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99B1 -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99B1
KR102594099B1 KR1020180078051A KR20180078051A KR102594099B1 KR 102594099 B1 KR102594099 B1 KR 102594099B1 KR 1020180078051 A KR1020180078051 A KR 1020180078051A KR 20180078051 A KR20180078051 A KR 20180078051A KR 102594099 B1 KR102594099 B1 KR 10259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ersonal information
area
product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979A (ko
Inventor
김기현
김하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99B1/ko
Priority to US16/410,834 priority patent/US10832461B2/en
Publication of KR2020000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55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morphologi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5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facial parts and geometric relation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미지구분모듈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를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는 단계와,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웹 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method for editing uploaded images and a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이미지 편집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해당 이미지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많은 쇼핑몰 웹 사이트가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쇼핑몰 웹 사이트는 후기를 남기는 고객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다. 더욱이, 실제 고객이 상품을 착용한 사진을 업로드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하지만, 업로드된 사진들은 개인 정보, 특히, 고객의 얼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사진들이 무단으로 도용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개인 정보의 보호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721063 호, 2017년 03월 23일 공개 (명칭: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개인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해당 이미지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은 이미지구분모듈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를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는 단계와,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웹 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개인정보 영역 전체가 마스킹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 전체에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지 않는 영역이 마스킹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품 영역 및 상기 상품 영역에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상기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에 대한 형태 분석을 통해 이미지로부터 선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검출된 선 성분으로부터 복수의 폐곡선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특정된 복수의 폐곡선으로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품 영역 및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장치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이미지를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는 이미지구분모듈과,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웹 페이지에 게시하는 이미지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개인정보 영역 전체가 마스킹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은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이미지 전체에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지 않는 영역이 마스킹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이미지 전체에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품 영역 및 상기 상품 영역에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은 상기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형태 분석을 통해 이미지로부터 선 성분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선 성분으로부터 복수의 폐곡선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복수의 폐곡선으로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상품 영역 및 상기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에 대한 후기를 위해 사용자가 상품을 실제 착용한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 상품의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개인 정보를 마스킹하거나, 보이지 않도록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한 후, 해당 이미지를 게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 없이 촬영된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편집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장치(20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장치(200)는 네트워크(NW)을 통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NW)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네트워크(NW)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NW)는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네트워크,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W)을 통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장치(2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시스템을 구성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엔티티로, 웹 서버(web server),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몰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서버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 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상품에 대한 설명과 해당 페이지에 구매한 고객의 후기를 남기를 수 있는 게시판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패블릿 PC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기는 노트북, 퍼스널컴퓨터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예컨대, 상품에 대한 실제 사용한 경험을 남기는 게시판에 게시하기 위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사용자장치(200)는 이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이미지는 상품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품 영역과 개인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얼굴을 나타내는 개인 정보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이미지를 편집한다. 그리고 편집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에 게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이미지의 상품 후기를 위한 목적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 모두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모듈(110), 저장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장치(200)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면 사용자장치(200)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10)은 제어모듈(130)로부터 사용자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는 상품 판매를 위한 웹 페이지 및 게시판을 구성하는 스크립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사용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장치(200)가 촬영한 이미지 및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저장모듈(12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모듈(120)은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이미지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저장모듈(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일례로, 쇼핑 몰 사이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 게시판 운영에 필요한 각 종 스크립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 텍스트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게시판이 구성될 수 있다. 저장모듈(12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30)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130)은 이미지구분모듈(131) 및 이미지처리모듈(133)을 포함한다.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업로드된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을 상품 영역 및 개인정보 영역으로 분류한다. 또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상품 영역과 개인정보 영역 간의 간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미지처리모듈(133)은 상품 영역과 개인정보 영역의 관계에 따라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이미지를 편집한다. 이러한 이미지구분모듈(131) 및 이미지처리모듈(133)을 포함하는 제어모듈(130)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카메라부(220), 입력부(230), 표시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비롯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하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WCDMA, LTE, LTE-A 등의 표준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광대역이동통신 방식,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방식에 따라 접속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근거리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6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 예컨대, 게시판에 업로드하기 위한 이미지, 텍스트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예컨대,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입력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CCD(Charged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입력부(23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장치(2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4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23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표시부(24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2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240)는 사용자장치(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표시부(240)는 제어부(260)에 의해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사용자장치(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240)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제어부(260)는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사용자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장치(2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장치(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250)는 사용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장치(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60)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 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고객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상품을 착용한 이미지를 촬영하고, 후기로 업로드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의 촬영 요청에 따라 사용자장치(200) 제어부(260)는 입력부(230) 또는 표시부(240)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을 감지하고, S110 단계에서 카메라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상품을 착용한 모습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입력을 통해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입력부(230) 또는 표시부(24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S120 단계에서 앞서 촬영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60)는 S130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이미지 및 텍스트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업로드한다. 이때,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또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통신모듈(110)을 통해 게시글을 수신하면, S140 단계에서 게시글에 포함된 이미지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이미지를 편집한다. 그런 다음, 제어모듈(130)은 S150 단계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웹 페이지에 게시한다. 즉, 제어모듈(130)은 텍스트와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모듈(120)에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 및 이미지의 링크를 생성한 후, 웹 페이지를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웹 페이지에 이미지를 게시하기 전,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편집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면, S140 단계의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모듈(130)의 이미지구분모듈(131)은 S210 단계에서 통신모듈(110)을 통해 게시글에 포함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이미지구분모듈(131)은 S220 단계에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이미지에 대한 형태 분석(morphology analysis)을 통해 이미지로부터 선 성분을 검출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예컨대, 도 6의 (가)와 같은 이미지에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이미지구분모듈(131)은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의 모든 픽셀에 대해 소정 크기(예컨대, 3*3, 5*5, 9*9)의 소벨(Sobel) 마스크를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하여 에지 그레디언트 벡터(edge gradient vector)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한다. 이어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소정 크기의 윈도우를 사용하여 그레디언트 벡터 방향에서 그레디언트 벡터의 크기가 최대값인 픽셀만 남기고 나머지 픽셀은 0으로 결정하여 1차로 선 성분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히스테리시스 임계값(hysteresis thresholding) 방식을 사용 그레디언트 벡터의 크기가 제1 임계값 보다 큰 제2 임계값을 사용하여 그레디언트 방향에서 제1 임계값이 나올 때까지 각 픽셀 단위로 추적하여 1차로 선택된 선 성분들을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선 성분을 검출한다. 이로써, 이미지구분모듈(131)은 도 6의 (나)와 같이 도 6의 (가)와 같은 이미지로부터 선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미지구분모듈(131) S230 단계에서 검출된 선 성분으로부터 복수의 폐곡선을 특정한 후, S240 단계에서 복수의 폐곡선으로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예컨대, 도 5의 (나)와 같이, 복수의 폐곡선을 통해 도 5의 (다)와 같이,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 a, b, c, d, e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미지구분모듈(131)은 S250 단계에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품 영역 및 개인정보 영역을 구분하여 도출한다. 이때, 이미지와 함께 업로드되는 텍스트는 상품에 대한 평가를 기재한다. 그리고 해당 이미지는 해당 상품에 대한 게시판에 업로드된다. 따라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이미지와 함께 업로드된 텍스트를 통해 상품의 종류를 인식하거나, 해당 이미지가 업로드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품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인식된 상품의 종류에 대한 이미지 인식 기술을 통해 구분된 영역에 해당 상품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영역을 상품 영역으로 인식한다. 또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개인정보 영역은 이미지 인식 기술 중 얼굴 인식 기술을 통해 구분된 영역에 얼굴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영역을 개인정보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다)에서 상품의 종류가 여성 상의라면, 영역 d가 상품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다)에서 상품의 종류가 청바지라면, 영역 d가 상품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영역 a, b, c는 모두 개인정보 영역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S250 단계의 결과에 따라 이미지구분모듈(131)은 S260 단계에서 이미지의 복수의 영역 중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S260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이미지에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S32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S260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이미지에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면, S270 단계 내지 S310 단계를 진행한다. 이러한 S270 단계 내지 S31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영역과 개인정보 영역의 관계에 따라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이미지를 편집한다.
S270 단계에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5의 (다)를 참조하면, 일례로, 상품의 종류가 여성 상의라면, 영역 d가 상품 영역이 되며,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a, b, c 중 영역 a 및 c가 상품 영역인 영역 d와 인접해 있다. 만약,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a 및 c에 대한 이미지 처리(예컨대, 마스킹)를 수행하는 경우, 영역 a 및 c에 대한 이미지 처리로 인한 영향으로 상품 영역인 영역 d의 경계 부분은 훼손될 수 있다. 하지만, 상품의 종류가 청바지라면, 영역 e가 상품 영역이 되며,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a, b, c 중 어떤 영역도 상품 영역인 영역 e와 인접해 있지 않기 때문에 영역 a, b 및 c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영역 e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상품 영역과 개인정보 영역이 서로 인접하거나, 겹쳐지는 경우, 간섭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S270 단계에서 상품 영역에 서로 인접하거나, 겹쳐지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S270 단계의 판단 결과, 상품 영역에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S29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S270 단계의 판단 결과, 상품 영역에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면, S280 단계로 진행한다.
S280 단계에서 이미지구분모듈(131)은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이러한 수치는 50%이상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경우,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50%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도 6 및 도 7과 같은 경우,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이 된다.
S280 단계이 판단 결과,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미만이면, S30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S280 단계이 판단 결과,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이면, S310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S260 단계 내지 S280 단계에서 이미지구분모듈(131)이 구분한 바에 따른 이미지의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290 단계에서, 이미지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며, 개인정보 영역과 상품 영역이 간섭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미지처리모듈(133)은 S290 단계에서 개인 정보 영역 전체를 개인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편집한다. 바람직하게, 이미지처리모듈(133)은 개인정보 영역 전체를 마스킹한다. 예컨대, 도 5의 (라)를 참조하면, 상품의 종류가 청바지인 경우, 영역 e가 상품 영역이고,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a, b, c는 모두 영역 e를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지처리모듈(133)은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a, b, c를 모두 마스킹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킹은 스크램블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이미지는 간섭하는 영역이 존재하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수치 미만인 상태이다. 따라서 이미지처리모듈(133)은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개인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이미지를 편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처리모듈(133)은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 일부 영역만을 마스킹한다. 바람직하게, 이미지처리모듈(133)은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 중 상품 영역에 간섭 되지 않는 개인정보 영역만을 마스킹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의 (마)를 참조하면, 상품의 종류가 여성 상의인 경우, 상품 영역은 영역 d이고,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a, b, c 중 영역 a는 영역 d의 어깨 부분을 간섭하며, 영역 c는 영역 d의 옷깃(collar) 부분을 간섭한다. 하지만,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b는 상품 영역인 영역 d를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지처리모듈(133)은 영역 a 및 영역 c는 마스킹하지 않고, 영역 b만을 마스킹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 개인정보 영역의 일부만을 마스킹하여 상품 영역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이미지는 간섭하는 영역이 존재하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 상태이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와 같은 이미지로부터 도출된 폐곡선의 폐곡선을 도출하면, 도 7의 (B)와 같이, ① 내지 ⑩과 같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 7의 (C)와 같이, ① 및 ②는 상품 영역, 그리고, ④ 내지 ⑩은 개인정보 영역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경우,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영역인 영역 ① 및 ②는 개인정보 영역 중 영역 ③ 및 ④에 의해 간섭 된다. 이에 따라, S300 단계와 마찬가지로, 상품 영역에 간섭 되지 않는 개인정보 영역, 즉, ⑤ 내지 ⑩을 마스킹 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가 도 7의 (D)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영역 중 간섭 되지 않은 영역인 영역 ⑤ 내지 ⑩, 눈과 눈썹, 코, 입, 머리를 마스킹하였지만, 개인정보 보호가 완벽하지 않다. 즉, 지인이 해당 사진을 보는 경우,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정보 영역이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 경우, 개인정보 영역 중 일부를 마스킹하는 경우에도 개인정보가 보호되지 않는다.
따라서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면서, 전체 이미지에서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이면, 이미지처리모듈(133)은 S310 단계에서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개인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이미지의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일례로, 도 8의 (E)와 같이, 상품 영역인 영역 ① 및 ②와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인 영역 ③ 및 ④의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다. 새로 생성된 이미지가 도 8의 (F)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개인정보 또한 보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미지처리모듈(133)은 S320 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S290, S300 또는 S310 단계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게시글과 함께 해당 페이지의 게시판에 게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게시글에 포함된 이미지의 상품 영역과 개인정보 영역의 관계에 따라 이미지를 편집하여 게시함으로써, 상품의 종류에 따라 실제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상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개인 정보 또한 보호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업로드된 이미지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인이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없도록 편집하여 웹 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모듈
120: 저장모듈 130: 제어모듈
131: 이미지구분모듈 133: 이미지처리모듈
200: 사용자장치 210: 통신부
220: 카메라부 230: 입력부
240: 표시부 250: 저장부
260: 제어부

Claims (10)

  1. 이미지구분모듈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를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는 단계;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웹 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 전체에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상품 영역 및 상기 상품 영역에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기초로 새로운 이미지를 상기 편집된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개인정보 영역 전체가 마스킹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지 않는 영역이 마스킹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이미지에 대한 형태 분석을 통해 이미지로부터 선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검출된 선 성분으로부터 복수의 폐곡선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특정된 복수의 폐곡선으로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이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품 영역 및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6. 사용자장치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이미지를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품 영역과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으로 구분하는 이미지구분모듈; 및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를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웹 페이지에 게시하는 이미지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은, 상기 복수의 개인정보 영역 중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품 영역과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이미지 전체에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이미지처리모듈은, 상기 이미지구분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개인정보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상품 영역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 정보가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상품 영역 및 상기 상품 영역에 간섭 되는 개인정보 영역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기초로 새로운 이미지를 상기 편집된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8051A 2018-07-05 2018-07-05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9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51A KR102594099B1 (ko) 2018-07-05 2018-07-05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6/410,834 US10832461B2 (en) 2018-07-05 2019-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upload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51A KR102594099B1 (ko) 2018-07-05 2018-07-05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79A KR20200004979A (ko) 2020-01-15
KR102594099B1 true KR102594099B1 (ko) 2023-10-27

Family

ID=6910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51A KR102594099B1 (ko) 2018-07-05 2018-07-05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32461B2 (ko)
KR (1) KR102594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597A (ko)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상-액상 하이브리드 전해질 막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방법 및 고상-액상 하이브리드 전해질 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5573A1 (en) * 2006-07-28 2008-01-31 Noriyuki Nishi Photograph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30162817A1 (en) * 2011-12-23 2013-06-27 Xerox Corporation Obscu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image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330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얼굴 은폐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AU2008362229A1 (en) * 2008-09-25 2010-04-01 Tele Atlas B.V.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blurring an image
US9298931B2 (en) * 2012-08-15 2016-03-2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gital media privacy protection
KR20140025712A (ko) *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제품 이미지 제공방법
KR20160087091A (ko) * 2015-01-13 2016-07-21 안성국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KR101721063B1 (ko) 2016-12-02 2017-03-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개인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5573A1 (en) * 2006-07-28 2008-01-31 Noriyuki Nishi Photograph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30162817A1 (en) * 2011-12-23 2013-06-27 Xerox Corporation Obscu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image of a vehic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blo, et al., Contour Detection andHierarchical Image Segm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33, Issue 5(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79A (ko) 2020-01-15
US20200013207A1 (en) 2020-01-09
US10832461B2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951B2 (en) Multi-device object tracking and localization
CN109740516A (zh) 一种用户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296617B (zh) 人脸图像的处理方法及装置
US2012032119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clustering
CN10876405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416703B2 (en) Network optimization method and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3762899B1 (en) Object segmentation in a sequence of color image frames based on adaptive foreground mask upsampling
CN109002787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7341006A (zh) 锁屏壁纸推荐方法及相关产品
CN107392832A (zh) 图像处理方法及相关产品
KR101179276B1 (ko) 비정상 집단 행동 탐지 방법 및 장치
TW202121249A (zh) 行人事件的檢測方法及檢測裝置、電子設備和電腦可讀儲存媒體
CN108234879A (zh) 一种获取滑动变焦视频的方法和装置
CN108038431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169687A1 (en) Model training method, scene recogni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921432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12181564A (zh) 生成壁纸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594099B1 (ko) 업로드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60153B2 (en) Automatic identity detection
KR20200026373A (ko) 검색 히스토리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488168A (zh) 电子终端中采集的画面的角度切换方法及装置
CN114092366A (zh)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980629B1 (ko) 동영상 자동 실행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7194363B (zh) 图像饱和度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09513205A (zh) 一种用户情绪呈现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