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808B1 - 당구 큐용 연장대 - Google Patents

당구 큐용 연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808B1
KR102594808B1 KR1020210097524A KR20210097524A KR102594808B1 KR 102594808 B1 KR102594808 B1 KR 102594808B1 KR 1020210097524 A KR1020210097524 A KR 1020210097524A KR 20210097524 A KR20210097524 A KR 20210097524A KR 102594808 B1 KR102594808 B1 KR 10259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extension
magnet
billiard cue
billi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279A (ko
Inventor
서영배
서용국
Original Assignee
서영배
서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배, 서용국 filed Critical 서영배
Priority to KR102021009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당구 큐용 연장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와 하대를 연결하는 당구 큐의 하대에 연장대를 제공하여 다양한 당구대 및 당구공의 위치,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당구 큐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당구 큐용 연장대는 상대와 하대가 결합한 당구큐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의 하대 끝단에는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대의 돌기부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하되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되며 상기 당구큐의 하대에 형성된 돌기부와 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끝단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중심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의 결속홈 내부바닥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된 연장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당구 큐용 연장대{Extension for billiard cue}
본원 발명은 당구 큐용 연장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와 하대를 연결하는 당구 큐의 하대에 연장대를 제공하여 다양한 당구대 및 당구공의 위치,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당구 큐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당구 큐용 연장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당구대 위에서 당구공을 큐로 쳐서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스포츠로서, 한속으로 브릿지를 형성하여 큐를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힘을 가해 당구공을 타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당구 큐는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는 하대와, 당구공의 타격부분을 형성하는 상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대와 상대는 주로 목재로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통상 조립식으로 하대와 상대가 서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당구 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튜브형으로 내주면에 분할된 복수개의 보강리브(22a)를 갖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팁연결큐대(22)와 상기 팁연결큐대(22)와 체결수단으로 연결되며 단면이 튜브형으로 내주면에 분할된 복수개의 보강리브(24a)를 갖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손잡이큐대(24)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알루미늄재로 상기 팁연결큐대(22)의 후단과 상기 손잡이큐대(24)의 선단에 각각 삽입 고정된 수나사 체결구(26) 및 암나사 체결구(28)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당구 큐는 중대,대대, 포켓으로 나누어진 당구대에 사용하고 있는데, 당구대에 발생되는 다양한 위치에 놓여지는 당구공에 따라 큐가 닿지 않을 경우 당구 큐를 바꿔 사용하는 문제점로 인하여 다양한 길이로 형성된 당구 큐를 구비하므로써 이로 인한 비용이 증대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상대와 하대에 형성된 수나사 체결구와 암나사 체결구에 보조 큐를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교체시간이 증대하여 당구경기에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당구큐의 상대와 하대 사이에 보조 큐가 나사형태로 체결분리되므로써 이로 인한 당구 큐의 상대와 하대에 형성된 나사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249037 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대와 하대를 연결된 당구 큐의 하대에 연장대를 제공하여 다양한 당구대 및 당구공의 위치,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당구 큐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당구 큐용 연장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와 하대가 결합한 당구큐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의 하대 끝단에는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대의 돌기부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하되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대의 후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장프레임와 상기 하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하대의 홈부가 구비된 자석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가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체결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봉대와 상기 연장프레임의 타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결합되도록 일측외주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의 바닥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연장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하대의 홈부 바닥면과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바닥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에는 자석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대의 홈부와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대의 숫나사부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의 외주일측끝단에 결착되어 회동하는 너트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대의 돌기부 바닥면에 방사형태의 유도자석부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암나사부과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외주면는 방사형태의 유도자석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대의 홈부 바닥면과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바닥면에는 홈공이 형성하되 상기 홈공의 외주일측면에는 유도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공의 일측단에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대의 홈부와 하부프레임의 삽입공에 설치된 자석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홈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봉대에 안착된 자석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돌기부가 형성하되 일측단에는 상기 하대와 하부프레임의 유도공으로 유도되어 걸림공에 결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는 중대와 대대, 포켓으로 나누어진 다양한 당구대에 하나의 당구 큐를 사용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당구대에 당구공의 위치,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당구 큐의 길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교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당구 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7a,7b,7c은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8a,8b,8c는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9a,9b는 도 8에 대한 실시예.
도 10a,10b는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1)는 상대(110)와 하대(120)가 결합한 당구큐(100)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100)의 하대(120) 끝단에는 돌출된 돌기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하대(120)의 돌기부(124)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홈부(125)가 형성하되 상기 홈부(125)의 바닥면에는 자석부(126)가 구비되며, 상기 하대(110)의 후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암나사부(12-2,12-4)가 형성된 연장프레임(10)와 상기 하대(120)에 형성된 홈부(125)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가 구비된 자석부(126)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24)가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연장프레임(10)의 일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2-2)가 체결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숫나사부(22)가 형성된 봉대(20)와 상기 연장프레임(10)의 타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2-4)에 체결결합되도록 일측외주단에 숫나사부(32)가 형성되고 타측 중심부에는 삽입공(34)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34)의 바닥면에는 자석부(36)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에 결착되는 상기 봉대(20)를 보다 용이하게 결착 및 유도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 바닥면과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 바닥면에 탄성스프링(40)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40)의 상부에는 자석부(126,36)가 결합되며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와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 상부에는 걸림턱(125-2,3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 바닥면과 연장대(10)의 결속홈(15-2) 바닥면에 탄성스프링(40)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0)의 일측단에 자석부(126,36)가 결합되어 상기 하대(120)에 붕대(20)를 결착시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에 설치되는 자석부(126)가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봉대(20)에 구비된 자석부(24)를 유도하여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체결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하대의 홈부(125)와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25-2,34-2)는 자석부(126,3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대(120)에 결착되는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으로 서로 결합되어 당구큐대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하여 타격할 수 있고, 하나인 경우 본 발명의 당구큐대용 연장대(1)의 연장프레임(10)을 교체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1)의 연장프레임(10)을 교체하여 길이를 조절하거나 둘 이상으로 서로 결합되어 당구큐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대(20)의 숫나사부(22)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연장프레임(10)의 외주일측끝단에 결착되어 회동하는 너트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너트부재(50)를 회동시켜 상기 봉대(20)가 이동하므로써 당구큐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대(120)에 연장대(1)를 결착 및 연장대(1)와 연장대(1)를 연결결착시 보다 결속력 및 유도결착할 수 있도록 도 7a,7b,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대(120)의 돌기부(124) 바닥면에 방사형태의 유도자석부(127)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연장프레임(10)의 암나사부(12-2)와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 외주면는 방사형태의 유도자석부(17,35)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대(120)의 돌기부(124), 상기 연장프레임(10)의 암나사부(12-2)과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 외주면에는 방상형태의 유도자석부(17,35,127)를 설치하므로써 상기 하대(120)에 연장프레임(10)을 결착시 유도자석부(17,127)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로 상기 연장프레임(10)에 결착된 봉대(20)의 자석부(24)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대(120)의 유도자석부(128)와 연장대(10)의 유도자석부(17)로 인하여 결속력이 더욱더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당구큐의 하대(120)와 연장대(1)의 결착시 유도자석부(17,128)를 설치하여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으나 당구공을 타격시 상기 연장대(1)가 흔들려 이격되거나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도 8a,8b,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 바닥면과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 바닥면에는 홈공(37,129)이 형성하되 상기 홈공(37,129)의 외주일측면에는 유도공(37-2,129-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공(37-2,129-2)의 일측단에는 걸림공(37-4,129-4)이 형성되며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와 하부프레임(30)의 삽입공(34)에 설치된 자석부(36,126)의 중심부에는 상기 홈공(37,129)과 대응되는 통공(36-2,126-2)이 형성되고 상기 봉대(20)에 안착된 자석부(2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돌기부(28)가 형성하되 일측단에는 상기 하대(120)와 하부프레임(30)의 유도공(37-2,129-2)으로 유도되어 걸림공(37-2,129-4)에 결착되는 걸림돌기(28-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a,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에 삽입되는 봉대(20)가 결합시 상기 붕대(20)의 돌기부(12)에 형성된 걸림돌기(18-2)가 상기 하대(120)의 홈부(125)에 형성된 유도공(129-2)으로 따라 이동 후 상기 봉대(20)를 회동시키면 상기 하대(120)의 걸림공(129-4)에 상기 봉대(20)의 걸림돌기(28-2)가 이동결속되어 상기 하대(120)와 봉대(20)의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당구 큐용 연장대(1)는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상대(110)와 하대(120)가 결합한 당구큐(100)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100)의 하대(120) 끝단에는 돌출된 돌기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하대(120)의 돌기부(124)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홈부(125)가 형성하되 상기 홈부(125)의 바닥면에는 자석부(126)가 구비되며, 상기 하대(120)의 후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암나사부(12-2,12-4)가 형성된 연장프레임(10)와 상기 하대(110)에 형성된 홈부(125)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하대(100)의 홈부(125)가 구비된 자석부(126)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24)가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연장프레임(10)의 일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2-2)가 체결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숫나사부(22)가 형성된 봉대(20)와 상기 연장프레임(10)의 타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2-4)에 체결결합되도록 일측외주단에 숫나사부(32)가 형성되고 타측 중심부에는 삽입공(34)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34)의 바닥면에는 자석부(36)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결착된 봉대(20)가 상기 하대(120)의 홈부(126)에 삽입되며서 상기 봉대(20)의 자석부(24)가 상기 하대(120)의 자석부(126)에 결착되는 구조로써 당구대에 당구공의 위치,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당구 큐대의 길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교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중대와 대대, 포켓으로 나누어진 다양한 당구대에 하나의 당구 큐대를 사용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당구 큐용 연장대
10 : 연장프레임 12-2, 12-4 : 암나사부
17 : 유도자석부
20 : 봉대 22 : 숫나사부
24 : 자석부 28 : 돌출돌기부
28-2 : 걸림돌기
30 : 하부프레임 32 : 숫나사부
34 : 삽입공 34-2 : 걸림턱
35 : 유도자석부 36 : 자석부
37 : 홈공 37-2 : 유도공
37-4 : 걸림공
40 : 탄성스프링
50 : 너트부재
100 : 당구큐 110 : 하대
124 : 돌기부 125 : 홈부
125-2 : 걸림턱
126 : 자석부 128 : 유도자석부
129 : 홈공 129-2 : 유도공
129-4 : 걸림공

Claims (5)

  1. 상대와 하대가 결합한 당구 큐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의 하대 끝단에는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대의 돌기부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하되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대의 후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장프레임와;
    상기 하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하대의 홈부가 구비된 자석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가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체결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봉대와;
    상기 연장프레임의 타측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결합되도록 일측외주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의 바닥면에는 자석부가 구비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하대의 홈부 바닥면과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바닥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에는 자석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대의 홈부와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연장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대의 숫나사부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의 외주일측끝단에 결착되어 회동하는 너트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연장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대의 돌기부 바닥면에 방사형태의 유도자석부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암나사부과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외주면는 방사형태의 유도자석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연장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대의 홈부 바닥면과 하부프레임의 삽입공 바닥면에는 홈공이 형성하되 상기 홈공의 외주일측면에는 유도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공의 일측단에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대의 홈부와 하부프레임의 삽입공에 설치된 자석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홈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봉대에 안착된 자석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돌기부가 형성하되 일측단에는 상기 하대와 하부프레임의 유도공으로 유도되어 걸림공에 결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연장대.
KR1020210097524A 2021-07-26 2021-07-26 당구 큐용 연장대 KR10259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24A KR102594808B1 (ko) 2021-07-26 2021-07-26 당구 큐용 연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24A KR102594808B1 (ko) 2021-07-26 2021-07-26 당구 큐용 연장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279A KR20230016279A (ko) 2023-02-02
KR102594808B1 true KR102594808B1 (ko) 2023-10-26

Family

ID=8522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524A KR102594808B1 (ko) 2021-07-26 2021-07-26 당구 큐용 연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2529A1 (en) * 2000-08-10 2002-02-21 Bourque Daniel R. Butt extender for a pool cue
JP2008022966A (ja) * 2006-07-19 2008-02-07 Masahiko Ayaki キューステ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3086A (ja) 1990-11-30 1994-04-07 リチャードソン、ビ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リーブ−オン顔用エマルジョン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2529A1 (en) * 2000-08-10 2002-02-21 Bourque Daniel R. Butt extender for a pool cue
JP2008022966A (ja) * 2006-07-19 2008-02-07 Masahiko Ayaki キューステ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279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8302B2 (en) Adjustable shaft-extension apparatus for golf club putters
US3524646A (en) Golf club assembly
US6343998B1 (en)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US7452282B2 (en) Pool cue
US20060122004A1 (en) Weight adjustable golf club head
US7815529B2 (en)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US10994184B1 (en) Golf swing speed trainer
KR102594808B1 (ko) 당구 큐용 연장대
US11617939B2 (en) Pool cue bridge
EP3843864A1 (en) Hand held cue guide with an adjustable handle
US6419588B1 (en) Assistive billiard cue device
US20070259742A1 (en) Offense/defense dual lacrosse stick
US5704842A (en) Cue stick with guide rib
US20070155545A1 (en) Lacrosse stick with telescoping handle
WO2007119050A1 (en) A cue rest
WO2008046244A1 (fr) Club de golf d'entrainement
US20220203213A1 (en) Adjustable billiard cue stick
US9802111B2 (en) Stroker's a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429217B1 (en) Cue stroke practice aid
KR101659297B1 (ko) 골프채
TWI526236B (zh) Adjustable center of gravity of the golf ball head
US6679785B1 (en) Golf putter
US20050026715A1 (en) Golf putter head
US20150265884A1 (en) Golf club head
KR200427185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