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695B1 -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695B1
KR102595695B1 KR1020220179746A KR20220179746A KR102595695B1 KR 102595695 B1 KR102595695 B1 KR 102595695B1 KR 1020220179746 A KR1020220179746 A KR 1020220179746A KR 20220179746 A KR20220179746 A KR 20220179746A KR 102595695 B1 KR102595695 B1 KR 10259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rd reel
electric cord
earth leakag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용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코드릴을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와 연동함으로써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 등) 및 누전상태를 원거리에서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를 차단하고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는 전기 코드릴에 있어서 전선의 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운전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부; 원격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안테나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누전차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Portable Smart Electric Cord Ree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코드릴을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와 연동함으로써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 등) 및 누전상태를 원거리에서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를 차단하고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원 인출용 전기코드릴는 전원 콘센트에 접속할 수 잇는 플러그가 코드 일단에 마련되며, 타단에는 코드로 공급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바, 작업장 등에서는 각종의 전동공구 등을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통상 벽면 등에 취부된 콘센트(주로 매립형)로부터 전기코드를 사용하여 전동공구 측에 전원을 공급,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휴대용 전기 코드릴은 그 특성상 빈번한 감김과 풀림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전선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운전전류나 전선의 온도, 현재의 부하상태, 회로의 충전여부 등을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감아져 있는 형태(10~20m)로 장시간 사용시에 전선간 과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이 높고, 비교적 고압의 220V 전원은 누전시에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우려가 높아 제품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현상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작업 중에 전기 코드릴의 상태를 알 수 없어서 전기 코드릴의 건전성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11629호(1999.03.25. 공개)에는 누전차단 기능을 갖는 전선 코드릴에 관한 기술이 나타나 있으나, 코드릴에 감긴 전선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외부로 출력하고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와 연동하여 과부하 등 비상시 누전을 차단하는 기술은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042호(2005.07.07. 공고)에는 케이블 릴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이 감겨진 드럼이 회전되더라도 드럼의 일측 케이스에 장착된 콘센트는 정지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케이블 릴의 사용이 간편하고 전원연결 작업 효율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나타나 있기는 하나, 여기에도 케이블 릴에 감긴 전선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외부로 출력하고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와 연동하여 과부하 등 비상시 누전을 차단하는 기술은 나타나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11629호(1999.03.25. 공개)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042호(2005.07.07. 공고)
이에, 본 발명은 기존 발명들로부터 더 발전된 기술로서 전기 코드릴의 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 등의 전선 코드릴의 상태를 검출하여 외부로 표시하고, 과부하 등 비상시에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와 연동하여 원거리에서도 관리자에게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 및 누전상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과부하의 발생 시 누전을 차단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는, 전기 코드릴에 있어서 전선의 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운전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부; 원격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안테나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누전차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는 wi-fi 송수신 안테나로서,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워치)에 운전정보 및 누전차단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코드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비상시 작동하는 LED 경광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상기 표시부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부와 누전차단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차단부 및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외부로 표시하고, 과부하 등 비상시에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와 연동하여 원거리에서도 관리자에게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 및 누전상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전기 감전, 화재 위험 등 안전사고 예방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과부하의 발생 시 누전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용 코드릴의 사용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기본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전체 기본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운전상태 표시 및 누전차단기 부착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wi-fi 송수신 안테나 및 LED 경광등 부착 상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 3b의 정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연동 스마트기기의 운전상태 및 누전차단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로서, 전선의 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을 검출하는 검출부(10)와, 상기 검출부(10)의 운전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20)와,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부(40)와, 원격지(원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60)와, 상기 검출부(10)의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20) 및 상기 안테나(60)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누전차단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는 본 발명의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정면부와 측면부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도가 제시되고 있고, 도 2b에는 본 발명의 전체 기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4각형 구조 지지대 안에 코드릴의 전선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원통형릴(82)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손잡이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통상의 전기 코드릴의 기능인 전원콘센트 플러그단자(80)를 작업장 벽면 등의 전원 콘센트에 꼽고 작업 대상물의 단자를 연결하는 접지 전원콘센트(84)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전기코드릴의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기재를 생략한다.
도 2a의 상기 원통형릴(82)의 측부 일면에는 본 발명의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가 배치되고, 그 주위에는 누전차단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a, 3a, 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0)는 예를 들면, 운전전류 15A, 전선온도 25℃, 현재 부하율 70% 등과 같이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운전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보는 검출부(10)를 통해 전달되는데, 이는 검출부(10)의 내부에 상기 운전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통상의 감지센서(부호 미표시)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부호 미표시) 등에 의한 검출 기능은 통상의 공지기술을 차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도 2a의 상기 원통형릴(82)의 측부 일면에는 누전차단부(40)가 배설되는데, 이는 전기 부하용량의 과부하 발생시 또는 누전시에 화재 등의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누전차단기 등의 누전차단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b의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기본 개념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누전차단부(40)와 검출부(10) 및 표시부(20)는 제어부(50)에 의하여 상기 검출부(10)의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20) 및 상기 안테나(60)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누전차단부(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60)는 wi-fi 송수신 안테나로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와 같은 스마트기기(70)에 운전정보 및 누전차단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2a의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의 4각형 구조 지지대(86)의 상부에는 통신용 송, 수신 wi-fi 안테나(60)가 배설되는데, 이는 원거리(원격지)에서 작업자(관리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진행 상황이나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 및 누전차단 데이터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기기(70)에는 상기 표시부(10)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부(72, 73, 74, 75, 76, 77)와 누전차단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버튼 명령 기능을 하는 차단부(78) 및 실행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기기(70)에는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인 현재의 부하용량(72), 운전전류(73), 코드릴의 운전온도(74, 75), 코드릴이 운전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릴상태부(76), 누전차단기의 상태를 표시 또는 버튼 명령 기능을 하는 차단부(78) 및 실행부(79)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기코드릴에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비상시 작동하는 LED 경광등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와 도 3b, 3c는 상기 LED 경광등부(30)가 상기 4각형 구조 지지대(86)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전기 감전, 화재 위험 등 안전사고 예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검출부, 20: 표시부, 30: 비상 LED 경광등부, 40: 누전차단부, 50: 제어부, 60: wi-fi 통신 안테나, 70: 스마트기기, 71: 시간표시부, 72:부하용량표시부, 73: 운전전류표시부, 74, 75: 코드릴 운전온도표시부, 76: 코드릴상태부, 77: 누전차단기상태부, 78: 차단표시버튼부, 79: 실행표시버튼부, 80: 전원콘센트 플러그 단자, 82: 원통형릴, 84: 접지 2구형 전원콘센트, 86: 4각형 구조 지지대

Claims (4)

  1. 전기 코드릴에 있어서,
    전선의 운전전류, 전선온도, 부하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운전정보를 외부의 원통형 릴에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차단부;
    원격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안테나로 출력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누전차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는 wi-fi 송수신 안테나로서,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워치)에 운전정보 및 누전차단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기 코드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비상시 작동하는 LED 경광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상기 표시부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전기 코드릴의 운전상태부와 누전차단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버튼 명령 기능을 하는 차단부 및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79746A 2022-12-20 2022-12-20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KR10259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746A KR102595695B1 (ko) 2022-12-20 2022-12-20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746A KR102595695B1 (ko) 2022-12-20 2022-12-20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695B1 true KR102595695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746A KR102595695B1 (ko) 2022-12-20 2022-12-20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6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62Y1 (ko) * 1997-08-28 2001-05-02 안영남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전선 코드릴
KR101452434B1 (ko) * 2014-02-25 2014-10-23 이우조 안전 케이블 릴
KR20180006240A (ko)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케이디일렉트릭 전선릴
KR20180024449A (ko) * 2016-08-30 2018-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누전차단 시스템
KR101846740B1 (ko) * 2016-11-18 2018-05-18 조석빈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20200115974A (ko) * 2019-03-30 2020-10-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KR20220118800A (ko) * 2021-02-19 2022-08-2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관리 콘센트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62Y1 (ko) * 1997-08-28 2001-05-02 안영남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전선 코드릴
KR101452434B1 (ko) * 2014-02-25 2014-10-23 이우조 안전 케이블 릴
KR20180006240A (ko)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케이디일렉트릭 전선릴
KR20180024449A (ko) * 2016-08-30 2018-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누전차단 시스템
KR101846740B1 (ko) * 2016-11-18 2018-05-18 조석빈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20200115974A (ko) * 2019-03-30 2020-10-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KR20220118800A (ko) * 2021-02-19 2022-08-2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관리 콘센트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90840B (zh) 包括机械命令接口的安全设备
US20180022566A1 (en) Capstan and System of Capstans for Use in Spooling Multiple Conductors Onto a Single Reel
US20160145081A1 (en) Intelligent motor brake for a length/angle sensor of a crane
CN108759933A (zh) 地下电缆的监测装置、系统
US9206019B2 (en) Working vehicle
KR100880818B1 (ko) 프로브 일체형 전류 전압측정 및 무선 전송장치
KR101452434B1 (ko) 안전 케이블 릴
KR102595695B1 (ko) 휴대용 스마트 전기 코드릴 장치
WO2000073866A1 (e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or monitoring non-electrical characteristics
KR20210020574A (ko) 화재 사전 차단이 가능한 콘센트 모듈 및 이를 적용한 생산설비
CN108726286A (zh) 一种移动式电缆盘及安全监护方法
CN104865490B (zh) 一种用于输电线路故障指示的指示器
CN207182599U (zh) 一种燃气泄漏远程监测及着火报警装置
JP6775334B2 (ja) 開閉装置
KR101659477B1 (ko)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시스템
CN212364861U (zh) 一种温控器
KR101557691B1 (ko) 전력 케이블 단선 방지 장치
CN115072605A (zh) 张力智能调节系统、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983396B (zh) 一种电气高压试验区域安全保护系统
CN215623177U (zh) 一种螺旋发热丝自动包棉机
CN211183394U (zh) 电机保护器及电机保护系统
CN217626956U (zh) 一种用于防爆电缆卷筒的安全装置及应用其的防爆电缆卷筒
JP2017200407A (ja) 遠方接地線監視システム
CN211955711U (zh) 一种用于星三角启动电机绝缘测量的辅助装置
KR102232911B1 (ko) 원격 개폐 조작이 가능한 공사용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