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767B1 -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 Google Patents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67B1
KR102594767B1 KR1020220145121A KR20220145121A KR102594767B1 KR 102594767 B1 KR102594767 B1 KR 102594767B1 KR 1020220145121 A KR1020220145121 A KR 1020220145121A KR 20220145121 A KR20220145121 A KR 20220145121A KR 102594767 B1 KR102594767 B1 KR 10259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support plate
horizontal support
suppor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
Priority to KR102022014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건축물 통신설비를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부가 천장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구와 상기 수직 고정구의 작동공간에 " T "자 형상의 수직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는 수평 지지부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 지지구 및 상기 작동 지지구를 구성하는 수직부의 상부에 위치한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내부 지지수단; 상기 작동 지지구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의 하부에 양측이 결합되는 수평 지지판; 상기 내부 지지수단의 외측에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천장에 고정되고 중앙으로 쇽업쇼버 연결부가 형성되는 천장고정구와 상기 천장고정구에 일단 결합되고 쇽업쇼버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 고정구 및 일단이 상기 쇽업쇼버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판 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로드로 구성되는 외부 지지수단;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판; 상기 수평 지지판과 상부 수평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수평 지지판과 상부 수평 지지판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와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에 상하부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로 구성되는 하부 완충 수단;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판의 상부 양측 끝단에 배치되고,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틀 지지구;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is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ceiling to fix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It is arrang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ceiling, and an operating space is formed inside. A "T"-shaped vertical part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space of the vertical fixture and the vertical fixture, and a horizontal support is formed in a right angl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rt constituting the operating support. Internal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 spring disposed in the operating space; a horizontal support plate on both sides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constituting the operation support member; A ceiling fixture is disposed at intervals front and rear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is fixed to the ceiling, and has a shock absorber connec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is once coupled to the ceiling fixture and is mount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shock absor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External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 support plate fixture and a support ro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rod end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fixture; an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disposed at intervals on top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ar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gap maintenance fixtures hav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 lower buffer means consisting of a coupled cylinder, a spring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the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and a retainer cover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 frame support disposed at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formed in a right angle shape, and having a cushioning member made of rubber or silicon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Description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일반적으로 광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은 빛을 이용해 아주 넓은 대역과 빠른 전송속도 및 초정밀 고효율의 전송 품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선으로서, 최근 들어 초고속 정보통신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커지면서 FTTH(Fiber to The Home)와 같은 광통신기술이 각광받고 있다.In general, optical fiber cable is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line that uses light to provide a very wide bandwidth, fast transmission speed, and ultra-precise and high-efficiency transmission quality. Recently, as consumer expectations for high-speed information communication have increased, FTTH (Fiber to The Home) has become popular. ), optic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in the spotlight.

FTTH는 전화국에서 각 가입자 가정까지 광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현재의 전화선, 광케이블TV, 데이터 등으로 복잡하게 나뉘어져 있는 가입자망 환경을 광가입자망으로 단순화함으로써 고품질의 통합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By connecting the telephone office to each subscriber's home with an optical cable, FTTH can realize high-quality integrated services by simplifying the current subscriber network environment, which is complexly divided into phone lines, optical cable TV, and data, into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이에 따라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광통신장비들이 기존 통신장비들을 급속하게 대체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Accordingly,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optical cables is rapidly replacing existing communication equipment.

이러한 통신케이블의 포설을 위하여 케이블트레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케이블트레이는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앵커 볼트를 이용해서 견인되도록 하고 있다.To lay these communication cables, a cable tray is used, and the cable tray is towed using anchor bolts installed on the ceiling slab.

등록특허 제1784922호(2017.09.28.)의 케이블 트레이용 방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에서는 앵커 볼트를 제1 지지로드와 제2 지지로드 및 그 사이에는 방진부가 구비되도록 하면서 방진부는 본체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원형플레이트와 제1 또는 제2 지지로드의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원형 플레이트와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서 구비되도록 하였다.In the vibration-proof hanger device for cable tray and the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of Registered Patent No. 1784922 (2017.09.28.), the anchor bolt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rod and the second support rod, and a vibration-proof part is provided between them, and the vibration-proof part is of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a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circular plat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and the first or second support rod,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circular plate and the fastening member.

하지만, 종래 기술의 케이블트레이는 제1 지지로드와 제2 지지로드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방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진 등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수직의 축방향으로만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케이블트레이의 길이 및 측방향으로 충격에 대해서는 대응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able tray of the prior art was designed to be protected from shocks and vibrations such as earthquakes by providing vibration isolation through impacts appli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but only in the vertical axial direction. Since cushioning is provi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spond to impacts in the length and lateral directions of the cable tra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492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849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틀 지지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신설비를 내부 지지수단과 외부 지지수단을 통해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완충 수단을 통해 수직으로도 지지할 수 있는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and it is possible to support communication equipment placed inside the frame support not only horizontally through the internal support means and external support means, but also vertically through the lower buffer mea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는 천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건축물 통신설비를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부가 천장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구와 상기 수직 고정구의 작동공간에 " T "자 형상의 수직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는 수평 지지부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 지지구 및 상기 작동 지지구를 구성하는 수직부의 상부에 위치한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내부 지지수단; 상기 작동 지지구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의 하부에 양측이 결합되는 수평 지지판; 상기 내부 지지수단의 외측에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천장에 고정되고 중앙으로 쇽업쇼버 연결부가 형성되는 천장고정구와 상기 천장고정구에 일단 결합되고 쇽업쇼버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 고정구 및 일단이 상기 쇽업쇼버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판 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로드로 구성되는 외부 지지수단;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판; 상기 수평 지지판과 상부 수평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수평 지지판과 상부 수평 지지판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와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에 상하부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로 구성되는 하부 완충 수단;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판의 상부 양측 끝단에 배치되고,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틀 지지구;를 포함한다.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ceiling to fix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It is arrang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inside is an operating space. A "T"-shaped vertical part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space of the vertical fixture and the vertical fixture, an operating support having a horizontal support formed in a right angl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an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rt constituting the operating support. Internal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 spring disposed in an operating space located at; a horizontal support plate on both sides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constituting the operation support member; A ceiling fixture is disposed at intervals front and rear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is fixed to the ceiling, and has a shock absorber connec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is once coupled to the ceiling fixture and is mount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shock absor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External support means consisting of a support plate fixture and a support ro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rod end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fixture; an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disposed at intervals on top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ar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gap maintenance fixtures hav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 lower buffer means consisting of a coupled cylinder, a spring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the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and a retainer cover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 frame support disposed at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formed in a right angle shape, and having a cushioning member made of rubber or silicon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그리고 상기 하부 완충 수단과 하부 완충 수단의 사이에 보조 완충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보조 완충수단은 상기 수평 지지판과 상부 수평 지지판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지지홈에 끝단이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지지 브라켓과 스프링을 감싸는 보호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And an auxiliary buffer means is mounted between the lower buffer means and the lower buffer means, and the auxiliary buffer means includes a support bracket each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having a support groove formed in a facing dir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spring whose end is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support bracket and a protective cover surrounding the support bracket and the spring.

다음으로, 상기 틀 지지구의 상부로 전후방이 관통되는 사각틀이 장착되고, 상기 내부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구와 사각틀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 완충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측면 완충수단은 사각틀과 수직 고정구에 동일선상에 장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와 상기 측면 고정구의 지지홈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측면 고정구의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배치되고 정면상 " "자 형상으로 내부에 측면 관통공이 형성되는 측면 간격 지지구 및 상기 측면 간격 지지구의 측면 관통공을 관통하고 양측 끝단이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a square frame penetrating front and rea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upport member, and a side buffer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fixtur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and the square frame at a vertical distance, and the side buffering means includes the square frame and the square frame. A side fixture mounted on the same line in a vertical fixture and having a support groove formed in an opposite direction, a support member mounted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side fixture, and formed and spac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side fixture, and viewed from the fro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ide spacing support member having a character-shaped sid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spring that penetrates the side through hole of the side spacing support member and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는 틀 지지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신설비를 내부 지지수단과 외부 지지수단을 통해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완충 수단을 통해 수직으로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orting communication equipment placed inside the frame support not only horizontally through the internal support means and external support means, but also vertically through the lower buffer means.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지지수단과 수평 지지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판과 외부 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 A "부분 확대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 B "부분 확대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를 구성하는 측면 완충수단을 나타낸 확대도면.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upport means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constituting the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y fixing r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external support means constituting the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y fixed r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ide buffering means constituting the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r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Addition is not ruled o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지지수단과 수평 지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판과 외부 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nal support means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that make up the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and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the external support means that make up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10)는 내부 지지수단(20), 수평 지지판(30), 외부 지지수단(40), 상부 수평 지지판(50), 하부 완충 수단(60), 틀 지지구(70)를 포함한다. The inventor's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y fixing rack device (10) includes an internal support means (20), a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 external support means (40), an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 lower buffer means (60), and a frame support ( 70).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은 천장(W)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are arrang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ceiling (W).

그리고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은 상부가 천장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22)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구(21)와 상기 수직 고정구(21)의 작동공간(22)에 " T "자 형상의 수직부(24)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24)의 끝단에는 수평 지지부(25)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 지지구(23) 및 상기 작동 지지구(23)를 구성하는 수직부(24)의 상부에 위치한 작동공간(22)에 배치되는 스프링(26)으로 구성된다. And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has a vertical fixture 21 whose upper part is fixed to the ceiling and an operating space 22 is formed inside, and a "T"-shaped shape in the operating space 22 of the vertical fixture 21. An operating support 23 in which a vertical part 24 is inserted and a horizontal support 25 formed in a right angl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art 24, and a vertical part 24 constituting the operating support 23 It consists of a spring 26 disposed in the operating space 22 located at the top of the.

즉,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은 수평 지지판(3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작동 지지구(23)가 수직 고정구(21)의 작동공간(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작동공간(22)에 배치되는 스프링(26)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That is,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moves vertically along the operating space 22 of the vertical fixture 21 in which the operating support 23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on both sides moves in the operating space ( Shock is absorbed through the spring 26 disposed in 22).

이때, 상기 작동 지지구(23)는 수직 고정구(21)에 장착되는 고정핀(미도시)을 통해 위치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operating support 23 can be fixed in position through a fixing pin (not shown) mounted on the vertical fixture 21.

상기 수평 지지판(30)은 상기 작동 지지구(23)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25)의 하부에 양측이 결합된다.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is coupled on both sides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5 constituting the operation support member 23.

즉, 상기 수평 지지판(3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위치하는 내부 지지수단(20)의 작동 지지구(23)와 외부 지지수단(40)의 지지판 고정구(44)와 결합되면서도 고정 및 지지를 받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and is fixed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operating support member 23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fixture 44 of the external support means 40. and support.

상기 외부 지지수단(40)은 내부 지지수단(20)의 외측에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external support means 4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at intervals front and rear.

즉, 상기 외부 지지수단(40)은 내부 지지수단(20)과 마찬가지로 수평 지지판(30)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판(30)을 고정 및 지지하면서도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That is, the external support means 4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like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and absorbs shock while fixing and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그리고 상기 외부 지지수단(40)은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의 외측에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천장에 고정되고 중앙으로 쇽업쇼버 연결부(42)가 형성되는 천장고정구(41)와 상기 천장고정구(41)에 일단 결합되고 쇽업쇼버(43)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 고정구(44) 및 일단이 상기 쇽업쇼버(43)의 로드(43a)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판 고정구(44)에 결합되는 지지로드(45)로 구성된다. And the external support means 40 is disposed at intervals front and rear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and includes a ceiling fixture 41 fixed to the ceiling and having a shock absorber connection portion 42 at the center, and the ceiling. A support plate fixture (44),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xture (41) and mount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d (43a) of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t consists of a support rod (45) coupled to a support plate fixture (44).

즉, 상기 외부 지지수단(40)은 천장(W)에 고정되는 천장고정구(41)에 쇽업쇼버(43)를 결합하고, 수평 지지판(30)의 하부에는 지지판 고정구(44)를 장착하며, 상기 쇽업쇼버(43)와 지지판 고정구(44)에는 지지로드(45)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판(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external support means (40) couples the shock absorber (43) to the ceiling fixture (41) fixed to the ceiling (W), and the support plate fixture (44)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 support rod 45 is coupled to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support plate fixture 44 to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상기 상부 수평 지지판(50)은 상기 수평 지지판(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is disposed at intervals on top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즉, 상기 상부 수평 지지판(50)은 수평 지지판(5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면서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 위치하는 틀 지지구(70) 및 건축물 통신설비를 지지하게 된다. That is,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upports the frame support 70 and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located at the top.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은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lower buffer means 60 ar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즉,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은 틀 지지구(70) 및 상부 수평 지지판(5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lower shock absorbing means 60 serves to cushion the impact transmitted through the frame support 7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은 상기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61)와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에 상하부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62)와 상기 실린더(62)의 양측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61)에 고정되는 스프링(63)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64)로 구성된다. For this purpose, the lower buffer means 60 is provided with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61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 A cylinder 62 whose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a spring 6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62 and whose ends are fix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 and a spring 63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t consists of a retainer cover (64).

즉,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은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사이에 배치된 후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실린더(62)와 한 쌍의 스프링(63)을 통해 완충하게 된다. That is, the lower buffer means 60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then cushions the shock transm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cylinder 62 and a pair of springs 63. I do it.

상기 틀 지지구(70)는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상부 양측 끝단에 배치된다. The frame supports 70 are disposed at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그리고 상기 틀 지지구(70)는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71)가 장착된다. Additionally, the frame support 70 is formed in a right-angled shape, and a cushioning member 71 made of rubber or silicon is mounted on its inner surface.

즉, 상기 틀 지지구(70)는 건축물 통신설비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rame support 70 is formed in a right-angled shape to enable easy installation and stable support of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다음으로, 상기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10)는 도시된 도 5 내지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y fixing rack device 1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5 to 8.

먼저, 도시된 도 5 및 6의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10)는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과 하부 완충 수단(60)의 사이에 보조 완충수단(11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rst,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10 shown in FIGS. 5 and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buffering means 110 is mounted between the lower buffering means 60 and the lower buffering means 60.

즉, 상기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10)는 하부 완충 수단(60)과 함께 보조 완충수단(110)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10 is capable of doubly buffering shock transm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lower buffer means 60 and the auxiliary buffer means 110.

이를 위해, 상기 보조 완충수단(110)은 상기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홈(112)이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111)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지지홈(112)에 끝단이 지지되는 스프링(113) 및 상기 지지 브라켓(111)과 스프링(113)을 감싸는 보호 커버(114)로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auxiliary shock absorbing means 110 includes a support bracket 111 that is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has a support groove 112 formed in an opposing direction. It consists of a spring 113 whose end is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112 of the support bracket, and a protective cover 114 surrounding the support bracket 111 and the spring 113.

즉, 상기 보조 완충수단(110)은 지지 브라켓(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13)을 통해 상기 수평 지지판(30) 및 상부 수평 지지판(5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auxiliary buffering means 110 relieve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through the spring 113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s 111.

다음으로 도시된 도 7 및 8의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10)는 상기 틀 지지구(70)의 상부로 전후방이 관통되는 사각틀(120)이 장착되고,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의 수직 고정구(21)와 사각틀(120)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 완충수단(13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Next, the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y fixing rack device 10 shown in FIGS. 7 and 8 is equipped with a square frame 120 penetrating front and rear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upport 70, and the vertical support means 20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ide buffer means 130 is mounted at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xture 21 and the square frame 120.

즉, 상기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10)는 틀 지지구(70)의 상부에 건축물 통신설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틀(120)을 형성하면서도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측면 완충수단(130)을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한 것이다. That is,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10 forms a square frame 120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upport 70 to stably support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while absorbing shock transmi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ide buffer means 130 are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를 위해, 상기 측면 완충수단(130)은 사각틀(120)과 수직 고정구(21)에 동일선상에 장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홈(132)이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131)와 상기 측면 고정구(131)의 지지홈(132)에 장착되는 지지부재(133)와 상기 지지부재(133)와 측면 고정구(131)의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배치되고 정면상 " "자 형상으로 내부에 측면 관통공(135)이 형성되는 측면 간격 지지구(134) 및 상기 측면 간격 지지구(134)의 측면 관통공(135)을 관통하고 양측 끝단이 지지부재(133)에 고정되는 스프링(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or this purpose, the side buffer means 130 is mounted on the same line as the square frame 120 and the vertical fixture 21, and the side fixture 131 and the side fixture 131 are formed with support grooves 132 in opposite directions. ) is formed and spac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3 mounted on the support groove 132 and the support member 133 and the side fixture 131, and is viewed from the front. A side gap support member 134 having a lateral through hole 135 formed inside the shape of a letter 134 passes through the side through hole 135 of the side gap support member 134, and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13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spring 136.

즉, 상기 측면 완충수단(130)은 측면 고정구(131)와 지지부재(133)에 고정되는 측면 간격 지지구(134)의 내부에 양측 끝단이 지지부재(133)에 고정되는 스프링(136)을 장착하여,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side buffer means 130 includes a spring 136,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33, inside the side gap supporter 134 fixed to the side fixture 131 and the support member 133. It is installed to absorb sh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천장의 양측으로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부가 천장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22)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구(21)와 상기 수직 고정구(21)의 작동공간(22)에 " T "자 형상의 수직부(24)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24)의 끝단에는 수평 지지부(25)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 지지구(23) 및 상기 작동 지지구(23)를 구성하는 수직부(24)의 상부에 위치한 작동공간(22)에 배치되는 스프링(26)으로 구성되는 내부 지지수단(20)을 장착한다. First, the vertical fixture 21 is plac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ceiling, the upper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operating space 22 is formed inside, and the operating space 22 of the vertical fixture 21 is " An operating support 23 in which a T "shaped vertical part 24 is inserted and a horizontal support 25 is formed in a right angl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art 24, and an operating support 23 that constitutes the operating support 23. An internal support means (20) consisting of a spring (26) disposed in the operating space (22)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ortion (24)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작동 지지구(23)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25)의 하부에 양측으로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수평 지지판(30)을 장착한다. And horizontal support plates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25 constituting the operation support 23.

다음으로,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의 외측에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천장에 고정되고 중앙으로 쇽업쇼버 연결부(42)가 형성되는 천장고정구(41)와 상기 천장고정구(41)에 일단 결합되고 쇽업쇼버(43)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 고정구(44) 및 일단이 상기 쇽업쇼버(43)의 로드(43a)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판 고정구(44)에 결합되는 지지로드(45)로 구성되는 외부 지지수단(40)을 장착한다. Next, a ceiling fixture 41 is fixed to the ceiling at distances front and rear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and has a shock absorber connection portion 42 in the center, and is once coupled to the ceiling fixture 41 and shock-up. A support plate fixture (44) mounted at intervals between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d (43a) of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fixture (44). An external support means (40) consisting of a rod (45)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판(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61)와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에 상하부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62)와 상기 실린더(62)의 양측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61)에 고정되는 스프링(63)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64)로 구성되는 하부 완충 수단(60)을 장착한다. And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61 and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61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t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 cylinder 62 whose upper and lower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a spring 6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62 and whose ends are fix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 and a rubber materia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 A lower buffer means 60 consisting of a holder cover 64 formed of is mounted.

다음으로,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의 상부로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상부 수평 지지판(50)을 장착한 후 상기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상부 양측 끝단에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71)가 장착되는 틀 지지구(70)를 포함한다. Next, an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uffer means 60, and then formed in a right angle shape at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with rubber on the inner surface. Alternatively, it includes a frame support member 70 on which a buffer member 71 made of silicon is mounted.

여기서, 상기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Here, it is revealed that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y fixing rack device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

이와 같이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는 내부 지지수단과 외부 지지수단 및 하부 완충 수단을 통해 안정적으로 틀 지지구에 위치하는 통신설비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ing rack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suppor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located in the frame support through the internal support means, external support means, and lower buffer means, as well as reduce shock.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
20 : 내부 지지수단 21 : 수직 고정구
22 : 작동공간 23 : 작동 지지구
24 : 수직부 25 : 수평 지지부
26 : 스프링
30 : 수평 지지판
40 : 외부 지지수단 41 : 천장고정구
42 : 쇽업쇼버 연결부 43 : 쇽업쇼버
43a : 로드 44 : 지지판 고정구
45 : 지지로드
50 : 상부 수평 지지판
60 : 하부 완충 수단 61 : 간격유지 고정구
62 : 실린더 63 : 스프링
64 : 유지구 커버
70 : 틀 지지구 71 : 완충부재
110 : 보조 완충수단 111 : 지지 브라켓
112 : 지지홈 113 : 스프링
114 : 보호 커버
120 : 사각틀
130 : 측면 완충수단 131 : 측면 고정구
132 : 지지홈 133 : 지지부재
134 : 측면 간격 지지구 135 : 측면 관통공
136 : 스프링
10: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ixed rack device
20: internal support means 21: vertical fixture
22: operating space 23: operating support area
24: vertical part 25: horizontal support part
26: spring
30: horizontal support plate
40: external support means 41: ceiling fixture
42: shock absorber connection 43: shock absorber
43a: Rod 44: Support plate fixture
45: support rod
50: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60: lower buffer means 61: gap maintenance fixture
62: cylinder 63: spring
64: Holder cover
70: frame support 71: buffer member
110: Auxiliary buffering means 111: Support bracket
112: support groove 113: spring
114: protective cover
120: square frame
130: side buffer means 131: side fixture
132: support groove 133: support member
134: side gap support 135: side through hole
136: spring

Claims (3)

천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건축물 통신설비를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부가 천장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22)이 형성되는 수직 고정구(21)와 상기 수직 고정구(21)의 작동공간(22)에 " T "자 형상의 수직부(24)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24)의 끝단에는 수평 지지부(25)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 지지구(23) 및 상기 작동 지지구(23)를 구성하는 수직부(24)의 상부에 위치한 작동공간(22)에 배치되는 스프링(26)으로 구성되는 내부 지지수단(20);
상기 작동 지지구(23)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25)의 하부에 양측이 결합되는 수평 지지판(30);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의 외측에 전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천장에 고정되고 중앙으로 쇽업쇼버 연결부(42)가 형성되는 천장고정구(41)와 상기 천장고정구(41)에 일단 결합되고 쇽업쇼버(43)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 고정구(44) 및 일단이 상기 쇽업쇼버(43)의 로드(43a)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판 고정구(44)에 결합되는 지지로드(45)로 구성되는 외부 지지수단(40);
상기 수평 지지판(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판(50);
상기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61)와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에 상하부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62)와 상기 실린더(62)의 양측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61)에 고정되는 스프링(63)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64)로 구성되는 하부 완충 수단(60);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상부 양측 끝단에 배치되고,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71)가 장착되는 틀 지지구(7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완충 수단(60)과 하부 완충 수단(60)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 지지판(30)과 상부 수평 지지판(50)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홈(112)이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111)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지지홈(112)에 끝단이 지지되는 스프링(113) 및 상기 지지 브라켓(111)과 스프링(113)을 감싸는 보호 커버(114)로 구성되는 보조 완충수단(110)이 장착되고,
상기 틀 지지구(70)의 상부로 전후방이 관통되는 사각틀(120)이 장착되고, 상기 내부 지지수단(20)의 수직 고정구(21)와 사각틀(120)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 완충수단(130)이 장착되되,
상기 측면 완충수단(130)은 사각틀(120)과 수직 고정구(21)에 동일선상에 장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홈(132)이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131)와 상기 측면 고정구(131)의 지지홈(132)에 장착되는 지지부재(133)와 상기 지지부재(133)와 측면 고정구(131)의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배치되고 정면상 "
Figure 112023088125632-pat00003
"자 형상으로 내부에 측면 관통공(135)이 형성되는 측면 간격 지지구(134) 및 상기 측면 간격 지지구(134)의 측면 관통공(135)을 관통하고 양측 끝단이 지지부재(133)에 고정되는 스프링(13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
In the structure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ceiling to fix building communication equipment,
A vertical fixture 21 is dispos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the upper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ceiling and an operating space 22 is formed inside, and a "T" shaped vertical fixture is formed in the operating space 22 of the vertical fixture 21. An operating support 23 in which the part 24 is inserted and a horizontal support 25 is formed in a right angl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art 24, and the vertical part 24 constituting the operating support 23 Internal support means (20) consisting of a spring (26) disposed in the operating space (22) located at the top;
A horizontal support plate (30) coupled on both sides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5) constituting the operation support member (23);
A ceiling fixture 41 is disposed at intervals front and rear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is fixed to the ceiling, and has a shock absorber connection portion 42 in the center, and is once coupled to the ceiling fixture 41 and shocks the ceiling fixture 41. A support plate fixture (44) mounted at intervals between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d (43a) of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fixture (44). External support means (40) consisting of a rod (45);
an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disposed at intervals above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 pair of gaps is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i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 cylinder 62 whose upper and lower ends are coupled to the holding fixture 61 and the space maintaining fixture 61, and a spring 6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62 and whose ends are fixed to the space maintaining fixture 61, and A lower buffer means (60) consisting of a retainer cover (64) made of rubber and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 and
A frame support 70 is disposed at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is formed in a right angle shape, and has a cushioning member 71 made of rubber or silicon on its inner surface.
Between the lower buffer means 60 and the lower buffer means 60, support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ame line as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0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have support grooves 112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uxiliary buffer means 110 consisting of a bracket 111, a spring 113 whose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 112 of the support bracket, and a protective cover 114 surrounding the support bracket 111 and the spring 113. ) is installed,
A square frame 120 penetrating front and rea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upport 70, and a space is left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fixture 21 of the internal support means 20 and the square frame 120. A buffer means 130 is installed,
The side buffer means 130 is mounted on the same line as the square frame 120 and the vertical fixture 21, and supports the side fixture 131 and the side fixture 131 with support grooves 132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 support member 133 mounted in the groove 132 is formed and spac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3 and the side fixture 131 and is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112023088125632-pat00003
A side gap support member 134 having a lateral through hole 135 formed inside the shape of a letter 134 passes through the side through hole 135 of the side gap support member 134, and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133. A fixed rack device for building communication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ed spring (136).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45121A 2022-11-03 2022-11-03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KR102594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121A KR102594767B1 (en) 2022-11-03 2022-11-03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121A KR102594767B1 (en) 2022-11-03 2022-11-03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767B1 true KR102594767B1 (en) 2023-10-30

Family

ID=8855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121A KR102594767B1 (en) 2022-11-03 2022-11-03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6B1 (en) * 2012-09-20 2013-11-20 김병길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member for cable tray support member
KR101784922B1 (en) 2017-07-17 2017-10-12 아인텍(주) Earthquake-resistatnt type of hanger apparatus for cable tray and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KR102121200B1 (en) * 2019-12-26 2020-06-26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Fire prevention structure of building cable duct
KR20210080849A (en) * 2019-12-23 2021-07-01 (주)세우엔지니어링 Telecommunication cable trail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6B1 (en) * 2012-09-20 2013-11-20 김병길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member for cable tray support member
KR101784922B1 (en) 2017-07-17 2017-10-12 아인텍(주) Earthquake-resistatnt type of hanger apparatus for cable tray and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KR20210080849A (en) * 2019-12-23 2021-07-01 (주)세우엔지니어링 Telecommunication cable trail connection structure
KR102121200B1 (en) * 2019-12-26 2020-06-26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Fire prevention structure of building cable 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543B1 (en)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KR101806505B1 (en) Earthquake-proof support
KR101946382B1 (en) Inverter Case with Seismic Function
KR101936905B1 (en) Insulator having shock-absorb function
KR101510214B1 (en) Seismic Resistant Support Frame of Equipment Equipped with Isolation Properties and Vertical Vibration Reduction Device
KR101960160B1 (en) Vibration isolation viscoelastic module for earthquake reduction
KR102056859B1 (en) A wire mount assembly for shock absorbing
KR101419308B1 (en) Access floor module equipped with three-dimensional seismic isolation device
KR101787336B1 (en) A Panel Board with seismic isolation and Vibration simultaneously
KR102005763B1 (en) Seismic device for incoming/distribution board of V - plate spring type
KR101349616B1 (en) Earthquake-proofing switchboard
KR101888094B1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ing Apparatus
KR20140091980A (en) Three-dimensional earthquake isolation module and apparatus for earthquake isolation having the same
KR102232239B1 (en) Connector for cable tray having improved earthquake resistance ability
KR200480952Y1 (en) 3dimension-seismic isolator with vibration reduction module function
KR102594767B1 (en) Rack structur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building
KR102459130B1 (en) Seismic device of cable tray
KR102001860B1 (en)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with isolation structure
KR101945278B1 (en) Insulator
KR101854412B1 (en) Three-dimensional isolation device using vibroisolating rubber
WO2022041463A1 (en) Vertical seismic isolation system
KR101742051B1 (en)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KR101749589B1 (en) Distribution board with earthquake-proof device
KR102056861B1 (en) Vibration proof plate assembly for shock absorbing
KR101757704B1 (en)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