 수 있다. 재개된 항해 중 항구 체크부(120)가 다시 도착 신호를 수신하면, 항구 체크부(120)는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하여, 제 1 신호 또는 제 2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포트 생성부(140)는 출발 정보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출발 정보와, 도착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한다.
규제 관련 리포트는 출발 정보와 도착 정보 외에 연료 소모량, 운항 거리, 운항 시간 등을 포함한다.
연료 소모량, 운항 거리, 운항 시간은 각각 별도의 체크 장치에 의해 체크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규제 관련 리포트는 상기 체크 장치로부터 체크된 연료 소모량, 운항 거리, 운항 시간 등을 취합하여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한다.
특히, 연료 소모량을 체크하는 연료 소모량 체크 장치는 연료 별로 소모량을 별개로 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 규제 관련 리포트는 연료 별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작성될 수 있다.
자동 생성된 규제 관련 리포트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100)는 선박이 목적 항구에 도착 시 규정에서 요구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규제 관련 리포트를 수기로 작성하던 종래와 달리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작성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저감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방법을 설명하되,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앞서 설명한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출발 정보 생성부(110)는 출발 신호 입력 시 출발 정보를 생성한다(S100).
이후, 항구 체크부(120)는 도착 신호 입력 시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한다(S200)
이후, 목적 항구가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하면, 도착 정보 생성부(130)는 도착 정보를 생성한다(S300).
이후, 규제 리포트 생성부(140)는 출발 정보와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한다(S500).
한편, S200 단계 결과, 목적 항구가 설정 반경을 벗어난 위치하면 도착 정보 생성부(130)는 S300 단계와 달리 도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선교 관리 시스템(bridge management system)
100 : 규제 관련 리포트 생성 장치.
110 : 출발 정보 생성부
120 : 항구 체크부
130 : 도착 정보 생성부
140 : 리포트 생성부

Claims (5)

  1. 출발 신호 입력 시 출발 정보를 생성하는 출발 정보 생성부;
    도착 신호 입력 시 선박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항구 체크부;
    상기 항구 체크부로부터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 안에 위치한다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도착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발 정보와 상기 도착 정보를 포함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를 포함하며,
    선박 내에 구축되는 선교 관리 시스템이 출항과 관련된 장비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탠바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스탠바이 신호를 상기 출발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출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교 관리 시스템이 상기 선박의 엔진을 오프시키기 위한 엔진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항구 체크부는 상기 엔진 오프 신호를 상기 도착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설정 변경 안에 목적 항구가 위치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설정 반경은 선박의 종류, 선박의 크기, 항구의 규모 및 항구의 주변 환경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는 운항 거리, 운항 시간 및 연료 소모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소모량은 연료 종류별 연료 소모량이고,
    상기 리포트 생성부는 상기 선박이 상기 목적 항구에 도착하면 상기 규제 관련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정보 생성부는 상기 항구 체크부로부터 상기 목적 항구가 상기 설정 반경을 벗어나 위치한다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도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출발 신호가 입력되기 바로 전에 생성된 도착 정보에 포함된 도착 항구를 출발 항구로 지정하여 상기 출발 정보를 생성하는,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12454A 2018-09-19 2018-09-19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KR10259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54A KR102596276B1 (ko) 2018-09-19 2018-09-19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54A KR102596276B1 (ko) 2018-09-19 2018-09-19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44A KR20200033044A (ko) 2020-03-27
KR102596276B1 true KR102596276B1 (ko) 2023-10-30

Family

ID=6995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54A KR102596276B1 (ko) 2018-09-19 2018-09-19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2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6214B2 (ja) * 2004-11-12 2011-07-06 株式会社三井造船昭島研究所 船舶の入出港離着桟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32037B1 (ko) * 2013-10-14 2015-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항차 단위 데이터 관리를 위한 입출항 자동 인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1746A (en) * 1968-01-02 1970-12-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Voltage acceptor circuit and overvoltage undervoltage detector for use therein
KR101633645B1 (ko) 2014-11-19 2016-06-27 씨제이대한통운 (주) 선박 운항정보 통합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KR102657769B1 (ko) * 2016-12-29 2024-04-16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운항패턴 분석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6214B2 (ja) * 2004-11-12 2011-07-06 株式会社三井造船昭島研究所 船舶の入出港離着桟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32037B1 (ko) * 2013-10-14 2015-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항차 단위 데이터 관리를 위한 입출항 자동 인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44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meister et al. Autonomous unmanned merchant vessel and its contribution towards the e-Navigation implementation: The MUNIN perspective
Burmeister et al. Can unmanned ships improve navigational safety?
R⊘ dseth From concept to reality: Unmanned merchant ship research in Norway
US1029715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emergency response vessel position
Bačkalov et al. Improvement of ship stability and safety in intact condition through operational measur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201501345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shipping cargo
KR102355388B1 (ko)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방법
US117894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ship
KR102596276B1 (ko) 규제 관련 리포트 자동 생성 장치
KR20110138948A (ko) 선박 수색용 비상 위치 부표시스템
Smestad A study of satellite AIS data and the global ship traffic through the Singapore Strait
KR101713230B1 (ko) 선박 원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579991B1 (ko) 선박의 자동 연료 충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탑재된 선박
KR20110138056A (ko) 선박의 음성 경보장치
Yang Intelligent ships
Wasilewski et al. Autonomous shipping. The fu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Ando et al.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utonomous Ships in Japan
Lafte et al. International navigation rules governing the unmanned vessels
KR20110138055A (ko) 선박의 추진제어 및 상태감시 장비의 백업 장치
Chua et al.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digital testing of mass navigation safety prior to sea trials
Kurt et al. Remote Working in the New Normal of a Global Pandemic: Autonomous Ships and Shore Control Centres
KR101868952B1 (ko) 선박의 경제운항 방법 및 그 장치
Callís Oliver SOLAS Convention: Safety on Board
Kim et al. Exploring marine accident causation: A case study
Wennersberg et al. Analysing supply chain phases for design of effective autonomous ship technology in new transport system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