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65B1 -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65B1
KR102595465B1 KR1020220121878A KR20220121878A KR102595465B1 KR 102595465 B1 KR102595465 B1 KR 102595465B1 KR 1020220121878 A KR1020220121878 A KR 1020220121878A KR 20220121878 A KR20220121878 A KR 20220121878A KR 102595465 B1 KR102595465 B1 KR 10259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fingerprint
image
patter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복 filed Critical 이재복
Priority to KR102022012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82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8Quantising the image, e.g. histogram thresholding for discrimination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40Spoof detection, e.g. liveness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영상과 중첩했을 때 간섭무늬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격자인 혼합 사분면 격자를 이용하여 지문 무아레 무늬를 생성함으로 기존의 지문 특징점 추출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지문인식의 성능을 향상시켜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개인 식별에 활용할 수 있는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Fingerprint Scan System Using a Moire Interference Fringe of an Mixed Quadrant Grating}
본 발명은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지문영상과 중첩했을 때 간섭무늬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격자인 혼합 사분면(mixed quadrant, 이하 'MQ'라 칭함)격자를 이용하여 지문 무아레 무늬를 생성함으로 기존의 지문 특징점 추출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지문인식의 성능을 향상시켜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개인 식별에 활용할 수 있는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보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 인간의 생체학적인 정보를 이용한 보안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들 중 지문은 인간이 태어날 때의 모습 그대로 평생 변하지 않고, 개개인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이 증명되어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안 수단으로, 식별 성능에 대한 신뢰도와 안정도가 높고, 알고리즘이 홍채인식이나 안면인식과 같은 다른 생체학적인 정보를 이용하는 보안에 비해 간단하면서 정확도도 양호하여 효율적인 개인 인증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분실이나 도용, 암기 등 PIN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지문의 경우에도 보안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우선 위조 및 변조된 지문의 입력 문제로, 위조 지문은 인간의 지문을 모방하여 제작된 인공 지문을 의미한다. 특히 위조 지문의 제작방법이 고도화되어감에 따라 실제 지문과 구분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것은 지문인식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원인이다.
또한, 입력된 지문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서 외부의 침입에 의한 데이터 유출의 가능성이 있다. 즉 입력된 지문 정보를 정합 단계(matching process)까지 전달되는 동안 스푸핑(spoofing)과 외부침입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지문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유출된 정보는 쉽게 원본 지문 이미지 데이터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지문인식에서는 개인별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크게 세선화나 주파수 공간에서의 푸리에(fourier) 및 웨이블렛(wavelet)변환, 또는 신경회로망이나 퍼지 논리 등을 사용해 왔고, 체인코드(chain code)나 융선 추적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문인식 과정 중에서 지문영상에 존재하는 특징점은 지문의 유형을 분류하거나 인식을 위해, 방향성분은 융선 흐름 패턴에 의존한 지문 분류와 특징점을 추출하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전체적인 지문의 정보를 기록하지 못하고, 특징점 추출로 인해 유사한 지문이 나타날 수 있어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서는 오히려 단점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79201호(2020.0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지문인식 기술의 활용에서 발견되는 위·변조와 데이터 유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하되 서로 다른 색상의 필터가 적용된 지문과 MQ 격자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저장하여 개인 인증시에 특징점과 간섭무늬를 확인하여 개인식별에 따른 보안성을 고도화할 수 있는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이미지를 취득하는 지문취득모듈; 상기 지문이미지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모듈;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생성 및 조합하되,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한쪽의 2개 영역은 반으로 분할된 원형격자가 다른 쪽의 2개 영역은 사선격자가 형성된 격자패턴을 생성하는 격자생성모듈; 전처리된 지문이미지와 상기 격자패턴을 겹쳐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무아레처리모듈; 생성된 무아레 간섭무늬를 추출하여 패턴이미지를 얻는 제1추출모듈; 상기 패턴이미지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암호화모듈; 상기 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징점을 추출하여 매칭이미지를 얻는 제2추출모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처리모듈은, 상기 지문이미지의 명암을 설정된 범위에서 일정하게 보정하는 히스토그램평활부와, 보정된 지문이미지를 이진화처리하는 이진화처리부와, 이진화된 지문이미지를 설정된 두께의 픽셀을 갖도록 만들어주는 세선화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아레처리모듈은, 상기 지문이미지를 제1색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격자패턴을 상기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을 갖도록 변환하는 색상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추출모듈은, 컬러필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지문이미지와 격자패턴이 겹쳐진 이미지로부터 무아레 간섭무늬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자생성모듈은, 선의 두께 및 수와 간격을 포함하는 조건값을 입력받아 각각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생성하는 원형격자생성부 및 사선격자생성부와, 생성된 원형격자 및 사선격자를 조합하여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격자생성부 및 사선격자생성부에 적용되는 조건값을 변화시키며 새로운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재구성부와, 최종 조건값을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는 유출대응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변형 MQ 격자를 통해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무늬만 컬러필터링 방법으로 별도로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지문영상의 유출사고에도 MQ격자의 조건값을 변화시켜 새로운 형태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만들수 있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지문이 유출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MQ격자의 조건을 알지 못하면 지문인식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어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를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Q 격자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Q 격자의 생성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링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링과 이진화 작업을 거친 지문 무아레 간섭무늬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점 추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 이미지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존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은 입력된 지문영상을 전처리한 후 특징점을 추출하고, 저장하여 특징점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특징점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지문의 융선 정보가 많이 소실되고, 이 때문에 유사한 지문으로 인식하는 오류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특징점과 지문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비교하는 복합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주요구성으로 지문취득모듈(110)과, 전처리모듈(120)과, 격자생성모듈(130)과, 무아레처리모듈(140)과, 제1추출모듈(150)과, 암호화모듈(160)과, 제2추출모듈(170)을 비롯하여 매칭모듈(180) 및 유출대응모듈(190)을 구비한다.
상기 지문취득모듈(110)은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이미지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대표적으로 광학방식을 비롯하여 센서 어레이나 전기장 또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비광학방식 등 상용의 기술을 통해 지문이미지를 취득한다.
상기 전처리모듈(120)은 상기 지문이미지를 전처리하는 구성이다. 스캐너를 통하여 컴퓨터에 입력된 지문이미지는 많은 잡음이 있고 이는 데이터의 양이 많은 농담 영상이므로 간섭무늬를 얻어도 활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잡음을 제거하고 데이터양을 축소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기 편하도록 전처리를 수행한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나 이미지처리 기법을 통해 지문이미지의 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아레 간섭무늬를 효과적으로 얻고, 인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히스토그램평활부(121)와, 이진화처리부(122) 및 세선화부(123)의 세부구성을 통해 지문이미지를 전처리하게 된다.
상기 히스토그램평활부(121)는 상기 지문이미지의 명암을 설정된 범위에서 일정하게 보정하는 구성이다. 즉 지문 화상내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을 제거해주기 위한 평활화작업을 하는 것으로 잡음이 심한 경우에는 그레이영상의 모폴로지(mopology) 기법을 이용하여 지문 격자에 대해 평활화작업을 할 수 있으며, 지문이미지의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1차 미분을 이용하여 윤곽선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이진화처리부(122)는 상기 히스토그램평활부(121)를 통해 보정된 지문이미지를 이진화처리하는 구성이다. 이진화란 그레이 레벨 영상 중 각 화소의 농도치를 0과 1로 구분하는 처리로 이를 통해 정보량이 많이 줄어들게 되어 알고리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진화에서는 임계치를 지정하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큰 값을 갖는 화소에는 1을 작은 값을 갖는 화소에는 0을 부여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가지 이진화기법 중에서 평균과 투-피크(two-peak) 기법을 사용하여 지문 영상을 격자로 만들었다.
상기 세선화부(123)는 상기 이진화처리부(122)를 통해 이진화된 지문이미지를 설정된 두께의 픽셀을 갖도록 만들어주는 구성으로, 세선화란 대상 물체의 표면을 조금씩 벗겨내어 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두께 1 픽셀을 가지도록 One-pass와 Two-pass의 세선화 알고리즘(skeletonization algorithm)을 거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격자생성모듈(130)은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생성 및 조합하되,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한쪽의 2개 영역은 반으로 분할된 원형격자가 다른 쪽의 2개 영역은 사선격자가 형성된 격자패턴을 생성한다.
지문은 손가락 끝 피부에 있는 땀샘의 입구가 융기한 선에 따라 만들어지는 모양 또는 이 융선의 형태를 만드는 모양이 물체의 표면에 부착된 후 만들어진 자취를 칭하며, 지문의 융선은 불규칙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융선이 반복된 구조이기 때문에 골과 마루를 갖는 격자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무아레 격자에 비해 지문의 융선은 복잡하고 간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무아레 간섭무늬를 얻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조합하고,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지문과 중첩했을 때 효과적으로 간섭무늬를 얻고 분석할 수 있는 MQ 격자를 제안한다. MQ 격자는 혼합이라는 뜻의 Mixed 와 사사분면을 뜻하는 Quadrant의 합성어로 MQ 격자의 특징을 표현하는 이름으로, 지문과 중첩시켰을 때 간섭무늬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조합해서 만든 격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Q 격자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조합하고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으로 MQ 격자를 나타내고 있다. MQ 격자는 비대칭 구조를 갖는 격자로 지문의 불규칙한 융선과 중첩했을 때 뚜렷한 간섭무늬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격자생성모듈(130)은 선의 두께 및 수와 간격을 포함하는 조건값을 입력받아 각각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생성하는 원형격자생성부(131) 및 사선격자생성부(132)와, 생성된 원형격자 및 사선격자를 조합하여 조합부(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형격자생성부(131)는 MQ 격자를 제작하기 위해 512×512 pixel의 크기에 0.5/ring의 Thickness를 갖는 원이 70개 들어가도록 원형격자를 제작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원형격자의 간격은 4 Pixel을 갖게 되어 512×512 pixel의 지문 격자와 중첩시 간섭무늬가 뚜렷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사선격자생성부(132)는 MQ 격자를 제작하기 위해 512×512 pixel의 크기에 0.5의 Thickness를 갖는 선이 70개 들어가도록 사선격자를 제작하였다. 선의 각도는 45°를 갖도록 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사선격자의 간격은 4 Pixel을 갖게 되어 512×512 pixel의 지문 격자와 중첩시 간섭무늬가 뚜렷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조합부(133)는 지문과 겹쳤을 때 간섭무늬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하여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각각 이등분하여 왼쪽은 원형격자로 오른쪽은 사선격자인 합성격자로 제작한다. 합성격자는 4 pixel의 간격으로 제작하였다. 격자의 크기는 512×512 pixel로 제작하였으며, 이진화 작업을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Q 격자의 생성모습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문과 합성격자를 겹쳤을 때 생긴 무아레 간섭무늬를 영역별로 분석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이 1, 2, 3, 4분면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기준선을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MQ 격자를 제작하였으며, MQ 격자는 합성격자와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하였다. MQ 격자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1, 4 사분면은 사선격자, 2, 3 사분면은 원형으로 제작하고, 4개의 축을 만들어 영역을 구분하였다.
상기 무아레처리모듈(140)은 상기 전처리모듈(120)을 통해 전처리된 지문이미지와 상기 격자생성모듈(130)을 통해 생성된 격자패턴을 겹쳐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한다.
이러한 무아레 간섭무늬를 얻을 때에는 MQ 격자와 지문격자의 중심점을 일치시켰으며, 반복을 처리를 통해 동일한 간섭무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추출모듈(150)은 생성된 무아레 간섭무늬를 추출하여 패턴이미지를 얻는 구성으로, 본 단계에서 상기 패턴이미지를 저장하여 지문인식에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인식된 무아레 간섭무늬가 요구하는 간섭무늬 외에 다른 무늬를 포함하여 복잡함으로 인해 매칭에 활용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아레처리모듈(140)은 지문이미지를 제1색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격자패턴을 상기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을 갖도록 변환하는 색상변환부(1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추출모듈(150)은, 컬러필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지문이미지와 격자패턴이 겹쳐진 이미지로부터 무아레 간섭무늬만 추출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링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지문이미지의 제1색상은 Red로, 격자패턴의 제2색상은 Blue로 하는 컬러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간섭무늬는 이진화를 거친 후 만든 간섭무늬에 비해 간섭무늬의 색이 격자의 색과 달라 구분이 용이하고, 간섭무늬만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한 무아레 간섭무늬의 경우 유출이 되어 제3자의 손에 들어가도 개인 식별이 불가능하며, 개인별로 무아레 간섭무늬가 달라 높은 보안성을 갖는다.
상기 암호화모듈(160)은 상기 패턴이미지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패턴이미지 누출에 따른 위험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암호화기법을 활용하여 패턴이미지 누출에 따른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추출모듈(170)은 상기 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징점을 추출하여 매칭이미지를 얻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특징점은 본인의 지문과 타인의 지문을 분류하는 중요한 벡터로 기본적으로 융선의 흐름을 비롯하여 방향의 변화가 가장 급격한 중심점, 융선의 흐름이 셋 방향으로 나타나는 삼각주의 상대적인 위치가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추출된 특징점이 반영된 매칭이미지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 유사도가 인정되면 승인을 해주는 방식으로 지문보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매칭모듈(180)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매칭이미지와 사용자로부터 얻어진 지문을 상술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특징점을 상호 비교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특징점 간의 기하학적으로 구성된 그래프 패턴의 비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일치 여부는 점수로 산출되며, 산출된 점수가 적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이를 동일인으로 인식한다.
종래에는 지문 자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저장된 지문영상 또는 특징점이 유출되면, 유출된 지문은 보안성을 잃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생성된 무늬만 컬러필터링 방법으로 별도로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지문영상의 유출사고에도 MQ격자의 조건값을 변화시켜 새로운 형태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만들수 있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지문이 유출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MQ격자의 조건을 알지 못하면 지문인식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어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유출대응모듈(190)은 앞서 언급한 이미지의 유출사고 발생시 MQ격자의 조건값을 변화시켜 새로운 형태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만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원형격자생성부(131) 및 사선격자생성부(132)에 적용되는 조건값을 변화시키며 새로운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재구성부(191)와, 최종 조건값을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관리부(192)를 구비하여, MQ격자의 조건값이 달라진 새로운 무아레 간섭무늬가 적용된 패턴이미지 및 매칭이미지를 통해 유출된 정보를 무력화시키고 보안성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지문취득모듈 120: 전처리모듈
121: 히스토그램평활부 122: 이진화처리부
123: 세선화부 130: 격자생성모듈
131: 원형격자생성부 132: 사선격자생성부
133: 조합부 140: 무아레처리모듈
141: 색상변환부 150: 제1추출모듈
160: 암호화모듈 170: 제2추출모듈
180: 매칭모듈 190: 유출대응모듈
191: 재구성부 192: 관리부

Claims (5)

  1.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이미지를 취득하는 지문취득모듈(110);
    상기 지문이미지를 전처리하되, 상기 지문이미지의 명암을 설정된 범위에서 일정하게 보정하는 히스토그램평활부(121)와, 보정된 지문이미지를 이진화처리하는 이진화처리부(122)와, 이진화된 지문이미지를 설정된 두께의 픽셀을 갖도록 만들어주는 세선화부(123)로 구성되어, 상기 지문이미지의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이진화외 세선화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는 전처리모듈(120);
    선의 두께 및 수와 간격을 포함하는 조건값을 입력받아 각각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생성하는 원형격자생성부(131) 및 사선격자생성부(132)와, 생성된 원형격자 및 사선격자를 조합하여 조합부(133)를 포함하며 원형격자와 사선격자를 생성 및 조합하되,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한쪽의 2개 영역은 반으로 분할된 원형격자가 다른 쪽의 2개 영역은 사선격자가 형성된 격자패턴을 생성하는 격자생성모듈(130);
    전처리된 지문이미지와 상기 격자패턴을 겹쳐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하되,
    상기 지문이미지를 제1색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격자패턴을 상기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을 갖도록 변환하는 색상변환부(141)를 포함하는 무아레처리모듈(140);
    컬러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지문이미지와 격자패턴이 겹쳐진 이미지로부터 무아레 간섭무늬만 추출하여 패턴이미지를 얻는 제1추출모듈(150);
    상기 패턴이미지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암호화모듈(160);
    상기 패턴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징점을 추출하여 매칭이미지를 얻는 제2추출모듈(170);
    상기 매칭이미지와 사용자로부터 얻어진 지문의 특징점을 상호 비교하는 매칭모듈(180);
    상기 원형격자생성부(131) 및 사선격자생성부(132)에 적용되는 조건값을 변화시키며 새로운 무아레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재구성부(191)와, 최종 조건값을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관리부(192)를 구비하는 유출대응모듈(190);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21878A 2022-09-26 2022-09-26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KR10259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878A KR102595465B1 (ko) 2022-09-26 2022-09-26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878A KR102595465B1 (ko) 2022-09-26 2022-09-26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465B1 true KR102595465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878A KR102595465B1 (ko) 2022-09-26 2022-09-26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4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097A (ko) * 2014-02-19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생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79201B1 (ko) 2018-11-09 2020-04-0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영사 무아레 기반 3d 얼굴 인식을 통한 생체 인증정보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097A (ko) * 2014-02-19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생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79201B1 (ko) 2018-11-09 2020-04-0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영사 무아레 기반 3d 얼굴 인식을 통한 생체 인증정보 추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u et al. Finger vein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using total variation decomposition
US9076048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using near-infrared structured illumination combined with 3D imaging of the human ear
Zaeri Minutiae-based fingerprint extraction and recognition
Kaur et al. A novel method for fingerprint feature extraction
Patil et al. A novel approach for fingerprint matching using minutiae
Nazarkevych et al.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with ateb-gabor filtering
Galbally et al. An introduction to fingerprint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Nazarkevych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image skeletonization methods in biometric security systems
KR102595465B1 (ko) 혼합 사분면 격자의 무아레 간섭무늬를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Akintoye et al. A novel approach for finger vein pattern enhancement using Gabor and Canny edge detector
Galbally et al. Fingerprint anti-spoofing in biometric systems
DR et al. Fingerprint verification based on fusion of minutiae and ridges using strength factors
CN101231695A (zh) 一种基于多分辨率分析的虹膜识别方法
Baek The fake fingerprint detection system using a novel color distribution
Jan et al. Robust iris biometric system for visible wavelength data
Naidu et al. Fingerprint and Palmprint Multi-Modal Biometric Security System
Kanchana et al. Robust approach for palm (ROI) extraction in palmprint recognition system
Leon et al. Fingerprint verification applying invariant moments
Kekre et al. Fingerprint & palmprint segmentation by automatic thresholding of Gabor magnitude
Shaju et al. Haar wavelet transform based histogram concatenation model for finger print spoofing detection
Chaudhari et al. Prevention of spoof attacks in fingerprinting using histogram features
González et al. Fingerprint recognition using open algorithms in frequency and spatial domain
Patel et al. Improve fingerprint and recognition using both minutiae based and pattern based method
Mohammed Face recognition based texture analysis methods
Dutta et al. TR-LBP: A modified Local Binary Pattem-based technique for 3D fac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