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571B1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 근접 레이어링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 근접 레이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571B1
KR102595571B1 KR1020177013921A KR20177013921A KR102595571B1 KR 102595571 B1 KR102595571 B1 KR 102595571B1 KR 1020177013921 A KR1020177013921 A KR 1020177013921A KR 20177013921 A KR20177013921 A KR 20177013921A KR 102595571 B1 KR102595571 B1 KR 10259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and
wearable device
sensor
depth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107A (ko
Inventor
존 씨 위스트
웬디 마치
에릭 레월렌
코리 제이 부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9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44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5V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겹겹이 착용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서를 포함한 센서들로부터 측정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측정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깊이는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가까운지,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외부 환경에 가까운지, 등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 근접 레이어링{DEPTH PROXIMITY LAYERING FOR WEARABLE DEVICES}
현대의 의류 및 기타 착용가능한 액세서리에는 컴퓨팅 또는 다른 진화된 전자 기술이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및/또는 진화된 전자 기술은 다양한 기능적 이유 때문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순전히 미적인 이유 때문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 및 기타 착용가능한 액세서리는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술" 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로 불린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특히 의류가 겹겹이 착용된다. 예컨대, 사람 몸통에 다음의 의류: 내의, 티셔츠, 아우터 셔츠, 및 자켓이 레이어링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람 팔에 다음의 의류: 시계, 긴팔 셔츠, 및 자켓이 레이어링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이 모든 착용가능한 아이템들은 (예를 들어, 온도 측정용, 맥박 측정용, 등의) 센서 또는 다른 이러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템들이 레이어링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센서로부터의 판독이 상이할 수 있다. 통상,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것, 및 어떤 센서 판독이 "정확한지" 혹은 어떤 센서 판독이 특정 계산 또는 메트릭에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이용불가하고, 직관적이지 못하고, 및/또는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중에서 깊이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는 레이어링된 방식으로 착용된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로직 흐름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를 도시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레이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레이어링될 수 있는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각각이 연관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측정량(measured quantities)이 수신될 수 있다. 측정량에 기초하여, 서로에 대한 및/또는 착용자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깊이 및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깊이는 서로에 대한 또는 착용자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순서를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깊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예컨대, 깊이는 착용자에 가장 가까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로부터 가장 먼 웨어러블 디바이스, 외부 환경에 가장 가까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표시(an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깊이는 모든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예컨대, 깊이는 특정된 관점(예를 들어, 착용자로부터의 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순서, 등)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순서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겹겹이 착용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의류의 여러 아이템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티셔츠, 버튼다운 셔츠, 및 자켓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템은 겹겹이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체온 캡처, 주변 온도 캡처, 맥박 캡처, 오디오 캡처, 사운드 방출,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겹겹이 착용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깊이 또는 상대적 순서에 의존할 수 있다. 예컨대, 티셔츠는 체온을 캡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자켓은 주변 온도를 캡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자켓이 제거되면, 버튼다운 셔츠가 주변 온도를 캡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자켓이 착용되면, 그 자켓은 오디오 캡처 및 사운드 방출의 양쪽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자켓이 제거되면, 버튼다운 셔츠는 오디오 캡처 및 사운드 방출의 양쪽에 사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어떤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지는 인간에게 직관적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는 이들(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할지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위해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할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착용자에 대한 및/또는 서로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깊이를 결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어진 시간 또는 상황에서 어떤 디바이스가 적절한지를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선택하지 않고서도 특정 기능을 위해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깊이를 결정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네트워크, 물리적 접속 등을 통해) 다른 접속된 컴퓨팅 디바이스가 깊이를 결정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들은 이러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는 데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은 그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 없이 신규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다른 실례에서, 공지된 구조 및 디바이스가 그 설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대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내의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안을 포함한다.
도 1은 레이어링된 형식으로 도시된(예를 들어, 제거가능한 의류 및/또는 액세서리와 같이 착용될 수 있는)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 중 하나 이상은 서로에 대한 또는 사용자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비록 여기서 묘사된 여러 예들이 제한된 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를 도시하고 있지만, 임의의 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도시된 디바이스의 개수는 설명의 명확성 및 예시만을 위해 선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입혀지거나 벗겨지는 때와 같이 사용하는 동안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유의할 가치가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서로에 대한 및/또한 사용자에 대한 그 깊이(예를 들어 도 5 참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합된 센서로부터 측정된 다수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일반적인 관점에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동일한 방향에서 2개의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는 2개의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를 서로 반대 방향에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는 2개의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를 동일한 방향에서 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서로에 대한 상대적 깊이 또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로부터 캡처된 측정량 및 결정된 깊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특정 기능을 위해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각각이 인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볼"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만을 볼 수 있는 반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의 양쪽을 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로부터의 판독이 의복에 대한 상대적인 깊이 또는 순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각각은 프로세서 구성요소,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센서, 및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합할 수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는 동일하게 구성 및/또는 구현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단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가 참조된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 중 임의의 것이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는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저장장치(120), 하나 이상의 센서(130), 및 인터페이스(140) 중 하나 이상을 통합할 수 있다. 저장장치(120)는 제어 루틴(121), 측정량(123), 깊이(125), 및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 또한, 이 도면에서 도시되진 않지만,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등)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정보(예를 들어, 측정량, 결정된 깊이, 지정된 디바이스, 등)를 전달하는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교환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에서, 제어 루틴(121)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 메인 프로세서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통합한다. 제어 루틴(1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센서(130)로부터 측정량의 표시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 및/또는 100-3)로부터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한다. 특히,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에 대응하는 센서(130)로부터 측정량(123)의 일부에 대한 표시,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에 대응하는 제 2 센서로부터 측정량(123)의 일부에 대한 표시,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에 대응하는 제 3 센서로부터 측정량(123)의 일부에 대한 표시를 수신한다.
제어 루틴(1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측정량에 기초하여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측정량(123)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정량은 센서(예를 들어, 센서(130))가 측정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메트릭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량(123)은 온도, 노이즈 레벨,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또는 정전기 측정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어 루틴(1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량이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량보다 큰지 및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량이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및 제 1 측정량이 제 3 측정량보다 큰지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결정할 수 있다. 깊이 결정의 다른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어 루틴(1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기 위해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를 결정할 수 있어, 그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예를 들어, 온도 측정, 오디오 방출, 오디오 캡처, 맥박 측정, 등)을 가능하게 하거나 수행하는 데 사용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a)가 다수의 상이한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의 예들은 특정 기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은,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전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플랫폼 구성요소 등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 및/또는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플랫폼 구성요소 등으로부터 출력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센서(130)는 온도 센서, 마이크로폰, 스피커, 용량 센서, 압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센서 판독의 표시를 포함하기 위해 센서(130)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고, 그 출력을 측정량(123)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센서(130)로부터의 출력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에 대응하는 측정량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와 연관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에 대응하는 측정량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센서(130)가 센서 어레이일 수 있고, 또한 임의의 개수 및 임의의 형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는 다른 센서(예를 들어, 근접 비콘, 기상 관측소, 사물 인터넷, 등)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깊이(125)를 결정하고 및/또는 결정된 깊이(125)를 검증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센서로부터 출력 및 신호(예를 들어, 센서 판독의 표시를 포함함)를 수신한다. 예컨대, 제어 루틴(1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와 연관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을 수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와 연관된 제 6 센서로부터 제 6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제 4, 제 5, 및 제 6 측정량을 측정량(123)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루틴(1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제 4 측정량, 제 5 측정량, 및 제 6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검증할 수 있다. 이는 도 7과 함께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구성요소(110)는 깊이(125)를 먼저 결정하고 나서 그 결정된 깊이(125)를 검증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 양식(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및 압전 스피커로부터의 출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로 가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중에서 깊이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0)은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000)은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 100-2, 100-3)는 정보(예를 들어, 측정량, 결정된 깊이, 지정된 디바이스, 등)를 전달하는 신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0)와 교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처리될 수 있고 및/또는 메모리 제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깊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가 동기화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클라우드 기반 동기화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그 자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서로에 대한 또는 사용자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프로세서 구성요소(210), 저장장치(220), 및 인터페이스(240) 중 하나 이상을 통합할 수 있다. 저장장치(220)는 제어 루틴(221), 측정량(123), 깊이(125), 및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에서, 제어 루틴(221)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 메인 프로세서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 구성요소(2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통합한다. 제어 루틴(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 100-2, 100-3)로부터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센서(130)로부터 측정량(123)(예를 들어, 그것들 중 하나 이상, 등)의 일부에 대한 표시를 수신한다.
제어 루틴(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서로대 대한, 착용자에 대한, 및/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깊이를 결정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측정량(123)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량(123)은 센서(예를 들어, 센서(130))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메트릭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량(123)은 온도, 노이즈 레벨,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또는 정전기 측정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어 루틴(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에 대응하는 측정량이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에 대응하는 측정량보다 큰지 및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량이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에 대응하는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및 제 1 측정량이 제 3 측정량보다 큰지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결정할 수 있다. 깊이 결정의 다른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어 루틴(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기 위해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를 결정할 수 있어, 그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예를 들어, 온도 측정, 오디오 방출, 오디오 캡처, 맥박 측정, 등)을 가능하게 하거나 수행하는 데 사용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가 다수의 상이한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의 예들은 특정 기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은,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전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플랫폼 구성요소 등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 및/또는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플랫폼 구성요소 등으로부터 출력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언급한 바와 같이, 센서(130)는 온도 센서, 마이크로폰, 스피커, 용량 센서, 압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센서 판독의 표시를 포함하기 위해 센서(130)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고, 그 출력을 측정량(123)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센서(130)로부터의 출력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에 대응하는 측정량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와 연관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에 대응하는 측정량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센서(130)가 센서 어레이일 수 있고, 또한 임의의 개수 및 임의의 형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는 다른 센서(예를 들어, 근접 비콘, 기상 관측소, 사물 인터넷, 등)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깊이(125)를 결정하고 및/또는 결정된 깊이(125)를 검증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센서로부터 출력 및 신호(예를 들어, 센서 판독의 표시를 포함함)를 수신한다. 예컨대, 제어 루틴(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와 연관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을 수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와 연관된 제 6 센서로부터 제 6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제 4, 제 5, 및 제 6 측정량을 측정량(123)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루틴(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제 4 측정량, 제 5 측정량, 및 제 6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검증할 수 있다. 이는 도 7과 함께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깊이(125)를 먼저 결정하고 나서 그 결정된 깊이(125)를 검증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 양식(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및 압전 스피커로부터의 출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및/또는 프로세서 구성요소(210)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매우 다양한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프로세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프로세서, 멀티-스레드 프로세서, (다수의 코어가 동일 또는 별도의 다이에 공존하던지 간에) 멀티-코어 프로세서, 및/또는 물리적으로 제거된 다수의 프로세서가 어떤 식으로든 링크되어 있는 여러 다양한 종류의 멀티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저장장치(120 및/또는 220)는, 전력의 중단없는 공급을 요구하는 휘발성 기술을 아마도 포함하고 또한 제거 가능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사용을 수반하는 기술을 아마도 포함한, 매우 다양한 정보 저장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저장장치 각각은 ROM, RAM, DRAM, DDR-DRAM(Double-Data-Rate DRAM), SDRAM(synchronous DRAM), SRAM(static RA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폴리머 메모리(예를 들어, 강유전성 폴리머 메모리), 오보닉 메모리, 상변화 또는 강유전성 메모리,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카드, 하나 이상의 개별 강자성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하나 이상의 어레이로 구성된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어레이로 구성된 다수의 강자성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한 없이 포함한, 매우 다양한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저장장치 각각이 단일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한 저장 기술에 기초할 수 있는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이들 도시된 각 저장장치 중 하나 이상은,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 비교적 연장된 기간 동안에 국부적으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강자성 디스크 드라이브, 및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로의 비교적 빠른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SRAM 또는 DRAM) 중 몇몇 형태 상에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는 광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판독기의 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저장장치 각각이 동일한 저장 기술에 기초하여 다수의 저장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지만, 사용되는 특수화의 결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예를 들어, 일부 DRAM 디바이스는 메인 저장장치로서 이용되는 반면에 다른 DRAM 디바이스는 그래픽 제어기의 고유한 프레임 버퍼로서 이용됨)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다수의 예에서, 센서(130)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스피커, 광 센서, 가속도계, 마이크로폰, 자이로스코프, GPS 센서, 자기 센서, 압전 센서, 용량 센서, 생체 센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가 센서를 이용하여 다수의 메트릭 중 임의의 것을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예는 여기서 주어진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40 및/또는 240)는 설명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매우 다양한 시그널링 기술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그러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프로토콜 스택 또는 다른 특징부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 구성요소들 중 대응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의 시퀀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기적 및/또는 광학 도전성 케이블링이 이용되는 경우, 이들 인터페이스는, RS-232C, RS-422, USB, 이더넷(IEEE-802.3) 또는 IEEE-1394를 제한 없이 포함해서, 다양한 산업 표준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시그널링 및/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전송의 사용이 수반되는 경우, 이들 인터페이스는, IEEE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6, 802.20(일반적으로 "이동 광대역 무선 액세스"로 불림);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GSM/GPRS(GSM with General Packet Radio Service)와 같은 셀룰러 무선 전화 서비스, CDMA/1xRTT,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EV-DO(Evolution Data Only/Optimized), EV-DV(Evolution For Data and Voice),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4G LTE,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해서, 다양한 산업 표준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시그널링 및/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4는 도 1~2의 시스템(1000)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 및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실시예의 일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3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의 동작의 측면을 도시한 반면에 도 4는 시스템(1000)의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동작의 측면을 도시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어 루틴(121 및/또는 221)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레벨 루틴(예를 들어, 디스크 매체에 제공된 이른바 "소프트웨어 제품군", 원격 서버로부터 획득된 "애플릿",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포함되는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및/또는 210)의 대응하는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적합한 다수의 이용가능 오퍼레이팅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포함되는 경우, 그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이던지 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으로 돌아가면, 제어 루틴(121)은 센서 출력 수집기(1211) 및 깊이 결정기(1212)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깊이의 결정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도 4 참조).
일반적으로, 제어 루틴(121)은 측정량(123)의 표시를 포함하기 위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로 하여금 센서(센서(130)뿐만 아니라 다른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센서를 포함함)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게 한다. 제어 루틴은, 측정량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깊이(125)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를 결정한다.
특히, 센서 출력 수집기(1211)는 센서(130)로부터 출력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출력 수집기(1211)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에 대응하는 측정량을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센서 출력 수집기(1211)는 다수의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 등)에 대응하는 측정량을 수신한다. 센서 출력 수집기(1211)는 수신된 출력을 측정량(123)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깊이 결정기(1212)는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를 결정한다. 특히, 깊이 결정기(1212)는 측정량(123)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결정한다. 예컨대, 깊이 결정기(12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에 대한 층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깊이 결정기(1212)는 착용자에 가장 가까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외부 환경에 가장 가까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 상대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에 대한 깊이를 깊이 결정기(1212)가 결정할 수 있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깊이 결정기(12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보다 사용자에 더 가까운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깊이 결정기(1212)는 절대적인 깊이(예를 들어, 고정점에 대한 각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깊이)를 반드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깊이 결정기(1212)는 깊이에 기초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깊이 결정기(12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가 외부 환경에 가장 가깝다는 표시를 포함하도록 깊이(125)를 결정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가 주변 온도를 측정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도록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로 돌아가면, 제어 루틴(221)은 센서 출력 수집기(2211) 및 깊이 결정기(221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어 루틴(221)은 컴퓨팅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다수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센서로부터 출력을 수신하도록 하게 한다. 특히, 센서 출력 수집기(2211)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 100-2, 100-3)와 연관된 센서로부터 출력을 수신할 수 있고, 그 출력은 측정량(123)의 표시를 포함한다. 제어 루틴(221)은 깊이(125)를 추가적으로 결정하고, 측정량에 기초하여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를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특히, 센서 출력 수집기(2211)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에 대응하는 측정량을 수신하고, 측정량은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 및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에 대응한다. 센서 출력 수집기(2211)는 센서로부터 직접 출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출력을 측정량(123)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센서 출력 수집기(2211)는 측정량(123)을 바로 수신할 수 있다.
깊이 결정기(2212)는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를 결정한다. 특히, 깊이 결정기(2212)는 측정량(123)에 기초하여 깊이(125)를 결정한다. 예컨대, 깊이 결정기(22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에 대한 층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깊이 결정기(2212)는 착용자에 가장 가까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외부 환경에 가장 가까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깊이 결정기(2212)는 깊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깊이 결정기(22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가 외부 환경에 가장 가깝다는 표시를 포함하도록 깊이(125)를 결정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가 주변 온도를 측정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도록 지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7)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제거가능한 의류로서 구현된 1~4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를 도시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자켓으로 구현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는 스웨터로 구현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는 티셔츠로 구현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는 겹겹이 착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티셔츠(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는 착용자에 가장 가깝거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장 먼 층에 착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웨터(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는 중간 층에 또는 티셔츠와 자켓 사이에 착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켓(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은 바깥쪽 층 또는 외부 환경에 가장 가깝거나 사용자 피부로부터 가장 먼 층에 착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 100-2, 100-3)가 다수의 상이한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완전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실현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여기서의 예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제공되며 제한되지 않는다.
도 6~7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a)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로직 흐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로직 흐름은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직 흐름은 적어도 제어 루틴(121 및/또는 221)의 실행시에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및/또는 2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낼 수 있다. 비록 로직 흐름이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되지만, 예들은 이러한 문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티셔츠, 스웨터, 및 자켓과 같은 예시적인 구현은 깊이를 결정하는 다수의 예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제한하고 하는 것이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으로 돌아가면, 로직 흐름(600)이 도시되어 있다. 로직 흐름(600)은 블록 6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블록 61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 구성요소(210) 등)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1 센서로부터 제 1 측정량을 수신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센서(130)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620으로 계속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센서로부터 제 2 측정량을 수신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의 센서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630으로 계속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보다 착용자에 더 가깝다고 결정할 수 있다. 로직 흐름(600)이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중에 상이한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로직 흐름(600)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로직 흐름(600)은 제 1 개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레이어링 형식으로 착용될 때(예를 들어, 도 5의 자켓, 스웨터, 및 티셔츠) 또한 제 2 개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레이어링 형식으로 착용될 때(예를 들어, 도 5의 티셔츠 및 스웨터)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610 및 62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신체를 통해 전송된 용량성 신호 또는 다른 신호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63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된 신호가 강할수록,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더 가깝다.
다른 예로서, 블록 610 및 62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63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온도가 98.6에 가까울수록,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더 가깝다.
다른 예로서, 블록 610 및 62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63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측정된 광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광의 상대적 유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깊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록 610 및 62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노이즈 레벨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63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주변 노이즈 레벨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주변 노이즈 레벨이 높아질수록,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외부 계층에 대해 더 가깝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로 가면, 로직 흐름(700)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로직 흐름(700)은 다른 센서 기법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추가적인 센서 판독에 기초하여 결정된 깊이를 검증할 수 있다. 로직 흐름(700)은 블록 7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블록 710에서, 프로세서 구성요소(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프로세서 구성요소(110),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 구성요소(210), 등)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센서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센서(130)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720으로 계속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센서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의 센서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730으로 계속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센서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3)의 센서로부터 측정량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740으로 계속되면, 프로세서 구성요소는 측정량에 기초하여 제 1, 제 2, 및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 결정된 깊이를 검증한다. 예컨대, 깊이(125)는 각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측정된 주변 노이즈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 참조). 블록 710, 720, 및 730에서,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중 하나 등의) 압전 스피커는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20,000Hz)에서 진동할 수 있고, 마이크로폰은 사운드를 측정할 수 있다. 레이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간 사운드의 약간의 차는 명백할 수 있고, 결정된 깊이를 검증하기 위해 (예를 들어, 블록 74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저장 매체(8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저장 매체(800)는 제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저장 매체(800)는 광학, 자기, 또는 반도체 저장장치와 같은,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800)는 로직 흐름(600 및/또는 700)을 구현하는 인스트럭션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801)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또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이동식 또는 비이동식 메모리, 소거가능 또는 소거불가능 메모리, 기록가능 또는 기록불가능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의 예는 소스 코드, 컴파일링 코드, 해석 코드, 실행가능 코드, 정적 코드, 동적 코드, 객체 지향 코드, 비쥬얼 코드,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는 이러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수의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또는 그 변형물)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0-1, 100-2, 100-3)의 일부, 및/또는 시스템(1000)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는, 제한 없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다중-코어 프로세서, 코-프로세서, 메모리 유닛, 칩셋, 제어기,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오실레이터, 타이밍 디바이스, 비디오 카드, 오디오 카드, 멀티미디어 입/출력(I/O) 구성요소, 전력 공급기, 등을 포함해서, 디지털 처리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스템" 및 "구성요소"는 디지털 프로세싱이 수행되고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개체를 지칭하도록 의도되고, 그 개체는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이며, 이 예들은 여기서 도시된 예시적인 프로세싱 아키텍처에 의해 제공된다. 예컨대, 구성요소는 제한되진 않지만, 프로세서 구성요소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구성요소 자체, 광학 및/또는 자기 저장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어레이의 다중 저장 드라이브, 등), 소프트웨어 객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 시퀀스,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전체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체 컴퓨터)일 수 있다. 예로서, 서버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양쪽이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고, 또한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및/또는 2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는 동작들을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통신 매체에 의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정은 정보의 일방향 또는 쌍방향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성요소는 통신 매체를 통해 통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에 할당된 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커맨드, 상태, 어드레스 또는 데이터 메시지를 포함함)는 이러한 신호 중 하나일 수 있거나 이러한 복수의 신호일 수 있으며, 다양한 접속 및/또는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통해 직렬로 또는 실질적으로 병렬로 전송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를 구현함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프로세서 구성요소(950), 저장장치(960), 다른 디바이스로의 인터페이스(990), 및 커플링(955)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의도된 사용 및/또는 사용 조건을 포함해서,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를 구현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수의 측면에 따라, 이러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제한되지 않고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85)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955)은 하나 이상의 버스, 점대점 인터커넥트, 트랜시버, 버퍼, 교차점 스위치, 및/또는 적어도 프로세서 구성요소(950)를 저장장치(96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로직 및/또는 다른 컨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955)은 인터페이스(990), 오디오 서브시스템(970)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85) 중 하나 이상에 (이들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어떤 것이 또한 존재하는지에 따라) 프로세서 구성요소(950)를 더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 구성요소(950)가 커플링(95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한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를 구현든지 간에, 프로세서 구성요소(950)는 위에서 길게 설명한 작업들 중 여러 것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커플링(955)은 신호가 광학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전달되는 매우 다양한 기술 또는 기술들의 조합 중 임의의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955)의 적어도 일부는 제한 없이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카드 버스(CardBus),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누버스(NuBus), PCI-X(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tended)), PCI-E(PCI-Express),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버스,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 퀵패스(QuickPath), 등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산업 표준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타이밍 및/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 구성요소(950)(프로세서 구성요소(110 및/또는 210)에 대응함)는, 매우 다양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고 여러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코어들로 구현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매우 다양한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960)(저장장치(130 및/또는 230)에 대응함))는 매우 다양한 기술 또는 기술들의 조합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별도의 저장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장치(960)는 휘발성 저장장치(961)(예를 들어, RAM 기술의 하나 이상의 형태에 기초한 고체 상태 저장장치), 비휘발성 저장장치(962)(예를 들어, 그 내용을 보존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없는 고체 상태, 강자성 또는 다른 저장장치), 및 이동식 미디어 저장장치(963)(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들 간에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이동식 디스크 또는 고체 상태 메모리 카드 저장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의 다수의 개별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는 저장장치(960)의 이러한 도시는, 한 타입이 프로세서 구성요소(950)에 의해 데이터의 보다 빠른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비교적 급속의 판독 및 기록 능력을 제공하는 반면에(다만 전력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휘발성"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 다른 타입은 비교적 고밀도의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다만 비교적 느린 판독 및 기록 능력을 제공하기 쉬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저장 디바이스의 1 이상의 타입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을 인지하고 있다.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는 상이한 저장장치의 종종 다른 특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상이한 저장장치가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들의 상이한 저장 장치에 연결된 상이한 저장장치 제어기를 통해 컴퓨팅 장치의 다른 부분에 연결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예로서, 휘발성 저장장치(961)가 존재하고 RAM 기술에 기초한 경우, 휘발성 저장장치(961)는 아마도 행 및 열 어드레싱을 이용하는 휘발성 저장장치(961)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장장치 제어기(965a)를 통해 커플링(95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저장장치 제어기(965a)는 휘발성 저장장치(961) 내에 저장된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돕기 위해 행 리프레싱 및/또는 다른 유지 작업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비휘발성 저장장치(962)가 존재하고 하나 이상의 강자성 및/또는 고체 상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경우, 비휘발성 저장장치(962)는 아마도 정보의 블록 및/또는 실린더 및 섹터의 어드레싱을 이용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962)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장장치 제어기(965b)를 통해 커플링(95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식 미디어 저장장치(963)가 존재하고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969)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광학 및/또는 고체 상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식 미디어 저장장치(963)는 아마도 정보 블록의 어드레싱을 이용하는 이동식 미디어 저장장치(963)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장장치 제어기(965c)를 통해 커플링(95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저장장치 제어기(965c)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969)의 수명을 연장하는 특정 방식으로 판독, 소거 및 기록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휘발성 저장장치(961)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962)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은, 각각이 기초하고 있는 기술에 따라, 다수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프로세서 구성요소(950)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의 시퀀스를 포함한 루틴이 저장될 수 있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조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비휘발성 저장장치(962)가 강자성 기반 디스크 드라이브(예를 들어, 이른바 "하드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각 디스크 드라이브는, 통상, 자기적으로 반응하는 입자의 코팅이 증착되어 있고 인스트럭션의 시퀀스와 같은 정보를 플로피 디스켓 등의 저장 매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저장하기 위해 다양한 패턴으로 자기적으로 배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플래터를 이용한다. 다른 예로서, 비휘발성 저장장치(962)는 인스트럭션의 시퀀스와 같은 정보를 컴팩트 플래시 카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저정하기 위해 고체 상태 저장 디바이스의 뱅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행가능 루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상이한 시간에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상이한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다수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 구성요소(950)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 시퀀스를 포함한 루틴은 초반에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969)에 저장될 수 있고, 이동식 미디어 저장장치(963)는, 그 루틴이 실행됨에 따라 프로세서 구성요소(950)에 의한 하나 이상의 급속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969) 및/또는 휘발성 저장장치(961)의 계속적인 존재를 요구하지 않는 장기 저장을 위한 비휘발성 저장장치(962)에 그 루틴을 복사함에 있어서 이어서 이용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990)(인터페이스(140 및/또는 240)에 대응함)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기술 중 임의의 기술에 대응하는 여러 시그널링 기술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시그널링 중 하나 또는 양쪽은, 가능하다면 네트워크 또는 상호연결된 네트워크 세트를 통해, 프로세서 구성요소(950)가 입/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시된 예시적인 키보드(920) 또는 프린터(925))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종종 지원되어야 하는 다양한 타입의 시그널링 및/또는 프로토콜의 종종 매우 상이한 특성을 인지하여, 인터페이스(990)는 다수의 상이한 인터페이스 제어기(995a, 995b, 995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기(995a)는 도시된 키보드(920)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직렬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유선 직렬 인터페이스 또는 RF 무선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기(995b)는 도시된 네트워크(300)(아마도, 하나 이상의 링크, 소형 네트워크, 또는 아마도 인터넷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다양한 케이블링 기반 또는 무선 시그널링, 타이밍 및/또는 프로토콜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기(995c)는 도시된 프린터(925)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직렬 또는 병렬 전송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전기 전도성 케이블링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90)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다른 예로는, 제한 없이, 마이크로폰, 리모트 컨트롤, 스타일러스 펜, 카드 리더기, 지문 리더기, VR 상호작용 글러브, 그래픽 입력 태블릿, 조이스틱, 다른 키보드, 홍채 스캐너, 터치 스크린의 터치 입력 구성요소, 트랙볼, 다수의 센서, 제스처 및/또는 얼굴 표정을 통해 사람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를 수용하기 위해 그 사람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 어레이, 사운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메커니컬 로봇, 밀링 머신, 등을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시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980), 디스플레이(150 및/또는 250)에 대응함)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또는 아마도, 디스플레이를 통합하는) 경우, 프로세싱 아키텍처(2000)를 구현하는 이러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85)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보다 일반적인 타입의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데 종종 요구되는 다소 전문화된 추가적 프로세싱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케이블링 기반 인터페이스의 다소 전문화된 특성은, 종종 명백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바람직하게 만든다. 디스플레이(980)의 통신 연결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85)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무선 시그널링 기술은, 다양한 아날로그 비디오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 DVI(Digital Video Interface),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Port),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양한 산업 표준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시그널링 및/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설명 및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수의 요소는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양쪽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요소의 예로는 디바이스, 로직 디바이스, 구성요소,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프로세서 구성요소, 회로 요소(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레지스터, 캐패시터, 인덕터, 등), 집적 회로, ASIC,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PSP(digital signal processor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메모리 유닛, 로직 게이트, 레지스터, 반도체 디바이스, 칩, 마이크로칩, 칩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요소의 예로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 머신 프로그램, 오퍼레이팅 시스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루틴, 서브루틴, 함수, 방법, 프로시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인스트럭션 세트, 컴퓨팅 코드, 컴퓨터 코드, 코드 세그먼트, 컴퓨터 코드 세그먼트, 워드, 값, 심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하드웨어 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이용해서 구현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소정의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대로, 임의의 수의 요인들, 예를 들어 원하는 컴퓨팅 레이트, 파워 레벨, 내열성, 프로세싱 사이클 버짓, 입력 데이터 레이트, 출력 데이터 레이트, 메모리 리소스, 데이터 버스 속도 및 기타 설계 또는 성능 제약사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일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표현을 그 파생어들과 함께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다수의 부분에서의 "일실시예에서"라는 구절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연결된" 및 "접속된"의 표현을 그 파생어들과 함께 이용해서 설명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반드시 서로에 대한 동의어로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는 2 이상의 요소들이 서로 직접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접속된" 및/또는 "연결된"이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된"이라는 용어는 2 이상의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아직 여전히 협력하거나 서로 상호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측면 또는 요소들은 결합될 수 있다.
독자가 기술적인 개시내용의 특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초록이 제공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것이 청구항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이해한다. 또한, 앞서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간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특징들이 단일 실시예에서 서로 그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가 각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개시된 단일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으며, 각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로서 독자적으로 기재된다.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하는" 및 "~에서"의 용어는, 각각, "구비하는" 및 "여기서"라는 각각의 용어에 대한 평이한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1의", "제2의", "제3의",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며, 그 대상물에 숫자적 요구사항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한 것은 개시된 아키텍처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구성요소 및/또는 방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는 다수의 추가적인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아키텍처는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대체,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세한 개시내용은 이제 추가적인 실시예에 관련된 예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돌아간다. 이하에 제공된 예들은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 1: 다른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생성하는 제 1 센서; 제 1 센서로부터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센서로부터 제 2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센서 출력 수집기; 및 제 1 측정량 및 제 2 측정량에 기초하여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깊이 결정기를 포함한다.
예 2: 예 1의 장치로서, 깊이 결정기는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에 기초하여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한다.
예 3: 예 1의 장치로서, 제 1 측정량 및 제 2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정전기 측정, 또는 생체 측정을 포함한다.
예 4: 예 1의 장치로서, 센서 출력 수집기는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3 센서로부터 제 3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깊이 결정기는 제 1 측정량, 제 2 측정량, 및 제 3 측정량에 기초하여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한다.
예 5: 예 4의 장치로서, 깊이 결정기는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제 1 측정량이 제 3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하며;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및 제 1 측정량이 제 3 측정량보다 큰지에 기초하여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한다.
예 6: 예 1의 장치로서, 깊이 결정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도록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또는 제 3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한다.
예 7: 예 1의 장치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생성하는 제 4 센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센서 출력 수집기; 및 제 4 측정량 및 제 5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를 검증하는 깊이 결정기를 포함한다.
예 8: 예 4의 장치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생성하는 제 4 센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 및 제 6 센서로부터 제 6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센서 출력 수집기 - 상기 제 5 센서는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제 6 센서는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됨 - ; 및 제 4 측정량, 제 5 측정량, 및 제 6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를 검증하는 깊이 결정기를 포함한다.
예 9: 예 7의 장치로서, 제 4 측정량 및 제 5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또는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또는 정전기 측정을 포함한다.
예 10: 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서, 제 1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제 2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3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레이어링되는 제거가능한 의류를 포함한다.
예 11: 예 10의 장치로서, 제 1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내의, 티셔츠, 버튼업 셔츠, 스웨터, 또는 자켓을 포함한다.
예 12: 예 6의 장치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7 센서를 포함하되, 제 7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대한 표시를 생성한다.
예 13: 예 1의 장치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깊이를 전달하기 위해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 14: 예 1의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깊이를 전달하기 위해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 15: 복수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1 센서로부터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센서로부터 제 2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측정량 및 제 2 측정량에 기초하여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6: 예 15의 방법으로서,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에 기초하여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7: 예 15의 방법으로서, 제 1 측정량 및 제 2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정전기 측정, 또는 생체 측정을 포함한다.
예 18: 예 15의 방법으로서,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3 센서로부터 제 3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측정량, 제 2 측정량, 및 제 3 측정량에 기초하여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9: 예 18의 방법으로서,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하는 단계; 제 1 측정량이 제 3 측정량보다 큰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측정량이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및 제 1 측정량이 제 3 측정량보다 큰지에 기초하여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0: 예 18의 방법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또는 제 3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1: 예 15의 방법으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4 측정량 및 제 5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2: 예 18의 방법으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6 센서로부터 제 6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4 측정량, 제 5 측정량, 및 제 6 측정량에 기초하여 깊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3: 예 22의 방법으로서, 제 4 측정량, 제 5 측정량, 및 제 6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또는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또는 정전기 측정을 포함한다.
예 24: 예 15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 1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제 2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3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레이어링되는 제거가능한 의류를 포함한다.
예 25: 예 24의 방법으로서, 제 1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내의, 티셔츠, 버튼업 셔츠, 스웨터, 자켓, 또는 우의를 포함한다.
예 26: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의 실행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예 15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게 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
예 27: 레이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센서; 및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에 응답하여, 장치로 하여금, 예 15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다른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장치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하게 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 28: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예 15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Claims (25)

  1. 다른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depth)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생성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로부터 상기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센서로부터 제 2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센서 출력 수집기와,
    상기 제 1 측정량 및 상기 제 2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깊이 결정기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결정기는,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량 및 상기 제 2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정전기 측정치, 또는 생체 측정치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수집기는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3 센서로부터 제 3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깊이 결정기는 상기 제 1 측정량, 상기 제 2 측정량, 및 상기 제 3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결정기는,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3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 및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3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결정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생성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제 4 센서로부터 상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상기 센서 출력 수집기와,
    상기 제 4 측정량 및 상기 제 5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를 검증하는 상기 깊이 결정기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생성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제 4 센서로부터 상기 제 4 측정량의 표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 및 제 6 센서로부터 제 6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상기 센서 출력 수집기 - 상기 제 5 센서는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제 6 센서는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됨 - 와,
    상기 제 4 측정량, 상기 제 5 측정량, 및 상기 제 6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를 검증하는 상기 깊이 결정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측정량 및 상기 제 5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또는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또는 정전기 측정치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레이어링되는 제거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내의, 티셔츠, 버튼업 셔츠, 스웨터, 또는 자켓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7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 7 센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대한 표시를 생성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깊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14. 복수의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1 센서로부터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센서로부터 제 2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측정량 및 상기 제 2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량 및 상기 제 2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정전기 측정치, 또는 생체 측정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3 센서로부터 제 3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측정량, 상기 제 2 측정량, 및 상기 제 3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3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2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 및 상기 제 1 측정량이 상기 제 3 측정량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측정량 및 상기 제 5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4 센서로부터 제 4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5 센서로부터 제 5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6 센서로부터 제 6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측정량, 상기 제 5 측정량, 및 상기 제 6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1 센서로부터 제 1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센서로부터 제 2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3 센서로부터 제 3 측정량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정량, 상기 제 2 측정량, 및 상기 제 3 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를 결정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를 지정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량, 상기 제 2 측정량, 및 상기 제 3 측정량은 온도, 노이즈 레벨, 또는 광 레벨, 무선 신호 강도, 또는 정전기 측정치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거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KR1020177013921A 2014-12-23 2015-11-20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 근접 레이어링 KR102595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82,018 US9820513B2 (en) 2014-12-23 2014-12-23 Depth proximity layering for wearable devices
US14/582,018 2014-12-23
PCT/US2015/061795 WO2016105733A1 (en) 2014-12-23 2015-11-20 Depth proximity layering for wearab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107A KR20170096107A (ko) 2017-08-23
KR102595571B1 true KR102595571B1 (ko) 2023-10-27

Family

ID=5612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921A KR102595571B1 (ko) 2014-12-23 2015-11-20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 근접 레이어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0513B2 (ko)
EP (1) EP3238013A4 (ko)
JP (1) JP6721167B2 (ko)
KR (1) KR102595571B1 (ko)
CN (1) CN106998827B (ko)
BR (1) BR112017010917A2 (ko)
WO (1) WO2016105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6691U1 (ru) * 2018-07-23 2019-01-29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Харито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й противошумных жилето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1004A1 (en) 2005-10-21 2007-04-26 Suunto Oy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20090171180A1 (en) 2007-12-28 2009-07-02 Trevor P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earable sensors
US20140045547A1 (en) 2012-08-10 2014-02-13 Silverplus, Inc.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Interface
US20140220887A1 (en) 2012-03-15 2014-08-07 Songnan Yang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and proximity sensor for portab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2300A0 (en) * 2000-04-17 2003-05-29 Vivo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mbulatory monitoring of physiological signs
CN100520322C (zh) * 2004-09-15 2009-07-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体温计、具有体温计的电子设备以及体温测量方法
WO2007148702A1 (ja) * 2006-06-19 2007-12-27 Adc Technology Inc. 動作検出装置、位置関係検出装置、運動負荷検出装置、および携帯監視装置
TWI472301B (zh) * 2008-04-25 2015-02-11 Taiwan Textile Res Inst 運動衣
US9307914B2 (en) * 2011-04-15 2016-04-12 Infobionic, Inc Remote data monitoring and collection system with multi-tiered analysis
BR112013032419A2 (pt) * 2011-06-20 2017-01-17 Healthwatch Ltd sistema de alerta e monitoramento de saúde usável independente e não interferente
US8948839B1 (en) * 2013-08-06 2015-02-03 L.I.F.E. Corporation S.A. Compression garments having stretchable and conductive ink
US9282893B2 (en) * 2012-09-11 2016-03-15 L.I.F.E. Corporation S.A. Wearable communication platform
US10257506B2 (en) * 2012-12-28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btaining depth information and display apparatus
US9330558B2 (en) * 2014-09-09 2016-05-03 Twin Harbor Labs, LLC Intelligent fabrics
US20160242680A1 (en) * 2015-02-20 2016-08-25 Umm Al-Qura University Intelligent comfort level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1004A1 (en) 2005-10-21 2007-04-26 Suunto Oy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20090171180A1 (en) 2007-12-28 2009-07-02 Trevor P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earable sensors
US20140220887A1 (en) 2012-03-15 2014-08-07 Songnan Yang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and proximity sensor for portable devices
US20140045547A1 (en) 2012-08-10 2014-02-13 Silverplus, Inc.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8827A (zh) 2017-08-01
WO2016105733A1 (en) 2016-06-30
JP6721167B2 (ja) 2020-07-08
BR112017010917A2 (pt) 2018-02-06
US9820513B2 (en) 2017-11-21
KR20170096107A (ko) 2017-08-23
US20160174620A1 (en) 2016-06-23
EP3238013A1 (en) 2017-11-01
JP2018503168A (ja) 2018-02-01
CN106998827B (zh) 2020-01-07
EP3238013A4 (en)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785B1 (ko) 동시 로컬화 및 매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15176A1 (en) Typifying emotional indicators for digital messaging
US10809962B2 (en) Orienting content sent to display devices based on a position of a user relative to a computing device
KR102391100B1 (ko)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WI607344B (zh) 用於無線通訊之方法、可穿戴型電子裝置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106924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rranging a planar image in a full-spherical panoramic image obtained by imaging an omnidirectional range
US109118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37416B1 (ko) 전력 및 감지에 기초한 분산 음성 입력 처리
US20140085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input based upon relative finger position
JP6971668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10649615B2 (en) Control interface for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object
US107769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3D association of detected objects
US9917459B2 (en) Cross body charging for wearable devices
US10942576B2 (en) Techniques for real object and hand representation in virtual reality content
US20190235648A1 (en) Displaying a shadow of a stylus or of content on a display device
KR10167829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164544A (zh) 运动感测
US20160088268A1 (en) Wearable media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KR10259557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깊이 근접 레이어링
US9544736B2 (en) Techniques for improving location accuracy for virtual maps
US10043066B2 (en) Gesture masking in a video feed
CN116348916A (zh) 用于卷帘快门相机的方位跟踪
US20170177088A1 (en) Two-step gesture recognition for fine-grain control of wearable applications
KR102025595B1 (ko) 사용자 동작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동작 인식 장치
KR102595385B1 (ko) 식별코드 기반의 ar 객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