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27B1 -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27B1
KR102593527B1 KR1020200104103A KR20200104103A KR102593527B1 KR 102593527 B1 KR102593527 B1 KR 102593527B1 KR 1020200104103 A KR1020200104103 A KR 1020200104103A KR 20200104103 A KR20200104103 A KR 20200104103A KR 102593527 B1 KR102593527 B1 KR 10259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lylactic acid
smoking article
less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943A (ko
Inventor
안기진
김종열
박창진
양진철
황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0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46Making paper tubes f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24C5/007Perf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85Forming the rod for cigarettes with an axial air 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8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 A24D3/10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3Polyethers;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02Metal coatings
    • D21H19/06Metal coatings applied as liquid or powd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8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46Pouring or allowing the fluid to flow in a continuous stream on to the surface, the entire stream being carried away by the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PAPER TUBE FOR SMOK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소식 또는 가열식 흡연 물품에서 발생된 담배 주류연이나 에어로졸은 비교적 고온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담배 주류연 또는 에어로졸을 그대로 흡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흡연 물품에서 고온의 담배 주류연 또는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 세그먼트가 배치되는 기술이 적용된 예가 있다.
KR 10-1978974 B1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측면에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원통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 형태의 관을 커팅하여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시트;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 2 시트; 및 외부에 배치되는 제 3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는 서로 접하고,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는 서로 접하며,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흡연 물품용 지관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담배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부분;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제 3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요소는 제 2 측면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인, 흡연 물품을 제공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추될 수 있는 사항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은, 지관의 내측면에 폴리락트산이 코팅되어 담배 주류연 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냉각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흡연 물품은 우수한 냉각 효과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끽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은, 폴리락트산을 지관의 속지의 일 면에 도포하는 공정에 의하므로 비교적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구성으로부터 유추가능한 효과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a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을 도포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원통 형태의 관이 형성된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원통 형태의 관을 커팅하여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예시에 따른 가열식 흡연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시에 따른 연소식 흡연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폴리락트산을 적용한 지관 및 일반 지관의 냉각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두께에 따른 냉각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 물품"은 흡연을 하는데 이용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은 점화되어 연소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일반 연소식 궐련일 수 있고, 또는 흡연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하여 가열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가열식 궐련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담배 요소"는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담배 물질"은 담배 잎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냉각 요소"는 어떤 물질을 냉각시키는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냉각 요소는 담배 요소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킬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필터 요소"는 여과 소재를 포함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필터 요소는 복수의 섬유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 물품의 길이 방향"은 흡연 물품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 또는 흡연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S110),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을 도포하는 단계(S120),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원통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단계(S130), 및 원통 형태의 관을 커팅하여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을 형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S110)에서,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는 모두 종이(paper)일 수 있다.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는 모두 동일한 종이 소재일 수 있으며, 또는 서로 상이한 종이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는 SBP60 소재, 제 2 시트는 Stiff 다공지 소재, 및 제 3 시트는 SBP140 소재일 수 있다. 제 2 시트로서 SBP-stiff 다공지 소재를 활용하는 경우, 흡연 후반부 (제 8 퍼프시 또는 제 9 퍼프시)에 이르러서 지관의 냉각 효과가 비교적 우수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전술한 바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는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에 활용되는 공지된 종이 소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제 1 시트는 약 180 μm 이하의 두께를 갖고, 제 2 시트는 약 10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제 3 시트는 약 10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제 1 시트는 약 170 μm의 두께를 갖고, 제 2 시트는 약 78 μm의 두께를 가지며, 제 3 시트는 약 78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제 1 시트는 약 150 g/m2 이하의 평량을 가지고, 제 2 시트는 약 65 g/m2 이하의 평량을 가지며, 제 3 시트는 65 g/m2 이하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제 1 시트는 약 135 g/m2 의 평량을 가지고, 제 2 시트는 약 60 g/m2 의 평량을 가지며, 제 3 시트는 약 60 g/m2 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의 두께 및 평량이 조절됨으로써, 흡연 물품의 전체 무게 및 경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는 본 개시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의 속지로서 배치되고, 제 2 시트는 중간지로서 배치되며, 제 3 시트는 외지로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을 도포하는 단계(S120)에서, 제 1 시트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속지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에서 폴리락트산이 도포된 일 면은 지관의 내측면일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 1 시트는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시트의 상부에는 T-다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T-다이 장치는 용융된 액체 상태의 폴리락트산을 제 1 시트를 향하여 떨어뜨릴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제 1 시트에 떨어진 상태로 굳어질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이하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원통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단계(S130)에서,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는 먼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에서부터 제 3 시트, 제 2 시트, 및 제 1 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및 제 2 시트와 제 3 시트는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부터 제 3 시트, 제 2 시트, 및 제 1 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3중 시트가 원통 형태의 관으로 말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시트는 원통 형태의 관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을 형성하는 단계(S140)에서, 전술한 원통 형태의 관은 커팅될 수 있다. 원통 형태의 관이 커팅됨으로써, 복수 개의 지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S110, S120, S130, S14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에 대하여, 도 1에서 전술한 내용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시트(210), 제 2 시트(220), 및 제 3 시트(230)를 준비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시트(210), 제 2 시트(220), 및 제 3 시트(230)로서 두께와 평량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종이 소재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210)는 본 개시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흡연 물품용 지관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준비 단계에서 제 3 시트(230) 및 제 2 시트(220)보다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b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시트(310)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311)을 도포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시트(310)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311)을 도포하는 단계는 T-다이 장치(T)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T-다이 장치(T)는 전체적으로 거꾸로된 T자 형태를 가지며, 중앙 통로를 통하여 용융된 폴리락트산(311)을 하부로 떨어뜨릴 수 있다.
폴리락트산(311)은 T-다이 장치(T)에 저장되기 이전에 가열을 통하여 용융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폴리락트산(311)은 약 200℃의 온도로 가열되어 T-다이 장치(T)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일차적으로 가열 처리된 폴리락트산(311)은 제 1 시트(310)의 일 면에 도포된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다만, 폴리락트산(311)은 고분자 물질이기 때문에, 2차로 가열 처리되는 경우 과도하게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시트(310)에 도포된 폴리락트산(311)을 건조시키는 경우, 약 60℃ 내지 약 90℃의 비교적 낮은 온도 범위에서 건조시킬 필요성이 있다.
도 2c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시트(410), 제 2 시트(420), 및 제 3 시트(430)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원통 형태의 관(400)이 형성된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원통 형태의 관(400)에서 제 1 시트(410)는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 2 시트(420)는 중심부에 배치되며, 제 3 시트(430)는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원통 형태의 관(400)에서 최내측면에는 제 1 시트(410)의 일 면에 코팅된 폴리락트산(4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시트(410), 제 2 시트(420), 및 제 3 시트(430)이 연장되는 길이에 따라서, 원통 형태의 관(400)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d는 원통 형태의 관(500)을 커팅하여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510, 520, 530)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원통 형태의 관(500)은 절단 장치에 의하여 커팅되어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510, 520, 530)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락트산(미도시)이 약 60℃ 내지 약 90℃의 비교적 낮은 온도 범위에서 건조되는 경우, 폴리락트산이 과도하게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절단 장치에 의하여 커팅이 더욱 잘 일어날 수 있다. 폴리락트산이 과도하게 경화되는 경우에는, 절단 장치의 커팅 날이 파손될 수 있으며, 코팅된 폴리락트산이 원지와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대하여,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내용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연 물품용 지관(600)은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시트(610),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 2 시트(620), 및 외부에 배치되는 제 3 시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610), 제 2 시트(620), 및 제 3 시트(630)는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610) 및 제 2 시트(620)는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접할 수 있고, 제 2 시트(620) 및 제 3 시트(630) 또한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610) 및 제 2 시트(620)는 서로 접하고, 제 2 시트(620) 및 제 3 시트(630)는 서로 접하며,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를 가지고, 제 1 시트(610)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611)이 코팅될 수 있다.
흡연 물품용 지관(600)은 에어로졸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은 흡연 물품용 지관(600)의 통로를 통과함에 따라서 자연스레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연 물품용 지관(600)은 내측면에 폴리락트산(611)이 코팅됨으로써 유동하는 에어로졸이 폴리락트산(611)에 의해 더욱 냉각될 수 있다.
폴리락트산(611)은 제 1 시트(610)의 일 면에 약 100 μm 이하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락트산(611)은 제 1 시트(610)의 일 면에 약 0.1 μm 이상 약 60 μm 이하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폴리락트산(611)이 너무 두껍게 코팅되는 경우 지관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지관의 전체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증대될 수 있으며, 균일한 두께로 코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폴리락트산(611)이 너무 얇게 코팅되는 경우 냉각 효과가 저조할 수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611)이 적절한 두께의 수치 범위로 코팅됨으로써, 냉각된 에어로졸에 의한 결로가 흡연 물품용 지관(600)의 통로에 발생되더라도 종이가 눅눅해지는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시에 따른 가열식 흡연 물품(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연 물품(700)은 제 1 부분(710), 제 2 부분(720), 및 제 3 부분(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720) 및 제 3 부분(730)은 각각 냉각 요소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720)에 대하여 도 1에 전술한 내용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 부분(710)은 2개의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부분(710)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711) 및 니코틴 발생 기재(71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711)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함침된 권축된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발생 기재(713)는, 예를 들어, 담배 각초, 담배 입자(particle), 담배 시트(sheet), 담배 비즈(beads), 담배 과립(granul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니코틴 발생 기재(713)는 담배 추출물이 함침된 권축된 종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니코틴 발생 기재(713)가 가열되는 경우, 니코틴 발생 기재(713)로부터 니코틴이 발생되어 제 2 부분(720) 및 제 3 부분(730)으로 니코틴이 이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시에 따른 연소식 흡연 물품(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흡연 물품(800)은 담배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부분(810),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부분(820),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제 3 부분(8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810), 제 2 부분(820), 및 제 3 부분(830)은 흡연 물품(8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흡연 물품(800)의 길이 방향은 흡연 물품(800)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800)의 길이 방향은, 제 1 부분(810)에서 제 3 부분(83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부분(810)은 담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요소는 특정 형태의 담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요소는 담배 각초, 담배 입자(particle), 담배 시트(sheet), 담배 비즈(beads), 담배 과립(granule), 또는 담배 추출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잎, 담배 옆맥, 팽화 담배, 절단된 각초, 판상엽 각초, 및 재구성 담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냉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요소는, 흡연 물품(800)의 외부로부터 제 1 부분(810)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요소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태의 지관일 수 있다. 또한, 냉각 요소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냉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요소는 폴리락트산(PLA)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냉각 요소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요소는 도 3에 나타낸 흡연 물품용 지관일 수 있다. 흡연 물품용 지관의 내측면에 폴리락트산이 코팅됨으로써, 제 1 부분(810)이 점화됨으로써 발생된 담배 주류연 또는 에어로졸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제 3 부분(830)은,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요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필터 요소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요소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요소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요소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 3 부분(830)은,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3 부분(83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제 3 부분(83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제 3 부분(830)은 적어도 하나의 캡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흡연 물품(8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8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800)은 제 1 부분(810)을 둘러싸는 제 1 래퍼, 제 2 부분(820)을 둘러싸는 제 2 래퍼, 제 3 부분(830)을 둘러싸는 제 3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물품(800)은 제 1 부분(810), 제 2 부분(820), 및 제 3 부분(830) 전체를 둘러싸는 제 4 래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흡연 물품(800)은 제 2 부분(820) 및 제 3 부분(830)을 둘러싸는 제 5 래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5 래퍼는 일반적으로 팁 페이퍼(tip pap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 내지 제 5 래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생분해성 권지일 수 있다. 생분해성 권지가 사용되는 경우, 흡연 물품(800)은 미생물에 의해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경 오염이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폴리락트산을 적용한 지관 및 일반 지관의 냉각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의 경우, 제 1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81.5℃, 제 2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77.1℃, 제 3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71.2℃, 제 4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9.2℃, 제 5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7.5℃, 제 6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4.6℃, 제 7 퍼프시 62.2℃, 제 8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0.7℃, 제 9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0.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본 개시에 따른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의 경우, 제 1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80.7℃, 제 2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74.1℃, 제 3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6.2℃, 제 4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4.2℃, 제 5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2.7℃, 제 6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60.4℃, 제 7 퍼프시 58.2℃, 제 8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57.9℃, 제 9 퍼프시 에어로졸의 온도가 56.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의 경우, 일반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에 비해 최대 5℃정도 더 냉각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7은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두께에 따른 냉각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리락트산이 40 μm 두께로 코팅된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의 경우, 폴리락트산이 28 μm 두께로 코팅된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의 경우보다 대체적으로 냉각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폴리락트산이 28 μm 두께로 코팅된 지관을 적용한 흡연 물품의 경우에도, 지관의 중간지로서 Stiff 다공지 소재를 활용하는 경우, 흡연 전반부 및 중반부에서 냉각 효과가 어느 정도 우수했으며, 흡연 후반부인 제 7 퍼프부터 제 9 퍼프까지의 냉각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제 1 시트 220: 제 2 시트
230: 제 3 시트 T: T-다이 장치
310: 제 1 시트 311: 폴리락트산(PLA)
400: 원통 형태의 관 410: 제 1 시트
411: 폴리락트산 420: 제 2 시트
430: 제 3 시트 500: 원통 형태의 관
510, 520, 530: 흡연 물품용 지관
600: 흡연 물품용 지관 610: 제 1 시트
611: 폴리락트산 620: 제 2 시트
630: 제 3 시트
700: 가열식 흡연 물품 710: 제 1 부분
720: 제 2 부분 730: 제 3 부분
740: 래퍼
800: 연소식 흡연 물품 810: 제 1 부분
820: 제 2 부분 830: 제 3 부분
840: 래퍼

Claims (14)

  1. 제 1 시트, 제 2 시트, 및 제 3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원통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 형태의 관을 커팅하여 복수 개의 흡연 물품용 지관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락트산은 100 μm 이하의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상기 제 1 시트는 180 μm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시트는 10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3 시트는 10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는 각각 상기 흡연 물품용 지관의 속지, 중간지, 및 외지로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시트는 강성(Stiff) 다공지인,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을 도포하는 단계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 1 시트의 일 면에 상기 폴리락트산을 상부에서 떨어뜨리는 것인,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을 60℃ 내지 9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는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흡연 물품용 지관의 제조 방법.
  6.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시트;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 2 시트; 및
    외부에 배치되는 제 3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는 서로 접하고,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는 서로 접하며,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시트의 일 면에 폴리락트산이 100 μm 이하의 두께로 코팅되고,
    상기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상기 제 1 시트는 180 μm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시트는 10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3 시트는 10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는 각각 상기 흡연 물품용 지관의 속지, 중간지, 및 외지로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시트는 강성(Stiff) 다공지인, 흡연 물품용 지관.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의 상기 일 면에 상기 폴리락트산이 0.1 μm 이상 내지 60 μm 이하의 두께로 코팅된, 흡연 물품용 지관.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이 코팅된 상기 제 1 시트는 150 g/m2 이하의 평량을 가지고, 상기 제 2 시트는 65 g/m2 이하의 평량을 가지며, 상기 제 3 시트는 65 g/m2 이하의 평량을 갖는, 흡연 물품용 지관.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제 3 시트는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흡연 물품용 지관.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용 지관은 복수 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용 지관.
  13. 담배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부분;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제 3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요소는 제 6 항에 따른 흡연 물품용 지관인, 흡연 물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요소는 판상엽 형태의 담배 각초이고,
    상기 필터 요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인, 흡연 물품.
KR1020200104103A 2020-08-19 2020-08-19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03A KR102593527B1 (ko) 2020-08-19 2020-08-19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03A KR102593527B1 (ko) 2020-08-19 2020-08-19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43A KR20220022943A (ko) 2022-03-02
KR102593527B1 true KR102593527B1 (ko) 2023-10-25

Family

ID=8081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103A KR102593527B1 (ko) 2020-08-19 2020-08-19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6976A (zh) * 2020-02-24 2020-07-1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加热不燃烧卷烟烟支的管流式降温管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703660A (zh) * 2015-06-23 2017-02-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物件及製造氣溶膠產生物件之方法
CN107087811B (zh) * 2017-05-26 2019-10-11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具有降低烟气温度和防止嘴棒热塌陷的低温卷烟
KR101978974B1 (ko) 2018-08-23 2019-08-28 태영산업 주식회사 담배용 베이스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0299B1 (ko) * 2018-11-23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 래퍼를 포함하는 궐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6976A (zh) * 2020-02-24 2020-07-1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加热不燃烧卷烟烟支的管流式降温管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43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4512C1 (ru) Многосегментный компонент дл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JP7034945B2 (ja) 液体エアロゾル形成基体および可燃性熱発生要素を備えた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物品
JP2021527392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KR102458829B1 (ko) 경질 캡슐로 구성된 캡슐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로드
JP2022514750A (ja) 通気された中空セグメント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KR20220148213A (ko) 신규 기재 및 상류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발생 물품
KR20220148219A (ko) 개선된 구성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6526A (ko) 겔 조성물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8220A (ko) 소정의 삽입 방향이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6550A (ko) 이중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8218A (ko) 유도 가열을 갖는 환기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2022536642A (ja) 冷却構造体及びそれを含む喫煙物品
KR20220148212A (ko) 상류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6523A (ko) 상류 다공성 세그먼트를 갖는 환기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30046284A (ko) 담배과립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담배과립을 포함하는 흡연물품
JP7491640B2 (ja) 冷却性能と香り持続性が増進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46549A (ko) 세장형 서셉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8211A (ko) 신규한 구성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593527B1 (ko) 흡연 물품용 지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1726B1 (ko) 평행하게 배열된 담배 가닥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로드
JP2024502621A (ja) 香り保有量と香り保持性が増進した香料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喫煙物品
CN113163849B (zh) 制造气溶胶生成棒的方法和气溶胶生成物品
AU2022216787A1 (en) Aerosol-generating rod with multiple aerosol-generating segments
JP2023545974A (ja) 開口部を有する管状要素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KR20220148217A (ko) 개선된 구성을 갖는 에어로졸-발생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