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145B1 -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145B1
KR102596145B1 KR1020230099425A KR20230099425A KR102596145B1 KR 102596145 B1 KR102596145 B1 KR 102596145B1 KR 1020230099425 A KR1020230099425 A KR 1020230099425A KR 20230099425 A KR20230099425 A KR 20230099425A KR 102596145 B1 KR102596145 B1 KR 10259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llar
sign
fix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근
Original Assignee
장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근 filed Critical 장덕근
Priority to KR102023009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형 이동식 간판에 있어서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규격의 제한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호환성이 우수한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지부, 기둥부, 체결부재 및 간판부를 포함하고, 기둥부의 일단부는 지지부에 연결 및 고정되고, 기둥부는 일단부로부터 지지부의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간판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기둥부에 고정되는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Signboard frame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본 발명은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면에 세워 두는 이동식 간판용 프레임의 조립 및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판은 점포 등에서 이름이나 판매 상품, 업종을 표시하여 광고의 목적으로 사람들의 눈에 잘 띄게 배치하는 표지를 의미한다. 간판 등의 옥외 광고물은 실외에 위치하여 이동상 장애를 초래하거나 또는 안전 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그 시행령 및 각 지방자치단체별 조례에서 옥외 광고물의 사용법, 종류와 형식, 규격, 설치 방법, 설치 장소와 설치 개수 및 배치 등에 대해 규제하고 있다.
다양한 광고용 간판 중에서 입간판은 지면에 세워 두는 등 고정되지 않은 광고물을 의미한다. 입간판은 그 정의와 같이 지면에 세워 두는 등 다른 구조물에 고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벽면 이용 간판, 돌출 간판, 지주 이용 간판 등과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입간판은 지나가는 행인들이 볼 수 있도록 벽면에 고정 및 설치되는 벽면용 입간판과 노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탠드형 이동식 입간판 등이 있다.
스탠드형 이동식 입간판은 지나다니는 행인들에게 광고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직접 광고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요즘에는 내부에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야간이나 날이 흐린 날에도 간판이 발광하여 보행자의 시선을 유도함으로써 극대화된 광고 효과를 갖는다.
그런데, 간판의 교체 등의 이유로 스탠드형 이동식 입간판을 분해 및 재조립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 예컨대, 간판 디자인을 교체한다든지, 상호명을 수정한다든지 하는 상황이 있다. 이와 같은 때에는, 간판의 교체를 위한 분해 및 재조립이 간편하고 쉬울수록 좋다.
또한, 간판을 지지하는 기둥부의 규격이 제조사 별로 다를 수 있다. 이 때, 기둥부 규격에 따라 간판부의 설치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간판부와 기둥부의 체결 규격이 제조사 별로 상이하여 호환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간판 교체 시에 제조사 별로 규격을 체크하여 교체할 수 있는 부품 대상 범위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435326호 한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10-2022-0059223호 한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10-2021-0061700호 한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10-2020-01272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드형 이동식 간판에 있어서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한 간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드형 이동식 간판에 있어서 규격의 제한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호환성이 우수한 간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은, 지지부, 기둥부, 체결부재 및 간판부를 포함하고, 기둥부의 일단부는 지지부에 연결 및 고정되고, 기둥부는 일단부로부터 지지부의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기둥부는 2개 이상 포함되고, 간판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기둥부에 고정되고, 체결부재는, 기둥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기둥부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체결부재는, 가요성 금속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기둥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포개져서 연결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부 및 고정부와 체결부를 관통하여 고정부의 양단부 및 체결부를 체결하는 체결 나사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관통구멍은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체결부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간판부의 후면에는 간판부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체결돌기는 간판부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체결부는 체결돌기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되며, 체결 나사가 제1 관통구멍, 제2 관통구멍 및 제3 관통구멍을 동시에 관통하며 고정부, 체결부 및 체결돌기를 체결하고, 간판부를 기둥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상의 몸통부와, 몸통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부의 외주면을 압박하고, 탄성 변형하는 판상의 압박부를 복수개 포함하고, 압박부는, 그 일단이 몸통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압박부는 몸통부의 폭 방향의 양쪽에 모두 형성되고, 압박부는, 몸통부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기둥부에 가까워지도록 두께방향으로 경사지고, 압박부는,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압박부는, 압박부의 타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기둥부의 외주면에는 기둥부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부가 형성되고, 접촉부는 기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 내에 배치되어 기둥부의 외주면을 압박하고, 접촉부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몸통부와 평행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기둥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체결돌기를 지지하도록 기둥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돌출 지지부가 형성되고, 체결부는, 고정부의 단부와 대향하는 측의 일단부에, 그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형 이동식 간판에 있어서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한 간판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형 이동식 간판에 있어서 규격의 제한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호환성이 우수한 간판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기둥부와 체결부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은, 지지부(10), 기둥부(20), 체결부재(30) 및 간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0)는 지면을 지지하는 발판부일 수 있다. 지지부(10)는 간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무거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철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20)의 일단부는 지지부(10)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기둥부(20)의 일단부는 기둥부(20)의 하단부이다. 또한, 기둥부(20)는 일단부(하단부)로부터 지지부(10)의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기둥부(20)는 지지부(10)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판용 프레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간판용 프레임은 2개의 기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2개의 기둥부(20)는 모두 지지부(10)의 지지면에 수직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는, 2개의 기둥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인 폭 길이가, 폭 길이와 수직한 방향의 깊이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판용 프레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판부(40)는, 체결부재(30)에 의해 기둥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간판부(40)는, 광고하고자 하는 상호 또는 브랜드 로고 등이 프린트되고 조명을 발광하는 부분이다. 간판부(40)가 체결부재(30)에 의해 기둥부(20)에 고정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스탠드형 이동식 입간판에 있어서 간판부(4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기둥부(20)와 체결부재(3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3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30)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체결부재(30)는, 가요성 금속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기둥부(2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포개져서 연결되는 고정부(31), 고정부(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부(32), 그리고 고정부(31) 및 체결부(32)를 관통하여 고정부(31)의 양단부 및 체결부(32)를 체결하는 체결 나사(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31)는 가요성 금속의 띠상으로 형성되므로, 기둥부(20)의 외주면를 따라서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다. 즉, 기둥부(2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고정부(31)는 가요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판부(40)를 기둥부(20)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31)는 기둥부(20)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그 접촉면에서 기둥부(20)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에 가하는 압박력은 예컨대 탄성력일 수 있다.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에 강한 압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31)와 기둥부(20)의 접촉면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고, 이에 의하여 고정부(31)가 기둥부(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31)를 통해 체결된 간판부(40)가 기둥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에 압박력을 가하는 구체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2)는 고정부(31)의 양단 각각에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2)는 고정부(31)의 양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부(31)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상의 몸통부(311)와, 몸통부(311)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부(20)의 외주면을 압박하고, 탄성 변형하는 판상의 압박부(31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박부(312)는 그 일단이 몸통부(31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박부(312)는 몸통부(311)의 폭 방향 양쪽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31)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압박부(312)가 몸통부(311)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2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압박부(312)는 일종의 판스프링과 같이 기능한다. 이에 의해,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을 둘러쌀 때, 압박부(312)가 기둥부(2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기둥부(20)의 외주면을 압박한다. 이에 의해, 고정부(31)가 기둥부(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압박부(312)는, 몸통부(311)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자유단인 타단으로 갈수록 기둥부(20)에 가까워지도록 두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밀착될 때, 기둥부(20)의 외주면을 향해 탄성력에 의한 압박력을 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박부(312)가 기둥부(20)로부터 압박력을 받아서, 압박부(312)의 타단부가 도 7에 화살표 α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형되고, 압박부(312)는 이에 저항하는 가압력을 발생하여 압박부(312)가 기둥부(20)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고정부(31)가 기둥부(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압박력은 기둥부(20)의 직경에 따른 압박부(312)의 탄성 변형의 정도에 따라 변화되지만, 어느 경우에도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기둥부(20)를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압박부(312)의 형상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31)의 압박부(312)는, 몸통부(311)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자유단인 타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박부(312)의 변위 시에 있어서 각 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균등화를 높일 수 있다. 즉, 압박부(312)에 대하여, 몸통부(311)에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자유단인 타단부를 향하여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변형 시의 응력 분포가 평준화되고, 타단부에 일정한 변위를 부여하였을 때의 최대 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압박부(312)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료 면적이 작은 설계를 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도 가능해진다.
한편, 몸통부(311)에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자유단인 타단부를 향하여 폭을 가늘게 하지 않고 일정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타단부에서의 굽힘 응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기둥부(20)에 접촉하는 타단부의 전방의 응력이 작고, 그 차(배율)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압박부(312)에 일정한 변위를 부여할 때, 타단부에 집중된 응력이 판재의 항복 응력을 초과하지 않는 설계로 하기 위해 압박부(312)를 길게 형성해야만 하여, 사용하는 재료의 면적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박부(312)는, 압박부(312)의 타단에 형성된 접촉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13)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몸통부(311)와 평행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313)는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었을 때 기둥부(20)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20)의 외주면에는 기둥부(20)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312)의 타단에 형성된 접촉부(313)는 기둥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 내에서 기둥부(20)의 외주면을 압박할 수 있다. 접촉부(313)가 기둥부(20)의 홈부 내에 배치되므로, 체결부재(30)가 연직 하방으로 받는 중력을 상쇄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체결부재(30)를 통해 간판부(4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은 고정부(31)가 탄성 변형하는 판상의 압박부(312)를 복수개 포함하고, 이 압박부(312)가 기둥부(2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기둥부의 외주면 상에 압박력을 가하므로, 압박부(312)와 기둥부(20)의 접촉면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고, 이에 의하여 고정부(31)가 기둥부(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31)를 통해 체결된 간판부(40)가 기둥부(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부(31)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구멍(310)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관통구멍(310)은 고정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31)는 벨트와 같이 띠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구멍(3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2)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구멍(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구멍(320)은 제1 관통구멍(310)과 동일한 직경 및 중심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판부(40)의 후면에는 간판부(40)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개 이상의 체결돌기(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41)는 간판부(4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관통구멍(410)은 제1 관통구멍(310) 및 제2 관통구멍(32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이 때, 간판부(40)의 폭 방향이란, 도 1에서와 같이 간판부(4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부(31)의 양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32)는 체결돌기(41)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32)는 체결돌기(41)의 양 측면과 평행하게 포개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고정부(31)의 양단이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그 다음, 고정부(31)의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에 각각, 체결부(32)가 고정부(31)와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부(31)의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사이에, 체결돌기(4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에서, 고정부(31)의 제1 관통구멍(310) 중 어느 하나, 체결부(32)의 제2 관통구멍(320)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체결돌기(41)의 제3 관통구멍(410)은 동심으로 겹쳐질 수 있다. 고정부(31)의 제1 관통구멍(310) 중 어느 하나, 체결부(32)의 제2 관통구멍(320)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체결돌기(41)의 제3 관통구멍(410)은 동심으로 겹쳐지면, 체결 나사(33)가 제1 관통구멍(310), 제2 관통구멍(320) 및 제3 관통구멍(410)을 동시에 관통하며 고정부(31), 체결부(32) 및 체결돌기(41)를 체결할 수 있다. 즉, 체결부재(30)의 체결 나사(33)는, 제1 관통구멍(310), 제2 관통구멍(320) 및 제3 관통구멍(200)이 형성하는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볼트-너트 결합함으로써, 체결부재(30)와 간판부(40)를 고정하고,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에 강한 압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부재(30)는 기둥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부재(30)는 간판부(40)를 기둥부(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체결구조에 의하면, 마치 벨트를 매는 것과 같은 간단한 원리로 간판부(40)를 체결부재(30)에 의해 기둥부(2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간판부(40)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어, 간판부(40)의 교체가 쉽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체결구조에 의하면, 체결부재(30)가 체결되는 기둥부(20)의 직경에 알맞게, 고정부(31)의 양단끼리를 체결하는 제1 관통구멍(310)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관통구멍(310)에 의해 체결부재(30)를 다양한 직경의 기둥부(20)에 적용할 수 있어 규격의 제한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우수한 호환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기둥부(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체결돌기(41)를 지지하도록 기둥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돌출 지지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21)는 체결돌기(41)와 간섭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체결돌기(41)를 연직 상방으로 지지함으로써 간판부(40)를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31)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고정부(31)가 기둥부(20)의 외주면에 가하는 압박력이 약해진 경우라도, 돌출 지지부(21)가 체결돌기(41)를 연직 상방으로 보조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간판부(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체결부(32)는 고정부(31)의 단부와 대향하는 일단부 측에, 그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2)가 만곡부(321)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체결부(32)의 테두리가 고정부(31)에 의해 강하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체결부(32)의 테두리가 고정부(31)가 강하게 접촉하면 상호간의 마찰 등에 의해 고정부(31)가 금방 손상될 수 있고, 이는 간판부(40)의 고정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32)가 만곡부(321)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간판부(40)가 더욱 안정적으로 기둥부(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체결부(32)가 만곡부(321)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30)가 고정되는 기둥부(20)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두 개의 마주보는 체결부(32)와 기둥부(20) 사이의 공간(S)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있어서, 체결부(32)가 만곡부(321)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30)가 고정되는 기둥부(2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두 개의 마주보는 체결부(32)와 기둥부(20) 사이의 공간이 작아져, 고정부(31)의 압박부(312)의 탄성 변형이 커짐으로써 압박력이 커지면서 기둥부(20)와의 고정을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체결부재(30)의 체결부(32)가 만곡부(321)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30)를 다양한 직경의 기둥부(20)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규격의 제한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호환성이 높은 체결부재(3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간판용 프레임은 벽면에 고정 및 설치되는 벽면용 입간판일 수 있다. 이 때, 간판용 프레임은 지지부(10'), 기둥부(20'), 체결부재(30') 및 간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지지부(10')는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부재일 수 있다. 지지부(10')는 볼트 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볼트 구멍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고 해당 볼트가 벽면 내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0')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0')는 안정적으로 벽면 상에 고정되기 위하여 가벼운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내지는 알루미늄 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둥부(20')의 일단부는 지지부(10')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기둥부(20')는 일단부가 지지부(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수직하며 벽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간판용 프레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간판용 프레임은 2개의 기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2개의 기둥부(20')는 모두 지지부(10')의 지지면과 지면에 수직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는, 2개의 기둥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이면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인 높이가, 높이 길이와 수직한 방향의 폭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판용 프레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간판부(40')는 체결부재(30')에 의해 기둥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지지부
20: 기둥부
21: 돌출 지지부
30: 체결부재
31: 고정부
32: 체결부
33: 체결나사
40: 간판부
41: 체결돌기

Claims (3)

  1. 지지부(10), 기둥부(20), 체결부재(30) 및 간판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20)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10)에 연결 및 고정되고, 상기 기둥부(20)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부(10)의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기둥부(20)는 2개 이상 포함되고,
    상기 간판부(40)는, 상기 체결부재(30)에 의해 상기 기둥부(20)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기둥부(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기둥부(20)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30)는,
    가요성 금속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2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포개져서 연결되는 고정부(31);
    상기 고정부(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부(32); 및
    상기 고정부(31) 및 체결부(3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31)의 상기 양단부 및 상기 체결부(32)를 체결하는 체결 나사(3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1)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구멍(310)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관통구멍(310)은 상기 고정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2)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구멍(320)을 포함하고,
    상기 간판부(40)의 후면에는 상기 간판부(40)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4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41)는 상기 간판부(4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410)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32)는 상기 체결돌기(41)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 나사(33)가 상기 제1 관통구멍(310), 상기 제2 관통구멍(320) 및 상기 제3 관통구멍(410)을 동시에 관통하며 상기 고정부(31), 상기 체결부(32) 및 상기 체결돌기(41)를 체결하고, 상기 간판부(40)를 상기 기둥부(20)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31)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상의 몸통부(311)와,
    상기 몸통부(311)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둥부(20)의 외주면을 압박하고, 탄성 변형하는 판상의 압박부(312)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312)는, 그 일단이 상기 몸통부(31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부(312)는 상기 몸통부(311)의 상기 폭 방향의 양쪽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압박부(312)는, 상기 몸통부(311)에 연결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기둥부(20)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두께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압박부(312)는,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인,
    간판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1020230099425A 2023-07-31 2023-07-31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KR10259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425A KR102596145B1 (ko) 2023-07-31 2023-07-31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425A KR102596145B1 (ko) 2023-07-31 2023-07-31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145B1 true KR102596145B1 (ko) 2023-10-30

Family

ID=8855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425A KR102596145B1 (ko) 2023-07-31 2023-07-31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1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982U (ja) * 1991-11-27 1993-06-25 株式会社コーゾージャパン ボ−ド看板装置
KR20140030705A (ko) * 2012-09-03 2014-03-12 주식회사 선진글맥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101547503B1 (ko) * 2012-09-03 2015-08-26 주식회사 선진글맥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200491982Y1 (ko) * 2020-01-08 2020-07-13 (주)세종에스씨 지시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향 표지판
KR20200127285A (ko) 2019-05-01 2020-11-11 민은홍 광고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동식 입간판
KR20210061700A (ko) 2019-11-20 2021-05-28 김현호 이동이 용이한 광고용 입간판
KR20220059223A (ko) 2020-11-02 2022-05-10 클라우드라인주식회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이동형 입간판 장치
KR102435326B1 (ko) 2021-09-01 2022-08-23 주식회사 무새 이동성이 개선된 간판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982U (ja) * 1991-11-27 1993-06-25 株式会社コーゾージャパン ボ−ド看板装置
KR20140030705A (ko) * 2012-09-03 2014-03-12 주식회사 선진글맥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101547503B1 (ko) * 2012-09-03 2015-08-26 주식회사 선진글맥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20200127285A (ko) 2019-05-01 2020-11-11 민은홍 광고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동식 입간판
KR20210061700A (ko) 2019-11-20 2021-05-28 김현호 이동이 용이한 광고용 입간판
KR200491982Y1 (ko) * 2020-01-08 2020-07-13 (주)세종에스씨 지시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향 표지판
KR20220059223A (ko) 2020-11-02 2022-05-10 클라우드라인주식회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이동형 입간판 장치
KR102435326B1 (ko) 2021-09-01 2022-08-23 주식회사 무새 이동성이 개선된 간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145B1 (ko)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간판용 프레임
KR200400526Y1 (ko) 입간판
KR102603644B1 (ko) Led 간판
CN110197624B (zh) 可折叠组件和可折叠显示装置
US9311832B2 (en) Plate-like member mounting device
KR200384454Y1 (ko) 광고용 채널 고정 프레임
KR101373772B1 (ko) 간판
KR101298257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464638B1 (ko) Led 전광판용 프레임
KR100400831B1 (ko) 간판용 문자케이스의 보강구조
KR102456260B1 (ko) 휠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성이 개선된 광고물 조립체
KR200464604Y1 (ko) 간판 광고문 설치유닛 및 이를 갖는 광고 간판
KR101940159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056187B1 (ko) 안내표지 구조물
KR200297373Y1 (ko) 광고용 간판
KR102191446B1 (ko) 광고용 간판
KR20170006404A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KR20240000847A (ko) 간판 설치용 브라케트
KR102519300B1 (ko) 단순 결합구조를 갖는 광고판 거치대
KR101872986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200023943A (ko) 그림자 광고 시스템용 거치대
KR102386371B1 (ko) 직물 원단을 구비한 초경량 간판
KR200457027Y1 (ko) 이중 조명이 가능한 간판
KR20170002621U (ko) 대형 led 광고판
KR20110014332A (ko) 입체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