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264B1 -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 Google Patents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264B1
KR102595264B1 KR1020180014418A KR20180014418A KR102595264B1 KR 102595264 B1 KR102595264 B1 KR 102595264B1 KR 1020180014418 A KR1020180014418 A KR 1020180014418A KR 20180014418 A KR20180014418 A KR 20180014418A KR 102595264 B1 KR102595264 B1 KR 10259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capacitor
power
output uni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822A (ko
Inventor
김유선
배석
윤수광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8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용 전원 케이블은, 도선; 상기 도선의 일단에 연결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제1 전원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전원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접지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캐패시터;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접지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접지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캐패시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원 출력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접지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POWER CABLE COMPRISING EMI FILTER}
본 발명은 EMI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으로 들어오는 220V 전기는 교류신호로써 불완전하여 많은 잡음을 동반한다. 또한 이러한 잡음이 전자기기 내부로 흘러들어갈 시 오작동의 원인이 되며, 심하면 기기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가 사용된다. EMI 필터는 가정 내로 들어오는 전기의 불완전한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전원부에 적용되는 필터이며, 회로 동작에 필요한 신호는 통과시키고 잡음은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EMI 필터가 적용된 일반적인 파워보드가 전원과 부하에 연결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EMI 필터의 파워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의 종류는 크게 파워보드에서 방사되는 30 ㎒ 내지 1 ㎓의 방사성 잡음과 전원 라인을 통하여 전도되는 150 ㎑ 내지 30 ㎒의 전도성 잡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도성 잡음의 전달 방식은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 및 공통 모드(common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공통 모드 잡음은 적은 양이더라도 큰 루프를 그리며 되돌아오기 때문에, 멀리 떨어져 있는 전자기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모드 잡음은 배선계의 임피던스 불평행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하며, 고주파 환경일수록 현저해진다.
공통 모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EMI 필터에 적용되는 인덕터는 일반적으로 Mn-Zn 계 페라이트(Ferrite) 소재를 포함하는 토로이달(toroidal) 형상의 자성코어를 사용한다. 잡음을 제거하는 원리는 토로이달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에서 투자율이 좋은 대역(500KHz - 100MHz)의 잡음은 단락된 형태(원통 구조)로 소모되어 버리며, 이 대역이 아닌 유효한 신호는 손실 없이 통과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EMI 필터의 원리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EMI 필터의 일 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MI 필터(2000)는 복수의 X-커패시터(Cx), 복수의 Y-커패시터(Cy) 및 인덕터(L)를 포함할 수 있다.
X-캐패시터(Cx)는 라이브 라인(LIVE)의 제1 단자(P1)와 뉴트럴 라인(NEUTRAL)의 제3 단자(P3) 사이 및 라이브 라인(LIVE)의 제2 단자(P2)와 뉴트럴 라인(NEUTRAL)의 제4 단자(P4)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복수의 Y-커패시터(Cy)는 라이브 라인(LIVE)의 제2 단자(P2)와 뉴트럴 라인(NEUTRAL)의 제4 단자(P4) 사이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인덕터(L)는 라이브 라인(LIVE)의 제1 단자(P1)와 제2 단자(P2) 사이 및 뉴트럴 라인(NEUTRAL)의 제3 단자(P3)와 제4 단자(P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덕터(L)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인덕터(100)일 수 있다.
EMI 필터(2000)는 공통 모드 잡음이 유입될 때, 일차측 인덕턴스(Primary Inductance)와 Y-커패시터(Cy)의 합성 임피던스 특성으로 공통 모드 잡음을 제거한다. 여기서, 라이브 라인(LIVE)의 일차측 인덕턴스는 제3 및 제4 단자(P3, P4)를 오픈(Open)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단자(P1, P2) 사이의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획득될 수 있고, 뉴트럴 라인(NEUTRAL)의 일차측 인덕턴스는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오픈(Open)시킨 상태에서 제3 및 제4 단자(P3, P4) 사이의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획득될 수 있다.
EMI 필터(2000)는 차동 모드 잡음이 유입될 때,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와 X-커패시터(Cx)의 합성 임피던스 특성으로 차동 모드 잡음을 제거한다. 여기서, 라이브 라인(LIVE)의 누설 인덕턴스는 제3 및 제4 단자(P3, P4)를 단락(short)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단자(P1, P2) 사이의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획득될 수 있고, 뉴트럴 라인(NEUTRAL)의 누설 인덕턴스는 제1 및 제2 단자(P1, P2)를 단락시킨 상태에서 제3 및 제4 단자(P3, P4) 사이의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획득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자성체 코어를 사용하는 EMI 필터는 대체로 부피가 크기 때문에 기기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기기의 소형화에 불리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피 증대 없이 EMI 노이즈 감쇄 성능이 우수한 전원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용 전원 케이블은, 도선; 상기 도선의 일단에 연결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제1 전원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전원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접지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캐패시터;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접지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접지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캐패시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원 출력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접지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 상기 출력부 및 상기 도선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물질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원 출력부와 상기 제2 전원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4 캐패시터; 상기 제1 전원 출력부와 상기 접지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5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전원 출력부와 상기 접지 출력부 사잉에 배치된 제6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제2 캐패시터 또는 상기 제3 캐패시터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제3 캐패시터의 용량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제5 캐패시터의 용량 또는 상기 제 6 캐패시터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제6 캐패시터의 용량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제4 캐패시터의 용량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캐패시터, 상기 제3 캐패시터, 상기 제5 캐패시터 및 상기 제6 캐패시터의 용량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선의 길이는 0.3 내지 3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6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도선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한 전원 케이블은 EMI 필터가 내장되어 기기 전원부에 별도의 EMI 필터가 불필요하여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EMI 필터가 적용된 일반적인 파워보드가 전원과 부하에 연결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EMI 필터의 일 례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내에 캐패시터가 배치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등가회로 및 모드별 전류 방향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EMI 필터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입력부와 출력부 각각의 캐패시터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EMI 필터가 내장된 전원 케이블이 제공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도선(110)과, 도선(1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입력부(120)와, 도선(1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력을 입력받는 부분에 해당하며, 출력부(130)는 전력을 공급할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연결된 외부 기기로 전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입력부(12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전원 입력부(121), 제2 전원 입력부(122) 및 접지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입력부(121), 제2 전원 입력부(122) 및 접지 입력부(123) 각각은 도전성 재질, 예컨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전원 입력부(121), 제2 전원 입력부(122)는 입력부(120)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입력부(121), 제2 전원 입력부(122) 중 어느 하나는 교류 전원의 뉴트럴(Neutral) 라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교류 전원의 라이브(live)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접지 입력부(123)는 접지(Ground)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전원 출력부(131), 제2 전원 출력부(132) 및 접지 출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원 출력부(131)는 제1 전원 입력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원 출력부(132)는 제2 전원 입력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지 출력부(133)는 접지 입력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선은 서로 절연된 3가닥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제1 전원 출력부(131), 제2 전원 출력부(132) 중 어느 하나는 교류 전원의 뉴트럴(Neutral) 라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교류 전원의 라이브(live)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지 출력부(133)는 접지(Ground)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선(110), 입력부(120) 및 출력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절연 물질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상술한 전원 케이블(100) 구조에서, 도선(110) 중 라이브 라인과 뉴트럴 라인 각각에 해당하는 라인은 EMI 필터 중 인덕터(L1, L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EMI 필터 중 복수의 캐패시터는 입력부(120)와 출력부(130) 각각에 내장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내에 캐패시터가 배치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120)의 하우징 내부에는 제1 전원 입력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널(P1), 제2 전원 입력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널(P2) 및 접지 입력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패널(P3)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P1, P2, P3) 각각은 서로 절연되되, 도전성 물질(예컨대, Cu, Al, Fe 등의 도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은 각각 적어도 둘의 표면을 포함하되, 제1 패널(P1)의 어느 한 면과 제2 패널(P2)의 어느 한 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제1 패널(P1)의 다른 한 면과 제2 패널(P2)의 다른 한 면은 각각 제3 패널의 저면과 대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중 서로 대향하는 각 면 사이에는 제1 유전체(D1)가 배치되어, 제1 패널(P1), 제2 패널(P2) 및 제1 유전체(D1)는 제1 캐패시터(C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P1)과 제3 패널(P3) 중 서로 대향하는 각 면 사이에는 제2 유전체(D2)가 배치되어, 제1 패널(P1), 제3 패널(P3) 및 제2 유전체(D2)는 제2 캐패시터(C2)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패널(P2)과 제3 패널(P3) 중 서로 대향하는 각 면 사이에는 제3 유전체(D3)가 배치되어, 제1 패널(P1), 제3 패널(P3) 및 제3 유전체(D3)는 제3 캐패시터(C3)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차동 모드(DM)의 잡음 제거에 관련되며, 제2 캐패시터(C2) 및 제3 캐패시터(C3)는 공통 모드(CM)의 잡음 제거와 관련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앗으나 출력부(130)의 내부에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부(120) 내부의 캐패시터들과 유사하게 제1 전원 출력부(131), 제2 전원 출력부(132) 및 접지 출력부(133) 중 어느 둘 사이에 캐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출력부(131)와 제2 전원 출력부(132) 사이에는 차동 모드(DM)의 잡음 제거에 관여하는 제4 캐패시터(C4)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원 출력부(131)와 접지 출력부(133) 사이에는 공통 모드(CM) 잡음 제거에 관여하는 제5 캐패시터가(C5)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 출력부(132)와 접지 출력부(133) 사이에는 공통 모드(CM) 잡음 제거에 관여하는 제6 캐패시터가(C6)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설명을 종합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에 내장되는 EMI 필터는 총 2개의 인덕터(L1, L2)와 6개의 캐패시터(C1 내지 C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EMI필터의 구성을 등가회로로 나타내면 도 5와 같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등가회로 및 모드별 전류 방향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C1과 C4는 각각 도 2의 X-커패시터(Cx)에 해당하고, C2, C3, C5, C6은 각각 도 2의 Y-커패시터(Cy)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제1 및 제4 캐패시터(C1, C4)는 제2, 제3, 제5 및 제6 캐패시터(C2, C3, C5, C6)보다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패시터(C1) 및 제4 캐패시터(C4)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용량을 가지되, 100nF 내지 1uF일 수 있다. 또한, 제2, 제3, 제5 및 제6 캐패시터(C2, C3, C5, C6)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용량을 가지되, 각각 20pF 내지 1nF일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서로 용량이 동일하다고 함은 어느 하나의 용량이 나머지 캐패시터 대비 용량 차이가 -1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임을 의미할 수 있다. 용량 차이가 +/-10%를 벗어날 경우 캐패시터 용량 불균형에 의해 EMI 필터의 노이즈 감쇄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캐패시터(C1)의 용량은 제2 캐패시터(C2) 또는 제3 캐패시터(C3)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캐패시터(C2)의 용량은 제3 캐패시터(C3)의 용량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4 캐패시터(C4)의 용량은 제5 캐패시터(C5)의 용량 또는 제 6 캐패시터(C6)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제5 캐패시터(C5)의 용량은 제6 캐패시터의 용량(C6)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인덕터(L1, L2)의 인덕턴스는 도선(110)의 길이에 비례하며, 도선(110)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자성체 쉴딩(shielding)이 적용될 경우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선(110)의 길이는 0.3m 내지 10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 내지 3m 일 수 있다. 도선(110)의 길이가 0.3m보다 작을 경우 리액턴스 값이 작아져 실질적으로 EMI 필터 효과가 없으며, 10m보다 클 경우 캐패시터의 배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가 불가하여 EMI 필터 효과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내지 제6 캐패시터(C1, C2, C3, C4, C5, C6)의 용량은 도선(110)의 길이와 단면적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6 캐패시터(C1, C2, C3, C4, C5, C6)의 용량은 도선(110)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의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전원 케이블에 내장된 EMI 필터의 효과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EMI 필터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원 케이블은 그 자체로 노이즈 감쇄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은 EMI 필터가 내장되어, 적어도 150kHz 내지 30MHz 구간에서는 우수한 EMI 노이즈 감쇄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캐패시터들(C1 내지 C6)의 캐패시턴스 값이 커질수록, 인덕터들(L1, L2)의 인덕턴스가 증가할수록(즉, 도선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자성체 쉴딩이 적용될 경우)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부터 EMI 노이즈 감쇄 효과를 보이게 될 수 있다(즉, 실선에서 점선으로 특성 곡선이 이동).
한편, 도 4에 도시된 패널들과 유전체의 상대적 배치 위치 및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원 입력부(121), 제2 전원 입력부(122) 및 접지 입력부(123) 중 어느 둘 사이에 소정의 캐패시턴스가 형성될 수만 있다면 반드시 서로 다른 패널들 사이에 유전체가 배치되는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캐패시터가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등가회로에서 일부 캐패시터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입력부와 출력부 각각의 캐패시터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0)에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C1, C2, C3)가, 출력부(130)에 제4 내지 제6 캐패시터(C4, C5, C6)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모드(DM) 잡음 제거를 위해 입력부(120)에는 제1 캐패시터(C1)가, 출력부(130)에는 제4 캐패시터(C4)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모드(CM) 잡음 제거를 위해 입력부(120)에는 제2 및 제3 캐패시터(C2, C3)가, 출력부(130)에는 제5 및 제6 캐패시터(C5, C6)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 각각에 대한 설명은 서로 내용이 상충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원 케이블
110: 도선
120: 입력부
130: 출력부

Claims (9)

  1. 도선;
    상기 도선의 일단에 연결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제1 전원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전원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접지 입력부;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캐패시터;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접지 입력부 사이에 상기 제1 캐패시터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고 배치된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접지 입력부 사이에 상기 제2 캐패시터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고 배치된 제3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원 출력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접지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출력부 및 상기 도선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물질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제1 캐패시터, 상기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3 캐패시터는,
    상기 입력부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1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절연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과 절연되고 상기 접지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의 제1 유전체,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3 패널 사이의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2 패널과 상기 제3 패널 사이의 제3 유전체가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원 출력부와 상기 제2 전원 출력부 사이에 상기 제1 캐패시터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고 배치된 제4 캐패시터;
    상기 제1 전원 출력부와 상기 접지 출력부 사이에 상기 제4 캐패시터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고 배치된 제5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전원 출력부와 상기 접지 출력부 사이에 상기 제5 캐패시터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고 배치된 제6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EMI 필터용 전원 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의 길이는 0.3 m 내지 3m 인 EMI 필터용 전원 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6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도선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EMI 필터용 전원 케이블.
KR1020180014418A 2018-02-06 2018-02-06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KR10259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18A KR102595264B1 (ko) 2018-02-06 2018-02-06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18A KR102595264B1 (ko) 2018-02-06 2018-02-06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22A KR20190094822A (ko) 2019-08-14
KR102595264B1 true KR102595264B1 (ko) 2023-10-30

Family

ID=6762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18A KR102595264B1 (ko) 2018-02-06 2018-02-06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557B2 (ja) * 1990-03-28 1996-09-04 エイ アンソニー アンソニー 電源ラインフィルタ及びサ―ジ保護回路要素及び回路
US20020075711A1 (en) 2000-10-24 2002-06-20 Bel-Fuse, Inc. Split-package AC adapter
KR100445051B1 (ko) * 2001-09-04 2004-08-21 김동일 전자파 양립성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85A (ko) * 2000-12-07 2002-06-19 송재인 광대역 이엠아이 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557B2 (ja) * 1990-03-28 1996-09-04 エイ アンソニー アンソニー 電源ラインフィルタ及びサ―ジ保護回路要素及び回路
US20020075711A1 (en) 2000-10-24 2002-06-20 Bel-Fuse, Inc. Split-package AC adapter
KR100445051B1 (ko) * 2001-09-04 2004-08-21 김동일 전자파 양립성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22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308A (en) Combined differential-mode and common-mode noise filter
US9755606B2 (en) Common mode filter and ESD-protection-circuit-equipped common mode filter
CN101854152B (zh) 一种圆形pcb线匝构成的平面emi滤波器集成模块
TWI540594B (zh) 傳輸線及濾波模組
US20050285693A1 (en) Common mode signal suppressing circuit and normal mode signal suppressing circuit
EP0393644B1 (en) LC noise filter
US8941456B2 (en) EMI suppression with shielded common mode choke
CN107134916B (zh) 一种交流电源传导电磁信息泄漏防护装置及方法
CN203554278U (zh) 一种家用电器及其emi滤波电路
US20140009243A1 (en) Network signal coupling and emi protection circuit
KR102595264B1 (ko) Emi 필터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KR20080086709A (ko) 매입형 전자파 차단 필터
TWM466365U (zh) 網路訊號耦合之雜訊濾除電路
US8896394B2 (en) Electronic component
CN104022749A (zh) 叠层片式emi滤波器
JP4729455B2 (ja) フィルタ回路
CN102136828B (zh) 一种螺旋形扁平线圈构成的筒壁型emi滤波器
KR102589292B1 (ko) 전자기 간섭 필터
US20070057578A1 (en) Noise suppressing circuit
KR20180000641U (ko) 강화된 격리 및 손실을 가지는 마이크로 다이플렉서
CN111313856A (zh) 一种集成dc耦合电容的芯片
US20180069434A1 (en) Filter circuit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362632B2 (en) High-capacity common-mode inductor processing circuit for network signal
CN111934538B (zh) 一种屏蔽结构、电路以及电源适配器
US20100123527A1 (en) Network transformer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